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7806A - 식물성 뮤신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성 뮤신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7806A
KR20130047806A KR1020110112210A KR20110112210A KR20130047806A KR 20130047806 A KR20130047806 A KR 20130047806A KR 1020110112210 A KR1020110112210 A KR 1020110112210A KR 20110112210 A KR20110112210 A KR 20110112210A KR 20130047806 A KR20130047806 A KR 20130047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mucin
composition
deodeo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2089B1 (ko
Inventor
윤정훈
홍연주
김연준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10112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089B1/ko
Publication of KR20130047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08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4Dioscoreaceae (Yam family)
    • A61K36/8945Dioscorea, e.g. yam, Chinese yam or water y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4Codonop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플마, 백련초, 더덕, 산약, 연근 등에서 추출한 뮤신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 탄력 증가, 피부 보습 효과 등이 우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성 뮤신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Skin external composition containing phytomucin}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식물성 뮤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효성분으로 식물성 뮤신을 포함하는 애플마 추출물, 백년초 추출물, 더덕 추출물, 산약 추출물, 연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여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 탄력 증가, 피부 보습 효과 및 주름을 개선시키며, 항염, 항균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뮤신(mucin)이란 점막에서 분비되는 점액물질로 점액소(粘液素) 또는 점소라고도 한다. 물과 중성염 용액에는 녹기 어렵고, 산성에서는 녹지 않고 침전되나, 알칼리성에서는 점성질의 액이 된다. 그 화학적 본체는 당단백질의 일종이나, 점액의 기원에 따라 여러 당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또한 점액의 종류에 따라 두 종류 이상의 당단백질이 함유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것으로 턱밑샘(顎下腺) 뮤신이 있으나, 이것도 양·돼지·소에서는 그 구조가 크게 다르다. 이 밖에도 위점막뮤신·소장뮤신·기관뮤신·자궁경관뮤신 등이 있다. 이 중 소화 기관의 뮤신은 기관의 보호 및 소화운동의 윤활제 역할을 하고, 위점막 뮤신은 위산과다와 위궤양 치료에 사용된다.
이 밖에도 뮤신은 콜라겐, 엘라스틴, 단백질 등 천연 복합물질인 콘드로이친을 함유하였기 때문에 외부의 거친 환경으로부터 수분손실을 막아 피부의 건조를 막아주고, 상처가 난 피부를 빠르게 재생시켜 주는 효과를 갖고 있다. 따라서, 뮤신성분은 여드름 상처, 민감성 피부를 재생시켜 주고 탄력을 부여하는 새로운 물질로 각광받고 있다.
현재는 뮤신 성분을 포함한 화장품으로 달팽이점액 여과물을 포함한 화장품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동물 유래의 보습제들이기 때문에 적정량 이상 사용되었을 경우에는 피부자극이나 오염에 의한 감염을 배제할 수 없고 또한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정작 화장품 자체에는 극히 소량의 뮤신만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되어 실질적인 효과는 미미한 실정이었다.
하지만 식물 추출물에서 유래한 식물성 뮤신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쉽게 변질되고 피부자극이 강한 동물성 뮤신에 비하여 세포 독성 및 피부 자극이 현저히 적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도 식물성 뮤신을 함유하는 식물의 경우 동물성 뮤신을 함유한 달팽이 등과 달리 재배 및 채취가 용이하여 대용량으로 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비용이 훨씬 적게 들고 친환경적이다. 따라서, 화장품 내 다량함유가 가능하여 실제로 화장품을 사용시보다 우수한 효능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피부에 대한 부작용, 비용 및 환경문제 등의 단점을 갖고 있는 동물성 뮤신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으면서도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 탄력 증가, 피부 보습 효과 및 주름을 개선시키며, 항염, 항균 효과가 있는 식물성 뮤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 2008-0101837 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애플마 추출물, 백년초 추출물, 더덕 추출물, 산약 추출물, 연근 추출물 또는 이들의 복합 추출물의 뮤신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경우, 식물 추출물에서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대량으로 손쉽게 추출할 수 있고,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 탄력 증가, 피부 보습 효과 및 주름을 개선시키며 항염, 항균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성 뮤신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경제적이고 세포 독성 및 피부 자극성이 없으며, 피부 탄력 증가, 피부 보습 효과, 주름 개선 효과, 항염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애플마 추출물, 백년초 추출물, 더덕 추출물, 산약 추출물, 연근 추출물 또는 이들의 복합 추출물의 뮤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애플마 추출물은 애플마(Discorea bulbifera)의 덩이뿌리로, 중국 원산이다. 산과 들에서 자라며 덩이뿌리는 크고 편평한 공 모양이며, 줄기는 긴 덩굴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는 길며 삼각형 또는 심장형으로 길이와 나비가 각각 4~13cm이다.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갈라지지 않으며 털이 없고 주아(珠芽)가 잎겨드랑이에서 생긴다. 주아는 지름 2cm 정도이며 겉은 노란빛을 띤 갈색이다. 꽃은 단성화로 6~7월에 핀다. 수꽃이삭은 잎겨드랑이에 1~3개씩 달리고 꽃대가 짧으며 작은꽃대는 없고 꽃이 다소 많이 달린다. 화피갈래조각은 6개로 줄 모양 바소꼴이고 흰색이며 수술은 6개이다. 암꽃이삭은 밑으로 처지며 작은 꽃대가 없는 꽃이 드문드문 달린다. 덩이뿌리를 식용하거나 강장제 또는 지사제로 사용한다. 한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백년초는 부채선인장(Opuntia Littoralis)의 한방학적 약재이름으로, 손바닥선인장이라고도 불린다. 선인장목 선인장과에 속하는 선인장의 한 무리이다. 줄기는 일반적인 선인장처럼 다육질로서 몇 군데가 마디처럼 잘록하며 이것을 경절(莖節)이라고 한다. 경절은 원통 모양, 공 모양, 타원 모양 등 그 모양이 여러 가지이며, 그 모양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이 경절에 헛물관이 있으며 표피 가까이에 관다발이 있다. 새순에 달리는 잎은 바늘처럼 생겼으며 육질로서 완전히 자란 다음에 떨어진다. 떡잎은 바소(한방에서, 곪은 데를 째는 데 쓰는 날이 있는 기구)꼴 또는 삼각형이며 같은 육질로서 화피와 포(변형된 잎)가 서로 다르다. 열매는 특이하게도 그 자체에서 뿌리가 나오고 열매의 윗부분에서는 부채선인장이 자라서 꽃이 핀다. 따라서 번식방법은 열매를 따서 통째로 흙에 심어놓거나 경절을 잘라 말려 땅에 심는 것이다. 대표적인 속은 부채선인장속(Opuntia)이며, 이외에 몇 가지 속이 더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더덕(Codonopsis lanceolata)은 사삼, 백삼이라고도 부른다. 더덕은 숲속에서 자란다. 뿌리는 도라지처럼 굵고 식물체를 자르면 흰색의 즙액(汁液)이 나온다. 잎은 어긋나고 짧은 가지 끝에서는 4개의 잎이 서로 접근하여 마주나므로 모여 달린 것 같으며 길이 3~10cm, 나비 1.5~4cm로 바소꼴 또는 긴 타원형이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앞면은 녹색, 뒷면은 흰색이다. 8~9월에 종 모양의 자주색 꽃이 짧은 가지 끝에서 밑을 향해 달린다. 꽃받침은 끝이 뾰족하게 5개로 갈라지며 녹색이고 길이 2~2.5cm, 나비 6~10mm이다. 화관(花冠)은 길이 2.7~3.5cm이고 끝이 5개로 갈라져서 뒤로 말리며 겉은 연한 녹색이고 안쪽에는 자주색의 반점이 있다. 열매는 9월에 익는다. 봄에 어린 잎을, 가을에 뿌리를 식용한다. 생약의 사삼(沙蔘)은 뿌리를 말린 것이며 한방에서는 치열(治熱)·거담(祛痰) 및 폐열(肺熱) 제거 등에 사용한다.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유사종으로 화관 안쪽에 자갈색 반점이 없는 푸른더덕(for. emaculata)이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산약 추출물은 마의 덩이뿌리를 한방약재로 통칭하는 이름이다. 마(Dioscorea japonica Thunb.)는 중국 원산으로 약초로 재배하며 산지에서 자생한다. 식물체에 자줏빛이 돌고 뿌리는 육질이며 땅 속 깊이 들어간다. 품종에 따라 긴 것, 손바닥처럼 생긴 것, 덩어리 같은 것 등 여러 가지이다. 잎은 삼각형 비슷하고 심장밑 모양이며, 잎자루는 잎맥과 더불어 자줏빛이 돌고 잎겨드랑이에 주아(珠芽)가 생긴다. 꽃은 단성화로 6~7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1~3개씩 수상꽃차례[穗狀花序]를 이룬다. 수꽃이삭은 곧게 서고 암꽃이삭은 밑으로 처진다. 열매는 삭과로 10월에 익으며 3개의 날개가 있고 둥근 날개가 달린 종자가 들어 있다. 덩이뿌리를 한방에서는 산약(山藥)이라고 하며, 덩이뿌리는 식용·약용(강장·강정·지사제)으로 이용한다. 한국·일본·타이완·중국에 분포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연근(Nelumbo nucifera Gaertn)은 원산지가 열대 아시아인 다년생 수생(水生)식물로 땅 속으로 길게 뻗어가는 땅속 줄기로서 마디가 있고 희고 가늘며 겨울에 비대해져 연근이 된다. 땅속 줄기는 긴 것은 1.8m 이상이 되는 것도 있다. 연의 생육 적온은 25~30℃로 높다.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연은 인도에서 유래한 종으로 한국재래종과 일본종이 이에 속하며, 4~5월에 뿌리를 심어 9월초부터 이듬해 5월 상순까지 수시로 수확한다. 연근의 마디 사이에는 여러 개의 관상공간이 있고 연근즙은 저혈압인 사람에게 좋다고 한다. 연근은 주성분이 탄수화물이며 10% 정도로 대부분이 전분이며 비타민 B는 0.05mg, 비타민 C는 50mg정도 들어 있다. 뿌리를 자를 때 생기는 끈끈한 성분은 단백질과 당분이 결합한 것이다. 연근에는 클로로젠산과 폴리펜올이라는 물질이 있어 흑갈색으로 변하기 쉽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애플마 추출물, 백년초 추출물, 더덕 추출물, 산약 추출물, 연근 추출물 또는 이들의 복합성분에서의 뮤신의 추출은 침지 추출, 열수 추출, 초고압 추출, 교반 추출 등에 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교반 추출에 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애플마, 백련초, 더덕, 산약 또는 연근에서 추출한 식물성 뮤신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20 중량% 함유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효과 등을 얻을 수 없고,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초과하면 함량 증가에 비해 효과의 증가가 크지 않기 때문에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타입의 화장료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로션, 연고, 젤,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투여형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에서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대량으로 손쉽게 추출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얻은 식물성 뮤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 탄력 증가, 피부 보습 효과 및 주름을 개선시킬 수 있었으며,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고 항염, 항균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본원발명 제조예 1~7의 농도(ppm)에 대한 DPPH 라디칼 소거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비처리군과 처리농도별 제조예 11의 Rnase 7의 mRNA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비처리군과 처리농도별 제조예 11의 서라이어신(Psoriasin)의 mRNA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a) S. aureus, b) E. coli, c) P. aerusinosa, d) C.albicans, e) A. niger에 대한 항균효과 실험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이 이들 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애플마 추출물의 제조
애플마 1 kg을 흐르는 물에 씻어 흙을 제거하고 껍질 부위를 깎아 속부위를 슬라이스 형태로 자른다. 정제수 1000 L를 용매로 하여 교반장치로 300 rpm에서 자석 교반기로 저어주면서 4 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후 점액질은 필터가 안되므로 원심분리 (8000 rpm, 15℃, 15 min)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슬러지 및 전분성분을 가라앉힌 후 점액 성분을 수득한다. 점액성분을 용해도 컨버젼(solubility conversion)하여 부유시킨 후 수득하여 드라이 오븐을 이용하여 완전 건조시킨다. 마지막으로 이를 희석하여 애플마의 뮤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백년초 추출물의 제조
백년초 1 kg을 흐르는 물에 씻어 흙을 제거하고 껍질 부위를 깎아 속부위를 슬라이스 형태로 자른다. 정제수 1000 L를 용매로 하여 교반장치로 300 rpm에서 자석 교반기로 저어주면서 4 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후 점액질은 필터가 안되므로 원심분리 (8000 rpm, 15℃, 15 min)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슬러지 및 전분성분을 가라앉힌 후 점액 성분을 수득한다. 점액성분을 용해도 컨버젼하여 부유시킨 후 수득하여 드라이 오븐을 이용하여 완전 건조시킨다. 마지막으로 이를 희석하여 백년초의 뮤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더덕 추출물의 제조
더덕 1 kg을 흐르는 물에 씻어 흙을 제거하고 껍질 부위를 깎아 속부위를 슬라이스 형태로 자른다. 정제수 1000 L를 용매로 하여 교반장치로 300 rpm에서 자석 교반기로 저어주면서 4 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후 점액질은 필터가 안되므로 원심분리 (8000 rpm, 15℃, 15 min)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슬러지 및 전분성분을 가라앉힌 후 점액 성분을 수득한다. 점액성분을 용해도 컨버젼하여 부유시킨 후 수득하여 드라이 오븐을 이용하여 완전 건조시킨다. 마지막으로 이를 희석하여 더덕의 뮤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산약 추출물의 제조
산약 1 kg을 흐르는 물에 씻어 흙을 제거하고 껍질 부위를 깎아 속부위를 슬라이스 형태로 자른다. 정제수 1000 L를 용매로 하여 교반장치로 300 rpm에서 자석 교반기로 저어주면서 4 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후 점액질은 필터가 안되므로 원심분리 (8000 rpm, 15℃, 15 min)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슬러지 및 전분성분을 가라앉힌 후 점액 성분을 수득한다. 점액성분을 용해도 컨버젼하여 부유시킨 후 수득하여 드라이 오븐을 이용하여 완전 건조시킨다. 마지막으로 이를 희석하여 산약의 뮤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연근 추출물의 제조
연근 1 kg을 흐르는 물에 씻어 흙을 제거하고 껍질 부위를 깎아 속부위를 슬라이스 형태로 자른다. 정제수 1000 L를 용매로 하여 교반장치로 300 rpm에서 자석 교반기로 저어주면서 4 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후 점액질은 필터가 안되므로 원심분리 (8000 rpm, 15℃, 15 min)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슬러지 및 전분성분을 가라앉힌 후 점액 성분을 수득한다. 점액성분을 용해도 컨버젼하여 부유시킨 후 수득하여 드라이 오븐을 이용하여 완전 건조시킨다. 마지막으로 이를 희석하여 연근의 뮤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백년초, 더덕의 혼합 추출물의 제조
백년초, 더덕을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흐르는 물에 씻어 흙을 제거하고 껍질 부위를 깎아 속부위를 슬라이스 형태로 자른다. 정제수 1000 L를 용매로 하여 교반장치로 300 rpm에서 자석 교반기로 저어주면서 4 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후 점액질은 필터가 안되므로 원심분리 (8000 rpm, 15℃, 15 min)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슬러지 및 전분성분을 가라앉힌 후 점액 성분을 수득한다. 점액성분을 용해도 컨버젼하여 부유시킨 후 수득하여 드라이 오븐을 이용하여 완전 건조시킨다. 마지막으로 이를 희석하여 혼합 뮤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7] 산약, 연근의 혼합 추출물의 제조
산약, 연근을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흐르는 물에 씻어 흙을 제거하고 껍질 부위를 깎아 속부위를 슬라이스 형태로 자른다. 정제수 1000 L를 용매로 하여 교반장치로 300 rpm에서 자석 교반기로 저어주면서 4 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후 점액질은 필터가 안되므로 원심분리 (8000 rpm, 15℃, 15 min)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슬러지 및 전분성분을 가라앉힌 후 점액 성분을 수득한다. 점액성분을 용해도 컨버젼하여 부유시킨 후 수득하여 드라이 오븐을 이용하여 완전 건조시킨다. 마지막으로 이를 희석하여 혼합 뮤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8] 애플마, 백년초, 더덕의 혼합 추출물의 제조
애플마, 백년초, 더덕을 1:1:1 중량비로 혼합하여 흐르는 물에 씻어 흙을 제거하고 껍질 부위를 깎아 속부위를 슬라이스 형태로 자른다. 정제수 1000 L를 용매로 하여 교반장치로 300 rpm에서 자석 교반기로 저어주면서 4 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후 점액질은 필터가 안되므로 원심분리 (8000 rpm, 15℃, 15 min)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슬러지 및 전분성분을 가라앉힌 후 점액 성분을 수득한다. 점액성분을 용해도 컨버젼하여 부유시킨 후 수득하여 드라이 오븐을 이용하여 완전 건조시킨다. 마지막으로 이를 희석하여 혼합 뮤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9] 애플마, 산약, 연근의 혼합 추출물의 제조
애플마, 산약, 연근을 1:1:1 중량비로 혼합하여 흐르는 물에 씻어 흙을 제거하고 껍질 부위를 깎아 속부위를 슬라이스 형태로 자른다. 정제수 1000 L를 용매로 하여 교반장치로 300 rpm에서 자석 교반기로 저어주면서 4 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후 점액질은 필터가 안되므로 원심분리 (8000 rpm, 15℃, 15 min)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슬러지 및 전분성분을 가라앉힌 후 점액 성분을 수득한다. 점액성분을 용해도 컨버젼하여 부유시킨 후 수득하여 드라이 오븐을 이용하여 완전 건조시킨다. 마지막으로 이를 희석하여 혼합 뮤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0] 애플마, 백년초, 더덕, 산약의 혼합 추출물의 제조
애플마, 백년초, 더덕, 산약을 1:1:1:1:1 중량비로 혼합하여 흐르는 물에 씻어 흙을 제거하고 껍질 부위를 깎아 속부위를 슬라이스 형태로 자른다. 정제수 1000 L를 용매로 하여 교반장치로 300 rpm에서 자석 교반기로 저어주면서 4 시간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후 점액질은 필터가 안되므로 원심분리 (8000 rpm, 15℃, 15 min)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슬러지 및 전분성분을 가라앉힌 후 점액 성분을 수득한다. 점액성분을 용해도 컨버젼하여 부유시킨 후 수득하여 드라이 오븐을 이용하여 완전 건조시킨다. 마지막으로 이를 희석하여 혼합 뮤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1] 애플마, 백년초, 더덕, 산약, 연근의 혼합 추출물의 제조
애플마, 백년초, 더덕, 산약, 연근을 1:1:1:1:1 중량비로 혼합하여 흐르는 물에 씻어 흙을 제거하고 껍질 부위를 깎아 속부위를 슬라이스 형태로 자른다. 정제수 1000 L를 용매로 하여 교반장치로 300 rpm에서 자석 교반기로 저어주면서 4 시간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후 점액질은 필터가 안되므로 원심분리 (8000 rpm, 15℃, 15 min)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슬러지 및 전분성분을 가라앉힌 후 점액 성분을 수득한다. 점액성분을 용해도 컨버젼하여 부유시킨 후 수득하여 드라이 오븐을 이용하여 완전 건조시킨다. 마지막으로 이를 희석하여 혼합 뮤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농도별 DPPH 라디칼 소거 효과
전자공여능 측정은 블루아(Blois)의 방법에 준하여 추출물의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에 대한 수소공여 효과로 측정하였다.
먼저, 일정 농도의 샘플 2 mL에 2*10-4M DPPH용액(99% 에탄올에 용해시킨 것)을 1 mL 첨가하고, 볼텍싱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이 반응액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전자공여능은 하기의 수학식 1을 사용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제조사: Sigma)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1
  농도(ppm) 별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농도(ppm) 0 100 300 500 1000
제조예 1 애플마 추출물 0 20 53 75 85
제조예 2 백년초 추출물 0 17 46 65 83
제조예 3 더덕 추출물 0 14 45 63 85
제조예 4 산약 추출물 0 16 47 70 84
제조예 5 연근 추출물 0 18 44 68 82
제조예 6 백년초 및 더덕 추출물 0 15 46 63 84
제조예 7 산약 및 연근 추출물 0 17 43 69 83
제조예 8 애플마, 백년초, 더덕 추출물 0 20 55 75 84
제조예 9 애플마, 산약, 연근 추출물 0 20 50 76 83
제조예10 애플마, 백년초, 더덕, 산약 추출물 0 20 52 75 84
제조예11 애플마, 백년초, 더덕, 산약, 연근 추출물 0 20 52 75 84
대조군 아스코르브산 0 25 55 78 87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제조예 1~11의 식물성 뮤신 추출물이 농도가 높아질수록 강력한 항산화제로 알려진 아스코르브산과 등등한 수준의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피부탄력 측정
상기 제조예 1 내지 11의 피부 탄력증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표 2 및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11 및 비교예 1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제조예 1 1 0 0 0 0 0
제조예 2 0 1 0 0 0 0
제조예 3 0 0 1 0 0 0
제조예 4 0 0 0 1 0 0
제조예 5 0 0 0 0 1 0
제조예 6 0 0 0 0 0 1
제조예 7 0 0 0 0 0 0
제조예 8 0 0 0 0 0 0
제조예 9 0 0 0 0 0 0
제조예 10 0 0 0 0 0 0
제조예 11 0 0 0 0 0 0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글리세린 8 8 8 8 8 8
부틸렌글리콜 4 4 4 4 4 4
히알루론산 추출물 5 5 5 5 5 5
베타글루칸 7 7 7 7 7 7
카보머 0.15 0.15 0.15 0.15 0.15 0.15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8 8 8 8 8 8
스쿠알란 5 5 5 5 5 5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1.5 1.5 1.5 1.5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0.4 0.4 0.4 0.4 0.4
세테아릴 알코올 2 2 2 2 2 2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성분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비교예 1
제조예 1 0 0 0 0 0 0
제조예 2 0 0 0 0 0 0
제조예 3 0 0 0 0 0 0
제조예 4 0 0 0 0 0 0
제조예 5 0 0 0 0 0 0
제조예 6 0 0 0 0 0 0
제조예 7 1 0 0 0 0 0
제조예 8 0 1 0 0 0 0
제조예 9 0 0 1 0 0 0
제조예 10 0 0 0 1 0 0
제조예 11 0 0 0 0 1 0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글리세린 8 8 8 8 8 8
부틸렌글리콜 4 4 4 4 4 4
히알루론산 추출물 5 5 5 5 5 5
베타글루칸 7 7 7 7 7 7
카보머 0.15 0.15 0.15 0.15 0.15 0.15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8 8 8 8 8 8
스쿠알란 5 5 5 5 5 5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1.5 1.5 1.5 1.5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0.4 0.4 0.4 0.4 0.4
세테아릴 알코올 2 2 2 2 2 2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상기의 표 2 및 표 3의 구성비로 제조한 실시예 1~11 및 비교예 1을 피부 탄력측정기를 통하여 피부탄력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제 사람의 피부에서의 탄력 증진 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실시예 1~11 및 비교예 1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시험하였다. 25~35세 여성 20명을 아침 저녁 매일 2회씩 8주간 안면에 도포한 후 피부 탄력 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결과값은 피부 탄력 측정기의 피부 점탄성(viscoelasticity)을 의미한다.
시험물질 피부탄력효과
실시예 1 0.49±0.10
실시예 2 0.27±0.10
실시예 3 0.37±0.10
실시예 4 0.41±0.10
실시예 5 0.33±0.10
실시예 6 0.40±0.10
실시예 7 0.35±0.10
실시예 8 0.27±0.10
실시예 9 0.42±0.11
실시예 10 0.41±0.10
실시예 11 0.40±0.10
비교예 1 0.12±0.09
상기의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11은 식물성 뮤신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하여 2-3배 이상의 우수한 피부탄력 증진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콜라겐 생성촉진 및 콜라게네이즈 억제효과
섬유아세포 세포주(cell line) hs68을 이용하여 타입 1 프로콜라겐(procollagen) 생성능과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 합성 억제능을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콜라겐 생성능 비교를 위하여 음성 대조군으로는 물질 처리를 하지 않았으며 양성 대조군으로 비타민 C를 이용하였다.
FALCON 48-웰(well) 플레이트(plate)에 섬유아세포를 5ⅹ104/웰(well)로 깔아서 부착시킨 후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 추출물을 1ppm 농도로 처리하였다. 24시간 배양한 후, 배양층액에서 타입 1 프로콜라겐 생성량을 타입 1 pN 콜라겐 EIA 키트(kit)를 이용하여 특정하였다. 타입 1 프로콜라겐 생성량을 총 단백질량으로 보정한 후, 각 대조군과 실험군과 비교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4] 콜라게네이즈 합성 억제 효과
FALCON 48-웰(well) 플레이트(plate)에 섬유아세포를 5ⅹ104/웰(well)로 깔아서 부착시킨 후 UVB의 15 mJ/㎠를 조사한 후에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 추출물을 1ppm 농도로 처리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배양 상층액에서 콜라게네이즈 중 하나인 MMP-1(matrix metalloproteinases-1)의 생성량을 MMP-1 ELISA 키트(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MMP-1의 양을 총 단백질량으로 보정하였다.
이때, 콜라게네이즈 합성 억제능 측정을 위하여 음성 대조군으로 어떤 물질도 처리하지 않았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레티노익산을 처리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측정한 콜라겐 생성능 결과를 표 5에, 콜라게네이즈 억제효과 측정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그룹 콜라겐 생성능
대조군 비타민 C 28.7 %증가
제조예1(애플마 추출물) 27.8% 증가
제조예 2(백년초 추출물) 15.2% 증가
제조예 3(더덕 추출물) 11.5% 증가
제조예 4(산약 추출물) 18.1% 증가
제조예 5(연근 추출물) 15.2% 증가
제조예 6(백년초 및 더덕 추출물) 20.4% 증가
제조예 7(산약 및 연근 추출물) 19.2% 증가
제조예 8(애플마, 백년초, 더덕 추출물) 24.8% 증가
제조예 9(애플마, 산약, 연근 추출물) 20.4% 증가
제조예 10(애플마, 백년초, 더덕, 산약 추출물) 22.8% 증가
제조예 11(애플마, 백년초, 더덕, 산약, 연근 추출물) 25.6% 증가
그룹 MMP-1 합성능
레티노익산 (1M) 51.6 % 감소
제조예 1(애플마 추출물) 46.7 % 감소
제조예 2(백년초 추출물) 19.7 % 감소
제조예 3(더덕 추출물) 28.1 % 감소
제조예 4(산약 추출물) 23.6% 감소
제조예 5(연근 추출물) 33.1% 감소
제조예 6(백년초 및 더덕 추출물) 19.7 % 감소
제조예 7(산약 및 연근 추출물) 28.1 % 감소
제조예 8(애플마, 백년초, 더덕 추출물) 40.1 % 감소
제조예 9(애플마, 산약, 연근 추출물) 45.1 % 감소
제조예 10(애플마, 백년초, 더덕, 산약 추출물) 44.6 % 감소
제조예 11(애플마, 백년초, 더덕, 산약, 연근 추출물) 44.7 % 감소
상기의 표 5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제조예 1~11의 식물성 뮤신 추출물이 강력한 콜라겐 생성 촉진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비타민 C와 동등한 콜라겐 생성 촉진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표 6의 결과로부터 본원발명이 우수한 MMP-1 합성능 억제 효과를 갖고 있으며, 특히 제조예 1, 9, 10 및 11의 경우 레티노익산과 동등한 MMP-1 합성능 억제효과를 갖고 있어 피부 주름 방지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Rnase 7, Psoriasin mRNA 발현증가 효과 q-PCR 결과
본원발명의 항염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험물질이 HaCaT에서 RNase 7((TaqMan? Gene Expression Assay, Hs00922963_s1)과 서라이어(Psoriasin, Applied Biosystem 사, USA)의 mRNA 발현량을 증가 정도를 Q-PCR(TaqMan? Gene Expression Assay, Hs00161488_m1))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여 측정하였다.
HaCaT 세포(5x105cell)를 6 웰플레이트(well plate)에 심은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10% FBS DMEM에 200, 50, 12.5 ppm으로 물질을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다시 배양한 후 RNA 추출, cDNA합성을 거쳐 Q-PCR을 수행하였다.
이때, 본원발명으로는 상기 제조예 11의 식물성 뮤신을 파우더 상태로 포함시켜 사용하였다. 하기의 표 7은 RNase 7의 mRNA 발현량을 나타낸 것이며, 이를 도 2에 나타내었다.
Rnase 7 농도(ppm) 편차
비처리군   1 0
제조예 11 200 2.59 0.13
50 2.8 0.07
12.5 1.53 0.03
하기의 표 8은 Psoriasin의 mRNA 발현량을 나타낸 것이며, 이를 도 3에 나타내었다.
PSORIASIN 농도(ppm) 편차
비처리군   1 0
제조예 11 200 1.52 0
50 1.34 0.01
12.5 1.05 0.21
상기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식물성 뮤신으로서 제조예 11을 200 ppm처리시 비처리군보다 RNase7의 mRNA 발현량은 1.59배, Psoriasin의 mRNA 발현량은 0.52배 증가되어 우수한 항염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5] 항균 효과
항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a) S. aureus, b) E. coli, c) P. aerusinosa, d) C.albicans, e) A. niger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과정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항균력 테스트(Paper disc diffusion법)로 하였다. 이때, 제조예 1의 애플마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검정균주는 진균종류인 C. albicals, A. niger, 박테리아 종류인 S. aureus, E. coli, P. aerusinosa를 사용하였다.
항균 활성은 sample 20 ㎕를 페이퍼 디스크(Φ= 6 ㎜, Whatman Co.)에 첨가하여 건조시킨 후 검정균주가 든 평판배지 위에 얹고 세균은 37℃에서 48hr 배양하여 생성된 클리어 존의 유무 및 크기를 통해 판단하였다.
항균효과 실험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진균종류인 C. albicals, A. niger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박테리아 종류인 S. aureus, E. coli, P. aerusinosa에서는 항균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볼 때, 본 발명에 의한 식물성 뮤신을 함유하는 애플마 추출물, 백련초 추출물, 더덕 추출물, 산약 추출물, 연근 추출물 또는 이들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에서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대량으로 손쉽게 추출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얻은 식물성 뮤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 탄력 증가, 피부 보습 효과 및 주름을 개선시킬 수 있었으며,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고 항염, 항균 효과를 제공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식물성 뮤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하기의 제형예와 같이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영양화장수
하기 표 9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뮤신 추출물 10
스쿠알란 5.0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2] 영양크림
하기 표 10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뮤신 추출물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PEG60 경화피마자유 2.0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팩
하기 표 1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뮤신 추출물 10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4] 연고
하기 표 1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뮤신 추출물 10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스테아릴 알코올 1.0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잔량
밀랍 4.1
합계 100

Claims (6)

  1. 식물성 뮤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뮤신 추출물은 애플마 추출물, 백련초 추출물, 더덕 추출물, 산약 추출물, 연근 추출물 또는 이들의 복합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뮤신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2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탄력 증진용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노화 방지용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10112210A 2011-10-31 2011-10-31 식물성 뮤신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1932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210A KR101932089B1 (ko) 2011-10-31 2011-10-31 식물성 뮤신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210A KR101932089B1 (ko) 2011-10-31 2011-10-31 식물성 뮤신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806A true KR20130047806A (ko) 2013-05-09
KR101932089B1 KR101932089B1 (ko) 2018-12-24

Family

ID=48659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210A Expired - Fee Related KR101932089B1 (ko) 2011-10-31 2011-10-31 식물성 뮤신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0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09250A (zh) * 2016-10-14 2017-01-11 吴迪 一种天然植物皮肤保湿剂的制备方法
KR20170038500A (ko)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뮤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42555B1 (ko) * 2022-09-07 2023-06-15 (주)엔비바이오컴퍼니 식물성 뮤신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KR20240113082A (ko) * 2023-01-13 2024-07-22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인섹트라온 식물성 뮤신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식물성 뮤신 복합 추출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6378B1 (en) 2023-03-22 2023-11-07 King Faisal University Therapeutic composition including phenolic compounds derived from Opuntia littorali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0954A (ja) * 2006-10-28 2008-05-15 Mikio Kuzuu 化粧品
JP2008127379A (ja) * 2006-11-17 2008-06-05 Mikio Kuzuu 薬、健康食品又は化粧品
JP2008137983A (ja) * 2006-11-29 2008-06-19 Mikio Kuzuu 化粧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500A (ko)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뮤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6309250A (zh) * 2016-10-14 2017-01-11 吴迪 一种天然植物皮肤保湿剂的制备方法
KR102542555B1 (ko) * 2022-09-07 2023-06-15 (주)엔비바이오컴퍼니 식물성 뮤신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KR20240113082A (ko) * 2023-01-13 2024-07-22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인섹트라온 식물성 뮤신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식물성 뮤신 복합 추출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089B1 (ko) 201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6213B1 (ko)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6521A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32089B1 (ko) 식물성 뮤신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2002783A2 (ko) 닥나무를 포함하는 천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32873B1 (ko)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53186B1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101248056B1 (ko) 노인 냄새 제거용 천연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0981344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20211B1 (ko)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82971B1 (ko) 딱총나무 및 으아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9223B1 (ko) 천연 복합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2017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00345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74248B1 (ko)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2165A (ko)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방법
KR20090085844A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102162917B1 (ko) 쓴쑥, 범부채, 돌나물, 미역취 및 개다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66470B1 (ko) 캐모마일꽃, 찔레꽃 및 산구절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16816B1 (ko) 타히보 추출물, 백선피 추출물, 시무나무 추출물, 천련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817536B1 (ko) 항염 효과를 갖춘 천연 창과감초추출물, 병풀정량추출물과 보습 효과를 갖춘 식물성 스쿠알란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43513A (ko) 항균 효능을 갖는 왕머루뿌리추출물과 비타민c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741855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7171A (ko) 흑호두나무, 회화나무 및 소나무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항염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6435B1 (ko) 산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5-X000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R16-X000 Change to inventor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7-div-PA010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212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1219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