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8590A -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 - Google Patents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8590A
KR20130048590A KR1020110113521A KR20110113521A KR20130048590A KR 20130048590 A KR20130048590 A KR 20130048590A KR 1020110113521 A KR1020110113521 A KR 1020110113521A KR 20110113521 A KR20110113521 A KR 20110113521A KR 20130048590 A KR20130048590 A KR 20130048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heli
fire
ship
helico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연
서의재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3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8590A/ko
Publication of KR20130048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3/00Landing stages for helicopters, e.g. located above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이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은, 헬리콥터가 이착륙할 수 있는 헬리데크가 선수 영역에 구비된 선박으로서, 상기 선박에는 상기 헬리데크에서 발생한 화재를 소화하도록 상기 헬리데크의 주변에는 복수의 소방 스테이션이 설치되되, 상기 소방 스테이션은, 상기 헬리데크의 선수 방향보다 상기 헬리데크의 선미 방향에 더 많은 개수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소방 스테이션을 헬리데크의 선수 방향보다 헬리데크의 선미 방향에 더 많은 개수로 설치함으로써, 헬리데크 및 헬리데크 주변에 설치된 소방 스테이션으로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SHIP HAVING HELIDECK}
본 발명은,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헬리데크 및 헬리데크 주변에 설치된 소방 스테이션으로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헬리데크의 화재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 가능한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헬리콥터의 이착륙을 가능하게 하는 헬리데크가 설치된다.
이러한 헬리데크의 주변 영역에는 헬리콥터의 추락 등에 의한 헬리데크의 화재 발생시 이를 진압하기 위한 복수의 소방 스테이션이 설치된다. 또한, 작업자가 선박의 탑 데크에서 헬리데크의 선수 측에 설치된 소방 스테이션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워크 웨이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종래에는 헬리데크의 선수 측에 2개의 소방 스테이션이 설치되고 반대로 선미 측에 1개의 소방 스테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워크 웨이는, 선박의 탑 데크로부터 선수 측에 설치된 2개의 소방 스테이션을 연결하기 위해 2개로 분기된 진입로 구조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헬리콥터의 추락에 의해 헬리데크 및 워크 웨이의 형상 변형이 발생하게 되면 작업자가 선미 측에 설치된 1개의 소방 스테이션으로는 접근이 가능할지라도 선수 측에 설치된 나머지 2개의 소방 스테이션으로는 접근이 불가하여 신속한 화재 진압이 어려운 문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선수 측에 위치한 2개의 소방 스테이션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워크 웨이는 2개의 분기된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워크 웨이의 중량 증가에 따른 전체 선박의 중량이 증가하는 단점도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헬리데크 및 헬리데크 주변에 설치된 소방 스테이션으로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헬리데크의 화재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 가능한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워크 웨이의 구조 변경을 통해 워크 웨이의 중량을 감소할 수 있는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헬리콥터가 이착륙할 수 있는 헬리데크가 선수 영역에 구비된 선박으로서, 상기 선박에는 상기 헬리데크에서 발생한 화재를 소화하도록 상기 헬리데크의 주변에는 복수의 소방 스테이션이 설치되되, 상기 소방 스테이션은, 상기 헬리데크의 선수 방향보다 상기 헬리데크의 선미 방향에 더 많은 개수로 설치되는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소방 스테이션은, 상기 헬리데크의 선수 방향에 1개가 설치되고 상기 헬리데크의 선미 방향에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헬리데크의 하측에는, 상기 선박의 탑 데크로부터 진입 가능하도록 상기 헬리데크의 선수측과 선미측을 연결하는 하나의 워크 웨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방 스테이션에는 수동으로 소화수를 분사하기 위한 소방 호스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헬리데크에는 화재시 발생하는 연소 가스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가스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소방 스테이션에는 상기 가스 센서의 연소 가스 감지에 따라 자동으로 소화수를 분사하는 자동 소화수 분사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소방 스테이션을 헬리데크의 선수 방향보다 헬리데크의 선미 방향에 더 많은 개수로 설치함으로써, 헬리데크 및 헬리데크 주변에 설치된 소방 스테이션으로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소방 스테이션으로의 접근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헬리데크의 화재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 가능하게 된다.
셋째, 헬리데크의 선수 측에 1개의 소방 스테이션만 설치하고 이와 대응하도록 1개의 이동 경로를 갖는 워크 웨이를 설치함으로써, 종래보다 워크 웨이의 중량을 감소시켜 전체 선박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에서 헬리테크와 소방 스테이션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에서 헬리테크와 소방 스테이션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에서 헬리테크와 소방 스테이션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에서 헬리테크와 소방 스테이션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이하, '선박'이라 함)은, 헬리콥터가 이착륙할 수 있도록 헬리데크가 구비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헬리데크 상부 및 소방 스테이션으로의 접근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헬리데크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적용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헬리콥터가 이착륙할 수 있는 헬리데크(100)를 구비하며, 이러한 헬리데크(100)는 복수의 서포트 프레임(11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헬리데크(100)의 주변 영역에는 헬리데크(100)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복수의 소방 스테이션(120)이 설치된다. 소방 스테이션(120)에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소화수를 분사하기 위한 소방 호스 등이 구비된다. 또한, 소방 스테이션(120)에는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소화수가 분사되는 자동 소화수 분사장치가 더 구비 가능하다. 부연하자면, 헬리데크(100)에는 화재시 발생하는 연소 가스를 감지하는 복수의 가스 센서(미도시)가 설치되며, 가스 센서가 화재시 발생하는 연소 가스를 감지하면 전술한 자동 소화수 분사장치는 소화수를 자동으로 분사하게 된다. 이러한 소방 스테이션(120)은 별도의 스테어웨이(stairway)를 통해 헬리데크(100)의 상부와 연결된다.
또한, 헬리데크(100)에는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는 복수의 연기 감지 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또한 화재 발생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는 복수의 열 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선박의 탑 데크(130)에서 헬리데크(100)의 선수 방향에 위치하는 소방 스테이션(120)으로 이동하기 위한 워크 웨이(140)가 설치된다. 이러한 워크 웨이(140)는 헬리데크(100)의 하부에 고정된 'U'자 형상의 앵글에 의해 하측이 지지된 상태로 설치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방 스테이션(120)은 헬리데크(100)의 선수 방향보다 헬리데크(100)의 선미 방향에 더 많은 개수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소방 스테이션(120)은, 헬리데크(100)의 선수 방향에 1개가 설치되고 헬리데크(100)의 선미 방향에 2개가 설치된다. 참고로, 소방 스테이션(120)의 적절한 설치 개수를 3개로 설명하는 조선 관련 규정 등이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헬리데크(100)의 하측에는, 선박의 탑 데크(130)로부터 진입 가능하도록 헬리데크(100)의 선수측과 선미측을 연결하는 접근 경로, 즉 헬리데크(100)의 선수측과 선미측에 설치된 소방 스테이션(120)을 연결하도록 접근 경로를 형성하는 하나의 워크 웨이(14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는, 헬리데크(100)의 선수 방향에 1개의 소방 스테이션(120)이 설치되고, 헬리데크(100)의 선미 방향에 2개의 소방 스테이션(120)이 설치되므로, 선박의 탑 데크(130)에서 헬리데크(100)의 선수 방향에 위치하는 1개의 소방 스테이션(120)을 연결하는 1개의 워크 웨이(140)가 구비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종래 헬리데크(100)의 선수 방향에 2개의 소방 스테이션이 설치되고, 선미 방향에 1개의 소방 스테이션(120)이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헬리데크(100)로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작업자가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헬리데크(100) 상부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갖게 된다.
부연하자면, 헬리콥터의 추락 등으로 인한 헬리데크(100)의 화재 발생시, 작업자는 선박의 탑 데크(130)로부터 스테어웨이를 통해 선미 측에 위치하는 2개의 소방 스테이션(120)으로 초기에 신속하게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작업자는 워크 웨이(140)를 통해 헬리데크(100)의 선수 측에 위치하는 나머지 소방 스테이션(120)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헬리콥터의 추락 시 헬리데크(100)에 가해지는 상당한 충격에 의해 헬리데크(100) 하측의 워크 웨이(140) 또한 형상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워크 웨이(140)를 통해 헬리데크(100) 선수 측의 소방 스테이션(120)으로 이동하는 것이 불가하게 된다.
정리하자면, 본 실시예는, 헬리데크(100)의 화재 발생 및 워크 웨이(140)의 형상 변형에 의해 작업자가 워크 웨이(140)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도, 작업자가 헬리데크(100)의 선미 측에 위치한 2군데의 소방 스테이션(120)으로 신속하게 이동 가능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소방 스테이션(120)은 헬리데크(100)의 선수 방향에 1개가 설치되고 헬리데크(100)의 선미 방향에 2개가 설치되므로, 화재 발생시 헬리데크(100) 및 선미 방향의 소방 스테이션(120)에 작업 중인 작업자는 스테어웨이를 통해 신속하게 탈출 가능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반대로 헬리데크(100)의 선수 방향에 2개의 소방 스테이션이 설치되므로, 본 실시예에 비해 작업자의 탈출 과정 및 탈출 인원에 있어서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를 갖게 된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헬리데크(100) 및 소방 스테이션(120)으로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접근 가능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뿐만 아니라, 종래보다 워크 웨이(140)의 설치 개수를 하나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1개로 감소시켜 전체 워크 웨이(140)의 중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체 선박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선박의 중량 감소에 따른 선박 항해 속도 증가 및 유류 비용 절감 등의 효과가 추가적으로 발생 가능하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헬리데크 110: 서포트 프레임
120: 소방 스테이션 130: 탑 데크
140: 워크 웨이

Claims (5)

  1. 헬리콥터가 이착륙할 수 있는 헬리데크가 선수 영역에 구비된 선박으로서,
    상기 선박에는 상기 헬리데크에서 발생한 화재를 소화하도록 상기 헬리데크의 주변에는 복수의 소방 스테이션이 설치되되, 상기 소방 스테이션은, 상기 헬리데크의 선수 방향보다 상기 헬리데크의 선미 방향에 더 많은 개수로 설치되는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 스테이션은, 상기 헬리데크의 선수 방향에 1개가 설치되고 상기 헬리데크의 선미 방향에 2개가 설치되는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헬리데크의 하측에는, 상기 선박의 탑 데크로부터 진입 가능하도록 상기 헬리데크의 선수측과 선미측을 연결하는 하나의 워크 웨이가 구비되는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 스테이션에는 수동으로 소화수를 분사하기 위한 소방 호스가 구비되는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리데크에는 화재시 발생하는 연소 가스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가스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소방 스테이션에는 상기 가스 센서의 연소 가스 감지에 따라 자동으로 소화수를 분사하는 자동 소화수 분사장치가 구비되는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
KR1020110113521A 2011-11-02 2011-11-02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 KR20130048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521A KR20130048590A (ko) 2011-11-02 2011-11-02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521A KR20130048590A (ko) 2011-11-02 2011-11-02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590A true KR20130048590A (ko) 2013-05-10

Family

ID=48659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521A KR20130048590A (ko) 2011-11-02 2011-11-02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859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784B1 (ko) * 2013-09-13 2014-12-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의 소방장치
KR101540384B1 (ko) * 2013-09-13 2015-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소방장치를 구비한 헬리데크
KR101540387B1 (ko) * 2013-09-13 2015-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재 대피소를 구비한 헬리데크
KR20150140171A (ko) * 2014-06-05 2015-12-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헬리데크 폼 시스템 및 제공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20160001157A (ko) * 2014-06-26 2016-01-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 열변형 방지용 쿨링장치
KR20160066708A (ko) 2014-12-03 2016-06-13 세보테크 주식회사 화재 안전 강화용 알루미늄 헬리데크
CN108678475A (zh) * 2018-07-12 2018-10-19 广州光强障碍灯航空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直升机坪的避雨走道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2010.03.10. 공개) 1부. *
인터넷(2010.03.10.) *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784B1 (ko) * 2013-09-13 2014-12-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의 소방장치
KR101540384B1 (ko) * 2013-09-13 2015-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소방장치를 구비한 헬리데크
KR101540387B1 (ko) * 2013-09-13 2015-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재 대피소를 구비한 헬리데크
KR20150140171A (ko) * 2014-06-05 2015-12-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헬리데크 폼 시스템 및 제공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20160001157A (ko) * 2014-06-26 2016-01-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 열변형 방지용 쿨링장치
KR20160066708A (ko) 2014-12-03 2016-06-13 세보테크 주식회사 화재 안전 강화용 알루미늄 헬리데크
CN108678475A (zh) * 2018-07-12 2018-10-19 广州光强障碍灯航空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直升机坪的避雨走道
CN108678475B (zh) * 2018-07-12 2023-08-25 送飞实业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直升机坪的避雨走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8590A (ko)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
CN206087191U (zh) 一种用于船舶上甲板开孔区域的紧固式格栅盖
KR20140001952U (ko) 선박용 비상 탈출 구조
KR20130077568A (ko) 해양 구조물
KR20120137772A (ko) 선박의 연돌 구조물
JP6617380B2 (ja) 船舶の機関室構造
KR102576198B1 (ko) 갠트리크레인식 화재진압시스템 및 이를 가지는 선박
KR20150022229A (ko) 분리형 라싱브릿지
CN106114759A (zh) 一种带独立辅桅的双翼式雷达桅结构
KR102109170B1 (ko) Flng의 구명정 탑승용 구조물
CN209241277U (zh) 一种防冲刷保护装置
KR20140052165A (ko) 선박의 안벽 계류방법
KR20140015069A (ko) 컨테이너선의 메인 통로구조
KR101201353B1 (ko) 선박의 타워형 데크하우스용 브리지윙 지지대
JP2017140917A (ja) 係留構造体、及び、係留構造体における乗組員の保護方法
KR101762587B1 (ko) 비상탈출용 헬리데크
KR20110004639A (ko) 인화성 화물 운반선의 태양광발전장치
CN110182311A (zh) 邮轮总段舾装围护试验装置
CN205319630U (zh) 一种电缆桥架的保护结构
KR20140044126A (ko) 유조선의 화물창 내 횡격벽 지지구조
KR101010768B1 (ko) 선박 화물창의 사이드 통로 제작 방법 및 그 설치구조
CN107891948B (zh) 一种改进的提高船艇安全性的船艇
KR20140000316U (ko) 폼 저장탱크용 보호장치
KR20130012806A (ko) 벌크선의 그레인 피딩 홀을 이용한 발판치구
Jewitt Floating LNG Safe by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