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3928A - 촬상 렌즈 - Google Patents

촬상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3928A
KR20130043928A KR20110108128A KR20110108128A KR20130043928A KR 20130043928 A KR20130043928 A KR 20130043928A KR 20110108128 A KR20110108128 A KR 20110108128A KR 20110108128 A KR20110108128 A KR 20110108128A KR 20130043928 A KR20130043928 A KR 20130043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image
curvature
radiu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08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1276B1 (ko
Inventor
조용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10108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1276B1/ko
Priority to US13/533,769 priority patent/US8736983B2/en
Publication of KR20130043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276B1/ko
Priority to US14/135,152 priority patent/US8773781B2/en
Priority to US14/135,203 priority patent/US8830596B2/en
Priority to US14/450,207 priority patent/US9030759B2/en
Priority to US14/473,904 priority patent/US8988790B2/en
Priority to US14/642,721 priority patent/US970977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ive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4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continuous faces that are rotationally symmetrical but deviate from a true sphere, e.g. so called "aspheric"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상 렌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촬상 렌즈는, 양(+)의 파워를 갖고, 양측이 볼록하게 형성된 제1 렌즈와, 음(-)의 파워를 갖고, 상면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 제2 렌즈와, 양(+)의 파워를 갖고, 양측이 볼록하게 형성된 제3 렌즈와, 양(+)의 파워를 갖고, 상기 상면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 제4 렌즈 및 음(-)의 파워를 갖고, 상기 상면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 제5 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제1렌즈, 상기 제2렌즈, 상기 제3렌즈, 상기 제4렌즈 및 상기 제5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다.

Description

촬상 렌즈{IMAGING LENS}
본 발명은 촬상 렌즈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 및 PDA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최근 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단순한 전화기능뿐만 아니라, 음악, 영화, TV, 게임 등으로 멀티 컨버전스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멀티 컨버전스로의 전개를 이끌어 가는 것 중의 하나로서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이 가장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CCM:COMPACT CAMERA MOUDULE)은 소형으로써 카메라폰이나 PDA, 스마트폰을 비롯한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와 토이 카메라(TOY CAMERA) 등의 다양한 IT 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 장착되는 렌즈의 경우 고화소를 구현하기 위하여 4매 구조의 렌즈가 사용되었으나, 픽셀 사이즈(pixel size)가 작아짐에 따라서 성능구현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촬상 렌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는, 양(+)의 파워를 갖고, 양측이 볼록하게 형성된 제1 렌즈와, 음(-)의 파워를 갖고, 상면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 제2 렌즈와, 양(+)의 파워를 갖고, 양측이 볼록하게 형성된 제3 렌즈와, 양(+)의 파워를 갖고, 상기 상면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 제4 렌즈 및 음(-)의 파워를 갖고, 상기 상면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 제5 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제1렌즈, 상기 제2렌즈, 상기 제3렌즈, 상기 제4렌즈 및 상기 제5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렌즈, 상기 제4 렌즈 및 상기 제5 렌즈는 메니커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상기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1.1 < TTL/F < 1.35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물체측 면의 곡률 반경이 상기 상면측 면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촬상 렌즈.
또한,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물체측 면의 곡률 반경이 상기 상면측 면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렌즈는, 상기 물체측 면의 곡률 반경이 상기 상면측 면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렌즈는, 상기 물체측 면의 곡률 반경이 상기 상면측 면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렌즈는, 상기 상면측 면의 유효경 끝단에서의 스윕 각(SWEEP ANGLE)이 46°이하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렌즈는, 상기 물체측 및 상기 상면측의 내부 면에 변곡점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렌즈, 상기 제2 렌즈, 상기 제3 렌즈, 상기 제4 렌즈 및 상기 제5 렌즈는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상 렌즈는 조리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리개는 상기 제1 렌즈 보다 물체측 또는 상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상 렌즈를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도록 형성하여 높은 해상력을 갖고, 슬림하게 형성하기 용이하며, 색수차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마수차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를 나타낸 개념도.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130), 제4 렌즈(140) 및 제5 렌즈(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는 제1 렌즈(110) 보다 물체측 또는 상면측에 배치되는 조리개(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물체(피사체)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물체의 영상 정보에 해당되는 광은 제1 렌즈(110), 조리개(105), 제2 렌즈(120), 제3 렌즈(130), 제4 렌즈(140), 제5 렌즈(150) 및 필터(160)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수광 소자(170)에 입사된다.
여기서, 제1 렌즈(110)는 양(+)의 파워(power)를 갖고, 양측이 볼록하게 형성된다.
또한, 제2 렌즈(120)는 음(-)의 파워를 갖고, 상면측으로 오목한 메니스커스(meniscus) 형태로 형성된다.
아울러, 제3 렌즈(130)는 양(+)의 파워를 갖고, 양측이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해상도를 가지면서 슬림(slim)하게 구현 가능하다.
또한, 제4 렌즈(140)는 양(+)의 파워를 갖고, 상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태로 형성된다.
아울러, 제5 렌즈(150)는 음(-)의 파워를 갖고, 상면측으로 오목한 메니스커스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5 렌즈(150)는 물체측 및 상면측의 내부면에 각각 변곡점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5 렌즈(150)의 CRA(Chief Ray Angle, 주광선 입사각)와 수광소자인 이미지 센서(Image sensor)의 CRA(주광선 입사각)가 매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 광량비가 좋와지고, 상품성이 떨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렌즈(110)는 아베수(Abbe number)가 큰 재질로 형성되고, 제2 렌즈(120)는 아베수(Abbe number)가 작은 재질로 형성되어 색수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3 렌즈(130)는 제1 렌즈(110)에 비해 약한 파워(Power)를 갖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제1 렌즈(110), 제2 렌즈(120), 제3 렌즈(130), 제4 렌즈(140) 및 제5 렌즈(150)는 비구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조리개(105)는 제1 렌즈(110) 보다 물체측 또는 상면측에 배치되고, 입사광으로 부터 입사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수렴하여 초점거리를 조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는 예를 들어 초점거리(F)가 2.8mm 이하로 형성되고, FOV(field of view)가 60°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의 초점거리 및 FOV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터(160)는 적외선 차단 필터(IR cut filter)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160)의 종류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적외선 차단 필터는 외부 빛으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이 상기 수광소자(70)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적외선 차단 필터는 가시광선은 투과시키고, 적외선은 반사시켜 외부로 유출되도록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像)이 맺히는 면을 포함하는 수광 소자(170)는 피사체 영상에 대응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센서는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수광소자가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는 다음의 표 1과 같은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렌즈 표면 번호 곡률
반경(mm)
두께(mm) 굴절률 아베수 렌즈형상 비고
S1 infinite 0 - - Flat Stop
S2 1.800552 0.555385 1.544 56 Asphere L1
S3 -36.771 -0.0272 Asphere
S4 4.03686 0.247717 1.632 23.4 Asphere L2
S5 1.680682 0.594997 Asphere
S6 9.024377 0.110811 1.544 56 Asphere L3
S7 -15.3803 -0.06502 Asphere
S8 -2.02202 -0.49456 1.544 56 Asphere L4
S9 -0.89994 -1.11119 Asphere
S10 14.46622 6.91E-02 1.544 56 Asphere L5
S11 1.096596 9.12E-01 Asphere
S12 infinite 1.517 64.2 Flat 필터
S13 infinite Flat
S14 infinite - - - Flat 이미지
센서
상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의 상기 제1 렌즈(110, L1), 상기 제2 렌즈(120, L2), 상기 제3 렌즈(130, L3), 상기 제4 렌즈(140, L4), 상기 제5 렌즈(150, L5)는 모든 면이 비구면이다.
또한, 상기 표 1에 기재된 "-" 값은 정의되지 않은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S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 렌즈(100)의 광량을 결정짓는 면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S1의 비고란에 기재된 Stop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구경 조리개(105, S1)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조리개(105)는 제1 렌즈(110) 보다 물체측에 배치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105)의 위치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렌즈(110) 보다 상면측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래의 표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구면 렌즈에 대한 비구면 계수 값이다.
K A B C D E
S2 0 -0.01413 -0.00778 -0.02006 0.000785 0.0024
S3 0 -0.10971 0.337872 -0.58682 0.45104 -0.09954
S4 0 -0.22546 0.614614 -0.88307 0.628083 -0.13339
S5 0 -0.21613 0.435828 -0.45746 0.207889 -0.00481
S6 0 -0.15862 0.071111 -0.03314 0.095271 -0.04795
S7 0 -0.12057 0.020052 -0.02296 0.018017 0.014146
S8 -3.66663 -0.08874 0.07554 -0.05193 -0.00164 0.00944
S9 -3.39503 -0.11595 0.129208 -0.06781 0.020968 -0.0026
S10 0 -0.02978 -0.01115 0.007724 -0.00134 0.000077
S11 -6.79738 -0.05291 0.013976 -0.00368 0.000539 -0.00003
상기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S1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구경 조리개(105, S1)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또한, S11 및 S12는 필터(160)이고, S13는 수광 소자(170)인 이미지 센서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비구면 계수 값은 다음의 수학식 1로부터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Z: 렌즈의 정점에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
c: 렌즈의 기본 곡률
h: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거리
K; 코닉 상수(Conic Constant)
A, B, C, D, E: 비구면 계수(Aspheric Constant)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촬상 렌즈(1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제1 렌즈(110), 제2 렌즈(120), 제3 렌즈(130), 제4 렌즈(140) 및 제5 렌즈(150)의 초점거리를 각각 F1, F2, F3, F4 및 F5 할 때, 각각의 값은 다음의 표 3과 같다.
항목
촬상렌즈의 전체 초점거리(F) 3.87E+00
제1 렌즈의 초점거리(F1) 3.155091
제2 렌즈의 초점거리(F2) -4.74182
제3 렌즈의 초점거리(F3) 10.47052
제4 렌즈의 초점거리(F4) 2.549882
제5 렌즈의 초점거리(F5) 4.9916
TTL 4.8
Sweep angle 3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110)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촬상 렌즈(1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1.1< TTL/F <1.35 (1)
상기의 조건식(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의 TTL과 파워(Power)의 관계식으로, 조건식(1) 보다 큰 값으로 촬상 렌즈(100)가 설계되면 상품성이 떨어지게 되고, 조건식(1) 보다 작은 값으로 촬상 렌즈(100)가 설계되면 광학적인 성능확보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식(1)을 만족함으로써, 상품성이좋고, 광학적인 성능확보가 용이한 촬상 렌즈(1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110)의 물체측 면의 곡률 반경을 rdy s2, 제1 렌즈(110)의 상면측 면의 곡률 반경을 rdy s3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rdy s3 > rdy s2 (2)
상기의 조건식(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110)의 곡률 반경에 대한 특성을 나타낸 조건으로, 제1 렌즈(110)의 물체측 면의 곡률 반경을 상면측 면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형상에 대한 공차를 완화시킬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렌즈(120)의 물체측 면의 곡률 반경을 rdy s4, 제2 렌즈(120)의 상면측 면의 곡률 반경을 rdy s5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rdy s5 > rdy s4 (3)
상기의 조건식(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렌즈(120)의 곡률 반경에 대한 특성을 나타낸 조건으로, 제2 렌즈(120)의 물체측 면의 곡률 반경을 상면측 면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민감도를 줄이게 함과 동시에 사출시 좀더 좋은 형상을 가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렌즈(130)의 물체측 면의 곡률 반경을 rdy s6, 제3 렌즈(130)의 상면측 면의 곡률 반경을 rdy s7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rdy s7 > rdy s6 (4)
상기의 조건식(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렌즈(130)의 곡률 반경에 대한 특성을 나타낸 조건으로, 제3 렌즈(130)의 물체측 면의 곡률 반경을 상면측 면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전체적인 제3 렌즈(130)의 민감도를 줄임과 동시에 각 면의 변곡점을 최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4 렌즈(140)의 물체측 면의 곡률 반경을 rdy s8, 제4 렌즈(140)의 상면측 면의 곡률 반경을 rdy s9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rdy s9 > rdy s8 (5)
상기의 조건식(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렌즈(140)의 곡률 반경에 대한 특성을 나타낸 조건으로, 제4 렌즈(140)의 물체측 면의 곡률 반경을 상면측 면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형성한다. 이때, 제4 렌즈(140)의 물체측 면의 곡률 반경을 상면측 면의 곡률 반경보다 작게 형성되면 TTL(제1 렌즈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을 줄이지 못하고 수차 특성이 나빠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식(5)를 만족함으로써, TTL(제1 렌즈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을 줄일수 있고, 수차 특성이 좋와지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5 렌즈(150)의 상면측 면의 유효경 끝단에서의 스윕 각(Sweep angle)을 L5 S11 A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L5 S11 A < 46° (6)
상기의 조건식(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5 렌즈(150)의 내부 전반사를 최소화 시키는 조건이다.
여기서, 스윕 각을 상세히 설명하면, 렌즈의 끝단에의 상면측 면을 기준으로 측정한 물체측 면과 상면측 면 사이의 각도이다.
이때, L5 S11 A가 46°보다 크게 되면, 제5 렌즈(150)의 상면측 면의 반사, 제5 렌즈(150)의 물체측 면에서의 전반사에 의하여 사진 촬상시 강한 내면반사를 발생시키어 화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식(6)을 만족함으로써, 사진 촬상시 내면반사의 발생을 감소시켜 화질을 저하시키지 않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를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마수차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점수차를 측정한 그래프는 수직축인 물체측에서 바라본 상면 높이(ANGLE) 및 수평축인 포커스(FOCUS) 위치에 따른 x축 빛의 방향성분(X)과 y축 빛의 방향 성분(Y)의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X,Y가 서로 인접하여 나타남에 따라 이미지가 퍼지지 않고, 해상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왜곡수차를 측정한 그래프는 물체측에서 바라본 상면 높이(ANGLE)에 따른 수평축인 왜곡(Distortion)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왜곡도가 수평축인 왜곡(Distortion)의 1,5~1.7 사이에서 주로 위치하므로 실제적으로 왜곡이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마수차를 측정한 그래프는 상면의 높이에 따라 각 파장에 따른 탄젠셜(Tangential)과 새지털(Sagittal)의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이때, 각 파장이 수평축 상에 인접하여 나타남으로써 황색수차가 작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촬상 렌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촬상 렌즈 105 : 조리개
110: 제1 렌즈 120: 제2 렌즈
130: 제3 렌즈 140: 제4 렌즈
150: 제5 렌즈 160: 필터
170: 수광 소자

Claims (11)

  1. 양(+)의 파워를 갖고, 양측이 볼록하게 형성된 제1 렌즈;
    음(-)의 파워를 갖고, 상면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 제2 렌즈;
    양(+)의 파워를 갖고, 양측이 볼록하게 형성된 제3 렌즈;
    양(+)의 파워를 갖고, 상기 상면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 제4 렌즈; 및
    음(-)의 파워를 갖고, 상기 상면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 제5 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제1렌즈, 상기 제2렌즈, 상기 제3렌즈, 상기 제4렌즈 및 상기 제5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는 촬상 렌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 상기 제4 렌즈 및 상기 제5 렌즈는 메니커스 형태로 형성되는 촬상 렌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상기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1.1 < TTL/F < 1.35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렌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물체측 면의 곡률 반경이 상기 상면측 면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촬상 렌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물체측 면의 곡률 반경이 상기 상면측 면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촬상 렌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는, 상기 물체측 면의 곡률 반경이 상기 상면측 면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촬상 렌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는, 상기 물체측 면의 곡률 반경이 상기 상면측 면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촬상 렌즈.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5 렌즈는, 상기 상면측 면의 유효경 끝단에서의 스윕 각(SWEEP ANGLE)이 46°이하가 되도록 형성되는 촬상 렌즈.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5 렌즈는, 상기 물체측 및 상기 상면측의 내부 면에 변곡점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촬상 렌즈.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상기 제2 렌즈, 상기 제3 렌즈, 상기 제4 렌즈 및 상기 제5 렌즈는 비구면으로 형성되는 촬상 렌즈.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상 렌즈는 조리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리개는 상기 제1 렌즈 보다 물체측 또는 상면측에 배치되는 촬상 렌즈.
KR20110108128A 2011-10-21 2011-10-21 촬상 렌즈 KR101321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08128A KR101321276B1 (ko) 2011-10-21 2011-10-21 촬상 렌즈
US13/533,769 US8736983B2 (en) 2011-10-21 2012-06-26 Imaging lens
US14/135,152 US8773781B2 (en) 2011-10-21 2013-12-19 Imaging lens
US14/135,203 US8830596B2 (en) 2011-10-21 2013-12-19 Imaging lens
US14/450,207 US9030759B2 (en) 2011-10-21 2014-08-01 Imaging lens
US14/473,904 US8988790B2 (en) 2011-10-21 2014-08-29 Imaging lens
US14/642,721 US9709774B2 (en) 2011-10-21 2015-03-09 Imaging l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08128A KR101321276B1 (ko) 2011-10-21 2011-10-21 촬상 렌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928A true KR20130043928A (ko) 2013-05-02
KR101321276B1 KR101321276B1 (ko) 2013-10-28

Family

ID=48135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108128A KR101321276B1 (ko) 2011-10-21 2011-10-21 촬상 렌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6) US8736983B2 (ko)
KR (1) KR1013212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4483A (ko) * 2013-12-24 2015-07-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KR20150087511A (ko) * 2014-01-22 2015-07-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KR20150089135A (ko) * 2014-01-27 2015-08-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US9316813B2 (en) 2013-11-01 2016-04-1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314B1 (ko) 2011-10-10 2013-08-29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렌즈 유닛
KR101321276B1 (ko) 2011-10-21 2013-10-28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렌즈
TWI440884B (zh) * 2011-11-07 2014-06-11 Largan Precision Co Ltd 攝影系統
TWI438476B (zh) 2012-01-12 2014-05-21 Largan Precision Co Ltd 取像系統
KR101364975B1 (ko) * 2012-03-19 2014-02-20 주식회사 코렌 촬영 렌즈 광학계
TWI437261B (zh) * 2012-03-30 2014-05-11 玉晶光電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裝置與其光學成像鏡頭
KR101422910B1 (ko) * 2012-04-30 2014-07-2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용 광학계
US8675288B2 (en) 2012-06-12 2014-03-1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module
TWI487969B (zh) 2012-11-02 2015-06-11 玉晶光電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裝置與其光學成像鏡頭
JP5818866B2 (ja) * 2013-11-28 2015-11-18 カンタツ株式会社 撮像レンズ
CN104698570B (zh) * 2013-12-09 2018-05-08 三星电机株式会社 镜头模组
TWI475250B (zh) * 2014-01-17 2015-03-01 Ability Opto 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五片式成像鏡頭組
US9927595B2 (en) * 2014-02-26 2018-03-27 Sintai Optical (Shenzhen) Co., Ltd. Lens assembly
US20170139187A1 (en) * 2014-02-26 2017-05-18 Sintai Optical (Shenzhen) Co., Ltd. Lens Assembly
CN105319676A (zh) * 2014-07-15 2016-02-10 佳凌科技股份有限公司 取像光学成像镜头
KR101670136B1 (ko) * 2014-10-31 2016-10-27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TWI572893B (zh) * 2015-03-03 2017-03-01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系統(二)
CN105467555B (zh) * 2015-07-10 2017-12-01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与其光学成像镜头
CN105807392B (zh) * 2016-01-06 2018-04-03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
CN107300756B (zh) * 2017-08-23 2019-12-10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摄像镜头
CN107608053B (zh) 2017-08-30 2020-02-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透镜系统、图像拍摄装置和设备
CN107896294A (zh) * 2017-10-27 2018-04-1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镜头组件、摄像头及电子设备
WO2019080777A1 (zh) * 2017-10-27 2019-05-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镜头组件、摄像头及电子设备
CN107800933A (zh) * 2017-10-27 2018-03-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镜头组件、摄像头及电子设备
TWI674449B (zh) 2018-09-26 2019-10-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攝像光學系統、取像裝置及電子裝置
CN110412736B (zh) * 2019-06-30 2021-09-21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CN110749980B (zh) * 2019-11-22 2021-11-02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WO2021109677A1 (zh) * 2019-12-02 2021-06-10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光学镜头及电子设备
WO2021119888A1 (zh) * 2019-12-16 2021-06-24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WO2021128124A1 (zh) * 2019-12-26 2021-07-01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CN116841007A (zh) * 2020-09-24 2023-10-03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透镜组
WO2022268916A2 (en) 2021-06-23 2022-12-29 Ose Immunotherapeutics Pan-coronavirus peptide vaccine

Family Cites Families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9958A (en) * 1980-03-24 1984-02-07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Relatively wide angle telephoto type lens system
US5412508A (en) * 1993-07-13 1995-05-0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act zoom lens system
JPH09211320A (ja) 1996-02-02 1997-08-15 Ricoh Co Ltd 小型の広角レンズ
KR100247292B1 (ko) * 1997-07-11 2000-03-15 유무성 소형 줌 렌즈
JP3769373B2 (ja) * 1997-11-19 2006-04-26 フジノン株式会社 明るい広角レンズ
JP4847172B2 (ja) 2006-03-28 2011-12-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
JP4963187B2 (ja) * 2006-04-05 2012-06-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2007298572A (ja) 2006-04-27 2007-11-15 Kyocera Corp 撮像レンズ、光学モジュール、および携帯端末
CN100582856C (zh) 2007-09-06 2010-01-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透镜系统
JP5073590B2 (ja) 2008-06-06 2012-11-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5枚構成の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KR100962999B1 (ko) * 2008-06-27 2010-06-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US8035723B2 (en) 2008-08-25 2011-10-11 Konica Minolta Opto, Inc. Image pickup lens, image pickup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KR101081187B1 (ko) 2008-10-20 2011-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TWI388878B (zh) * 2008-12-01 2013-03-11 Largan Precision Co Ltd 取像光學鏡片組
JP5201679B2 (ja) 2008-12-25 2013-06-05 株式会社オプトロジック 撮像レンズ
US8427569B2 (en) 2009-02-27 2013-04-23 Konica Minolta Opto, Inc. Image pickup lens, image pickup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JP5607398B2 (ja) 2009-04-07 2014-10-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ならびに携帯端末機器
JP5601857B2 (ja) 2009-04-07 2014-10-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ならびに携帯端末機器
JP5391806B2 (ja) 2009-04-24 2014-01-1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光学装置及びデジタル機器
CN102047165B (zh) * 2009-07-08 2014-12-10 柯尼卡美能达精密光学株式会社 摄像镜头、摄像装置以及便携终端
TWI421557B (zh) 2009-07-14 2014-01-01 Largan Precision Co Ltd 攝像透鏡系統
JP5523007B2 (ja) 2009-08-06 2014-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KR101586025B1 (ko) 2009-08-11 2016-01-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WO2011021271A1 (ja) 2009-08-18 2011-02-24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US8654242B2 (en) * 2009-09-02 2014-02-18 Konica Minolta Opto, Inc. Single-focus optical system, image pickup device, and digital apparatus
JP5426313B2 (ja) 2009-10-15 2014-02-26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撮像レンズ系
JP5201690B2 (ja) * 2009-10-30 2013-06-05 株式会社オプトロジック 撮像レンズ
KR101089881B1 (ko) 2009-11-24 2011-12-05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KR101709641B1 (ko) 2009-12-21 2017-02-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JP2011141396A (ja) 2010-01-06 2011-07-21 Tamron Co Ltd 撮影レンズ、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撮像装置
JP5335710B2 (ja) 2010-01-29 2013-11-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2011209554A (ja) 2010-03-30 2011-10-20 Fujifilm Corp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ならびに携帯端末機器
TWI406027B (zh) * 2010-04-08 2013-08-21 Largan Precision Co Ltd 取像用光學鏡頭
TWI400506B (zh) * 2010-04-23 2013-07-01 Largan Precision Co Ltd 攝像光學鏡片組
JP2011257448A (ja) 2010-06-04 2011-12-22 Sony Corp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
KR101218999B1 (ko) 2010-06-17 2013-01-04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JP2012008164A (ja) 2010-06-22 2012-01-12 Olympus Corp 撮像光学系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KR101171517B1 (ko) 2010-06-24 2012-08-06 삼성전기주식회사 초소형 광학계
TW201202780A (en) 2010-07-09 2012-01-16 Genius Electronic Optical Co Ltd Five-lens image len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786961B2 (en) * 2010-07-16 2014-07-22 Konica Minolta Advanced Layers, Inc. Image pickup lens
KR101208235B1 (ko) 2010-08-23 2012-12-04 삼성전기주식회사 초소형 광학계
KR101158419B1 (ko) 2010-09-30 2012-06-22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시스템
TWI435135B (zh) * 2010-10-06 2014-04-21 Largan Precision Co Ltd 光學透鏡系統
JP5740799B2 (ja) 2010-10-21 2015-07-0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TWI422900B (zh) * 2010-12-23 2014-01-11 Largan Precision Co Ltd 光學攝影鏡頭組
TWI429944B (zh) * 2011-01-07 2014-03-11 Largan Precision Co 光學取像鏡頭組
JP5578275B2 (ja) 2011-03-25 2014-08-2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光学系、撮像装置およびデジタル機器
TWI432772B (zh) * 2011-06-10 2014-04-01 Largan Precision Co Ltd 光學影像擷取透鏡組
TWI424216B (zh) 2011-06-28 2014-01-21 Largan Precision Co 光學影像鏡組
JP5754670B2 (ja) 2011-06-29 2015-07-29 株式会社オプトロジック 撮像レンズ
JP5652347B2 (ja) 2011-06-30 2015-01-1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レンズ
TWI506329B (zh) * 2011-07-28 2015-11-01 Hon Hai Prec Ind Co Ltd 鏡頭模組
TWI457594B (zh) 2011-08-26 2014-10-21 Largan Precision Co Ltd 影像鏡頭
JP5750698B2 (ja) 2011-09-01 2015-07-22 株式会社オプトロジック 撮像レンズ
TWI438475B (zh) * 2011-09-15 2014-05-21 Largan Precision Co Ltd 光學影像拾取鏡組
KR101301314B1 (ko) 2011-10-10 2013-08-29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렌즈 유닛
US9442271B2 (en) 2011-10-10 2016-09-1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Imaging lens unit
JP2013088504A (ja) 2011-10-14 2013-05-13 Olympus Corp 結像光学系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TWI561844B (en) * 2011-10-14 2016-12-11 Hon Hai Prec Ind Co Ltd Lens module system
KR101321276B1 (ko) 2011-10-21 2013-10-28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렌즈
TWI440884B (zh) 2011-11-07 2014-06-11 Largan Precision Co Ltd 攝影系統
TWI437312B (zh) 2011-12-28 2014-05-11 Largan Precision Co Ltd 影像擷取鏡片系統
TWI438478B (zh) 2012-02-08 2014-05-21 Largan Precision Co Ltd 取像光學鏡片系統
KR101422910B1 (ko) 2012-04-30 2014-07-2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용 광학계
WO2013172164A1 (ja) 2012-05-14 2013-11-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レンズ
TWI460463B (zh) 2012-05-28 2014-11-11 Largan Precision Co Ltd 拾像光學鏡片系統
US8675288B2 (en) 2012-06-12 2014-03-1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module
TWI456251B (zh) 2012-06-26 2014-10-11 Largan Precision Co Ltd 單焦點光學取像系統
TWI467223B (zh) 2012-11-20 2015-01-01 Largan Precision Co Ltd 影像拾取系統鏡頭組
CN103293638B (zh) 2013-02-06 2016-03-23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及应用此镜头的电子装置
TWI468725B (zh) 2013-03-05 2015-01-11 Largan Precision Co Ltd 結像鏡頭
TWI476435B (zh) 2013-03-20 2015-03-11 Largan Precision Co Ltd 結像鏡頭系統組
CN103412396B (zh) 2013-04-12 2015-12-09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及应用此镜头的电子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6813B2 (en) 2013-11-01 2016-04-1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module
KR20150074483A (ko) * 2013-12-24 2015-07-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KR20150087511A (ko) * 2014-01-22 2015-07-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KR20150089135A (ko) * 2014-01-27 2015-08-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88790B2 (en) 2015-03-24
US20130100545A1 (en) 2013-04-25
US20150185444A1 (en) 2015-07-02
US20140104703A1 (en) 2014-04-17
US9709774B2 (en) 2017-07-18
US20140334017A1 (en) 2014-11-13
US8773781B2 (en) 2014-07-08
US9030759B2 (en) 2015-05-12
US8830596B2 (en) 2014-09-09
US20140368928A1 (en) 2014-12-18
US8736983B2 (en) 2014-05-27
KR101321276B1 (ko) 2013-10-28
US20140160328A1 (en)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276B1 (ko) 촬상 렌즈
KR101505740B1 (ko) 촬상 렌즈
JP5877183B2 (ja) 撮像レンズ
JP3138700U (ja) 二枚のレンズから構成される撮像レンズ
KR101980642B1 (ko) 촬상 렌즈
KR101820952B1 (ko) 촬영 렌즈계
KR101933960B1 (ko) 촬상 렌즈
KR101425791B1 (ko) 촬상 렌즈 시스템
KR102048984B1 (ko) 소형 망원 광학계
KR20140089004A (ko) 촬상 렌즈 시스템
US7529041B2 (en) Optical lens system for taking image
KR20120089116A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2363536B1 (ko) 촬상 광학계
KR20100062480A (ko) 촬상 렌즈
KR20150044679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30056698A (ko) 촬상렌즈 유닛
KR101804842B1 (ko) 구면 렌즈를 갖는 촬상 렌즈 시스템
KR102292743B1 (ko) 촬상 렌즈
KR101091240B1 (ko) 촬상 렌즈
KR20100041385A (ko) 촬상 렌즈
KR101255908B1 (ko) 촬상렌즈 유닛
KR101404200B1 (ko) 촬상렌즈 유닛
KR20220079953A (ko) 광학 렌즈 시스템, 카메라 및 단자
KR101452142B1 (ko) 촬상렌즈 유닛
KR100999115B1 (ko) 렌즈광학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