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2837A - 가조립을 이용한 파이프 트러스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가조립을 이용한 파이프 트러스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2837A
KR20130042837A KR1020110106948A KR20110106948A KR20130042837A KR 20130042837 A KR20130042837 A KR 20130042837A KR 1020110106948 A KR1020110106948 A KR 1020110106948A KR 20110106948 A KR20110106948 A KR 20110106948A KR 20130042837 A KR20130042837 A KR 20130042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pipe
truss
truss member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하정
Original Assignee
최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하정 filed Critical 최하정
Priority to KR1020110106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2837A/ko
Publication of KR20130042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2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6/00Truss-type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로 구성된 트러스 구조에서 파이프 부재의 그루브 용접을 위한 취부 방법을 비롯한 제작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 클램핑 수단을 이용하여 일정 길이를 갖는 트러스 블럭을 가조립하는 방법과 용접이 완료된 상태와 동일하게 가조립된 트러스 구조에서 트러스 부재의 그루브 용접선 가까운 지점에 용접용 지그를 설치하여 그루브 용접선을 취부하고 용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트러스 부재의 그루브 용접 품질이 향상되고 용접시간과 비용이 절감될 뿐 아니라 용접선 취부를 위해 본 용접 이외 추가로 수행되던 용접작업이 생략되어 구조물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솟음과 종곡선이 포함된 트러스 부재에도 적용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가조립을 이용한 파이프 트러스의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pipe truss using temporary assembly}
본 발명은 가조립을 이용한 파이프 트러스의 제작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트러스부재의 그루브 용접부를 용접함에 있어 용접선을 정렬하는 취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작하는 파이프 트러스 구조물의 그루브 용접부 전체에 대해 파이프용 클램핑 수단을 이용하여 가조립하고 가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용접을 수행하고자 하는 그루브 용접부의 클램프 가까운 지점과 해당 용접선과 가까운 또 다른 부재의 임의 지점에 강관 용접지그를 설치하고 설치된 파이프 용접지그를 연결편으로 연결한 후 용접을 수행하고자 하는 그루브 용접부의 클램핑 수단을 해체한 상태에서 그루브 용접을 수행하는 파이프 트러스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이프 트러스 구조가 가조립된 상태에서 그루브 용접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용접이 용이할 뿐 아니라 가조립 상태에서 정확히 확인 및 보정된 트러스구조가 그대로 유지되므로 용접후의 트러스구조가 안정적이고, 용접이 정밀하여 품질이 뛰어나다.
특히 가조립된 상태는 제작하고 있는 트러스 구조물의 제작이 완료된 상태와 동일하게 구조적으로 안정된 상태이고 클램핑 수단에 의해 용접에 의한 열변형이 구속된 상태이므로 트러스 구조 어디서나 동시 다발적으로 용접이 가능하여 종래 트러스교의 고질적인 용접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향후 공기의 단축과 더불어 시공비가 대폭 절감되는 파이프 트러스 건설기술 분야에 유용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교량건설에 주로 사용되는 교량구조는, PCS박스거더교, 강합성플레이트거더교, 강합성박스거더교, 파이프를 이용한 트러스교 등이 있으며, 상기 트러스교는, 한 평면 내에서 직선의 트러스부재를 삼각형태로 연속적으로 연결.조립하는 트러스구조물을 제작하여야 하므로 제작 난이도 및 제작단가가 다른 교량형식에 비해 높은 이유로 적용이 빈번하지 않다.
그러나 2006년 독일에서 준공된 St.Kilian Viaduct 는, 공장에서 트러스구조물 제작시, 중량이 큰 하.상현재와 사재를 용접 위치에 정확하게 지지하기 위해 다수의 동바리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작된 트러스구조물을 현장이동시킨 후, 트러스구조물의 블록간 용접연결시에도 부재간 용접선을 정확하게 유지하게 위해 지지구조물을 특수제작하고, 이를 고공에서 교량이 안치되는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해야 하는 과정이 복잡하므로 시공기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건 출원인이 특허 제965750호로 가조립이 가능한 파이프 트러스 조인트유닛구조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트러스교의 시공방법을 등록받은 바 있다.
선 등록된 특허는, 연결링이 삽입된 가지연결구와 트러스부재를 동일 선상으로 위치시킨 후, 상기 가지연결구에 형성된 작업홀을 통해 연결링이 가지연결구와 트러스부재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킨 후, 상기 가지연결구와 트러스부재를 용접으로 고정하였다.
그러나 가지연결구와 트러스부재는 내경면과 외경면이 균일하도록 주문제작이 불가피하므로 제작단가의 상승으로 공사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가지연결구와 트러스부재 및 연결링의 운반 및 보관 중 외력에 의해 정원을 유지하지 못하면 연결링의 조립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연결가지부와 트러스부재의 경사부 및 뒷댐재 역할을 하는 연결링을 용접부로 고정함으로 뒷댐재 역할을 하는 연결링을 가지연결구 및 트러스부재에서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뒤댐재 역할을 하는 연결링을 제거하지 못할 경우, 용접부에 발생하는 응력의 크기가 작용하중에 따라 변하는 변동응력 발생시, 피로균열이 발생하여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 등록된 특허는, 상기 연결링에 결합되는 가지연결구와 트러스부재의 두께가 다를 경우, 두께가 작은 쪽의 부재 내경이 연결링 외경과 일치하지 않음에 따라 두께가 작은 쪽의 부재는 중력의 영향으로 두께가 큰 쪽의 부재, 즉 연결링 중심선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두 부재의 용접 외주면이 서로 어긋나므로 제작오차를 근본적으로 피할 수 없어 견고한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 등록된 특허는, 중력의 영향을 받는 사재 및 수직재에서는 부재 자중에 의해 부재가 하향으로 미끄러짐이 발생하므로 부개간의 루트간격이 일정하지 않거나 없음으로 인해 정밀한 가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 등록된 특허는, 트러스 구조물에 처짐에 대비한 솟음 그리고 교량의 경우 종곡선이 포함될 경우 조인트 유닛의 부재 연결구에 트러스 부재를 삽입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내부 연결링의 이동이 불가능한 제한이 있었다.
이와 함께 용접이음 하고자 하는 파이프 트러스의 양단 용접부 가까운 지점에 임시 고정용 플레이트를 용접하고 이들 임시 고정용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편으로 이어서 용접선을 취부하는 방법은 파이프 트러스 부재에 부착되는 임시 고정용 플레이트의 용접 및 가스절단에 의한 제거 그리고 가스절단 후 용접부 그라인딩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 그리고 과다한 경비가 소요될 뿐 아니라 지지판의 용접 및 가스절단에 의해 모재에 영구적인 손상이 남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임시 고정용 플레이트에 의한 취부는 그루브 용접시 용접선이 끊기는 단속용접이 불가피하게 되어 끊긴 용접 부위에서의 가우징 작업과 용접면처리를 해야 함으로 용접 속도가 매우 더디고 용접비용이 상승할 뿐 아니라 용접품질 확보가 어렵다. 또한, 파이프 트러스 부재가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원주를 따라 둘레를 용접하는 전자세(6G,6GR)가 모두 포함되므로 용접의 난이도가 매우 높고 용접봉과 스플라이스의 공간 간섭으로 인해 자동용접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수동용접에 전적으로 의지해야 하는 작업여건상 용접품질확보가 어려우며 높은 기능수준을 갖춘 숙련된 용접사의 확보가 어려운 현실을 감안할 때 제작비가 매우 비싸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은 파이프 트러스 부재를 용접 시공함에 있어 새로운 시공방법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파이프로 이루어진 트러스 구조에서 그루부 용접부의 용접제작 공정을 단순화시켜 제작성과 시공성을 개선하는 데 그 목적이 있고,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파이프로 이루어진 트러스 구조에서 그루부 용접부을 위한 부대공이 생략되도록 하여 제작비를 절감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파이프로 이루러진 파이프 구조의 그루부 용접에 있어 정밀하고 용접품질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는 대각가새를 적용한 구조물의 시공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으며,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트러스 구조물에 솟음, 그리고 종곡선이 적용되었을 때에도 적용이 가능한 파이프 트러스 구조물의 제작 및 시공방법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파이프 트러스의 시공방법은, 일정 길이를 갖는 블럭으로 제작되는 파이프 트러스 구조에서 해당 블럭을 구성하는 트러스 부재를 가조립하는 데 있어,
트러스 부재의 절점부에 인접한 트러스 부재 용접 연결부는 클램핑 수단을 이용하여 가조립하여 해당 블록의 트러스 부재들에 대한 그루브 용접이 완료된 상태와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가조립한다.
이 때 파이프 트러스 부재의 용접부를 체결하는 클램핑 수단은 클램핑 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트러스 부재의 외경에 밀착되도록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반 원통형 몸체가 구비되고, 그루브 용접부의 루트간격 확인을 위해 클램핑 수단의 실린더형 몸체에 천공된 구멍이 구비되며,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반 원통형 몸체 원주방향 양단에 볼트/너트 체결을 위한 체결편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반 원통형 몸체로 구성된 한 쌍의 클램핑 수단이 대향되었을 때 체결편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볼트/너트의 체결에 의해 클램프에 가압력이 도입될 수 있도록 하고 이 가압력을 통해 트러스 부재의 외주면과 클램핑 수단의 내경면 사이에 둘 사이의 유동을 방지하는 마찰력이 도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일정 블록의 파이프 트러스 구조가 가조립 된 후 용접하고자 하는 파이프 트러스 부재의 그루브 용접부 주위에 파이프 용접지그를 설치한다. 그리고 해당 용접부와 가까운 다른 트러스 부재에 별도의 파이프 용접지그를 설치하는 데 이들 파이프 용접지그의 반 원통형 몸체 외주면에는 이들 파이프 용접지그를 연결 할 연결편을 지지할 수 있도록 러그를 구비한다.
이때 파이프 용접지그의 구조는 반 원통형 몸체에 천공된 구멍이 없고, 대신 연결편 지지를 위한 러그가 설치되어 있다는 점을 빼면 파이프 클램핑 수단과 그 구조가 동일하다.
이렇게 용접하고자 하는 그루브 용접부 주변에 용접지그와 연결편이 설치되면 해당 그루브 용접부를 감싸고 있는 클램핑 수단을 해체한 후 그루브 용접을 실시하며 해당 용접부의 용접이 완료되면 용접부 주변의 용접지그도 해체한다.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일정 블록의 파이프 트러스 구조에 대한 그루브용접 을 수행 완료하고 가조립 과정을 전체 파이프 트러스 구조를 구성하는 각각의 블록에 대해 반복하여 파이프 트러스 전체 구조에 대한 제작과 시공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이프 트러스 구조를 구성하는 일정 블럭에 대해 트러스 부재의 용접부를 클램핑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트러스 구조의 가조립이 가능하므로 종래의 파이프 트러스 부재의 그루브 용접시 설치하였던 취부용 임시 고정 플레이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트러스 구조물의 제작비용이 감소하고 미관이 개선되며, 용접에 의한 임시 고정 플레이트 설치 및 제거시 대각가새 부재에 발생하였던 영구손상이 발생하지 않아 구조물의 구조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을 통해 파이프 트러스의 시공에서 부재에 손상을 미치는 임시 고정 플레이트가 생략되어 대각가새 현장용접 시 강관의 취부 작업이 단순해지고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이프 트러스 블록에 대한 선 가조립 한 후 일괄적으로 부재를 용접이음하는 방식으로 시공함으로 시공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갖으며,
본 발명을 통해 임시 고정 플레이트를 이용한 용접시 용접이 완료된 이후 임시 고정 플레이트를 가스 절단하고 그라인딩 작업에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되었으나 이러한 작업이 모두 불필요해져 시공비용의 절감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할 시 파이프 트러스 부재의 그루브 용접시 임시 고정 플레이트 연결편에 의한 용접선의 단속이 없어지고 이에 따른 가우징 및 용접면 처리가 생략되어 용접시공성이 크게 향상되며 용접선의 끊김이 없는 용접이 가능해져 용접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정 길이의 블럭에 대한 파이프 트러스 구조를 가조립하여 전체 구조가 용접연결된 상태와 동일한 상태에서 용접이 수행됨으로 용접에 의한 변형이 구속되어 전체 구조물의 용접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구조물의 시공 정밀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출원인의 선행 발명과 비교했을 때에도 소켓부의 가공 및 연결링 제작이 불필요해 제작 및 시공비가 급감하며 선행발명 대비 용접부의 루트간격 유지가 용이하고 이로 인해 완전용입 용접에 필수적으로 확보되어야 하는 정밀한 루트간격 유지가 가능해지는 효과와 함께 선행 발명에서 도입이 어려웠던 솟음과 종곡선 적용이 용이해지는 진일보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파이프 트러스 부재의 그루브 용접 부위 일례
도 2는 본 발명 파이프 트러스 블록의 가조립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파이프 트러스 가조립을 위한 클램핑 수단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 파이프 트러스 부재의 그루브 용접시공 1단계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파이프 트러스 그루브 용접을 위한 용접지그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 파이프 트러스 부재의 그루브 용접시공 2단계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파이프 트러스 부재의 그루브 용접시공 3단계 상태도
도 8는 본 발명 파이프 트러스 부재의 그루브 용접시공 4단계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파이프 트러스 부재의 그루브 용접시공 5단계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파이프 트러스 부재의 그루브 용접시공 6단계 상태도
도 11는 본 발명 파이프 트러스 부재의 그루브 용접시공 7단계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 파이프 트러스 부재의 그루브 용접시공 8단계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 적용에 따른 솟음/종곡선 도입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파이프 트러스 구조물의 그루브 용접부위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가조립을 이용한 파이프 트러스의 시공방법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트러스 구조물 블록이 상현재(100), 하현재(200), 그리고 사재(300)으로 구성되고 상현재, 하현재, 사재의 소정의 위치에 그루브 용접을 수행하여야 할 때 용접선(401) 양단의 트러스 부재를 파이프 클램핑 수단(500)을 이용하여 해당 트러스 블록을 가조립 한 후 그루브 용접을 수행할 용접선 부근의 소정의 위치와 용접이 수행되는 트러스 부재와 가까운 다른 트러스 부재에 용접용 지그(600)를 설치하고 두 개의 용접용 지그를 연결편으로 고정한 후 그루브 용접이 이루어 지는 용접선에 설치된 클램핑 수단(500)을 해체 제거하고 기 장착된 용접용 지그(500)을 통해 취부하여 용접하는 과정을 통해 해당 트러스 구조물 블록을 제작하고 시공하는 것이다.
이 때 트러스 부재의 그루브 용접부를 임시 연결도록 체결하는 클램핑 수단(5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트러스 부재(100,200,300)의 외경에 밀착되도록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반 원통형 몸체(510)가 구비되고, 그루브 용접부의 루트간격 확인을 위해 반 원통형 몸체(510)에 천공된 구멍이 구비(540)되며,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반 원통형 몸체 원주방향 양단에 볼트/너트(530) 체결을 위한 체결편(520)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반 원통형 몸체로 구성된 한 쌍의 반원형 몸체(510)가 트러스 부재(100,200,300)의 외주면에 밀착되었을 때 체결편(520) 사이에 일정한 간격(s)이 형성되어 볼트/너트(530)의 체결을 통해 클램핑 수단(500)이 트러스 부재(100,200,300)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고 이 가압력을 통해 클램핑 수단의 내경면과 트러스 부재 외경면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해 트러스 부재(100,200,300)와 클램핑 수단(50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2는 일정 길이를 갖는 트러스 구조물 블럭에 대한 가조립 상태도이다.
이렇게 클램핑 수단에 의한 트러스 부재(100,200,300)의 임시 체결을 위해 트러스 부재 외주면에 임시 고정 플레이트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용접이 불필요해 시공이 단순해지며 제작시간 및 시공비가 감소하며 부재에 용접 및 가스 절단, 그리고 그라인딩 작업에 의한 부재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블록의 트러스 구조가 가조립 된 후 용접하고자 하는 파이프 트러스 부재(100,200,300)의 그루브 용접부 주위에 용접용 지그(600)를 설치한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그루브 용접이 수행되는 트러스 부재와 가까운 다른 트러스 부재에 별도의 용접용 지그(600)를 설치하고 두 개의 용접용 지그를 연결편으로 고정한다.
이 때 용접용 지그(600)의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부재(100,200,300)의 외경에 밀착되도록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반 원통형 몸체(610)가 구비되고,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반 원통형 몸체 원주방향 양단에 볼트/너트(630) 체결을 위한 체결편(620)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반 원통형 몸체로 구성된 한 쌍의 반원형 몸체(610)가 트러스 부재(100,200,300)의 외주면에 밀착되었을 때 체결편(620) 사이에 일정한 간격(s)이 형성되어 볼트/너트(630)의 체결을 통해 용접용 지그(600)가 트러스 부재(100,200, 300)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고 가압력을 통해 용접용 지그 내경면과 트러스 부재 외경면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해 트러스 부재(100,200,300)와 용접용 지그(600)사이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반 원통형 몸체(610)에 연결편(700) 지지를 위한 러그(640)가 구비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클램핑 수단(500)에 의해 부재들이 가조립 된 상태에서 용접용 지그(600)를 적용하면 용접 작업 시 그루브 용접부위에 아무런 장애물이 없이 용접이 용이하면서도 루트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하고 용접선을 정밀하게 정렬하는 취부가 가능해 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접 작업 시 용접부 주위에 아무런 장애물이 없기 때문에 가용접(tack welding)과정이 생략되어 용접시간과 비용이 절감되며 가용접 제거에 따른 가우징과 용접면 그라인딩이 불필요하여 용접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용접 작업시 용접부 주위에 용접선 정렬을 위한 치구 등 장애물이 없기 때문에 반자동 용접기의 적용이 용이하여 6G 또는 6GR용접 등의 고난도 용접에서 용접품질 확보가 어렵고 불확실성이 높은 수동용접을 피하고 반자동 용접에 의해 용접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취부작업이 완료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부가 완료된 그루브 용접부를 체결하고 있는 클램핑 수단(500)을 해체하여 제거하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러스 부재의 그루브 용접을 완료한다.
해당 용접부의 용접작업이 완료되면 그림10,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편 타단이 지지된 트러스 부재의 클램핑 수단을 해체 제거하고 클램핑 수단이 제거된 용접선의 그루브 용접을 수행한다.
위의 용접과정을 가조립된 일정 블록의 트러스 구조에 반복하면 해당 블록의 트러스 구조물에 대한 그루브 용접이 완료되는 것이며 가조립/그루브용접으로 수행되는 일련의 과정을 트러스 구조물 전체 블럭에 대해 수행하면 트러스 구조물의 제작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 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파이프 트러스 상현재
200: 파이프 트러스 하현재
300: 파이프 트러스 하현재
401: 그루브 용접선
500: 파이프용 클램핑 수단
600: 파이프 용접용 지그
700: 용접용 지그 연결편

Claims (3)

  1. 상현재, 하현재, 그리고 사재로 구성된 파이프 트러스 구조에서,
    트러스 부재의 그루브 용접 전 일정 길이의 파이프 트러스 블럭이 그루브 용접선에서 파이프 클램핑 수단으로 가조립되며, 가조립 완료 후 그루브 용접 하고자 하는 용접선 가까운 지점에 용접용 지그가 설치되고, 해당 그루브 용접이 수행되는 트러스 부재와 가까운 다른 트러스 부재에 별도의 용접용 지그가 설치되어 양 용접용 지그가 연결편으로 연결된 상태로 용접선이 취부된 상태에서, 용접을 수행할 파이프 클램핑 수단을 제거한 후 해당 용접소에 그루브 용접을 수행하는 가조립을 이용한 파이프 트러스의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조립에 사용되는 파이프 클램핑 수단은 파이프 트러스 부재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반 원통형 몸체가 구비되고, 그루브 용접접부의 루트간격 확인 및 조절을 위해 반 원통형 몸체에 천공된 구멍이 구비되며,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반 원통형 몸체 원주방향 양단에 볼트/너트 체결을 위한 체결편을 포함하며 한 쌍의 반원형 몸체가 파이프 트러스 부재의 외주면에 밀착되었을 때 체결편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볼트/너트의 체결을 통해 파이프 클램핑 수단이 파이프 트러스 부재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고 가압력을 통해 클램핑 수단의 내경면과 파이프 트러스 부재 외경면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조립을 이용한 파이프 트러스의 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용접용 지그는 파이프 트러스 부재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반 원통형 몸체가 구비되고,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반 원통형 몸체 원주방향 양단에 볼트/너트 체결을 위한 체결편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반 원통형 몸체로 구성된 한 쌍의 용접용 지그가 대향되었을 때 체결편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볼트/너트의 체결을 통해 용접용 지그가 파이프 트러스 부재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고 가압력을 통해 용접용 지그의 내경면과 파이프 트러스 부재 외주면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되며 반 원통형 몸체에 연결편 지지를 위한 러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조립을 이용한 파이프 트러스의 시공방법 .
KR1020110106948A 2011-10-19 2011-10-19 가조립을 이용한 파이프 트러스의 시공방법 KR20130042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948A KR20130042837A (ko) 2011-10-19 2011-10-19 가조립을 이용한 파이프 트러스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948A KR20130042837A (ko) 2011-10-19 2011-10-19 가조립을 이용한 파이프 트러스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837A true KR20130042837A (ko) 2013-04-29

Family

ID=48441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948A KR20130042837A (ko) 2011-10-19 2011-10-19 가조립을 이용한 파이프 트러스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2837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0360A (zh) * 2017-09-19 2018-02-16 武船重型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桁架桥节段的拼装方法
CN111005325A (zh) * 2020-01-06 2020-04-14 中铁宝桥集团有限公司 一种钢桁梁桥竖曲线线形放样方法
CN111172889A (zh) * 2020-02-26 2020-05-19 中交二公局第二工程有限公司 一种悬索桥板桁结合梁拼装方法
CN112482578A (zh) * 2020-12-14 2021-03-12 北京市机械施工集团有限公司 采用临时支撑的大跨度转换桁架及其施工方法
CN113123250A (zh) * 2021-05-10 2021-07-16 南通帆森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钢桁梁精准拼装调整装置及拼装施工方法
KR20230093698A (ko) * 2021-12-20 2023-06-2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트러스 방식과 슬라이딩 절점링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조립식 보도 확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보도 확장방법
CN112482578B (zh) * 2020-12-14 2024-05-31 北京市机械施工集团有限公司 采用临时支撑的大跨度转换桁架及其施工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0360A (zh) * 2017-09-19 2018-02-16 武船重型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桁架桥节段的拼装方法
CN111005325A (zh) * 2020-01-06 2020-04-14 中铁宝桥集团有限公司 一种钢桁梁桥竖曲线线形放样方法
CN111005325B (zh) * 2020-01-06 2021-07-23 中铁宝桥集团有限公司 一种钢桁梁桥竖曲线线形放样方法
CN111172889A (zh) * 2020-02-26 2020-05-19 中交二公局第二工程有限公司 一种悬索桥板桁结合梁拼装方法
CN112482578A (zh) * 2020-12-14 2021-03-12 北京市机械施工集团有限公司 采用临时支撑的大跨度转换桁架及其施工方法
CN112482578B (zh) * 2020-12-14 2024-05-31 北京市机械施工集团有限公司 采用临时支撑的大跨度转换桁架及其施工方法
CN113123250A (zh) * 2021-05-10 2021-07-16 南通帆森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钢桁梁精准拼装调整装置及拼装施工方法
KR20230093698A (ko) * 2021-12-20 2023-06-2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트러스 방식과 슬라이딩 절점링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조립식 보도 확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보도 확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2837A (ko) 가조립을 이용한 파이프 트러스의 시공방법
CN104053845A (zh) 支撑构件
CN110671278B (zh) 一种反向平衡法兰节点及其应用方法
CN110778127A (zh) 一种用于多层钢桁架原位拼装提升施工就位对口方法
CN111745316A (zh) 一种钢管对接缝快速定位矫正方法
KR20120121651A (ko) 트러스구조물의 가조립장치 및 가조립장치를 이용한 트러스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419906B1 (ko) 원형강관 대각가새 구조의 시공방법
KR101075011B1 (ko) 클램핑수단을 이용하여 가조립되는 트러스구조물의 시공방법
CN215715990U (zh) 一种c型钢便捷式对接件
KR101004010B1 (ko) 파이프 연결 작업용 클램프
CN116117419A (zh) 一种用于u肋正交异性板组装定位的焊接马板及焊接方法
CN108817720A (zh) 圆管的快速对接装置及其施工方法
JP5948632B1 (ja) 山形鋼鉄塔の主柱材取替え工法
CN213318665U (zh) 一种钢管对接缝快速定位矫正装置
KR20120010430A (ko) 엇이음 연결구를 갖는 파이프 트러스 조인트 유닛구조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트러스교의 가조립과 시공방법
CN113523688A (zh) 行车行走工字形梁的现场焊接工装及其组装焊接方法
CN220636729U (zh) 一种装配式管桁架拼装调节装置
JP6481924B2 (ja) 山形鋼鉄塔の主柱材取替装置および主柱材取替方法
KR101201868B1 (ko) 클램핑수단을 이용하여 가조립된 교량용 트러스구조물 시공방법
KR102055845B1 (ko) 조립식 구조물의 골조 조인트 시스템
CN220666488U (zh) 一种用于钢结构的连接构件
CN110549055B (zh) 钢拱架试拼装模具及连接板精加工方法
CN215432288U (zh) 行车行走工字形梁的现场焊接工装
CN108788618A (zh) 筒体分段的装配工装及装配方法
CN113846751B (zh) 大跨空间结构圆钢管连接装置及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