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617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617B1
KR101677617B1 KR1020090111129A KR20090111129A KR101677617B1 KR 101677617 B1 KR101677617 B1 KR 101677617B1 KR 1020090111129 A KR1020090111129 A KR 1020090111129A KR 20090111129 A KR20090111129 A KR 20090111129A KR 101677617 B1 KR101677617 B1 KR 101677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external
chamber
external card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6440A (ko
Inventor
최현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1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617B1/ko
Priority to RU2010117179/07A priority patent/RU2444148C2/ru
Priority to CN2010105410625A priority patent/CN102065159A/zh
Publication of KR20110056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connectors capable of contacting cards of different formats, e.g. memory stick and SD card readers sharing at least one connector contact and the associated signal line, e.g. both using the same signal line for input or output of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G06K7/007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having multiple insertion slots, the respective slots suited for the same or different card form f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 및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어 복수의 외장카드들과 상기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외장카드들을 각각 수용하는 카드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카드소켓은 제1 외장카드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1 수용실과, 상기 제1 수용실에 적층되도록 이루어지며 제2 외장카드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2 수용실, 및 상기 제1 수용실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에 의하여 상기 제1 외장카드를 상기 제1 수용실로부터 추출시키는 추출 매커니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외장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소켓이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의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 시도들에 더하여, 상기 하드웨어 등의 기능을 보다 개선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개선 방안에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좀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도 포함하며, 외장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소켓에 대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보다 좁은 면적내에서 외장카드를 장착하는 매커니즘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복수의 외장카드를 보다 용이하게 삽입 및 추출할 수 있는 카드소켓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 및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어 복수의 외장카드들과 상기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외장카드들을 각각 수용하는 카드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카드소켓은 제1 외장카드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1 수용실과, 상기 제1 수용실에 적층되도록 이루어지며 제2 외장카드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2 수용실, 및 상기 제1 수용실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에 의하여 상기 제1 외장카드를 상기 제1 수용실로부터 추출시키는 추출 매커니즘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카드소켓은 베이스 하우징 및 커버를 포함한다. 베이스 하우징은 상기 회로기판에 배치되며, 베이스 하우징에는 상기 제1 수용실이 구비된다. 커버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을 덮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함께 상기 제2 수용실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 하우징은 베이스 부 재, 중간 부재 및 측면 부재들을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제1 외장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단자가 배치된다. 중간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와 함께 상기 제1 수용실의 수용 공간을 한정한다. 상기 중간 부재의 상기 베이스 부재와 마주보는 면의 반대 면에는 상기 제2 외장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단자가 배치된다. 측면 부재들은 복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중간 부재의 양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중간 부재로부터 돌출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 부재들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중간 부재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의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삽입홀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 홈들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들의 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의 상기 외장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중간 부재를 관통하는 관통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주면부 및 연결다리부를 포함한다. 주면부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을 덮도록 형성되고, 연결다리부는 상기 주면부의 양 모서리에서 상기 회로기판을 향하도록 절곡되며, 상기 회로기판과 체결된다. 상기 연결다리부에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결합하도록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서 돌출되는 돌기에 걸리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는 상기 주면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외장카드들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및 제2 수용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 매커니즘은 가이드부 및 슬라이딩 유닛을 포함한다.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수용실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외장카드의 삽입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외장카드를 지지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외장카드의 삽입 방향에 교차하게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제1 외장카드가 상기 제1 수용실에 수용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외장카드가 상기 제1 수용실에서 추출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몸체, 지지부 및 돌출부를 포함한다. 몸체는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1 수용실을 한정하는 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는 상기 제1 외장카드를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의 일단에서 절곡된다. 돌출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수용실의 개구에 걸리도록 상기 몸체의 타단에서 돌출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스토퍼를 포함한다. 스토퍼는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몸체에서 상기 제1 수용실의 개구를 향하여 돌출되며, 단부가 탄성변형 가능한 자유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스토퍼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스토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홈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외장카드의 추출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가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상기 제2 수용실에 수 용된 상기 제2 외장카드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외장카드는 각각 일 방향으로 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용실의 개구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외장카드의 긴 모서리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외장카드는 각각 심(SIM) 카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케이스에는 배터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면으로부터 리세스되는 배터리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카드소켓은 상기 제1 및 제2 수용실의 개구가 상기 배터리 안착부의 측면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의 상기 배터리 안착부와 인접한 부분에는 상기 제2 수용실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추출 매커니즘은 상기 제1 수용실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외장카드를 추출시키는 슬라이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배터리 안착부의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바닥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 매커니즘은 상기 카드소켓의 일모서리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에 의하여 상기 제1 외장카드를 상기 제1 수용실의 개구를 향하여 가압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수용실의 내부로 돌출되는 슬라이딩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본체부 및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체부는 상기 카드소켓의 일모서리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상기 카드소켓의 외면을 덮도록 이루어지고, 돌추부는 상기 본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카드소켓의 외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수용실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외장카드를 지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추출 메커니즘을 통하여, 적층되는 복수의 수용실로부터 외장카드의 추출이 보다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회로기판에서 카드소켓의 실장 면적이 보다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은 외장카드의 긴 모서리가 삽입되는 카드소켓을 통하여 외장카드의 삽입 스트로크가 보다 짧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길이가 보다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외장카드를 적층시킴에 따라, 외장카드를 마스터(master)/슬래이브(slave)의 구분없이 회로기판에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외장카드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카드소켓에 삽입됨에 따라 외장카드 장착에 대한 사용자의 혼동을 완화 또는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110, 이하 '바디'라 함)는 제1 바디(110)와, 상기 제1 바디(1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바디(12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은 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바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1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 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음 향 출력부(114), 제1 영상 입력부(115) 또는 제1 조작부(11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TOLED(Transparant OLED) 모듈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패드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시에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13)와 연동하는 햅틱 모듈(haptic module)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이러한 햅틱 모듈은 디스플레이부(113)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 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 조작부(116)은 디스플레이부(113)와 함께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가 제2 바디(1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바디(1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123)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21) 또는 리어 케이스(1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124), 제1 음향 입력부(125), 인터페이스(12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16, 123, 12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1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조작부(124)는 제1 영상 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입력부(125)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소켓일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22) 측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7)가 구성된다. 전원공급부(1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 등이 포함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의 후면에는 제2 영상 입력부(1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입력부(128)는 제1 영상 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 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 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 입력부(1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영상 입력부(1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9)와 거울부(130)가 추가로 배 치된다. 상기 플래쉬(129)는 제2 영상 입력부(1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30)는 사용자가 제2 영상 입력부(1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22)에는 제2 음향 출력부(1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음향 출력부(131)는 제1 음향 출력부(1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 측에는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33)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33)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20)의 프론트 케이스(12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영상 입력부(128) 등이 제2 바디(1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영상 입력부(128) 등과 같이 리어 케이스(1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28 내지 13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10), 주로는 리어 케이스(1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1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 바디(1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영상 입력부(1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 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 입력부(1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사용자 확인 정보 등을 제공하는 외장카드가 별도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외장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소켓(150)은 회로기판(144, 이상, 도 3 참조)에 장착된다.
도 3은 도 2의 제2 바디(120)에 대한 분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22)에는 리세스된 형태의 배터리 안착부(141)가 형성된다. 배터리 안착부(141)는 배터리(142)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배터리(142)의 외관에 대응하는 크기로 구성된다. 배터리 안착부(141)에는 이동 단말기의 적어도 일 구성요소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배터리(142)와 접속되는 접속 단자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 안착부(141)와 배터리 안착부(141)에 수용되는 배터리(142)는 전원공급부(127, 도 2 참조)를 이룰 수 있다.
리어 케이스(122)에는 배터리 안착부(141) 및 배터리(142)를 덮도록 배터리 커버(143)가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는 회로기판(144)이 배치된다. 회로기판(144)은 이동 단말기와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190, 도 9 참조)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22)의 배터리 커버(143)에 의하여 덮여지는 부분에는 회로기판 영역(144a)이 포함된다. 회로기판 영역(144a)은 배터리 안착부(141)와 인접하며, 리어 케이스(122)의 내부에 배치된 회로기판(144)을 덮는 리어 케이스(122)의 외면을 의미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회로기판(144)의 일면에는 카드소켓(150)이 장착된다.
카드소켓(150)은 회로기판(144)에 장착되어, 외장카드(180)와 회로기판(144)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외장카드(180, 도 4a 참조)를 수용한다.
카드소켓(150)은 회로기판(144)의 배터리 안착부(141)와 인접하게 배치될 모서리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카드소켓(150)의 입구는 상기 회로기판(144)의 모서리 측과 인접되기에, 상기 입구와 모서리 사이에는 전자소자가 거의 실장되지 않게 된다. 나아가, 카드소켓(150)의 입구가 상기 모서리에 최대로 근접하여 이들이 거의 일치하는 수준에 이를 수도 있다.
수용되는 외장카드(180)는 SIM(Subscriber Inde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nformation Module) 카드와 같은 표준화된 형태로서, 카드소켓(150)에 삽입되어 회로기판(144)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카드소켓(150)은 복수의 외장카드들(181, 182)과 회로기판(144)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외장카드들(181, 182)을 각각 수용하는 제1 및 제2 수용실(151, 152, 이상 도 4a 참조)을 포함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카드소켓(150)은 제1 및 제2 수용실(151, 152)의 개구가 배터리 안착부(141)의 측면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리어 케이스(122)의 상기 배터리 안착부(141)와 인접한 부분에는 제2 수용실(152)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관통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a는 도 3의 카드소켓(150)의 확대도이고, 도 4b는 도 3의 카드소켓(150)의 분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4b의 A 및 B 부분의 확대도들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카드소켓(150)은 제1 수용실(151), 제2 수용실(152) 및 추출 매커니즘(170)을 포함한다.
제1 수용실(151)은 제1 외장카드(181)를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회로기판(144, 도 3 참조)의 일면에 적층된다. 제2 수용실(152)은 상기 제1 수용실(151) 에 적층되도록 이루어지며, 제2 외장카드(182)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회로기판(144)에서 카드소켓(150)의 실장 면적이 보다 감소될 수 있다.
제1 수용실(151)의 일측에는 제1 외장카드(181)를 수용하도록 개구(151a)가 형성되고, 제2 수용실(152)에는 제2 외장카드(182)를 수용하도록 개구(152a)가 구비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외장카드(181, 182)는 각각 동일한 형태를 이루는 심(SIM) 카드이며 일 방향으로 길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구들(151a, 152a)은 상기 제1 및 제2 외장카드(181, 182)의 긴 모서리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제1 및 제2 외장카드(181, 182)은 카드소켓(150)에 삽입되어 회로기판(144)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183, 184)와, 단자부(183, 184)가 형성되지 않은 그랩부(185, 186)로 나뉜다. 상기 그랩부(185, 186)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이 된다.
카드소켓(150)은 상기 제1 및 제2 수용실(151, 152)을 형성하기 위하여, 베이스 하우징(153) 및 커버(16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153)은 회로기판(144, 도 3 참조)에 배치되며, 제1 수용실(151)을 구비한다. 베이스 하우징(153)은 베이스 부재(154), 중간 부재(155) 및 측면 부재들(156a, 156b)을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154)는 회로기판(144)의 면상에 배치되며, 베이스 부재(154)의 일면에는 제1 외장카드(18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단자(154a)가 배치된다.
중간 부재(155)는 베이스 부재(154)와 이격되어 베이스 부재(154)와 함께 제1 수용실(151)의 수용 공간을 한정한다. 중간 부재(155)의 상기 베이스 부재(154)와 마주보는 면의 반대 면에는 제2 외장카드(18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단자(155a)가 배치된다.
측면 부재들(156a, 156b)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154) 및 중간 부재(155)의 양 모서리를 서로 연결한다. 측면 부재들(156a, 156b)은 각각 중간 부재(155)로부터 상기 회로기판(144)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베이스 부재(154), 중간 부재(155) 및 측면 부재들(156a, 156b)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사출 성형 등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커버(160)는 베이스 하우징(153)을 덮도록 이루어지며, 베이스 하우징(153)과 함께 제2 수용실(152)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커버(160)는 상기 중간 부재(155)와 이격되어 중간 부재(155)와 함께 제2 수용실(152)의 수용 공간을 한정한다. 측면 부재들(156a, 156b)은 중간 부재(155)에서 커버(160)까지 돌출되어 제2 수용실(152)의 측벽을 형성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측면 부재들(156a, 156b)에는 각각 제1 및 제2 연결단자(154a, 155a)가 삽입되는 삽입홀(156c)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연결단자(154a, 155a)는 삽입홀(156c)을 관통하여 제1 및 제2 수용실(151, 15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54) 및 중간 부재(155)에는 제1 및 제2 연결단자(154a, 155a)의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삽입홀(156c)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 홈들(157a, 157b)이 형성된다.
도 5a를 참조하면, 중간 부재(155)의 가이드 홈(157a)은 연결단자(155a)의 양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155b)를 구비하며, 이를 통하여 연결단자(155a)의 삽입을 가이드한다. 베이스 부재(154)의 가이드 홈(미도시)도 중간 부재(155)의 가이드 홈(157a)과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4b를 참조하면, 가이드 홈들(157a, 157b)의 단부에는 제1 및 제2 연결단자(154a, 155a)의 외장카드들(181, 18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하 "접촉부"라 한다)이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베이스 부재 및 중간 부재(154, 155)를 관통하는 관통홀들(159a, 159b)이 형성된다. 즉, 접촉부(158)는 외팔보의 자유단을 이루며, 제1 및 제2 수용실(151, 152)의 내면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외장카드들(181, 182)이 수용실들(151, 152)에 삽입되면 접촉부(158)는 관통홀들(159a, 159b)을 향하여 굽힘 변형되면서 외장카드들(181, 182)의 단자부(183, 184, 도 4a 참조)와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접촉부(15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접촉부(158)와 단자부(183, 184)의 접촉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단자(154a, 155a)에서 상기 접촉부(158)의 반대측은 회로기판(144, 도 3 참조)에 표면실장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연결단자들(154a, 155a)에서 회로기판(144)과 연결되는 부분은 연결단자들(154a, 155a)의 주면으로부터 회로기판(144)를 향하여 절곡된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커버(160)는 주면부(161) 및 연결다리부(162)를 포함한다.
주면부(161)는 베이스 하우징(153), 구체적으로 중간 부재(155)를 덮도록 형성되고, 연결다리부(162)는 상기 주면부(161)의 양 모서리, 즉 가장자리에서 회로기판(144, 도 3 참조)을 향하도록 절곡되며, 상기 회로기판(144)과 체결된다.
베이스 하우징(153)에서는 돌기(163)가 돌출되며, 연결다리부(162)에는 베이스 하우징(153)과 결합하도록 상기 돌기(163)에 걸리는 관통홀(164)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돌기(163)는 후크를 이루며, 관통홀(164)에 상기 후크가 걸림된다.
커버(160)는 상기 주면부(161)에서 절곡되어, 상기 외장카드들(181, 182)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제1 및 제2 수용실(151, 152) 중 적어도 하나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165)를 포함한다. 바닥부(165)는 상기 커버(160)의 양 모서리와 교차하는 일 모서리에서 절곡된다. 커버(160)는 제2 수용실(152)에 수용된 제2 외장카드(182)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160)의 일 모서리를 중심으로 바닥부(165)와 주면부(161)의 서로 인접하는 부분은 제2 수용실(152)에 수용된 제2 외장카드(182)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절개된다. 즉, 커버(160)의 주면부(161)는 제2 외장카드(182)의 삽입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바닥부(165)로부터 제2 수용실(152)의 개구(152a)를 향하여 리세스된다.
개구(152a)를 관통하여 제2 수용실(152)에 삽입된 제2 외장카드(182)의 그랩부(176)는 상기 절개된 부분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절개된 부분은 리어 케이스(122)의 관통홀(132)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배터리 커버(143, 이상 도 3 참조)를 연 상태에서 제2 외장카드(182)를 용이하게 취 출할 수 있게 된다.
커버(160)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연결다리부(162)에는 회로기판(144)과 연결되는 삽입용 연결단자(162a)가 형성된다. 삽입용 연결단자(162a)는, 예를 들어 DIP(dual in-line package) 타입의 연결 단자가 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144)에는 삽입용 연결단자(162a)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b 및 도 4b를 참조하면, 추출 매커니즘(170)은 제1 수용실(15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에 의하여 제1 외장카드(181)를 상기 제1 수용실(151)로부터 추출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추출 매커니즘(170)은 가이드부(171) 및 슬라이딩 유닛(172)을 포함한다.
가이드부(171)는 제1 수용실(151)에 배치되며, 제1 외장카드(181)의 삽입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부(171)는 제1 수용실(151)의 내면으로부터 리세스되며, 슬라이딩 유닛(172)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딩 유닛(172)은 가이드부(171)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제1 외장카드(181)를 지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외장카드(181)의 삽입 방향에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딩 유닛(172)은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형성된다. 제1 위치는 제1 외장카드(181)가 제1 수용실(151)에 수용되어 회로기판(144, 도 3 참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위치이며, 제2 위치는 제1 외장카드(181)가 제1 수용실(151)에서 추출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슬라이딩 유닛(172)은 몸체(173), 지지부(174) 및 돌출부(175)를 포함한다.
몸체(173)는 가이드부(17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제1 수용실(151)을 한정하는 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몸체(173)는 판 부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판 부재의 양 모서리가 가이드부(171)에 의하여 가이드된다.
지지부(174)는 제1 외장카드(181)를 지지하도록 몸체(173)의 일단에서 절곡된다. 즉, 지지부(174)는 몸체(173)의 일단에서 상기 몸체(173)와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제1 외장카드(181)의 일면을 지지한다.
돌출부(175)는 제1 위치에서 제1 수용실(151)의 개구에 걸리도록 몸체(173)의 타단에서 돌출된다. 돌출부(175)는 제1 외장카드(181)가 삽입될 때 삽입 방향으로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돌출부(175)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슬라이딩 유닛(172)을 당길 수 있도록 잡을 수 있게 형성되며, 배터리 안착부(141, 도 3 참조)의 측면에서 바닥면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슬라이딩 유닛(172)은 상기 배터리 안착부(141)의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바닥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유닛(172)은 스토퍼(176)를 포함한다. 스토퍼(176)는 상기 슬라이딩 유닛(172)의 몸체(173)에서 제1 수용실(151)의 개구를 향하여 돌출되며, 단부가 탄성변형 가능한 자유단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가이드부(171)에는 스토퍼(176)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스토퍼 홈(177)이 형성되고, 스토퍼 홈(177)은 상기 제2 위치에서 제1 외장카드(181)의 추출 방향으로 스토퍼(176)가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슬라이딩 유닛(172)의 장착을 위하여 슬라이딩 유닛(172)을 가이드부(171)에 삽입시키면, 스토퍼(176)는 탄성 변형하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스토퍼(176)가 걸리는 부분을 통과하게 된다.
도 4b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2 수용실(152)에는 각각 제2 외장카드(182)가 오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삽입 제한부(152b)가 형성된다. 삽입 제한부(152b)는 제2 수용실(152)의 코너에서 상기 외장카드(182)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만약, 외장카드(182)를 뒤집어서 삽입한다면, 외장카드(182)는 완전히 삽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제1 수용실(151)에는 제1 외장카드(181)가 오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삽입 제한부(미도시)가 제2 수용실(152)의 삽입 제한부(152b)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외장카드들(181, 182)의 역삽 방지 매커니즘이 구현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카드소켓(150)에 장착된 외장카드들(181, 182)의 추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카드소켓(150)에 장착된 외장카드들(181, 182)을 추출하는 동작들을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5a는 제1 및 제2 수용실(151, 152, 도 4a 참조)에 각각 제1 및 제2 외장카드(181, 182)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60)에서 제2 외장카드(182)가 노출된 부분을 통하여 제2 외장카드(182)를 가압하거나 당겨주면, 사용자는 제2 외장카드(182)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제2 외장카드(182)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외장카드(181)를 추출하려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유닛(172)의 돌출부(175)를 잡아 당긴다. 돌출부(175)가 당겨지면, 슬라이딩 유닛(172)은 가이드부(171)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지지부(174, 도 4b 참조)는 제1 외장카드(181)를 개구를 향하여 밀어주게 된다. 이를 통하여 제2 외장카드(182)가 삽입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제1 외장카드(181)가 추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 유닛(172)에 의하여 제1 외장카드(181)의 취출이 용이하므로, 취출되는 방향으로 제1 외장카드(181)의 길이가 보다 짧아질 수 있다. 즉, 카드소켓(150)은 제1 외장카드(181)를 가로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의 전장 길이가 보다 감소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도 7의 카드소켓의 확대도 및 분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222)은 슬라이딩 유닛(272)의 일부를 리어 케이스(222)의 배터리 안착부(241)와 인접한 부분에서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카드소켓(250)의 추출 매커니즘(270)은 상기 카드소켓(250)의 일모서리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에 의하여 외장카드(181)를 제1 수용실(251)의 개구를 향하여 가압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수용실(251)의 내부로 돌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유닛(272)은 본체부(273) 및 돌출부(274)를 포함한다.
본체부(273)는 카드소켓(250)의 일모서리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카드소 켓(250)의 외면을 덮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슬라이딩 유닛(272)을 조작하는 손잡이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돌출부(274)는 본체부(273)에서 돌출되어, 카드소켓(250)의 외면을 관통하여 제1 수용실(251)로 연장되며, 외장카드(181)를 지지한다.
제1 및 제2 수용실(251, 252)을 형성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카드소켓(250)은 베이스 부재(253), 커버 부재(254) 및 중간 부재(255)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253)는 회로기판(244, 도 7 참조)에 장착되며, 일면에 제1 외장카드(18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단자(254a)가 배치된다. 제1 연결단자(254a)는 상기 베이스 부재를 관통하여 회로기판(24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253)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제1 연결단자(254a)는, 예를 들어 인서트 사출 등에 의하여 베이스 부재(253)와 일체화 될 수 있다.
커버 부재(254)는 상기 베이스 부재(253)의 일면과 이격되며, 가장자리가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253)의 모서리에 장착된다.
중간 부재(255)는 상기 제1 및 제2 수용실(251, 252)을 구획하도록 상기 베이스 및 커버 부재(253, 254)의 사이에 배치된다. 중간 부재(255)의 상기 제2 수용실(252)을 한정하는 면에는 제2 외장카드(18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단자(255a)가 배치된다. 중간 부재(255)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제2 연결단자(255a)는 중간 부재(255)에서 연장되어 회로기판(244)과 연결된다.
베이스 부재(253) 및 중간 부재(255)의 모서리는 슬라이딩 유닛(272)의 돌출부(274)의 슬라이딩에 대한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딩 유 닛(272)은 외장 카드가 오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돌출부(274)와 본체부(273)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외장 카드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이는 삽입 제한부(251a)를 이룬다. 이를 통하여 외장 카드의 역삽 방지 매커니즘이 보다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191), 조작부(116,123,124), 영상 입력부(115,128), 음향 입력부(125),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 131), 센싱유닛(196), 인터페이스(126), 방송수신 모듈(195), 메모리(194), 전원공급부(127), 제어부(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19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통신 모듈(19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9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93)을 포함한다.
조작부(116,123,1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90)에 제공한다. 조작 부(116,123,124)는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영상 입력부(115,128)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15,128)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9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수신부(19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 입력부(125)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9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9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125)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114,131)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9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9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
센싱 유닛(196) 이동 단말기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9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7)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126)는 이동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26)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 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194)는 제어부(19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9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9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수신 모듈(19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131),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9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9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9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9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27)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제2 바디에 대한 분해도.
도 4a는 도 3의 카드소켓의 확대도.
도 4b는 도 3의 카드소켓의 분해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4b의 A 및 B 부분의 확대도들.
도 6a 내지 도 6c는 카드소켓에 장착된 외장카드들을 추출하는 동작들을 나타내는 개념도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8a는 도 7의 카드소켓의 확대도.
도 8b은 도 7의 카드소켓의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Claims (20)

  1.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 및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어, 복수의 외장카드들과 상기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외장카드들을 각각 수용하는 카드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카드소켓은,
    제1 외장카드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1 수용실;
    상기 제1 수용실에 적층되도록 이루어지며, 제2 외장카드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2 수용실; 및
    상기 제1 수용실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에 의하여 상기 제1 외장카드를 상기 제1 수용실로부터 추출시키는 추출 매커니즘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 매커니즘은,
    상기 제1 수용실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외장카드의 삽입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외장카드를 지지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외장카드의 삽입 방향에 교차하는 슬라이딩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소켓은,
    상기 회로기판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수용실이 구비되는 베이스 하우징; 및
    상기 베이스 하우징을 덮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함께 상기 제2 수용실을 형성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은,
    상기 제1 외장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단자가 배치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와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와 함께 상기 제1 수용실의 수용 공간을 한정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와 마주보는 면의 반대 면에는 상기 제2 외장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단자가 배치되는 중간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중간 부재의 양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중간 부재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측면 부재들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부재들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중간 부재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의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삽입홀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 홈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들의 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의 상기 외장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중간 부재를 관통하는 관통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을 덮도록 형성되는 주면부; 및
    상기 주면부의 양 모서리에서 상기 회로기판을 향하도록 절곡되며, 상기 회로기판과 체결되는 연결다리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다리부에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결합하도록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서 돌출되는 돌기에 걸리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주면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외장카드들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및 제2 수용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제1 외장카드가 상기 제1 수용실에 수용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외장카드가 상기 제1 수용실에서 추출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1 수용실을 한정하는 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몸체;
    상기 제1 외장카드를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의 일단에서 절곡되는 지지부; 및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수용실의 개구에 걸리도록 상기 몸체의 타단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몸체에서 상기 제1 수용실의 개구를 향하여 돌출되며, 단부가 탄성변형 가능한 자유단으로 이루어지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스토퍼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스토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홈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외장카드의 추출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가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제2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제2 외장카드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장카드는 각각 일 방향으로 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용실의 개구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외장카드의 긴 모서리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장카드는 각각 심(SIM)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케이스에는 배터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면으로부터 리세스되는 배터리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카드소켓은 상기 제1 및 제2 수용실의 개구가 상기 배터리 안착부의 측면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배터리 안착부와 인접한 부분에는 상기 제2 수용실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추출 매커니즘은 상기 제1 수용실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외장카드를 추출시키는 슬라이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배터리 안착부의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바닥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매커니즘은,
    상기 카드소켓의 일모서리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에 의하여 상기 제1 외장카드를 상기 제1 수용실의 개구를 향하여 가압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수용실의 내부로 돌출되는 슬라이딩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카드소켓의 일모서리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상기 카드소켓의 외면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카드소켓의 외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수용실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외장카드를 지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090111129A 2009-11-17 2009-11-17 이동 단말기 KR101677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129A KR101677617B1 (ko) 2009-11-17 2009-11-17 이동 단말기
RU2010117179/07A RU2444148C2 (ru) 2009-11-17 2010-04-29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CN2010105410625A CN102065159A (zh) 2009-11-17 2010-11-08 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129A KR101677617B1 (ko) 2009-11-17 2009-11-17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440A KR20110056440A (ko) 2011-05-30
KR101677617B1 true KR101677617B1 (ko) 2016-11-18

Family

ID=44000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129A KR101677617B1 (ko) 2009-11-17 2009-11-17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77617B1 (ko)
CN (1) CN102065159A (ko)
RU (1) RU2444148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04428B (zh) * 2011-11-24 2015-06-24 昆山鸿日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机卡座和用于手机卡座的壳体
US20160373149A1 (en) * 2013-02-10 2016-12-22 Vladimir Aleksandrovich Elin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 multifunction identification module
WO2014182196A1 (en) * 2013-05-08 2014-11-13 Otkrytoe Aktsionernoe Obschestvo "Intersoft Evraziya" Device for selection and conne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operator
WO2017082764A1 (ru) * 2015-11-09 2017-05-18 Валентина Митрофановна АРТЕМЕНКО Сенсорный сотовый телефон
KR20220120041A (ko) * 2021-02-22 2022-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노이즈 방지 구조를 갖는 카드 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1742B2 (ja) * 1991-07-05 2000-10-23 東洋通信機株式会社 最小値検出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4339B2 (ja) * 1989-09-14 1999-02-03 キヤノン株式会社 静電荷像現像用現像剤
US5933328A (en) * 1998-07-28 1999-08-03 Sandisk Corporation Compact mechanism for removable insertion of multiple integrated circuit cards into portable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FR2791448B1 (fr) * 1999-03-26 2001-06-01 Framatome Connectors Int Connecteur pour lecteur double de cartes a microcircuit permettant de recevoir separement deux cartes a microcircuit
KR100347041B1 (ko) * 2000-05-24 2002-08-03 엘지전자주식회사 정보기기용 메모리카드 커넥터
DE10052025A1 (de) * 2000-10-20 2002-04-25 Orga Kartensysteme Gmbh Kartenlesevorrichtung für SIM-Karten
TW500275U (en) * 2001-03-28 2002-08-21 Suyin Corp Dual card socket structure for mobile phone
CN2891334Y (zh) * 2006-04-14 2007-04-18 实盈股份有限公司 Sim卡连接器
CN201072868Y (zh) * 2007-04-24 2008-06-11 深圳君泽电子有限公司 层叠式sim卡座
KR101132416B1 (ko) * 2007-06-04 2012-04-03 타이코에이엠피(유) 휴대폰용 메모리카드 및 sim카드 장착소켓
KR20090000533A (ko) * 2007-06-28 2009-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CN201122678Y (zh) * 2007-08-27 2008-09-24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电子卡固持基座及具有此固持基座的连接器总成
CN201130735Y (zh) * 2007-12-12 2008-10-0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多槽楼式用户识别卡卡座
RU2373661C2 (ru) * 2008-01-24 2009-11-20 Александр Николаевич Епихин Телефон сотовый мобильный двойной четырехдисплейный инверторный "aurus"
CN201233975Y (zh) * 2008-07-15 2009-05-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产品卡座
CN201247841Y (zh) * 2008-08-29 2009-05-27 上海徕木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叠层sim卡座
CN201307426Y (zh) * 2008-12-11 2009-09-09 林勇 带led的u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1742B2 (ja) * 1991-07-05 2000-10-23 東洋通信機株式会社 最小値検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65159A (zh) 2011-05-18
RU2444148C2 (ru) 2012-02-27
RU2010117179A (ru) 2011-11-10
KR20110056440A (ko) 2011-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991B1 (ko) 휴대 단말기
KR101677617B1 (ko) 이동 단말기
KR20120070361A (ko) 이동 단말기
KR101529917B1 (ko) 휴대 단말기
KR101578799B1 (ko) 케이싱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918989B1 (ko) 이동 단말기
KR20090080426A (ko) 확장 모듈 및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441922B1 (ko) 터치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659004B1 (ko) 이동 단말기
KR20090000533A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36B1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4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에 사용되는 배터리
KR101376610B1 (ko) 휴대 단말기
KR101386471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017908A (ko) 휴대 단말기
KR101463816B1 (ko)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604753B1 (ko) 이동 단말기
KR101502008B1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49B1 (ko) 휴대 단말기
KR101587136B1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30B1 (ko) 휴대 단말기
KR101570378B1 (ko) 휴대 단말기
KR101442543B1 (ko) 휴대 단말기
KR101513618B1 (ko) 휴대 단말기
KR101537697B1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