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432B1 -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432B1
KR102084432B1 KR1020190026241A KR20190026241A KR102084432B1 KR 102084432 B1 KR102084432 B1 KR 102084432B1 KR 1020190026241 A KR1020190026241 A KR 1020190026241A KR 20190026241 A KR20190026241 A KR 20190026241A KR 102084432 B1 KR102084432 B1 KR 102084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y
cotton seed
storage unit
ai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채우
Original Assignee
반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채우 filed Critical 반채우
Priority to KR1020190026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6Arrangements in forage silos
    • A01F25/163Arrangements in forage silos in tower silo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6Arrangements in forage silos
    • A01F25/18Loading or distributing arrangements
    • A01F25/186Distribu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6Arrangements in forage silos
    • A01F25/20Unloading arrangements
    • A01F25/2027Unloading arrangements for trench silos
    • A01F2025/2045Unloading arrangements including a conveyor belt for transferring the material to a hop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51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로; 상기 이송로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일면에 형성되되 상기 이송로와 마주하는 일면에 형성되는 개방구 및 상기 제1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어 건초가 저장되는 제1저장고를 포함하는 건초저장부; 및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건초저장부의 일 측에 구비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어 목화씨가 저장되는 제2저장고를 포함하는 목화씨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초를 이송시키는 차량의 이송로를 건초저장부의 외부에 형성함으로써 건초저장부의 제1저장고에 이송로가 형성되어 잉여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목화씨저장부를 건초저장부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하여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HAY AND COTTON SEED STORAG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건초를 이송시키는 차량의 이송로를 건초저장부의 외부에 형성함으로써 건초저장부의 제1저장고에 이송로가 형성되어 잉여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목화씨저장부를 건초저장부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하여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일로는 낱알 형태의 사료나 곡류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곡물 저장고로서, 훈증 및 환기장치 등을 별도로 설비하여 곡물을 양호한 상태로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곡물 저장설비를 말한다.
따라서, 곡물을 장기간 양호한 상태로 보존하기 위해서는 수분과 온도를 최적의 상태로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의 사일로는 대부분 100톤 이상의 용량을 가진 대형 설비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사일로 본체(10)의 내부에는 교반기(20)와 히터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사일로 본체(10) 내로 투입된 곡물을 교반시키면서 열을 가하여 곡물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사일로는 이에 적용된 기존 교반기(20)의 교반 성능이 불량하여 원활한 교반이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기존에 사일로 내부에 열을 가하여 곡물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열을 고르게 분산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 제 10-0594603 호에는 종래의 연속식 곡물 사일로형 건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속식 곡물 사일로형 건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연속식 곡물 사일로형 건조장치를 설명하자면, 곡물을 균일하게 교반하고, 건조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곡물의 수분 정도에 따른 능동적인 건조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건조 곡물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연속식 곡물 사일로형 건조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토목기초 상에 설치되고 상ㅇ하부에 곡물 입출용의 투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마련된 밀폐형의 사일로 본체(10); 연직방향으로 각각 배치되고 가상의 중심종축을 기준점으로 하여 상기 사일로 본체(10) 내에서 공전 및 자전하며 투입 적층된 곡물을 상ㅇ하방으로 교반시켜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반용 오거가 구비된 교반기(20); 상기 사일로 본체(10)의 내측 저면쪽에 방사상방향으로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사일로 본체(10) 하부의 곡물을 각각 중앙의 배출유도로쪽으로 이송시켜주는 적어도 한 쌍의 내향이송용 오거(30a, 30b); 상기 한 쌍의 내향이송용 오거(30a, 30b)를 각각 자전 및 공전되도록 구동시켜주는 동력전달매체; 상기 배출유도로와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곡물을 강제 배출시켜주는 배출용 오거(50)(50);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곡물을 상기 사일로 본체(10)의 상부로 이송시켜주는 버킷 엘리베이터(70); 상기 버킷 엘리베이터(70)의 상단부와 상기 투입구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된 곡물을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사일로 본체(10) 내로 강제 투입시켜주는 투입용 오거(80); 상기 사일로 본체(10)의 내부로 자연풍 또는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60); 상기 배출구의 일측에 설치되어 배출 곡물의 수분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수분측정센서(53); 및 상기 수분측정센서(53)에 의해 감지된 배출 곡물의 수분 신호값들을 수신하여 그 측정수분값을 기 설정수분값과 비교한 후 상기 측정수분값이 설정수분값의 적정범위를 만족할 때까지 상기 각 장치부를 구동시켜주는 제어부(90)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 송풍기(60)를 이용하여 사일로 본체(10)의 내부로 분사된 자연풍 또는 열풍이 상기 사일로 본체(10)의 내부에 저장된 곡물로 고르게 분사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상기 사일로 본체(10)의 내부에 저장된 곡물을 건조시키는데 사용된 자연풍 또는 열풍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 10-0594603 호(2006.06.21.) 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004721 호(2013.01.14.) 등록특허공보 제 10-0483167 호(2005.04.04.)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건초를 이송시키는 차량의 이송로를 건초저장부의 외부에 형성함으로써 건초저장부의 제1저장고에 이송로가 형성되어 잉여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목화씨저장부를 건초저장부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하여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은, 이송로; 상기 이송로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일면에 형성되되 상기 이송로와 마주하는 일면에 형성되는 개방구 및 상기 제1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어 건초가 저장되는 제1저장고를 포함하는 건초저장부; 및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건초저장부의 일 측에 구비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어 목화씨가 저장되는 제2저장고를 포함하는 목화씨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방구는 상기 이송로와 마주하는 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화씨저장부는, 상기 제2프레임에 형성되며 흡입팬이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되는 흡입덕트; 상기 제2프레임에 형성되며 배출팬이 형성되어 공기를 배출하는 제1배출덕트; 및 상기 흡입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저장고를 거쳐 상기 제1배출덕트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중간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화씨저장부에는 상기 흡입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저장고로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는 분배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배모듈에는 상기 흡입덕트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지나가는 복수의 관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로는 상기 흡입덕트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2저장고로 고르게 분산되어 유입되도록 상기 흡입덕트와 인접한 위치로부터 점차 그 지름이 커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초저장부 및 상기 목화씨저장부의 사이에는 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는, 일단은 상기 제1배출덕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건초저장부의 제1저장고로 연결되는 연결덕트; 상기 연결덕트에 연결되는 제2배출덕트; 상기 연결덕트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배출덕트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에 포함된 습도 양을 감지하는 제1센서모듈; 및 상기 제1센서모듈에서 감지된 상기 공기의 습도 양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의 이하인 경우 상기 공기가 상기 연결덕트의 타단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1센서모듈에서 감지된 상기 공기의 습도 양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공기가 상기 제2배출덕트로 이동되도록 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화씨저장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프레임 외부의 공기에 포함된 습도를 감지하는 제2센서모듈; 및 상기 흡입덕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제2센서모듈에서 감지된 공기의 습도 양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구동되어 상기 흡입덕트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건조시키는 히팅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화씨저장부는, 상기 제2저장고에 연직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막대; 상기 제2저장고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막대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모듈; 및 상기 막대의 하부 말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2저장고에 저장된 목화씨의 온도 및 습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감지하는 제3센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막대의 상부에는 상기 막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홈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홈에는 상기 승강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랙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모듈은, 상기 제2저장고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막대에 의해 관통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에 설치되되 상기 막대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되 상기 랙기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랙기어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에 의하면, 건초를 이송시키는 차량의 이송로를 건초저장부의 외부에 형성함으로써 건초저장부의 제1저장고에 이송로가 형성되어 잉여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목화씨저장부를 건초저장부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하여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속식 곡물 사일로형 건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의 건초저장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의 목화씨저장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의 A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의 흡입 공기를 건조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의 제3센서모듈이 설치된 막대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의 복수의 제1파이프 및 복수의 제2파이프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건초를 이송시키는 차량의 이송로를 건초저장부의 외부에 형성함으로써 건초저장부의 제1저장고에 이송로가 형성되어 잉여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목화씨저장부를 건초저장부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하여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의 건초저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의 목화씨저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4c에 따르면, 본 발명의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은, 이송로(100), 상기 이송로(100)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1프레임(210), 상기 제1프레임(210)의 일면에 형성되되 상기 이송로(100)와 마주하는 일면에 형성되는 개방구(220) 및 상기 제1프레임(210)의 내부에 형성되어 건초(231)가 저장되는 제1저장고(230)를 포함하는 건초저장부(200) 및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건초저장부(200)의 일 측에 구비되는 제2프레임(310), 상기 제2프레임(310)의 내부에 형성되어 목화씨(321)가 저장되는 제2저장고(320) 및 상기 제2프레임(3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저장고(320)를 개폐하는 뚜껑(301)를 포함하는 목화씨저장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로(100), 건초저장부(200) 및 목화씨저장부(300)가 각각 서로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이송로(100)를 통해 건초저장부(200) 및 목화씨저장부(300)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이송로(100)로는 상기 건초저장부(200)에 저장되는 건초(231) 및 상기 목화씨저장부(300)에 저장되는 목화씨(321)를 이송하는 차량이 이동하는 통로로써, 상기 건초저장부(200)의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건초저장부(200)의 내부에 잉여공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방구(220)는 상기 건초저장부(200)에 포함되는 개폐문(2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로(100)와 마주하는 상기 제1프레임(210)의 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는 상기 이송로(100)를 통해 이동하는 차량이 상기 개방구(220)를 통해 상기 건초저장부(200)의 제1저장고(230)로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개방구(220)는 환기를 위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건초저장부(200)의 제1저장고(230)에 저장된 건초(231)의 컨디션이 좋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초(231)가 유지하는 컨디션의 조건은 수분 10.5% 이하, 조단백 5.3% 이상, 조섬유 30.5% 이상, 조회분 9.5% 이하, ADF 36.8% 이상 및 NDF 56.0%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목화씨저장부(300)는, 상기 제2프레임(310)에 형성되며 흡입팬(331)이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되는 흡입덕트(330), 상기 제2프레임(310)에 형성되며 배출팬(341)이 형성되어 공기를 배출하는 제1배출덕트(340), 상기 흡입덕트(33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저장고(320)를 거쳐 상기 제1배출덕트(340)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중간덕트(350) 및 상기 중간덕트(350)를 거치면서 액화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통로(450)를 포함한다.
즉, 상기 흡입덕트(330), 제1배출덕트(340) 및 중간덕트(350)는 외부의 건조한 공기가 상기 목화씨저장부(300)의 제2저장고(320)를 순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저장고(320)의 내부에 저장된 목화씨(321)가 건조되도록 하여 상기 제2저장고(320)의 내부에 저장된 목화씨(321)가 좋은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배출통로(450)는 액화된 물이 배출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물이 고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흡입덕트(330)는 상기 목화씨저장부(300)의 제2저장고(320)에 저장된 목화씨(321)를 건조시키기 위해 건조한 공기를 흡입해야 하는 특성상, 초입부분이 비교적 습기가 많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의 목화씨저장부(300)가 설치되는 환경, 즉 상기 목화씨저장부(300)가 설치되는 지반의 환경에 따라 구조 변경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목화씨(321)가 유지하는 컨디션의 조건은 수분 13% 이하, 조단백 16% 이상, 조섬유 35% 이하, 조회분 5% 이하 및 조지방 16%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화씨저장부(300)에는 상기 흡입덕트(33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저장고(320)로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는 분배모듈(360)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배모듈(360)에는 상기 흡입덕트(33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2저장고(320)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관통로(361) 및 상기 제2저장고(320)에서 목화씨(321)를 건조시킨 공기가 제1배출덕트(340)로 이동되는 복수의 배출로(36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로(361)는 상기 흡입덕트(33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2저장고(320)로 고르게 분산되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덕트(330)와 인접한 위치로부터 점차 그 지름이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덕트(330)와 가장 인접한 관통로(361)의 지름은 상기 흡입덕트(330)와 가장 이격된 관통로(361)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덕트(330)와 가장 인접한 관통로(361)의 지름과 상기 흡입덕트(330)와 가장 이격된 관통로(361)의 지름은 약 1 : 2 ~ 1 : 3의 비율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덕트(330)와 가장 인접한 관통로(361)의 지름과 상기 흡입덕트(330)와 가장 이격된 관통로(361)의 지름의 비율이 1 : 2 이하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흡입덕트(330)와 가장 인접한 관통로(36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비율이 커지게 되고, 상기 흡입덕트(330)와 가장 인접한 관통로(361)의 지름과 상기 흡입덕트(330)와 가장 이격된 관통로(361)의 지름의 비율이 1 : 3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흡입덕트(330)와 가장 이격된 관통로(36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비율이 커지게 되어 상기 목화씨저장부(300)의 제2저장고(320)로 고르게 분산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상기 흡입덕트(330)와 가장 인접한 관통로(361)의 지름과 상기 흡입덕트(330)와 가장 이격된 관통로(361)의 지름의 비율은 본 발명의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 관리 시스템이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배모듈(360)의 관통로(361)는 상기 흡입덕트(33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에 따라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저장고(320) 내부에서 용이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분배모듈(360)의 관통로(361)는 상기 흡입덕트(330) 및 제1배출덕트(340)의 형태 및 위치 또는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의 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의 건초저장부(200) 및 목화씨저장부(300)의 사이에는 연결부(5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500)는, 일단은 상기 제1배출덕트(34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건초저장부(200)의 제1저장고(230)로 연결되는 연결덕트(510), 상기 연결덕트(510)에 연결되는 제2배출덕트(520), 상기 연결덕트(510)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배출덕트(340)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에 포함된 습도 양을 감지하는 제1센서모듈(530) 및 상기 제1센서모듈(530)에서 감지된 상기 공기의 습도 양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의 이하인 경우 상기 공기가 상기 연결덕트(510)의 타단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1센서모듈(530)에서 감지된 상기 공기의 습도 양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공기가 상기 제2배출덕트(520)로 이동되도록 하는 체크밸브(5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500)는 상기 건초저장부(200)와 목화씨저장부(300)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목화씨저장부(300)의 제2저장고(320)에 저장된 목화씨(321)를 건조시킨 공기의 습도 양을 감지하여 상기 건초저장부(200)의 제1저장고(230)에 저장된 건초(231)를 건조시키기에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목화씨저장부(300)의 제2저장고(320)에 저장된 목화씨(321)를 건조시킨 공기를 상기 건초저장부(200)의 제1저장고(230)로 유도하여 상기 제1저장고(230)에 저장된 건초(231)를 건조시킨 후 상기 개방구(220)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목화씨저장부(300)의 제2저장고(320)에 저장된 목화씨(321)를 건조시킨 공기의 습도 양을 감지하여 상기 건초저장부(200)의 제1저장고(230)에 저장된 건초(231)를 건조시키기에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목화씨저장부(300)의 제2저장고(320)에 저장된 목화씨(321)를 건조시킨 공기를 상기 제2배출덕트(520)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센서모듈(530)은 상기 제1배출덕트(340)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의 습도뿐만 아니라, 온도까지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계절에 따라 상기 제1센서모듈(530)에 의해 감지되는 공기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의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만 상기 건초저장부(200)의 제1저장고(230)로 유도되어 건초(231)를 건조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센서모듈(530)에 의해 감지되는 공기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의 이하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배출덕트(520)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의 흡입 공기를 건조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6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화씨저장부(300)는 상기 제2프레임(310)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프레임(310) 외부의 공기에 포함된 습도를 감지하는 제2센서모듈(370) 및 상기 흡입덕트(3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제2센서모듈(370)에서 감지된 공기의 습도 양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구동되어 상기 흡입덕트(33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건조시키는 히팅파이프(38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센서모듈(370) 및 히팅파이프(380)는 상기 흡입덕트(33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습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동작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흡입덕트(33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건조시켜 상기 공기에 포함된 습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보다 낮아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목화씨저장부(300)의 제2저장고(320)에 저장된 목화씨(321)를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센서모듈(370)은 상기 제2프레임(310)의 외부에 구비되되 상기 흡입덕트(330)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2센서모듈(370)에서 측정되는 공기의 온도 및 습도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흡입덕트(330)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 및 습도 중 어느 하나간의 차이가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히팅파이프(380)는 상기 흡입덕트(3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성되되, 상기 히팅파이프(380)가 상기 흡입덕트(33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중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흡입덕트(33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의 제3센서모듈이 설치된 막대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7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화씨저장부(300)는, 상기 제2저장고(320)에 연직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막대(410), 상기 제2저장고(3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막대(410)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모듈(420) 및 상기 막대(410)의 하부 말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2저장고(320)에 저장된 목화씨(321)의 온도 및 습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감지하는 제3센서모듈(4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막대(410)의 상부에는 상기 막대(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홈(41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승강홈(411)에는 상기 승강홈(4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랙기어(4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모듈(420)은, 상기 제2저장고(32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막대(410)에 의해 관통되는 지지바(421), 상기 지지바(421)에 설치되되 상기 막대(41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22) 및 상기 구동모터(422)에 결합되되, 상기 랙기어(4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랙기어(412)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피니언기어(42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구동모터(422)를 구동시켜 상기 막대(410)가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목화씨저장부(300)의 제2저장고(320)에 저장된 복수의 목화씨(321) 사이의 온도를 체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작업 환경에 따라서, 상기 막대(410), 승강모듈(420) 및 제3센서모듈(430)을 각각 복수로 구비하여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목화씨저장부(300)의 제2저장고(320)에 저장된 복수의 목화씨(321) 사이의 온도를 체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의 복수의 제1파이프 및 복수의 제2파이프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8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화씨저장부(300)에는 분배모듈(360)의 관통로(361)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1파이프(440) 및 제2파이프(4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파이프(440) 및 제2파이프(443)는 서로 다른 길이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흡입덕트(33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서로 다른 길이로 구성되는 제1파이프(440) 및 제2파이프(443)를 통해 상기 제2저장고(320)로 유입되어 상기 제2저장고(320)의 목화씨(321)를 건조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흡입덕트(33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2저장고(320)의 비교적 아래에 위치한 목화씨(321)만을 건조시키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파이프(440) 및 제2파이프(443)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의 제1파이프(440) 및 복수의 제2파이프(443)이 각각 다른 크기로 구성되어 상기 관통로(361)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작업 환경에 따라, 상기 제1파이프(440) 및 제2파이프(443)는 상기 흡입덕트(330)와 인접한 위치로부터 점차 길이가 길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의 제1파이프(440) 및 복수의 제2파이프(443)가 각각 다른 크기로 구성되어 교차로 결합되는 반면, 상기 제1파이프(440) 및 제2파이프(443)가 상기 흡입덕트(330)와 인접한 위치로부터 점차 길이가 길어지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1파이프(440) 및 제2파이프(443)는 단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파이프(440)보다 길거나 상기 제2파이프(443)보다 짧은 별도의 파이프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제1파이프(440) 및 제2파이프(443)의 구성은 상기 제2저장고(32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이동되어 상기 목화씨(321)를 건조시킬 때, 건조시키는 시작 지점을 달리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화씨저장부(300)의 내부에는 상기 제2저장고(320)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지바(421), 상기 지지바(42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22) 상기 구동모터(422)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지지바(421)를 관통하여 상기 제2저장고(320)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봉(460) 및 상기 회전봉(460)의 말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저장고(320)의 내부에 저장되는 목화씨(321)를 교반시키는 교반부재(47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바(421)에 설치된 구동모터(422)가 상기 회전봉(46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봉(460)의 말단에서 연장되는 교반부재(470)는 상기 회전봉(460)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제2저장고(320)의 내부에 저장되는 목화씨(321)를 교반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2저장고(320) 내부의 온도가 골고루 교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건초를 이송시키는 차량의 이송로를 건초저장부의 외부에 형성함으로써 건초저장부의 제1저장고에 이송로가 형성되어 잉여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목화씨저장부를 건초저장부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하여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이송로
200 : 건초저장부
210 : 제1프레임 220 : 개방구
230 : 제1저장고 231 : 건초
300 : 목화씨저장부
310 : 제2프레임
320 : 제2저장고 321 : 목화씨
330 : 흡입덕트 331 : 흡입팬
340 : 제1배출덕트 341 : 배출팬
350 : 중간덕트
360 : 분배모듈 361 : 관통로
370 : 제2센서모듈
380 : 히팅파이프
410 : 막대 411 : 승강홈
412 : 랙기어
420 : 승강모듈 421 : 지지바
422 : 구동모터 423 : 피니언기어
430 : 제3센서모듈
440 : 제1파이프 443 : 제2파이프
450 : 배출통로 460 : 회전봉
470 : 교반부재
500 : 연결부 510 : 연결덕트
520 : 제2배출덕트 530 : 제1센서모듈
540 : 체크밸브

Claims (9)

  1. 이송로(100);
    상기 이송로(100)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1프레임(210), 상기 제1프레임(210)의 일면에 형성되되 상기 이송로(100)와 마주하는 일면에 형성되는 개방구(220) 및 상기 제1프레임(210)의 내부에 형성되어 건초(231)가 저장되는 제1저장고(230)를 포함하는 건초저장부(200); 및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건초저장부(200)의 일 측에 구비되는 제2프레임(310) 및 상기 제2프레임(310)의 내부에 형성되어 목화씨(321)가 저장되는 제2저장고(320)를 포함하는 목화씨저장부(300);
    를 포함하고,
    상기 목화씨저장부(300)는, 상기 제2프레임(310)에 형성되며 흡입팬(331)이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되는 흡입덕트(330), 상기 제2프레임(310)에 형성되며 배출팬(341)이 형성되어 공기를 배출하는 제1배출덕트(340) 및 상기 흡입덕트(33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저장고(320)를 거쳐 상기 제1배출덕트(340)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중간덕트(350)를 포함하며,
    상기 건초저장부(200) 및 상기 목화씨저장부(300)의 사이에는 연결부(500)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500)는, 일단은 상기 제1배출덕트(34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건초저장부(200)의 제1저장고(230)로 연결되는 연결덕트(510), 상기 연결덕트(510)에 연결되는 제2배출덕트(520), 상기 연결덕트(510)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배출덕트(340)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에 포함된 습도 양을 감지하는 제1센서모듈(530) 및 상기 제1센서모듈(530)에서 감지된 상기 공기의 습도 양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의 이하인 경우 상기 공기가 상기 연결덕트(510)의 타단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1센서모듈(530)에서 감지된 상기 공기의 습도 양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공기가 상기 제2배출덕트(520)로 이동되도록 하는 체크밸브(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220)는,
    상기 이송로(100)와 마주하는 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화씨저장부(300)에는,
    상기 흡입덕트(33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저장고(320)로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는 분배모듈(36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모듈(360)에는 상기 흡입덕트(33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지나가는 복수의 관통로(361)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로(361)는,
    상기 흡입덕트(33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2저장고(320)로 고르게 분산되어 유입되도록 상기 흡입덕트(330)와 인접한 위치로부터 점차 그 지름이 커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화씨저장부(300)는,
    상기 제2프레임(310)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프레임(310) 외부의 공기에 포함된 습도를 감지하는 제2센서모듈(370); 및
    상기 흡입덕트(3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제2센서모듈(370)에서 감지된 공기의 습도 양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구동되어 상기 흡입덕트(33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건조시키는 히팅파이프(3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화씨저장부(300)는,
    상기 제2저장고(320)에 연직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막대(410);
    상기 제2저장고(3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막대(410)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모듈(420); 및
    상기 막대(410)의 하부 말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2저장고(320)에 저장된 목화씨(321)의 온도 및 습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감지하는 제3센서모듈(4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410)의 상부에는 상기 막대(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홈(411)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홈(411)에는 상기 승강홈(4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랙기어(412)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모듈(420)은,
    상기 제2저장고(32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막대(410)에 의해 관통되는 지지바(421);
    상기 지지바(421)에 설치되되 상기 막대(41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22); 및
    상기 구동모터(422)에 결합되되, 상기 랙기어(4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랙기어(412)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피니언기어(4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
KR1020190026241A 2019-03-07 2019-03-07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 KR102084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241A KR102084432B1 (ko) 2019-03-07 2019-03-07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241A KR102084432B1 (ko) 2019-03-07 2019-03-07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432B1 true KR102084432B1 (ko) 2020-03-04

Family

ID=69783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241A KR102084432B1 (ko) 2019-03-07 2019-03-07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43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8245A (ja) * 1994-05-24 1995-12-08 Satake Eng Co Ltd 穀粒乾燥貯留装置
KR200174138Y1 (ko) * 1998-01-30 2000-03-02 정해복 곡물 건조저장장치
KR100483167B1 (ko) 2002-05-03 2005-04-14 합명회사 신흥기업사 겨울철 자연 냉기를 이용한 곡물 냉각, 고품질 저장방법
KR100594603B1 (ko) 2005-02-23 2006-06-30 주식회사 두손 연속식 곡물 사일로형 건조장치
KR200433241Y1 (ko) * 2006-09-12 2006-12-08 임병찬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
KR20110033431A (ko) * 2009-09-25 2011-03-31 김철환 볏짚 결속네트 제조방법
KR20130004721A (ko) 2011-07-04 2013-01-14 박영희 사일로의 환풍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8245A (ja) * 1994-05-24 1995-12-08 Satake Eng Co Ltd 穀粒乾燥貯留装置
KR200174138Y1 (ko) * 1998-01-30 2000-03-02 정해복 곡물 건조저장장치
KR100483167B1 (ko) 2002-05-03 2005-04-14 합명회사 신흥기업사 겨울철 자연 냉기를 이용한 곡물 냉각, 고품질 저장방법
KR100594603B1 (ko) 2005-02-23 2006-06-30 주식회사 두손 연속식 곡물 사일로형 건조장치
KR200433241Y1 (ko) * 2006-09-12 2006-12-08 임병찬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
KR20110033431A (ko) * 2009-09-25 2011-03-31 김철환 볏짚 결속네트 제조방법
KR20130004721A (ko) 2011-07-04 2013-01-14 박영희 사일로의 환풍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4603B1 (ko) 연속식 곡물 사일로형 건조장치
US7980002B2 (en) Rotary drum for the aerobic heating of pourable solids
CN105104521A (zh) 一种粮食干燥机
CN103238423B (zh) 粮食储存风干仓
US3755918A (en) Grain storage bin construction
KR102084432B1 (ko) 사료용 건초 및 목화씨 저장고 관리시스템
CA2045032C (en) Grain dryer
KR101559135B1 (ko) 이송 스크류를 이용한 호퍼형 사일로의 곡물 순환장치
CN210580774U (zh) 一种双模式电热粮食烘干机
KR200492686Y1 (ko) 곡물 배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곡물 건조기
CN111656972A (zh) 一种玉米穗通风干燥储存装置及方法
CN110906726A (zh) 一种烘干机
KR20110029020A (ko) 고하중 연속구동용 차동 베벨 기어장치
CN106134655A (zh) 一种旋转通风干燥仓及利用其进行农产品通风干燥和储存的方法
US201503078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ain Steeping, Germinating, Kiln Drying and Fermenting, and/or Combinations Thereof
KR20100039756A (ko) 버섯 재배용 배지 제조장치
CN215555984U (zh) 一种大米加工用原料存储仓
JP3536499B2 (ja) テストドライヤー
CN111758995B (zh) 一种烟草醇化装置
CN217957867U (zh) 翻料粮仓
US33097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grain in a shallow bin
USRE25230E (en) pierpoint
KR200288529Y1 (ko) 보조오거가 장착되는 수직오거축을 내장한 곡물건조저장빈
CN207439125U (zh) 用于批式循环谷物干燥机的出料装置
CN217836904U (zh) 一种配合饲料储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