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7605A - 화상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7605A
KR20130047605A KR1020120119009A KR20120119009A KR20130047605A KR 20130047605 A KR20130047605 A KR 20130047605A KR 1020120119009 A KR1020120119009 A KR 1020120119009A KR 20120119009 A KR20120119009 A KR 20120119009A KR 20130047605 A KR20130047605 A KR 20130047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target
target color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3612B1 (ko
Inventor
미츠코 니시우라
Original Assignee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37079A external-priority patent/JP550205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37078A external-priority patent/JP5502053B2/ja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7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2Retouching, i.e. modification of isolated colours only or in isolated picture areas only
    • H04N1/628Memory colours, e.g. skin or sk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보정 대상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미리 지정된 색범위에 속하는 화소를 추출하는 화소 추출부와, 목표색 유지부에 저장된 복수의 목표색으로부터, 하나의 목표색의 선택을 접수하는 목표색 선택 접수부와, 추출된 화소의 색과 선택된 목표색에 기초하여 색보정을 실시하는 색보정 실시부와, 등록용 화상 유지부의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로부터 등록 대상의 목표색을 추출하는 목표색 추출부와, 추출된 등록 대상의 목표색을 미리 지정된 색범위와 대응시켜 목표색 유지부에 등록하는 목표색 등록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색보정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IMAGE PROCESSING APPARATUS}
본 개시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색보정을 실시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나 복합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컬러 인쇄 가능한 기기가 일반적이다. 이런 종류의 화상 형성 장치는, 예를 들면, C(시안), M(마젠타), Y(옐로우), K(블랙)의 4색의 토너나 잉크 등의 기록제의 조합에 의해, 컬러 인쇄를 실현한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의 상당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색보정을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그 이유는, 화상 형성 장치에는, 원원고의 색채를 충실히 재현 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근래, 사진 등을 포함하는 화상의 인쇄가 되도록 되고, 색채를 사람이 바람직하다고 느끼는 색으로 변환시키는 것도 요구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사람이 바람직하다고 느끼는 색으로 색채를 변환시킨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이른바 기억색을 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억색이란, 예를 들면, 사람의 피부, 하늘의 파랑, 초목의 초록, 석양의 빨강 등의 색이며, 원원고에 충실한 색의 재현을 행하는 것보다, 인간이 기억하고 있는 색에 가까운 색의 재현을 바람직하게 느끼는 색이다.  
이러한 기억색은, 선호되는 색에 개인차가 있다. 그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느끼는 색을 적절히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색조를 조금씩 변화시킨 복수의 썸네일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색조정용 화상을 인쇄하고, 상기 인쇄된 색조정용 화상으로부터 선택한 썸네일 화상을 특정하는 번호를 사용자에게 입력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바람직한 색보정을 선택시키고, 상기 색보정을 화상 처리에 반영시키는 화상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 동일 화상에 대해서 다른 색보정을 실시한 복수의 화상을 동일 화면에 표시시키고, 상기 화상을 사용자에게 선택시킴으로써, 색보정 조건을 사용자에게 선택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상술의 기술에서는, 제시된 색보정 후보에 바람직한 색보정이 포함되어 있으면, 사용자는, 그 색보정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제시된 색보정 후보에 바람직한 색보정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그 바람직한 색보정을 얻기 위해서 복잡한 조작 등이 필요하게 되고, 사용자는, 원하는 색보정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없다.
본 개시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색보정을 실시하는 화상 처리 장치로서, 화소 추출부, 목표색 유지부, 목표색 선택 접수부, 색보정 실시부, 등록용 화상 유지부, 목표색 추출부 및 목표색 등록부를 구비한다. 화소 추출부는, 보정 대상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미리 지정된 색범위에 속하는 화소를 추출한다. 목표색 유지부는, 미리 지정된 색범위와 대응시켜 복수의 목표색을 저장한다. 목표색 선택 접수부는, 목표색 유지부에 저장된 복수의 목표색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한 하나의 목표색의 선택을 접수한다. 색보정 실시부는, 화소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화소의 색과 목표색 선택 접수부를 통해서 선택된 목표색에 기초하여, 보정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색보정을 실시한다. 등록용 화상 유지부는, 등록 대상의 목표색을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를 유지한다. 목표색 추출부는, 등록용 화상 유지부에 유지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등록 대상의 목표색을 추출한다. 목표색 등록부는, 목표색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등록 대상의 목표색을 미리 지정된 색범위와 대응시켜 목표색 유지부에 등록한다.
또, 본 개시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색보정을 실시하는 화상 처리 장치로서, 화소 추출부, 목표색 유지부, 목표색 선택 접수부, 색보정 실시부, 등록용 화상 유지부, 목표색 추출부, 색범위 입력부 및 목표색 등록부를 구비한다. 화소 추출부는, 보정 대상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미리 지정된 색범위에 속하는 화소를 추출한다. 목표색 유지부는, 미리 지정된 색범위와 대응시켜 복수의 목표색을 저장한다. 목표색 선택 접수부는, 목표색 유지부에 저장된 복수의 목표색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한 하나의 목표색의 선택을 접수한다. 색보정 실시부는, 화소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화소의 색과 목표색 선택 접수부를 통해서 선택된 목표색에 기초하여, 보정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색보정을 실시한다. 등록용 화상 유지부는, 등록 대상의 목표색을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를 유지한다. 목표색 추출부는, 등록용 화상 유지부에 유지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등록 대상의 목표색을 추출한다. 목표색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등록 대상의 목표색과 대응시키는 새로운 색범위는 색범위 입력부에 입력된다. 목표색 등록부는, 목표색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등록 대상의 목표색을, 색범위 입력부에 입력된 새로운 색범위와 대응시켜 목표색 유지부에 등록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사용자는, 화상 처리 장치에 원하는 색보정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원하는 색보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합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합기의 조작 패널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합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합기를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합기가 실시하는 색보정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합기가 표시하는 색범위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합기가 표시하는 목표색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합기가 실시하는 목표색 등록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합기가 표시하는 목표색 위치 지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합기가 표시하는 색범위 지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합기가 표시하는 목표색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복합기를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복합기가 표시하는 목표색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복합기가 실시하는 선택용 화상 생성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복합기가 표시하는 목표색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합기를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합기가 실시하는 색보정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합기가 표시하는 색범위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합기가 표시하는 목표색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합기가 실시하는 목표색 등록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합기가 표시하는 목표색 위치 지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합기가 표시하는 색범위 입력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합기가 표시하는 색범위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합기가 표시하는 목표색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디지털 복합기로서 본 개시를 구체화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털 복합기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합기(100)는, 화상 판독부(120) 및 화상 형성부(140)를 포함하는 본체(101)와, 본체(101)의 상방에 부착된 플래턴 커버(102)를 구비한다. 본체(101)의 상면에는, 원고대(103)가 설치되어 있다. 원고대(103)는, 플래턴 커버(102)에 의해 개폐된다. 또, 플래턴 커버(102)는, 원고 반송 장치(110)를 구비하고 있다.
원고대(103)의 하방에는, 화상 판독부(120)가 설치되어 있다. 화상 판독부(120)는, 주사광학계(121)에 의해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고, 그 화상의 디지털 데이터(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원고는, 원고대(103)나 원고 반송 장치(110)에 올려진다. 주사광학계(121)는, 제1 캐리지(122), 제2 캐리지(123), 및 집광렌즈(124)를 구비한다. 제1 캐리지(122)에는, 선상의 광원(131), 및 미러(132)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캐리지(123)에는, 미러(133 및 134)가 설치되어 있다. 광원(131)은 원고를 조명한다. 미러(132, 133, 134)는,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집광렌즈(124)로 이끈다. 집광렌즈(124)는, 그 광상을 라인 이미지 센서(125)의 수광면에 결상한다.
이 주사광학계(121)에 있어서, 제1 캐리지(122) 및 제2 캐리지(123)는, 부주사 방향(135)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캐리지(122) 및 제2 캐리지(123)를 부주사 방향(135)으로 이동함으로써, 원고대(103)에 올려진 원고의 화상을, 이미지 센서(125)로 판독할 수 있다. 원고 반송 장치(110)에 세트된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경우, 화상 판독부(120)는, 제1 캐리지(122) 및 제2 캐리지(123)를 화상 판독 위치에 맞추어 일시적으로 고정하고, 화상 판독 위치를 통과하는 원고의 화상을 이미지 센서(125)로 판독한다. 이미지 센서(125)는, 수광면에 입사 한 광상으로부터, 예를 들면, R(레드), G(그린), B(블루)의 각 색에 대응하는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형성부(140)에 있어서 용지에 인쇄된다. 또,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네트워크 어댑터(161)에 의해 네트워크(162)를 통해서 다른 기기(도시 생략)에 송신될 수도 있다.
화상 형성부(140)는, 화상 판독부(120)로 얻은 화상 데이터나, 네트워크(162)에 접속된 다른 기기(도시 생략)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용지에 인쇄한다. 화상 형성부(140)는, 감광체 드럼(141)을 구비한다. 감광체 드럼(141)은 일정 속도로 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감광체 드럼(141)의 주위에는, 회전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대전기(142), 노광기(143), 현상기(144), 및 중간 전사 벨트(145)가 배치되어 있다. 대전기(142)는, 감광체 드럼(141)의 표면을 일정하게 대전시킨다. 노광기(143)는, 일정하게 대전한 감광체 드럼(141)의 표면에, 화상 데이터에 따라 광을 조사하고, 감광체 드럼(141)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현상기(144)는, 그 정전 잠상에 토너를 부착시키고, 감광체 드럼(141) 상에 토너상을 형성한다. 중간 전사 벨트(145)는, 감광체 드럼(141) 상의 토너상을 용지에 전사 한다. 화상 데이터가 컬러 화상인 경우, 중간 전사 벨트(145)는, 각 색의 토너상을 동일한 용지에 전사한다. 또한, RGB 형식의 컬러 화상은, C(시안), M(마젠타), Y(옐로우), K(블랙) 형식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되고, 각 색의 화상 데이터는 노광기(143)에 입력된다.
화상 형성부(140)는, 수동 급지 트레이(151), 급지 카세트(152, 153, 154) 등으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145)와 전사 롤러(146)의 사이의 전사부에, 용지를 급송한다. 수동 급지 트레이(151)나 각 급지 카세트(152, 153, 154)에는, 여러가지 사이즈의 용지가 재치 또는 수용된다. 화상 형성부(140)는, 사용자가 지정한 용지나, 자동 검지한 원고의 사이즈에 따른 용지를 선택하고, 선택한 용지를 급송 롤러(155)에 의해 수동 급지 트레이(151)나 카세트(152, 153, 154)로부터 급지한다. 급지된 용지는, 반송 롤러(156)나 레지스터 롤러(157)에 의해 전사부에 반송된다. 토너상을 전사한 용지는, 반송 벨트(147)에 의해 정착기(148)에 반송된다. 정착기(148)는, 히터를 내장한 정착 롤러(158) 및 가압 롤러(159)를 갖고 있고, 열과 가압력에 의해 토너상을 용지에 정착한다. 화상 형성부(140)는, 정착기(148)를 통과한 용지를 배지 트레이(149)에 배지한다.
도 2는, 복합기가 구비하는 조작 패널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조작 패널(200)을 이용하여, 복합기(100)에 복사 개시나 그 외의 지시를 주거나, 복합기(100)의 상태나 설정을 확인하거나 할 수 있다. 조작 패널(200)에는, 터치 패널이 달린 디스플레이(201)나 조작 키(203)가 배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201)는, 조작 버튼이나 메시지 등을 표시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면과, 상기 표시면 상의 가압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한다. 가압 위치의 검지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표면 탄성파 방식, 전자파 방식 등, 임의의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이나 터치 펜(202)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201)를 통해서 입력을 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1)는, 버튼 표시부(204), 메시지 표시부(205) 및 스테이터스 표시부(206)를 갖는 조작 화면을 표시한다. 버튼 표시부(204)에는, 복수의 탭(208)이 준비되어 있다. 각 탭에는, 그 탭의 카테고리에 따른 조작 버튼이 배열되어 있다. 「간단 설정」탭은, 기본적인 설정에 사용되는 조작 버튼을 갖는다. 도 2의 예에서는, 용지 사이즈, 복사 배율, 농도, 인쇄면, 페이지 집약, 및 후 처리를 설정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배열되어 있다. 예를 들면 「농도」버튼(207)을 가압하는 조작을 사용자가 행하면, 농도를 선택하기 위한 「엷다」, 「보통」, 「진하다」 등의 선택 버튼을 갖는 팝 업 화면은, 그 조작 버튼 상에 겹쳐 표시된다. 사용자의 선택(가압)에 의해, 그 농도가 설정된다. 도 2의 예에서는, 「간단 설정」 탭 외에, 「원고/용지/피니셔」 탭, 「컬러/화질」 탭, 「레이아웃/편집」 탭, 및 「응용/기타」 탭도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탭(208)을 선택하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이들 탭의 표시로 전환할 수 있다. 하나의 탭이 선택되고 있는 동안, 조작 화면 상에서 다른 탭이나 그 요소는 숨어 있다. 또한, 이 복합기(100)에서는, 후술하는 색보정은, 「컬러/화질」 탭에 포함되는 「원터치 화질 조정」 버튼의 가압에 의해 실행 가능해진다. 또, 후술하는 목표색 등록은, 「컬러/화질」 탭에 포함되는 「목표색 등록」 버튼의 가압에 의해 실행 가능해진다.
메시지 표시부(205)에는, 복사가 가능한지의 여부, 복사 부수 등의 설정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또, 스테이터스 표시부(206)에는, 필요에 따라서 장치 스테이터스 정보가 표시된다. 이 표시에는, 복합기(100)가 구비하는 각종 센서의 검지 결과가 반영된다. 장치 스테이터스 정보란, 장치가 동작 가능한 상태에 있지만, 이상에 대한 대응을 재촉하는 경고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장치 스테이터스 정보는, 예를 들면, 용지 잔량이 적은 것, 원고대(103)가 더러워져 있는 것, 팩시밀리의 메모리 수신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팩스 문서가 메모리에 저장된 것 등을 포함한다. 또, 장치 스테이터스 정보는, 용지 떨어짐이나 반송 잼 등을 포함해도 된다.
조작 키(203)는, 주전원 키(209), 텐 키(210)나 스타트 키(211), 클리어 키(212)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전원 키(209)는, 복합기(100)의 ON, OFF의 전환에 사용된다. 텐 키(210)는, 복사 부수의 지정이나 복사 배율의 설정에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들의 설정을 하면, 복합기(100)는, 메시지 표시부(205)에, 예를 들면, 「복사 가능합니다(설정 있음)」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설정이 행해진 것을 통지한다. 스타트 키(211)는, 복사나 화상 인쇄의 개시 지시에 사용된다. 사용자는, 자신이 한 설정을 해제하는 경우, 클리어 키(212)를 조작한다. 사용자에 의한 설정을 기계가 접수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상술의 메시지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그 설정이 불필요해지면, 사용자는 클리어 키(212)를 조작하면 된다.
도 3은, 복합기에 있어서의 제어계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제1 실시 형태의 복합기(100)에 있어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301), RAM(Random Access Memory)(302), ROM(Read Only Memory)(303), HDD(Hard Disk Drive)(304) 및 원고 반송 장치(110), 화상 판독부(120), 화상 형성부(140)에 있어서의 각 구동부에 대응하는 드라이버(305)는, 내부 버스(306)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ROM(303)이나 HDD(304) 등은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CPU(301)는, 그 제어 프로그램의 지령에 따라 복합기(100)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CPU(301)는, RAM(302)을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하고, 드라이버(305)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나 명령을 주고 받음으로써, 상기 각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 HDD(304)는, 화상 판독부(120)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나, 다른 기기로부터 네트워크 어댑터(161)를 통해 수신한 화상 데이터의 축적에도 이용된다.
내부 버스(306)에는, 조작 패널(200)이나 각종 센서(307)도 접속되어 있다. 조작 패널(200)은, 사용자의 조작을 접수하고, 그 조작에 기초한 신호를 CPU(301)에 공급한다. 또, 디스플레이(201)는, CPU(3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술의 조작 화면을 표시한다. 센서(307)는, 플래턴 커버(102)의 개폐 검지 센서나 원고대(103) 상의 원고 검지 센서, 정착기(148)의 온도 센서, 반송되는 용지 또는 원고의 검지 센서 등 각종 센서를 포함한다. CPU(301)는, 예를 들면 ROM(30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이하의 각 수단(기능 블록)을 실현함과 더불어, 이들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각 수단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복합기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복합기(100)는, 화소 추출부(401), 목표색 유지부(402), 목표색 선택 접수부(403), 색보정 실시부(404), 등록용 화상 유지부(405), 목표색 추출부(406), 목표색 등록부(408) 및 보정 대상 화상 유지부(410)를 구비한다. 화소 추출부(401), 목표색 유지부(402), 목표색 선택 접수부(403), 색보정 실시부(404) 및 보정 대상 화상 유지부(410)는, 복합기(100)에 있어서, 소정의 색범위에 속하는 화소의 색을 목표색에 가깝게 하는 색보정을 화상 데이터에 실시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또, 등록용 화상 유지부(405), 목표색 추출부(406) 및 목표색 등록부(408)는, 복합기(100)에 있어서, 목표색 유지부(402)에 새로운 목표색을 등록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화소 추출부(401)는, 보정 대상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미리 지정된 색범위(이하, 지정 색범위라고도 한다.)에 속하는 화소를 추출한다. 상기 색범위는, 예를 들면, 균등 색공간인, CIE L*C*h 색공간에 있어서 일정한 영역을 차지하는 색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화상 데이터는, sRGB(standard RGB) 등의 절대 색공간을 구성하는 색성분으로 표현된 색정보를 갖고 있고, CIE L*C*h 색공간에서의 표현으로 용이하게 변환 가능하다. 또한, 화상 데이터가, 기기 의존을 갖는 RGB 형식으로 표현된 색정보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복합기(100)는, 상기 색정보을, 절대 색공간으로 표현된 색정보로 변환한다.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보정 대상 화상 데이터는, 보정 대상 화상 유지부(410)에 일시적으로 유지된다. 여기에서는, 보정 대상 화상 유지부(410)는, 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로 이루어지는 화상 유지부(411)에 있어서 보정 대상 화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의 등록용 화상 유지부(405)도 화상 유지부(411)에 설치되어 있다. 등록용 화상 유지부(405)는, 화상 유지부(411)에 있어서 등록 대상의 목표색을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이하,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라고 한다.)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구성된다. 복합기(100)에 있어서 보정 대상 화상 데이터와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를 동시에 유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보정 대상 화상 유지부(410)와 등록용 화상 유지부(405)를, 화상 유지부(411)의 동일 부분으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화상 유지부(411)에 유지되는 화상 데이터(보정 대상 화상 데이터 또는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화상 기억부(412)로부터 취득된다. 화상 기억부(412)는, 상술의 HDD(304)에 확보된 기억 영역이다. 화상 기억부(412)에는, 화상 판독부(120)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나 네트워크 어댑터(161) 등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 화상 판독부(120)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나 네트워크 어댑터(161) 등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가 화상 유지부(411)에 직접 저장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목표색 유지부(402)는, 이하에서 상술하는 색보정 실시부(404)에 의해 실시되는 색보정에 있어서의 목표색의 색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에서는, 색정보로서 CIE L*C*h 색공간 내에 있어서의 색좌표가 저장되어 있다. 목표색 유지부(402)에 있어서, 목표색은, 상술의 지정색 범위로서 선택될 수 있는 색범위와 대응시켜 저장되어 있다. 하나의 색범위에는, 복수의 목표색이 대응되어 있다.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목표색 중에서 하나의 목표색을 선택함으로써, 색보정 실시부(404)에 의한 색보정에 있어서의 목표색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목표색은, 사용자에 의해 목표색 선택 접수부(403)를 통해 선택된다.
색보정 실시부(404)는, 화소 추출부(401)에 의해 추출된 화소의 색과 목표색 선택 접수부(403)를 통해서 선택된 목표색에 기초하여, 보정 대상 화상 유지부(410)가 유지하는 보정 대상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색보정을 실시한다. 상기 색보정에 있어서, 만일, 화소 추출부(401)에 의해 추출된 전화소가 선택된 목표색으로 치환되면, 밴딩이 발생하고, 화상 품질이 현저하게 저하해 버린다. 그 때문에, 색보정 실시부(404)는, 화소 추출부(401)에 의해 추출된 화소의 색과 선택된 목표색의 색차, 즉, 균등 색공간(혹은, 균등 색평면)에 있어서의 2색간의 거리에 따른 색보정량을 산출함으로써, 밴딩의 발생을 방지한다. 이 보정 방법으로는, 화소 추출부(401)가 추출한 화소의 색을 목표색에 가깝게 하는 보정을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색차가 큰 경우에는 목표색을 향하는 방향의 보정량(이하, 색보정 벡터라고 한다.)을 크게 하고, 색차가 작은 경우에는 색보정 벡터를 작게 한다.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색차의 크기에 따라, 예를 들면, 5단계의 보정 파라미터(a1, a2, a3, a4, a5(a1<a2<a3<a4<a5)) 중에서 하나의 보정 파라미터가 선택되고, 색보정 벡터의 크기는, 색차와 선택된 보정 파라미터의 곱에 의해 산출된다. 이 경우, 보정 파라미터는, 0 내지 1의 사이의 값으로서 설정된다. 상술과 같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목표색은, CIE L*C*h 색공간 내의 일점으로서 설정된다. 따라서, CIE L*C*h 색공간 내의 목표색을 향하는 색보정 벡터는, 색보정량으로서 산출된다.
색보정 실시부(404)는, 우선, 보정 대상 화상 유지부(410)에 유지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지정 색범위에 속하는 화소로서 화소 추출부(401)에 의해 추출된 각 화소에 대해서, 선택된 목표색에 대응하는 색보정량을 상술의 방법에 의해 산출한다. 다음에, 색보정 실시부(404)는, 화소 추출부(401)에 의해 추출된 각 화소의 색정보에 산출한 색보정량을 적용함으로써, 추출된 각 화소의 색정보를 변경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색보정량의 적용은, CIE L*C*h 색공간에 있어서의 색좌표에 기초하여 실시된다. 색보정 실시부(404)는, 상기 색보정량의 적용 후에 sRGB 등의 절대 색공간을 구성하는 색성분으로 표현된 색정보로 변경함으로써, 보정 후의 화상 데이터를 얻는다.
다음에, 목표색 유지부(402)에 새로운 목표색을 등록하는 작용을 나타내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새로운 목표색을 등록하는 기능은, 등록용 화상 유지부(405), 목표색 추출부(406) 및 목표색 등록부(408)에 의해 실현된다.
목표색 추출부(406)는, 등록용 화상 유지부(405)에 유지된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로부터 등록 대상의 목표색을 추출한다.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로서는, 화상 기억부(412)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 화상 판독부(120)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 및 네트워크 어댑터(161) 등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새로운 목표색의 추출은,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 중의 위치(점 혹은 영역)의 지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즉,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단일 색만이 존재하는 경우, 목표색 추출부(406)는, 상기 색을 새로운 목표색으로서 추출한다. 또,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복수의 색이 존재하는 경우, 목표색 추출부(406)는, 상기 복수의 색을 목표색 후보로서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제시된 목표색 후보 중에서 사용자가 새로운 목표색으로서 추출해야 할 색을 지정한다. 혹은, 목표색 추출부(406)는, 상기 목표색 후보에 대해 각각 화소수를 계수하고, 가장 화소수가 많은 색을 자동적으로 새로운 목표색으로서 추출해도 된다. 또한, 추출한 목표색 후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경우에도, 그 모두를 제시할 필요는 없고, 화소수가 많은 순으로 일부(예를 들면, 3종 정도)를 제시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목표색 유지부(402)에서는, 목표색은 색범위와 대응시켜 유지되어 있고, 새로운 목표색도 색범위와 대응시켜 유지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새로운 목표색과 대응시키는 색범위가 미리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목표색 추출부(406)는, 상기 색범위에 속하는 색을,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의 전체,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미리 지정된 위치, 또는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로부터 추출해도 된다. 이 경우, 통상, 복수의 색이 추출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하나의 새로운 목표색을 결정하도록 하면 된다.
목표색 등록부(408)는, 목표색 추출부(406)에 의해 추출된 등록 대상의 목표색을, 색범위와 대응시켜 목표색 유지부(402)에 등록한다.
또한, 복합기(100)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선택 등의 지시는, 디스플레이(201)를 포함하는 조작 패널(200)에 대한 조작(조작 키(203)의 압하나 디스플레이(201)의 가압)에 의해 입력된다. 디스플레이(201)는, 디스플레이(201)의 가압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에 의해 검출된 가압 위치의 좌표와 디스플레이(201)에 표시하는 조작 버튼 등의 화면 요소의 좌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조작 내용을 인식한다.
계속해서, 복합기(100)가 실시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우선, 색보정의 순서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 후에, 목표색의 등록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복합기(100)가 실시하는 색보정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상기 순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색보정 지시가 입력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진행한다. 또한, 색보정 지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화면의 「컬러/화질」 탭에 포함되는 「원터치 화질 조정」 버튼을 사용자가 가압함으로써, 복합기(100)에 입력된다.
이 때, 화소 추출부(401)는, 화상 데이터 지정을 요구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201)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화상 데이터의 지정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501:No). 사용자는, 색보정 대상이 되는 화상 데이터를 지정한다. 지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화상 기억부(412)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색보정 대상의 화상 데이터로 지정하는 경우에는, 화상 기억부(412)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일람을 디스플레이(201)에 표시하고, 상기 일람으로부터 독출하는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면 된다. 선택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기억부(412)로부터 독출되어 보정 대상 화상 유지부(410)에 유지된다. 또, 보정 대상 화상 데이터는, 화상 판독부(120)로 판독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원고 반송 장치(110)의 원고 트레이에 보정 대상의 원고를 세트하고, 스타트 키의 압하 등에 의해, 판독 개시를 복합기(100)에 지시한다. 화상 판독부(120)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는, 보정 대상 화상 유지부(410)에 유지된다. 또한, 동일한 색보정을 적용한다면, 보정 대상 화상 유지부(410)에 유지되는 화상 데이터는, 복수 페이지여도 된다. 여기에서는, 화상 데이터가 1페이지인 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화상 데이터의 지정이 완료되면, 화소 추출부(401)는, 보정 대상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색보정의 대상이 되는 색범위(지정 색범위)의 선택을 요구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201)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색범위의 선택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501:Yes, S502:No). 사용자는, 보정 대상이 되는 색을 선택한다.
도 6은, 이 때 디스플레이(201)에 표시되는, 색범위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색범위 선택 화면(601)은, 색범위의 선택에 사용되는 선택 버튼(602~605), 및 「되돌아간다」 버튼(606)을 구비한다. 「되돌간다」 버튼(606)은, 선택을 중지하고 화상 데이터의 지정으로 되돌아가기 위해 사용된다. 도 6에서는, 선택 버튼으로서, 기억색의 하나인 살색에 대응하는 「인물 사진」 버튼(602), 기억색의 하나인 청색에 대응하는 「풍경 사진(청)」 버튼(603), 기억색의 하나인 녹색에 대응하는 「풍경 사진(녹)」 버튼(604), 및 기억색의 하나인 적색에 대응하는 「풍경 사진(적)」 버튼(605)를 구비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가, 선택 버튼(602~605)으로부터 하나의 버튼을 선택하면, 화소 추출부(401)는, 선택된 버튼(기억색)에 대응된 색범위를 화소 추출에 사용하는 지정 색범위로서 설정한다.
예를 들면, 도 6에 있어서, 사용자가 「풍경 사진(청)」 버튼(603)을 선택하면, 화소 추출부(401)는, 상기 버튼에 대응된 청색의 색범위(L*:20~80, C*:5~55, Hue:190~330°)에 속하는 색의 화소를 추출하는 상태로 설정된다. 또한, 이러한 색범위는, 선택 버튼(602~605)과 대응시켜 화소 추출부(401)에 미리 등록되어 있다.
색범위의 지정을 받은 화소 추출부(401)는, 상기 색범위를 나타내는 정보(이하, 색범위 식별자라고 한다.)를 목표색 선택 접수부(403)에 통지한다. 상기 통지를 받은 목표색 선택 접수부(403)는, 사용자에 의한 목표색의 선택을 접수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201)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목표색의 선택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502:Yes, S503, S504:No). 목표색 선택 접수부(403)는, 상기 화면에, 통지된 색범위와 대응시켜 목표색 유지부(402)에 등록되어 있는 각 목표색을 표시한다.
도 7은, 이 때 디스플레이(201)에 표시되는, 목표색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목표색 선택 화면(701)은, 각 목표색으로 착색된 직사각형 화상(702~704)을 포함한다. 이 도면에서는, 직사각형 화상(702)은 제1 목표색(이하, 「청 1」이라고 한다.)에 대응하고, 직사각형 화상(703)은 제2 목표색(이하, 「청 2」이라고 한다.)에 대응하고, 직사각형 화상(704)는 제3 목표색(이하, 「청 3」이라고 한다.)에 대응한다. 또, 목표색 선택 화면(701)은, 각 직사각형 화상에 대응하는 목표색의 선택에 사용되는 「청 1」 버튼(705), 「청 2」 버튼(706), 「청 3」 버튼(707), 및 「되돌아간다」 버튼(708)을 구비한다. 「되돌아간다」 버튼(708)은, 선택을 중지하고 색범위 선택 화면(601)으로 되돌아가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제1 목표색은 선명한 청색으로 하고, 제2 목표색은 녹색 빛이 없는 새파란 청색으로 하고, 제3 목표색은 녹색 빛이 있는 청색(이른바, 에메랄드 그린)으로 할 수 있다. 또, 색범위 선택 화면(601)에 있어서의 다른 선택 버튼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설명하면, 「인물 사진」 버튼(602)에는, 붉은 빛이 있는, 혈색이 좋은 인상의 살색의 방향으로 조정되는 목표색, 햇볕에 그을린 듯한 인상의 살색의 방향으로 조정되는 목표색, 및 하얀 빛의 살색의 방향으로 조정되는 목표색을 대응시킬 수 있다. 또, 「풍경 사진(녹)」 버튼(604)에는, 선명한 녹색의 방향으로 조정되는 목표색, 황녹색의 방향으로 조정되는 목표색, 및 약간 푸른 빛이 있는 녹색의 방향으로 조정되는 목표색을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풍경 사진(적)」 버튼(605)에는, 선명한 적색의 방향으로 조정되는 목표색, 오렌지색의 방향으로 조정되는 목표색, 및 핑크색의 방향으로 조정되는 목표색을 대응시킬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목표색 선택 화면(701)에 있어서, 사용자가 「청 1」 버튼(705), 「청 2」 버튼(706), 및 「청 3」 버튼(707)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목표색 선택 접수부(403)는, 선택된 목표색의 색정보를 색보정 실시부(404)에 입력한다(단계 S504:Yes). 예를 들면, 도 7에 있어서, 사용자가 「청 2」 버튼(706)을 선택하면, 목표색 선택 접수부(403)는, 목표색 「청 2」의 색정보를 색보정 실시부(404)에 입력한다.
목표색의 색정보가 입력된 색보정 실시부(404)는, 색보정의 개시를 화소 추출부(401)에 통지한다. 상기 통지를 받은 화소 추출부(401)는, 보정 대상 화상 유지부(410)에 유지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로부터, 지정색 범위에 속하는 색을 갖는 화소를 추출한다. 화소 추출부(401)는, 추출한 화소의 색정보 및 상기 화소의 화상 데이터 중의 위치 정보를, 색보정 실시부(404)에 입력한다. 상기 입력을 받은 색보정 실시부(404)는, 목표색의 색정보와 화소 추출부(401)로부터 입력된 색정보에 기초하여, 상술한 방법에 의해 추출된 각 화소에 대한 색보정량을 산출하고, 추출된 각 화소에 대한 보정 후의 색정보를 구한다. 색보정 실시부(404)는, 보정 대상 화상 유지부(410)에 유지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화소 추출부(401)로부터 입력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화소의 색을 보정 후의 색으로 치환함으로써, 색보정을 실행한다(단계 S505).
이상과 같이 하여 색보정 실시부(404)가 생성한 색보정 후의 화상 데이터는, 화상 형성부(140)에 있어서 인쇄되거나, 화상 기억부(412)에 저장되거나 함으로써, 색보정 실시부(404)로부터 출력된다.
다음에, 복합기(100)가 실시하는 목표색의 등록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복합기(100)가 실시하는 목표색 등록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여기에서는, 「풍경 사진(청)」에 목표색을 등록하는 사례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순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목표색 등록 지시가 입력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진행한다. 또한, 목표색 등록 지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화면의 「컬러/화질」 탭에 포함되는 「목표색 등록」 버튼을 사용자가 가압함으로써, 복합기(100)에 입력된다.
이 때, 목표색 추출부(406)는, 화상 데이터 지정을 요구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201)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화상 데이터의 지정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801:No). 사용자는, 화상 중에 목표색을 포함하는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를 지정한다. 지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화상 기억부(412)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로 지정하는 경우에는, 화상 기억부(412)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일람을 디스플레이(201)에 표시하고, 상기 일람으로부터 독출하는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면 된다. 선택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기억부(412)로부터 독출되어 등록용 화상 유지부(405)에 유지된다. 이 예에서는,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로서, 낮동안의 바다를 나타내는 화상의 화상 데이터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화상은, 푸른 하늘, 구름 및 바다를 포함하고 있다. 또,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는 화상 판독부(120)로 판독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원고 반송 장치(110)의 원고 트레이에 등록 대상의 원고를 세트 하고, 스타트 키의 압하 등에 의해, 판독 개시를 복합기(100)에 지시한다. 화상 판독부(120)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는, 등록용 화상 유지부(405)에 유지된다.  
화상 데이터의 지정이 완료되면, 목표색 추출부(406)는,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 중에서 등록해야 할 목표색이 존재하는 위치(점 혹은 영역)의 지정을 요구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201)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위치의 선택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801:Yes, S802:No). 사용자는, 등록해야 할 목표색이 존재하는 위치를 지정한다.
도 9는, 이 때 디스플레이(201)에 표시되는, 목표색 위치 지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목표색 위치 지정 화면(901)은, 상술의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미리보기 표시부(902), 목표색 선택부(903), 「결정」 버튼(904) 및 「캔슬」 버튼(905)을 구비한다. 목표색 선택부(903)는, 사용자에 의한 위치 지정에 따라 추출된 목표색 후보를 표시함과 더불어 사용자에 의한 선택을 접수한다. 「결정」 버튼(904)은, 목표색 선택부(903)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확정할 때에 선택된다. 「캔슬」 버튼(905)은, 선택을 중지하고 직전의 조작 화면(여기에서는,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의 지정 화면)으로 되돌아갈 때에 사용된다. 또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여기에서는, 미리보기 표시부(902)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지정된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표시에 적당한 사이즈로 화소수를 줄인 썸네일 화상이 표시된다. 여기에서는, 상기 썸네일 화상은, 목표색 추출부(406)에 의해 생성된다.
목표색 위치 지정 화면(901)에 있어서,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이나 터치 펜(202)를 사용하여, 미리보기 표시부(902)에 표시된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 상에서 등록을 희망하는 목표색이 존재하는 위치를 지정한다(단계 S802:Yes). 여기에서는, 사용자가, 도 9에 나타내는 점(911)(화상 중의 푸른 하늘의 부분)을 지정했다고 한다. 상기 지정에 따라, 목표색 추출부(406)는, 미리보기 표시부(902)에 표시된 썸네일 화상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점(911)에 대응하는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 상의 점(혹은, 상기 점을 포함하는 영역)에 존재하는 화소의 색정보를 추출한다(단계 S803). 상기 색정보가 목표색 후보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색정보는, 1색의 경우도 있고, 복수색의 경우도 있다. 여기에서는, 목표색 추출부(406)는, 복수의 목표색 후보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목표색 후보 중에서 화소수가 많은 순으로 3색의 목표색 후보를 특정했다고 한다.
사용자의 지정 위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목표색 후보를 특정한 목표색 추출부(406)는, 상기 특정한 목표색 후보를 목표색 위치 지정 화면(901)의 목표색 선택부(903)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선택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804:Yes, S805, S806:No).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목표색 선택부(903)는, 각 목표색 후보로 착색된 직사각형 화상(912~914), 및 각 직사각형 화상에 대응하는 목표색의 선택에 사용되는 「등록」 버튼(915~917)을 구비한다. 이 예에서는, 목표색 선택부(903)에 있어서 좌방에 표시되어 있는 목표색 후보(912)에 대응하는 「등록」 버튼(915)이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결정」 버튼(904)을 선택하면, 목표색 추출부(406)는, 선택한 목표색과 대응시키는 색범위의 지정을 사용자에 대해서 요구한다(단계 S806:Yes, S807:No). 도 10은, 이 때 디스플레이(201)에 표시되는, 색범위 지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색범위 지정 화면(1001)은, 색범위의 선택에 사용되는 선택 버튼(1002~1005), 및 「되돌아간다」 버튼(1006)을 구비한다. 「되돌아간다」 버튼(1006)은, 선택을 중지하여 목표색 위치 지정 화면(901)으로 되돌아가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 10에서는, 상술한 색범위 선택 화면(601)과 같이, 선택 버튼으로서 살색에 대응하는 「인물 사진」 버튼(1002), 청색에 대응하는 「풍경 사진(청)」 버튼(1003), 녹색에 대응하는 「풍경 사진(녹)」 버튼(1004), 및 적색에 대응하는 「풍경 사진(적)」 버튼(1005)을 구비한다.
사용자가, 선택 버튼(1002~1005)으로부터 하나의 버튼을 선택하면, 목표색 추출부(406)는, 선택된 버튼에 대응하는 색범위를 먼저 선택된 목표색을 목표색 등록부(408)에 입력한다(단계 S807:Yes). 상기 입력을 받은 목표색 등록부(408)는, 입력된 목표색의 색정보가 입력된 색범위와 대응시켜, 목표색 유지부(402)에 등록한다(단계 S808). 상술의 예에서는, 사용자는,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푸른 하늘의 색을 추출하고 있으므로, 색범위 지정 화면(1001)에 있어서 「풍경 사진(청)」 버튼(1003)을 선택한다. 그 결과, 목표색 위치 지정 화면(901)의 목표색 선택부(903)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목표색 후보의 색정보는, 청색의 색범위와 대응시켜 목표색 유지부(402)에 등록된다.
도 11은, 이상과 같이 하여 새로운 목표색이 목표색 유지부(402)에 등록된 후, 색보정 실시 시에 사용자가 목표색을 선택할 때에 표시되는 목표색 선택 화면(70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목표색 선택 화면(701)에는, 새로운 목표색으로 착색된 직사각형 화상(711)은, 제4 목표색(이하, 「청 4」라고 한다.)으로서 추가되고, 또, 상기 직사각형 화상(711)에 대응하는 목표색의 선택에 사용되는 「청 4」 버튼(712)은 추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후의 색보정에 있어서, 등록한 새로운 목표색 「청 4」를 선택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의 사용자의 위치 지정에 따른 목표색 후보의 추출 단계(단계 S804)에 있어서 목표색 추출부(406)가 추출한 목표색 후보가 1색인 경우, 목표색 추출부(406)는, 사용자에 대해서 목표색 후보의 선택을 요구하지 않고, 색범위의 지정을 요구한다(단계 S804:No, S807). 또, 상기 추출 단계(단계 S804)에 있어서 목표색 추출부(406)가 추출한 목표색 후보가 1색인 경우, 목표색 등록부(408)는, 상기 목표색 후보가 속하는 색범위를 특정하고, 상기 목표색 후보를 특정한 색범위와 대응시켜 목표색 유지부(402)에 등록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색범위에는, 예를 들면, 살색, 청색, 녹색, 적색 등의 기억색에 대응하는 색의 범위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정리하면, 이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목표색 추출부는, 미리 지정된 화상 데이터의 영역 내의 화소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화소의 색을 등록 대상 목표색의 후보로서 표시함과 더불어, 사용자에 의한 등록 대상 목표색의 선택을 접수하는 구성이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목표색 추출부는 미리 지정된 색범위에 속하는 화소만을 추출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복합기(100)는, 화상 데이터 그 자체를 사용하여 목표색을 등록하기 위해, 사용자는, 시각을 통해서 확인한 화상 중에 포함되는 색을 목표색으로서 등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기억색 등, 사용자의 기호의 색을, 매우 용이하고 또한 확실히 목표색으로서 등록할 수 있다. 그 결과, 색보정을 실시할 때에는, 사용자는, 기호의 색으로의 색보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복합기(100)에서는,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에 복수의 색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제시된 목표색의 후보로부터 원하는 목표색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기호의 색을, 매우 용이하고 또한 확실히 목표색으로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목표색 추출부(406)는, 사용자에 의한 목표색 후보의 선택 완료 후에 색범위를 지정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사용자에 의한 색범위의 지정은, 화상 데이터의 지정 전이나,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 상에 있어서의 위치 지정 전에 실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목표색 추출부(406)는, 지정된 색범위에 속하는 색정보만을 추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지정한 색범위의 목표색으로서 등록하는 것이 적당하지 않은 색정보가 목표색 후보로서 추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목표색 후보로서 추출되는 색정보는, 지정한 색범위에 속하기 때문에, 유사한 복수색의 목표색의 후보로부터 원하는 목표색을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색범위가 선행하여 지정되는 구성에서는,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의 전체에 대해서, 목표색 추출부(406)가 목표색 후보를 자동적으로 추출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혹은, 색범위와 대응시켜 미리 지정된 영역에 대해서, 목표색 추출부(406)가 목표색 후보를 자동적으로 추출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색범위와 대응시켜 미리 지정된 영역이란, 예를 들면, 살색이면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 중에서 인물의 얼굴로서 검지되는 영역이며, 청색이나 적색이면 하늘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의 상부이며, 녹색이면, 잔디나 풀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의 하부이다. 이 구성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위치 지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 상기 복합기(100)에 있어서, 목표색 등록부(408)는, 목표색 유지부(402)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목표색에 대해서, 입력된 등록 대상의 목표색이 미리 지정된 색차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등록 대상 목표색을 목표색 유지부(402)에 등록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여기서 색차 조건으로서, 예를 들면, 목표색 유지부(402)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목표색과 등록 대상의 목표색의 CIE L*C*h 색공간에 있어서의 색차가 소정치(예를 들면, 3~10 정도) 이상인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색공간에 있어서의 색차가 작은 유사색은 목표색 유지부(402)에 등록되지 않는다. 그 결과, 색보정을 실시할 때에, 목표색 선택 화면(701)에 유사한 다수의 색이 사용자에게 제시되고, 색보정의 선택이 곤란한 상황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목표색 등록부(408)는, 입력된 등록 대상의 목표색이 미리 지정된 색차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목표색 추출부(406)에 그 취지를 통지한다. 상기 통지를 받은 목표색 추출부(406)는, 디스플레이(201)에 「지정된 목표색에 매우 유사한 색이 이미 등록되어 있습니다.」 등의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선택한 목표색과 유사한 목표색이 이미 등록되어 있고, 새로운 목표색으로서 등록이 불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술의 사례는, 색보정을 실시할 때에, 사용자는, 목표색 선택 화면(701)에 있어서, 각 목표색으로 착색된 직사각형 화상을 참조하면서 목표색을 선택하는 구성을 설명했다. 그러나, 기억색의 재현에서는, 인간의 기억 중에 존재하는 색의 이미지를 재현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목표색으로 착색된 직사각형 화상만으로 목표색을 선택하는 구성에서는, 선택한 목표색에 가깝게 하는 색보정 실시 후의 화상 데이터가 사용자의 이미지에 합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색보정 전의 화상 데이터와 색보정 후의 화상 데이터의 대비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목표색을 선택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복합기를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다른 복합기(1200)는, 상술의 복합기(100)의 구성에 더하여, 선택용 화상 유지부(1201) 및 화상 생성부(1202)를 구비한다. 또한, 도 12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복합기(100)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교부하고 있다. 이하, 복합기(100)와의 차이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선택용 화상 유지부(1201)는, 지정색 범위와 대응시켜 목표색 유지부(402)에 저장된 복수의 목표색의 각각에 대해서 선택용 화상을 유지한다. 여기서, 선택용 화상이란, 지정색 범위에 속하는 화소에 대해서, 색보정 실시부(404)가 각 목표색에 따른 색보정을 실시한 경우의 각 화상 데이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이다. 또, 화상 생성부(1202)는, 목표색 등록부(408)에 의해 목표색 유지부(402)에 새롭게 등록된 목표색에 대한 선택용 화상을 생성하고, 선택용 화상 유지부(1201)에 저장한다.
이 예에서는, 선택용 화상 유지부(1201)는, 선택용 화상으로서 샘플 화상을 유지하고 있다. 즉, 선택용 화상 유지부(1201)에는, 색범위에 따른 특정의 화상과, 상기 특정의 화상에 대해서, 색보정 실시부(404)가 목표색에 대응하는 색보정을 실시한 경우의 외관을 나타내는 화상이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1개의 색범위에 대해서 3개의 목표색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선택용 화상 유지부(1201)에는, 1개의 보정전 화상과, 상기 보정 전 화상을 3개의 목표색 각각에 대해서 색보정 실시부(404)가 색보정을 실시한 3개의 보정 후 화상의 합계 4개의 화상이 저장된다. 이 예에서는, 보정 전 화상으로서, 각 색범위에 따른 화상이 저장되어 있다. 즉, 선택용 화상 유지부(1201)에는, 살색(「인물 사진」)에 대응하는 선택용 화상으로서 인물의 얼굴 등의 피부가 화상 중의 많은 영역을 차지하는 화상, 청색(「풍경 사진(청)」)에 대응하는 선택용 화상으로서 푸른 하늘 등이 화상 중의 많은 영역을 차지하는 화상, 녹색(「풍경 사진(청)」)에 대응하는 선택용 화상으로서 초목 등이 화상 중의 많은 영역을 차지하는 화상, 및 적색(「풍경 사진(적)」)에 대응하는 선택용 화상으로서 저녁놀진 하늘 등이 화상 중의 많은 영역을 차지하는 화상이 저장되어 있다.
복합기(1200)에서는, 선택용 화상은, 목표색 선택 접수부(403)를 통한 목표색 선택 시에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즉, 상술의 목표색 선택 화면(701)에 있어서, 직사각형 화상(702~704)을 대신하여 상기 선택용 화상이 표시된다. 목표색 선택 화면(701)에 대한 표시는, 목표색 선택 접수부(403)가 선택용 화상 유지부(1201)로부터 목표색에 대응하는 선택용 화상을 독출함으로써 실시된다.
도 13은, 복합기(1200)에 있어서 목표색 선택 접수부(403)가 디스플레이(201)에 표시하는 목표색 선택 화면(701)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색범위 선택 화면(601)에 있어서 사용자가 「풍경 사진(녹)」을 선택했을 때에 표시되는 목표색 선택 화면(701)을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목표색 선택 화면(701)은, 특정 화상에 대해서 색보정을 실시한 경우의 외관을 나타내는 화상(1302~1304)을 선택용 화상으로서 포함한다. 도 13에서는, 화상(1302)은 제1 목표색(이하, 「녹 1」이라고 한다.)에 대응하고, 선택용 화상(1303)은 제2 목표색(이하, 「녹 2」라고 한다.)에 대응하고, 선택용 화상(1304)은 제3 목표색(이하, 「녹 3」이라고 한다.)에 대응한다. 또, 목표색 선택 화면(701)은, 각 선택용 화상에 대응하는 목표색의 선택에 사용되는 「녹 1」 버튼(1305), 「녹 2」 버튼(1306), 및 「녹 3」 버튼(1307)을 구비한다. 또한, 목표색 선택 화면(701)은, 각 목표색에 대응하는 색보정을 실시하고 있지 않는 상술의 보정 전 화상을 원화상(1301)으로 하고, 각 선택용 화상(1302~1304)과 함께 표시한다. 또한, 도 13에서는, 선택용 화상으로서 수목의 화상을 사용하고 있다. 또, 각 선택용 화상에 있어서의 수목은, 단색은 아니며, 「풍경 사진(녹)」의 색범위에 속하는 색과 색범위에 속하지 않는 색의 쌍방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선택용 화상 유지부(1201)는, 대응하는 목표색의 색정보와 대응시켜 상술의 선택용 화상을 저장하고 있다. 그 때문에, 목표색 선택 접수부(403)에 있어서의 사용자에 의한 목표색의 선택에 따라, 목표색 선택 접수부(403)는, 목표색의 색정보를 색보정 실시부(404)에 통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복합기(1200)가 실시하는 선택용 화상 생성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상기 순서는,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목표색 등록 순서에 있어서, 목표색 등록부(408)에 의해 새로운 목표색이 목표색 유지부(402)에 등록되기 이전에 개시되고, 목표색 등록부(408)에 의해 새로운 목표색이 목표색 유지부(402)에 등록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진행한다(단계 S1401:Yes).
새로운 목표색을 목표색 유지부(402)에 등록한 목표색 등록부(408)는, 그 취지를 화상 생성부(1202)에 통지한다. 상기 통지를 받은 화상 생성부(1202)는, 새롭게 등록된 목표색에 대응하는 선택용 화상의 생성을 개시한다(단계 S1402).
우선, 화상 생성부(1202)는, 새롭게 등록된 목표색의 색정보, 및 상기 목표색이 대응된 색범위를, 목표색 유지부(402)로부터 취득한다. 또, 화상 생성부(1202)는, 취득한 색범위에 대응하는 보정 전 화상을, 선택용 화상 유지부(1201)로부터 취득한다. 보정 전 화상을 취득한 화상 생성부(1202)는, 취득한 보정 전 화상 및 새롭게 등록된 목표색의 색정보를, 색보정 실시부(404)에 입력함과 더불어, 취득한 보정 전 화상 및 등록된 목표색에 대응된 색범위를, 화소 추출부(401)에 입력한다. 그리고, 화상 생성부(1202)는, 색보정 실시부(404)에 있어서의 색보정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1403:No).
상기 입력에 따라, 화소 추출부(401) 및 색보정 실시부(404)는, 상술의 방법에 의해, 보정 전 화상으로부터 입력된 색범위에 속하는 화소를 추출하고, 상기 화소에 대해서 상술의 색보정을 실시한다. 이로 인해, 새롭게 등록된 목표색에 대응하는 선택용 화상은 생성된다. 색보정 실시부(404)는, 생성한 선택용 화상을 화상 생성부(1202)에 입력한다. 상기 입력을 받은 화상 생성부(1202)는, 입력된 선택용 화상을, 색범위 및 목표색과 대응시켜 선택용 화상 유지부(1201)에 저장한다(단계 S1404).
도 15는, 이상과 같이 하여 새로운 목표색에 대응하는 선택용 화상이 선택용 화상 유지부(1201)에 등록된 후, 색보정 실시 시에 사용자가 목표색을 선택할 때에 표시되는 목표색 선택 화면(70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목표색 선택 화면(701)에는, 원화상(1301)에 대해서 새로운 목표색에 따른 색보정을 실시한 경우의 외관을 나타내는 선택용 화상(1311)은, 제4 목표색(이하, 「녹 4」라고 한다.)으로서 추가되고, 또 상기 선택용 화상(1311)에 대응하는 목표색의 선택에 사용되는 「녹 4」 버튼(1312)은 추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후의 색보정에 있어서, 등록한 새로운 목표색 「녹 4」를, 선택용 화상을 참조하면서 선택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선택용 화상 유지부(1201)에 보정 대상 화상 데이터와는 다른 화상에 기초하는 선택용 화상(샘플 화상)을 유지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용 화상 유지부(1201)에 저장되는 선택용 화상은, 보정 대상 화상 데이터의 썸네일 화상 등, 보정 대상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각 목표색에 따른 색보정이 실시된 경우의 외관을 나타내는 화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화상 형성부(1202)는, 보정 대상 화상 데이터가 선택될 때 마다, 상기 보정 대상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선택용 화상을, 목표색 유지부(402)에 저장된 목표색의 색정보 및 색범위에 기초하여 생성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복합기(1200)에서는, 목표색 선택 시에, 동일한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서로 다른 색을 목표색으로 한 색보정을 실시한 경우의 화상 데이터의 외관이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그 때문에, 새로운 목표색을 추가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색보정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사용자의 기호의 색을, 매우 용이하게 또한 확실히 목표색으로서 등록할 수 있음과 더불어, 그 선택도 용이해진다.
다음에,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주로,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교부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제1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이 적절히 적용된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의 복합기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복합기(100)는, 화소 추출부(401), 목표색 유지부(402), 목표색 선택 접수부(403), 색보정 실시부(404), 등록용 화상 유지부(405), 목표색 추출부(406), 색범위 입력부(407), 목표색 등록부(408), 판정부(409) 및 보정 대상 화상 유지부(410)를 구비한다. 화소 추출부(401), 목표색 유지부(402), 목표색 선택 접수부(403), 색보정 실시부(404) 및 보정 대상 화상 유지부(410)는, 복합기(100)에 있어서, 소정의 색범위에 속하는 화소의 색을 목표색에 가깝게 하는 색보정을 화상 데이터에 실시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또, 등록용 화상 유지부(405), 목표색 추출부(406), 색범위 입력부(407), 목표색 등록부(408) 및 판정부(409)는, 복합기(100)에 있어서, 목표색 유지부(402)에 새로운 목표색을 등록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다음에, 목표색 유지부(402)에 새로운 목표색을 등록하는 작용을 나타내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새로운 목표색을 등록하는 기능은, 등록용 화상 유지부(405), 목표색 추출부(406), 색범위 입력부(407), 목표색 등록부(408) 및 판정부(409)에 의해 실현된다.
목표색 추출부(406)는, 등록용 화상 유지부(405)에 유지된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로부터, 등록 대상의 목표색을 추출한다.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로서는, 화상 기억부(412)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 화상 판독부(120)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 및 네트워크 어댑터(161) 등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새로운 목표색의 추출은,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 중의 위치(점 혹은 영역)의 지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즉,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단일 색만이 존재하는 경우, 목표색 추출부(406)는, 상기 색을 새로운 목표색으로서 추출한다. 또,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복수의 색이 존재하는 경우, 목표색 추출부(406)는, 상기 복수의 색을 목표색 후보로서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제시된 목표색 후보 중에서 사용자가 새로운 목표색으로서 추출해야 할 색을 지정한다. 혹은, 목표색 추출부(406)는, 상기 목표색 후보에 대해 각각 화소수를 계수하고, 가장 화소수가 많은 색을 자동적으로 새로운 목표색으로서 추출해도 된다. 또한, 추출한 목표색 후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경우에도, 그 모두를 제시할 필요는 없고, 화소수가 많은 순으로 일부(예를 들면, 3종 정도)를 제시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목표색 유지부(402)에서는, 목표색은, 색범위와 대응시켜 유지되어 있고, 새로운 목표색도, 색범위와 대응시켜 유지될 필요가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새로운 목표색과 대응시키는 색범위는, 색범위 입력부(407)를 통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다.
판정부(409)는, 목표색 추출부(406)에 의해 추출된 등록 대상의 목표색이 목표색 유지부(402)에 기등록된 색범위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 목표색 등록부(408)는, 판정부(409)에 의해 목표색 추출부(406)에 의해 추출된 등록 대상의 목표색이 기등록된 색범위에 속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등록 대상의 목표색을, 색범위 입력부(407)에 입력된 새로운 색범위와 대응시키고, 목표색 유지부(402)에 등록한다.
계속해서, 복합기(100)가 실시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우선, 색보정의 순서에 대해 설명하고, 그 후에, 목표색의 등록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복합기(100)가 실시하는 색보정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상기 순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색보정 지시가 입력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진행한다. 또한, 색보정 지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화면의 「컬러/화질」 탭에 포함되는 「원터치 화질 조정」 버튼을 사용자가 가압함으로써, 복합기(100)에 입력된다.
이 때, 화소 추출부(401)는, 화상 데이터 지정을 요구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201)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화상 데이터의 지정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1501:No). 사용자는, 색보정 대상이 되는 화상 데이터를 지정한다. 지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화상 기억부(412)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색보정 대상의 화상 데이터로 지정하는 경우에는, 화상 기억부(412)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일람을 디스플레이(201)에 표시하고, 상기 일람으로부터 독출하는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면 된다. 선택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기억부(412)로부터 독출되어 보정 대상 화상 유지부(410)에 유지된다. 또, 보정 대상 화상 데이터는, 화상 판독부(120)로 판독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원고 반송 장치(110)의 원고 트레이에 보정 대상의 원고를 세트하고, 스타트 키의 압하 등에 의해 판독 개시를 복합기(100)에 지시한다. 화상 판독부(120)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는, 보정 대상 화상 유지부(410)에 유지된다. 또한, 동일한 색보정을 적용한다면, 보정 대상 화상 유지부(410)에 유지되는 화상 데이터는 복수 페이지여도 된다. 여기에서는, 화상 데이터가 1페이지인 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화상 데이터의 지정이 완료되면, 화소 추출부(401)는, 보정 대상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색보정의 대상이 되는 색범위(지정 색범위)의 선택을 요구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201)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색범위의 선택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1501:Yes, S1502:No). 사용자는, 보정 대상이 되는 색을 선택한다.
도 18은, 이 때 디스플레이(201)에 표시되는, 색범위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색범위 선택 화면(601)은, 색범위의 선택에 사용되는 선택 버튼(602~604), 및 「되돌아간다」 버튼(606)을 구비한다. 「되돌아간다」 버튼(606)은, 선택을 중지하고 화상 데이터의 지정으로 되돌아가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 18에서는, 선택 버튼으로서 기억색의 하나인 살색에 대응하는 「인물 사진」 버튼(602), 기억색의 하나인 청색에 대응하는 「풍경 사진(청)」 버튼(603), 및 기억색의 하나인 녹색에 대응하는 「풍경 사진(청)」 버튼(604)을 구비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가, 선택 버튼(602~604)으로부터 하나의 버튼을 선택하면, 화소 추출부(401)는, 선택된 버튼(기억색)에 대응된 색범위를, 화소 추출에 사용하는 지정 색범위로서 설정한다.
예를 들면, 도 18에 있어서, 사용자가 「풍경 사진(청)」 버튼(603)을 선택하면, 화소 추출부(401)는, 상기 버튼에 대응된 청색의 색범위(L*:20~80, C*:5~55, Hue:190~330°)에 속하는 색의 화소를 추출하는 상태로 설정된다. 또한, 이러한 색범위는, 선택 버튼(602~604)와 대응시켜, 화소 추출부(401)에 미리 등록되어 있다.
색범위의 지정을 받은 화소 추출부(401)는, 상기 색범위를 나타내는 정보(이하, 색범위 식별자라고 한다.)를 목표색 선택 접수부(403)에 통지한다. 상기 통지를 받은 목표색 선택 접수부(403)는, 사용자에 의한 목표색의 선택을 접수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201)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목표색의 선택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1502:Yes, S1503, S1504:No). 목표색 선택 접수부(403)는, 상기 화면에, 통지된 색범위와 대응시켜 목표색 유지부(402)에 등록되어 있는 각 목표색을 표시한다.
도 19는, 이 때 디스플레이(201)에 표시되는, 목표색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목표색 선택 화면(701)은, 각 목표색으로 착색된 직사각형 화상(702~704)을 포함한다. 이 도면에서는, 직사각형 화상(702)은 제1 목표색(이하, 「청 1」이라고 한다.)에 대응하고, 직사각형 화상(703)은 제2 목표색(이하, 「청 2」라고 한다.)에 대응하고, 직사각형 화상(704)은 제3 목표색(이하, 「청 3」이라고 한다.)에 대응한다. 또, 목표색 선택 화면(701)은, 각 직사각형 화상에 대응하는 목표색의 선택에 사용되는 「청 1」 버튼(705), 「청 2」 버튼(706), 「청 3」 버튼(707), 및 「되돌아간다」 버튼(708)을 구비한다. 「되돌아간다」 버튼(708)은, 선택을 중지하고 색범위 선택 화면(601)으로 되돌아가기 위해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제1 목표색은 선명한 청색으로 하고, 제2 목표색은 녹색 빛이 없는 새파란 청색으로 하고, 제3 목표색은 녹색 빛이 있는 청색(이른바, 에메랄드 그린)으로 할 수 있다. 또, 색범위 선택 화면(601)에 있어서의 다른 선택 버튼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설명하면, 「인물 사진」버튼(602)에는, 붉은 빛이 있는, 혈색이 좋은 인상의 살색의 방향으로 조정되는 목표색, 햇볕에 그을린 듯한 인상의 살색의 방향으로 조정되는 목표색, 및 하얀 빛의 살색의 방향으로 조정되는 목표색을 대응시킬 수 있다. 또, 「풍경 사진(녹)」 버튼(604)에는, 선명한 녹색의 방향으로 조정되는 목표색, 황녹색의 방향으로 조정되는 목표색, 및 약간 푸른 빛이 있는 녹색의 방향으로 조정되는 목표색을 대응시킬 수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목표색 선택 화면(701)에 있어서, 사용자가 「청 1」 버튼(705), 「청 2」 버튼(706), 및 「청 3」 버튼(707)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목표색 선택 접수부(403)는, 선택된 목표색의 색정보를 색보정 실시부(404)에 입력한다(단계 S1504:Yes). 예를 들면, 도 19에 있어서, 사용자가 「청 2」 버튼(706)을 선택하면, 목표색 선택 접수부(403)는, 목표색 「청 2」의 색정보를 색보정 실시부(404)에 입력한다.
목표색의 색정보가 입력된 색보정 실시부(404)는, 색보정의 개시를 화소 추출부(401)에 통지한다. 상기 통지를 받은 화소 추출부(401)는, 보정 대상 화상 유지부(410)에 유지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로부터, 지정 색범위에 속하는 색을 갖는 화소를 추출한다. 화소 추출부(401)는, 추출한 화소의 색정보 및 상기 화소의 화상 데이터 중의 위치 정보를, 색보정 실시부(404)에 입력한다. 상기 입력을 받은 색보정 실시부(404)는, 목표색의 색정보와 화소 추출부(401)로부터 입력된 색정보에 기초하여, 상술한 방법에 의해 추출된 각 화소에 대한 색보정량을 산출하고, 추출된 각 화소에 대한 보정 후의 색정보를 구한다. 색보정 실시부(404)는, 보정 대상 화상 유지부(410)에 유지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화소 추출부(401)로부터 입력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화소의 색을 보정 후의 색으로 치환함으로써, 색보정을 실행한다(단계 S1505).
이상과 같이 하여 색보정 실시부(404)가 생성한 색보정 후의 화상 데이터는, 화상 형성부(140)에 있어서 인쇄되거나, 화상 기억부(412)에 저장되거나 함으로써, 색보정 실시부(404)로부터 출력된다.
다음에, 복합기(100)가 실시하는 목표색의 등록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은, 복합기(100)가 실시하는 목표색 등록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여기에서는, 상술의 「인물 사진」, 「풍경 사진(청)」, 및 「풍경 사진(녹)」의 어느 색범위에도 포함되지 않는 적색 계통의 색을 목표색으로서 등록하는 사례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순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목표색 등록 지시가 입력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진행한다. 또한, 목표색 등록 지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화면의 「컬러/화질」 탭에 포함되는 「목표색 등록」 버튼을 사용자가 가압함으로써, 복합기(100)에 입력된다.
이 때, 목표색 추출부(406)는, 화상 데이터 지정을 요구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201)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화상 데이터의 지정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1801:No). 사용자는, 화상 중에 목표색을 포함하는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를 지정한다. 지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화상 기억부(412)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로 지정하는 경우에는, 화상 기억부(412)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일람을 디스플레이(201)에 표시하고, 상기 일람으로부터 독출하는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면 된다. 선택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기억부(412)로부터 독출되고 등록용 화상 유지부(405)에 유지된다. 이 예에서는,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로서 저녁때의 바다를 나타내는 화상의 화상 데이터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화상은, 태양, 저녁놀진 하늘 및 바다를 포함하고 있다. 또,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는, 화상 판독부(120)로 판독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원고 반송 장치(110)의 원고 트레이에 등록 대상의 원고를 세트하고, 스타트 키의 압하 등에 의해, 판독 개시를 복합기(100)에 지시한다. 화상 판독부(120)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는, 등록용 화상 유지부(405)에 유지된다.
화상 데이터의 지정이 완료되면, 목표색 추출부(406)는,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 중에서 등록해야 할 목표색이 존재하는 위치(점 혹은 영역)의 지정을 요구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201)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위치의 선택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1801:Yes, S1802:No). 사용자는, 등록해야 할 목표색이 존재하는 위치를 지정한다.
도 21은, 이 때 디스플레이(201)에 표시되는, 목표색 위치 지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목표색 위치 지정 화면(901)은, 상술의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미리보기 표시부(902), 목표색 선택부(903), 「결정」 버튼(904) 및 「캔슬」 버튼(905)을 구비한다. 목표색 선택부(903)는, 사용자에 의한 위치 지정에 따라 추출된 목표색 후보를 표시함과 더불어 사용자에 의한 선택을 접수한다. 「결정」 버튼(904)은, 목표색 선택부(903)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확정할 때에 선택된다. 「캔슬」 버튼(905)은, 선택을 중지하고 직전의 조작 화면(여기에서는,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의 지정 화면)으로 되돌아갈 때에 사용된다. 또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여기에서는, 미리보기 표시부(902)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지정된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표시에 적당한 사이즈로 화소수를 줄인 썸네일 화상이 표시된다. 여기에서는, 상기 썸네일 화상은, 목표색 추출부(406)에 의해 생성된다.
목표색 위치 지정 화면(901)에 있어서,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이나 터치 펜(202)를 사용하여, 미리보기 표시부(902)에 표시된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 상에서 등록을 희망하는 목표색이 존재하는 위치를 지정한다(단계 S1802:Yes). 여기에서는, 사용자가, 도 21에 나타내는 점(911)(화상 중의 저녁놀진 하늘의 부분)을 지정했다고 한다. 상기 지정에 따라, 목표색 추출부(406)는, 미리보기 표시부(902)에 표시된 썸네일 화상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점(911)에 대응하는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 상의 점(혹은, 상기 점을 포함하는 영역)에 존재하는 화소의 색정보를 추출한다(단계 S1803). 상기 색정보가 목표색 후보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색정보는, 1색의 경우도 있고, 복수색의 경우도 있다. 여기에서는, 목표색 추출부(406)는, 복수의 목표색 후보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목표색 후보 중에서 화소수가 많은 순서로 3색의 목표색 후보를 특정했다고 한다.
사용자의 지정 위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목표색 후보를 특정한 목표색 추출부(406)는, 상기 특정한 목표색 후보를 목표색 위치 지정 화면(901)의 목표색 선택부(903)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선택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1804:Yes, S1805, S1806:No).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목표색 선택부(903)는, 각 목표색 후보로 착색된 직사각형 화상(912~914), 및 각 직사각형 화상에 대응하는 목표색의 선택에 사용되는 「등록」 버튼(915~917)을 구비한다. 이 예에서는, 목표색 선택부(903)에 있어서 왼쪽에 표시되어 있는 목표색 후보(912)에 대응하는 「등록」 버튼(915)이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결정」 버튼(904)을 선택하면, 목표색 추출부(406)는, 선택된 목표색의 색정보를 판정부(409)에 입력한다. 상기 입력에 따라, 판정부(409)는, 목표색 추출부(406)로부터 입력된 목표색이 목표색 유지부(402)에 기등록된 색범위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806:Yes, S1807).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입력된 목표색은, 목표색 유지부(402)에 등록되어 있는 기존의 색범위(여기에서는, 「인물 사진」, 「풍경 사진(청)」, 및 「풍경 사진(녹)」) 중 어느 것에도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판정부(409)는, 목표색 추출부(406)에 의해 추출된 목표색이 기존의 색범위에 속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단계 S1807:No). 이 때, 판정부(409)는, 판정 결과를, 목표색 추출부(406)에 통지한다.
상기 통지를 받은 목표색 추출부(406)는, 추출한 목표색의 색정보를 색범위 입력부(407)에 입력한다. 상기 입력을 받은 색범위 입력부(407)는, 사용자에 대해서, 입력된 색정보에 대응시키는 색범위의 입력을 요구하고, 입력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1808, S1809:No).
도 22는, 이 때 디스플레이(201)에 표시되는, 색범위 입력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색범위 입력 화면(1101)은, 색범위의 입력에 사용되는, 명도 입력란(1102), 채도 입력란(1103), 색상각 입력란(1104), 등록명 입력란(1105), 라벨명 입력란(1106), 각 입력란에 대한 입력을 확정할 때에 선택되는 「결정」 버튼(1107), 및 「되돌아간다」 버튼(1108)을 구비한다. 등록명 입력란(1105)은, 상술의 색범위 선택 화면(601)에 있어서, 색범위를 선택할 때의 버튼에 부여되는 명칭의 입력에 사용된다. 라벨명 입력란(1106)은, 색범위 선택 후에 표시되는 목표색 선택 화면에 있어서, 목표색을 선택할 때의 버튼에 부여되는 명칭의 입력에 사용된다. 「되돌아간다」 버튼(1108)은, 선택을 중지하고 목표색 위치 지정 화면(901)으로 되돌아가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 22의 예에서는, 명도 입력란(1102)에 있어서, 하한치 「20」 및 상한치 「80」가 설정되고, 채도 입력란(1103)에 있어서, 하한치 「70」 및 상한치 「120」가 설정되고, 색상각 입력란(1104)에 있어서, 하한치 「-30(330)」 및 상한치 「40」가 설정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등록명 입력란(1105)에 있어서, 「풍경 사진(적)」이 설정되고, 라벨명 입력란(1106)에 있어서, 「적」이 설정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 설정치는, 조작 패널(200)의 조작 키(203)나, 필요에 따라서 디스플레이(201)에 표시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다. 또한, 명도 입력란(1102), 채도 입력란(1103) 및 색상각 입력란(1104)에 있어서, 상하한치는, 예를 들면, 색범위 입력부(407)가 목표색 추출부(406)로부터 입력된 목표색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한 색차 내의 범위가 되는 상하한치 등을, 디폴트값으로서 표시하고, 상기 디폴트값을 사용자가 미세 조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결정」 버튼(1107)의 선택에 의해, 입력이 확정되면, 색범위 입력부(407)는, 입력된 색범위를, 목표색 추출부(406)로부터 입력된 목표색의 색정보와 함께 목표색 등록부(408)에 입력한다(단계 S1809:Yes). 상기 입력을 받은 목표색 등록부(408)는, 입력된 목표색의 색정보를, 입력된 색범위와 대응시켜 목표색 유지부(402)에 등록한다(단계 S1810). 또, 목표색 등록부(408)는, 입력된 색범위를, 입력된 등록명 및 라벨명과 함께, 화소 추출부(401)에 입력한다. 상기 입력을 받은 화소 추출부(401)에서는, 이후의 색보정에 있어서, 입력된 색범위의 선택이 가능해진다.
도 23은, 이상과 같이 하여 새로운 목표색이 목표색 유지부(402)에 등록된 후, 색보정 실시 시에 사용자가 목표색을 선택할 때에 표시되는 색범위 선택 화면(60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의 예에서는, 사용자는, 색범위 입력 화면(1101)에 있어서, 등록명 「풍경 사진(적)」을 입력하고 있다. 그 때문에, 신목표색 등록 후의 색범위 선택 화면(601)은,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택 버튼으로서 살색에 대응하는 「인물 사진」 버튼(602), 청색에 대응하는 「풍경 사진(청)」 버튼(603), 및 녹색에 대응하는 「풍경 사진(녹)」 버튼(604)에 더하여, 적색에 대응하는 「풍경 사진(적)」 버튼(611)을 구비하고 있다.
도 24는, 도 23에 나타내는 색범위 선택 화면(601)에 있어서, 사용자가 「풍경 사진(적)」 버튼(611)을 선택했을 때에 표시되는 목표색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의 예에서는, 사용자는, 색범위 입력 화면(1101)에 있어서, 라벨명 「적」을 입력하고 있다. 그 때문에, 「풍경 사진(적)」에 대응하는 목표색 선택 화면(1501)은, 새롭게 등록된 목표색으로 착색된 직사각형 화상(1502), 상기 직사각형 화상(1502)에 대응하는 목표색의 선택에 사용되는 「적 1」 버튼(1503), 및 「되돌아간다」 버튼(1504)을 구비하고 있다. 「되돌아간다」 버튼(1504)은, 선택을 중지하고 색범위 선택 화면(601)으로 돌아가기 위해서 사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목표색 선택 화면(1201)에 있어서 「적 1」 버튼(1503)을 선택함으로써, 새롭게 등록한 목표색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술의 판정 단계(단계 S1807)에 있어서, 판정부(409)가, 목표색 추출부(406)에 의해 추출된 목표색이 기존의 색범위에 속한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1807:Yes), 판정부(409)는, 상기 판정 결과를, 목표색 추출부(406)에 통지한다.
상기 통지를 받은 목표색 추출부(406)는, 사용자에 대해서, 기존의 색범위에 속하는 목표색으로서 등록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한다(단계 S1811). 이 때, 목표색 추출부(406)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01)에 「등록한다」 또는 「등록하지 않는다」를 선택 가능한 버튼을 표시하는 등에 의해, 사용자에게 문의한다. 회답이 입력되면, 목표색 추출부(406)는, 상기 회답을 판정부(409)에 통지한다.
입력된 회답이 「등록한다」인 경우, 판정부(409)는, 목표색 추출부(406)로부터 입력된 목표색의 색정보와, 상기 목표색이 속하는 목표색 유지부(402)에 기등록된 색범위를, 목표색 등록부(408)에 입력한다(단계 S1811:Yes). 상기 입력을 받은 목표색 등록부(408)는, 입력된 목표색의 색정보가 입력된 색범위와 대응시켜 목표색 유지부(402)에 등록한다(단계 S1810). 또, 입력된 회답이 「등록하지 않는다」인 경우, 판정부(409)는, 특별히 아무것도 하는 것 없이 순서가 종료된다(단계 S1811:No). 또한, 입력된 회답이 「등록하지 않는다」인 경우에, 사용자가, 등록 대상 목표색을 새로운 색범위와 대응시켜 목표색 유지부(402)에 등록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등록하지 않는다」의 회답을 받은 목표색 추출부(406)는, 후에, 색범위 입력부(407)에 의한 색범위의 입력을 사용자에게 요구하게 된다(단계 S1808).
또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의 사용자의 위치 지정에 따른 목표색 후보의 추출 단계(단계 S1804)에 있어서 목표색 추출부(406)가 추출한 목표색 후보가, 1색인 경우, 목표색 추출부(406)는, 사용자에 대해서 목표색 후보의 선택을 요구하지 않고 색범위의 지정을 요구한다(단계 S1804:No, S1807).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복합기(100)는, 화상 데이터 그 자체를 사용하여 목표색을 등록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시각을 통해서 확인한 화상 중에 포함되는 색을 목표색으로서 등록할 수 있다. 또, 등록 대상의 목표색으로 색보정하는 대상이 되는 색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화상 처리 장치에 설정되어 있지 않은 기억색 등의 색이어도, 사용자의 기호의 색을 목표색으로 하여 등록할 수 있다. 그 결과, 색보정을 실시할 때에는, 사용자는, 기호의 색으로의 색보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복합기(100)는,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에 복수의 색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제시된 목표색의 후보로부터 원하는 목표색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기호의 색을, 매우 용이하고 또한 확실히 목표색으로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복합기(100)는, 판정부(409)에 의해 등록 대상의 목표색이 기존의 색범위에 속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 등록 대상의 목표색을 목표색 유지부(402)에 등록하는 구성이다. 그 때문에, 색공간에 있어서의 색차가 작은 근사의 목표색이 다른 색범위의 목표색으로서 등록되는 일은 없다. 그 결과, 색보정을 실시할 때에, 근사한 다수의 색범위가 사용자에게 제시되고, 색보정의 선택이 곤란한 상황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판정부(409)는, 상기 판정 단계(단계 S1807)에 있어서, 상술의 판정을 대신하여, 목표색 추출부(406)로부터 입력된 목표색이 목표색 유지부(402)에 등록되어 있는 기존의 목표색에 대해서, 미리 지정된 색차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여기서 색차 조건으로서 예를 들면, 목표색 유지부(402)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목표색과 등록 대상의 목표색의 CIE L*C*h 색공간에 있어서의 색차가 소정치(예를 들면, 30~50 정도) 이상인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예를 들면, 색차 조건을 만족할 때에, 새로운 목표색 및 새로운 색범위를 목표색 유지부(402)에 등록함으로써, 상술한 효과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목표색 추출부(406)로부터 입력된 목표색이 목표색 유지부(402)에 등록되어 있는 기존의 색범위에 속하는지의 여부의 판정과, 상기 목표색이 목표색 유지부(402)에 등록되어 있는 기존의 목표색에 대해서, 미리 지정된 색차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의 판정은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특별히 바람직한 형태로서 판정부(409)를 구비하는 복합기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판정부(409)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여도, 사용자는, 적어도, 시각을 통해서 확인한 화상 중에 포함되는 색을 목표색으로서 등록할 수 있고, 등록 대상의 목표색으로 색보정하는 대상이 되는 색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도 20에 나타내는 목표색 선택 단계(단계 S1806)에 있어서 등록 대상의 목표색이 선택되면, 목표색 추출부(406)는, 선택된 목표색의 색정보를 색범위 입력부(407)에 입력한다. 상기 입력을 받은 색범위 입력부(407)는, 사용자에 대해서, 입력된 색정보에 대응시키는 색범위의 입력을 요구하고, 입력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1808, S1809:No). 사용자에 의한 색범위의 입력이 완료되면, 색범위 입력부(407)는, 입력된 색범위와, 목표색 추출부(406)로부터 입력된 목표색의 색정보를, 목표색 등록부(408)에 입력한다(단계 S1809:Yes). 상기 입력을 받은 목표색 등록부(408)는, 입력된 목표색의 색정보가 입력된 색범위와 대응시켜, 목표색 유지부(402)에 등록한다(단계 S1810). 또, 목표색 등록부(408)는, 입력된 색범위를, 입력된 등록명 및 라벨명과 함께 화소 추출부(401)에 입력한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는,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미 기재한 것 이외에도,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복합기의 조작 패널을 통한 조작에 기초하여 설명을 했지만, 상기 복합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정보처리 단말을 통해 복합기에 대한 조작이 행해져도 된다. 이 경우, 상술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패널(200)의 디스플레이(201)의 기능은, 정보처리 단말이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수단 및 키보드 등의 입력 수단에 의해 제공된다.
또, 상술의 플로차트는, 등가인 작용을 나타내는 범위에 있어서, 각 단계의 순서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0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색범위의 입력 단계(단계 S1808, S1809)는, 화상 데이터의 지정 전이나,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 상에 있어서의 위치 지정 전에 실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목표색 추출부(406)는, 목표색 후보를 추출할 때에, 입력된 색범위에 속하는 색정보만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면, 입력한 색범위의 목표색으로서 등록하는 것이 적당하지 않은 색정보가 목표색 후보로서 추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목표색 후보로서 추출되는 색정보는, 입력한 색범위에 속하기 때문에, 근사한 복수색의 목표색의 후보 중에서 원하는 목표색을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색범위가 선행하여 입력되는 구성에서는, 목표색 등록용 화상 데이터의 전체에 대해서, 목표색 추출부(406)가 목표색 후보를 자동적으로 추출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목표색 선택 화면에 표시되는 목표색을 나타내는 직사각형 화상을 대신하여, 색보정 후의 화상 데이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화상을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표시되는 화상 데이터는, 보정 대상 화상 데이터의 썸네일 화상, 및 보정 대상 데이터와는 다른 화상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목표색 선택 화면에 색보정 전의 화상 데이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색보정 후의 화상 데이터는, 색보정 전의 데이터에 대해서, 목표색 유지부(402)에 저장된 색범위 및 목표색에 따른 색보정을, 화소 추출부(401) 및 색보정 실시부(404)가 실시함으로써 생성 가능하다.
또한,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디지털 복합기로서 본 개시를 구체화했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지털 복합기에 한정하지 않고, 프린터, 복사기 등의 임의의 화상 처리 장치에, 본 개시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9)

  1.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색보정을 실시하는 화상 처리 장치로서,
    보정 대상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미리 지정된 색범위에 속하는 화소를 추출하는 화소 추출부와,
    상기 미리 지정된 색범위와 대응시켜 복수의 목표색을 저장하는 목표색 유지부와,
    상기 목표색 유지부에 저장된 복수의 목표색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한 하나의 목표색의 선택을 접수하는 목표색 선택 접수부와,
    상기 화소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화소의 색과 상기 목표색 선택 접수부를 통해서 선택된 목표색에 기초하여, 상기 보정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색보정을 실시하는 색보정 실시부와,
    등록 대상의 목표색을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를 유지하는 등록용 화상 유지부와,
    상기 등록용 화상 유지부에 유지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등록 대상의 목표색을 추출하는 목표색 추출부와,
    상기 목표색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등록 대상의 목표색을, 상기 미리 지정된 색범위와 대응시켜 상기 목표색 유지부에 등록하는 목표색 등록부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표색 추출부는, 미리 지정된 화상 데이터의 영역 내의 화소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화소의 색을 등록 대상 목표색의 후보로서 표시함과 더불어, 사용자에 의한 등록 대상 목표색의 선택을 접수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목표색 추출부는, 상기 미리 지정된 색범위에 속하는 화소만을 추출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색 등록부는, 상기 목표색 유지부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목표색에 대해서 등록 대상 목표색이 미리 지정된 색차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등록 대상 목표색을 상기 목표색 유지부에 등록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된 색범위에 속하는 화소에 대해서, 상기 목표색 유지부에 저장된 복수의 목표색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색보정 실시부가 색보정을 실시한 경우의 각 화상 데이터의 외관을 나타내고, 또한 상기 목표색 선택 접수부를 통한 목표색 선택 시에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선택용 화상을 유지하는 선택용 화상 유지부와,
    상기 목표색 유지부에 새롭게 등록된 목표색에 대한 상기 선택용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선택용 화상 유지부에 저장하는 화상 생성부를 더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색보정을 실시하는 화상 처리 장치로서,
    보정 대상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미리 지정된 색범위에 속하는 화소를 추출하는 화소 추출부와,
    상기 미리 지정된 색범위와 대응시켜 복수의 목표색을 저장하는 목표색 유지부와,
    상기 목표색 유지부에 저장된 복수의 목표색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한 하나의 목표색의 선택을 접수하는 목표색 선택 접수부와,
    상기 화소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화소의 색과 상기 목표색 선택 접수부를 통해서 선택된 목표색에 기초하여, 상기 보정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색보정을 실시하는 색보정 실시부와,
    등록 대상의 목표색을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를 유지하는 등록용 화상 유지부와,
    상기 등록용 화상 유지부에 유지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등록 대상의 목표색을 추출하는 목표색 추출부와,
    상기 목표색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등록 대상의 목표색과 대응시키는 새로운 색범위가 입력되는 색범위 입력부와,
    상기 목표색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등록 대상의 목표색을, 상기 색범위 입력부에 입력된 새로운 색범위와 대응시켜 상기 목표색 유지부에 등록하는 목표색 등록부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목표색 추출부는, 미리 지정된 화상 데이터의 영역 내의 화소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화소의 색을 등록 대상 목표색의 후보로서 표시함과 더불어, 사용자에 의한 등록 대상 목표색의 선택을 접수하는, 화상 처리 장치.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목표색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등록 대상의 목표색이 상기 목표색 유지부에 기등록된 색범위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기등록된 색범위에 속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목표색 등록부는, 상기 목표색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등록 대상의 목표색을, 상기 색범위 입력부에 입력된 새로운 색범위와 대응시켜 상기 목표색 유지부에 등록하는, 화상 처리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목표색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등록 대상의 목표색이 상기 목표색 유지부에 기등록된 목표색에 대해서 미리 지정된 색차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색차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목표색 등록부는, 상기 목표색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등록 대상의 목표색을, 상기 색범위 입력부에 입력된 새로운 색범위와 대응시켜 상기 목표색 유지부에 등록하는, 화상 처리 장치.
KR1020120119009A 2011-10-28 2012-10-25 화상 처리 장치 KR1014536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37079A JP5502054B2 (ja) 2011-10-28 2011-10-28 画像処理装置
JPJP-P-2011-237079 2011-10-28
JPJP-P-2011-237078 2011-10-28
JP2011237078A JP5502053B2 (ja) 2011-10-28 2011-10-28 画像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605A true KR20130047605A (ko) 2013-05-08
KR101453612B1 KR101453612B1 (ko) 2014-10-21

Family

ID=47296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009A KR101453612B1 (ko) 2011-10-28 2012-10-25 화상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60720B2 (ko)
EP (1) EP2587787B1 (ko)
KR (1) KR101453612B1 (ko)
CN (1) CN1030959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33240B (zh) * 2013-10-12 2017-07-1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拍照过程中和照片后期处理实时参数校准的方法和装置
JP6199795B2 (ja) * 2014-04-23 2017-09-2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US10627759B1 (en) * 2018-10-19 2020-04-21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selectably displaying candidates of consumables based on designated consumables
JP7251150B2 (ja) * 2019-01-11 2023-04-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2075007A (ja) * 2020-11-06 2022-05-1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色補正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色補正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1011B1 (en) 1997-01-20 2004-03-0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H1198374A (ja) 1997-09-24 1999-04-09 Konica Corp 色補正方法及び色補正装置
JP2004215235A (ja) * 2002-12-18 2004-07-29 Seiko Epson Corp 出力画像の記憶色調整
US7525684B2 (en) * 2003-10-14 2009-04-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lor calibration
KR100644702B1 (ko) * 2005-06-23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드라이버 설치시 사용자의 선호색에 따른칼라 프로파일 설정방법 및 장치
JP4646735B2 (ja) * 2005-08-17 2011-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9200741A (ja) 2008-02-20 2009-09-03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色調整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173594B2 (ja) * 2008-05-27 2013-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管理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それらの処理方法
JP5387020B2 (ja) * 2009-02-05 2014-01-15 株式会社ニコン 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60720B2 (en) 2014-06-24
CN103095965B (zh) 2015-06-17
EP2587787A2 (en) 2013-05-01
US20130107296A1 (en) 2013-05-02
EP2587787B1 (en) 2018-07-25
EP2587787A3 (en) 2014-06-25
CN103095965A (zh) 2013-05-08
KR101453612B1 (ko) 201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1765B2 (en) Operation console receiving user operation and electronic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operation console
JP5598727B2 (ja) 画像処理装置
US9374495B2 (en) Printer with outsourcing capability for color copies
US10782639B2 (en) Measurement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JP5990093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EP278459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image forming program
JP2007033888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1453612B1 (ko) 화상 처리 장치
US2017016383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for both side copying
US20090297025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536593B2 (en) Sett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etting device and clear-coat setting method
JP5502053B2 (ja) 画像処理装置
US8797596B2 (en) Operating device used in color designation upon executing color correction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11137956A (ja)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並びに印刷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
US20150049352A1 (en) Facsimile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facsimile
JP5502054B2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