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3386A - 도정부산물의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도정부산물의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3386A
KR20130043386A KR1020110107457A KR20110107457A KR20130043386A KR 20130043386 A KR20130043386 A KR 20130043386A KR 1020110107457 A KR1020110107457 A KR 1020110107457A KR 20110107457 A KR20110107457 A KR 20110107457A KR 20130043386 A KR20130043386 A KR 20130043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bran
rice
superheated steam
produc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9615B1 (ko
Inventor
변유량
조형용
이석훈
하지혜
조은영
김고래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벤 filed Critical (주)바이오벤
Priority to KR1020110107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615B1/ko
Publication of KR20130043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6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1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heating without chemical treatment, e.g. steam treatment, cook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7Treatment of whole grai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정부산물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과열수증기의 가열특성을 이용하여 도정부산물을 처리함으로써, 미강취를 제거하는 동시에 향미를 생성하며 조직을 연화시켜 기호성과 소화성이 개선된 가공물 및 그의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가공 방법은 도정부산물의 품질 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있어 관련 산업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공물은 리파제와 오염균을 불활성화시켜 안정화되고 위생적인 미강 소재를 제공함으로써 양질의 식품 소재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도정부산물의 가공방법{Methods for Processing of Rice Polishing Byproducts}
본 발명은 도정부산물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미의 구조는 바깥쪽으로부터 과피(果皮), 종피(種皮) 및 호분층(糊粉層) 등의 쌀겨층(糠層)과 쌀알의 기부(基部)의 작은 부분을 차지하는 쌀눈(胚), 그리고 나머지 대부분을 차지하는 배젖(胚乳)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배젖은 주로 전분입자로 차 있고 백미로 식용하는 부분이다. 현미 전체에 대한 무게 비율은 각각 쌀겨층 5-6%, 쌀눈 2-3%, 배젖 92%이다. 따라서 현미를 정미기로 도정하면 현미의 92%를 백미로 얻는다.
현미는 소화성이 나쁘고 식미가 마치 견과와 같아 좋지 못하며, 취반하기도 쉽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일반적으로 현미를 정미(polishing)하여 백미로 밥을 지어 먹는다. 현미를 도정하여 백미를 제조하는 정미공정에서 현미는 수차례 정미기를 통과하여 백미와 도정부산물로 나누어진다. 이때 얻어지는 도정부산물에는 쌀눈, 싸라기, 순수 쌀겨, 쌀가루 및 이물질 등이 혼재된 상태이므로 일반적으로 선별과정을 거쳐 싸라기, 쌀가루 등의 전분질과 이물질 등을 제거하며 일반적으로 이를 미강이라 한다.
본 발명에서 원료로 사용되는 도정부산물은 정미기에서 수득한 그대로의 쌀겨와 쌀눈의 혼합물인 미강, 쌀겨와 쌀눈의 비율을 조정한 미강 그리고 각각 분리한 쌀겨와 쌀눈을 포함하지만 이하 기술에서는 통칭하여 미강이라 기술한다.
정미공정에서 제거되는 8%의 미강 중에는 쌀 영양소의 95%가 집중되어 있다. 미강에는 단백질, 지방, 비타민, 무기물 등 영양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을 뿐 아니라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비타민 E, 오리자닌(oryzanin), CoQ-10(coenzyme Q-10), GPx(glutathione peroxidase), SOD(superoxide dismutase), 프로안토시아니딘(proanthocyanidins), IP6(inositol hexaphosphate)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어, 미강은 암, 고지혈증(hyperlipidemia), 지방간, 고칼슘뇨증(hypercalciuria), 신결석, 심장병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질병 예방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이 미강이 우수한 기능성 소재로서 잠재적 가치가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식품이나 식품재료로 사용되지 못한 데는 다음과 같은 원인이 있다. 첫째, 정미기에서 현미로부터 백미를 도정하는 과정에서 현미에서 미강이 분리되는 순간부터 미강 중에 존재하는 리파제(lipase)에 의하여 미강유 중의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가 가수분해 되어 유리지방산이 증가되어 급속히 산패되기 때문이다. 둘째, 미강에는 식품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독특한 냄새를 가지고 있다. 더욱이 저장기간이 길어져 미강이 산패되면 강열한 산패취가 나기 때문에 식용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셋째, 미강에는 인간의 건강에 좋은 표피, 종피 등 식이섬유를 많이 함유하고 있으나, 이것이 단단하여 수분 등으로 연하게 하여도 다른 식품재료와 혼합하기 어렵고 혀에 닿는 촉감이 거칠어 식용에 적합하지 않다. 넷째, 미강에 혼입된 먼지, 티끌, 이물 등을 분별 제거하여 식품원료로서 안전한 미강을 얻기 어렵다.
따라서 이와 같은 미강의 단점을 극복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식품재료로 이용 가능하도록 가공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기능성 소재로서 잠재적 가치가 매우 높은 도정부산물의 경제적인 가공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과열수증기(포화온도 이상의 수증기) 처리를 통해 기호성과 소화성이 개선되었을 뿐 아니라, 리파제 불활성화, 살균 및 산패가 방지되어 안정화된 도정부산물 가공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정부산물 가공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도정부산물 가공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가공물, 그의 분쇄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도정부산물 가공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도정부산물로부터 미강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로부터 수득된 미강에 과열수증기를 처리하여 도정부산물 가공물을 수득하는 단계.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기능성 소재로서 잠재적 가치가 매우 높은 도정부산물의 경제적인 가공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포화온도 이상의 수증기 즉 과열수증기 처리를 통해 기호성과 소화성이 개선되었을 뿐 아니라, 리파제 불활성화, 살균 및 산패가 방지되어 안정화된 도정부산물 가공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을 각각의 단계 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a): 도정부산물로부터 미강의 수득
본 발명의 도정부산물 가공물의 제조방법은 미강을 수득하기 위해 도정부산물을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도정부산물은 곡립의 등겨층(과피·종피·외배유·호분층을 합한 것)을 벗기는 조작의 부산물로써,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도정부산물은 쌀눈, 쌀겨 또는 쌀겨와 쌀눈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강은 일반적으로 현미에서 백미로 정미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쌀겨와 쌀눈으로 이루어진 속껍질가루로써, 정미기에서 부산물로 생산되는 것을 단지 정선한 쌀겨와 쌀눈의 혼합물, 쌀겨와 쌀눈의 비율을 사용목적에 따라 조정한 것 또는 각각 분리한 순수한 쌀겨와 쌀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도정부산물 가공물의 제조방법은 도정부산물로부터 수득한 미강을 분리, 분쇄 및 수분 함량을 조절하는 전처리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미강은 비교적 입자가 큰 쌀눈과 입자가 작은 쌀겨의 혼합물이므로 과열수증기에 의하여 가능한 균일하게 처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분리 및 분쇄할 필요가 있으며, 지름의 범위가 0.152-1 ㎜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1-0.599 ㎜이다.
한편, 과열수증기로 처리하여 조직 변화 및 살균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미강의 수분함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미강의 수분 함량은 미강의 건물 중량에 대비하여 5-100%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50%이다.
단계 (b): 미강에 과열수증기를 처리한 도정부산물 가공물의 수득
본 발명의 도정부산물 가공물의 제조방법은 도정부산물 가공물을 수득하기 위해 과열수증기의 가열특성을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수증기는 식품가공에서 간접가열의 열매체 또는 습열 분위기에서 직접가열의 열매체로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당업계에 널리 이용되는 수증기, 통상적으로 간단히 증기 또는 스팀(steam)이라 칭하는 것은 포화수증기(saturated steam)로서 대기압의 경우 100℃에서 발생한 수증기이다. 포화수증기의 압력은 대기압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100℃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한 포화온도 이상의 수증기를 과열수증기(superheated steam)라 한다. 일반적으로 포화수증기는 기체(기상)와 미세한 물 입자(액상)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백색으로 보이나 과열수증기는 기상만 존재하는 무색 투명한 수증기가스이다. 포화수증기와 과열수증기의 가열특성을 비교하여 보면, 대기압의 포화수증기로 가열할 경우 포화수증기는 피가열물체와 접촉하면 응축하여 표면에 물이 부착하며 주로 응축전열에 의하여 가열된다. 이때 피가열물체는 포화수증기의 온도인 100℃ 이상으로 가열될 수 없으므로 피가열물체는 항상 응축한 수분이 부착된 상태로 온도가 상승하는 습열상태로 가열된다. 이와 같은 습한 상태의 가열에서는 품질손상을 피할 수 없으며, 추가로 건조조작이 필요한 등의 한계가 있다. 한편, 대기압의 과열수증기로 가열하면 가열 초기에는 피가열물체의 초기온도가 과열수증기의 포화온도인 100℃보다 낮기 때문에 피가열물체의 표면에 일시적으로 응축이 생기면서 응축잠열을 전달한다. 피가열물체가 가열되어 표면온도가 100℃에 달하면 표면에 응축했던 응축수가 다시 과열수증기 중으로 증발한다. 따라서 가열 초기에는 피가열물체 표면에 물층이 존재하는 습한 상태로 잠열형태로 열이 전달되는 반면, 피가열물체의 표면이 건조된 이후에는 고온의 과열수증기의 현열에 의하여 100℃ 이상으로 가열되는 수증기가스에 의한 대류가열이다. 과열수증기의 현열(0.48 kcal/㎏·℃)은 공기의 현열(0.24kcal/㎏·℃)의 2배이므로 가열효율은 매우 높으며, 과열수증기의 증기 밀도는 낮기 때문에 고온의 과열수증기 중으로 물이 신속히 증발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과열수증기는 적합한 과열수증기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생성시킬 수 있으며, 이때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구성하는 시스템의 압력에 따라 감압, 상압 또는 가압 과열수증기 발생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과열수증기 처리장치의 형식으로는 교반탱크식, 캐비넷식, 회전킬른식, 터널식, 유동층식 또는 기류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과열수증기의 처리 온도는 50-400℃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40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20-350℃이다.
(혹여, 심사 과정에서 심사관이 과열수증기 처리 온도 50-400℃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하면, 120-350℃로 수정하는 것보다는 110-400℃로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과열수증기의 처리 시간은 3초-10분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초-5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도정부산물 가공물의 제조방법은 과열수증기 처리하여 수득한 미강을 실온으로 냉각 및 분쇄하는 후처리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도정부산물 가공물의 제조방법은 미강을 과열수증기 처리함으로써, 도정부산물의 미강취 제거, 향미생성, 조직변화, 리파제 불활성화, 살균 및 산패 방지를 유도하여 보다 안정화된 도정부산물 가공물을 제조할 수 있다. 과열수증기의 특성을 이용하여 처리조건(미강의 수분함량, 과열수증기의 온도 및 처리시간)을 조절하면 미강취를 없애는 동시에 향미를 생성한다. 또한, 고온의 과열수증기에 의한 급속한 열전달로 미강입자는 α화 되는 동시에 미강 중의 수분이 수증기로 되어 팽창, 분출되면서 조직은 파괴하여 연화된다. 또한 과열수증기는 수ppm의 산소 밖에 존재하지 않아, 공기가 혼입되지 않은 100% 과열수증기를 사용하면 무산소 상태에 근접한 조건에서 열처리를 할 수 있다. 따라서, 과열수증기 분위기에서는 고온일지라도 미강 중의 유지가 산화 되지 않으며, 비타민 등 산소와 반응하기 쉬운 성분의 파괴도 억제되며, 과열수증기에 의하여 이미 존재하던 유리지방산도 증발하기 때문에 가열 직후 산가가 감소하고 보존 중에도 상승하지 않는다. 더욱이, 과열수증기로 가열처리하는 경우, 가열 초기의 습열살균과 표면 건조 후의 건열살균을 통한 미강의 살균효과가 있으며, 미강 중의 미생물뿐 만 아니라 리파제 효소를 효율적으로 실활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과열수증기로 가공된 도정부산물 가공물은 영양기능성 성분이 파괴되지 않으며, 기호성, 식미, 소화성 및 안정성이 개선된다. 이러한 개선된 도정부산물 가공물은 2차 가공 및 저장에 용이하도록 냉각 및 분쇄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도정부산물 가공물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도정부산물 가공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도정부산물 가공물은 상술한 방법에 의해 미강취 제거, 향미생성, 조직변화, 리파제(lipase) 불활성화, 살균 및 산패 방지가 유도된 것으로써, 쌀 영양소의 95%가 집중되어 있으나 기호성, 식미, 소화성 및 안정성의 이유로 유용하게 이용되지 못하는 도정부산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가공물, 그의 분쇄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정부산물 가공물은 그 용도에 따라 적합하게 분쇄 또는 추출되어 식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공물을 분쇄하는 경우에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공물을 추출하기 위해서 다양한 추출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i) 상압의 물, (ii) 상압의 에탄올, (iii) 상압의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 (iv) 고압의 열수, (v) 고압의 열수와 에탄올 혼합물, (vi) 초임계유체 등의 식품에 사용 가능한 용매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도정부산물 가공물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도정부산물 가공물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과열수증기의 가열특성을 이용하여 도정부산물을 처리함으로써, 미강취를 제거하는 동시에 향미를 생성하며 조직을 연화시켜 기호성과 소화성이 개선된 도정부산물 가공물 및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의 가공물은 지질분해효소인 리파제(lipase)제를 불활성화시켜 미강 중에 함유된 유지를 이용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산패를 방지하고 살균 효과가 있어 보다 안정화되고 위생적인 미강 소재를 제공함으로써 양질의 식품 소재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c) 또한, 본 발명의 가공 방법은 도정부산물의 품질 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있어 관련 산업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미강의 가공
신선한 미강시료를 즉석에서 생산하기 위하여 소형 정미기(이화산업사, 모델 LH-601M)를 사용하였으며, 가능한 전분질이 혼입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도정도는 8분도로 조정하였다. 현미 품종은 현재 국내에서 고품질 현미로 판매되고 있는 “백진주”를 선정하였다. 도정기에 2010년산 현미 “백진주” 20 kg을 장입하고 8분도로 도정하였으며 도정 중간에 배출되는 미강만을 시료로 채취하였다. 이때 얻어진 시료 미강을 분석한 결과 수분함량은 12.8%(건물기준)이였으며 쌀눈함량은 16.2%였다. 신선한 미강을 채질하여 20 mesh와 60 mesh 사이 분획을 가공시료로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과열수증기 처리장치는 일본 나오모토(Naomoto)사에서 제작한 컨베이어형 오븐(QF-5100CB)이다. 미강 시료 20 g을 80 mesh 채에 얇게 펼쳐 담아 이동하고 있는 벨트컨베이어 위에 올려놓았다. 벨트컨베이어가 오븐(525 ㎜ x 250 ㎜ x 60 ㎜)을 통과하는 동안 상하부에서 공급되는 과열수증기에 의하여 미강은 가열 된다. 이때 과열수증기의 온도는 상하 동일하게 150℃, 200℃, 250℃, 300℃로 각각 조절하였으며, 각 온도에서 처리시간은 1분으로 하였다. 컨베이어에서 배출되는 미강은 냉풍으로 냉각시킨 다음 지퍼봉지에 담아 밀봉하였다.
실시예 2: 과열수증기 처리된 미강의 기호성 향상
상술한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과열수증기 처리온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시료에 대하여 관능검사 요원 20명이 참여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하여 미강의 특이한 불쾌취가 제거 되고 고소한 냄새가 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판별을 위한 정도는 다음과 같다: -2; 미강의 불쾌취가 난다, -1; 미강의 불쾌취가 약간 난다, ± 0; 미강의 불쾌취나 고소한 냄새가 거의 나지 않는다, +1; 고소한 냄새가 약간 난다, +2; 고소한 냄새가 난다.
표 1에 나타낸 판정결과는 20명의 평균값으로 200℃ 이상의 과열수증기로 처리한 모든 시료에서, 불쾌취가 없어지고 고소한 냄새가 생성되어 기호성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시제품
(과열수증기 처리온도, ℃)
관능검사 판정결과
150 -1
200 ± 0
250 +1.5
300 +2
실시예 3: 과열수증기 처리된 미강의 살균효과
실시예 1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미강을 과열수증기 처리하였으며 그러나 이때 과열수증기 온도 150-300℃ 범위에서 각각 30초 및 60초간 처리하였다. 각 처리조건에서 일반세균과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의 생균수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원료 미강 중에는 일반균이 105 cells/g 정도 또한 바실러스 세레우스로 대표되는 내열성 포자생성균은 5.0×102 cells/g 정도 존재하였다.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과열수증기 온도 200℃에서 60초간 처리하면 일반세균과 바실러스 세레우스는 음성이었으며, 250℃에서는 30초간 처리하면 모두 음성이었다.
과열수증기 온도
(℃)
처리시간
(초)
일반세균
(cells/g)
바실러스 세레우스
(cells/g)
150 30
60
2.5×10
1.2×10
2.2×10
7.8×10
200 30
60
38
음성
4
음성
250 30
60
음성
음성
음성
음성
300 30
60
음성
음성
음성
음성
실시예 4: 과열수증기 처리된 미강의 안정성
실시예 1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미강을 과열수증기 처리하였다. 그러나 과열수증기 온도 140℃, 160℃, 180℃, 200℃에서 각각 1분간 처리하였다. 가열처리한 시료는 즉시 냉풍으로 냉각시키고 리파제 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료 10 g을 채취한 후 나머지 시료는 50 ㎖ 캡튜브에 담아 4℃ 냉장고에서 저장하였다. 이때 과열수증기 처리하지 않은 미강(대조구)도 동일하게 저장하였다.
과열수증기처리에 의한 리파제의 불활성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처리한 미강의 잔존 리파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리파제 활성은 트리부티린(tributyrin)을 기질로 하여 측정하였으며, 활성은 미강 1 ㎏당 유닛(Unit; U)으로 나타내었다. 즉, 1 U은 30℃에서 1분 동안에 트리부티린의 가수분해에 의하여 생성된 부트르산(butyric acid)의 μM로 정의하였다. 과열수증기 처리를 하지 않은 신선한 미강의 리파제 활성은 600-800 U/㎏ 미강(rice bran)였으며, 140℃의 과열수증기로 1분간 처리한 미강의 경우 약 70%가 불활성화 되었다. 그러나 160℃의 과열수증기로 처리한 미강의 경우 리파제는 완전히 불활성화 되었다.
한편, 과열수증기 처리한 미강의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한 미강을 4℃에서 90일 저장한 후의 미강의 산가(지질 1 g에 함유된 유리지방산을 중화하는데 필요한 수산화칼륨의 ㎎수)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신선한 미강의 산가가 4.3인 점을 고려하면 과열수증기 처리한 미강은 장기간 저장하여도 산가가 거의 증가 되지 않아, 리파제가 효과적으로 완전히 불활성화 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대조구는 과열수증기 처리를 하지 않고 4℃에서 90일 저장한 미강(control)으로서 산가가 38.2로 증가하여 매우 산패되었다.
과열수증기 처리 온도(℃) 산가
160 6.2
180 5.8
200 4.7
대조구(미처리) 38.2

Claims (8)

  1.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도정부산물 가공물의 제조방법:
    (a) 도정부산물로부터 미강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로부터 수득된 미강에 과열수증기를 처리하여 도정부산물 가공물을 수득하는 단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계 (a) 이후 미강을 분리, 분쇄 및 수분 함량 조절하는 전처리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강은 정미기에서 수득한 그대로 비율의 쌀겨와 쌀눈의 혼합물, 쌀겨와 쌀눈의 비율을 조정한 것 또는 각각 분리한 쌀겨와 쌀눈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함량 조절은 상기 미강의 수분 함량이 5-100 중량%(건물 중량 기준, dry basis)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50-400℃ 온도범위와 감압, 상압 또는 가압 조건에서 과열수증기를 사용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열수증기 처리는 미강취 제거, 향미생성, 조직변화, 리파제(lipase) 불활성화 및 살균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상기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도정부산물 가공물.
  8. 상기 제 7 항의 가공물, 그의 분쇄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110107457A 2011-10-20 2011-10-20 도정부산물의 가공방법 KR101359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457A KR101359615B1 (ko) 2011-10-20 2011-10-20 도정부산물의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457A KR101359615B1 (ko) 2011-10-20 2011-10-20 도정부산물의 가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386A true KR20130043386A (ko) 2013-04-30
KR101359615B1 KR101359615B1 (ko) 2014-02-11

Family

ID=48441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457A KR101359615B1 (ko) 2011-10-20 2011-10-20 도정부산물의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6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2981A1 (de) * 2019-03-22 2020-10-01 Josef Immanuel Ehrle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ebensmittelerzeugnisses mit hohem ballaststoffgehalt und geringer belast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788B1 (ko) 2017-07-18 2019-04-08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아산현대미곡종합처리장 쌀눈 분리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쌀눈 분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1116A (ja) * 2003-06-30 2005-01-27 Teruo Tsuburaya 米糠を原料とした食物繊維成分の含有比率が高く直接食用に出来る粉末状の米糠加工食品の製造方法。
KR20050046898A (ko) * 2003-11-14 2005-05-19 김무겸 가공된 쌀겨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2981A1 (de) * 2019-03-22 2020-10-01 Josef Immanuel Ehrle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ebensmittelerzeugnisses mit hohem ballaststoffgehalt und geringer belas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615B1 (ko) 201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ukid et al. A compendium of wheat germ: Separation, stabilization and food applications
Patil et al. Stabilization of rice bran using microwave: Process optimization and storage studies
Amadou et al. Millets: Nutritional composition, some health benefits and processing-A review
CN103917101B (zh) 全咖啡生豆产品及生产方法和用途
KR102052511B1 (ko) 들기름의 자외선 차단효과와 항산화 효능 및 피부의 보습과 미백과 주름 및 기미와 주근깨 예방이 가능한 들기름뷰티오일 및 식물성 오메가-3가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과 들기름뷰티오일 및 식물성 오메가-3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462374B1 (ko) 안정화된 쌀겨와 쌀눈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Meera et al. Effect of heat treatment of sorghum grains on storage stability of flour
Khir et al. Walnuts
Begum et al. Microwave (MW) energy in enzyme deactivation: Stabilization of rice bran from few widely consumed indigenous rice cultivars (Oryza sativa L.) from eastern Himalayan range
Hayta et al. Apricot kernel flour and its use in maintaining health
KR101359615B1 (ko) 도정부산물의 가공방법
CN104703478A (zh) 由新鲜的米糠获得米糠油和脱脂米糠的方法
KR101504909B1 (ko) 미강 안정화 방법
KR102174199B1 (ko)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어성초 발효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어성초 발효 오일
Thuy et al. Optimization of carrot fermentation conditions in rice bran bed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KR101426404B1 (ko) 현미 미강의 영양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405065B (zh) 一种糠胚分离的制米方法及其制取的大米胚芽和糊粉层粉
KR102432923B1 (ko)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
EP3203843B1 (en) Methods of making oat fractions with enhanced avenanthramide concentration
KR101414793B1 (ko) 잣 배젖의 외피를 이용한 향미증진 추출물의 수득방법 및 이를 통해 수득된 잣 배젖 외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Yadav et al. Potential value addition from cereal and pulse processed by-products: A review
WO1992001391A1 (en) Stabilizing unmilled or partially milled brown rice by ethanol or ethanol vapor extraction
CN107303255B (zh) 具有抗炎、抗过敏和特应性皮肤改善作用的高粱发酵产物,其制备方法及其化妆料组合物
JPS59140845A (ja) 脱臭全脂大豆粉の製造法
KR101671490B1 (ko) 미네랄 강화 견과류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