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784B1 - 헬리데크의 소방장치 - Google Patents

헬리데크의 소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784B1
KR101476784B1 KR20130110341A KR20130110341A KR101476784B1 KR 101476784 B1 KR101476784 B1 KR 101476784B1 KR 20130110341 A KR20130110341 A KR 20130110341A KR 20130110341 A KR20130110341 A KR 20130110341A KR 101476784 B1 KR101476784 B1 KR 101476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afety net
pancake
fighting
heli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0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환삼
박주신
정낙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신양금속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엔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신양금속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엔케이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0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3/00Landing stages for helicopters, e.g. located above build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리데크의 소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헬리데크의 이착륙면을 구성하는 팬케익부의 둘레에 설치되는 안전 네트; 상기 안전 네트를 상기 팬케익부에 대하여 회동시키는 회동부; 및 상기 안전 네트에 제공되고, 상기 팬케익부 상에 화재가 발생하면 소방 매체를 분사하는 소화부를 포함하는 헬리데크의 소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헬리데크의 소방장치{FIRE FIGHTING DEVICE FOR HELIDECK}
본 발명은 헬리데크의 소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릴쉽(Drill ship)이나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등과 같은 해양 구조물(Offshore plant) 또는 해상에서 오랜 시간을 체류해야 하는 선박들은 인원 이동을 위해서 헬리콥터(Helicopter)를 운용해야 하고, 이로 인해 선수 또는 선미에 헬리데크(Helideck)의 설치를 필요로 한다.
헬리데크는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데크 플로어(deck floor)를 형성하는 팬케익(pancake)부와 팬케익부를 지지하는 팬케익 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팬케익부는 헬리콥터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플랭크(plank)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팬케익 지지부는 팬케익부를 지지할 수 있는 H형 빔(beam)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케익부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알루미늄 소재의 플랭크가 다수 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팬케익 지지부는 플랭크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플랭크의 하측에 배치되어 팬케익부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알루미늄 H빔과, 알루미늄 H빔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알루미늄 H빔의 하측에 배치되어 알루미늄 H빔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스틸 H빔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헬리콥터는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이착륙 시 조종사의 의도와는 다르게 불의의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헬리콥터가 파도가 치는 해상 조건하에서 운용되는 헬리데크에 이착륙하는 경우에는 사고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
헬리콥터가 헬리데크에 이착륙할 때 사고가 발생되면 헬리콥터 또는 헬리콥터에서 유출된 기름에 의해 헬리데크에 화재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종사의 안전을 확보하고, 폭발이 발생하거나 불이 부유식 구조물 또는 선박으로 옮겨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최대한 신속하게 화재가 진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팬케익부에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스프링클러(sprinkler)가 다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클러는 팬케익부의 상부면, 즉 이착륙면을 다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한 후 각각의 구역에 적절한 개수가 배치되는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비말(청수, 해수, 포말 등)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노즐은 비말의 원활한 분사를 위해 팬케익부의 상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헬리데크 상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관제탑 또는 헬리데크 주변의 착륙 관리자의 신호 또는 조작에 의해 다수 개의 스프링클러는 노즐을 통해 동시에 비말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스프링클러의 노즐은 팬케익부의 상면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헬리콥터의 착륙 시 헬리콥터의 바퀴 또는 스키드(skid)와 충돌할 수 있다. 헬리콥터의 착륙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량은 수십톤 이상이므로 스프링클러가 헬리콥터의 바퀴 또는 스키드와 직접 충돌하는 경우, 그 충격에 의해 파손되거나 고장을 일으킬 위험이 매우 크다.
이에 의해 일부 스프링클러가 파손되거나 고장이 난 경우, 해당 스프링클러가 담당하는 영역에 화재 발생 시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없기 때문에 안전상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한국특허공보 제10-1217753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헬리콥터와 충돌하여 파손될 염려가 없는 헬리데크의 소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헬리데크의 이착륙면을 구성하는 팬케익부의 둘레에 설치되는 안전 네트; 상기 안전 네트를 상기 팬케익부에 대하여 회동시키는 회동부; 및 상기 안전 네트에 제공되고, 상기 팬케익부 상에 화재가 발생하면 소방 매체를 분사하는 소화부를 포함하는 헬리데크의 소방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케익부 상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안전 네트가 상방으로 회전되고, 상기 소방 매체는 상기 안전 네트가 상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분사되는 헬리데크의 소방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부는, 상기 안전 네트의 테두리에 제공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에 연결되고, 상기 분사노즐에 상기 소방 매체를 공급하는 매니폴드; 및 상기 매니폴드에 연결되고, 상기 소방 매체가 통과하는 메인 파이프를 포함하는 헬리데크의 소방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방 매체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소화부로 상기 소방 매체를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메인 파이프와 상기 공급부를 연결하는 탄성재질의 공급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라인은 상기 안전 네트의 테두리에 형성된 고리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헬리데크의 소방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분사 각도가 변화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팬케익부 상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소방 매체는 상기 안전 네트가 상기 팬케익부에 대하여 누워 있는 상태에서 분사되고, 상기 소방 매체가 화재 지점에 도달하도록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 각도가 변화되는 헬리데크의 소방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방장치는 상기 헬리데크에 복수 개 제공되고, 상기 각 소방장치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헬리데크의 소방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장치는 헬리콥터가 착륙하는 팬케익부의 둘레에 설치되는 안전 네트에 제공되므로, 헬리콥터의 착륙에 의해 파손될 염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안전 네트가 회동하여 화재 구역에 물을 직접 분사할 수 있으므로, 화재를 보다 확실하게 진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장치가 설치된 헬리데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전 네트의 전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안전 네트의 후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안전 네트가 세워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안전 네트에 포함되는 소방장치의 배관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헬리데크의 제어부와 다른 각 부와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장치가 설치된 헬리데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장치가 설치된 헬리데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전 네트의 전면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안전 네트의 후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안전 네트가 세워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안전 네트에 포함되는 소방장치의 배관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헬리데크의 제어부와 다른 각 부와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1)의 소방장치(10)는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헬리데크(1)의 이착륙면을 구성하는 팬케익부(20)의 둘레에 설치되는 안전 네트(100)와, 안전 네트(100)를 팬케익부(20)에 대하여 회동시키는 회동부(130)와, 안전 네트(100)에 제공되고, 팬케익부(20) 상에 화재가 발생하면 소방 매체를 분사하는 소화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헬리데크(1)는 팬케익부(20)를 포함할 수 있고, 팬케익부(20)와 안전 네트(100)의 사이에는 팬케익부(20)의 상면에 물 등의 액체가 존재할 경우에 이러한 액체가 배출되는 배출 통로로서 작용하는 덕트(30)를 포함할 수 있다.
소방장치(10)는 팬케익부(20)의 각 모서리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소방장치(10)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0)가 더 제공될 수 있다.
팬케익부(20)는 상부면을 구성하는 플랭크(22), 플랭크(22)를 지지하는 알루미늄 H빔(24), 알루미늄 H빔(24)을 지지하는 스틸 H빔(28), 및 최외곽에 위치하는 알루미늄 H빔(24)과 안전 네트(100)를 체결하는 체결부재(2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26)는 최외곽의 알루미늄 H빔(24)의 하측 플랜지와 안전 네트(100)의 고정체(103)와 볼팅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부재(26)가 알루미늄 H빔(24)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체결부재(26)는 스틸 H빔(28)에 설치되어 스틸 H빔(28)과 안전 네트(100)를 체결할 수도 있다. 또한, 볼팅 체결이 아니더라도 팬케익부(20)와 안전 네트(100)를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방법이면 어느 것이든 채용 가능하다.
안전 네트(100)는 테두리를 이루고 그물망(106)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104) 및 수평프레임(102, 107)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프레임(102, 107) 중 도 2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을 상측 수평프레임(102)이라 하고, 하측에 설치되는 것을 하측 수평프레임(107)으로 정의하겠다.
안전 네트(100)의 하부 측에는 안전 네트(100)를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시키는 회동부(130)가 제공될 수 있다.
회동부(130)는 안전 네트(100)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장치(132), 두 수직프레임(104)의 하단 측에 고정되는 힌지프레임(136), 및 힌지프레임(136)을 관통하도록 제공되어 안전 네트(100)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힌지(13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장치(132)는 힌지프레임(136)과 축이 고정된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안전 네트(100)를 회동시킬 수 있다.
안전 네트(100)는 구동 장치(132)에 의해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네트(100)는 팬케익부(20)에 대하여 누워있는 위치와 세워지는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될 수 있으며, 상기 소정 각도는 90도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힌지프레임(136)은 팬케익부(20)의 체결부재(26)와 고정체(103)를 통해 체결될 수 있으며, 힌지프레임(136)과 고정체(103)는 힌지(134)를 통해 연결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안전 네트(100)는 고정체(103)를 기준으로 힌지(134)에 의해 가이드되어 회동될 수 있다.
한편, 상측 수평프레임(102)에는 불을 끄기 위한 소방 매체를 분사하는 소화부(11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측 수평프레임(102)에 소화부(110)가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소방부(110)는 안전네트(100)가 상방으로 회전 이동되었을 때, 안전네트(100)와 함께 팬케익부(20)의 내측 방향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소화부(110)는 상측 수평프레임(102)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112), 분사노즐(112)과 연결되는 매니폴드(111), 매니폴드(111)와 엘보우(113)를 통해 연결되는 메인 파이프(114), 및 고무 등의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공급라인(122)과 메인 파이프(114)를 연결하기 위해 메인 파이프(114)의 일측에 제공되는 연결소켓(11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화부(110)에서 분사되는 소방 매체가 물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분말 형상의 소화 분말을 분사하는 것도 가능하며, 물이 아닌 다른 소화용 액체를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헬리데크(1)의 내부에는 소화부(110)로 공급될 소방 매체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 탱크로부터 펌프(123)에 의해 소화부(110)로 소방 매체가 전달될 수 있다.
분사노즐(112)은 일반적인 물 분사를 위한 노즐일 수 있으며, 분사되는 물의 비거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물이 분사되는 출구의 직경이 변화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분사노즐(112)은 상측 수평프레임(102)에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팬케익부(20)의 상면에서 화재 발생시 해당 부분으로 소방 매체를 분사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매니폴드(111)는 메인 파이프(114)를 통해 공급되는 소방 매체가 각 분사노즐(112)로 분배되어 공급되도록 메인 파이프(114)와 각 분사노즐(112)을 연결할 수 있다.
메인 파이프(114)는 상측 수평프레임(102)에서 하측 수평프레임(107) 쪽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될 수 있고, 끝단부에 공급라인(122)이 연결되기 위한 연결소켓(116)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소방 매체 저장 탱크는 소방매체를 소화부(110)로 공급하는 공급부(120)와 연결될 수 있고, 공급부(120)는 소방 매체를 펌핑하여 이송하는 펌프(123) 및 소방 매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121)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120)는 저장 탱크와 연결되는 측의 타측에 공급라인(122)이 연결되기 위한 연결소켓(124)이 제공될 수 있다.
양 연결소켓(116, 124)에 연결되는 공급라인(122)은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서 형상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안전 네트(100)의 하측 수평프레임(107)의 중앙부에서 그물망(106) 측으로 돌출되듯이 제공되는 고리(108)를 통과하여 안전 네트(100)의 후면부에서 전면부로 넘어가도록 설치될 수 있다.
고리(108)를 넘어간 공급라인(122)은 각 힌지프레임(136)에 체결된 두 체결부재(26)의 사이로 통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공급라인(122)이 이와 같이 설치됨으로써, 안전 네트(100)가 회동하더라도 공급라인(122)에 의한 간섭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소방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서술하겠다.
안전 네트(100)는 헬리콥터가 착륙을 시도할 경우에 안전상 문제가 없도록 회동부(130)에 의해 팬케익부(20)에 대하여 누워있는 위치로 유지되거나 회동될 수 있다.
이때, 헬리콥터가 착륙하면서 화재가 발생될 경우에는 안전 네트(100)가 다시 세워지도록 회동되어 소화부(110)에서 소방 매체가 분사되면서 화재가 진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케익부(20)에 설치된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101)가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제어부(140)에 소정의 신호를 보낼 수 있고, 상기 소정의 신호를 받은 제어부(140)는 화재 발생 구역에서 가장 가까운 안전 네트(100)가 팬케익부(20)에 대하여 누워 있는 상태라면 회동부(130)에 구동 신호를 보내서 팬케익부(20)에 대하여 세워진 위치로 안전 네트(100)를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 구역에서 가장 가까운 안전 네트(100)가 이미 팬케익부(20)에 대하여 세워져 있는 상태라면 회동부(130)에 별도의 구동 신호를 보내지 않는다.
안전 네트(100)가 세워진 상태에서 제어부(140)는 펌프(123)를 구동시키고, 밸브(121)가 열리도록 제어하여 소방 매체를 소화부(110)로 공급할 수 있다.
공급되는 소방 매체는 공급라인(122), 메인 파이프(114) 및 매니폴드(111)를 거쳐서 각각의 분사노즐(112)로 분산되어 공급될 수 있고, 분산 공급된 소방 매체는 분사노즐(112)을 통해 화재 발생 구역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로써 팬케익부(20)의 상부면에 스프링클러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안전 네트(100)에 설치된 분사노즐(112)을 통해 소방 매체가 분사되므로 화재가 용이하게 진압될 수 있고, 헬리콥터의 착륙시 충돌 등에 의해 소방 장치가 파손될 염려도 없으므로 화재에 대한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화재는 일반적으로 팬케익부(20) 상에 착륙한 헬리콥터에서 발생되므로, 안전 네트(100)가 세워진 상태에서 소방 매체가 분사됨에 따라 화재 발생 지점에 소방 매체가 직분사될 수 있어서 보다 빠른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소방장치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장치가 설치된 헬리데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안전 네트(100)가 세워진 상태에서 화재를 진압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안전 네트(100)가 누워 있는 상태에서도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시설이 노후되거나 기존의 헬리데크에 본 발명에 따른 소방장치(10)를 추가하도록 개량하는 경우에 회동부(130)가 고장나거나 아얘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안전 네트(100)의 회동이 불가능할 수 있고, 항상 누워 있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전 네트(100)가 누워 있는 상태에서도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소방장치(10)를 구성할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소방장치(10)는 안전 네트(100)에 설치되는 분사노즐(112)을 제어하여 분사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화재 발생 지점에 소방 매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소방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헬리데크 10: 소방장치
20: 팬케익부 30: 덕트
100: 안전 네트 110: 소화부
120: 공급부 130: 회동부
140: 제어부 108: 고리
111: 매니폴드 112: 분사노즐
114: 메인 파이프

Claims (6)

  1.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헬리데크의 이착륙면을 구성하는 팬케익부의 둘레에 설치되는 안전 네트;
    상기 안전 네트를 상기 팬케익부에 대하여 회동시키는 회동부; 및
    상기 안전 네트에 제공되고, 상기 팬케익부 상에 화재가 발생하면 소방 매체를 분사하는 소화부를 포함하는 헬리데크의 소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케익부 상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안전 네트가 상방으로 회전되고,
    상기 소방 매체는 상기 안전 네트가 상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분사되는 헬리데크의 소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부는,
    상기 안전 네트의 테두리에 제공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에 연결되고, 상기 분사노즐에 상기 소방 매체를 공급하는 매니폴드; 및
    상기 매니폴드에 연결되고, 상기 소방 매체가 통과하는 메인 파이프를 포함하는 헬리데크의 소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 매체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소화부로 상기 소방 매체를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메인 파이프와 상기 공급부를 연결하는 공급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라인은 상기 안전 네트의 테두리에 형성된 고리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헬리데크의 소방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분사 각도가 변화 가능하고,
    상기 팬케익부 상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소방 매체는 상기 안전 네트가 상기 팬케익부에 대하여 누워 있는 상태에서 분사되고,
    상기 소방 매체가 화재 지점에 도달하도록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 각도가 변화되는 헬리데크의 소방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장치는 상기 헬리데크에 복수 개 제공되고,
    상기 각 소방장치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헬리데크의 소방장치.
KR20130110341A 2013-09-13 2013-09-13 헬리데크의 소방장치 KR101476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341A KR101476784B1 (ko) 2013-09-13 2013-09-13 헬리데크의 소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341A KR101476784B1 (ko) 2013-09-13 2013-09-13 헬리데크의 소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6784B1 true KR101476784B1 (ko) 2014-12-26

Family

ID=52680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0341A KR101476784B1 (ko) 2013-09-13 2013-09-13 헬리데크의 소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7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5439A (zh) * 2021-05-21 2021-09-28 中国海洋石油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化海上直升机甲板
CN117141637A (zh) * 2023-11-01 2023-12-01 烟台市北海海洋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被动灭火系统的船用直升机甲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658U (ko) * 2011-06-08 2012-12-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 및 이를 가지는 선박
KR20130002553U (ko) * 2011-10-19 2013-04-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헬리데크 폼 모니터
KR20130048590A (ko) * 2011-11-02 2013-05-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
KR20140048628A (ko) * 2012-10-16 2014-04-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용 안전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658U (ko) * 2011-06-08 2012-12-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 및 이를 가지는 선박
KR20130002553U (ko) * 2011-10-19 2013-04-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헬리데크 폼 모니터
KR20130048590A (ko) * 2011-11-02 2013-05-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
KR20140048628A (ko) * 2012-10-16 2014-04-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용 안전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5439A (zh) * 2021-05-21 2021-09-28 中国海洋石油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化海上直升机甲板
CN117141637A (zh) * 2023-11-01 2023-12-01 烟台市北海海洋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被动灭火系统的船用直升机甲板
CN117141637B (zh) * 2023-11-01 2024-01-02 烟台市北海海洋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被动灭火系统的船用直升机甲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15178C (en) Focused stream, aerated foam projecting nozzle including fixed wand system and method as well as possibly portable center pointing nozzle
KR101516282B1 (ko) 헬리데크의 소방 장치
KR101476784B1 (ko) 헬리데크의 소방장치
JP2012526699A (ja) 海上船舶への搭乗抑止
KR101523915B1 (ko) 헬리데크의 함몰형 소방노즐장치
KR20130002553U (ko) 헬리데크 폼 모니터
EP2543587A1 (en) Invasion preventing apparatus for ship
KR101523914B1 (ko) 헬리데크의 소방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78983A (ko) 컨테이너선의 갑판 상부 소화시스템
JP2951304B2 (ja) 無人式消防船
KR101540384B1 (ko) 소방장치를 구비한 헬리데크
KR200463826Y1 (ko) 선박용 소화수 배관 동파 방지장치
KR200466639Y1 (ko) 선박용 소화수의 서지 방지 장치
CA2456632C (en) Fire extinguish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193927B1 (ko) 헬리데크용 회전형 소화노즐
KR101533827B1 (ko) 해적 퇴치용 고압분사장치
CN113022810A (zh) 一种防海盗系统和防海盗的方法
KR102138024B1 (ko) 헬리데크용 소화노즐
KR20240011377A (ko) 컨테이터 선박의 래싱 브릿지를 이용한 화재 진화 시스템
KR101635057B1 (ko) 헬리데크 열변형 방지용 쿨링장치
KR20240040334A (ko) 컨테이너 선박에 적재되는 소화용 컨테이너
KR20180076513A (ko) 코안다 효과를 이용한 폰툰 구조 및 이를 가지는 해양구조물
WO2024001446A1 (zh) 一种消防用喷嘴结构及直升机平台消防系统
KR20240017236A (ko) 컨테이너 선박의 화재 진화 시스템
KR20240040246A (ko) 해상 환경에 적응적인 컨테이너 선박의 화재 진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