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200B1 - 촬상렌즈 유닛 - Google Patents

촬상렌즈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200B1
KR101404200B1 KR1020130150987A KR20130150987A KR101404200B1 KR 101404200 B1 KR101404200 B1 KR 101404200B1 KR 1020130150987 A KR1020130150987 A KR 1020130150987A KR 20130150987 A KR20130150987 A KR 20130150987A KR 101404200 B1 KR101404200 B1 KR 101404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bject side
delete delete
present
imagin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2979A (ko
Inventor
김영기
이철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0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200B1/ko
Publication of KR20130142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ive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은 양(+)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면이 물체측으로 볼록한 제1 렌즈; 음(-)의 굴절력을 갖고, 상측면이 상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제2 렌즈; 굴절력을 갖고,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3 렌즈; 굴절력을 갖는 제4 렌즈; 및 음(-)의 굴절력을 갖고, 상측면이 상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제5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의 절대값은 상기 제4 렌즈의 물체측면과 상기 제5 렌즈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의 절대값보다 작고, 상기 제4 렌즈의 상측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제5 렌즈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보다 클 수 있다.

Description

촬상렌즈 유닛{Image Lense Unit}
본 발명은 촬상렌즈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또는 PC 용 카메라의 기능이 발달, 보급되면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는 디지탈 카메라 또는 디지탈 캠코더를 대체해 나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 카메라나 PC용 카메라는 소형 경량이면서 고화질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촬상 소자의 픽셀 사이즈가 점점 작아지면서 렌즈 시스템의 고화질 기능 및 소형 경량화에 부응하고 있다.
종래의 고화소 카메라 모듈에 이용되는 렌즈에서는 성능 향상과 수차 보정을 위하여 다수 개의 글래스 렌즈(Glass Lens)와 플라스틱 레진(Plastic Resin)을 적용한 광학계가 사용되어 왔다.
이에 따라서, 최근에는 각각 양(+)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와 음(-)의 굴절력을 갖는 5매의 렌즈를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촬상렌즈를 구성하는 촬상렌즈 유닛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5매 구조의 촬상렌즈 유닛은 특정 조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광학 특성 또는 수차 특성을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5매 렌즈로 구성되며 소형 카메라 모듈에 적합하게 전장의 길이가 짧고, 고화질의 박형 촬상 광학계를 제공할 수 있는 촬상렌즈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은 양(+)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면이 물체측으로 볼록한 제1 렌즈; 음(-)의 굴절력을 갖고, 상측면이 상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제2 렌즈; 굴절력을 갖고,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3 렌즈; 굴절력을 갖는 제4 렌즈; 및 음(-)의 굴절력을 갖고, 상측면이 상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제5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의 절대값은 상기 제4 렌즈의 물체측면과 상기 제5 렌즈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의 절대값보다 작고, 상기 제4 렌즈의 상측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제5 렌즈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의 상기 제1 렌즈의 아베수를 v1이라 할 때, 50 < v1 < 60 을 만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은 상기 촬상렌즈 유닛의 전체초점거리를 f, 상기 제1 렌즈의 초점 거리를 f1 이라 할 때, 0.4 < f1/f < 0.8 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은상기 촬상렌즈 유닛의 전체초점거리를 f, 상기 제1 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 TTL 이라 할 때, 1.0 < TTL/f < 1.5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의 상기 제4 렌즈는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의 절대값이 상측면의 곡률반경의 절대값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의 상기 제4 렌즈의 상측면과 상기 제5 렌즈의 물체측면은 근축 영역에서 같은 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은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3 렌즈 중에서, 근축 영역에서의 두께는 상기 제1 렌즈가 가장 두껍고 상기 제2 렌즈가 가장 얇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의 상기 제4 렌즈 및 상기 제5 렌즈는, 상기 제2 렌즈보다 근축 영역에서의 두께가 더 두꺼울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5매로 구성되는 촬상렌즈 유닛에 있어서, 소형 카메라 모듈에 적합하게 전장의 길이가 짧고, 고화질의 박형 촬상 광학계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의 수차도를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의 코마수차(Coma aberration)를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의 수차도를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의 코마수차(Coma aberration)를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의 수차도를 도시한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의 코마수차(Coma aberration)를 도시한 그래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100)은 촬상 대상인 물체측(Object side)으로부터 제1 렌즈(10), 제2 렌즈(20), 제3 렌즈(30), 제4 렌즈(40), 제5 렌즈(50), 필터(60) 및 이미지 센서(미도시)의 순서로 배열되도록 위치된다.
또한, 촬상 대상으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의 광량을 조정하고, 초점 심도를 조정하는 구경 조리개(Aperture Stop, S)가 상기 제1 렌즈(10)로부터 물체 측(object side)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촬상되는 물체의 광량은 상기 제1 렌즈(10)에서부터 상기 제5 렌즈(50)를 통과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에 입사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60)는 적외선 차단 필터(IR cutfillter)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입사되는 광량으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이 상측면(Image side)에 위치하는 상기 이미지 센서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렌즈(10)는 양(+)의 파워, 상기 제2 렌즈(20)는 음(-)의 파워, 상기 제3 렌즈(30)는 양(+)의 파워, 상기 제4 렌즈(40)는 음(-)의 파워, 상기 제5 렌즈(50)는 양(+) 또는 음(-)의 파워 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파워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4 렌즈(40)는 양면 비구면 형상이고, 근축 영역(41)에서 상 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 렌즈(40)의 근축 영역(41)은 상기 촬상렌즈 유닛(100)의 광축(optic axis)에 가까운 렌즈 영역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제5 렌즈(50)는 양면 비구면 형상이고, 근축 영역(51)에서 상 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5 렌즈(50)의 근축 영역(51)은 앞서 언급한 상기 제4 렌즈(40)의 근축 영역(41)과 동일하게 상기 촬상렌즈 유닛(100)의 광축(optic axis)에 가까운 렌즈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1 렌즈(10), 제2 렌즈(20) 및 제3 렌즈(30)는 비구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렌즈(10), 제2 렌즈(20), 제3 렌즈(30), 제4 렌즈(40) 및 제5 렌즈(50)는 모두 플라스틱 렌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촬상렌즈 유닛(100)의 전체초점거리를 f, 상기 제1 렌즈(10)의 초점 거리를 f1 이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조건식 (1): 0.4 < f1/f < 0.8
만약,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건식 (1)에서 f1/f의 값이 하한값인 0.4을 넘지 못하게 되면 상기 제1 렌즈(10)의 광 파워가 너무 크게 형성되어 구면수차 및 코마수차의 보정이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조건식 (1)에서 f1/f의 값이 상한값인 0.8을 넘게 되면 촬상렌즈 유닛이 크기가 커지게 되어 촬상렌즈 유닛의 컴팩트(compact)한 렌즈 구성이 어렵게 된다.
그리고, 상기 촬상렌즈 유닛(100)의 전체초점거리를 f, 상기 제1 렌즈(10)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 측면까지의 거리 TTL 이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조건식 (2): 1.0 < TTL/f < 1.5
또한, 상기 제1 렌즈(10)의 아베수를 v1, 상기 제2 렌즈(20)의 아베수를 v2, 상기 제4 렌즈(40)의 아베수를 v4 이라 할 때, 각각의 렌즈의 아베수는 다음의 조건식들을 만족한다.
조건식 (3): 50 < v1 < 60
*조건식 (4): 20 < v2 < 35
조건식 (5): 20 < v4 < 35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비구면 계수 값은 다음의 수학식 1로부터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3111697306-pat00001
Z: 렌즈축에서 반경 h 높이에서, 렌즈의 정점에서부터 렌즈면까지의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
c: 렌즈 면의 중심 곡률
h: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거리
K; 코닉 상수(Conic Constant)
A, B, C, D, E, F: 비구면 계수(Aspheric Constant)
여기서, 코닉 상수 K 및 비구면 계수 A, B, C, D, E, F에 사용되는 "E" 및 이에 하이폰 "-" 으로 연결되는 수는 10의 거듭제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E+01"은 101이고, "E-01"은 10-1이다.
하기의 표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 렌즈의 설계 데이터 값을 나타낸다.
렌즈 번호 렌즈 표면 번호 곡률 반경(mm) 두께(mm) Index 아베수(Abbe)
제1 렌즈 S1 1.998 1.000 1.5247 56.2
S2 -2.504 0.050
제2 렌즈 S3 -6.917 0.280 1.6142 26.0
S4 3.445 0.649
제3 렌즈 S5 -1.425 0.765 1.5247 56.2
S6 -0.925 0.050
제4 렌즈 S7 6.649 0.380 1.6142 26.0
S8 2.659 0.200
제5 렌즈 S9 1.894 0.430 1.5247 56.2
S10 1.050 0.360
filter S11 infinity 0.300 1.5168 64.1
S12 infinity 0.636
하기의 표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 렌즈의 비구면 계수 값을 나타낸다.
렌즈 번호 렌즈
표면 번호
K A B C D E F
제1 렌즈 S1 -6.3347
E-01
-1.5454
E-02
-1.9503
E-02
-3.8827
E-03
-3.3714
E-02
S2 0.0000
E+00
-2.7106
E-02
-3.6717
E-02
4.6445
E-03
-1.0568
E-02
제2 렌즈 S3 0.0000
E+00
0.0000
E+00
0.0000
E+00
0.0000
E+00
1.3765
E-02
S4 0.0000
E+00
2.3870
E-02
3.6224
E-02
-3.1996
E-02
2.7943
E-02
제3 렌즈 S5 6.6026
E-01
-2.5960
E-02
-1.5095
E-02
-2.3162
E-03
3.0305
E-02
S6 -1.5833
E+00
-1.7918
E-02
-5.4363
E-02
1.0928
E-02
5.3309
E-03
제4 렌즈 S7 0.0000
E+00
-3.5687
E-02
9.4105
E-03
-1.4777
E-03
0.0000
E+00
S8 -2.4397
E+01
-1.4679
E-02
1.1182
E-03
-2.6391
E-04
0.0000
E+00
제5 렌즈 S9 -3.0000
E+01
-2.0099
E-02
1.7460
E-03
0.0000
E+00
0.0000
E+00
S10 -7.6349
E+00
-2.4198
E-02
2.3180
E-03
-1.6854
E-04
0.0000
E+00
하기의 표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 조건식의 값을 나타낸다.
제1 실시예
f 3.950
f1 2.284
f1/f 0.58
TTL/f 1.29
v1 56.2
v2 26.0
v4 26.0
앞서 언급한, 표 1 내지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는 조건식 (1) 내지 조건식 (5)를 모두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의 수차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수차(Distortion)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에 도시된 그래프의 Y축은 이미지의 높이(또는 크기, Image height)를 나타내고, X축은 초점으로부터의 거리(단위, mm) 및 왜곡도(단위 %)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촬상렌즈 유닛(100)은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가 모두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의 코마수차(Coma aberration)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의 높이(field height)에 따라 탄젠셜(Tangential) 성분과 새지털(Sagittal) 성분의 수차를 도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촬상렌즈 유닛(100)은 우수한 코마수차 보정기능을 제공한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전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200)은 촬상 대상인 물체측(Object side)으로부터 제1 렌즈(10b), 제2 렌즈(20b), 제3 렌즈(30b), 제4 렌즈(40b), 제5 렌즈(50b), 필터(60) 및 이미지 센서의 순서로 배열되도록 위치된다.
하기의 표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 렌즈의 설계 데이터 값을 나타낸다.
렌즈 번호 렌즈 표면 번호 곡률 반경(mm) 두께(mm) Index 아베수(Abbe)
제1 렌즈 S1 1.991 1.000 1.5247 56.2
S2 -2.413 0.050
제2 렌즈 S3 -5.282 0.280 1.6142 26.0
S4 4.341 0.585
제3 렌즈 S5 -1.469 0.830 1.5247 56.2
S6 -0.948 0.050
제4 렌즈 S7 15.137 0.380 1.6142 26.0
S8 4.004 0.200
제5 렌즈 S9 2.019 0.430 1.5247 56.2
S10 1.000 0.360
filter S11 infinity 0.300 1.5168 64.1
S12 infinity 0.635
하기의 표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 렌즈의 비구면 계수 값을 나타낸다.
렌즈 번호 렌즈
표면 번호
K A B C D E F
제1 렌즈 S1 -6.4595
E-01
-1.5561
E-02
-2.4226
E-02
2.2975
E-03
-4.5661
E-02
S2 0.0000
E+00
-4.7016
E-02
-2.1868
E-02
1.1723
E-03
-1.6445
E-02
제2 렌즈 S3 0.0000
E+00
0.0000
E+00
0.0000
E+00
0.0000
E+00
1.0671
E-02
S4 0.0000
E+00
4.4312
E-02
1.1213
E-02
-5.0150
E-03
1.1945
E-02
제3 렌즈 S5 6.7849
E-01
-3.6390
E-02
5.6717
E-03
4.0025
E-03
3.1740
E-02
S6 -1.3434
E+00
1.0312
E-02
-4.2193
E-02
5.6774
E-03
7.3687
E-03
제4 렌즈 S7 0.0000
E+00
-5.7742
E-03
-2.6499
E-03
-3.0912
E-04
0.0000
E+00
S8 -3.2648
E+01
-7.9422
E-03
-5.0716
E-03
6.3394
E-04
0.0000
E+00
제5 렌즈 S9 -3.0000
E+01
-5.0053
E-02
8.1276
E-03
-7.5707
E-05
-2.9615
E-05
S10 -6.6764
E+00
-4.6004
E-02
8.2699
E-03
-5.4492
E-04
-6.3768
E-05
8.1288
E-06
하기의 표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 조건식의 값을 나타낸다.
제2 실시예
f 3.950
f1 2.246
f1/f 0.57
TTL/f 1.29
v1 56.2
v2 26.0
v4 26.0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의 수차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수차(Distortion)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그래프의 Y축은 이미지의 높이(또는 크기, Image height)를 나타내고, X축은 초점으로부터의 거리(단위, mm) 및 왜곡도(단위 %)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은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가 모두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의 코마수차(Coma aberration)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의 높이(field height)에 따라 탄젠셜(Tangential) 성분과 새지털(Sagittal) 성분의 수차를 도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촬상렌즈 유닛(200)은 우수한 코마수차 보정기능을 제공한다.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전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300)은 촬상 대상인 물체측(Object side)으로부터 제1 렌즈(10c), 제2 렌즈(20c), 제3 렌즈(30c), 제4 렌즈(40c), 제5 렌즈(50c), 필터(60) 및 이미지 센서의 순서로 배열되도록 위치된다.
하기의 표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각 렌즈의 설계 데이터 값을 나타낸다.
렌즈 번호 렌즈 표면 번호 곡률 반경(mm) 두께(mm) Index 아베수(Abbe)
제1 렌즈 S1 2.034 1.000 1.5305 56.0
S2 -2.618 0.050
제2 렌즈 S3 -5.660 0.280 1.6142 26.0
S4 4.056 0.656
제3 렌즈 S5 -1.559 0.734 1.5305 56.0
S6 -0.979 0.050
제4 렌즈 S7 6.369 0.380 1.6142 26.0
S8 3.232 0.200
제5 렌즈 S9 2.063 0.430 1.5305 56.0
S10 1.018 0.390
filter S11 infinity 0.300 1.5168 64.1
S12 infinity 0.630
하기의 표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각 렌즈의 비구면 계수 값을 나타낸다.
렌즈 번호 렌즈
표면 번호
K A B C D E F
제1 렌즈 S1 -5.6038
E-01
-1.5117
E-02
-2.5010
E-02
9.9948
E-03
-4.0325
E-02
S2 0.0000
E+00
-4.7963
E-02
-1.6356
E-02
3.6228
E-03
-1.3151
E-02
제2 렌즈 S3 0.0000
E+00
0.0000
E+00
0.0000
E+00
0.0000
E+00
1.1539
E-02
S4 0.0000
E+00
5.0711
E-02
1.3622
E-02
-1.3505
E-02
1.4985
E-02
제3 렌즈 S5 7.6352
E-01
-9.2164
E-03
5.1597
E-03
2.6288
E-02
-2.0625
E-03
S6 -1.6153
E+00
-1.3497
E-02
-4.2549
E-02
2.3386
E-02
-4.0302
E-03
제4 렌즈 S7 0.0000
E+00
-9.8399
E-03
4.7994
E-04
-7.7334
E-04
0.0000
E+00
S8 -2.0536
E+01
5.5366
E-04
-3.6685
E-03
-6.4056
E-05
0.0000
E+00
제5 렌즈 S9 -3.000
E+01
-3.2019
E-02
3.4089
E-03
0.0000
E+00
0.0000
E+00
S10 -6.7200
E+00
-3.3417
E-02
4.4980
E-03
-2.5320
E-04
0.0000
E+00
하기의 표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각 조건식의 값을 나타낸다.
제3 실시예
f 3.950
f1 2.347
f1/f 0.59
TTL/f 1.29
v1 56.2
v2 26.0
v4 26.0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의 수차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수차(Distortion)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에 도시된 그래프의 Y축은 이미지의 높이(또는 크기, Image height)를 나타내고, X축은 초점으로부터의 거리(단위, mm) 및 왜곡도(단위 %)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촬상렌즈 유닛(300)은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가 모두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의 코마수차(Coma aberration)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의 높이(field height)에 따라 탄젠셜(Tangential) 성분과 새지털(Sagittal) 성분의 수차를 도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촬상렌즈 유닛(300)은 우수한 코마수차 보정기능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촬상렌즈 유닛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200, 300: 촬상렌즈 유닛 10, 10b, 10c: 제1 렌즈
20, 20b, 20c: 제2 렌즈 30, 30b, 30c: 제3 렌즈
40, 40b, 40c: 제4 렌즈 50, 50b, 50c: 제5 렌즈
60: 필터

Claims (2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양(+)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면이 물체측으로 볼록한 제1 렌즈;
    음(-)의 굴절력을 갖고, 상측면이 상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제2 렌즈;
    굴절력을 갖고,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3 렌즈;
    굴절력을 갖는 제4 렌즈; 및
    음(-)의 굴절력을 갖고, 상측면이 상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제5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의 절대값은 상기 제4 렌즈의 물체측면과 상기 제5 렌즈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의 절대값보다 작고,
    상기 제4 렌즈의 상측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제5 렌즈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보다 큰 촬상렌즈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의 아베수를 v1이라 할 때,
    50 < v1 < 60 을 만족하는 촬상렌즈 유닛.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렌즈 유닛의 전체초점거리를 f, 상기 제1 렌즈의 초점 거리를 f1 이라 할 때,
    0.4 < f1/f < 0.8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유닛.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렌즈 유닛의 전체초점거리를 f, 상기 제1 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이라 할 때,
    1.0 < TTL/f < 1.5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유닛.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는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의 절대값이 상측면의 곡률반경의 절대값보다 큰 촬상렌즈 유닛.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의 상측면과 상기 제5 렌즈의 물체측면은 근축 영역에서 같은 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인 촬상렌즈 유닛.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3 렌즈 중에서, 근축 영역에서의 두께는 상기 제1 렌즈가 가장 두껍고 상기 제2 렌즈가 가장 얇은 촬상렌즈 유닛.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 및 상기 제5 렌즈는, 상기 제2 렌즈보다 근축 영역에서의 두께가 더 두꺼운 촬상렌즈 유닛.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30150987A 2013-12-05 2013-12-05 촬상렌즈 유닛 KR101404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987A KR101404200B1 (ko) 2013-12-05 2013-12-05 촬상렌즈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987A KR101404200B1 (ko) 2013-12-05 2013-12-05 촬상렌즈 유닛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279A Division KR101404199B1 (ko) 2011-11-28 2011-11-28 촬상렌즈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979A KR20130142979A (ko) 2013-12-30
KR101404200B1 true KR101404200B1 (ko) 2014-06-09

Family

ID=49986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987A KR101404200B1 (ko) 2013-12-05 2013-12-05 촬상렌즈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2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5733A (ja) * 2009-10-15 2011-04-28 Hitachi Maxell Ltd 撮像レンズ系
US8000031B1 (en) * 2010-06-10 2011-08-16 Largan Precision Co., Ltd. Imaging optical lens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5733A (ja) * 2009-10-15 2011-04-28 Hitachi Maxell Ltd 撮像レンズ系
US8000031B1 (en) * 2010-06-10 2011-08-16 Largan Precision Co., Ltd. Imaging optical lens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979A (ko) 201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19260A (ko) 촬상렌즈
KR101301314B1 (ko) 촬상렌즈 유닛
KR102009431B1 (ko) 촬상 광학계
KR102416100B1 (ko) 촬상 광학계
KR101547461B1 (ko) 광학 렌즈계
KR20100001525A (ko) 촬상 렌즈
KR101980642B1 (ko) 촬상 렌즈
KR20180076164A (ko) 촬상 광학계
KR101425791B1 (ko) 촬상 렌즈 시스템
KR20160110746A (ko) 촬영 렌즈계
KR101724264B1 (ko) 촬영 렌즈계
KR101548776B1 (ko) 촬상렌즈 유닛
KR101724265B1 (ko) 촬영 렌즈계
KR101823177B1 (ko) 촬상렌즈 유닛
KR102483504B1 (ko) 촬상 광학계
KR101404199B1 (ko) 촬상렌즈 유닛
KR20200083121A (ko) 촬상 광학계
KR101912264B1 (ko) 광각 광학계
KR20190053067A (ko) 촬상 광학계
KR101471963B1 (ko) 촬상렌즈 유닛
KR101404200B1 (ko) 촬상렌즈 유닛
KR101449565B1 (ko) 촬상렌즈 유닛
KR101452142B1 (ko) 촬상렌즈 유닛
KR20140053924A (ko) 촬상렌즈 유닛
KR101804842B1 (ko) 구면 렌즈를 갖는 촬상 렌즈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