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7014A -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7014A
KR20130047014A KR1020110111756A KR20110111756A KR20130047014A KR 20130047014 A KR20130047014 A KR 20130047014A KR 1020110111756 A KR1020110111756 A KR 1020110111756A KR 20110111756 A KR20110111756 A KR 20110111756A KR 20130047014 A KR20130047014 A KR 20130047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seat belt
seat
pillar trim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4755B1 (ko
Inventor
진창규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1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755B1/ko
Publication of KR20130047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4Passive restraint systems, i.e. systems both applied and removed automatically, e.g. by movement of the vehicle door
    • B60R22/08Passive restraint systems, i.e. systems both applied and removed automatically, e.g. by movement of the vehicle door having the belt retractor mounted on or in a vehicle closure, e.g.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2/023Three-point seat belt systems comprising two side lower and one side upper anchoring devices
    • B60R22/024Adaptations for use by small passengers, e.g.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2/023Three-point seat belt systems comprising two side lower and one side upper anchoring devices
    • B60R2022/025Adaptations for use with children seats or lugg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어린이가 차량에 탑승하여 성인을 기준으로 제작된 시트벨트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웨빙의 일부위가 목을 지나게 되어 답답하여 시트벨트를 착용하지 않거나 착용 하더라도 가슴을 지지하는 웨빙은 등 뒤로 돌리고 허리만을 지지하는 웨빙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차량 충돌시 어린이가 상당히 위험하여 시트벨트를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부스터 시트를 설치하여 어린이의 앉은 키를 높힌 상태에서 시트벨트를 사용함에 따라 부스터 시트 설치에 따른 소비자의 비용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뒷좌석 시트벨트를 안전하게 착용하기 위한 웨빙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차량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뒷좌석 시트벨트를 안전하게 착용하기 위한 웨빙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C필러트림어퍼(100)에 설치되어 C필러트림로워(200)의 내부에 설치된 리트렉터에서 인출되는 웨빙(300)의 방향을 굴곡시켜 주는 어퍼앵커D링(400)의 하단에는 절결부(411)가 구비되어 웨빙(300)이 끼워지는 웨빙걸이부(410)를 일체로 형성하여 웨빙(300)의 위치가 가변되게 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별도의 부스터 시트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웨빙(300)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키가 작은 어린이가 기존의 시트벨트를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부스터 시트 설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에 따라 소비자의 비용부담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Adjusting position device of seatbelt webbing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성인용 3점식 시트벨트를 키가 작은 어린이들이 별도의 보조장치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소비자들의 추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승차원을 구속하는 장치가 구비되는데 상기의 구속장치는 자동차의 충돌사고 시에 승차원을 구속하여 핸들이나 인스트루패널 등에 2차적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승차원이 차량 외부로 튕겨나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승차원 구속장치로는 시트벨트, 에어백 등이 있다.
상기의 시트벨트 종류로는 2점식벨트, 3점식벨트, 다이어고널벨트, 풀허네스식벨트 등이 있으며, 2점식 벨트는 허리좌우에 2점을 지지하는 형식으로 허리벨트(랩벨트)라고 하는데 여기서 랩은 걸터앉은 자세로 허리에서 무릎관절 부분까지를 말하며 어께벨트(숄더벨트)부분이 없기 때문에 충돌시 상체 구속성능은 다소 떨어지지만 승차원의 차외방출 효과는 매우 크다.
그리고 3점식벨트는 허리벨트와 어깨벨트가 따로 분리되어 철구조물에 의해 결합되는 분리 3점식벨트와, 허리벨트와 어깨벨트 두가닥이 연속된 한줄의 웨빙으로 구성되어 텅플레이트가 웨빙에 대하여 자유롭게 슬립되는 연속 3점식 벨트가 있는데 착용자의 안전성을 볼 때 시트벨트는 3점식 이상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고, 충돌시의 승차원 보호성능이 뛰어나며 실용성도 높아 근래에는 뒷좌석의 경우에도 2점식 허리벨트 대신에 3점식 시트벨트(이하 시트벨트라 칭함)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러한 시트벨트는 정상적인 일반 성인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어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에는 착용상에 상당한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모든 도로에서 6세 미만의 유아는 보조 카시트를 장착하고 좌석 안전띠를 매도록 도로교통법으로 의무화 되고 있다.
그러나 보조 카시트에 앉을 수 없을 정도로 성장한 6세 ~ 10세 미만의 어린이의 경우에는 특별한 안전장치 없이 뒷좌석에 그대로 앉아 시트벨트를 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시트벨트를 착용하게 되면 도 1 에서와 같이 웨빙(10)이 어깨를 지나 가슴 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야 하나 키가 작은 어린이가 탑승하여 차량에 설치된 시트벨트를 그대로 착용하였을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 뻗은 웨빙(10)의 일부가 어린이의 목에 걸치게 되어 갑갑하여 아예 시트벨트를 착용하지 않거나 대각선으로 뻗은 웨빙(10)을 등 뒤로 돌리고 단지 허리만을 지지하는 웨빙(10)만을 이용하여 허리를 지지 하는데 이는 충돌시 시트벨트가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함에 따라 치명적인 상해를 입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어린이들이 탑승할 경우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소비자가 별도의 부스터 시트(BOOSTER SEAT:20)를 구매하여 설치한 후 어린이가 부스터 시트(20)에 앉아 앉은 키를 높인 상태에서 시트벨트를 착용하여 웨빙(10)의 위치를 조절하여 웨빙(10)이 어깨부위를 지나 가슴을 지지토록 하는 것이나 이는 부스터 시트(20)를 구매에 따른 비용이 추가되어 소비자들의 비용부담을 가중시키는 것은 물론 설치에 따른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 에서와 같이 차량의 제작회사에서 뒷좌석 시트에 부스터 시트(20)를 아예 설치하여 차량을 판매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차량 판매가격에 부스터 시트(20)설치 비용도 포함되어 있어 차량의 전체가격이 상승하므로 소비자의 비용부담이 커져 소비자들이 쉽게 선택 구매할 수가 없을뿐더러 부스터 시트(2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시트의 강도를 보강하여야 하므로 그만큼 시트의 무게가 무거워져 차량의 주행연비도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부스터 시트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차량에 설치된 시트벨트를 키가 작은 어린이들이 꺼리지 않고 안전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부스터 시트 장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여 소비자들의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뒷좌석 시트벨트를 안전하게 착용하기 위한 웨빙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C필러트림어퍼에 설치되어 C필러트림로워의 내부에 설치된 리트렉터에서 인출되는 웨빙의 방향을 굴곡시켜 주는 어퍼앵커D링의 하단에는 절결부가 구비되어 웨빙이 끼워지는 웨빙걸이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웨빙의 위치가 가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된 시트벨트를 키가 작은 어린이들이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부스터시트 설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에 따라 소비자의 비용부담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차량에 설치된 시트벨트를 성인이 안정적으로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2 는 종래 차량에 설치된 시트벨트를 어린이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3 은 종래 차량에 별도의 부스터 시트를 설치하여 어린이가 부스터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시트벨트를 착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종래 차량 제작회사에서 시트에 부스터 시트를 직접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웨빙 조절장치를 예시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웨빙 조절장치가 필러트림어퍼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사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라 웨빙을 웨빙걸이부에 끼우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조절장치에 의해 웨빙의 위치를 조절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웨빙 조절장치가 설치된 시트벨트를 표준키 이상의 성인이 착용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웨빙 조절장치가 설치된 시트벨트를 어린이가 착용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조절장치를 예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웨빙 조절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웨빙 조절장치가 필러트림어퍼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라 웨빙을 웨빙걸이부에 끼우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조절장치에 의해 웨빙의 위치를 조절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면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웨빙 조절장치가 설치된 시트벨트를 표준키 이상의 성인이 착용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웨빙 조절장치가 설치된 시트벨트를 어린이가 착용한 상태를 예시한 요부사시도이이며,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조절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뒷좌석 시트벨트를 안전하게 착용하기 위한 웨빙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차량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뒷좌석 시트벨트를 안전하게 착용하기 위한 웨빙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C필러트림어퍼(100)에 설치되어 C필러트림로워(200)의 내부에 설치된 리트렉터에서 인출되는 웨빙(300)의 방향을 굴곡시켜 주는 어퍼앵커D링(400)의 하단에는 절결부(411)가 구비되어 웨빙(300)이 끼워지는 웨빙걸이부(410)를 일체로 형성하여 웨빙(300)의 위치가 가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310)은 웨빙에 끼워진 텅플레이트이고, (320)은 시트에 설치된 버클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C필러트림에 시트벨트를 설치하여 뒷좌석에 승차한 승객이 시트벨트를 착용하여 차량의 충돌사고시 시트벨트에 의해 충격력이 완화되어 승객의 부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성인 기준으로 제작되어 설치된 시트벨트를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웨빙(3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키가 작은 어린이가 시트벨트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래 별도의 부스터 시트를 설치함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소비자들의 비용부담을 낮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뒷좌석 시트에 착석한 승객이 착용할 수 있는 시트벨트를 착용자의 방향으로 굴곡 될 수 있도록 C필러트림어퍼(100)에 설치된 어퍼앵커D링(400)의 하단에 웨빙걸이부(410)를 일체로 형성하고 웨빙걸이부(410)의 일부위에 절결부(411)를 구비하였다.
따라서 뒷좌석에 표준키 이상인 성인이 착석 하였을 경우에는 어퍼앵커D링(400)을 통하여 C필러트림로워(200)내부의 리트렉터(도면중 미도시)에 감겨있던 웨빙(300)을 당겨 인출하여 텅플레이트(310)의 고정구를 버클(320)에 끼워 사용하면 도 9에서와 같이 웨빙(300)이 어깨부위를 지나 가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키가 작은 어린이가 착석하여 시트벨트를 착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역시 웨빙(300)을 당겨서 웨빙(300)의 일부위를 웨빙걸이부(410)의 절결부(411)를 통해 웨빙걸이부(410)내로 들어가도록 한후 웨빙(300)을 수평상태로 놓여지게 하면 도 10에서와 같이 웨빙(300)이 웨빙걸이부(410)에 의해 눌려지면서 웨빙(300)이 기존의 높이에서 하향으로 위치가 조절되어 어린이의 목부위가 아닌 어깨부위를 지나 가슴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1에서와 같이 어퍼앵커D링(400)의 하단에는 절결부(411)가 구비된 웨빙걸이부(410)를 다단으로 형성하여 웨빙(300)의 위치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어린이의 키에 따라 하여 웨빙(3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웨빙 조절장치는 뒷좌석의 C필러트림어퍼(100) 뿐만 아니라 앞좌석 시트벨트가 설치되는 B필러트림어퍼(도면중 미도시)에도 설치하면 앞좌석에 어린이가 탑승 하였을 경우에도 기존의 시트벨트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C필러트림어퍼 200 : C필러트림로워
300 : 웨빙 310 : 텅플레이트
320 : 버클 400 : 어퍼앵커D링
410 : 웨빙걸이부 411 : 절결부

Claims (2)

  1. 차량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뒷좌석 시트벨트를 안전하게 착용하기 위한 웨빙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C필러트림어퍼(100)에 설치되어 C필러트림로워(200)의 내부에 설치된 리트렉터에서 인출되는 웨빙(300)의 방향을 굴곡시켜 주는 어퍼앵커D링(400)의 하단에는 절결부(411)가 구비되어 웨빙(300)이 끼워지는 웨빙걸이부(410)를 일체로 형성하여 웨빙(300)의 위치가 가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어퍼앵커D링(400)의 하단에는
    절결부(411)가 구비된 웨빙걸이부(410)를 다단으로 형성하여 웨빙(300)의 위치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KR1020110111756A 2011-10-31 2011-10-31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KR101304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756A KR101304755B1 (ko) 2011-10-31 2011-10-31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756A KR101304755B1 (ko) 2011-10-31 2011-10-31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014A true KR20130047014A (ko) 2013-05-08
KR101304755B1 KR101304755B1 (ko) 2013-09-05

Family

ID=48658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756A KR101304755B1 (ko) 2011-10-31 2011-10-31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7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647A (ko) 2020-09-03 2022-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벨트 버클의 록킹장치
KR20220101945A (ko) 2021-01-12 2022-07-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운전자용 시트벨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038A (ko) * 1997-10-22 1999-05-15 양재신 자동차 시트 벨트의 어린이 체형 조절용 지지장치
KR100515143B1 (ko) * 2003-05-07 2005-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벨트의 어퍼 앵커 플레이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647A (ko) 2020-09-03 2022-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벨트 버클의 록킹장치
US11498516B2 (en) 2020-09-03 2022-11-15 Hyundai Motor Company Locking apparatus of seat belt buckle for vehicle
KR20220101945A (ko) 2021-01-12 2022-07-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운전자용 시트벨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4755B1 (ko)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49209B (zh) 车辆用座椅及车辆用座椅配置结构
EP1918164B1 (en) Device for stepwise height adjustment of vehicle seat belt
US8905478B2 (en) Child safety seat with structural support
EP1918163B1 (en) Child safety restraint
EP1927520B1 (en) Child Safety Restraint
US6846020B2 (en) Seat belt restraint system for both adults and children
US20040140660A1 (en) Seat belt restraint system with lap belt adjustment device
US9981629B2 (en) Child restraint system for use in vehicles
CN101407206A (zh) 四点式安全带系统的锁舌锁扣装置
US7000994B2 (en) Vehicle seat assembly
KR101304755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KR101282527B1 (ko) 자동차용 3점식 시트벨트 웨빙의 끼임 방지구조
KR101304794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GB2414442A (en) Three point seat belt with additional fixed two point belt
US9744939B1 (en) Utility vehicle
GB2408241A (en) A seatbelt arrangement with an air bag
KR101574442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KR101304653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KR101382280B1 (ko) 차량용 뒷좌석 시트벨트의 웨빙 루트 조절장치
CN219236973U (zh) 一种用于车辆座椅的头胸气囊保护系统
KR101438309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KR200485361Y1 (ko) 착용이 편이하고 미관이 향상된 차량용 시트벨트
KR101271855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고정장치
KR200393537Y1 (ko) 화물차 및 승합차의 중간좌석
JP6601462B2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