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6135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6135A
KR20100036135A KR1020080095598A KR20080095598A KR20100036135A KR 20100036135 A KR20100036135 A KR 20100036135A KR 1020080095598 A KR1020080095598 A KR 1020080095598A KR 20080095598 A KR20080095598 A KR 20080095598A KR 20100036135 A KR20100036135 A KR 20100036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transmitting member
light transmitting
light emitt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7687B1 (ko
Inventor
이우진
박병덕
임경택
전상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5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687B1/ko
Priority to US12/422,924 priority patent/US8095180B2/en
Priority to RU2009126413/09A priority patent/RU2435329C2/ru
Publication of KR20100036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Abstract

본 발명은 주면을 통해 접근 가능한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고 상기 주면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광 투과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발광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발광부에 연관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출력된 광을 전달하는 광 전달부재와, 상기 광 전달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광 전달 부재를 통하여 전달되는 광이 상기 광 투과부를 통해 외부로 진행하도록 유도하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일 영역에서 발생된 빛이 다른 영역으로 진행하도록 유도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적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위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 및 디자인에 대한 관점에서 광(光)을 이용한 시도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와 다른 형태로 광을 전달하고 출력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광의 진행 방향이 사용자를 향한 방향과 달라질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광이 설정된 방향으로 보다 원활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하우징과, 발광부와, 광 전달부재 및 유도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에는 주면을 통해 접근 가능한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된다. 상기 주면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광이 투과 가능한 영역인 광 투과부가 형성된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광 전달부재는 상기 발광부에서 출력된 광을 전달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발광부에 연관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유도부는 상기 광 전달 부재를 통하여 전달되는 광이 상기 광 투과부를 통해 외부로 진행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광 전달부재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커버와, 프레임과, 발광부와, 광 전달부재 및 유도부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감싸는 윈 도우 영역을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커버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중앙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용하도록 개구 된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커버와 프레임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광 전달부재는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광을 전달받도록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윤곽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한다. 상기 유도부는 상기 광 전달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광이 상기 광 전달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중에 상기 광 전달 부재의 연장 방향을 벗어나 상기 프레임을 향해 진행하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광이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 발광부와, 광 전달 부재와, 제2 발광부와, 유도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발광부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광 전달 부재는 상기 제1 발광부에서 발생 되는 광을 전달받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윤곽을 따르는 영역들 중 제1 영역을 따라 연장한다. 상기 제2 발광부는 상기 하우징의 윤곽을 따르는 영역들 중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과 연관되게 배치된다. 상기 유도부는 상기 광 전달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광이 상기 광 전달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중에 상기 광 전달 부재의 연장 방향을 벗어나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발광부들의 작동은 각기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발광부에서 발생되어 광 전달 부재를 통해 전달된 광이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주면과 교차하는 측면에 형성되는 투광부를 통해서 외부로 진행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미적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위 투광부를 통한 광의 출력으로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새로운 정보 표현 방식을 휴대 단말기가 채택하게 한다.
발광부에서 출력되는 광을 전달하는 광 전달 부재에 유도부가 형성됨에 따라서는, 광이 광 전달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광이 보다 효율적으로 투광부로 진행될 수 있게 한다. 이는 동일한 발광부의 성능에 대한 개선 없이도 투광부를 통해 출력되는 광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커버와 별도로 프레임이 형성됨에 따라서는, 광 전달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이 보다 용이해 질 수 있다. 또한, 광 전달부재와 관련되어 작동하는 제1 발광부 외에 제2 발광부를 구비함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형태들을 가지는 발광 상태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 바디(110)와, 상기 제1 바디(1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바디(12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은 개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바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와 같이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1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 도 2 참조)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는 것이 통상적이나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도 3 참조)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는 그 자체로서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111a)와, 커버(111a)를 수용하는 프레임(111b)이 결합 된 형태를 이룬다. 이에 의하여, 프레임(111b)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은 커버(111a)의 주면[윈도우 영역(113a)이 형성되는 면]과 교차하는 면(측면)을 이룰 수 있다. 커버(111a)의 윈도우 영역(113a)은 광 투과성을 가지고, 윈도우 영역(113a)을 둘러싸는 부분은 광이 투과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디스플레이부(113)에 대한 시인성을 높이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111a)가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면, 윈도우 영역(113a)은 별도 로 광 투과성의 수지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의 커버(111a)를 통해서는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 제1 영상 입력부(115) 또는 제1 조작부(116)가 접근 가능(accessible)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TOLED(Transparant OLED) 모듈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시에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13)와 연동하는 햅틱 모듈(haptic module)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이러한 햅틱 모듈은 디스플레이부(113)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 조작부(116)가 누름 방식의 키로 형성된 다면, 금속 재질의 커버(111a)에는 위 키가 노출되기 위한 개구부 또는 홀이 형성되면 된다. 제1 조작부(16)가 터치 방식으로 구현된다면, 커버(111a)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아도 될 것이다.
제1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가 제2 바디(1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바디(1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123)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21) 또는 리어 케이스(1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124), 제1 음향 입력부(125), 인터페이스(12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16,123,12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제2 조작부(1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3 조작부(124)는 제1 영상 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입력부(125)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2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7)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열린 상태를 보인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의 후면에는 제2 영상 입력부(1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입력부(128)는 제1 영상 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 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 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 입력부(1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영상 입력부(1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9)와 거울부(130)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129)는 제2 영상 입력부(1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30)는 사용자가 제2 영상 입력부(1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22)에는 제2 음향 출력부(1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음향 출력부(131)는 제1 음향 출력부(1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2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32)는 제2 바디(1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 측에는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33)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33)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20)의 프론트 케이스(12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영상 입력부(128) 등이 제2 바디(1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영상 입력부(128) 등과 같이 리어 케이스(1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28 내지 1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10), 주로는 리어 케이스(1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1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 바디(1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영상 입력부(1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 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 입력부(1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예를 들어 제1 바디(110)의 제2 바디(120)에 대한 슬라이드 이동, 음악 재생, 동영상 재생, 채팅 등에 연관되어, 프레임(111b)을 통해 광이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출력되는 광은 디스플레이부(113)로부터 또는 제1 조작부(116)를 통해 출력되는 광의 경우와 달리, 휴대 단말기의 측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도 발광을 인식할 수 있게 하는 등 새로운 발광 형태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휴대 단말기의 제1 바디(1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프레임(111b)과 광 전달부재(150) 및 집광부(160)를 분해한 상태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커버(111a)는 프레임(111b)의 위에 얹혀지는 형태를 이룬다. 이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의 전면은 거의 대부분이 커버(111a)에 의해 형성된다.
커버(111a)의 일 부분에는 윈도우 영역(113a)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13b)이 장착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13b)에 일 단이 연결되는 전선, 예를 들어 연성회로기판(FPCB)의 타단은 커버(111a)의 다른 부분에 장착되는 회로기판(116a)에 연결된다. 회로기판(116a)의 커버(111a)를 마주하는 면에는 제1 조작부(116)의 일부를 이루는 스위치, 예를 들어 돔 스위치들이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된 키에 의해 조작된다.
회로기판(116a)의 커버(111a)를 마주하지 않는 면에는 발광부(140)가 배치된다. 발광부(140)는 복수의 발광소자, 예를 들어 엘이디(LED)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발광부(140)는 제1 발광부(141)와 제2 발광부(142)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조작부(116)에 대한 백라이팅(back-lighting)은 위 돔 스위치들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별도의 발광소자(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회로기판(116a)에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라면, 위 발광부(140)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키[제1 조작부(116)]에 대한 백라이팅까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발광부(141)는 제1 영역(1113)에 인접한 제2 영역(1114)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발광소자들을 포함한다. 제2 발광부(142)는 제1 발광부(141) 보다는 제1 영역(1113)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2 영역(1114)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된다. 제1 발광부(141)에서 발생한 광이 광 전달부재(150)를 통해 주로 프레임(111b)의 제1 영역(1113)을 통해 외부로 진행한다면, 제2 발광부(142)에서 발생한 광은 중간 매개체 없이 프레임(111b)의 제2 영역(114)을 통해 외부로 진행하게 된다.
제1 및 제2 발광부들(141 및 142)은 각각 휴대 단말기의 작동에 따라 복수의 상이한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그들은 연속적으로 발광하거나, 단속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또한, 단속적 발광의 경우라면, 발광 시점들 사이의 간격이 달라질 수 있고, 발광이 지속 되는 시간 또한 달라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발광부들(141 및 142)은 동일한 패턴으로 발광 되거나, 서로 독립적으로 발광 될 수도 있다.
광 전달부재(150)는 발광부(140)로부터 발생된 광을 수용하기 위하여 발광부(140)와 연관되게 배치된다. 광 전달부재(150) 또한 수용한 광이 프레임(111b)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프레임(111b)과도 연관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 전달부재(150)가 프레임(111b)의 제1 영역(1113)의 윤곽을 따라 형성된 수용 채널에 수용된다. 수용 채널은 광 전달부재(150)가 배치될 위치를 한정하는 적어도 한 쌍의 격벽(1115)에 의해 형성된다.
광 전달부재(150)는 주로 그의 연장 방향을 따라 광을 전달하는 광 튜브(lighting tube) 또는 광 섬유(optical fiber)(151)일 수 있다. 광 튜브(5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프레임(111b)의 윤곽 중 일 부분에 대응되게 배치되게 된다. 광 전달부재(150)를 채용함에 따라, 그가 배치되는 좁은 공간에 발광소자와 회로기판 등을 배치하기 어려웠던 구조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된다.
프레임(111b)은 빛이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기에, 투광부라 칭할 수도 있다. 여기서, 투광부는 해당 부분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투명한 재질의 경우에는 내부가 들여다 보이가 어려우나, 광이 조사되는 경우에는 해당 부분이 불투명한 부분에 비해 부각되어 인식되게 한다.
프레임(111b)은 광 전달부재(150)의 대부분이 배치되는 제1 영역(1113)과, 광 전달부재(150)가 거의 배치되지 않는 제2 영역(111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영역(1113)에 비하여, 제2 영역(1114)은 상대적으로 큰 두께 또는 너비(폭, width)를 가지고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영역(1114)의 일 부분은 커버(111a)와 함께 휴대 단말기의 전면의 일 부분을 이루기도 한다.
제1 영역(1113)에는 주로 개구부(1111)가 형성된다. 개구부(1111)에 의해서, 휴대 단말기의 두께가 증가되지 않으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13b)이나 리어 케이스(112)가 배치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12)는 또한 슬라이드 모듈(133)의 일부를 구성하기도 한다. 제2 바디(120)의 프론트 케이스(121, 도 1 참조) 역시 리어 케이스(112)와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되고 리어 케이스(112)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됨에 따라, 슬라이드 모듈(133)의 다른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영역(1114)에는 회로기판(116a)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지지부(1112)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112)는 회로기판(116a)에 대한 지지와 아울러, 프레임(111b)의 강성을 보완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지지부(1112)에는 집광부(160)가 배치될 수 있다. 집광부(160)는 제1 발광부(141)에서 발생되는 광이 광 튜브(151)의 단부(151a)로 보다 많이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집광부(160)는 광 튜브(151)의 양단부에 대응해서 각각 구비되는 집광함(161)을 포함한다. 집광함(161)은 하나의 주면과 그에서 연장하는 측면을 구비하는 형태를 이룬다. 측면의 일 부부은 개구되고, 그 개구된 부분 에는 광 튜브(151)의 단부(151a)가 삽입된다. 주면에 대응하여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는 회로기판(116a)에 설치된 제1 발광부(141)가 삽입되게 된다. 집광함(161)은 금속 판재가 위 제1 발광부(141)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단부(151a)로 진행하기 위한 광의 반사가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집광함(161)들은 장착대(162)에 결합된 후에 지지부(1112)에 장착될 수 있다. 이는 집광합(161)들 간의 정렬이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광 튜브(151)의 양 단부(151a)에 대응하여 제1 발광부(141) 및 집광함(161)이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일 단부(151a)에 대해서만 위 구성들이 구비될 수도 있다. 나아가, 광 튜브(151)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광 튜브가 도시된 제1 발광부(141)에 각각 대응되면서 전체적으로 도시된 광 튜브(151)와 같은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4의 수용 채널의 일 부분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수용 채널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격벽(1115)에 이해 형성된다. 적어도 한 쌍의 격벽(1115) 사이에 배치되는 광 튜브(151)에서는 여러 방향으로 광이 출력될 수 있다.
여러 방향 중에서 프레임(111b)의 외부로 진행하는 광은 본 실시예에 부합하나, 그와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의 경우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에 부합하게 하기 위한 수단이 보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와 같은 보완의 일 예로서, 격벽(1115)에 산란 패턴(1116)을 형성하고 있다.
산란 패턴(1116)은 격벽(1115)의 표면에 요철(凹凸)이 생기도록 가공함에 따 라 형성되는 패턴으로서, 의도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의 적어도 일부가 그에 의해 산란되어 프레임(111b)이 외부로 진행하도록 한다.
이는 휴대 단말기의 측면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의 양을 높여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6은 광 튜브(151)의 일 실시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광 튜브(151)의 외주 면에는 광 튜브(151)를 통해 전달되는 광이 프레임(111b)을 통해 외부로 진행하도록 유도하는 유도부가 형성된다. 위 유도부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광 튜브(151)의 외면에 나사산 형태로 규칙적인 간격으로 연장하는 리세스 또는 그루브(152)를 예시하고 있다.
위 리세스(152)에 의하여, 광 튜브(15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주로 진행하는 광은 그와 교차하는 방향, 다시 말해서 광 튜브(151)의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보다 많이 진행하게 된다. 이는 제1 발광부(141, 도 3 참조)에서 발생한 광이 광 튜브(151)를 거쳐 보다 효율적으로 프레임(111b)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위 리세스(152)와 달리, 광 튜브(151)이 표면이 샌딩(sanding)되는 경우나, 광 튜브(151)의 일 부분이 분기(分岐)되는 경우 또한 위와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도 7은 도 6의 광 튜브(151)에 대한 이 변형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광 튜브(151)에 형성되는 리세스(152)는 그 분포가 균일하지 않다. 다시 말해서, 중앙 부분에는 리세스(152)가 집중적으로 분포되고, 주 변은 중앙보다는 낮은 밀도로 리세스(152)가 분포된다.
리세스(152)가 집중된 부분에서는 광의 이탈이 보다 활발할 것이다. 이는 리세스(152)가 집중된 부분이 주변에 비하여 보다 높은 발광량을 가지게 될 것임을 의미한다. 휴대 단말기의 특정 부분, 예를 들어 제1 음향 출력부(14, 도 1 참조)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는 측면의 일 부분을 강조하고자 한다면, 그 부분에 대응하는 광 튜브(151) 부분에 리세스(152)를 집중적으로 형성하면 될 것이다.
도 8은 도 4의 프레임(111b)에 대한 변형예에 따른 프레임(111b')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변형예에 따른 프레임(111b')은 앞선 경우와 유사하나, 그의 저면[커버(111a)로부터 먼 면]에는 반사층(1117)이 형성됨이 상이하다. 반사층(1117)은 광에 대한 반사가 가능한 물질, 예를 들어 니켈 등과 같은 금속 입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반사층(1117)에 의하여, 광 튜브(151)를 통한 이동 중에 프레임(111b')의 저면으로 진행하던 빛은 그 진행 방향을 바꾸어서 프레임(111b')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진행하게 된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제1 케이스(111)가 커버(111a)와 프레임(111b', 이상 도 1 참조)으로 구분되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제1 케이스(111')는 하나의 부재가 주면과 측면을 함께 갖는 단일체로 구성된다. 휴대 단말기는 제1 케이스(111')와 제2 케이스(112')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형태로서, 전체적으로 바(bar) 타입을 이룬다.
제1 케이스(111') 및 제2 케이스(112')의 측면에 인접해서는 광 튜브(151, 도 4 참조)가 배치될 것이고, 위 측면에는 광 튜브(151)에 대응하여 광이 투과될 투광부(111c)가 형성된다. 투광부(111c)가 제1 케이스(111')와 제2 케이스(112')에 걸쳐서 형성되는 경우라면, 그들 사이의 결합 라인이 투광부(111c)에 의해 쉽게 인지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투광부(111c)가 휴대 단말기의 둘레를 따라 전 구간에 형성되고, 광 튜브(151) 역시 전 구간에 대하여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라면,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은 제2 발광부(142, 도 3 참조)는 채택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측면의 폭 방향(width)의 전 영역이 고루 투광부가 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투광부(111c)의 폭이 제1 케이스(111')이 둘레 방향을 따라 달라진다. 이는 투광부(111c)에 대한 광의 투과에 의해 다양한 문양이나 형태, 글씨 등이 표현될 수 있게 한다.
투광부(111c)의 형성을 위하여, 제1 케이스(111')를 투명 재질로 형성하고 투광부(111c)를 감싸는 영역에 불투명한 물질을 도포하는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위 불투명한 물질은 주면에도 도포되어, 투명한 윈도우 영역(113a')도 한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광이 출력되는 부분들[윈도우 영역(113a')과 투광부(111c)]이 제1 케이스(111')이 나머지 부분과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 되지 않고, 제1 케이스(111') [및 제2 케이스(112')]의 일 부분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는 휴대 단말기의 외관이 투광부(111c) 등의 형성에 의해 복잡해지지 않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161), 조작부(116,123,124), 영상 입력부(115,128), 음향 입력부(125),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131), 센싱유닛(166), 인터페이스(126), 방송 수신 모듈(165), 메모리(164), 전원공급부(127), 제어부(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17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통신 모듈(16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6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63)을 포함한다.
조작부(116,123,1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70)에 제공한다. 조작부(116,123,124)는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영상 입력부(115,128)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15,128)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6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수신부(16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 입력부(125)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6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6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125)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114,131)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6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6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음향 출력부(114,131)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
센싱 유닛(166)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7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7)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126)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26)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164)는 제어부(1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6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6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수신 모듈(16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131),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7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6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6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6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27)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발광부(140)를 이루는 발광소자인 엘이디(LED)가 3색(RGB) 엘이디라면, 그 자체의 조합에 의해 일곱 가지의 색상이 출력될 수 있다. 제1 발광부(141)를 이루는 한 쌍의 엘이디가 모두 3색 알이디라면, 광 튜브(151)를 통해 전달되어 외부로 진행하는 광은 보다 다양한 조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위 한 쌍의 엘이디들이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발광 되는 경우들에서도 보다 다양한 발광 패턴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발광부(141) 뿐만 아니라 제2 발광부(142)의 발광에 의해서도 다양한 발광 패턴의 형성이 가능하다.
위 발광이 호 수신이나 문자 메세지 수신 등과 연계되어 이루어진다면, 휴대 단말기를 책상이나 탁자에 놓아둔 경우에도 위 상황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휴대 단말기의 주면 보다는 투광부가 형성된 측면에 보다 일치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열린 상태를 보인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예시된 휴대 단말기의 제1 바디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프레임과 광 전달부재 및 집광부를 분해한 상태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수용 채널의 일 부분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광 튜브의 일 실시예를 보인 개념도.
도 7은 도 6의 광 튜브에 대한 이 변형예를 보인 개념도.
도 8은 도 4의 프레임에 대한 변형예에 따른 프레임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Claims (22)

  1. 주면을 통해 접근 가능한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고, 상기 주면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광 투과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발광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발광부에 연관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출력된 광을 전달하는 광 전달부재; 및
    상기 광 전달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광 전달 부재를 통하여 전달되는 광이 상기 광 투과부를 통해 외부로 진행하도록 유도하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광 전달 부재에 리세스되게 형성되거나, 상기 광 전달 부재의 일 부분이 다른 부분으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광 전달 부재의 외주 면을 나사산 형태로 감싸면서 상기 광 전달 부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진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광 전달 부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 부분에서 다른 부분 보다 집중적으로 분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전달 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광 튜브(lighting tube) 또는 광 섬유(optical fib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 전달 부재가 수용되도록 적어도 한 쌍의 격벽들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광 전달 부재에서 출력되어 상기 투광부를 향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을 상기 투광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 및 광 전달 부재의 단부에 연관되게 배치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출력되는 광이 상기 광 전달 부재의 단부로 진행하도록 상기 광을 수집하는 집광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 중 일 부분은 다른 부분과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광 전달 부재에 연관되게 배치되는 발광소자(들)과, 상기 하우징의 윤곽을 따르는 영역 중 상기 광 전달 부재에 대응하지 않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향해 광을 출력하도록 배치되는 다른 발광소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작동과 관련하여 복수의 모드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중 상기 광 투과부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주변 부분으로 진행하는 광을 상기 광투과부를 향해 반사하는 반사층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3. 디스플레이 모듈을 감싸는 윈도우 영역을 구비하는 커버;
    상기 커버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중앙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용하도록 개구된 프레임;
    상기 커버와 프레임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광을 전달받도록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윤곽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하는 광 전달 부재; 및
    상기 광 전달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광이 상기 광 전달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중에 상기 광 전달 부재의 연장 방향을 벗어나 상기 프레임을 향해 진행하도록 하는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광이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프레임과 다른 재질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에 인접한 부분에는 상기 발광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윈도우 영역과 다른 영역에는 입력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회로기판 중 상기 지지부를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발광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복수의 발광소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소자들 중 상기 광 전달 부재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발광소자(들)는, 상기 광 전달 부재의 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집광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외면은 상기 윈도우 영역이 이루는 면과 교차하는 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제1 발광부;
    상기 제1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광을 전달받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윤곽을 따르는 영역들 중 제1 영역을 따라 연장하는 광 전달 부재;
    상기 하우징의 윤곽을 따르는 영역들 중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과 연관되게 배치되는 제2 발광부;
    상기 광 전달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광이 상기 광 전달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중에 상기 광 전달 부재의 연장 방향을 벗어나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하는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발광부들의 작동은 각기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광의 투과가 가능한 영역들 중 상기 광 전달 부재에 대응하는 영역보다 상기 제2 발광부에 대응하는 영역이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광 전달 부재에 리세스되게 형성되거나, 상기 광 전달 부재의 일 부분이 다른 부분으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주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고, 상기 주면과 교차하는 측면에는 상기 광 전달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광이 투과 가능한 투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80095598A 2008-09-29 2008-09-29 휴대 단말기 KR101537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598A KR101537687B1 (ko) 2008-09-29 2008-09-29 휴대 단말기
US12/422,924 US8095180B2 (en) 2008-09-29 2009-04-13 Mobile terminal
RU2009126413/09A RU2435329C2 (ru) 2008-09-29 2009-07-09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598A KR101537687B1 (ko) 2008-09-29 2008-09-29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135A true KR20100036135A (ko) 2010-04-07
KR101537687B1 KR101537687B1 (ko) 2015-07-20

Family

ID=42058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598A KR101537687B1 (ko) 2008-09-29 2008-09-29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95180B2 (ko)
KR (1) KR101537687B1 (ko)
RU (1) RU2435329C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8934A1 (ko) * 2012-02-07 2013-08-15 주식회사 네오센스 Nfc 단말기용 발광 외부 케이스 및 발광 nfc 휴대 단말기
WO2013168847A1 (ko) * 2012-05-11 2013-11-14 Baek Yong-Seung 도광판 발광형 nfc 단말기용 외부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59787A1 (de) * 2008-12-23 2010-07-15 Citizen Electronics Co., Ltd., Fujiyoshida-shi Leuchteinheit und elektronische Vorrichtung unter Verwendung derselben
KR101545026B1 (ko) * 2009-03-11 201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명 장식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TWI407758B (zh) * 2009-05-27 2013-09-01 Htc Corp 電子裝置
US20110018849A1 (en) * 2009-07-27 2011-01-27 VIZIO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mbedding a display in a bezel
CN201556167U (zh) * 2009-09-25 2010-08-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照明装置的键盘
KR101097332B1 (ko) * 2010-02-10 2011-12-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햅틱 기능을 갖춘 디스플레이 모듈
US8638236B2 (en) * 2010-02-25 2014-01-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pplying tactile pressure sensors
US8666456B2 (en) * 2011-10-12 2014-03-04 Htc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US8774716B2 (en) * 2012-03-29 2014-07-08 Auden Techno Corp. Mobile terminal extension case
US9560279B2 (en) * 2013-03-11 2017-01-31 Tera Xtal Technology Corporation Camera device and projector device having protective lens
CN105864721B (zh) * 2015-01-24 2019-05-21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面板导光装置
CN207968573U (zh) * 2018-02-09 2018-10-1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3202A (ja) * 1988-11-25 1990-06-01 Takashi Mori 光ラジエータ
US5237607A (en) * 1992-01-03 1993-08-17 At&T Bell Laboratories Lighted telephone dial
CA2121653C (en) * 1993-05-05 1997-05-13 Kevin D. Kaschke Optical fiber light emitting apparatus
DE19715053A1 (de) 1997-04-11 1998-10-15 Bosch Gmbh Robert Elektrisches Gerät
US7336980B1 (en) 2001-05-29 2008-02-26 Nokia Corporation Outer decorative cover for attachment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n associated light source mounted in an interior of the wireless device
US7452098B2 (en) * 2001-06-15 2008-11-18 Apple Inc. Active enclosure for computing device
JP4055116B2 (ja) 2002-05-07 2008-03-05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DE10319672A1 (de) 2003-05-02 2004-11-18 Siemens Ag Tragbares elektrisches Gerä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8934A1 (ko) * 2012-02-07 2013-08-15 주식회사 네오센스 Nfc 단말기용 발광 외부 케이스 및 발광 nfc 휴대 단말기
WO2013168847A1 (ko) * 2012-05-11 2013-11-14 Baek Yong-Seung 도광판 발광형 nfc 단말기용 외부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9126413A (ru) 2011-01-20
US8095180B2 (en) 2012-01-10
KR101537687B1 (ko) 2015-07-20
US20100081470A1 (en) 2010-04-01
RU2435329C2 (ru) 2011-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7687B1 (ko) 휴대 단말기
KR101646508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1301521B1 (ko) 휴대 단말기
KR101485392B1 (ko) 휴대 단말기
KR101587085B1 (ko) 휴대 단말기
KR101810463B1 (ko) 이동 단말기
KR10177145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
KR20140062225A (ko) 이동단말기
KR101772078B1 (ko) 이동 단말기
KR101437972B1 (ko) 휴대 단말기
KR101584537B1 (ko) 키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1502008B1 (ko) 휴대 단말기
KR101409872B1 (ko) 휴대 단말기
KR101622684B1 (ko) 휴대 단말기
KR101604749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1398137B1 (ko) 휴대 단말기
KR101604716B1 (ko) 터치 입력 유닛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20092996A (ko) 이동 단말기
KR101529926B1 (ko) 휴대 단말기
KR101604714B1 (ko) 휴대 단말기
KR101561910B1 (ko) 휴대 단말기
KR101960513B1 (ko) 이동 단말기
KR101910381B1 (ko) 이동 단말기
KR101595362B1 (ko) 휴대 단말기
KR20140045818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