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8584A -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48584A KR20130048584A KR1020110113510A KR20110113510A KR20130048584A KR 20130048584 A KR20130048584 A KR 20130048584A KR 1020110113510 A KR1020110113510 A KR 1020110113510A KR 20110113510 A KR20110113510 A KR 20110113510A KR 20130048584 A KR20130048584 A KR 201300485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etary fiber
- weight
- composition
- odor
- constip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7—Chrysanthemum, e.g. dais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리취로부터 분리하여 얻은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리취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은 독성이 없고, 변의 수분량 증가와 혈중 및 지질농도를 감소시키는 등의 변비 개선효과가 있어 변비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야기되는 하복부 불쾌감, 팽만감과 같은 다양한 삶의 질 저하를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수리취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은 독성이 없고, 변의 수분량 증가와 혈중 및 지질농도를 감소시키는 등의 변비 개선효과가 있어 변비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야기되는 하복부 불쾌감, 팽만감과 같은 다양한 삶의 질 저하를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리취로부터 분리하여 얻은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격히 증가한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채소나 섬유질을 함유한 식품섭취가 감소하고 동물성 식품과 인스턴트식품 등의 고칼로리 식품에 대한 수요가 커져 영양과잉과 영양불균형 등의 사회문제가 일어나고 있다.
영양과잉 및 영양분균형에 의한 식생활의 변화에 따라 비만 인구가 늘어나고 뇌졸중, 당뇨병, 동맥경화, 심근경색,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대사성 질환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른 합병증과 이들 병증으로 인한 사망률이 크게 증가하고 있어 국민 복지에 위협이 되는 사회에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대사성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써 동물성 지방과 단백질의 섭취를 지양하고 식이섬유소나 저칼로리 식품의 섭취를 권장하고 있으며, 식품에서 추출한 식이섬유와 같이 독성이 없고 안전하여 장기간 복용이 가능한 기능성식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식생활 등의 변화로 대사성 질환 뿐 아니라 변비의 유병률도 증가하는 추세인데, 최근 우리나라의 변비 유병률이 16.5%로 여성, 노인층에서 더욱 증가하고 있다(전대원, 2006).
변비(constipation)란 1주일에 2회 이하 변을 보며 대변량이 35g 이하인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 예로부터 만병의 근원이라 일컬어진다. 변비는 일상생활에 영향이 예상외로 심각하여 변비 환자들은 심각한 삶의 질의 저하를 호소하는데, 그 증상으로는 일반적으로 하복부의 불쾌감, 팽만감, 구역질, 구토, 복통 등이 수반된다. 변비의 치료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은 충분한 식이섬유의 섭취인데, 변비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하루에 약 20~25g 정도의 식이섬유 섭취가 권장되고 있다.
식이섬유는 인체의 소화효소에 의하여 분해되지 않는 난분해성의 복합 다당류를 지칭하는데,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는 경우 위에 포만감을 주어서 식이 섭취량을 줄일 수 있고 식이섬유의 수분보유능력에 기인해서 배설물의 부피를 증가시키고 음식물의 장 통과 속도를 빠르게 하여 영양소의 흡수를 저하시켜 비만 예방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식이섬유는 셀룰로오스(cellulose),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s), 리그닌(lignin) 등 그 종류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수용성 식이섬유(SDF, soluble dietary fiber)와 불용성 식이섬유(IDF, insoluble dietary fiber)로 구분되는데, 구성 성분과 구조에 기인되는 물리화학적 성질에 따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
수용성 식이섬유는 위에서의 음식물 체류시간을 증가시켜 포만감을 제공하고, 장내에서의 영양소 흡수속도를 느리게 조절한다. 또한 지질대사에 관여하여 혈청 콜레스테롤 값을 조절하고, 동맥경화를 예방하며 대장암의 발병률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불용성 식이섬유는 수분 보유능이 커서 변을 묽게 하여 분변의 장내통과시간을 촉진하고 분변의 양을 증가시켜 변비를 예방 치료하고, 대장기능에 관련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수리취(Synurus deltoides (Aiton) Nakai)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전국 산지에 분포하며 산야에 흔히 자생하고 농가에서 재배되기도 하며, 동남아시아 지역에도 걸쳐 널리 자생하고 있는 식물로 식용으로 어린잎을 데쳐 쌈으로 먹거나 나물로 볶아먹기도 하고 수리취떡을 만들어 먹기도 하였으며, 과거 오래전부터 한방에서 종창, 부종, 지혈, 토혈, 안태, 이뇨, 방광염 등에 다양하게 이용하여 왔다.
수리취는 in vitro 상에서 항돌연변이 활성, 만성 염증 동물모델에 대한 항염증 활성과 진통제효과, 추출용매에 따른 항산화 활성 및 각 부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 변비개선을 위한 수리취 식이섬유 이용기술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수리취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02-0079609호에 목이버섯을 포함하여 변의 양을 늘리고 대장의 운동을 촉진시켜 변비의 예방 및 치유에 효과가 있도록 한 건강 보조 식품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한국특허 제10-0435825호에 당귀, 지실, 하수오, 백출, 천궁, 진피, 생강, 감초 및 육계를 포함 변비 치료용 조성물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과 상기 선행기술들은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서로 달라 발명의 구성이 서로 다른 발명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리취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수리취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은 수리취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 및 식품학적으로 사용이 허용되는 부형제를 함유하여 식품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리취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은 수리취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 및 약학적으로 사용이 허용되는 부형제를 함유하여 약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리취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 바람직하게는 수리취 잎 또는 수리취 줄기로부터 분리한 수리취 식이섬유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99.9중량% 포함되는 수리취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리취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은 독성이 없고, 변의 수분량 증가와 혈중 및 지질농도를 감소시키는 등의 변비 개선효과가 있어 변비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야기되는 하복부 불쾌감, 팽만감과 같은 다양한 삶의 질 저하를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흰쥐에 보통의 사료를 4주 동안 급여한 뒤 변비를 유발하지 않은 정상군(Normal, N), 흰쥐에 보통의 사료를 4주 동안 급여한 뒤 로페라마이드를 투여하여 변비를 유발한 대조군(control, C), 흰쥐에 수리취 식이섬유를 사료 전체 중량 대비 5중량%를 혼합한 사료를 4주 동안 급여한 뒤 로페라마이드를 투여하여 변비를 유발한 실험군(SD5) 및 흰쥐에 수리취 식이섬유를 사료 전체 중량 대비 10중량%를 혼합한 사료를 4주 동안 급여한 뒤 로페라마이드를 투여하여 변비를 유발한 실험군(SD10)에 대하여 정상군(N), 대조군(C), 실험군(SD5) 및 실험군(SD10)의 흰쥐 분변의 수분량을 측정한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흰쥐에 보통의 사료를 4주 동안 급여한 뒤 변비를 유발하지 않은 정상군(Normal, N), 흰쥐에 보통의 사료를 4주 동안 급여한 뒤 로페라마이드를 투여하여 변비를 유발한 대조군(control, C), 흰쥐에 수리취 식이섬유를 사료 전체 중량 대비 5중량%를 혼합한 사료를 4주 동안 급여한 뒤 로페라마이드를 투여하여 변비를 유발한 실험군(SD5) 및 흰쥐에 수리취 식이섬유를 사료 전체 중량 대비 10중량%를 혼합한 사료를 4주 동안 급여한 뒤 로페라마이드를 투여하여 변비를 유발한 실험군(SD10)에 대하여 정상군(N), 대조군(C), 실험군(SD5) 및 실험군(SD10)의 흰쥐에 대한 간의 무게(도 2a) 및 신장의 무게(도 2b)를 측정한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흰쥐에 보통의 사료를 4주 동안 급여한 뒤 변비를 유발하지 않은 정상군(Normal, N), 흰쥐에 보통의 사료를 4주 동안 급여한 뒤 로페라마이드를 투여하여 변비를 유발한 대조군(control, C), 흰쥐에 수리취 식이섬유를 사료 전체 중량 대비 5중량%를 혼합한 사료를 4주 동안 급여한 뒤 로페라마이드를 투여하여 변비를 유발한 실험군(SD5) 및 흰쥐에 수리취 식이섬유를 사료 전체 중량 대비 10중량%를 혼합한 사료를 4주 동안 급여한 뒤 로페라마이드를 투여하여 변비를 유발한 실험군(SD10)에 대하여 정상군(N), 대조군(C), 실험군(SD5) 및 실험군(SD10)의 흰쥐 대장 조직내의 c-kit 유전자 발현량의 변화를 측정한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흰쥐에 보통의 사료를 4주 동안 급여한 뒤 변비를 유발하지 않은 정상군(Normal, N), 흰쥐에 보통의 사료를 4주 동안 급여한 뒤 로페라마이드를 투여하여 변비를 유발한 대조군(control, C), 흰쥐에 수리취 식이섬유를 사료 전체 중량 대비 5중량%를 혼합한 사료를 4주 동안 급여한 뒤 로페라마이드를 투여하여 변비를 유발한 실험군(SD5) 및 흰쥐에 수리취 식이섬유를 사료 전체 중량 대비 10중량%를 혼합한 사료를 4주 동안 급여한 뒤 로페라마이드를 투여하여 변비를 유발한 실험군(SD10)에 대하여 정상군(N), 대조군(C), 실험군(SD5) 및 실험군(SD10)의 흰쥐에 대한 간의 무게(도 2a) 및 신장의 무게(도 2b)를 측정한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흰쥐에 보통의 사료를 4주 동안 급여한 뒤 변비를 유발하지 않은 정상군(Normal, N), 흰쥐에 보통의 사료를 4주 동안 급여한 뒤 로페라마이드를 투여하여 변비를 유발한 대조군(control, C), 흰쥐에 수리취 식이섬유를 사료 전체 중량 대비 5중량%를 혼합한 사료를 4주 동안 급여한 뒤 로페라마이드를 투여하여 변비를 유발한 실험군(SD5) 및 흰쥐에 수리취 식이섬유를 사료 전체 중량 대비 10중량%를 혼합한 사료를 4주 동안 급여한 뒤 로페라마이드를 투여하여 변비를 유발한 실험군(SD10)에 대하여 정상군(N), 대조군(C), 실험군(SD5) 및 실험군(SD10)의 흰쥐 대장 조직내의 c-kit 유전자 발현량의 변화를 측정한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수리취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수리취 식이섬유는 수리취 잎으로부터 분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수리취 식이섬유는 수리취 줄기로부터 분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수리취 식이섬유는 수리취 잎 및 수리취 줄기로부터 분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수리취 식이섬유는 수리취 잎 및 수리취 줄기로부터 분리한 것을 각각 1:9~9: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 식이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수리취 식이섬유는 수리취 잎 및 수리취 줄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분리한 수용성 식이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수리취 식이섬유는 수리취 잎 및 수리취 줄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분리한 불용성 식이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수리취 식이섬유는 수리취 잎 및 수리취 줄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분리한 수용성 식이섬유 및 불용성 식이섬유가 1:9~9: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 식이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수리취 식이섬유는 수리취 잎 또는 수리취 줄기를 음건하거나 또는 40~80℃에서 24~72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이들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수리취 식이섬유는 상기 건조한 수리취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일예로서 수리취 잎 또는 수리취 줄기를 음건하거나 또는 40~80℃에서 24~72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식이섬유 표준분리방법(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OAC, 1995)에 따라 수리취로부터 불용성 식이섬유를 먼저 분리한 후, 불용성 식이섬유 분리과정에서 얻어진 여액 및 세척액에서 수용성 식이섬유를 분리하며, 이렇게 하여 분리된 수리취 불용성 식이섬유 및 수리취 수용성 식이섬유를 각각 사용하거나 또는 혼합한 것을 본 발명의 변비 개선용 조성물의 구성 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비 개선용 조성물은 수리취 식이섬유 0.1~99.9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비 개선용 조성물은 수리취 식이섬유 0.1~99.9중량% 및 부형제 0.1~99.9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비 개선용 조성물은 수리취 식이섬유 이외에 기능성 성분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변비 개선용 조성물은 수리취 식이섬유 1~99중량%, 기능성 성분 0.5~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비 개선용 조성물은 수리취 식이섬유 이외에 기능성 성분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변비 개선용 조성물은 수리취 식이섬유 1~99중량%, 기능성 성분 0.5~5중량% 및 부형제 0.5~98.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부형제는 식품학적으로 사용이 허용되는 것을 사용하도록 하여 건강기능식품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부형제는 약학적으로 사용이 허용되는 것을 사용하도록 하여 약학적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사용이 허용되는 부형제, 식품학적으로 사용이 허용되는 부형제는 당업자가 적의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으면 족하므로, 이러한 부형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노니(noni), 노간주나무열매(Juniper tree fruit)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분말 또는 액상 제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기능성 성분의 분말은 기능성 성분을 증숙 후 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얻은 분말 제형의 기능성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기능성 성분의 분말은 기능성 성분을 90~100℃ 온도의 수증기로 30분~2시간 동안 증숙 후 20~25℃에서 24~48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분쇄기로 입자크기가 100~200메쉬가 되도록 분쇄하여 얻은 분말 제형의 기능성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기능성 성분의 액상 제형은 기능성 성분을 열수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 형태의 기능성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기능성 성분의 액상 제형은 기능성 성분을 기능성 성분 중량 대비 7~20배량의 정제수에 넣고 100~12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5~5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하여 1차 추출액을 얻은 후 상기 1차 추출액을 1차 추출액의 부피 대비 5~30%가 되도록 감압농축하고 여과하여 얻은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리취 식이섬유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은 조성물에 사용되는 부형제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리취 식이섬유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은 조성물에 사용되는 부형제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 일예로 산제, 정제, 캡슐제, 환제, 과립제, 액상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에서 수리취 식이섬유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의 형태는 당업자가 적의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으면 족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수리취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에 대해 다양한 조건으로 실시한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에 의해 수리취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제조예, 실험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수리취 식이섬유 제조
수리취 잎 65℃에서 48시간 동안 건조하여 수리취 건조시료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수리취 건조시료 100g을 4L의 MES-tris 완충용액에 넣은 후 α-아밀라아제(α-amylase) 5mL를 넣고 100℃에서 15분간 반응시킨 다음 곧바로 실온(25℃)으로 냉각시켰다. 그 다음 프로테아제(protease) 10mL를 넣고 60℃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0.56M HCl 500mL를 넣고 pH를 4.6으로 조정한 다음 아밀로클루코시다아제(amyloglucosidase) 10mL를 가하고 60℃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시킨 용액에 95% 에탄올을 첨가하여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acid washed celite 50g을 넣고 건조하여 유리필터(glass filter)로 여과하였으며, 78% 에탄올과 95% 아세톤으로 씻은 후 불용성 잔사를 105℃ 오븐에서 건조시켜 불용성 식이섬유를 먼저 분리하였다.
수용성 식이섬유는 불용성 식이섬유 분리과정에서 얻어진 여액 및 세척액을 60℃로 가열한 95% ethanol로 실온에서 1시간 침전시킨 후 침전물과 용액을 여과하여 분리하여 얻었다.
상기에서 수리취로부터 분리된 불용성 식이섬유와 수용성 식이섬유를 혼합하여 수리취 식이섬유를 얻었다.
<제조예 2> 수리취 식이섬유 제조
수리취 잎 대신 수리취 줄기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리취 줄기로부터 수리취 식이섬유를 분리하여 얻었다.
<실험예 1> 실험동물 사육 및 실험식이 제조
실험동물은 SD(Sprague Dawley) rat, 4주령 수컷을 사용하였으며, 온도 20±2℃, 습도 55±5%, 12시간 명암조건에서 사육하여 1주일 동안 순화한 다음, 각 군당 8마리씩을 배치하여 총 4군으로 실험군을 분류하였다.
총 4군의 실험군 중에서 정상군(N)과 대조군(C)은 AIN93G 사료를 공급하였고, SD5군과 SD10군은 각각 AIN93G 사료에 AIN93G 사료 중량 대비 수리취 식이섬유 5중량% 및 10중량%를 첨가한 사료를 4주 동안 자유급이하였다.
4주 후 정상군(N)을 제외한 대조군(C), 수리취 식이섬유 5% 급이군(SD5) 및 수리취 식이섬유 10% 급이군(SD10)은 3mg/kg의 용량의 로페라마이드(loperamide)를 5일간 경피투여하여 변비를 유발하였다.
<실험예 2> 변비증상 개선효과 측정
실험예 1에서 얻은 정상군(N), 대조군(C), 급이군(SD5) 및 급이군(SD10)에 대한 각각의 실험군에서 신선한 변을 채취하여 105℃ 상압 가열 건조법으로 분변의 수분량을 측정하고 이의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로페라마이드를 투여한 대조군(C) 분변의 수분함량이 정상군(N)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로페라마이드 투여로 인해 변비가 유발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수리취 식이섬유 5중량% 및 10중량%가 함유된 사료를 급이한 군(SD5, SD10)은 정상군에 비해 분변의 수분함량이 각각 2.4배 및 3.4배 증가하였으며, 수리취 식이섬유의 변비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3> 간 및 신장 무게 측정
실험예 1에서 얻은 정상군(N), 대조군(C), 급이군(SD5) 및 급이군(SD10)에 대한 각각의 실험군에 대한 간 및 신장의 장기중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2a, 도 2b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2a에서처럼 체중 대비 간의 무게는 모든 실험군에서 정상군과 차이가 없었으며, 도 2b에서처럼 신장의 무게도 각 실험군에서 차이가 없어 수리취 식이섬유는 간과 신장에 대한 독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험예 4> 혈청 검사
실험예 1에서 얻은 정상군(N), 대조군(C), 급이군(SD5) 및 급이군(SD10)에 대한 각각의 실험군의 혈청분석은 시험 종료일에 실험동물을 마취시킨 후 개복하여 후대정맥에서 채혈하였으며,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 후 자동혈청분석기를 이용하여 GOT, GPT, total-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 BUN 및 glucose를 분석하고 이의 결과를 아래의 표 1, 표 2에 나타내었다.
Group | Total cholesterol | HDL cholesterol | Triglyceride |
N | 64.3±6.4a | 44.0±9.1a | 36.1±5.7a |
C | 58.4±5.9a | 36.3±6.4a | 34.4±6.4a |
SD5 | 54.2±9.2a | 27.9±5.7ab | 32.3±3.3a |
SD10 | 37.5±6.1b | 24.9±4.3b | 25.5±3.3b |
Group | GOT | GPT | BUN |
N | 87.2±8.9a | 52.0±8.8a | 36.6±1.0a |
C | 83.0±11.2a | 50.0±6.9a | 36.7±1.6a |
SD5 | 85.8±12.5a | 58.0±8.0a | 37.4±1.4a |
SD10 | 87.9±9.6a | 60.5±9.1a | 35.2±0.9b |
수리취 식이섬유를 급이한 흰쥐의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함량은 수리취 식이섬유 5중량% 급이군(SD5)에서 대조군(C)에 비해 7.2% 감소하였으며, 수리취 식이섬유 10중량% 급이군(SD10)은 35.8% 감소하여 수리취 식이섬유의 섭취량이 높아질수록 흰쥐의 혈중 cholesterol 함량이 감소하였다.
수리취 식이섬유를 급이한 흰쥐의 혈청 중 GOT, GPT, BUN 및 glucose 함량 변화 측정 결과, 일반적인 간 기능의 지표로 간 기능에 이상이 있을 때 수치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GOT 및 GTP는 각 실험군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신장 기능 장애의 임상지표인 BUN(blood urea nitrogen) 농도는 대조군(C)에 비해 SD10군에서 낮게 나타났고, SD5군에서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아 수리취 식이섬유는 간 및 신장에 독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험예 5> 대장조직 내 c-kit 유전자 발현 측정
실험예 1에서 얻은 정상군(N), 대조군(C), 급이군(SD5) 및 급이군(SD10)에 대한 각각의 실험군에 대하여 변비 관련 유전자인 c-kit의 발현량 측정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실험군에서 대장조직을 분리하여 분쇄한 다음, RNeasy Plus Mini Kit(QIAGEN, Germany)를 이용하여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RNA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한 다음,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5'-ATCTGCTCTGCGTCCTGTTG-3'[포워드 프라이머, 염기서열 1], 5'-GTTGGGGACGAACTTCAGGT-3'[리버스 프라이머, 염기서열 2])를 이용하여 real time-quantitative PCR(RT-qPCR)을 수행하였으며, 실험군별 c-kit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하고 이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변비 환자에서 발현이 감소한다고 알려져 있는 c-kit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도 3 참조), 대조군(C)에서는 로페라마이드(loperamide) 투여에 의해 변비가 유발되어 c-kit 유전자 발현이 정상군(N)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수리취 식이섬유를 급이한 급이군(SD5) 및 급이군(SD10)에서는 정상군(N)이나 대조군(C)에 비해 c-kit 유전자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여 수리취 식이섬유에 의한 변비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1>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수리취 식이섬유를 분쇄하여 입자크기가 150메쉬인 수리취 식이섬유 80중량% 및 유당 20중량%를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 제형의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수리취 식이섬유를 분쇄하여 입자크기가 150메쉬인 수리취 식이섬유 77중량%, 유당 20중량% 및 기능성 성분 3중량%를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 제형의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노니를 95℃ 온도의 수증기로 1시간 동안 증숙 후 25℃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분쇄기로 입자크기가 150메쉬가 되도록 분쇄하여 얻은 노니 분말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3>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수리취 식이섬유를 분쇄하여 입자크기가 150메쉬인 수리취 식이섬유 77중량%, 유당 20중량% 및 기능성 성분 3중량%를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 제형의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노간주나무열매를 95℃ 온도의 수증기로 1시간 동안 증숙 후 25℃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분쇄기로 입자크기가 150메쉬가 되도록 분쇄하여 얻은 노간주나무열매 분말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4>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수리취 식이섬유를 분쇄하여 입자크기가 150메쉬인 수리취 식이섬유 77중량%, 유당 20중량% 및 기능성 성분 3중량%를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 제형의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상기 실시예 1-2에서 얻은 노니 분말 및 실시예 1-3에서 얻은 노간주나무열매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 성분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1>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수리취 식이섬유를 분쇄하여 입자크기가 150메쉬인 수리취 식이섬유 70중량%, 옥수수전분 20중량%, 유당 9.5중량%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5중량%를 혼합하고 타정하여 정제 제형의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수리취 식이섬유를 분쇄하여 입자크기가 150메쉬인 수리취 식이섬유 67중량%, 옥수수전분 20중량%, 유당 9.5중량%,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5중량% 및 기능성 성분 3중량%를 혼합하고 타정하여 정제 제형의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노니를 95℃ 온도의 수증기로 1시간 동안 증숙 후 25℃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분쇄기로 입자크기가 150메쉬가 되도록 분쇄하여 얻은 노니 분말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3>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수리취 식이섬유를 분쇄하여 입자크기가 150메쉬인 수리취 식이섬유 67중량%, 옥수수전분 20중량%, 유당 9.5중량%,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5중량% 및 기능성 성분 3중량%를 혼합하고 타정하여 정제 제형의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노간주나무열매를 95℃ 온도의 수증기로 1시간 동안 증숙 후 25℃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분쇄기로 입자크기가 150메쉬가 되도록 분쇄하여 얻은 노간주나무열매 분말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4>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수리취 식이섬유를 분쇄하여 입자크기가 150메쉬인 수리취 식이섬유 67중량%, 옥수수전분 20중량%, 유당 9.5중량%,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5중량% 및 기능성 성분 3중량%를 혼합하고 타정하여 정제 제형의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상기 실시예 2-2에서 얻은 노니 분말 및 실시예 2-3에서 얻은 노간주나무열매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 성분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3-1>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수리취 식이섬유를 분쇄하여 입자크기가 150메쉬인 수리취 식이섬유 65중량%, 옥수수전분 20중량%, 유당 14.5중량%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5중량%를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 제형의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2>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수리취 식이섬유를 분쇄하여 입자크기가 150메쉬인 수리취 식이섬유 62중량%, 옥수수전분 20중량%, 유당 14.5중량%,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5중량% 및 기능성 성분 3중량%를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 제형의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노니를 95℃ 온도의 수증기로 1시간 동안 증숙 후 25℃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분쇄기로 입자크기가 150메쉬가 되도록 분쇄하여 얻은 노니 분말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3-3>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수리취 식이섬유를 분쇄하여 입자크기가 150메쉬인 수리취 식이섬유 65중량%, 옥수수전분 20중량%, 유당 14.5중량%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5중량% 및 기능성 성분 3중량%를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 제형의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노간주나무열매를 95℃ 온도의 수증기로 1시간 동안 증숙 후 25℃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분쇄기로 입자크기가 150메쉬가 되도록 분쇄하여 얻은 노간주나무열매 분말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3-4>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수리취 식이섬유를 분쇄하여 입자크기가 150메쉬인 수리취 식이섬유 65중량%, 옥수수전분 20중량%, 유당 14.5중량%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5중량% 및 기능성 성분 3중량%를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 제형의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상기 실시예 3-2에서 얻은 노니 분말 및 실시예 3-3에서 얻은 노간주나무열매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 성분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4-1>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수리취 식이섬유를 분쇄하여 입자크기가 150메쉬인 수리취 식이섬유 55중량%, 유당 30중량%, 글리세린 10중량% 및 자일리톨 5중량%를 혼합하고 제환기로 제환하여 환(丸) 제형의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2>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수리취 식이섬유를 분쇄하여 입자크기가 150메쉬인 수리취 식이섬유 55중량%, 유당 27중량%, 글리세린 10중량%, 자일리톨 5중량% 및 기능성 성분 3중량%를 혼합하고 제환기로 제환하여 환(丸) 제형의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노니를 95℃ 온도의 수증기로 1시간 동안 증숙 후 25℃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분쇄기로 입자크기가 150메쉬가 되도록 분쇄하여 얻은 노니 분말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4-3>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수리취 식이섬유를 분쇄하여 입자크기가 150메쉬인 수리취 식이섬유 55중량%, 유당 27중량%, 글리세린 10중량%, 자일리톨 5중량% 및 기능성 성분 3중량%를 혼합하고 제환기로 제환하여 환(丸) 제형의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노간주나무열매를 95℃ 온도의 수증기로 1시간 동안 증숙 후 25℃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분쇄기로 입자크기가 150메쉬가 되도록 분쇄하여 얻은 노간주나무열매 분말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4-4>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수리취 식이섬유를 분쇄하여 입자크기가 150메쉬인 수리취 식이섬유 55중량%, 유당 27중량%, 글리세린 10중량%, 자일리톨 5중량% 및 기능성 성분 3중량%를 혼합하고 제환기로 제환하여 환(丸) 제형의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상기 실시예 3-2에서 얻은 노니 분말 및 실시예 3-3에서 얻은 노간주나무열매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 성분을 사용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조예, 실험예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수리취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은 독성이 없고, 변의 수분량 증가와 혈중 및 지질농도를 감소시키는 등의 변비 개선효과가 있어 변비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변비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야기되는 하복부 불쾌감, 팽만감과 같은 다양한 삶의 질 저하를 경감시킬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10> KANGWON PROVINCE
<120> A composition comprising dietary fiber isolated from Synurus
deltoides for ameliorating constipation
<130> 8534
<160> 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0
<212> DNA
<213> forward primer
<400> 1
atctgctctg cgtcctgttg 20
<210> 2
<211> 20
<212> DNA
<213> reverse primer
<400> 2
gttggggacg aacttcaggt 20
Claims (7)
- 수리취로부터 분리한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수리취 식이섬유는 수리취 잎 또는 수리취 줄기로부터 분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수리취 식이섬유 0.1~99.9중량% 및 부형제 0.1~99.9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수리취 식이섬유 이외에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되, 이때 조성물은 수리취 식이섬유 1~99중량%, 기능성 성분 0.5~5중량% 및 부형제 0.5~98.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부형제는 식품학적으로 사용이 허용되는 것을 포함하도록 하여 건강기능식품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부형제는 약학적으로 사용이 허용되는 것을 포함하도록 하여 약학적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 제4항에 있어서,
기능성 성분은 노니, 노간주나무열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분말 또는 액상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3510A KR20130048584A (ko) | 2011-11-02 | 2011-11-02 |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3510A KR20130048584A (ko) | 2011-11-02 | 2011-11-02 |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8584A true KR20130048584A (ko) | 2013-05-10 |
Family
ID=48659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13510A KR20130048584A (ko) | 2011-11-02 | 2011-11-02 |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48584A (ko) |
-
2011
- 2011-11-02 KR KR1020110113510A patent/KR2013004858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326589B2 (ja) | 桑葉、梅肉、梅仁、紫蘇葉等を素材とする健康食品 | |
KR102299934B1 (ko) | 숙취해소에 뛰어나며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CN109939143A (zh) | 一种用于降血糖控制并发症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KR20120003693A (ko) |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 |
CN113616744A (zh) | 一种小米全谷物黄酮活性组分的制备方法和应用 | |
WO2007007993A1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liver disease comprising a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extract | |
KR100516180B1 (ko) | 항고지혈증 조성물 | |
CN107537028B (zh) | 一种同时辅助降血糖及降血压的配方及其制备方法 | |
JP4516958B2 (ja) | 抗糖尿病用組成物 | |
CN1403017A (zh) | 富硒魔芋绿茶保健食品 | |
JP5794414B2 (ja) | 医薬用組成物 | |
EP1369123A1 (en) | A health-care product comprising lotus rhizome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 |
KR101511364B1 (ko) | 복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및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 |
KR101731859B1 (ko) |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상 체중 감소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130083427A (ko) |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693765B1 (ko) |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0679290B1 (ko) | Hgdsj201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20150031373A (ko) |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 |
JP2000342228A (ja) | ヤーコン・桑葉配合茶 | |
KR20200120549A (ko) |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 |
KR20130048584A (ko) | 수리취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 |
KR100832321B1 (ko) |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홍삼 산성다당체 함유 건강기능식품 | |
KR100888068B1 (ko) | 비만 억제용 조성물 | |
JP6770726B1 (ja) | 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の予防または改善剤 | |
KR101508561B1 (ko) | 귀리를 포함하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