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7568A - 해양 구조물 - Google Patents

해양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7568A
KR20130077568A KR1020110146348A KR20110146348A KR20130077568A KR 20130077568 A KR20130077568 A KR 20130077568A KR 1020110146348 A KR1020110146348 A KR 1020110146348A KR 20110146348 A KR20110146348 A KR 20110146348A KR 20130077568 A KR20130077568 A KR 20130077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on
firewall
proof
elastic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2036B1 (ko
Inventor
허영애
김승혁
이희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6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036B1/ko
Publication of KR20130077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68Panellings; Lin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Abstract

해양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은, 선체에 설치되는 탑사이드 모듈(Topside module)들 사이 공간에 마련되어 일측의 탑사이드 모듈에서 발생한 폭발 및 화재의 타측으로의 확산을 방지하는 방폭방화벽; 및 방폭방화벽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과 인접한 탑사이드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방폭방화벽의 전도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고 방폭방화벽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양 구조물{A marine structure}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폭발 및 화재 사고 발생 시 폭발 및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방폭방화벽이 설치되는 해양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항공기, 선박, 자동차 등의 운송 수단과 건축물은 폭발 및 화재 사고 시 초기에 적절한 대응과 진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인명 사상을 동반한 대형 참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선박과 같이 바다 위에 고립된 장소에서의 폭발 및 화재 사고는 초기에 적절한 대처가 수행되지 않으면 대형 참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이에 대한 충분한 예방책이 요구된다.
따라서 대양을 장기간 항해해야 하는 선박은, 폭발 및 화재 사고를 예방하거나 폭발 및 화재 사고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 예방 시스템을 필수적으로 갖추고 있다.
이러한 화재 예방 시스템은 능동적 방화 보호와 수동적 방화 보호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능동적 방화 보호는 화재를 감지하고 화재를 진압하는 시스템을 의미하고, 수동적 방화 보호는 벽체나 바닥 등의 구조물에 방화 재료를 도포하여 구조물이 화재에 의해 변형되거나 붕괴되는 것을 막거나 어떤 부분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그 인접 부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폭방화벽을 설치하는 것 등을 의미한다.
여기서 방폭방화벽은 폭발 및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목적인 바 일정 압력과 열에 견디도록 설계되어 설치된다. 통상적인 방폭방화벽은 고정식 형태로 시공되고, 콘크리트나 석고보드 등과 같은 내화재가 널리 사용되나 특별한 경우에 금속판, 암면, 석면포 등과 같은 내화재료를 결합 가공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폭방화벽은 선주의 요구 및 관련 규정의 요구가 있을 시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특히 원유 및 LNG(liquefied natural gas) 등의 인화성 물질을 다루는 해양 구조물에 있어서는 매우 중요한 구조물이다.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FLNG,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부유식 생산저장설비(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와 같은 거대한 해양 구조물은, 방대한 양의 천연가스 및 원유를 생산, 저장, 선적하게 되므로 화재 발생 시 연쇄적인 폭발을 일으킬 수 있어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사고 확산 방지를 위하여 방폭방화벽의 설치가 거의 필수적이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FLNG, FPSO와 같은 해양 구조물에 있어서, 원유나 가스 등과 같은 인화성 물질의 저장공간을 구획 짓는 방폭방화벽은, 하단부의 모서리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방폭방화벽의 전면 및 후면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횡방향 압력에는 취약한 구조로 폭발 및 화재 발생 시 방폭방화벽이 전도될 우려가 있으며 만약 방폭방화벽이 전도되는 경우 바로 인접해 있는 상부구조물(Topside)의 주요 구조부재 및 장비들에 2차 손상을 유발시킬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고, 방폭방화벽이 인접 상부구조물과 맞닿아 있는 경우에는 그 자체의 전도 위험은 낮지만 폭발 충격(blast impact)이 그대로 인접 상부구조물에 전달되어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폭발 및 화재 사고 발생 시 방폭방화벽에 대해 횡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방폭방화벽의 전도를 방지하여 폭발 및 화재 사고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폭방화벽을 구비한 해양 구조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방폭방화벽은 가장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지역에 한해 제한적으로 그리고 일반적으로 고정식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이동이 용이하지 않아 해양 구조물 내의 상황 변화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방폭방화벽의 전도를 방지하여 폭발 및 화재 사고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해양 구조물의 개발 시에 이에 대한 고려도 요구되고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11-0033604호(한국수력원자력주식회사) 2008.04.07.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방폭방화벽의 전도 저항성을 향상시키고 방폭방화벽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해양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에 설치되는 탑사이드 모듈(Topside module)들 사이 공간에 마련되어 일측의 탑사이드 모듈에서 발생한 폭발 및 화재의 타측으로의 확산을 방지하는 방폭방화벽; 및 상기 방폭방화벽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과 인접한 상기 탑사이드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방폭방화벽의 전도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방폭방화벽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을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은, 양단부가 상기 방폭방화벽의 상단부와 상기 탑사이드 모듈의 상단부에 접촉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폭방화벽의 상단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가 수용되는 제1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방폭방화벽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탑사이드 모듈의 상단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가 수용되는 제2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탑사이드 모듈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은, 상기 탑사이드 모듈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결합부; 상기 상부 프레임 결합부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방폭방화벽에 고정 결합되는 방폭방화벽 고정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 결합부는 상기 탑사이드 모듈의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상기 탑사이드 모듈에 대하여 상대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 결합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방폭방화벽 고정결합부는, 상기 방폭방화벽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상부 프레임 결합부를 향해 돌출 마련되되 상기 방폭방화벽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방폭방화벽의 하단부와 상기 선체에 마련되어 상기 탑사이드 모듈들 사이 공간에서 상기 방폭방화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방폭방화벽의 이동을 허용하는 방폭방화벽이동허용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폭방화벽이동허용유닛은, 상기 방폭방화벽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이동휠; 및 상기 선체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휠의 이동을 지지하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폭방화벽은, 상기 방화벽체; 및 상기 방화벽체의 적어도 일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방화벽체를 보강하는 격자 구조의 스티프너(sfiffen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티프너(sfiffener)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지지체; 및 상기 복수의 가로지지체에 결합되며, 상호 이격되어 세로로 배치되는 복수의 세로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로지지체의 하단부 및 상기 방화벽체의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는 상기 방화벽체의 지지를 보강하기 위한 지지보강날개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방폭방화벽의 전도 저항성을 향상시키고 방폭방화벽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방폭방화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방폭방화벽의 이동을 허용하는 방폭방화벽이동허용유닛을 구비함으로써 해양 구조물 내의 상황 변화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해양 구조물에서 탑사이드 모듈들 사이에 방폭방화벽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방폭방화벽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방폭방화벽의 도 4와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B' 영역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방폭방화벽이동허용유닛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의 단면 구조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해양 구조물에서 탑사이드 모듈들 사이에 방폭방화벽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A' 영역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방폭방화벽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방폭방화벽의 도 4와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B' 영역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2의 방폭방화벽이동허용유닛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1)은,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FLNG,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부유식 생산저장설비(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부유식 원유 저장 설비(FSU : Floating Storage Unit) 및 석유 시추선(Drill ship) 등 어떠한 것이 될 수 있으며, 상선, 군함, 어선, 운반선, 여객선 및 특수 작업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1)은 해상 또는 해저에 설치되는 구조물을 통칭하며, 수심에 따라 분류되는 고정식, 반잠수식, 부유식 해양 구조물을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해양 구조물(1)은 주로 석유 및 천연가스 등의 에너지원의 탐사와 채취에 이용될 수 있으며, 기타 레저, 항만 및 환경 시설 등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1)은, 선체(2)와, 선체(2)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구조물(3, Topside)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상부구조물(3)은 단위 블록을 형성하는 복수의 탑사이드 모듈(4, Topside module)들을 포함한다.
선체(2)는 상부구조물(3, Topside)을 지지한다. 이러한 선체(2)에는 선체(2)를 추진하기 위한 추진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상부구조물(3)은 해양 구조물(1)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이러한 상부구조물(3)은 일반적으로 작업 공간 및 거주구 공간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FLNG,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나 부유식 생산저장설비(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와 같은 해양 구조물(1)은 천연가스나 석유를 생산, 저장, 선적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데, 이러한 해양 구조물(1)의 상부구조물(3)은 그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필요한 구조물이나 작업 공간 그리고 장기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성원들의 주거 공간, 통신 및 기타 편의 시설 등을 제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1)은, 선체(2)에 설치되는 탑사이드 모듈(4, Topside module)들 사이 공간에 마련되어 일측의 탑사이드 모듈(4)에서 발생한 폭발 및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방폭방화벽(10)과, 방폭방화벽(10)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과 탑사이드 모듈(4) 사이에 배치되어 방폭방화벽(1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방폭방화벽(10)의 전도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100)과, 방폭방화벽(10)의 하단부와 선체에 마련되어 탑사이드 모듈(4)들 사이 공간에서 방폭방화벽(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방폭방화벽(10)의 이동을 허용하는 방폭방화벽이동허용유닛(400)을 더 포함한다.
방폭방화벽(10)은, 석유 및 천연가스의 저장탱크 및 기타 부대설비 등이 배치되는 탑사이드 모듈(4)들을 블럭 단위로 구획하여 폭발 및 화재 발생 시 폭발 및 화재의 인접 부근으로의 확산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방폭방화벽(10)은, 도 4 및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벽체(11)과, 방화벽체(11)의 적어도 일 측면에 결합되어 방화벽체(11)을 지지 보강하는 스티프너(12, sfiffener)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스티프너(12, sfiffener)가 방화벽체(11)의 일 측면에 결합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폭발이 어느 방향으로 저항 가능하도록 방화벽체(11)의 양 측면에 스티프너(12, sfiffener)가 결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며, 이 경우에는 일 측면의 스티프너(12, sfiffener)가 타 측면의 스티프너(12, sfiffener)와 상호 엇갈리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방화벽체(11)은, 폭발 또는 화재가 인접지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분으로서 강화 콘크리트 또는 금속 재질의 복합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으며, 탑사이드 모듈(4)에 방화벽체(11)의 전면 및 후면이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방화벽체(11)의 표면에는 내화성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100)이 방폭방화벽(10)과 탑사이드 모듈(4) 사이에 배치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 방폭방화벽(10)의 방화벽체(11)에는 본 실시예의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100)인 탄성부재(100)의 일단부가 수용되는 제1 수용홈(110)이 형성된다.
한편 방화벽체(11)의 일면에는 방화벽체(11)을 지지하고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스티프너(12, sfiffener)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티프너(12, sfiffener)는, 상호 이격되어 가로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지지체(12a)와, 복수의 가로지지체(12a)와 결합되며, 상호 이격되어 세로로 배치되는 복수의 세로지지체(12b)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가로지지체(12a)는 'ㄴ'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스티프너(12, sfiffener)는, 복수의 가로지지체(12a)와 복수의 세로지지체(12b)가 격자 구조를 형성하고, 방화벽체(11)를 지지하면서 방화벽체(11)의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세로지지체(12b) 중 일부의 세로지지체(12b)에도 본 실시예의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100)의 일단부가 수용되는 제1 수용홈(110)이 형성되어, 탄성부재(100)가 방폭방화벽(10)과 탑사이드 모듈(4) 사이에 배치될 때 탄성부재(100)의 일단부가 제1 수용홈(110)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기립된 상태에 있는 방화벽체(11)에서 방화벽체(11)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방화벽체(11)의 하단부에 응력이 집중되므로 방화벽체(11)의 하단부 지지를 보강하기 위하여 세로지지체(12b)의 하단부 및 방화벽체(11)의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는 지지보강날개(13)가 마련된다.
이러한 지지보강날개(13)는 방화벽체(11)의 하단부 지지를 보강함으로써 방화벽체(11)의 하단부에 집중되는 응력을 흡수하여 방폭방화벽(10)이 보다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보강날개(13) 대신 혹은 추가로 충격흡수유닛(미도시)을 방화벽체(11)의 하단부에 마련하여 방화벽체(11)의 하단부에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보강날개(13)는 세로지지체(12b)의 하단부 및 방화벽체(11)의 하단부에 결합되되 단면 형상이 직각 삼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보강날개(13)는 방폭방화벽(10)의 전면 또는 후면 하단부에 일정 각도로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체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방폭방화벽(10)은 방폭방화벽(10)의 전면 및 후면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횡방향 압력에 취약한 구조로 폭발 및 화재 발생 시 방폭방화벽(10)이 전도될 우려가 있으며, 방폭방화벽(10)이 전도되는 경우 바로 인접해 있는 상부구조물(3, Topside)의 주요 구조부재 및 장비들에 2차 손상을 유발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1)에서는, 폭발 및 화재 발생 시 가해지는 충격이나 압력 등에 대향하는 방폭방화벽(10)의 전도 저항성을 향상시키고 방폭방화벽(1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100)이 방폭방화벽(10)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과 인접한 탑사이드 모듈(4)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100)은 양단부가 방폭방화벽(10)의 상단부와 탑사이드 모듈(4)의 상단부에 접촉 배치되는 탄성부재(100)이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100)은 방폭방화벽(10)의 양 측면과 방폭방화벽(10)에 대향되는 각 탑사이드 모듈(4)의 상단부(4a)의 측면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가 배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탄성부재(100)는 인화성 물질의 폭발 시 충격과 고열에 대비해 방폭방화벽(1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열 강화 금속 재질의 용수철로 마련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황에 따라 탄성부재(100)는 고무나 우레탄 등의 탄성체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폭방화벽(10)의 상단부(4a)에는 탄성부재(100)의 일단부가 수용되는 제1 수용홈(110)이 형성되고, 탑사이드 모듈(4)의 상단부에는 탄성부재(100)의 타단부가 수용되는 제2 수용홈(120)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수용홈(110)과 제2 수용홈(120)은 하중 전달 경로를 감안하여 동일 수평선상에서 각각 방폭방화벽(10)의 상단부와 탑사이드 모듈(4)의 상단부(4a)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100)은 방폭방화벽(10)의 상단부와 탑사이드 모듈(4)의 상단부(4a) 사이에 배치되되 그 일단부는 제1 수용홈(110)에, 그 타단부는 제2 수용홈(120)에 수용된 상태가 되어, 방폭방화벽(1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방폭방화벽(10)의 전도를 방지시키고 방폭방화벽(1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수용홈(110)에 수용되는 탄성부재(100)의 일단부는 방폭방화벽(10)에 고정 결합되고 제2 수용홈(120)에 수용되는 탄성부재(100)의 타단부는 방폭방화벽(10)의 이동을 고려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부재(100)의 일단부도 방폭방화벽(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을 것이고, 또한 방폭방화벽(10)의 이동 시에는 고정 결합을 제거하면 되므로 우선적으로는 탄성부재(100)의 타단부를 방폭방화벽(10)에 고정 결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1 수용홈(110)은 원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제2 수용홈(120)은 방폭방화벽(10)의 이동을 고려하여 그루브 형상을 가지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수용홈(110)도 그루브 형상을 할 수도 있고 제2 수용홈(120)도 원형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100)이 전도 저항성을 높이기 위하여 방폭방화벽(10)의 상단부와 탑사이드 모듈(4)의 상단부(4a)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방폭방화벽(10)의 하단부와 탑사이드 모듈(4)의 하단부(4a)에도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방폭방화벽은 가장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지역에 한해 제한적으로 그리고 일반적으로 고정식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이동이 용이하지 않아 해양 구조물 내의 상황 변화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에서는, 탑사이드 모듈(4)들 사이 공간에서 방폭방화벽(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방폭방화벽(10)의 이동을 허용하는 방폭방화벽이동허용유닛(400)이 방폭방화벽(10)의 하단부와 선체에 마련됨으로써 유사 시 방폭방화벽(10)의 이동성을 부여하여 해양 구조물 내의 상황 변화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방폭방화벽이동허용유닛(400)은,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방폭방화벽(10)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이동휠(410)과, 선체(2)에 마련되어 이동휠(410)의 이동을 지지하는 레일(420)을 포함한다.
이동휠(410)은 방폭방화벽(1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레일(420)에 인입된다. 그리고 레일(420)은 방폭방화벽(10)이 설치되는 탑사이드 모듈(4)들 사이의 통로를 따라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이동휠(410)의 이동을 가이드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레일(420)이 선체(2)의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마련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선체(2)에 별도의 레일 장치가 결합되어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방폭방화벽(10)은 방화벽체(11)에 비하여 세로지지체(12b)의 폭이 넓도록 마련되어 있어 이동휠(410)은 세로지지체(12b)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방화벽체(11)의 두께는 본 실시예에서와 달리 두껍게 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이동휠(410)은 방화벽체(11)의 하면에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동휠(410)이 방폭방화벽(10)에 돌출되어 마련되고 레일(420)이 선체(2)에 함몰 형성되게 마련되는 본 실시 예와 달리, 레일이 방폭방화벽(10)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되어 마련되고 이러한 레일에 대응되는 이동휠은 선체(2)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100)이 방폭방화벽(10)의 제1 수용홈(110)에 고정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방폭방화벽(10)이 탑사이드 모듈(4) 사이 공간에서 방폭방화벽(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2 수용홈(120)을 따라 방폭방화벽(10)과 함께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100)도 이동된다. 따라서 유사 시 방폭방화벽(10)을 이동시키기 위해 별도로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200)의 해체 작업이 필요 없다.
다만 본 실시 예에 달리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100)의 일단부가 제2 수용홈(120)에 수용되어 탑사이드 모듈(4)의 상단부(4a)에 고정결합되는 경우라면 방폭방화벽(10)을 이동시킬 때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100)의 일단부와 탑사이드 모듈(4)의 상단부(4a)의 고정 결합을 해제시켜야 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의 단면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200)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2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사이드 모듈(4)의 상단부(4a)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결합부(250)와, 상부 프레임 결합부(250)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탄성부재(230)와, 탄성부재(230)의 타단부가 결합되며 방폭방화벽(10)에 고정 결합되는 방폭방화벽 고정결합부(240)를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 결합부(250)는, 탑사이드 모듈(4)의 상단부(4a)에 형성된 결합홈(220)에 탑사이드 모듈(4)에 대하여 상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결합홈(220)은 탑사이드 모듈(4)의 상단부(4a)의 측면을 따라 탑사이드 모듈(4)의 상단부(4a) 표면에 대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마련되어 상부 프레임 결합부(250)의 이동을 가이드 한다.
탄성부재(230)는 상부 프레임 결합부(250)와 방폭방화벽 고정결합부(240) 사이에 배치되되 양단부가 각각 상부 프레임 결합부(250) 및 방폭방화벽 고정결합부(240)에 결합된다.
그리고 방폭방화벽 고정결합부(240)는, 방폭방화벽(10)의 외면으로부터 상부 프레임 결합부(250)를 향해 돌출 마련되되 방폭방화벽(10)에 볼트(241, bolt)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즉 방폭방화벽 고정결합부(240)는 방폭방화벽(10)의 상단부 외면에 고정 결합되며, 이때 방폭방화벽 고정결합부(240)와 방폭방화벽(10) 외면 사이에 와셔(washer, 미도시) 또는 조인트 패드(joint pad)를 삽입하여 결합의 강도를 높일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 예에서도, 유사 시 방폭방화벽(10)을 탑사이드 모듈(4)들 사이 공간을 따라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200)을 방폭방화벽(10)에서 해체하지 않더라도 방폭방화벽(10)의 이동에 따라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100)도 함께 이동 가능하다. 즉 방폭방화벽(10)의 이동에 따라 상부 프레임 결합부(250)는 탑사이드 모듈(4) 상단부(4a)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220)을 따라 방폭방화벽(10)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의 단면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200)의 구성에 있어서 일부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300)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 결합부(350)에 탄성부재(330)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상부 프레임 결합부(350)는 탄성부재(130)를 수용하는데 이와 같이 상부 프레임 결합부(350)의 내측에 탄성부재(330)가 수용됨으로써 탄성부재(3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폭발 및 화재 시 고열로 탄성부재(330)의 변형을 최대한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방폭방화벽 고정결합부(240)는 형상부 프레임 결합부(350)의 수용 공간에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탄성부재(300)의 이탈을 최대한 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해양 구조물 2 : 선체
3 : 상부구조물 4 : 탑사이드 모듈
10 : 방폭방화벽 11 : 방화벽체
12 : 스티프너(sfiffener) 100,200,300 :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
110 : 제1 수용홈 120 : 제2 수용홈
240, 340 : 방폭방화벽 고정결합부 150, 250 : 상부 프레임 결합부
400 : 방폭방화벽이동허용유닛 410 : 이동휠
420 : 레일

Claims (13)

  1. 선체에 설치되는 탑사이드 모듈(Topside module)들 사이 공간에 마련되어 일측의 탑사이드 모듈에서 발생한 폭발 및 화재의 타측으로의 확산을 방지하는 방폭방화벽; 및
    상기 방폭방화벽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과 인접한 상기 탑사이드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방폭방화벽의 전도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방폭방화벽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을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은,
    양단부가 상기 방폭방화벽의 상단부와 상기 탑사이드 모듈의 상단부에 접촉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방화벽의 상단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가 수용되는 제1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방폭방화벽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탑사이드 모듈의 상단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가 수용되는 제2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탑사이드 모듈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저항충격흡수유닛은,
    상기 탑사이드 모듈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결합부;
    상기 상부 프레임 결합부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방폭방화벽에 고정 결합되는 방폭방화벽 고정결합부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 결합부는 상기 탑사이드 모듈의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상기 탑사이드 모듈에 대하여 상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 결합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방화벽 고정결합부는, 상기 방폭방화벽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상부 프레임 결합부를 향해 돌출 마련되되 상기 방폭방화벽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방화벽의 하단부와 상기 선체에 마련되어 상기 탑사이드 모듈들 사이 공간에서 상기 방폭방화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방폭방화벽의 이동을 허용하는 방폭방화벽이동허용유닛을 더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방화벽이동허용유닛은,
    상기 방폭방화벽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이동휠; 및
    상기 선체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휠의 이동을 지지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방화벽은,
    상기 방화벽체; 및
    상기 방화벽체의 적어도 일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방화벽체를 보강하는 격자 구조의 스티프너(sfiffener)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프너(sfiffener)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지지체; 및
    상기 복수의 가로지지체에 결합되며, 상호 이격되어 세로로 배치되는 복수의 세로지지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지지체의 하단부 및 상기 방화벽체의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는 상기 방화벽체의 지지를 보강하기 위한 지지보강날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
KR1020110146348A 2011-12-29 2011-12-29 해양 구조물 KR101302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348A KR101302036B1 (ko) 2011-12-29 2011-12-29 해양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348A KR101302036B1 (ko) 2011-12-29 2011-12-29 해양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568A true KR20130077568A (ko) 2013-07-09
KR101302036B1 KR101302036B1 (ko) 2013-09-04

Family

ID=48990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348A KR101302036B1 (ko) 2011-12-29 2011-12-29 해양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0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742U (ko) * 2013-08-13 2015-02-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lng 생산 저장 하역 설비의 라이프보트 탑재장치
KR101644161B1 (ko) * 2015-03-26 2016-07-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래스트월
KR102296984B1 (ko) * 2021-06-15 2021-08-31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변형계측기를 활용하는 방폭벽 성능 증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488B1 (ko) * 2015-03-25 2017-02-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래스트월
KR101690761B1 (ko) * 2015-03-26 2016-12-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래스트월
KR101774880B1 (ko) 2015-05-28 2017-09-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방폭 구조물의 출입문 시스템
KR101732606B1 (ko) * 2015-05-28 2017-05-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방폭 구조물
KR101722440B1 (ko) * 2015-06-16 2017-04-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방폭 구조물
KR101644322B1 (ko) * 2015-06-30 2016-08-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방폭 구조물
KR101702476B1 (ko) * 2015-07-02 2017-0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방폭 구조물
KR101732603B1 (ko) 2015-08-18 2017-05-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방화 구조물
KR200493427Y1 (ko) 2016-10-26 2021-03-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의 방폭벽용 면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2266A (ja) * 2004-03-30 2005-10-13 Ohbayashi Corp 衝撃吸収構造体および衝撃吸収方法
KR101069652B1 (ko) * 2009-07-30 2011-10-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방화 장치
GB201005579D0 (en) * 2010-04-01 2010-05-19 Morgan Crucible Co Fire protected structures and components for fire protection
JP2011219051A (ja) * 2010-04-14 2011-11-04 Mitsubishi Heavy Ind Ltd 浮体式液化天然ガス生産貯蔵積出設備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742U (ko) * 2013-08-13 2015-02-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lng 생산 저장 하역 설비의 라이프보트 탑재장치
KR101644161B1 (ko) * 2015-03-26 2016-07-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래스트월
KR102296984B1 (ko) * 2021-06-15 2021-08-31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변형계측기를 활용하는 방폭벽 성능 증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2036B1 (ko) 201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2036B1 (ko) 해양 구조물
US3064612A (en) Carrier constructions for bulk fluids
KR20000053202A (ko) 복합 강철 구조 플라스틱 샌드위치 플레이트 시스템
Moan et al. Assessment of ship impact risk to offshore structures-New NORSOK N-003 guidelines
US5379711A (en) Retrofittable monolithic box beam composite hull system
US10994808B2 (en) Vessel cargo hold having void space
CN113879457A (zh) 一种船舶舷侧的横向弧形舱壁抗爆防护结构
KR102018672B1 (ko) 해양 구조물의 배리어
KR20140025696A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EP2089267B1 (en) Upper structure of cargo tank in lngc
Samuelides et al. Simulation of the behaviour of double bottoms subjected to grounding actions
KR101122275B1 (ko) 격리밸브 보호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선박용 소화시스템
RU156729U1 (ru) Противокатерное боновое заграждение
Čekerevac et al. 17.06: Characterization of accidental scenarios for offshore structures
EP2636588A1 (en) Drilling ship for a polar region
KR101337631B1 (ko) 단열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CN109914370B (zh) 一种深水半潜式支持平台的抗撞防护装置
CN210288085U (zh) 一种栈桥基座抗撞结构
KR101739457B1 (ko) 화물 탱크용 격벽
JP4566289B2 (ja) スチール構造とプラスチックの複合サンドイッチプレートシステム
KR102051647B1 (ko) Fpso 호스 비상 릴리스에 대비한 위험방지기구
CN103350745B (zh) 船舶舷侧复合夹层板结构及施工方法
Jewitt Floating LNG Safe by Design
KR101422469B1 (ko) 해양구조물용 완충장치
KR200479289Y1 (ko) 베어링 부재 보호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