KR200433241Y1 -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 - Google Patents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241Y1
KR200433241Y1 KR2020060024554U KR20060024554U KR200433241Y1 KR 200433241 Y1 KR200433241 Y1 KR 200433241Y1 KR 2020060024554 U KR2020060024554 U KR 2020060024554U KR 20060024554 U KR20060024554 U KR 20060024554U KR 200433241 Y1 KR200433241 Y1 KR 2004332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air
storage
insulation
storage 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5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찬
Original Assignee
임병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찬 filed Critical 임병찬
Priority to KR20200600245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2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2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2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6Arrangements in forage silo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08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comprising a prefabricated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wo other layers or panels
    • E04B1/761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comprising a prefabricated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wo other layers or panels in combination with an air 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곡물이 수용되는 저장빈의 외부를 단열 하우징으로 둘러싸 저장빈과 단열 하우징 사이에 공기층을 갖는 단열공간이 형성되어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는, 벽체와 상부를 덮는 지붕과 바닥으로 형성되되, 상기 바닥에 의해 곡물이 수용되기 위한 상부의 저장공간과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하부의 송풍공간이 구분되고, 상기 바닥에는 송풍공간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저장공간으로 흐르도록 통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지붕 또는 벽체에는 상기 저장공간으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구비된 저장빈과, 상기 저장빈을 둘러싸도록 벽체와 상부를 덮는 지붕으로 형성되되, 벽체와 지붕이 상기 저장빈의 벽체와 지붕과 떨어져 상기 저장빈을 둘러싸는 단열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빈의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 상기 단열공간으로 배출된 공기가 배기되기 위한 배기구가 형성된 단열 하우징과, 상기 단열 하우징의 배기구를 개폐하도록 그 배기구에 설치된 배기구 댐퍼와, 상기 단열 하우징의 외부 또는 내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저장빈의 송풍공간으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장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곡물, 사일로

Description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GRAIN DRYING AND STORAGE SILO HAVING AIR ISULATION SPAC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를 도시한 평면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할 설명>
10 저장빈
11 저장빈 벽체
12 저장빈 지붕
13 저장빈 바닥
13a 통기구
14 배출구
15 흡입유통구
15a 흡입유통구 댐퍼
16 배출유통구
17 내기 순환 송풍장치
20 단열 하우징
21 하우징 벽체
22 하우징 지붕
23 배기구
23a 배기구 댐퍼
30 송풍장치
31 송풍기
32 송풍덕트
32a 송풍 댐퍼
34 내기 흡입덕트
34a 내기 흡입 댐퍼
35 외기 흡입덕트
35a 외기 흡입 댐퍼
40 필터장치
41 필터하우징
41a 먼지제거용 출입구
41b 점검용 출입구
42 필터
43 유도 플레이트
50 냉각장치
60a,60b 릴리프밸브
70 교반기
SS 저장공간
AS 송풍공간
IS 단열공간
G 곡물
본 고안은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곡물이 수용되는 저장빈의 외부를 단열 하우징으로 둘러싸 저장빈과 단열 하우징 사이에 공기층을 갖는 단열공간이 형성되어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확된 벼, 보리 등의 곡물은 일정한 수분함량을 갖도록 건조되어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에서 저장된다. 곡물의 저장은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에 투입된 고수분 함량의 곡물과 저수분 함량의 곡물을 교반 혼합시키고, 상온의 공기 또는 미약한 공기를 곡물 내부로 송풍하여 곡물을 일정 수분함량까지 건조 시키면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장기간 저장된 곡물은 필요시에 배출된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는 철재 또는 콘크리트재 벽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철재나 콘크리트재 벽으로 형성된 종래의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의 경우에는 벽의 단열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의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의 외부와 내부의 온도차로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의 내벽에 결로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곡물이 수용되는 저장빈의 외부를 단열 하우징으로 둘러싸 저장빈과 단열 하우징 사이에 공기층을 갖는 단열공간이 형성되어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는, 벽체와 상부를 덮는 지붕과 바닥으로 형성되되, 상기 바닥에 의해 곡물이 수용되기 위한 상부의 저장공간과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하부의 송풍공간이 구분되고, 상기 바닥에는 송풍공간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저장공간으로 흐르도록 통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지붕 또는 벽체에는 상기 저장공간으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구비된 저장빈과, 상기 저장빈을 둘러싸도록 벽체와 상부를 덮는 지붕으로 형성되되, 벽체와 지붕이 상기 저장빈 의 벽체와 지붕과 떨어져 상기 저장빈을 둘러싸는 단열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빈의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 상기 단열공간으로 배출된 공기가 배기되기 위한 배기구가 형성된 단열 하우징과, 상기 단열 하우징의 배기구를 개폐하도록 그 배기구에 설치된 배기구 댐퍼와, 상기 단열 하우징의 외부 또는 내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저장빈의 송풍공간으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장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는, 상기 단열 하우징의 배기구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가 걸러지도록 상기 단열 하우징의 배기구에 설치된 필터장치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는, 상기 단열공간의 내부에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의 압력이 걸리면 개방되도록 상기 단열 하우징 또는 상기 필터장치에 구비된 릴리프밸브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는, 상기 단열공간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장치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는, 상기 저장빈에는 상기 단열공간으로부터 상기 송풍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흡입유통구와, 상기 송풍공간으로부터 상기 단열공간으로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유통구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유통구에는 그 흡입유통구를 개폐하도록 흡입유통 구 댐퍼가 설치되며, 상기 흡입유통구를 통해 상기 단열공간으로부터 상기 송풍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그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출유통구를 통해 상기 단열공간으로 배출되도록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내기 순환 송풍장치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는 저장빈(10)과 상기 저장빈(10)을 둘러싸는 단열 하우징(20)으로 구성되어 상기 저장빈(10)과 상기 단열 하우징(20) 사이에 공기층으로 된 단열공간(IS)을 갖는 이중 구조를 갖는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는 저장빈(10), 단열 하우징(20), 송풍장치(30), 필터장치(40), 냉각장치(50), 릴리프밸브(60a,60b), 교반기(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장빈(10)은 내부에 곡물(G)이 담기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벽체(11)와 상부를 덮는 지붕(12)과 바닥(13)으로 형성된다. 상기 저장 빈(10)은 상기 바닥(13)에 의해 곡물(G)이 수용되기 위한 상부의 저장공간(SS)과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하부의 송풍공간(AS)이 구분된다. 상기 바닥(13)에는 상기 송풍장치(30)에 의해 송풍공간(AS)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저장공간(SS)으로 흐르도록 통기구(13a)가 형성되어 상기 바닥(13)은 다공판 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송풍공간(AS)으로부터 상기 저장공간(SS)으로 유입된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상기 저장빈(10)의 지붕(12) 또는 벽체(11)에는 배출구(14)가 구비된다. 도면에는 상기 배출구(14)가 상기 저장빈(10)의 지붕(12)에 구비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저장빈(10)의 하부에는 상기 단열공간(IS)에서 상기 냉각장치(50)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상기 송풍공간(AS)를 통해 순환되도록 하기 위한 통로 및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저장빈(10)의 하부에는 상기 단열공간(IS)으로부터 상기 송풍공간(AS)으로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흡입유통구(15)와, 상기 송풍공간(AS)으로부터 상기 단열공간(IS)으로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유통구(16)가 구비된다. 상기 흡입유통구(15)에는 그 흡입유통구(15)를 개폐하도록 흡입유통구 댐퍼(15a)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유통구(16)에는 상기 흡입유통구(15)를 통해 상기 단열공간(IS)으로부터 상기 송풍공간(AS)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그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출유통구(16)를 통해 다시 상기 단열공간(IS)으로 배출되도록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내기 순환 송풍장치(17)가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에는 상기 내기 순환 송풍장치(17)에 의해 상기 냉각장치(50)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상기 단열공간(IS)으로부터 상기 흡입유통구(15)를 통해 상기 송풍공간(AS)으로 유입되었다가 상기 배출유통구(16)을 통해 다시 상기 단열공간(IS)으로 배출 되는 공기의 유동이 화살표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단열 하우징(20)은 상기 저장빈(10)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벽체(21)와 상부를 덮는 지붕(22)으로 형성된다. 상기 단열 하우징(20)의 벽체(21)와 지붕(22)은 상기 저장빈(10)의 벽체(11)와 지붕(12)과 떨어져 상기 저장빈(10)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저장빈(10)의 외측과 상기 단열 하우징(20)의 내측 사이에는 공기층의 단열공간(IS)이 형성된다.상기 저장빈(10)은 상기 단열공간(IS)에 의해 상기 단열 하우징(20)의 바깥 공기, 즉 외기와 직접 접촉되지 않게 되어 상기 저장빈(10)의 내부는 단열된다. 특히, 상기 저장빈(10)과 상기 단열 하우징(20) 사이의 공간, 즉 단열공간(IS)에는 상기 송풍장치(30)에 의해 상기 저장빈(10)의 송풍공간(AS) 및 저장공간(SS)을 거친 공기가 흐르기 때문에 상기 저장빈(10)의 외측 단열공간(IS)에는 저장공간(SS)과 비슷한 온도의 공기로 채워지거나, 상기 냉각장치(50)에 의해 냉각된 공기로 채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 단열 하우징(20)의 하부에는 상기 저장빈(10)의 배출구(14)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SS)으로부터 상기 단열공간(IS)으로 배출된 공기가 배기되기 위한 배기구(23)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구(23)에는 그 배기구(23)를 개폐하도록 배기구 댐퍼(23a)가 설치된다.
상기 단열 하우징(20)의 벽체(21)와 지붕(22)은 최외측 및 최내측의 철판층(P1,P2)과, 상기 철판층(P1,P2) 사이의 틈새에 충진된 우레탄층(U)으로 구성된 3중구조를 갖는다. 상기 철판층(P1,P2)는 내식성을 갖도록 도금 또는 코팅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장치(30)는 상기 단열 하우징(20)의 외부 또는 내부에서 공기를 흡 입하여 상기 저장빈(10)의 송풍공간(AS)으로 송풍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기 위한 송풍기(31)와, 상기 송풍기(31)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상기 저장빈(10)의 송풍공간(AS)으로 유도하기 위한 송풍덕트(32), 상기 송풍덕트(32)의 통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송풍덕트(32)에 설치된 송풍 댐퍼(32a)와, 상기 단열 하우징(20)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단열 하우징(20)의 내부로부터 상기 송풍기(31)의 흡입구로 연결되는 내기 흡입덕트(34)와, 상기 내기 흡입덕트(34)에 설치된 내기 흡입 댐퍼(34a)와, 상기 단열 하우징(20)의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단열 하우징(20)의 외부로부터 상기 송풍기(31)의 흡입구로 연결된 외기 흡입덕트(35)와, 상기 외기 흡입덕트(35)에 설치된 외기 흡입 댐퍼(34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풍장치(30)는 상기 내기 흡입 댐퍼(34a)와 외기 흡입 댐퍼(34a)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단열 하우징(2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순환시키거나 상기 단열 하우징(20)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한다. 도 1에는 상기 송풍장치(30)에 의해 공기가 상기 저장빈(10)의 송풍공간(AS)으로 송풍되어 바닥(13)의 통기구(13a)를 통해 상기 저장빈(10)의 저장공간(SS)으로 유입되었다가 상기 저장빈(10)의 배출구(14)를 통해 단열공간(IS)으로 배출되어 그 단열공간(IS)을 지나 단열 하우징(20)의 배기구(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필터장치(40)는 상기 배기구(2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분진 등을 걸러 제거하여 분진 등이 제거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장치(40)는 상기 배기구(23)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었다가 배 출되는 통로를 형성하고 걸러진 분진 등이 모이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하우징(41)과, 상기 필터하우징(41)의 내부를 통해 공기가 지나는 통로 상에 설치된 필터(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하우징(41)에는 상기 필터(42)에 의해 걸러져 상기 필터(42)를 기준으로 상기 필터(42)를 통과하기 이전의 필터하우징(41)의 내부 공간에 쌓인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개폐할 수 있는 먼지제거용 출입구(41a)와 상기 필터(42)를 기준으로 상기 필터(42)를 통과한 이후의 필터하우징(41)의 내부 공간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개폐할 수 있는 점검용 출입구(41b)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단열 하우징(20)의 배기구(23)을 통해 상기 필터장치(40)의 필터하우징(41)로 연결된 통로에는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필터(42)에 부딪히는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 플레이트(43)이 구비된다.
상기 냉각장치(50)는 상기 단열공간(IS)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냉각장치(50)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상기 단열공간(IS)에 채워질 뿐만 아니라 상기 내기 순환 송풍장치(17)에 의해 상기 단열공간(IS)으로부터 상기 흡입유통구(15)를 통해 상기 송풍공간(AS)으로 유입되었다가 상기 배출유통구(16)을 통해 다시 상기 단열공간(IS)으로 배출되면서 순환된다.
상기 릴리프밸브(60a,60b)는 상기 단열 하우징(20) 또는 상기 필터장치(40)에 구비되어 상기 단열공간(IS)의 내부에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의 압력이 걸리면 개방되도록 하여 단열공간(IS) 내부에 높은 압력이 가해져 단열 하우징(20)이 파열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송풍장치(30)에 의해 상기 저장빈(10)의 내부로 송풍되어 상기 단열공간(IS)을 거쳐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필터장치(40)에 의해 걸러지면서 유동저항이 발생되게 되며 경우에 따라 필터장치(40)의 필터(42)에 먼지가 많이 걸러지면서 필터(42)가 막히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단열공간(IS)의 내부에는 압력이 상승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단열공간(IS) 내부의 압력이 너무 높게 상승되면 상기 단열 하우징(20)은 파열될 위험이 있게 된다. 상기 릴리프밸브(60a,60b)는 상기 단열공간(IS)의 내부에 압력이 일정 이상 상승되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단열 하우징(20) 또는 상기 필터장치(40)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는 내부에 곡물이 수용되는 저장빈의 외부를 단열 하우징으로 둘러싸 저장빈과 단열 하우징 사이에 공기층을 갖는 단열공간이 형성되어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는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벽체와 상부를 덮는 지붕과 바닥으로 형성되되, 상기 바닥에 의해 곡물이 수용되기 위한 상부의 저장공간과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하부의 송풍공간이 구분되고, 상기 바닥에는 송풍공간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저장공간으로 흐르도록 통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지붕 또는 벽체에는 상기 저장공간으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구비된 저장빈과,
    상기 저장빈을 둘러싸도록 벽체와 상부를 덮는 지붕으로 형성되되, 벽체와 지붕이 상기 저장빈의 벽체와 지붕과 떨어져 상기 저장빈을 둘러싸는 단열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빈의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 상기 단열공간으로 배출된 공기가 배기되기 위한 배기구가 형성된 단열 하우징과,
    상기 단열 하우징의 배기구를 개폐하도록 그 배기구에 설치된 배기구 댐퍼와,
    상기 단열 하우징의 외부 또는 내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저장빈의 송풍공간으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장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하우징의 배기구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가 걸러지도록 상기 단열 하우징의 배기구에 설치된 필터장치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공간의 내부에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의 압력이 걸리면 개방되도록 상기 단열 하우징 또는 상기 필터장치에 구비된 릴리프밸브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공간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장치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빈에는 상기 단열공간으로부터 상기 송풍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흡입유통구와, 상기 송풍공간으로부터 상기 단열공간으로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유통구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유통구에는 그 흡입유통구를 개폐하도록 흡입유통구 댐퍼가 설치되며,
    상기 흡입유통구를 통해 상기 단열공간으로부터 상기 송풍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그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출유통구를 통해 상기 단열공간으로 배출되도록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내기 순환 송풍장치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
KR2020060024554U 2006-09-12 2006-09-12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 KR2004332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554U KR200433241Y1 (ko) 2006-09-12 2006-09-12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554U KR200433241Y1 (ko) 2006-09-12 2006-09-12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241Y1 true KR200433241Y1 (ko) 2006-12-08

Family

ID=4178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554U KR200433241Y1 (ko) 2006-09-12 2006-09-12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24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188B1 (ko) 2009-06-05 2010-08-17 이상종 외부공기 흡기장치가 구비된 사료빈
KR20150069777A (ko) * 2013-12-16 2015-06-24 김영욱 농산물 건조실의 구조
KR102084432B1 (ko) * 2019-03-07 2020-03-04 반채우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
KR102241033B1 (ko) * 2019-12-16 2021-04-16 신흥기업 주식회사 곡물 저장시설용 냉각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188B1 (ko) 2009-06-05 2010-08-17 이상종 외부공기 흡기장치가 구비된 사료빈
KR20150069777A (ko) * 2013-12-16 2015-06-24 김영욱 농산물 건조실의 구조
KR101601885B1 (ko) 2013-12-16 2016-03-09 김영욱 농산물 건조실의 구조
KR102084432B1 (ko) * 2019-03-07 2020-03-04 반채우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
KR102241033B1 (ko) * 2019-12-16 2021-04-16 신흥기업 주식회사 곡물 저장시설용 냉각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2188B1 (ko) 환기장치
KR200433241Y1 (ko)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
KR102087399B1 (ko) 현열 겸용 전열교환 환기장치
JP2000065378A (ja) 低温保管倉庫
CN208504582U (zh) 除湿机
CN208143891U (zh) 一种粮堆外围立管通风系统
JP4306083B2 (ja) サイロ
JP2939255B1 (ja) 穀物冷蔵装置
CN108617810B (zh) 一种循环式绿茶加湿器和红茶发酵机及加湿装置和红茶发酵设备
JP7225885B2 (ja) 蓄電システム
CN207910798U (zh) 一种智能家居网关设备
JP3093902B2 (ja) 穀物の乾燥貯蔵装置
CN206542099U (zh) 一种高压变频配电冷却系统
CN206947801U (zh) 一种开关柜的除湿降温装置
CN208045244U (zh) 一种可除湿干式整流变压器
JP4584968B2 (ja) 貯蔵庫
CN219958700U (zh) 一种干式变压器防护外罩
CN112378147A (zh) 冷库
JPH0295608A (ja) 穀粒タンク
CN206976881U (zh) 一种高效散热的配电箱
CN219037360U (zh) 控湿酒柜
CN210215135U (zh) 一种拼装斗式除湿干燥机
CN219407786U (zh) 一种大豆豆饼原料储存仓
CN216384422U (zh) 一种空调、洗衣及风干一体机
CN214958084U (zh) 一种环网柜除湿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