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5107A - 휴대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휴대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5107A
KR20130045107A KR1020110109578A KR20110109578A KR20130045107A KR 20130045107 A KR20130045107 A KR 20130045107A KR 1020110109578 A KR1020110109578 A KR 1020110109578A KR 20110109578 A KR20110109578 A KR 20110109578A KR 20130045107 A KR20130045107 A KR 20130045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state
portable electronic
area
sound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2007B1 (ko
Inventor
신동한
차일구
주원석
이재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9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007B1/ko
Publication of KR20130045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제1 바디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하는 회로기판이 내장되고 상기 제1 바디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바디보다 작은 넓이를 가지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를 제1 및 제2 상태 사이에서 상대 이동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의 후면은 상기 제1 바디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제1 영역과, 상기 가장자리와 이격되는 제2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디의 전면에 의하여 가려지게 상기 제2 영역을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 전자기기{MOBILE DEVICE}
본 발명은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자기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전자기기이다.
휴대 전자기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최근 휴대 전자기기는 전면의 대부분이 화면으로 구성되는 바 타입으로 주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바 타입은 디자인적 차별화에 어려움이 있으며, 따라서 대화면을 구현하면서도 차별화된 디자인을 구현하는 새로운 폼팩터(form factor)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새로운 폼팩터로 이루어지는 휴대 전자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에서 대화면을 쉽고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전자소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전자기기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제1 바디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하는 회로기판이 내장되고 상기 제1 바디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바디보다 작은 넓이를 가지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를 제1 및 제2 상태 사이에서 상대 이동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바디의 후면은 상기 제1 바디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제1 영역과, 상기 가장자리와 이격되는 제2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디의 전면에 의하여 가려지게 상기 제2 영역을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게 상대 이동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2 영역을 덮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면인 후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바디의 전면에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전자소자가 배치된다.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전자소자는 음향출력소자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에는 상기 음향출력소자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유출되는 유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에는 상기 유출홀에 대응하는 유입홀과, 상기 유입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음향을 가이드하는 음향출력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음향출력소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음향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양방향 스피커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영역에는 상기 슬라이딩에 의하여 상기 전자소자와 함께 외부로 노출되는 카드소켓이 배치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가 상대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디를 힌지결합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영역을 덮는 전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바디의 전면에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전자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자소자는 카드소켓 및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제1 바디를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에 대하여 예각을 이룬 채로 고정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1 상태에서 가려지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디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되어, 다른 하나로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바디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에 의하여 한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바디의 측면과 상기 제1 바디의 측면이 서로 단지도록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보다 적은 크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바디의 측면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바디와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가 제1 및 제2 바디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1 바디의 화면이 커짐에도 불구하고 제2 바디를 통하여 안정된 그립감을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 기능을 구현하는 전자소자들이 제2 바디에 장착됨에 따라, 제1 바디에 구비되는 베젤의 폭이 보다 좁아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보다 대화면의 디스플레이부가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음향출력소자가 제2 바디에 장착됨에 따라, 제1 바디가 보다 슬림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되는 제1 및 제2 바디가 상대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커버의 분리 등이 없이 전자소자가 교체되거나, 특정 전자소자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전자기기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의 후면 사시도.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휴대 전자기기의 분해도.
도 4는 도 1의 라인 Ⅳ-Ⅳ 를 따라 취한 휴대 전자기기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도 1의 라인 Ⅵ-Ⅵ 를 따라 취한 휴대 전자기기의 개념도.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B 부분 및 C 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도 6의 휴대 전자기기가 제2 상태로 슬라이딩된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전자기기의 개념도.
도 10은 도 9의 D 부분의 확대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전자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 전자기기에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렛 PC,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전자기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의 평면도이다. 본 도면들은 휴대 전자기기의 일 예로서 스마트 폰을 나타내고 있다.
개시된 휴대 전자기기(100)는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바디(110, 120 또는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상대 이동의 방식으로, 슬라이드 타입, 스위블 타입, 폴딩 타입 등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는 서로 중첩되게 배치된다.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에 각각 배치될 수 있는 기능이나 부품은 휴대 전자기기(100)가 어떠한 기능을 강조하는가 또는 어떤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추구하는가에 따라 다양한 예가 도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바디(110)는 주로 전자기기의 화면출력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고, 제2 바디(120)는 그 외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도시에 의하면, 제1 바디(11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13)가 장착되고, 제2 바디(120)의 측면에는 입력이나 제어명령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도 2A 참조)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제1 바디(110)의 슬림화를 위함이며, 다만 제1 바디(110)에는 상기 슬림화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부품,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 조도 센서, 근접 센서, 마이크 등이 장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는 일체로서 단일의 케이스(111)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10)에는 디스플레이부(113) 및 카메라(115)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제1 바디(110)의 주면(전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시각 정보 또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으로서 동작한다.
터치 스크린이라면, 터치 스크린의 노출된 부분에는 가상키들로서 기능키의 아이콘이 터치 입력 가능한 상태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3)에 동영상이 출력되는 경우라면, 기능키들은 일시정지, 재생, 뒤로, 앞으로, 재생 목록 등과 같은 기능의 구현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13)의 가장자리에는 이를 지지하는 베젤부(114)가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113)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카메라(115)가 배치된다. 카메라(115)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전자기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휴대 전자기기 바디에는 마이크(117)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에서 카메라(115)가 배치되는 일단부와 다른 단부로부터 인접한 영역에는 마이크(117)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과 함께 도 2A를 참조하면, 제2 바디(120)의 측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 및 인터페이스(126)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휴대 전자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조작 유닛들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은 시작, 종료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은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또는 음향의 크기 조절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된다.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연결 포트가 될 수 있으며,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전자기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전자기기(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도시에 의하면, 제2 바디(120)에는 전원공급부(125), 제2 카메라(127)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25)는 휴대 전자기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제2 바디에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25)는 내장형 배터리로서 바디의 내부에 내장된다.
제2 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에는 또한 제2 카메라(127)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카메라(127)는 전술한 카메라(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제2 카메라(127)에 인접하게는 플래쉬와 거울부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는 제2 카메라(127)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는 사용자가 제2 영상 입력부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2 바디(120)에는 음향출력모듈(124)이 배치될 수 있으며, 휴대 전자기기 바디의 후면에는 다른 음향출력모듈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출력모듈들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추가되는 음향출력모듈은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휴대 전자기기 바디의 측면에는 무선통신 또는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휴대 전자기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제1 바디(110)의 전면에 의하여 제2 바디(120)가 가려지므로,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3)만이 강조되어 나타난다. 또한, 사용자가 제2 바디(120)를 잡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3)를 바라보면, 디스플레이부(113)가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가려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보다 대화면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바디(110)가 크게 구성되어도, 제2 바디(120)의 작은 크기에 의하여 대화면에 비하여 중량이 보다 가벼워질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새로운 디자인 또는 폼팩터를 가능케 하는 휴대 전자기기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휴대 전자기기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라인 Ⅳ-Ⅳ 을 따라 취한 휴대 전자기기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바디(110)의 후면에 제2 바디(120)가 장착된다. 또한, 제1 바디(110)의 후면은 제1 및 제2 영역(118a, 118b)으로 구획된다.
제1 영역(118a)은 상기 제1 바디(110)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118a) 상기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제2 영역(118b)은 상기 가장자리와 이격되게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1 영역(118a)은 폐루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폐루프의 중앙 부분에 제2 영역(118b)이 배치된다. 즉, 상기 제1 영역(118a)에 의하여 한정되는 영역이 제2 영역(118b)이 된다.
도 2B와 함께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바디(120)는 상기 제1 바디(110)의 전면에 의하여 가려지도록 상기 제2 영역(118b)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2 영역(118b)은 상기 제2 바디(120)에 의하여 덮이며, 상기 제1 영역(118a)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 4 및 도 5에 의하면, 상기 제2 바디(120)에는 디스플레이부(113)를 구동하는 회로기판(128)이 내장된다. 회로기판(128)은 이동 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바디(110)는 제2 바디(120)보다 두께가 얇고, 넓이가 넓도록 형성되어, 슬림하면서도 대화면의 외관을 구현한다. 제2 바디(120)가 제1 바디(110)의 전면에 의하여 가려지므로, 특히 사용자는 제1 바디(110)의 전면을 바라보는 경우에는 얇고 큰 화면의 디스플레이부를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디자인의 구현을 위하여, 상기 제1 바디(11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3)의 기능과 관련된 전자소자들이 장착되고, 상기 제2 바디(120)에는 통화 기능을 구현하는 전자소자들이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11, 이하 제1 케이스)의 전면에는 윈도우(113a)가 장착된다. 윈도우(113a)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소재, 예를 들어 광투과성 합성수지, 강화 유리 등으로 구성된다. 다만 윈도우(113a)는 빛이 투과할 수 없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11)에는 윈도우(113a)에 대응하는 윈도우 홀(113a')이 형성되고, 상기 윈도우(113a)는 상기 윈도우 홀(113a')의 내벽을 따라 형성되는 안착부(114a)에 안착된다. 안착부(114a)는 베젤부(114, 도 1 참조)의 일 요소로서 구비된다.
윈도우(113a)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 소자(113c)가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소자(113c)는 시각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윈도우(113a)에 의하여 덮이도록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소자(113c)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윈도우(113a)는 디스플레이 소자(113c)를 덮도록 배치되고, 윈도우(113a)의 빛이 투과되는 부분은 디스플레이 소자(113c)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소자(113c)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시에 의하면, 윈도우(113a)에는 터치센서(113b)가 장착될 수 있다.
터치센서(113b)는 윈도우(113a)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윈도우(113a)의 빛이 투과되는 부분은 터치센서(113b)를 통하여 입력이 가능한 영역을 형성한다. 터치센서(113b)는 광투과성으로 이루어지며,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윈도우(113a)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전압, 커패시턴스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윈도우(113a), 터치센서(113b) 및 디스플레이 소자(113c)는 디스플레이부(113, 도 1 참조)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게 된다.
제2 바디(120)에 장착된 회로기판(128)은 디스플레이부(113)를 구동한다. 상기 회로기판(128)과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라인(128a)은 상기 제2 영역(118b)을 관통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라인(128a)은 디스플레이 소자(113c)와 회로기판(128)을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이나 동축케이블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연결라인(128a)은 연결단자들의 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라인(128a)에 의하여 제2 바디(120)에 장착된 배터리가 제1 바디(110)의 디스플레이 소자(113c)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영역(118a)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윈도우(113a)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바디(120)가 상기 제1 바디(110)보다 적은 크기(특히, 넓이)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제2 바디(120)의 측면과 상기 제1 바디(110)의 측면이 서로 단차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가 제2 바디(120)의 측면을 잡는 경우에, 제1 바디(110)의 후면에 의하여 방해를 받지 않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제2 바디(120)의 측면을 잡은 상태에서 화면을 바라볼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113)를 가리지 않으면서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제2 바디(120)의 측면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바디(110)와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를 통하여 제1 바디(110)의 후면과 제2 바디(120)의 측면은 서로 예각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가 제2 바디(120)를 잡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경사에 의하여 제2 바디(120)는 제1 바디(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넓이가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되나, 제2 바디(120)가 완전히 가려지도록 제2 바디(120)의 후면은 제1 바디(110)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바디(120)의 측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 및 인터페이스(126) 등이 배치된다. 종래의 스마트 폰, 휴대폰 또는 태블렛 PC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를 바라보면, 사용자 입력부 또는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나,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바디(120)가 완전히 가려지므로, 이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전자기기에서 제1 바디(110)의 측면은 상기 제2 바디(120)의 측면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 입력부 등은 제1 바디(110)의 측면 중 경사진 부분에 배치되어, 제1 바디(110)의 전면에 의하여 가려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바디의 전면(또는 디스플레이부)을 바라 볼 때, 사용자 입력부나 인터페이스가 노출되지 않는 구조(베젤부가 제1 바디의 최외각을 형성하는 구조)는 상기 방법들 중 어느 것에 의하여도 구현가능하다.
도 4 및 도 5에 의하면, 제1 바디(1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111)와 제2 바디(12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121)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1 케이스(111)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2 케이스(121)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금속 재질이 강도 및 강성이 보다 크므로, 제1 케이스(111)는 제2 케이스(121)보다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제1 케이스(111)에 장착되는 윈도우(113a)를 보호하도록 상기 제1 케이스(111)와 상기 윈도우(113a)의 사이에는 상기 제1 케이스(111)보다 연성재질의 보호부재(119a)가 배치된다. 상기 보호부재(119a)는 러버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지지하기 위한 금속 플레이트(119b)가 제1 케이스(111)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호부재(119a)는 금속 플레이트(119b)을 이용하지 않는 고정방법(예를 들어 케이스에 끼워맞춤, 접착 등)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의 사이에는 서로를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사이에서 상대 이동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모듈(130)이 배치된다. 상기 연결모듈(130)은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이 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상태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상태가 되며, 제2 상태는 제1 바디(110)가 제1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도 8에 도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제2 바디(120)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디(110)의 전면에 의하여 가려지게 상기 제2 영역(118b)을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영역(118b)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대 이동된다.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가이드 홈(131a)을 가지며 제1 바디(110)의 후면에 장착되는 제1 슬라이드 부재(131)와,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날개(132a)를 구비하며 제2 바디(120)의 전면에 장착되는 제2 슬라이드 부재(1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부재(131)가 복수로 구비되어, 제2 슬라이드 부재(13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양 방향 슬라이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모듈에 의하여, 본 발명의 휴대 전자기기는 다양한 기능의 확장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이러한 기능확장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라인 Ⅵ-Ⅵ 를 따라 취한 휴대 전자기기의 개념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B 부분 및 C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8은 도 6의 휴대 전자기기가 제2 상태로 슬라이딩된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2 바디(120)는 상기 제2 영역(118b)을 덮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면인 후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바디(120)의 전면에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전자소자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2 바디(120)에는 음향출력소자(124a)가 장착된다. 또한, 제2 바디(120)에는 제3 카메라(129)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소자(124a)와 제3 카메라(129)는 도 8에 도시된 제2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화상통화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음향출력소자(124a)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바디(110)에는 음향출력소자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유입되는 유입홀(141)과, 상기 유입홀(14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음향을 가이드하는 음향출력통로(142)가 형성된다.
음향출력통로(142)는 가이드 부재(143)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43)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 케이스(111)의 내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이에 특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격에 의하여 가이드 부재(143)와 제1 케이스(111)의 사이에 음향출력통로(142)가 형성된다.
도시에 의하면, 음향출력통로(142)는 제1 바디(110)의 후면(보다 구체적으로 제2 영역)에 구비되는 유입홀(141)에서 제1 바디(110)의 전면에 구비되는 음향 토출부(144)로 이어지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음향 토출부(144)은 윈도우(113a)와 제1 케이스(111)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제2 바디(120)에 장착된 음향출력소자의 음향이 제1 바디(110)의 전면으로 유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바디(120)에는 상기 음향출력소자(124a)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유출되는 유출홀(145)이 형성된다. 상기 유출홀(145)은 유입홀(14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1 상태에서 유입홀(141)을 향하여 음향을 배출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던 유출홀(145)은 제2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며, 이를 통하여 외부로 직접 음향을 방사하게 된다.
도 6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바디(110)의 제2 영역(118b)에는 슬라이딩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카드소켓(151)이 배치된다. 상기 카드소켓(151)은 심카드, 메모리 카드 등 외장카드가 장착되는 소켓이 될 수 있다. 상기 카드소켓(151)은 연성회로기판을 통하여 제2 바디(120)의 회로기판(128)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바디(110)의 후면에 카드소켓(151)이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필요시에만 제1 바디(110)의 슬라이딩을 통하여 외장카드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상기 연결모듈(130)이 슬라이드 모듈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이러한 예로서, 연결모듈이 힌지 타입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앞선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전자기기의 개념도이고, 도 10은 도 9A의 D 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연결 모듈(230)은 제1 및 제2 바디(210, 220)가 상대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디(210, 220)를 힌지결합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 상기 연결 모듈(230)은 힌지 모듈 또는 피봇 모듈이 될 수 있다.
연결 모듈(230)은 상기 제1 상태에서 가려지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디(210, 220)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되어, 다른 하나로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 모듈인 경우에 힌지축(231)은 제1 바디(210)에 구비되고, 힌지축(231)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홈부(232)는 제2 바디(220)에서 돌출되어 제1 바디(210)에 수용된 채로 상기 힌지축(231)과 결합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연결 모듈은 제1 상태에서 외부로 드러나지 않을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 모듈은 프리 스톱(free stop)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모듈(230)은 상기 제1 바디(210)를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220)에 대하여 예각을 이룬 채로 고정시킨다. 고정되는 위치는 복수의 위치가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휴대 전자기기를 바닥 등에 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를 세워서 동영상 등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바디(220)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영역(118b, 도 3 참조)을 덮는 전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바디(220)의 전면에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전자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전자소자는 카드소켓(251) 및 배터리(2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디(220)의 전면에는 배터리(252)를 덮는 배터리 커버가 장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제1 바디(210)를 폴더 형태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외장카드를 끼우거나, 배터리(252)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바디(220)에는 음향출력소자(224a)가 장착되며, 상기 음향출력소자(224a)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음향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양방향 스피커가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음향출력소자는 일방향 스피커 또는 리시버이며, 이하 설명되는 가이드 부재(243)가 없는 구조도 가능하다.
양방향 스피커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음향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일방향으로는 리시버가 되고, 타방향으로는 스피커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홀(241)을 향하여 출력되는 음향은 제1 바디(210)의 전면으로 가이드되며, 이에 반대 방향으로 출력되는 음향은 가이드부재(243)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제2 바디(220)의 측면으로 유출된다. 이러한 측면 유출을 위하여, 가이드부재(243)는 제2 바디(220)에 장착되어, 음향의 유출 방향을 전환시키며, 제2 바디(220)의 측면에는 토출공(24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휴대 전자기기는 작동 모드에 따라서 음향의 출력방향을 달리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휴대 전자기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4)

  1.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제1 바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하는 회로기판이 내장되고, 상기 제1 바디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바디보다 작은 넓이를 가지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를 제1 및 제2 상태 사이에서 상대 이동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의 후면은 상기 제1 바디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제1 영역과, 상기 가장자리와 이격되는 제2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디의 전면에 의하여 가려지게 상기 제2 영역을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2 영역을 덮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면인 후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바디의 전면에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전자소자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전자소자는 음향출력소자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에는 상기 음향출력소자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유출되는 유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에는 상기 유출홀에 대응하는 유입홀과, 상기 유입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음향을 가이드하는 음향출력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소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음향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양방향 스피커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영역에는 상기 슬라이딩에 의하여 상기 전자소자와 함께 외부로 노출되는 카드소켓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가 상대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디를 힌지결합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영역을 덮는 전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바디의 전면에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전자소자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소자는 카드소켓 및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제1 바디를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에 대하여 예각을 이룬 채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1 상태에서 가려지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디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되어, 다른 하나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바디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에 의하여 한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측면과 상기 제1 바디의 측면이 서로 단지도록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보다 적은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측면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바디와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KR1020110109578A 2011-10-25 2011-10-25 휴대 전자기기 KR101922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578A KR101922007B1 (ko) 2011-10-25 2011-10-25 휴대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578A KR101922007B1 (ko) 2011-10-25 2011-10-25 휴대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107A true KR20130045107A (ko) 2013-05-03
KR101922007B1 KR101922007B1 (ko) 2018-11-26

Family

ID=48657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578A KR101922007B1 (ko) 2011-10-25 2011-10-25 휴대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0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731A1 (ko) * 2021-07-27 2023-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2822A1 (en) * 2004-01-28 2005-07-28 Paul Shu Detachable modular computer
KR20070113026A (ko) * 2006-05-24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10071547A (ko) * 2009-12-21 2011-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벽걸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2822A1 (en) * 2004-01-28 2005-07-28 Paul Shu Detachable modular computer
KR20070113026A (ko) * 2006-05-24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10071547A (ko) * 2009-12-21 2011-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벽걸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731A1 (ko) * 2021-07-27 2023-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2007B1 (ko) 201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229B1 (ko) 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
US9086846B2 (en) Mobile terminal
EP284352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KR100991567B1 (ko) 다용도 전자 장치
KR101810463B1 (ko) 이동 단말기
KR20080033802A (ko) 전자 기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
TWI437412B (zh) 可攜式電子裝置
KR20100036135A (ko) 휴대 단말기
WO2006073510A1 (en) Mobile terminal having housing parts interconnected by flexible straps
KR101381637B1 (ko) 듀얼스크린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KR20120070361A (ko) 이동 단말기
US20070167197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275425B2 (en) Portable terminal for multimedia
KR101454238B1 (ko) 확장 모듈 및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922007B1 (ko) 휴대 전자기기
KR101918989B1 (ko) 이동 단말기
KR101398137B1 (ko) 휴대 단말기
KR101604749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19698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612790B1 (ko) 휴대 단말기
KR20120092996A (ko) 이동 단말기
KR20130091188A (ko) 휴대 전자기기
KR20120065852A (ko) 휴대 전자기기
KR101604716B1 (ko) 터치 입력 유닛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20100124944A1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lidable and pivotable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