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4927A -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4927A
KR20130044927A KR1020110109288A KR20110109288A KR20130044927A KR 20130044927 A KR20130044927 A KR 20130044927A KR 1020110109288 A KR1020110109288 A KR 1020110109288A KR 20110109288 A KR20110109288 A KR 20110109288A KR 20130044927 A KR20130044927 A KR 20130044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unit
liquid crystal
stereoscopic
stereoscopic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5600B1 (ko
Inventor
곽만영
조천우
권병훈
Original Assignee
(주)그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림 filed Critical (주)그림
Priority to KR1020110109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600B1/ko
Publication of KR20130044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8Inspecting transparent materials or objects, e.g. windscree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01Optical details; Scanning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며, 베이스 필름 위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홀수번째 화소라인들과 각각 대응되는 제1 편광상태를 갖는 복수의 제1 액정패턴과 짝수번째 화소라인들과 각각 대응되는 제2 편광상태를 갖는 복수의 제2 액정패턴이 형성된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로서, 3차원 입체영상 필터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와, 조명부와 이송부 사이에 설치되며 조명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편광으로 바꾸어 3차원 입체영상 필터로 진행하도록 하는 제1 편광필터와, 제1 편광필터를 투과한 편광이 3차원 입체영상 필터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제2 편광필터와, 제2 편광필터를 통과한 광에 의해 3차원 입체영상 필터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카메라부를 고정되게 장착하는 카메라 장착부와, 카메라부가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이송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카메라 장착부를 구동하는 장착부구동부와,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영상을 획득하는 화상처리부와, 화상처리부에서 획득된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영상으로부터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불량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 FILTER}
본 발명은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3차원 입체영상 필터를 제조하는 인-라인(in-line) 공정에서 제1 편광상태를 갖는 복수의 제1 액정패턴라인과 제2 편광상태를 갖는 복수의 제2 액정패턴라인의 피치 길이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불량 여부를 판정하는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 등과 같은 2D 화면 표시를 갖는 장치에서 3차원 입체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제시된 기술로는 특수안경에 의한 입체화상 디스플레이, 무안경식 입체화상 디스플레이 및 홀로그래픽(holographic) 디스플레이 방식이 있다.
이중 특수안경에 의한 입체화상 디스플레이 방식은 편광의 진동방향 또는 회전방향을 이용한 편광안경 방식과, 좌우화상을 서로 전환시켜가면서 교대로 제시하는 시분할 안경방식 및 좌/우안에 서로 다른 밝기의 빛을 전달하는 방식인 농도차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디스플레이 패널(103) 전면에 배치되는, 편광안경 방식에 사용되는 3차원 입체영상 필터(10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3)은 일례로 가로(x), 세로(y) 1920 × 1080 화소를 갖는 액정표시패널로 구현되며, 액정표시패널은 마주보는 2개의 전극과 그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으로 구성되는데, 액정층은 2개의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투과율의 차이를 나타내게 되고 그 차이를 화소별로 달리하여 2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3차원 입체영상 필터(101)는 액정표시패널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3)에, 베이스 필름(105)과 배향막(107)과 액정 코팅층(109)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3차원 입체영상 필터(101)는 일례로, 낱장의 베이스 필름(105) 위에 배향막(107)을 형성한 후, 마스크 및 광조사를 사용하여 배향막(107)을 패턴화하고, 배향막(107) 상에 액정 코팅층(109)을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3차원 입체영상 필터(101)에서 액정 코팅층(109)은 디스플레이 패널(103)의 홀수번째 화소라인들과 대응되는 제1 편광상태를 갖는 복수의 제1 액정패턴라인(L)과 디스플레이 패널(103)의 짝수번째 화소라인들과 대응되는 제2 편광상태를 갖는 복수의 제2 액정패턴라인(R)이 교대로 반복하여 형성된다.
복수의 제1 액정패턴라인(L)를 통과한 빛은 사용자의 편광 안경에서 좌안의 편광 필름을 통과하고, 복수의 제2 액정패턴라인(R)를 통과한 빛은 사용자의 편광 안경에서 우안의 편광 필름을 통과하여, 양안(兩眼)에 서로 다른 이미지를 맺히게 하여 입체 영상을 구현한다.
한편, 3차원 입체영상 필터(101)가 일례로 가로(x), 세로(y) 1920 × 1080 화소를 갖는 액정표시패널 전면에 배치되는 경우, 복수의 제1 액정패턴라인(L)과 제2 액정패턴라인(R) 각각의 피치(P1, P2) 길이는 액정표시패널 화소의 세로 길이에 따라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기준 피치 길이와 동일해야 한다. 또한, 복수의 제1 액정패턴라인(L)과 제2 액정패턴라인(R)의 피치(P1, P2) 길이를 합산한 값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세로 화소라인에 따라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전체 길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와 동일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 3차원 입체영상 필터(101)는 제조된 후 장비업체에 납품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3)에 부착된 후 불량 여부를 판정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때, 3차원 입체영상 필터(101)의 제1 액정패턴라인(L)과 제2 액정패턴라인(R) 각각의 피치(P1, P2) 길이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기준 피치 길이와 다르거나, 복수의 제1 액정패턴라인(L)과 제2 액정패턴라인(R)의 피치(P1, P2) 길이를 합산한 값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전체 길이와 다른 경우, 3차원 입체영상 필터(101)는 불량으로 판정된다. 이에 따라 3차원 입체영상 필터가 불량인 경우에 작업자는 디스플레이 패널(103)에서 3차원 입체영상 필터(103)를 제거하는 불필요한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3차원 입체영상 필터를 제조하는 인-라인(in-line) 공정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불량 여부를 판정하는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며 베이스 필름 위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홀수번째 화소라인들과 각각 대응되는 제1 편광상태를 갖는 복수의 제1 액정패턴과 짝수번째 화소라인들과 각각 대응되는 제2 편광상태를 갖는 복수의 제2 액정패턴이 형성된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불량을 검출하는 장치로서, 3차원 입체영상 필터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와, 조명부와 이송부 사이에 설치되며 조명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편광으로 바꾸어 3차원 입체영상 필터로 진행하도록 하는 제1 편광필터와, 제1 편광필터를 투과한 편광이 3차원 입체영상 필터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제2 편광필터와, 제2 편광필터를 통과한 광에 의해 3차원 입체영상 필터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카메라부를 고정되게 장착하는 카메라 장착부와, 카메라부가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이송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카메라 장착부를 구동하는 장착부구동부와,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영상을 획득하는 화상처리부와, 화상처리부에서 획득된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영상으로부터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불량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는, 카메라부가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이송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되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크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는,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3차원 입체영상 필터를 정렬시키는 스톱-바(stop-ba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는, 판정부가 화상처리부에서 획득된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영상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홀수번째 화소라인들과 각각 대응되는 제1 편광상태를 갖는 복수의 제1 액정패턴라인과 짝수번째 화소라인들과 각각 대응되는 제2 편광상태를 갖는 복수의 제2 액정패턴라인 각각의 피치 길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복수의 제1, 제2 액정패턴라인의 피치 길이 중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기준 피치 길이와 다른 것이 존재하면 불량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는, 판정부가 화상처리부에서 획득된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영상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홀수번째 화소라인들과 각각 대응되는 제1 편광상태를 갖는 복수의 제1 액정패턴라인과 짝수번째 화소라인들과 각각 대응되는 제2 편광상태를 갖는 복수의 제2 액정패턴라인 각각의 피치 길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복수의 제1, 제2 액정패턴라인의 피치 길이를 합산한 값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전체 길이와 다르면 불량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는, 3차원 입체영상 필터를 제조하는 인-라인(in-line) 공정에서 제1 편광상태를 갖는 복수의 제1 액정패턴라인과 제2 편광상태를 갖는 복수의 제2 액정패턴라인의 폭 치수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불량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에 배치되는, 편광안경 방식에 사용되는 3차원 입체영상 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 는 도 1의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의 카메라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은 카메라부에서 출력되는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촬영프레임과 판정부에서 영상을 통해 제1 액정패턴라인과 제2 액정패턴라인의 피치 길이를 측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의 카메라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3차원 입체영상 필터(10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105)과 배향막(107)과 액정 코팅층(109)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3차원 입체영상 필터(101)는 일례로, 낱장의 베이스 필름(105) 위에 배향막(107)을 형성한 후, 마스크 및 광조사를 사용하여 배향막(107)을 패턴화하고, 배향막(107) 상에 액정 코팅층(109)을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3차원 입체영상 필터(101)에서 액정 코팅층(109)은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의 홀수번째 화소라인들과 대응되는 제1 편광상태를 갖는 복수의 제1 액정패턴라인(L)과 디스플레이 패널(103)의 짝수번째 화소라인들과 대응되는 제2 편광상태를 갖는 복수의 제2 액정패턴라인(R)이 교대로 반복하여 형성된다.
복수의 제1 액정패턴라인(L)의 제 1 배향의 지상축 방향은 베이스 필름(105)의 흡수축(연신축) 방향과 45도를 이루면서 형성되고, 복수의 제2 액정패턴라인(R)의 제 2 배향의 지상축 방향은 베이스 필름(105)의 흡수축(연신축) 방향과 135도를 이루면서 형성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40)는, 크게 이송부(41)와,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42)와, 제1 편광필터(43)와, 제2 편광필터(44)와, 카메라부(45)와, 카메라 장착부(46)와, 카메라 장착부(46)를 구동하는 장착부구동부(47)와, 스톱-바(stop-bar)(48)와, 제어부(49)를 포함한다.
이송부(41)는 3차원 입체영상 필터(101)를 이송하는 것으로, 일례로 컨베이어와,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구동롤러와 구동롤러를 구동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조명부(42)는 이송부(41)에 의해 이송되는 3차원 입체영상 필터(101)에 광을 조사하는 것으로, 일례로, 평균조도 120,000룩스(Lx)의 백색광을 조사하는 엘이디 조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편광필터(43)는 조명부(42)와 이송부(41) 사이에 설치되며, 조명부(42)에서 조사되는 광을 편광으로 바꾸어 3차원 입체영상 필터(101)로 진행하도록 한다. 일례로, 제1 편광필터(43)는 PL필터(polarzing filter)로 구현된다.
제2 편광필터(44)는 제1 편광필터(43)를 투과한 편광이 3차원 입체영상 필터(101)를 통과하여 입사된다. 제2 편광필터(44)를 통과한 광은 카메라부(45)에 입사된다. 일례로, 제2 편광필터(44)는 CPL필터(circle polarzing filter)로 구현된다.
카메라부(45)는 제2 편광필터(44)를 통과한 광에 의해 3차원 입체영상 필터(101)를 촬영한다. 카메라부(45)는 3차원 입체영상 필터(101)의 이송방향(A)과 나란한 방향(x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카메라(451 내지 453)를 포함한다.
일례로, 복수개의 카메라(451 내지 453) 중 마지막 카메라(453)는 3차원 입체영상 필터(101)의 크기(30인치, 37인치, 42인치, 47인치, 50인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부(45)는 3차원 입체영상 필터(101)의 크기(30인치, 37인치, 42인치, 47인치, 50인치)에 대응되는 각각의 위치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카메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착부(46)는 카메라부(45)를 고정되게 장착한다. 장착부구동부(47)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카메라(451, 452, 453)가 3차원 입체영상 필터(101)의 이송방향(A)과 수직한 y 방향(B, C, D)으로 이동하도록 카메라 장착부(46)를 구동한다. 스톱-바(stop-bar)(48)는 이송부(41)에 의해 이송되는 3차원 입체영상 필터(101)가 똑바로 이송하도록 정렬시킨다.
제어부(49)는 이송부(41)와, 조명부(42)와, 카메라부(45)와, 카메라 장착부(46)를 구동하는 장착부구동부(47)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49)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부(45)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3차원 입체영상 필터(101)의 영상을 획득하는 화상처리부(491)와, 화상처리부(491)에서 획득된 3차원 입체영상 필터(101)의 영상으로부터 3차원 입체영상 필터(101)의 불량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492)를 포함한다.
도 6 은 카메라부(45)에서 출력되는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촬영프레임과 판정부(492)에서 영상을 통해 제1 액정패턴라인과 제2 액정패턴라인의 피치 길이를 측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에서 복수의 카메라(451, 452, 453)는 각각 3차원 입체영상 필터(101)의 이송방향(A)과 수직한 y 방향(B, C, D)으로 이동하면서 3차원 입체영상 필터(101)를 촬영한다. 복수의 카메라(451, 452, 453)가 각각의 영역(P1, P2, P3)을 지나가면서 촬영하는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영상은 도 6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카메라(451, 452, 453)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촬영프레임(I-1, I-2, I-3,….)은 1920 × 1080 화소를 갖는 액정표시패널에 설치되는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영상으로서, 복수의 제1 액정패턴라인(L)은 검은색으로 표시되고, 복수의 제2 액정패턴라인(R)은 회색으로 표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촬영프레임 I-1에는 복수의 제1 액정패턴라인 L1, L2, L3, L4, L5 영상과 복수의 제2 액정패턴라인 R1, R2, R3, R4, R5 영상을 포함하고, 촬영프레임 I-2에는 복수의 제1 액정패턴라인 L3, L4, L5, L6, L7 영상과 복수의 제2 액정패턴라인 R3, R4, R5, R6, R7 영상을 포함하고, 촬영프레임 I-3에는 복수의 제1 액정패턴라인 L5, L6, L7, L8, L9 영상과 복수의 제2 액정패턴라인 R5, R6, R7, R8, R9 영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카메라들은 3차원 입체영상 필터를 촬영하되, 앞에서 촬영한 부분의 일부분을 중복하여 촬영한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촬영프레임 I-1과 I-2에서는 제1 액정패턴라인 L3, L4, L5 영상과 제2 액정패턴라인 R3, R4, R5 영상이 중복되고, 촬영프레임 I-2와 I-3에서는 제1 액정패턴라인 L5, L6, L7 영상과 제2 액정패턴라인 R5, R6, R7 영상이 중복된다.
복수의 카메라(451, 452, 453)에서 촬영된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영상은 화상처리부(491)에서 화상처리되면 판정부(492)는 복수의 카메라(451, 452, 453)에서 촬영된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영상으로부터 3차원 입체영상 필터(101)의 불량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부(492)는 일례로, 서브픽셀링(sub-pixeling) 기술을 사용하여 복수의 제1 액정패턴라인(L)과 제2 액정패턴라인(R) 각각의 피치(P1, P2) 길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복수의 제1, 제2 액정패턴라인의 피치(P1, P2) 길이 중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기준 피치 길이와 다른 것이 존재하면 불량으로 판정한다.
또한, 판정부(492)는 측정된 복수의 제1, 제2 액정패턴라인의 피치(P1, P2) 길이를 합산한 값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전체 길이와 다르면 불량으로 판정한다. 예를 들어 3차원 입체영상 필터가 1920 × 1080 화소를 갖는 액정표시패널에 설치되는 경우, 판정부(492)는 사용자의 의해 미리 설정되는 전체 길이가 1080이고, 복수의 제1, 제2 액정패턴라인의 피치(P1, P2) 길이를 합산한 값이 전체 길이와 동일한 1080이면 양품으로 판정한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40 :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
41 : 이송부 42 : 조명부
43 : 제1 편광필터 44 : 제2 편광필터
45 : 카메라부 46 : 카메라 장착부
47 : 장착부구동부 48 : 스톱-바(stop-bar)
49 : 제어부

Claims (6)

  1.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며, 베이스 필름 위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홀수번째 화소라인들과 각각 대응되는 제1 편광상태를 갖는 복수의 제1 액정패턴라인과 짝수번째 화소라인들과 각각 대응되는 제2 편광상태를 갖는 복수의 제2 액정패턴라인이 형성된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로서,
    상기 3차원 입체영상 필터를 이송하는 이송부;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와 이송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조명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편광으로 바꾸어 상기 3차원 입체영상 필터로 진행하도록 하는 제1 편광필터;
    상기 제1 편광필터를 투과한 편광이 상기 3차원 입체영상 필터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제2 편광필터;
    상기 제2 편광필터를 통과한 광에 의해 상기 3차원 입체영상 필터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를 고정되게 장착하는 카메라 장착부;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이송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카메라 장착부를 구동하는 장착부구동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영상을 획득하는 화상처리부; 및
    상기 화상처리부에서 획득된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영상으로부터 상기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불량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이송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되 상기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크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편광필터는 PL필터(polarzing filter)이고,
    상기 제 2 편광필터는 CPL필터(circle polarzing fil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3차원 입체영상 필터를 정렬시키는 스톱-바(stop-bar);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화상처리부에서 획득된 3차원 입체영상 필터의 영상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홀수번째 화소라인들과 각각 대응되는 제1 편광상태를 갖는 복수의 제1 액정패턴라인과 짝수번째 화소라인들과 각각 대응되는 제2 편광상태를 갖는 복수의 제2 액정패턴라인 각각의 피치 길이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복수의 제1, 제2 액정패턴라인의 피치 길이 중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기준 피치 길이와 다른 것이 존재하면 불량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측정된 복수의 제1, 제2 액정패턴라인의 피치 길이를 합산한 값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전체 길이와 다르면 불량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
KR1020110109288A 2011-10-25 2011-10-25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 KR101275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288A KR101275600B1 (ko) 2011-10-25 2011-10-25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288A KR101275600B1 (ko) 2011-10-25 2011-10-25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927A true KR20130044927A (ko) 2013-05-03
KR101275600B1 KR101275600B1 (ko) 2013-07-04

Family

ID=48657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288A KR101275600B1 (ko) 2011-10-25 2011-10-25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56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4005A1 (ko) * 2020-03-27 2021-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9661A (ja) * 1998-06-26 2000-01-14 Ntn Corp フラットパネル検査装置
JP2006003174A (ja) * 2004-06-16 2006-01-05 Shin Nisseki Ekisho Film Kk 光学フィルムの検査方法
KR20100021051A (ko) * 2008-08-14 2010-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검사하는 장치 및 방법
JP5428441B2 (ja) * 2009-03-26 2014-02-26 凸版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基板の検査装置及び欠陥検査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4005A1 (ko) * 2020-03-27 2021-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5600B1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23164B (zh) 用于检测透明平板的局部缺陷的装置和方法
US8134779B2 (en) 3D image display, alig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311498B1 (ko) 광학 필름의 결함 검사 시스템
TWI264532B (en) Substrate inspection device
KR102200303B1 (ko) 광학 필름 검사 장치
WO2010058759A1 (ja) 透明体検査装置
TW201310012A (zh) 圖案化相位差膜的缺陷檢測裝置與方法以及製造方法
KR20110078958A (ko) 엘시디 패널 외관 검사장치
JP2013257163A (ja) 光学フィルムパターン測定装置
TW201426131A (zh) 聯機測量裝置
WO2013129060A1 (ja) 3次元液晶表示装置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5399453B2 (ja) パターン化位相差フィルムの欠陥検査装置及び方法並びに製造方法
KR20130006221A (ko)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
KR101275600B1 (ko) 3차원 입체영상 필터 불량 검출장치
KR100911331B1 (ko) 어레이 테스트 장치 및 상기 어레이 테스트 장치의 기판 일지점 위치 측정 방법
KR100902709B1 (ko) 유리기판의 진행 방향측 에지면의 결함 검출장치
KR101316812B1 (ko) 엘시디 패널의 검사장치
JP2014095617A (ja) パターン測定装置およびパターン測定方法
JP2012185091A (ja) シリコン基板の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KR100902659B1 (ko) 스탬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세패턴 형성방법
JP2014130140A (ja) 測定結果検証システム
JP6127458B2 (ja) パターン測定装置およびパターン測定方法
JP2013195378A (ja) 液晶検査装置
KR101419748B1 (ko) 광학 필름의 총-피치 측정 시스템
KR100844830B1 (ko) Lcd패널 검사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