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8628A - 헬리데크용 안전망 - Google Patents

헬리데크용 안전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8628A
KR20140048628A KR1020120114809A KR20120114809A KR20140048628A KR 20140048628 A KR20140048628 A KR 20140048628A KR 1020120114809 A KR1020120114809 A KR 1020120114809A KR 20120114809 A KR20120114809 A KR 20120114809A KR 20140048628 A KR20140048628 A KR 20140048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net
support
deck
heli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남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4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8628A/ko
Publication of KR20140048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6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07Helicopter portable landing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anchoring aircraft
    • B64F1/125Mooring or ground handling devices for helicop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3/00Landing stages for helicopters, e.g. located above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헬리데크에 설치되는 안전망에 있어서, 다각형상을 가지는 상기 헬리데크의 둘레면에 고정되며, 상기 헬리데크의 둘레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몸체프레임; 상기 각 몸체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안전망; 및 상기 복수개의 몸체프레임 및 상기 안전망을 상기 복수개의 지지프레임 상부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헬리데크용 안전망을 제공한다.
따라서, 헬리데크의 안전망을 지지프레임의 끝단에서 고정하지 않고, 지지프레임의 끝단이 아닌 중간부위에서 고정하므로 안전망을 교체하기 위해 지지프레임의 끝단으로 작업자가 이동하여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몸체프레임과 안전망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해체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안전망을 몸체프레임의 내측에 설치하여 안전망의 교체 시, 지지프레임에 체결된 고정수단을 해체하고 몸체프레임을 회동시켜 몸체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을 이격시킨 후 간편하게 안전망을 교체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헬리데크용 안전망{Safety net for helideck}
본 발명은 헬리데크용 안전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구비되는 헬리데크용 안전망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9731호에 기재된 배경기술을 참조하면, 해상에서 장기간 작업을 수행하는 선박 또는 해상구조물의 대표적인 예로는 드릴쉽(Drillship)이나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를 들 수 있다.
상기 드릴쉽이나 FPSO는 해상에서 수 개월 내지 수 년에 걸쳐 지하자원을 시추, 채굴, 저장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선박 또는 해상구조물은 상부갑판에 밀집되어 설치된 각종 장비에 의해 승무원이 건강 유지 및 여가 활용을 위하여 체육활동을 할 공간이 협소한 실정이다.
그런데, 해상에서 장기간 작업을 수행하는 선박 또는 해상구조물에는 대부분 헬리콥터의 이착륙을 위한 헬리데크(Helideck)가 구비되는데, 헬리데크에서 체육활동을 행할 경우 추락의 위험이 있으므로 헬리콥터의 이착륙 외에 다른 용도로는 거의 활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헬리데크는 선박 또는 해상구조물 상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활용도가 높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헬리데크의 안전망은 헬리데크의 일단에 고정된 지지프레임의 끝단에 U볼트를 이용하여 체결되나, 안전망이 지지프레임의 끝단에 U볼트를 이용하여 체결됨으로 인하여 안전망의 교체 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그로 인하여 안전망 교체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헬리데크의 둘레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내측에 안전망이 설치된 몸체프레임이 회동가능하게 장착하고, 몸체프레임과 안전망을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여 안전망을 헬리데크의 둘레면 외측에 고정하고, 안전망의 교체 시 작업자가 고정수단을 해체한 후 몸체프레임을 회동시켜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헬리데크의 안전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선박의 헬리데크에 설치되는 안전망에 있어서, 선박의 헬리데크에 설치되는 안전망에 있어서, 다각형상을 가지는 상기 헬리데크의 둘레면에 고정되며, 상기 헬리데크의 둘레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몸체프레임; 상기 각 몸체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안전망; 및 상기 복수개의 몸체프레임 및 상기 안전망을 상기 복수개의 지지프레임 상부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헬리데크용 안전망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헬리데크용 안전망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몸체프레임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서 하부로 절곡된 절곡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고정수단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서 상기 삽입홀로 삽입되어 상기 안전망을 관통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안전망의 상부에서 상기 안전망을 관통한 체결볼트와 체결되는 캡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프레임은 사각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프레임의 단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몸체프레임을 상기 복수개의 지지프레임의 상부에서 회동하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바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면에 구비되는 지지바가 힌지 체결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이 상기 몸체프레임에 연결된 상기 지지바의 타단에는 제1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체결돌기에는 상기 제1관통홀과 연통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관통홀과 상기 제2관통홀로는 상기 지지바와 상기 체결돌기를 체결하는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헬리데크와 상기 몸체프레임의 공간으로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보조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복수개의 지지프레임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헬리데크의 안전망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헬리데크의 안전망을 지지프레임의 끝단에서 고정하지 않고, 지지프레임의 끝단이 아닌 중간부위에서 고정하므로 안전망을 교체하기 위해 지지프레임의 끝단으로 작업자가 이동하여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몸체프레임과 안전망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해체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안전망을 몸체프레임의 내측에 설치하여 안전망의 교체 시, 지지프레임에 체결된 고정수단을 해체하고 몸체프레임을 회동시켜 몸체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을 이격시킨 후 간편하게 안전망을 교체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헬리데크용 안전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헬리데크에 설치된 헬리데크용 안전망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망이 고정수단에 의해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지지프레임에 체결된 몸체프레임이 회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헬리데크용 안전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헬리데크에 설치된 헬리데크용 안전망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망이 고정수단에 의해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지지프레임에 체결된 몸체프레임이 회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리데크용 안전망(100)은 지지프레임(110)과, 몸체프레임(120)과, 안전망(130)과, 고정수단(14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다각형상을 가지는 헬리데크(10)의 둘레면에 고정되며, 상기 헬리데크(10)의 둘레면 외측으로 복수개가 돌출된다. 상기 헬리데크(10)는 도 1에 팔각형상을 가지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팔각형상이 아닌 사각형상 또는 육각형상 등 설계상 필요에 따라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상기 헬리데크(10)의 일단 둘레면 외측으로 3개가 돌출되게 상기 헬리데크(10)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대략 "ㄱ"자 형상을 가지며 지지부(112)와 절곡부(114)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112)는 후술되는 몸체프레임(12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절곡부(114)는 상기 지지부(112)의 일단에서 하부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상기 몸체프레임(12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112)에는 후술되는 고정수단(140)의 체결볼트(142)가 삽입되는 삽입홀(112a)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112a)는 상기 지지부(112)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개의 지지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체결돌기(116)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116)에는 후술되는 몸체프레임(120)의 일면에 구비되는 지지바(122)가 힌지 체결된다. 상기 체결돌기(116)에는 상기 지지바(122)와 힌지 체결되기 위한 제2관통홀(116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16a)로는 상기 체결돌기(116)와 상기 지지바(122)를 체결하는 체결부재(C)가 삽입되게 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부에는 몸체프레임(120)이 체결된다. 상기 몸체프레임(120)은 상기 헬리데크(10)의 둘레면에 복수개가 체결되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헬리데크(10)가 팔각형상을 가짐으로 인하여 상기 몸체프레임(120)은 상기 헬리데크(10)의 둘레면에 8개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프레임(120)은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지지부(112) 상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몸체프레임(120)의 몸체는 사각형상을 가지고, 상기 몸체프레임(120)의 단면은 원형을 가진다. 상기 몸체프레임(120)의 일면에는 복수개의 지지바(122)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바(122)는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체결돌기(116)와 힌지 체결된다. 상기 지지바(122)의 일단에는 상기 체결돌기(116)와 힌지 체결되기 위해 제1관통홀(122a)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홀(122a)은 상기 체결돌기(116)의 제2관통홀(116a)와 연통되며, 상기 제1관통홀(122a)와 상기 제2관통홀(116a)로 체결부재(C)가 삽입됨으로 인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몸체프레임(120)이 회동가능하게 체결되게 된다.
상기 몸체프레임(120)의 일면에는 보조프레임(124)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프레임(124)는 상기 몸체프레임(120)과 용접에 의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조프레임(122)은 상기 복수개의 지지프레임(110)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프레임(122)은 상기 헬리데크(10)와 상기 몸체프레임(120) 사이의 공간으로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헬리데크(10)의 둘레면 외측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상기 몸체프레임(120) 내측에는 안전망(130)이 설치된다. 상기 안전망(130)은 시중에 널리 유통되는 것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작업자 등의 사람이 헬리데크(10)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복수개의 지지프레임(11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체결되는 상기 몸체프레임(120)과 상기 몸체프레임(120)의 내측에 구비되는 안전망(130)은 고정수단(140)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부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수단(140)은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지지부(112) 하부에서 상기 지지부(112)에 형성된 삽입홀(112a)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112)의 상부에 위치하는 안전망(130)을 관통하는 체결볼트(142)와, 상기 안전망(130)의 상부에서 상기 안전망(130)을 관통한 체결볼트(142)와 체결되는 캡 너트(14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140)의 체결볼트(142)는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지지부(112) 하부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볼트(142)가 상기 지지부(112)의 하부에 용접에 의해 고정됨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안전망의 교체 시, 상기 캡 너트(144)만 상기 체결볼트(142)에서 해체시킨 후 몸체프레임(120)을 회동시켜 안전망(130)을 교체하고, 안전망(130)의 교체 후에는 상기 몸체프레임(120)을 다시 회동시켜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안전망(130)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체결볼트(142)에 상기 캡 너트(144)를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부에 상기 몸체프레임(120)과 안전망(130)을 용이하게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헬리데크(10)의 안전망(130)을 지지프레임(110)의 끝단에서 고정하지 않고, 지지프레임(110)의 끝단이 아닌 중간부위에서 고정하므로 안전망(130)을 교체하기 위해 지지프레임(110)의 끝단으로 작업자가 이동하여 지지프레임(110)의 상부에 몸체프레임(120)과 안전망(13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140)을 해체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안전망(130)을 몸체프레임(120)의 내측에 설치하여 안전망의 교체 시, 지지프레임(110)에 체결된 고정수단(140)을 해체하고 몸체프레임(120)을 회동시켜 몸체프레임(120)과 지지프레임(110)을 이격시킨 후 간편하게 안전망(130)을 교체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헬리데크 110 : 지지프레임
112 : 지지부 114 : 절곡부
116 : 체결돌기 120 : 몸체프레임
122 : 지지바 124 : 보조프레임
130 : 안전망 140 : 고정수단
142 : 체결볼트 144 : 캡 너트

Claims (7)

  1. 선박의 헬리데크에 설치되는 안전망에 있어서,
    다각형상을 가지는 상기 헬리데크의 둘레면에 고정되며, 상기 헬리데크의 둘레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몸체프레임;
    상기 각 몸체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안전망; 및
    상기 복수개의 몸체프레임 및 상기 안전망을 상기 복수개의 지지프레임 상부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헬리데크용 안전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몸체프레임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서 하부로 절곡된 절곡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고정수단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데크용 안전망.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서 상기 삽입홀로 삽입되어 상기 안전망을 관통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안전망의 상부에서 상기 안전망을 관통한 체결볼트와 체결되는 캡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데크용 안전망.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프레임은 사각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프레임의 단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몸체프레임을 상기 복수개의 지지프레임의 상부에서 회동하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데크용 안전망.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면에 구비되는 지지바가 힌지 체결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데크용 안전망.
  6. 청구항 5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몸체프레임에 연결된 상기 지지바의 타단에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에는 상기 제1관통홀과 연통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홀과 상기 제2관통홀로는 상기 지지바와 상기 체결돌기를 체결하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데크용 안전망.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헬리데크와 상기 몸체프레임의 공간으로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보조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복수개의 지지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데크용 안전망.
KR1020120114809A 2012-10-16 2012-10-16 헬리데크용 안전망 KR201400486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809A KR20140048628A (ko) 2012-10-16 2012-10-16 헬리데크용 안전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809A KR20140048628A (ko) 2012-10-16 2012-10-16 헬리데크용 안전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628A true KR20140048628A (ko) 2014-04-24

Family

ID=50654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809A KR20140048628A (ko) 2012-10-16 2012-10-16 헬리데크용 안전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8628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784B1 (ko) * 2013-09-13 2014-12-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의 소방장치
KR20160033912A (ko) * 2014-09-19 2016-03-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 데크
CN105625786A (zh) * 2016-03-21 2016-06-01 直翔航空设备工程(上海)有限公司 一种直升机停机坪安全防护网
CN108867417A (zh) * 2018-06-29 2018-11-23 送飞实业集团有限公司 一种可折叠式安全网
CN109071007A (zh) * 2015-09-23 2018-12-21 沃尔玛阿波罗有限责任公司 便携式无人投递飞行器发射系统以及利用飞行器发射系统投递产品的方法
CN109533246A (zh) * 2018-10-30 2019-03-29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一种适用于隐型舰船的人员安全防护装置
CN110920804A (zh) * 2019-11-29 2020-03-27 海洋石油工程(青岛)有限公司 直升机甲板安全网支撑结构
CN111778885A (zh) * 2020-07-28 2020-10-16 北京城建八建设发展有限责任公司 金属结构停机坪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784B1 (ko) * 2013-09-13 2014-12-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의 소방장치
KR20160033912A (ko) * 2014-09-19 2016-03-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 데크
CN109071007A (zh) * 2015-09-23 2018-12-21 沃尔玛阿波罗有限责任公司 便携式无人投递飞行器发射系统以及利用飞行器发射系统投递产品的方法
CN105625786A (zh) * 2016-03-21 2016-06-01 直翔航空设备工程(上海)有限公司 一种直升机停机坪安全防护网
CN108867417A (zh) * 2018-06-29 2018-11-23 送飞实业集团有限公司 一种可折叠式安全网
CN109533246A (zh) * 2018-10-30 2019-03-29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一种适用于隐型舰船的人员安全防护装置
CN110920804A (zh) * 2019-11-29 2020-03-27 海洋石油工程(青岛)有限公司 直升机甲板安全网支撑结构
CN111778885A (zh) * 2020-07-28 2020-10-16 北京城建八建设发展有限责任公司 金属结构停机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8628A (ko) 헬리데크용 안전망
US20130239868A1 (en) Dry tree jacket semi-submersible platform
US10029760B2 (en) Low heave semi-submersible offshore structure
EP3228531B1 (en) Marine structure platform having movement damping function and submersible marine structure having same
KR20130075829A (ko) 해양구조물용 헬리콥터 착륙장
WO2012104309A2 (en) Production unit for use with dry christmas trees
CN204282232U (zh) 直升飞机平台安全网
KR20140036645A (ko) 헬리데크용 안전 네트 및 그 안전 네트의 메쉬 고정구조
KR102117387B1 (ko)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
KR101516207B1 (ko) 마우스홀 충격저감장치
CN107630789A (zh) 塔架阻尼器
CN103879524B (zh) 一种张力腿平台
KR101711476B1 (ko) 해수 펌프용 파이프 구조
JP6973732B2 (ja) ライザー管支持構造
EP2918491B1 (en) Multipurpose attachment system and methods for attachment
EP2876035A1 (en) Device for transferring persons
KR101690752B1 (ko) 크레인 붐 레스트
KR101563672B1 (ko) 해양구조물
KR20160005887A (ko) 해상 크레인의 리깅장치
KR20150002863U (ko) 해양구조물의 해치커버 결합구조
KR101399939B1 (ko) 타이다운을 갖는 헬리데크
KR20130040437A (ko) 시추선
KR101531589B1 (ko) 타이다운 겸용 리프팅 러그를 갖는 헬리데크
KR200481083Y1 (ko) 드릴쉽의 접근 바스켓 설치구조
KR20130006872U (ko) 헬리데크의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