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3557A - 단차피복성이 우수한 루테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하여 증착시킨 박막 - Google Patents

단차피복성이 우수한 루테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하여 증착시킨 박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3557A
KR20130043557A KR20120025377A KR20120025377A KR20130043557A KR 20130043557 A KR20130043557 A KR 20130043557A KR 20120025377 A KR20120025377 A KR 20120025377A KR 20120025377 A KR20120025377 A KR 20120025377A KR 20130043557 A KR20130043557 A KR 20130043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ruthenium
substrate
ruthenium compound
precur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25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4714B1 (ko
Inventor
박정우
김준영
이광덕
진휘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Priority to US14/351,930 priority Critical patent/US9347133B2/en
Priority to PCT/KR2012/002390 priority patent/WO2013058451A1/ko
Priority to TW101113588A priority patent/TWI510495B/zh
Publication of KR20130043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introducing gases into reaction chamber or for modifying gas flows in reaction chamber
    • C23C16/45523Pulsed gas flow or change of composition over time
    • C23C16/45525Atomic layer deposition [ALD]
    • C23C16/45553Atomic layer deposition [ALD] characterized by the use of precursors specially adapted for ALD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0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metall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5/00Compounds of ruthenium, rhodium, palladium, osmium, iridium, or platinu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7/00Metallocenes
    • C07F17/02Metallocenes of metals of Groups 8, 9 or 10 of the Periodic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0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metallic material
    • C23C16/18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metallic material from metallo-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에틸-1,4-싸이클로헥사다이엔, 1,3-부타다이엔, 또는 이소프렌의 특정 리간드 구조를 포함하고 있고, 열적 안정성, 기화 특성 및 단차 피복성이 우수한 루테늄 화합물과 이를 이용하여 증착시킨 박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차피복성이 우수한 루테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하여 증착시킨 박막 {Ruthenium compounds with good step coverage, and deposited film using them}
본 발명은 1-에틸-1,4-싸이클로헥사다이엔, 1,3-부타다이엔, 또는 이소프렌의 특정 리간드 구조를 포함하고 있는 열적 안정성, 기화 특성 및 단차 피복성이 우수한 루테늄 화합물과 이를 이용하여 증착시킨 박막에 관한 것이다.
루테늄 (Ruthenium) 금속은 열적,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하며, 높은 일함수 등의 특성과 용이한 식각 공정과 Pt, Ir 등의 다른 금속에 비해 박막형성이 유리함으로 인해 차세대 메모리 소자의 전극 물질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루테늄은 비저항이 7.1 ~ 7.6 μΩcm 로 전도성이 좋으며, 루테늄 산화물은 40 μΩcm의 낮은 비저항과 4.7 ~ 4.9 eV를 갖는 큰 일함 수로 인해 누설전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루테늄 금속 또는 루테늄 산화물 박막에 사용되는 전구체로서는 (η 6-Arene)(η 4-diene)Ru [GIOVANNI VITULLI 외 Inorganica Chimica Ata., vol. 149, 1988, 235-239]; (toluene)Ru(COD), (toluene)Ru(norbonadiene) 등 [국제특허 공개번호 WO 2008/044478]; (diene)(Rbenzene)Ruthenium 형태로서 (1,3-cyclohexadienyl)(4-isopropyl-1-methylbenzene)Ru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전구체는 상온에서 액체이며 루테늄 박막을 형성 시 좋은 증기압을 가지고 있으나, 박막형성 시 지속적인 가온에서 나타나는 특성으로 넓지 않은 공정 온도 (process windows)를 유발하며, 특히나 일정한 종횡비 (aspect ratio)를 가지는 트랜치 구조(trench strecture)의 기판에 루테늄 박막 또는 루테늄 산화물 증착 시 단차 피복성(step coverage)이 좋지 않아 양산 공정에 적용하기 어려움이 따를 것이 예상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0-60482호에는 지속적인 가온 조건에서도 특성이 열화하지 않는 높은 열적 안정성과 함께 높은 증기압을 가지는 루테늄 전구체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0-60482호에서는 루테늄 화합물의 리간드(L)로서 이중결합이 1 내지 4개 존재하는 탄소수 3 내지 8의 고리형 알켄 그룹인 화합물을 정의면서,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하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1,5-싸이클로옥타디에닐)(에틸벤젠)루테늄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화학식 A]
Figure pat0000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0-60482호에 의하면, 상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루테늄 화합물은 mp가 24℃ ~ 25℃로서 실온에서 고체이며, 열중량분석(TGA) 결과 T1/2이 247℃이고, 80~150℃ 온도구간에서 전구체의 분해없이 일정한 무게감소(weight loss)를 보임을 확인하여 열적 안정성과 기화 특성이 우수하다고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0-60482호에서는 리간드 도입을 통해 기판에의 증착온도 구간인 130~160℃에서 빠른 속도로 기화하여 전구체의 잔류율이 거의 없어 고순도 박막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특정의 리간드가 도입된 루테늄 화합물이 열중량분석(TGA) 결과 T1/2이 230℃, 잔류물 (residue) 1.5% 이하이며, 80~120℃ 온도구간에서 전구체의 분해 없이 일정한 무게감소(weight loss)를 보여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며, 루테늄 화합물의 이송온도인 130~160℃ 온도구간에서는 빠른 속도로 기화하고 전구체가 거의 잔류하지 않는 특성을 보이며, 특히 원자층 증착 (ALD, Atomic Layer Deposition)을 통해 루테늄 박막을 형성 하면 단차 피복성이 각별히 우수한 전구체 화합물이 존재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1-에틸-1,4-싸이클로헥사다이엔, 1,3-부타다이엔, 또는 이소프렌의 특정 리간드를 포함함으로써, 열적으로 안정하고, 기화 특성이 우수하며, 단차 피복성이 뛰어난 루테늄 화합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루테늄 화합물을 이용하여 원자층 증착 (ALD)을 통해 루테늄 금속 박막 또는 루테늄 산화물 박막으로 성장시켜 제조된 박막과 이러한 박막의 증착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루테늄 화합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L은 1-에틸-1,4-싸이클로헥사다이엔, 1,3-부타다이엔, 또는 이소프렌으로부터 선택된 리간드이다.
본 발명의 루테늄 화합물은 실온에서 액체이며, 증기압이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루테늄 화합물은 열적안정성이 우수하여 원자층 증착 (ALD) 공정을 보다 높은 온도에서도 원활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열분해로 인한 오염의 염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루테늄 화합물은 원자층 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루테늄 박막 및 루테늄 산화물 증착 시 높은 단차 피복성 (step coverage)을 가지는 박막으로 성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실시예 1, 2, 3의 루테늄 화합물의 열중량분석(TGA) 스펙트럼으로서, 온도에 따른 무게감소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 2b, 2c 및 2d는 (1-에틸-1,4-싸이클로헥사디에닐)(에틸벤젠)루테늄 화합물의 80 ℃, 100 ℃, 120 ℃ 및 150 ℃에서의 등온 TGA 스펙트럼으로서, 시간에 따른 무게감소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1-에틸-1,4-싸이클로헥사디에닐)(에틸벤젠)루테늄 박막의 전자주사현미경 (SEM) 이미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루테늄 화합물은 열중량 분석(TGA) 스펙트럼에서 T1/2이 205~230℃, 잔류물 (residue) 0~1.5%이고, 80~120℃ 온도구간에서 일정한 무게감소(weight loss)를 보이며, 150℃의 등온 열중량 분석(isothermal TGA) 스펙트럼에서 90분 이내에 최저 잔류율이 0.1% 이하에 도달하는 것을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루테늄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테늄(Ⅲ) 이온을 루테늄(Ⅱ) 이온으로 환원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3
상기 반응식 1에서, M은 알칼리 금속을 나타내고, L은 1-에틸-1,4-싸이클로헥사다이엔, 1,3-부타다이엔, 또는 이소프렌으로부터 선택된 리간드이다.
상기 반응식 1에 따른 환원반응은 알콜을 환원제겸 용매로 사용하고, 알칼리금속염의 염기 존재 하에서 수행한다. 환원제겸 용매로 사용되는 알콜은 탄소수가 1 내지 10개인 알킬기를 가지고 있는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과 같은 1차 알코올, 아이소프로판올, 아이소부탄올과 같은 2차알코올 또는 tert-부탄올과 같은 3차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아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한다. 염기는 구체적으로는 리튬 카보네이트 (Li2CO3), 소듐 카보네이트 (Na2CO3), 포타슘 카보네이트 (K2CO3) 등의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M2CO3)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응 중에 습기 (H2O) 및 산소 (O2) 등에 의한 분해 반응을 억제하기 위하여 질소 (N2) 또는 아르곤 (Ar) 기류하에서 반응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루테늄 화합물은 상온에서 액체로 존재하며, 휘발성 및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유기 금속 화합물로서 원자층 증착에서 금속 전구체 화합물로 유용하여 고순도의 루테늄 금속 박막 또는 루테늄 산화물 박막을 성장시키는데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루테늄 화합물을 이용하고 원자층 증착을 수행하여 루테늄 금속 박막 또는 루테늄 산화물 박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루테늄 화합물을 운송가스를 통하여 도입하고 반응가스와 반응시켜 기판상에 금속 박막 또는 금속 산화물 박막을 성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박막의 증착 방법에서, 기판에 가해지는 증착온도는 180 ℃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200 ℃ 내지 350 ℃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 방법에 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박막의 증착 방법에서, 상기 운송가스 또는 희석가스는 아르곤 (Ar), 질소 (N2), 헬륨 (He), 수소 (H2), 산소 (O2) 또는 암모니아 (NH3)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 방법에 대한 것이다. 반응가스로는 수소 (H2), 수증기 (H2O), 암모니아 (NH3), 하이드라진 (N2H4), 산소 (O2) 및 오존 (O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 방법에 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루테늄 화합물을 증착시키기 위하여 열에너지 또는 플라즈마를 이용하거나, 또는 기판상에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 방법에 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루테늄 화합물은 버블링 방식, 기체상 (vapor phase) 엠에프씨 (MFC: mass flow controller), 직접 액체 주입 (DLI : Direct Liquid Injection) 및 루테늄 화합물을 유기 용매에 녹여 이송하는 액체 이송방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전달방식을 이용하여 기판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 방법에 대한 것이다.
원자층 증착 (ALD)은 기판상에 금속 박막 또는 금속 산화물 박막을 증착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전구체로 사용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루테늄 화합물을 20 ℃ 내지 200 ℃의 공급원 온도로 가열시키는 단계, 진공 또는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기판을 200 ℃ 내지 350 ℃의 온도로 가열시키는 단계, 운송가스 또는 희석가스를 사용하여 전구체를 챔버 내로 도입시키는 단계, 전구체를 기판 상에 흡착시켜 전구체 층을 기판위에 형성시키는 단계, 전구체가 기판 상에서 층을 형성시킬 수 있는 시간으로서 1분 미만의 시간을 제공하는 단계, 기판 위에 흡착되지 않는 과량의 전구체를 아르곤 (Ar), 질소 (N2) 또는 헬륨 (He)과 같은 비활성 기체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단계, 과량의 전구체를 제거할 수 있는 시간으로서 1분 미만의 시간을 제공하는 단계,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층을 기판 위에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반응가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거나 이들의 혼합가스를 챔버 내로 도입시키는 단계, 반응가스를 1분 미만의 시간 동안 상기한 기판 위에 형성된 전구체 층과 반응하도록 하여 금속박막 또는 금속산화물 박막 및 부산물을 형성시키는 단계, 과량의 반응가스 및 생성된 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해 챔버내로 아르곤 (Ar), 질소 (N2) 및 헬륨 (He) 중에서 선택된 비활성 기체를 1분 미만의 시간으로 도입하는 단계를 한 주기 (cycle)로 포함하는 원자층 증착 (ALD)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1-에틸-1,4-싸이클로헥사다이엔)(에틸벤젠)루테늄의 제조
2 L 용량의 가지달린 둥근 플라스크에 이량체인 에틸벤젠 루테늄 다이클로라이드 150 g (0.27 mol)과 소듐 카보네이트 (Na2CO3) 284 g (2.68 mol)을 각각 칭량하여 넣고, 2-프로판올 1000 mL를 넣고 교반한 혼탁액에 1-에틸-1,4-싸이클로헥사다이엔 116 g (1.07 mol)을 적하 깔때기를 이용하여 적하 한 뒤, 환류 콘덴서를 이용하여 10시간 동안 환류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여과하여 얻어진 용액을 감압 하에서 용매 및 휘발성 부 반응물을 제거하고, 헥산으로 추출한 뒤 감압 하에서 용매 및 휘발성 부 반응물을 제거하여 점성이 있는 어두운 적갈색의 용액을 얻었다. 이 액체를 감압 증류하여 점성이 있는 노란색 액체 화합물인 (1-에틸-1,4-싸이클로헥사다이엔)(에틸벤젠)루테늄 139 g (수율 82%)을 얻었다.
끓는점 (b.p) : 116 ℃/0.23 torr.
증기압 (v.p) : 100 ℃/0.14 torr.
1H-NMR (C6D6, ppm) δ 1.014 ([C H 3 CH2C6H7]-Ru), m, 3H), 1.110 ([C H 3 CH2C6H5]-Ru, m, 3H), 1.786 ([CH3C H 2 C6H7][CH3C H 2 C6H5]-Ru, m, 4H), 2.128 ([CH3CH2C6 H 7 ]-Ru, m, 4H), 3.018 ([CH3CH2C6 H 7 ]-Ru, s, 1H), 3.085 ([CH3CH2C6 H 7 ]-Ru, s, 2H), 4.918 ([C2H5C6 H 5 ]-Ru, m, 5H)
실시예 2. (1,3-부타다이엔)(에틸벤젠)루테늄의 제조
1 L 용량의 가지달린 둥근 플라스크에 이량체인 에틸벤젠 루테늄 다이클로라이드 100 g (0.18 mol)과 소듐 카보네이트 (Na2CO3) 114 g (1.08 mol)을 각각 칭량하여 넣고, 2-프로판올 500 mL를 넣고 교반한 혼탁액에 1,3-부타다이엔 250 g (4.62 mol)을 버블링하고, 환류 콘덴서를 이용하여 2일 동안 환류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여과하여 얻어진 용액을 감압 하에서 용매 및 휘발성 부 반응물을 제거하고, 헥산으로 추출한 뒤 감압 하에서 용매 및 휘발성 부 반응물을 제거하여 점성이 있는 어두운 적갈색의 용액을 얻었다. 이 액체를 감압 증류하여 점성이 있는 노란색 액체 화합물인 (1,3-부타다이엔)(에틸벤젠)루테늄 59 g (수율 57%)을 얻었다.
끓는점 (b.p) : 88 ℃/1.2 torr.
1H-NMR (C6D6, ppm) δ 0.286 ([C H 2=CHCH=C H 2]-Ru, d, 2H), 0.958 ([C H 3CH2C6H5]-Ru, tr, 3H]), 1.940 ([C H 2=CHCH=C H 2]-Ru, d, 2H), 2.044 ([CH3C H 2C6H5]-Ru, q, 2H), 4.776 ([CH3CH2C6 H 5]-Ru, m, 2H), 4.900 ([CH3CH2C6 H 5]-Ru, m, 1H, [CH2=C H C H =CH2]-Ru, m, 2H), 4.984 ([CH3CH2C6 H 5]-Ru, m, 2H).
실시예 3. (이소프렌)(에틸벤젠)루테늄의 제조
1 L 용량의 가지달린 둥근 플라스크에 이량체인 에틸벤젠 루테늄 다이클로라이드 20 g (0.036 mol)과 소듐 카보네이트 (Na2CO3) 13.09 g (0.12 mol)을 각각 칭량하여 넣고, 2-프로판올 150 mL를 넣고 교반한 혼탁액에 이소프렌 12.36 g (0.18 mol)을 적하 깔때기를 이용하여 적하한 뒤, 환류 콘덴서를 이용하여 하루 동안 환류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여과하여 얻어진 용액을 감압 하에서 용매 및 휘발성 부 반응물을 제거하고, 헥산으로 추출한 뒤 감압 하에서 용매 및 휘발성 부 반응물을 제거하여 점성이 있는 어두운 적갈색의 용액을 얻었다. 이 액체를 감압 증류하여 점성이 있는 노란색 액체 화합물인 (이소프렌)(에틸벤젠)루테늄 8.51 g (수율 37%)을 얻었다.
끓는점 (b.p) : 118 ℃/0.5 torr.
1H-NMR (C6D6, ppm) δ 0.175 ([CH2=CHCH3C=C H 2]-Ru, d, 1H), 0.377 ([C H 2=CHCH3C=CH2]-Ru, s, 1H), 0.976 ([C H 3CH2C6H5]-Ru, tr, 3H), 1.894 ([CH2=CHCH3C=C H 2]-Ru, d, 1H), 1.983 ([CH2=CHC H 3C=CH2]-Ru, m, 3H, [C H 2=CHCH3C=CH2]-Ru, m, 1H, [CH3C H 2C6H5]-Ru, m, 2H), 4.761 ([CH2=C H CH3C=CH2]-Ru, tr, 1H, [CH3CH2C6 H 5]-Ru, tr, 1H), 4.815 ([CH3CH2C6 H 5]-Ru, d, 1H), 4.859 ([CH3CH2C6 H 5]-Ru), tr, 1H), 4.926 ([CH3CH2C6 H 5]-Ru, tr, 1H), 4.994 ([CH3CH2C6 H 5]-Ru, tr, 1H)
[실험예]
실험예 1. 루테늄 화합물의 열 안정성 비교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루테늄 화합물 각각의 열중량분석(TGA) 결과를 하기 표 1과 도 1에 나타내었다.
표 1과 도 1에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0-60482호에 개시된 상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1,5-싸이클로옥타디에닐)(에틸벤젠)루테늄 화합물을 비교화합물로 사용하여, 본 발명의 루테늄 화합물의 열적안정성을 비교하였다. 표 1과 도 1에 의하면, 상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높은 증기압을 가짐과 동시에 열적으로 안정한 화합물임을 알 수 있다.
구 분 비교화합물
(화학식A)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T1/2(℃) 247 230 203 205
잔류물(%) 6 1.5 1.47 0
또한, 도 2의 등온 TGA 결과에 의하면 80 ~ 120℃ 온도구간에서는 모든 전구체 화합물이 분해없이 일정한 무게감소(weight loss)를 보이고 있으므로 원자층 증착 (ALD)에 적용하기에 충분할 만큼의 휘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50℃ 온도에서의 등온 TGA 결과에 의하면 상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여전히 일정한 속도로 전구체의 무게감소가 있었으나, 본원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급격히 빠른 속도로 기화하고 90분 이내에 전구체의 잔류율이 0.1% 이하로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루테늄 화합물은 금속 전구체 화합물의 열분해에 기인하는 파티클 오염이나 탄소 등의 불순물에 의한 오염이 없는 높은 순도의 루테늄 금속 박막 또는 루테늄 산화물 박막을 성장시키는데 유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루테늄 박막의 물성 비교
본 발명의 루테늄 화합물을 이용하여 원자층 증착 (Atomic Layer Deposition) 공정에 의하여 루테늄 박막을 제조하였다. 이때 증착에 사용된 기판은 SiO2 기판으로 상부가 ~85 nm 이며 종횡비(Aspect ratio)가 ~32를 가지는 트랜치 구조의 패턴 웨이퍼를 사용하였다. 또한 루테늄 화합물과의 박막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동일 조건에서 비교 실험을 진행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증착 조건]
o 전구체: 실시예 1, 2 또는 3의 루테늄 화합물
o 전구체 공급온도: 130 ~ 160 ℃
o 기판: 상부가 ~85 nm 이며 종횡비(Aspect ratio)가 ~32를 가지는 트랜치 구조의 패턴 웨이퍼
o 기판 온도: 180 ~ 310 ℃,
o pulsing/purge/O2/pulsing/purge 공정 주기: 11 cycle
구 분 기판온도(℃)
180 225 270 310

실시예 1
화합물
주기에 따른 성장률
(㎚/cycle)
0.065 0.07 0.08 0.153
비저항
(μΩ㎝)
2750 42 37 40
피복성 (%) - ~100 ~80 ~75

실시예 2
화합물
주기에 따른 성장률
(㎚/cycle)
0.07 0.08 0.09 0.16
비저항
(μΩ㎝)
2720 40 38 39
피복성 (%) - ~100 ~80 ~80

실시예 3
화합물
주기에 따른 성장률
(㎚/cycle)
0.07 0.075 0.08 0.154
비저항
(μΩ㎝)
2740 41 37 39
피복성 (%) - ~100 ~80 ~80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루테늄 화합물 박막은 180 ℃ 내지 310 ℃ 구간에서 넓은 ALD windows 구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저항 값이 37 ~ 42 μΩ·㎝ 로 차세대 메모리 소자의 응용이 가능함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 (SEM) 이미지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루테늄 화합물은 상부가 ~85 nm 이며 종횡비(Aspect ratio)가 ~32를 가지는 트랜치 구조의 기판에 적용되어 단차 피복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270 ℃ 증착 구간에서 80%의 좋은 단차 피복성을 보이며, 특히 225 ℃ 구간에서는 100% 의 매우 좋은 단차 피복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루테늄 화합물은 루테늄 금속 박막 또는 루테늄 산화물 박막을 증착하는데 적합한 물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루테늄 화합물은 지속적인 가온에도 특성이 열화되지 않는 높은 열적 안정성과 함께 높은 증기압을 갖고 있으므로 원자층 증착 (ALD)을 이용한 반도체 제조공정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열중량 분석(TGA) 스펙트럼에서 T1/2이 205~230℃, 80~120℃ 온도구간에서 일정한 무게감소(weight loss)를 보이며, 150℃의 등온 열중량 분석(isothermal TGA) 스펙트럼에서 90분 이내에 최저 잔류율이 0.1% 이하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루테늄 화합물 :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L은 1-에틸-1,4-싸이클로헥사다이엔, 1,3-부타다이엔, 또는 이소프렌으로부터 선택된 리간드이다.
  2. 청구항 1의 루테늄 화합물을 원자층 증착 방법을 이용한 루테늄 박막의 단차 피복성이 70% 이상인 루테늄 금속 박막 또는 루테늄 금속 산화물 박막.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루테늄 화합물의 증착을 위한 증착온도가 200 ℃ 내지 3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금속 박막 또는 루테늄 금속 산화물 박막.
  4. 청구항 1의 루테늄 화합물을 열에너지 또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기판상에 증착하거나, 또는 기판상에 바이어스를 인가하여 증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루테늄 화합물은 버블링 방식, 기체상 (vapor phase) 엠에프씨 (MFC: mass flow controller), 직접 액체 주입 (DLI : Direct Liquid Injection) 및 루테늄 화합물을 유기 용매에 녹여 이송하는 액체 이송방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전달방식을 이용하여 기판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루테늄 화합물을 기판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운송가스 또는 희석 가스로 아르곤 (Ar), 질소 (N2), 헬륨 (He), 수소 (H2), 산소 (O2) 및 암모니아 (NH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 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루테늄 화합물을 기판상에 증착시키기 위한 반응가스로는 수증기 (H2O), 산소 (O2) 및 오존 (O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 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판상에 금속박막을 증착하기 위해서 반응가스로 수소 (H2), 암모니아 (NH3), 하이드라진 (N2H4), 오존 (O3) 또는 산소 (O2)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 방법.
  9. 청구항 4에 있어서,
    전구체로 사용되는 청구항 1의 루테늄 화합물을 20 ℃ 내지 200 ℃의 공급원 온도로 가열시키는 단계,
    진공 또는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기판을 200 ℃ 내지 350 ℃의 온도로 가열시키는 단계,
    운송가스 또는 희석가스를 사용하여 상기 전구체를 챔버 내로 도입시키는 단계,
    상기 전구체를 기판 상에 흡착시켜 전구체 층을 기판위에 형성시기는 단계,
    상기 전구체가 기판 상에서 층을 형성시킬 수 있는 시간으로서 1분 미만의 시간을 제공하는 단계,
    기판 위에 흡착되지 않는 과량의 전구체를 아르곤(Ar), 질소(N2) 또는 헬륨(He) 와 같은 비활성 기체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단계,
    과량의 전구체를 제거할 수 있는 시간으로서 1분 미만의 시간을 제공하는 단계,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층을 기판 위에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반응가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거나 이들의 혼합가스를 챔버 내로 도입시키는 단계,
    반응가스를 1분 미만의 시간 동안 상기한 기판 위에 형성된 전구체 층과 반응하도록 하여 금속박막 또는 금속산화물 박막 및 부산물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과량의 반응가스 및 생성된 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해 챔버내로 아르곤(Ar), 질소(N2) 및 헬륨(He) 중에서 선택된 비활성 기체를 1분 미만의 시간으로 도입하는 단계,
    를 한 주기(cycle)로 포함하는 원자층 증착(ALD)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방법.
KR1020120025377A 2011-10-20 2012-03-13 단차피복성이 우수한 루테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하여 증착시킨 박막 KR101404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51,930 US9347133B2 (en) 2011-10-20 2012-03-30 Method of depositing a ruthenium metal thin film or ruthenium oxide thin film
PCT/KR2012/002390 WO2013058451A1 (ko) 2011-10-20 2012-03-30 단차피복성이 우수한 루테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하여 증착시킨 박막
TW101113588A TWI510495B (zh) 2011-10-20 2012-04-17 具有優良階梯覆蓋性之釕化合物以及藉由沈積該具有優良階梯覆蓋性之釕化合物所形成之薄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07659 2011-10-20
KR1020110107659 2011-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557A true KR20130043557A (ko) 2013-04-30
KR101404714B1 KR101404714B1 (ko) 2014-06-20

Family

ID=48441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377A KR101404714B1 (ko) 2011-10-20 2012-03-13 단차피복성이 우수한 루테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하여 증착시킨 박막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47133B2 (ko)
KR (1) KR101404714B1 (ko)
TW (1) TWI510495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8684A1 (ko) * 2013-05-03 2014-11-06 한국화학연구원 루테늄 전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WO2015182946A1 (ko) * 2014-05-30 2015-12-03 주식회사 유피케미칼 신규 루테늄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막 증착용 전구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막의 증착 방법
KR20150137962A (ko) * 2014-05-30 2015-12-09 주식회사 유피케미칼 신규 루테늄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막 증착용 전구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막의 증착 방법
WO2019088722A1 (ko) * 2017-11-01 2019-05-09 (주)디엔에프 루테늄함유 박막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루테늄함유 박막
WO2022080803A1 (ko) * 2020-10-12 2022-04-21 주식회사 유피케미칼 열적으로 안정한 루테늄 전구체 조성물 및 루테늄 함유 막 형성 방법
US11827650B2 (en) 2017-11-01 2023-11-28 Dnf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ruthenium-containing thin film and ruthenium-containing thin film manufactured therefro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0188B2 (en) * 2017-10-14 2020-09-29 Applied Materials, Inc. Seamless ruthenium gap fill
KR20200118831A (ko) 2018-02-12 2020-10-16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무산소성 공반응물을 이용한 루테늄의 기상 증착 방법
US20190309422A1 (en) * 2018-04-06 2019-10-10 Versum Materials Us, Llc Spin-On Metallization
WO2023090179A1 (ja) * 2021-11-18 2023-05-25 株式会社Adeka 原子層堆積法用薄膜形成用原料、薄膜、薄膜の製造方法及びルテニウム化合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4713A (ja) * 2004-04-27 2005-11-10 L'air Liquide Sa Pour L'etude & L'exploitation Des Procede S Georges Claude ルテニウム膜またはルテニウム酸化物膜の製造方法
WO2008034468A1 (en) * 2006-09-22 2008-03-27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Method for the deposition of a ruthenium containing film
US20080152793A1 (en) * 2006-12-22 2008-06-26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Method for the deposition of a ruthenium containing film with aryl and diene containing complexes
KR100958332B1 (ko) * 2008-01-28 2010-05-18 (주)디엔에프 신규 루테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박막 증착 방법
KR20100060482A (ko) * 2008-11-27 2010-06-07 주식회사 유피케미칼 루테늄 금속 또는 루테늄 산화물 박막 증착용 유기 금속 전구체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박막 증착 방법
KR20100071463A (ko) * 2008-12-19 2010-06-29 주식회사 유피케미칼 금속 박막 또는 금속 산화물 박막 증착용 유기금속 전구체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박막 증착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8684A1 (ko) * 2013-05-03 2014-11-06 한국화학연구원 루테늄 전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WO2015182946A1 (ko) * 2014-05-30 2015-12-03 주식회사 유피케미칼 신규 루테늄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막 증착용 전구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막의 증착 방법
KR20150137962A (ko) * 2014-05-30 2015-12-09 주식회사 유피케미칼 신규 루테늄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막 증착용 전구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막의 증착 방법
US9957614B2 (en) 2014-05-30 2018-05-01 Up Chemical Co., Ltd. Ruthenium compou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precursor composition for film deposition containing same, and method for depositing film by using same
WO2019088722A1 (ko) * 2017-11-01 2019-05-09 (주)디엔에프 루테늄함유 박막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루테늄함유 박막
US11827650B2 (en) 2017-11-01 2023-11-28 Dnf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ruthenium-containing thin film and ruthenium-containing thin film manufactured therefrom
WO2022080803A1 (ko) * 2020-10-12 2022-04-21 주식회사 유피케미칼 열적으로 안정한 루테늄 전구체 조성물 및 루테늄 함유 막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47133B2 (en) 2016-05-24
TW201317245A (zh) 2013-05-01
TWI510495B (zh) 2015-12-01
KR101404714B1 (ko) 2014-06-20
US20150050431A1 (en) 2015-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714B1 (ko) 단차피복성이 우수한 루테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하여 증착시킨 박막
JP5730670B2 (ja) 酸化モリブデンを含有する薄膜の製造方法、及び酸化モリブデンを含有する薄膜の形成用原料
KR20100060482A (ko) 루테늄 금속 또는 루테늄 산화물 박막 증착용 유기 금속 전구체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박막 증착 방법
TW201422841A (zh) 含鉬之薄膜之製造方法、薄膜形成用原料及鉬醯亞胺化合物
US20170117142A1 (en) Organic Germanium Amine Compound and Method for Depositing Thin Film Using the Same
US8686138B2 (en) Heteroleptic pyrrolecarbaldimine precursors
TW202026452A (zh) 原子層堆積法用薄膜形成用原料、薄膜形成用原料、薄膜之製造方法及化合物
KR20190040354A (ko) 알릴 리간드를 포함하는 금속 착화합물
WO2018088078A1 (ja) 化合物、薄膜形成用原料、原子層堆積法用の薄膜形成用原料及び薄膜の製造方法
TWI677501B (zh) 釕化合物、薄膜形成用原料及薄膜之製造方法
JP5732772B2 (ja) ルテニウム錯体混合物、その製造方法、成膜用組成物、ルテニウム含有膜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55133B1 (ko) 박막 형성용 전구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박막의 제조 방법 및 박막
WO2013058451A1 (ko) 단차피복성이 우수한 루테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하여 증착시킨 박막
Su et al. Bis (β-ketoiminate) dioxo tungsten (VI) complexes as precursors for growth of WOx by aerosol-assisted chemical vapor deposition
WO2020129616A1 (ja) 原子層堆積法用薄膜形成原料、薄膜の製造方法及びアルコキシド化合物
KR102595199B1 (ko) 니오븀 전구체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막 형성용 전구체 조성물, 및 니오븀-함유 막 형성 방법
KR100621914B1 (ko) 원자층 침착법으로 하프늄 산화물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
US9738971B2 (en) Vapor deposition methods to form group 8-containing films
KR20230102100A (ko) 신규한 몰리브데넘 함유 전구체 및 이를 이용한 몰리브데넘 함유 박막의 형성 방법 및 상기 몰리브데넘 함유 박막을 포함하는 소자.
JP5913663B2 (ja) モリブデンアミド化合物
KR20220026269A (ko) 몰리브데넘 함유 박막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몰리브데넘 함유 박막.
KR20230098067A (ko) 몰리브데늄 전구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몰리브데늄-함유 막의 증착 방법
TW202336030A (zh) 原子層沉積法用薄膜形成用原料、薄膜、薄膜之製造方法及釕化合物
KR20230102083A (ko) 신규한 몰리브데넘 함유 전구체 및 이를 이용한 몰리브데넘 함유 박막의 형성 방법 및 상기 몰리브데넘 함유 박막을 포함하는 소자.
KR20230009325A (ko) 몰리브데늄 전구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몰리브데늄-함유 박막의 증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