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0361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0361A
KR20120070361A KR1020100131889A KR20100131889A KR20120070361A KR 20120070361 A KR20120070361 A KR 20120070361A KR 1020100131889 A KR1020100131889 A KR 1020100131889A KR 20100131889 A KR20100131889 A KR 20100131889A KR 20120070361 A KR20120070361 A KR 20120070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slide
unit
guide
sli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계원
김영민
김병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1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0361A/ko
Priority to US13/182,554 priority patent/US8634885B2/en
Publication of KR20120070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3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 사이에서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바디와 제2바디,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를 전기적 연결하고,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관통하는 연성회로기판 및 상기 갭의 개구면으로부터 상기 연성회로기판까지 형성되는 공간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바디로부터 상기 제2바디를 향하여 상기 갭을 가로지르도록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차단부들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함으로써, 열린 상태에서 단말기가 닫힌 상태로 전환되게 되면, 구조물에 의해 연성회로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어느 바디가 다른 바디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열린 상태에서 제1바디와 제2바디의 사이에 형성되는 갭에 판상의 구조물이 삽입되어, 연성회로기판의 손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린 상태에서 제2 바디의 노출되는 부분이 보다 넓은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 사이에서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바디와 제2바디,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를 전기적 연결하고,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관통하는 연성회로기판 및 상기 갭의 개구면으로부터 상기 연성회로기판까지 형성되는 공간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바디로부터 상기 제2바디를 향하여 상기 갭을 가로지르도록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차단부들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바디의 일면에 복수의 키버튼들이 배열되는 조작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키버튼들 사이에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상기 차단부의 일단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차단부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에 각각 내장되는 제1 및 제2 전자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를 서로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1 바디에 장착되는 제1 슬라이드 유닛 및 상기 제1 슬라이드 유닛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바디와 마주보는 상기 제2 바디의 일면에서 돌출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 슬라이드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슬라이드 유닛은, 서로에 대해 이격 배치되며, 각각 상기 슬라이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슬라이드 유닛을 한정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레일들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레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레일부는 각각, 상기 제2 바디의 일면에 대해 단지며, 상기 일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단차면; 및 상기 단차면의 양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레일들을 이루는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슬라이드 유닛은, 상기 제2 바디의 단부들 중 상기 제1 바디가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제1 바디의 양단 사이에서 상대 이동하는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슬라이드 유닛은, 상기 제1 바디에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 에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 모서리 사이에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 홀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슬라이드 유닛은, 상기 제1 가이드 홀을 한정하는 면 및 상기 제1 가이드 에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슬라이드 레일부 및 상기 제2 가이드 홀을 한정하는 면 및 상기 제2 가이드 에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슬라이드 레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슬라이드 유닛은 강도를 보강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양단 사이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홀 중 적어도 하나를 덮도록 형성되는 강성 보강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에 시각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제1바디와, 일면에 복수의 키버튼들이 배열되는 조작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의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바디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와,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사이에 형성되는 갭 및 상기 갭에 외부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경우,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외부 구조물을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제1바디로부터 상기 제2바디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갭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차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키버튼들 사이에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상기 차단부의 일단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차단부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를 상대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1 바디에 장착되는 제1 슬라이드 유닛 및 상기 제1 슬라이드 유닛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바디와 마주보는 상기 제2 바디의 일면에서 돌출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 슬라이드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단말기가 닫힌 상태로 전환되게 되면, 구조물에 의해 연성회로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바디가 삽입홈과 차단부들의 결합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바디가 보다 많이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열린 상태에서 제2 바디의 노출되는 부분이 넓고, 제1 및 제2 슬라이드 유닛의 접촉되는 면적이 작더라도 제1 및 제2 바디는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이동 단말기이 배면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라인(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이동 단말기의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한 이동 단말기의 제1 바디와 제2 바디를 분리한 분해도.
도 7은 도 6의 슬라이드 모듈의 분해도.
도 8은 닫힌 상태에서 도지 6의 슬라이드 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열린 상태에서 도 6의 슬라이드 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상면 사시도로서, 도 1은 이동 단말기가 닫힌 상태이고, 도 2는 이동 단말기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특히, 폭방향(가로방향)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열림상태를 구현하는 예가 제시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길이방향(세로방향)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열림상태를 구현하는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10)가 일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바디(120)의 적어도 일 부분이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바디(110) 및 제2바디(120)의 베이스(130)에 대한 '이동'으로서 슬라이딩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스윙(swing) 또는 스위블(swivel)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상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는 기능이나 부품은 이동 단말기(100)가 어떠한 기능을 강조하는가 또는 어떤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추구하는가에 따라 다양한 예가 도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2와 같이 상부 바디(110)의 상면에 디스플레이부(113)를 설치하고, 하부 바디(120)의 상면에 입력이나 제어명령을 위한 제2 조작부(123)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 제1 영상 입력부(115), 제1 조작부(116), 그리고 음향 입력부(117)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TOLED(Transparant OLED) 모듈 등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통화 연결을 위해, 디스플레이부(113)에는 터치 입력 가능한 숫자 키들이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시에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13)와 연동하는 햅틱 모듈(haptic module)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은 디스플레이부(113)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 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음향 입력부(117)는 마이크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입력부(117)는 디스플레이부(113)를 기준으로 음향 출력부(114)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가 제2바디(120)를 형성할 수 있다. 제2바디(1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123, 도 2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바디(120)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32)는 제2바디(1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면, 이에 의해, 닫힌 상태(도 1의 상태)에서 제1바디(110)에 의해 오버랩되는 제2바디(120)의 전면에 배치된 제2 조작부(123)가 제1바디(110)에 대하여 노출된다.
노출된 제2 조작부(123)의 키들은 디스플레이부(113)에서 출력되는 내용과 관련한 입력을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조작부(123)가 언어키(한글 자음 및 모음/영어 알파벳 등) 및 숫자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언어키는 쿼티(QWERTY) 배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언어키가 쿼티 배열을 이루도록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영문으로 문자, 메모, 이메일 등을 쉽게 작성할 수 있게 된다.
제2 조작부(123)가 터치 스크린이라면, 터치 스크린의 노출된 부분에는 키들로서 기능키의 아이콘이 터치 입력 가능한 상태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3)에 동영상이 출력되는 경우라면, 기능키들은 일시정지, 재생, 뒤로, 앞으로, 재생 목록 등과 같은 기능의 구현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제2바디(120)의 전면에 제2 조작부(123)가 배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바디(12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13)와 연동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이동 단말기(100)이 배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2바디(120)의 주면과 평행한(마주하는) 측면에는 제3 조작부(124), 인터페이스(126)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16,123,124)는 사용자 입력부(user input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1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3 조작부(124)는 제1 영상 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제2바디(120)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7)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에는 또한 제2 영상 입력부(1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입력부(128)는 제1 영상 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 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 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 입력부(1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영상 입력부(1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9)와 거울부(130)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129)는 제2 영상 입력부(1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30)는 사용자가 제2 영상 입력부(1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22)에는 제2 음향 출력부(1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음향 출력부(131)는 제1 음향 출력부(1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영상 입력부(128) 등이 리어 케이스(1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영상 입력부(128) 등과 같이 리어 케이스(1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28 내지 13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110), 주로는 리어 케이스(1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1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1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영상 입력부(1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 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 입력부(1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바디(110)의 슬라이딩 시에 제2바디(120)는 슬라이딩 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는 슬라이드 모듈(360, 도 3 참조)에 의해 연결된다. 슬라이드 모듈(360)은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 사이에서 제1바디(110)를 제2바디(120)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도록 형성된다.
제1바디(110)가 보다 많이 슬라이딩되면, 제2바디(120)의 전면의 노출되는 면적이 보다 넓어지게 된다. 노출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단말기의 하드웨어적 기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조작부(123, 도 2 참조)의 언어키 및 숫자키가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열린 상태에서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갭(180)에 판상의 구조물이 삽입되어, 연성회로기판의 손상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1바디(110)가 보다 많이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되는 본 발명과 관련한 이동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라인(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이동 단말기의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바디(110, 120)에는 각각 제1 및 제2 전자소자(141a, 141b)가 내장된다. 전자소자는 디스플레이 모듈, 회로기판, 카메라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의 각종 기능들을 구현하는 전자부품을 의미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전자소자(141a)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되고, 제2 전자소자(141b)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를 제어하는 회로기판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자소자(141a, 141b)는 연성회로기판(15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통하여 서로 격리된 제1 및 제2 바디(110, 120)의 내부에 전자소자들이 내장되어도, 이동 단말기는 전자소자들이 서로 연동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조작부(123)에 입력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13, 이상 도 3 참조)에 표시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150)은 제1 및 제2 바디(110, 120)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개구(142a, 142b)를 관통한다. 제1 및 제2 개구(142a, 142b)는 각각, 제1바디(110)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서로에 대해 가까워지는 제1 및 제2 바디(110, 120)의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 개구(142a)는 제1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에서 하측에, 제2 개구(142b)는 제2바디(120)의 프론트 케이스(121)에서 상측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 개구(142a, 142b)는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각각 제2 및 제1 바디(120, 110)에 의하여 가려지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 사이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갭(180)이 형성되고, 연성회로기판은 갭(180)을 통하여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갭(180)에는 열린 상태에서, 신용 카드나 명함과 같은 판상의 얇은 구조물이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바디(110)가 슬라이딩되어 단말기가 닫힌 상태로 전환되게 되면, 구조물에 의해 연성회로기판이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갭(180)의 개구면으로부터 연성회로기판에 근접하는 공간영역(181) 내에, 제1바디(110)로부터 제2바디(120)를 향하여 차단부(171)들이 형성된다.
차단부(171)들은 연성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단말기의 측면의 갭(180)으로부터 연성회로기판으로 구조물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한다. 또한, 차단부(171)들은 제1바디(110)가 슬라이딩되는 경우, 일정 면적을 가진 외부 구조물이 삽입되어 그 일면이 상기 개구면에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에까지 연장되는 않도록, 상기 공간영역(181)에 일정 크기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제2조작부의 키버튼들 사이에는 가이드부(172)가 형성된다. 차단부(171)들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172)를 따라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가이드부(172)는 차단부의 일단(17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172a)이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홈(172a)에 차단부의 일단(173)이 결합하여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제1바디(110)는 좌우 또는 상하로 요동함이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열린 상태에서 제1바디(110)가 삽입홈(172a)과 차단부(171)들의 결합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단부(171)들은 열린 상태에서 제2조작부 위에 놓여지거나 갭(180)에 삽입될 수 있는 외부구조물을 닫힌 상태로의 전환시 제1바디(110)가 슬라이딩하면서 외부로 밀어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와 관련한 이동 단말기의 제1바디(310)와 제2바디(320)를 분리한 분해도이다.
제1바디(310)와 제2바디(320)의 사이에는 슬라이드 모듈(360)이 구비된다. 슬라이드 모듈(360)은 제1바디(310)가 제2바디(32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슬라이드 모듈(360)은 제1 및 제2 슬라이드 유닛(370, 380)을 포함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슬라이드 유닛(370)은 제1바디(310)의 리어 케이스(312)에 장착된다. 제1 슬라이드 유닛(370)은,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US, Stainless Steel) 등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드 유닛(380)은 제1 슬라이드 유닛(370)과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슬라이드 유닛(370)은 제1바디(310)와 마주보는 제2바디(320)의 일면에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제2 슬라이드 유닛(380)은 제2바디(320)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스(321)의 일면에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제작 단가가 보다 저렴한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만약, 프론트 케이스(321)에 상기 제2 슬라이드 유닛(380)이 구비된 별도의 부재가 장착된다면, 부품 및 제작 공수가 증가할 것이다. 이하, 제2 슬라이드 유닛(380)은 제2바디(320)에 형성되고, 제1 슬라이드 유닛(370)은 제1바디(310)에 장착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슬라이드 유닛(370, 380)은 각각 제2 및 제1 바디(320, 310)에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모듈(360)은 이동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슬라이딩시에 일정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드 모듈(360)은 제1 슬라이드 유닛(370)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제1 슬라이드 유닛(370) 및/또는 제2 슬라이드 유닛(380)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형성되는 탄성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탄성 모듈의 탄성력은 슬라이딩 시키는 힘이 기준량을 초과하거나 미달 되면 기준량으로 복귀되도록 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탄성력은 제1 및 제2 슬라이드 유닛(370, 380)이 반자동으로 상대 이동하도록 하는 편향력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도 7은 도 6의 슬라이드 모듈(360)의 분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각각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에서 도 7의 슬라이드 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1 슬라이드 유닛(370)은 시트 형태로 형성된다. 제1 슬라이드 유닛(370)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US, Stainless Steel) 재질의 시트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유닛(370)은 베이스 플레이트(371), 제1 및 제2 가이드 에지(372, 373)와 제1 및 제2 가이드 홀(374, 375)을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371)는 제1바디(310)에 장착되며, 구체적으로는 용접 등을 통하여 리어 케이스(312)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제1바디(310)의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제1 및 제2 가이드 에지(372, 373)는 베이스 플레이트(371)의 양 모서리에 형성된다. 제1 및 제2 가이드 에지(372, 373)는 제1바디(31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 가이드 홀(374, 375)은 베이스 플레이트(371)의 양 모서리 사이에서 형성된다. 제1 및 제2 가이드 홀(374, 375)은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371)를 관통하는 관통홀으로 형성되며,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長孔, slot)이 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 홀(374, 375)은 제1 및 제2 가이드 에지(372, 373)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유닛(370)에는 제1 슬라이드 유닛(370)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강성 보강부(376)가 형성된다.
강성 보강부(376)는 베이스 플레이트(371)에서 연장되어 베이스 플레이트(371)과 단차를 가지는 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강성 보강부(376)는 양단이 베이스 플레이트(371)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양단 사이가 제1 및 제2 가이드 홀(374, 375) 중 적어도 하나를 덮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시트 형태의 제1 슬라이드 유닛(370)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 홀(374, 375) 주변의 강성 및 강도가 보강된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2 슬라이드 유닛(380)은 제1 및 제2 슬라이드 레일부(381, 382)를 포함한다.
제1 슬라이드 레일부(381)는 제1 가이드 홀(374)을 한정하는 면(374a) 및 제1 가이드 에지(372)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제2 슬라이드 레일부(382)는 제2 가이드 홀(375)을 한정하는 면(375a) 및 제2 가이드 에지(373)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한다.
제1 및 제2 슬라이드 레일부(381, 382)는 서로에 대해 이격 배치된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슬라이드 레일부(381, 382)는 각각, 단차면(383)과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381a, 381b, 382a, 382b)을 포함한다.
단차면(383)은 제2바디(320)의 일면, 예를 들어 프론트 케이스(321)의 일면에 대해 단지며, 상기 일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381a, 381b, 382a, 382b)은 단차면(383)의 양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고, 각각 슬라이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하여 제1 슬라이드 유닛(370)을 한정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레일들(381a, 381b, 382a, 382b)이 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레일부(381)의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381a, 381b)은 각각 제1 가이드 에지(372)와 제1 가이드 홀(374)을 한정하는 면(374a)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고, 제2 슬라이드 레일부(382)의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382a, 382b)은 각각 제2 가이드 에지(373)와 제2 가이드 홀(375)을 한정하는 면(375a)의 슬라이딩을 안내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381a, 381b, 382a, 382b)은 전체적으로 'ㄷ'자형 단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슬라이드 유닛(370, 380)의 사이에는 마찰력을 감소시키도록 윤활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윤활 부재는 합성수지, 예를 들어 폴리옥시메틸렌(POM, Poly Oxy Methylen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381a, 381b, 382a, 382b)는 리세스된 단면으로 형성되고, 윤활 부재(384)는 리세스된 부분의 내면에 대응하는 외관을 이룬다. 이를 통하여 제1 슬라이드 유닛(370)는 제2 슬라이드 유닛(380)과 직접 접촉하는 것보다 마찰력이 보다 적은 상태에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닫힌 상태에서 제1바디(310)가 제2바디(32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면, 제2 슬라이드 유닛(380)은 제1 슬라이드 유닛(370)의 일단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이때가 열린 상태가 된다.
제2 슬라이드 유닛(380)은 제2바디(320)의 단부들 중 제1바디(310)가 슬라이딩함에 따라 제1바디(310)의 양단 사이에서 상대 이동하는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열린 상태에서 제2바디(320)에서 제1바디(310)와 중첩되지 않고 노출되는 부분이 보다 넓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슬라이드 유닛(370, 380)이 복수의 지점에서 서로 결합하고, 강도가 보강됨에 따라, 열린 상태에서 제2바디(320)의 노출되는 부분이 넓고, 제1 및 제2 슬라이드 유닛의 접촉되는 면적이 작더라도 제1 및 제2 바디는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6)

  1.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 사이에서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바디와 제2바디;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를 전기적 연결하고,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관통하는 연성회로기판; 및
    상기 갭의 개구면으로부터 상기 연성회로기판까지 형성되는 공간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바디로부터 상기 제2바디를 향하여 상기 갭을 가로지르도록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차단부들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의 일면에 복수의 키버튼들이 배열되는 조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들 사이에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상기 차단부의 일단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차단부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에 각각 내장되는 제1 및 제2 전자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를 서로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1 바디에 장착되는 제1 슬라이드 유닛; 및
    상기 제1 슬라이드 유닛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바디와 마주보는 상기 제2 바디의 일면에서 돌출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 슬라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라이드 유닛은,
    서로에 대해 이격 배치되며, 각각 상기 슬라이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슬라이드 유닛을 한정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레일들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레일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레일부는 각각,
    상기 제2 바디의 일면에 대해 단지며, 상기 일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단차면; 및
    상기 단차면의 양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레일들을 이루는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라이드 유닛은,
    상기 제2 바디의 단부들 중 상기 제1 바디가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제1 바디의 양단 사이에서 상대 이동하는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 유닛은,
    상기 제1 바디에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 에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 모서리 사이에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 홀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라이드 유닛은,
    상기 제1 가이드 홀을 한정하는 면 및 상기 제1 가이드 에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슬라이드 레일부; 및
    상기 제2 가이드 홀을 한정하는 면 및 상기 제2 가이드 에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슬라이드 레일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 유닛은 강도를 보강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양단 사이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홀 중 적어도 하나를 덮도록 형성되는 강성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3. 전면에 시각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제1바디;
    일면에 복수의 키버튼들이 배열되는 조작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의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바디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사이에 형성되는 갭; 및
    상기 갭에 외부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경우,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외부 구조물을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제1바디로부터 상기 제2바디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갭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들 사이에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상기 차단부의 일단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차단부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를 상대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1 바디에 장착되는 제1 슬라이드 유닛; 및
    상기 제1 슬라이드 유닛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바디와 마주보는 상기 제2 바디의 일면에서 돌출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 슬라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동 단말기.
KR1020100131889A 2010-12-21 2010-12-21 이동 단말기 KR2012007036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889A KR20120070361A (ko) 2010-12-21 2010-12-21 이동 단말기
US13/182,554 US8634885B2 (en) 2010-12-21 2011-07-14 Mobile device having a plate in a gap between sliding bod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889A KR20120070361A (ko) 2010-12-21 2010-12-21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361A true KR20120070361A (ko) 2012-06-29

Family

ID=46235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889A KR20120070361A (ko) 2010-12-21 2010-12-21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34885B2 (ko)
KR (1) KR201200703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8901A1 (ko) * 2013-11-05 2015-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797673U (zh) * 2010-08-24 2011-04-13 新日兴股份有限公司 滑盖式枢纽器及滑盖式可携装置
TWI429375B (zh) * 2011-11-18 2014-03-01 Wistron Corp 具有軟性電路板導引機構之電子裝置
KR20130099530A (ko) * 2012-02-29 2013-09-06 주식회사 팬택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TWI476569B (zh) * 2012-09-24 2015-03-11 Quanta Comp Inc 攜帶式電子裝置
US9282668B2 (en) * 2012-09-28 2016-03-08 Ht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9137918B2 (en) 2012-09-28 2015-09-15 Ht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9560179B2 (en) * 2013-07-05 2017-01-31 John Ashmore LUMBARD Foldable curv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insertion into hip pocket
US10079923B2 (en) 2013-07-05 2018-09-18 John Ashmore LUMBARD Foldable electronic gaming 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insertion into hip pocket
US20150011262A1 (en) * 2013-07-05 2015-01-08 John Ashmore LUMBARD Mobile,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martphon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9042A (ja) * 2002-04-25 2003-1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機器
KR100704031B1 (ko) * 2004-04-29 2007-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CN101124806B (zh) * 2005-02-18 2011-08-03 富士通株式会社 滑动式便携电话机
US20090029741A1 (en) * 2006-03-02 2009-01-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rtable terminal
KR100761527B1 (ko) * 2006-08-08 2007-09-27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폰의 슬라이딩 장치
CN101237478B (zh) * 2007-02-02 2012-03-0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US8073510B2 (en) * 2007-09-10 2011-12-06 Samkwang Ind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WI337518B (en) * 2007-11-07 2011-02-11 Htc Corp Electronic device
JP2010011149A (ja) * 2008-06-27 2010-01-14 Panasonic Corp スライド式携帯端末
US8311599B2 (en) * 2008-07-17 2012-11-13 Sharp Kabushiki Kaisha Short-side direction slide type radio apparatus
JP5317180B2 (ja) * 2008-11-25 2013-10-16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実装構造及びスライド式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8901A1 (ko) * 2013-11-05 2015-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57172A1 (en) 2012-06-21
US8634885B2 (en) 2014-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0361A (ko) 이동 단말기
KR101810463B1 (ko) 이동 단말기
KR101485392B1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47B1 (ko) 휴대 단말기
KR101554187B1 (ko) 힌지 유닛 및 그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
KR101649625B1 (ko) 휴대 단말기
KR101677617B1 (ko) 이동 단말기
KR101688941B1 (ko) 휴대 단말기의 제조방법
KR101578799B1 (ko) 케이싱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604703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201910B1 (ko) 이동 단말기
KR101441922B1 (ko) 터치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918989B1 (ko) 이동 단말기
KR101570380B1 (ko) 휴대 단말기
KR101610206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1080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키 패드 제조방법
KR101474436B1 (ko) 휴대 단말기
KR101545594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017908A (ko) 휴대 단말기
KR101604749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1595347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95351B1 (ko) 휴대 단말기
KR101545572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29919B1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37B1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