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2011A - 전이 영역을 가진 조인트용, 특히 등속 조인트용 부트 - Google Patents

전이 영역을 가진 조인트용, 특히 등속 조인트용 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2011A
KR20130042011A KR1020137006160A KR20137006160A KR20130042011A KR 20130042011 A KR20130042011 A KR 20130042011A KR 1020137006160 A KR1020137006160 A KR 1020137006160A KR 20137006160 A KR20137006160 A KR 20137006160A KR 20130042011 A KR20130042011 A KR 20130042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
joint
angle
last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6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1840B1 (ko
Inventor
요아힘 베테
마르쿠스 다이징거
Original Assignee
게케엔 드리펠린 인터나쇼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케엔 드리펠린 인터나쇼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게케엔 드리펠린 인터나쇼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042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2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84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16D3/843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nclosed covers
    • F16D3/845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nclosed covers allowing relative movement of joint parts due to the flexing of the co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3/00Diaphragms; Bellows; Bellows pistons
    • F16J3/04Bell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84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3/00Diaphragms; Bellows; Bellows pistons
    • F16J3/04Bellows
    • F16J3/041Non-metallic bell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aphragms And Bellows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인트용, 특히 등속 조인트용 부트(10)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부트(10)는 제 1 부착 구역(12), 첨단부들(20)과 근부들(22)을 가진 복수 개의 주름들(18)을 가진 주름 구역(16) 및 제 1 부착 구역(12)에 근접하게 배열된 마지막 주름(18.1)에 인접한 전이 영역(24)을 가지고, 여기서 전이 영역(24)은 마지막 주름(18.1)과 전이 부분(50) 사이의 커넥팅 근부(52)를 구비하고, 전이 부분(50)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부착 구역(12)을 향하여 경사진다.

Description

전이 영역을 가진 조인트용, 특히 등속 조인트용 부트{BOOT FOR JOINTS, ESPECIALLY FOR CONSTANT VELOCITY JOINTS, WITH A TRANSITION AREA}
본 발명은 제 1 부착 구역과, 첨단부(peak)들과 근부(root)들을 가지는 복수 개의 주름(fold)들을 가진 주름 구역을 가지는 조인트용, 특히 등속 조인트용 부트, 상기 부트를 구비하는 시스템 및 이러한 부트와 상기 시스템의 등속 조인트에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등속 조인트를 포함하여 특히 조인트 상에 장착된 부트의 기능 및 용도와 관련하여 가장 주요한 특징들 및 문제점들 중 하나가 공간(space)임은 분명하다. 조인트가 특히 30도를 초과하여, 가장 바람직하게는 35도를 초과하여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되거나 구부려진 상태에 있을 때, 내부 영역에는 부트의 주름들이 접혀지고 컨벌루트형 패키지(convolute package)가 형성된다. 상기 컨벌루트형 패키지는 변형이 유발되어서 원치않는 상태로 변형된다. 더욱이 압력이 컨벌루트형 패키지 내의 부트의 주름 구역, 특히 부트의 근부와 첨단부에 유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될 때 변형이 덜 유발되고 압력이 덜 인가되는 주름 구역을 보여줄 수 있는 부트와 이러한 부트를 구비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도입부에 정의된 바와 같이 조인트용, 특히 등속 조인트용 부트에 의해 해결되고, 여기서 부트는 상기 제 1 부착 구역에 가장 근접하게 배열된 마지막 주름에 인접한 전이 영역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이 영역은 상기 마지막 주름과 상기 전이 부분 사이의 커넥팅 근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부의 상기 전이 부분은 상기 제 1 부착 구역을 향하여 경사진다. 실제로는, 본 발명에 따르는 부트가 상기 제 1 부착 구역에 근접하게 배열된 하프 컷(half cut) 최소 주름을 보여준다고 할 수도 있다. 유리하게도 본 발명에 따르는 부트는, 조인트, 특히 등속 조인트 상에 장착될 때,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된(articulated) 상태에서 스택 형태의 컨벌루트형 패키지를 제공하고, 상기 스택은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부트를 가지고 얻을 수 있는 컨벌루트형 패키징들과 비교하면 동종의 기술분야에 속한다. 특히 30도를 초과하는 각도로, 더 바람직하게는 35도를 초과한 각도로,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40도를 초과한 각도로, 스택 형태의 컨벌루트형 패키지는 샤프트의 주축과 대체로 평행하게 배향되고, 청구된 부트의 주름 구역의 주름들의 대부분의 측면부(flank)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접촉하고 또한 전이 영역의 상기 전이 부분을 유지한다. 따라서 컨벌루트형 패키지는 매우 작고, 스택으로서 배향 때문에, 컨벌루트형 패키지 상에 지속되는 하중은 컨벌루트형 패키지 전체에 걸쳐 유리하게 분포된다.
최종적으로 스트레스는 감소한다. 따라서 청구된 부트는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부트와 비교하여 높은 수준의 수명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이 영역의 상기 전이 부분은 상기 부트의 주축 방향의 단면에서 볼록한 형상 또는 대체로 평평한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일부의 전이 부분만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이 부분의 길이의 60퍼센트를 초과한 부분이 상기 제 1 접착 구역을 향하여 경사진 것으로 충분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전이 부분 전체 길이에 대하여 상기 전이 부분은 대체로 평평한 형상이나 볼록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전이 영역의 상기 전이 부분은 상기 커넥팅 근부에 직접 인접하게 배열된다. 상기 커넥팅 근부는 제 1 부착 구역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약간 증가한 높이를 가지는 외부로 만곡된 벽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전이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전이 부분 전체 길이에 걸쳐 이 전이 부분은 상기 제 1 부착 구역을 향하여 경사진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이 부분이 제 2 부착 구역을 향하는 주름의 제 2 측면부들의 기하학적 배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사하며, 부트는 제 2 부착 구역에 의해서 조인트 케이싱 상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팅 근부의 내측면과 전이 영역에 인접한 제 1 부착 구역의 내측 단부를 향하는 라인 및 상기 제 1 부착 구역의 내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라인 사이에 정의된 각도 φ는 약 0도 내지 약 +60도, 바람직하게는 약 +10도 내지 약 +40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도 내지 약 +35도의 범위 내에 있다. 따라서 각도 φ가 0도인 경우라면, 상기 전이 영역의 상기 전이 부분은 부분적으로만 상기 제 1 부착 구역을 향하여 경사진다. 각도 φ가 정확하게 +60도를 초과하는 경우라면,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컨벌루트형 패키지의 최적화되고 감소된 패키징 부피(packaging volume)를 가지는 부트를 제공하는 목적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상기 커넥팅 근부, 아마도 청구된 부트의 주름 구역의 추가적인 근부들 또한 각도 α로 비틀려 있고, 각도 α는 커넥팅 근부를 통과하는 라인과 청구된 부트의 상기 주축 사이에 정의된다. 본 기술분야에서의 공지된 통상의 부트는 근부들에 대한 미장착 상태, 즉 각도 α가 90도인 상태에서 비틀림을 보이지 않는다. 이와 대조적으로, 미장착 상태에서 각도 α를 가진 비틀림은, 컨벌루트형 패키징을 위하여 요구되는 공간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부트가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되는 경우,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될 때 부트 내에서 유발된 스트레스와 압력을 최소화하는데 유리하게 이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팅 근부에 관한 각도 α는, 약 10도 내지 약 50도 사이, 바람직하게는 약 15도 내지 약 40도 사이의 범위 내에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상기 제 2 부착 구역에 인접한 제 1 부트의 각도 α는, 약 70도 내지 약 89도, 바람직하게는 약 75도 내지 약 88도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팅 근부 뿐만 아니라 주름 구역의 주름들 사이의 상기 근부들에 관한 각도 α는 제 1 부착 구역으로부터 부트의 제 2 부착 구역을 향하여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커넥팅 근부와, 상기 제 2 부착 구역에 이웃하는 제 1 근부 사이의 근부들의 각도 α는, 상기 커넥팅 근부에 관한 각도 α보다는 크고 상기 제 1 근부에 관한 각도 α보다는 작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바람직한 실시예는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되지 않은(unarticulated) 상태에서 조인트용, 특히 등속 조인트용 부트에 관하여 상술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는 부트의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된 상태에서는, 추가적인 특이적 특성들이 관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조인트, 특히 등속 조인트용 부트에 관한 것이고, 이 부트는 복수 개의 주름들을 가진 주름 구역을 가지고, 35도를 초과하는 조인트 각도 γ로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내부 영역에는 주름들이 접혀져서 모든 주름들이 스택으로 모아진다. 이와 대조적으로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부트는 35도를 초과하는 조인트 각도 γ로 모든 주름들이 스택으로 모아지는 것을 보여주지 않지만, 대신 컨벌루트형 패키징을 형성하는 다른 주름들로부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주름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또한 전이 영역의 전이 부분은 상기 스택의 일부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택 내에서 모든 주름의 측면부들은 대체로 서로 인접해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서로 함께 대체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배향된" 또는 "인접한" 이라는 용어는 주름들의 측면부들이 서로 직접 접촉한다는 것, 특히 전체 표면에 걸쳐 접촉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측면부들이 서로 대체로 인접하게,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평행하게 배향된다는 것만을 의미한다. 물론 측면부들은 상기 주름들의 상기 측면부들의 표면 일부와 적어도 접촉할 수는 있다. 이러한 면에서 "대체로"라는 용어는, 각각의 주름의 측면부가 거의 동일 직선상에 있는 방식으로 이웃하는 주름의 이웃하는 측면부를 향하여 배향된다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특히 제 2 부착 구역에 이웃하는 최초의 주름의 측면부가, 상기 최초의 주름의 첨단부를 지나는 라인과 제 1 부착 구역의 내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약 50도 내지 약 80도 범위 내의 각도로 비틀려 있는 실시예를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택 형태의 컨벌루트형 패키징은 적어도 한쪽이 기울어진 스택이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청구된 부트는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부착 구역에 가장 근접하게 배열된 마지막 주름에 인접한 상기 전이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전이 영역은 상기 전이 부분을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전이 부분의 적어도 일부의 외측면은 상기 마지막 주름의 제 1 측면부의 적어도 일부의 외측면과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이 부분의 상기 외측면은 상기 마지막 주름의 상기 제 1 측면부의 상기 외측면과 전체 영역에 걸쳐서 접촉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이 부분은 상기 마지막 주름의 상기 제 1 측면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체로 평행하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청구된 부트는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적어도 마지막 주름의 상기 제 1 측면부와 상기 전이 영역의 상기 전이 부분이 부트가 배치가능한 샤프트의 주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최초의 주름의 제 2 측면부 뿐만 아니라 청구된 부트의 주름 구역의 추가적인 주름들의 제 1 및 제 2 측면부들이 상기 샤프트의 상기 주축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조인트 각도 γ가 커질수록, 본 발명에 따르는 부트의 주름 구역의 주름들의 제 1 및 제 2 측면부들은 평행하게 배향된다. 또한 "평행하게 배향된"이라는 용어는 스택에서 모든 주름의 측면부들이 서로 대체로 인접하고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평행하다는 점에서, 스택의 정의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은 주목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면에서 "평행하게 배향된"이라는 용어는 "인접한" 또는 "평행한"이라는 용어뿐만 아니라 상술된 "대체로"라는 용어의 의미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부트는 상기 제 1 부착 구역에 이웃하는 상기 마지막 주름의 상기 마지막 근부의 내측면을 구비하고, 그리고/또는 커넥팅 근부의 내측면은 상기 부트가 배치가능한 조인트 케이싱과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인트 각도 γ가 약 45도 이상인 큰 조인트 각도 γ에서, 상기 커넥팅 근부의 내측면 뿐만 아니라 주름 구역의 상기 마지막 주름의 상기 마지막 근부의 상기 내측면은 상기 부트가 배치가능한 상기 조인트 케이싱과 접촉한다. 다른 조인트 각도 γ, 예컨대 약 39도 내지 약 43도 사이의 범위 내의 조인트 각도 γ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지막 주름의 상기 마지막 근부의 상기 내측면은 상기 조인트 케이싱과 접촉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추가적인 주름의 추가적인 근부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이 조인트 케이싱과 접촉한다.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부트 내의 컨벌루트형 패키징의 스택 사이의 주된 접촉면은 상기 전이 영역의 전이 부분의 내측면에 의해 제공되는 반면, 추가적인 접촉면들은 주름 구역의 주름들의 근부들의 내측면들에 의해서만 제공되고, 바람직하게는 약 40도 이상의 조인트 각도 γ에서 상기 주름 구역의 한 개 또는 두 개의 주름들의 한 개 또는 두 개의 근부들의 오직 한 개 또는 오직 두 개의 내측면들에 의해서만 제공된다. 부트의 상기 접촉면을 통해서 상기 샤프트의 외측면 및/또는 특히 상기 조인트 케이싱의 전면 에지와의 접촉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되지 않은 상태 또는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된 상태에 있는 부트, 샤프트 및 조인트 케이싱을 구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상기 부트는 조인트 케이스 및 샤프트 상에 업세팅가공되어(upset) 장착된다. 업세팅가공하여 장착함으로써, 청구된 시스템에서 부트를 위하여 요구되는 공간을 감소시키는 것이 추가로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르는 설치되지 않은 부트의 길이에 대해 약 10퍼센트 내지 약 35퍼센트의 범위 내에서 업세팅가공되어 장착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청구된 시스템은 상기 시스템의 미장착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의 상기 주축 및 상기 제 1 부착 구역에 가장 근접한 상기 마지막 주름의 첨단부에 의해 정의된 첨단 라인(peak line) 사이에 정의된 각도 β를 제공하고, 각도 β는 약 10도 내지 약 60도의 범위 내,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2도 내지 약 45도의 범위 내에 있다. 청구된 시스템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부착 구역을 향하여 주름 구역의 상기 마지막 주름을 뒤따르는 추가적인 주름들의 각도 β는 상기 마지막 주름의 각도 β 보다 크다. 상기 제 2 부착 구역에 인접한 상기 최초의 주름의 각도 β는 바람직하게는 약 65도 내지 약 92도의 범위 내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70도 내지 약 88도의 범위 내에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부착 구역에 가장 근접한 상기 마지막 주름과 상기 제 2 부착 구역에 인접한 상기 최초의 주름 사이의 주름들에 관한 각도 β는 마지막 주름으로부터 최초의 주름까지 증가한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등속 조인트에서의 상술한 바와 같이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된 상태나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부트의 용도 뿐만 아니라, 등속 조인트 내에서의 상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이나 특징은, 실시예로써 본 발명의 특징을 도시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는다면, 본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출원의 등속 조인트용 부트 및 부트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하여,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될 때 변형이 덜 유발되고 압력이 덜 인가되는 주름 구역을 보여줄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완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의 도면으로 더 상세하게 설명되고 본 발명의 예시로써 아래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부트를 구비하는 시스템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기술분야에 따르는 부트의 상부의 미장착 상태에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기술분야에 따르는 부트의 상부의 장착 상태에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부트의 상부의 미장착 상태에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르는 부트의 상부의 장착 상태에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따르는 부트(10)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르는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7a와 도 7b에는 도 6과 도 1에 따르는 시스템이 40도의 조인트 각도 γ로 구부려진 상태에서 도시된다.
도 8a와 도 8b에는 도 6과 도 1에 따르는 시스템이 47도의 조인트 각도 γ로 구부려진 상태에서 도시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부트의 추가 실시예의 상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르는 부트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조인트, 특히 등속 조인트용 부트에 대하여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등속 조인트 이외에 다른 고정가능한 실링 적용예에 적합하도록 구성되고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는 부트는 컨벌루트형 부트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임의의 다른 기계 형태의 부품들도 역시 본 발명에 따르는 부트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부트는 보통 2 개의 접착 구역을 보여준다. 부트가 샤프트와 조인트 케이싱 상에 고정되도록 설계된 경우, 제 1 부착 구역은 샤프트에 배정되는 반면, 제 2 부착 구역은 본 발명의 사상에서 조인트 케이싱에 배정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특히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로 "좌", "우", "내부", "외부", "옆의", "가장 근접한", "뒤따르는", "이웃하는" 및 이와 유사한 것들이 사용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구성요소나 실시예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대한 참조용으로써 사용된다는 점은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어떤 부품이 취해야만 하는 공간에서의 절대 위치, 예컨대 상향, 하향, 좌, 우 등을 필수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다음의 설명에서, 여러 가지 작동 및 수치 파라미터들과 구성요소들은 몇몇 구성된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된다. 이러한 특정 파라미터와 구성요소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청구된 파라미터들과 구성요소들을 제외하고는, 예시로서 포함되는 것이지 이에 제한되게 의도된 것은 아니다.
더욱이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은 명확히 지적되어야 한다. 대신, 도면의 설명을 포함하여 상세한 설명에 개별적으로 개시된 구성들은 도면에 특정된 그러한 구성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특허청구범위 내에 통합된 참조 기호들이,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의도되지 않고, 오히려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단지 참조한다는 점은 유의하여야 한다. 더욱이 도 1 내지 도 9에 따르는 부트(100)의 실시예는, 특히 거기에 제공된 환형 주름들의 수와 관련하여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를 구성한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주름들은 주름 구역(16)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도면을 설명할 때 동일한 참조 기호들은 동일한 부재를 위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각도 φ"라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부트에 관하여, 각도 φ는 커넥팅 근부의 내측면과 상기 전이 영역에 인접한 상기 제 1 부착 구역의 내측 단부를 지나는 라인(58)(도 4 참조)과 상기 제 1 부착 구역의 내측면에 의해 형성된 라인(56) 사이에 정의된다. 따라서 라인(58)은 커넥팅 근부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부착 구역의 내측 단부에 대한 접선이다. 반면에, 라인(56)은 부트의 주축(26)에 대해 거의 동일 직선상에 있는 상기 제 1 부착 구역의 내측면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부트에 대하여 각도 φ의 정의와는 대조적으로, 본 기술분야에 따르는 부트를 위한 각도 φ는 다른 방식으로 정의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르는 부트의 전이 영역(24)이 본 발명에 따르는 부트의 마지막 주름(18.1)의 제 2(우) 측면부(29.1)와 유사한 것으로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도 2 참조). 따라서 본 기술분야에 따르는 부트에서, 라인(56)이 동일한 방식으로 정의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부트를 위하여 정의된 각도 φ와 비교하면, 라인(58)은 마지막 주름(18.1)의 마지막 근부(22.1)의 내측면(23.1) 뿐만 아니라 마지막 주름(18.1)의 마지막 첨단부(20.1)에 의해 정의된다. 따라서 라인(58)은, 상기 마지막 주름(18.1)의 상기 마지막 첨단부(20.1)에 의해 정의된 분기점을 통과하는 것과 같이, 마지막 근부(22.1)와 첨단부(20.1)에 대한 접선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부트 뿐만 아니라 본 기술분야에 따르는 부트에 대한 각도 φ의 정의로부터, 각도 φ의 기호가 다르다는 점은 상당히 분명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각도 φ는 본 발명에 따르는 부트에 대하여 "+"로 지정되는 반면, 본 기술분야에 따르는 부트에 대하여는 음의 값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조인트 각도 γ"라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시스템의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조인트 각도 γ는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92)의 주축(94.1)과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된 상태의 상기 샤프트의 주축(94.2)에 의하여 정의된다. 이는 또한 본 발명의 도 7a 또는 도 8b로부터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각도 α"라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한다. 각도 α는 커넥팅 근부나 주름 구역 내의 주름들의 임의의 다른 근부를 통과하고 또한 종래 기술에 따라 부트의 주름 구역 내의 주름의 근부들을 통과하는 라인(62)과 부트의 상기 주축(26) 사이에 정의된다. 본 기술분야에 따르는 부트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는 부트에 대한 각도 α의 정의는 또한 본 발명의 도 2 내지 도 4로부터 유추될 수 있다. 라인(62)은 각각의 경우에 대칭적으로 커넥팅 근부나 임의의 다른 근부를 나누고 있다. 본 기술분야에 따르는 근부에 대하여 각도 α는 미장착 상태에서 항상 90도인 반면, 장착 상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부트들은 주름 구역 내의 일부 근부에 대하여 약 80도 내지 약 89도 사이의 각도 α를 보인다. 이와 대조적으로, 이미 미장착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부트의 커넥팅 근부를 포함하는 모든 근부에 관한 각도 α는 90도 보다 작은 각도를 보인다.
본 발명에서, "각도 β"라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한다. 각도 β는 본 발명에 따라 청구된 시스템의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의 상기 주축(94)과 제 1 부착 구역에 가장 근접한 상기 마지막 주름의 첨단부에 의해 정의된 첨단 라인(64) 사이에 정의된다. 따라서 각각의 경우에 각도 β는 장착된 부트에 관한 것이나,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부트에 관련된다. 라인(64)은 상기 마지막 주름의 첨단부를 통과하여서 상기 마지막 주름(18.1)의 분기점을 통과한다. 더욱이 유사한 각도 β는 본 발명에 따르는 부트의 주름 구역의 추가 주름들에 대하여 얻을 수 있다.
부트들은 통상적으로, 예컨대 폴리우레탄(TPU), 폴리아미드(TPA), 폴리올레핀(TPO), 폴리에스테르(TPEE)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가황물(TPV), 또는 열가소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엘라스토머(TEEE)에 기초하여 열탄성 플라스토머 재료의 혼합물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부트의 재료나 혼합물은 다른 물질, 특히 확산-촉진 혼합물 또는 본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당해 부트의 용도의 관점에서, 특히 부트가 자동차에 사용되는 경우 자동차 산업의 요구의 관점에서 인식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첨가물과 같은 첨가물을 더 구비하거나 이 첨가물로 제조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는 부트 역시 그 혼합물을 포함하여 통상의 고무-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재료는, 2 개의 상이한 폴리머 세그먼트, 즉 상대적으로 강성인 수지부와 탄성인 연질부를 가지는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재료를 포함한다. 각각의 폴리머 세그먼트는 유사 단위체의 더 긴 체인으로 구성된다. 수지부들은 물리적인 네트워크 유사 결합에 의해 연질부들을 함께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부트를 제조하기 위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는 듀퐁사의 상표명 "하이트렐(Hytrel)"로 표시된 열가소성 재료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부트의 상기 제 1 및/또는 상기 제 2 부착 구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엘라스토머 재료로 제조된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와 대조적으로, 엘라스토머 재료는 감소된, 소위 "냉간 유동"이 고정 요소 아래에 위치하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이 냉간 유동은, 부트가 작동 동안 부분적으로 열 응력을 받고 있는 경우, 클램핑 또는 압축 스트레스를 받을 때 상기 제 1 부착 구역 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부착 구역 내의 플라스틱 재료가 패스너로부터 실제로 "새어나오는(escape)" 현상으로 이해되며, 그 결과 부트가 작동 동안, 특히 열응력하에서 헐거워질 수 있다. 상기 제 1 및/또는 상기 제 2 부착 구역의 다른 구역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동일한 이점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의 층이 엘라스토머 재료 아래에 놓여 지는 경우에 달성될 수 있다. 가능한 엘라스토머 재료는, 예컨대 폴리우레탄 고무, 폴리에스테르 기재 폴리우레탄/고무 혼합물 또는 폴리클로로프렌을 포함한다.
부트의 상기 제 1 부착 구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로된 층이나 엘라스토머 재료로 된 층으로 유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최대 한도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를 칼라의 클램핑 구역에서 사용하는 공지된 단점을 회피한다. 또한 엘라스토머 재료로 구성된 층이 고정 장치에 영구적으로 일체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부트가 제조될 수 있는 방법으로서, 프레스블로어 주입식 취입 성형 공정(pressblower injection blow mouling process)이 바람직하지만, 부트는 주입/침입 공정(injection/intrusion process), 주입식 성형 공정(injection moulding process), 주입/가압 공정(injection/pressing process) 및/또는 압출/취입 성형 공정(extrusion/blow moulding process)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프레스블로어 주입식 취입 성형 공정 및 주입/압출 공정은 유리하게 사용되는데, 이는 정밀한 치수의 부트가 상기 공정에 의해 생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부착 구역은 부트가 부착될 시스템의 필요성에 대하여 어떠한 가능한 방식으로도 구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부착 구역은 바인더 시트 구역을 구비한다. 상기 바인더 시트 구역에서, 바인더 요소는 부트를 어떠한 가능한 기계 부품들, 특히 샤프트와 조인트 케이싱에 고정시키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바인더 요소는, 클램핑 요소, 특히 클램핑 스트랩 뿐만 아니라 클램프나 압축링과 같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각종 패스너로부터 선정될 수 있다. 유용한 패스너는 클램핑력 및/또는 압축력을 부트의 바인더 시트 구역에 작용시킨다. 더욱이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부착 구역은 가능한 클램핑 요소를 향하여 배향된 바인더 시트 구역 내에 위치된 슬릿들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제 1 및/또는 제 2 부착 구역의 상기 내측면 상에는, 특히 슬릿들이 바인더 시트 구역에 있을 때, 환형 비드가 위치될 수 있다. 환형 비드들과 슬릿들은 서로에 대해 특별하게 배향될 수 있다. 슬릿들 및/또는 환형 비드들은 상이한 깊이 및/또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 1 및/또는 상기 제 2 부착 구역의 실시예는 서로 상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단면도에서 제 1 및/또는 제 2 부착 구역의 내측면 상에 위치된 환형 비드는 삼각형이나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또한 임의의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부착 구역은,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부착 구역의 외측 부분과 서로 대향하는 부트의 단부들에만 제공되는, 링 요소나 몇몇 차단 요소의 형태의 배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향 수단은, 바인더 시트 구역을 형성하는데 유용하고, 부트가 장착될 때 바인더 요소가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부착 구역으로부터 측하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용하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된 모든 도면들이 실제치수라는 점, 즉 모든 각도 α,β,γ 또는 φ가 본 발명의 도면으로부터 직접 측정가능하다는 점을 무엇보다도 우선 밝힌다.
도 1에는 샤프트(92)와 조인트 케이싱(90) 상에 장착된 부트(10)를 가진 종래 기술에 따르는 시스템이 도시되고, 시스템(100)은 제 1 부착 구역(12) 및 제 2 부착 구역(14) 내의 바인더 요소에 의해서 형성되며, 바인더 요소는 도시되지 않는다. 부트(10)는 5 개의 주름들(18.1 내지 18.5)을 가진 주름 구역(16)을 가지고 있다. 주름들(18.1 내지 18.5)은 첨단부들(20.1 내지 20.5)과 첨단부들(20.1 내지 20.5) 사이의 근부(22.1 내지 22.4)를 보여준다.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따르는 추가적인 부트의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고, 부트는 도 1에 도시된 부트(10)와 유사하지만, 제 2 부착 구역(14) 내의 슬릿(36)과 슬릿(36)을 향하여 배향된 환형 비드(35)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 2 부착 구역(14)은, 한 개의 슬릿(36)과 한 개의 대응하는 환형 비드(35)를 가지고 있고, 미 도시된 바인더 요소를 위한 제 2 바인더 시트 구역(31)을 제공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제 1 부착 구역(12)은 중심방향으로 위치된 한 개의 환형 비드(34)가 중앙에 배치된 내측면(44)만을 제공하는 제 1 바인더 시트 구역(30)을 제공한다. 도 2에 따르는 부트(10)는 미장착되고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된다. 상기 제 1 부착 구역(12)의 내측면(44)을 통과하는 라인(56)은, 마지막 근부(22.1)의 내측면(23.1) 및 부트(10)의 마지막 주름(18.1)의 첨단부(20.1)를 통과하는 라인(58)과 함께 ―28도의 각도 φ를 정의한다. 더욱이 부트(10)의 주축(26)과, 주름 구역(16)에서 이웃하는 주름들의 2 개의 첨단부 사이의 근부를 통과하는 라인(62) 사이의 각도 α가 상기 부트(10)의 모든 근부들(22)에 대해 90도라는 점은 도 2로부터 유추할 수 있다.
도 3은 본 기술분야에 따르는 부트의 상반부의 부분 단면도인데, 현재 장착 되어 있지만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미 도시된 시스템(100)의 부분인 부트(10)는 세부적으로는(이러한 점에 대해서는 도 1 참조) 도 1의 부트(10)에 일치한다. 특히 제 1 부착 구역(12)과 제 2 부착 구역(14)은 본 발명의 도 2에서 본 기술분야에 따르는 부트와 비교하여 상이하게 구체화된다. 제 1 부착 구역(12)은 배향 수단(38)의 측벽(40)을 제공하고, 나아가 측벽(42)은 또한 미 도시된 바인더 요소를 위한 배향 수단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제 2 부착 구역(14)은 배향 수단(39)의 측벽(41)뿐만 아니라 제 2 부착 구역(14)의 추가적인 측벽(43)을 제공하여서, 미 도시된 추가적인 바인더 요소를 위한 배향 수단을 또한 제공한다.
도 3에 따르는 부트(10)는 화살표(66) 방향에서 바라볼 때 도 3에 미 도시된 조인트 케이싱 내의 샤프트에 업세팅가공되어 장착된다. 업세팅가공하여 장착함으로써, 첨단부들(20) 사이의 일부 근부들(22)은 부트의 주축(26) 또는 도 3에 미 도시된 샤프트의 주축(94)에 대하여 약간 비틀려 있다. 도 3으로부터 유추할 수 있듯이, 첨단부들(20.1, 20.2) 사이의 근부(22.1)에 대하여 라인(62.1)에 의해 정의된 각도 α1은 약 85도인 반면, 제 3 근부(22.3)와 관련되고 라인(62.2)에 의해 정의된 각도 α2는 다시 약 90도이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르는 부트(10)의 상부의 부분 단면이 도시된다. 제 1 부착 구역(12)과 제 2 부착 구역(14)은 본 기술분야에 따르는 부트의 제 1 부착 구역(12) 및 제 2 부착 구역(14)과 유사하게 도 3에 따라서 구체화된다. 도 3에는 본 기술분야에 따르는 상기 부트(10)와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부트(10)는 전이 부분(50)과 마지막 주름(18.1) 사이의 커넥팅 근부(52)를 구비하는 전이 영역(24)을 보여준다. 커넥팅 근부(52)의 내측면(53)과 제 1 부착 구역(12)의 내측 단부(46)에 의하여 정의된 라인(58) 뿐만 아니라 제 1 부착 구역(12)의 내측면(44)에 의해 정의된 라인(56)은 약 +24도의 각도 φ를 정의한다. 더욱이 미장착되고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되지 않은 상태의 도 4의 부트(10)는 상기 부트(10)의 주축(26)과 커넥팅 근부(52)를 통과하는 라인(62.1) 사이에서 약 48도의 각도 α1을 제공한다. 더욱이 상기 주축(26)과 근부(22.4)를 통과하는 추가 라인(62.2) 사이의 각도 α2는 약 86도이다. 따라서 이 각도 α는 본 발명에 따르는 부트(10)에서 각도 α1으로부터 각도 α2까지 증가하고 있다.
도 5에는 장착되어 있지만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도 4의 부트(10)가 도시된다. 부트(10)는, 시스템(100)을 형성하나 여기에 미 도시된 샤프트와 조인트 케이싱 상에 화살표(66) 방향으로 업세팅가공되어 장착된다. 전이 부분(50)은 단면도에서 단면에서 볼록한 형상과 같은 형상을 가지고 외측면(51)을 제공한다. 마지막 주름(18.1)은 외측면(60)을 가진 제 1 측면부(28.1)를 제공한다. 부트(10)의 상기 주축(26) 또는 미 도시된 상기 샤프트의 주축(94)과, 상기 마지막 주름(18.1)의 첨단부(20.1)를 통과하는 라인(64)에 의해 정의된 각도 β는 약 36도이다. 하지만 근부(22.3)를 통과하는 추가 라인(64)에 의해 정의되고 도 5에 미 도시된 각도 β는 약 68도이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시스템(100)이 도시되고, 시스템(100)은, 샤프트(92)와 조인트 케이싱(94) 상에 업세팅가공되어 장착된, 도 4와 도 5에 따르는 부트(10)를 구비한다. 샤프트(92)는 주축(94)을 정의하고, 부트(10)는 주축(26)을 정의한다.
도 7a에는 40도의 조인트 각도 γ에 있는 도 6에 따르는 시스템이 도시된다. 내부 영역(80) 상에서, 스택(82)은 부트(10)의 주름 구역(16)의 주름들(18)뿐만 아니라 전이 영역(24)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외측면(51)을 가진 전이 부분(50)은 마지막 주름(18.1)의 제 1 측면부(28.1)의 외측면(60)과 전체 길이에 걸쳐서 직접 접촉한다. 부트(10)의 근부들 중 2 개의 내측면은 조인트 케이싱(92)의 전면 에지와 직접 접촉하는데 반해, 제 2 부착 구역(14)에 이웃하는 마지막 2 개의 근부는 조인트 케이싱(90)과 직접 접촉하지 않지만 조인트 케이싱(90)과 거의 접촉한다. 제 1 측면부(28)와 제 2 측면부(29)는, 도 2 및 도 4에 형성된 것과 같이, 대체로 인접하게, 보다 정확하게는 대체로 서로 평행하게 어느 정도 배향된다. 더욱이 주름들(18)뿐만 아니라 전이 부분(50)은 샤프트(92)의 구부려진 주축(94.2)과 거의 평행하게 배향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도 7b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르는 부트(10)를 가진 시스템(100)에서 조인트 각이 40도인 상태가 도시된다. 내부 영역(80)에서, 스택은 모든 주름들에 의해서 형성되지 않고, 특히 마지막 주름(18.1)은 스택의 일부가 아니다. 나아가 주름들은 샤프트(92)의 주축(94.2)에 대해 대체로 수직하여 배향된다. 나아가 주름 구역(16) 내의 주름들의 근부들은 조인트 케이싱(90)과 접촉하지 않지만, 대신에 조인트 케이싱(90)은 제 2 부착 구역(14)에 인접한 최초의 주름의 측면부의 내측면의 일부와 맞닿는다.
도 8a와 도 8b는 도 7a와 도 7b에 유사하지만, 조인트 각도 γ는 여기서 47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시스템(100)에 대하여 모든 주름들은 상기 내부 영역(80)에 스택(82)으로 모아지고, 근부들의 모든 측면부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접촉한다. 더욱이 커넥팅 근부(52)의 내측면(53)은 또한 조인트 케이싱(90)의 전면 에지와 접촉한다. 커넥팅 근부(52)의 내측면(53)은 또한 마지막 주름(18.1)의 근부(22.1)에 대하여 유지된다. 추가적인 근부, 특히 근부(22.4)는 상기 조인트 케이싱(90)과 함께 내측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도 8b에는 본 기술분야에 따르는 부트(100)를 가진 시스템(100)의 상태가 도시되고 이 상태는 도 7b에 도시된 상태와 거의 유사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부트의 추가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9는, 제 1 부착 구역(12)과 제 2 부착 구역(14)을 가진 미장착되고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부트(10)의 상부의 부분 단면도이고, 제 2 부착 구역은 2 개의 슬릿 및 상기 제 2 부착 구역(14)의 내측면 상의 대응하게 배열된 환형 비드를 가진다. 상기 부트(10)의 상기 전이 영역(2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이 영역(24)과 유사하지만, 전이 부분(50)은 평평한 형상을 가지고 볼록한 형상을 가지지 않는다. 전이 부분(50)은 커넥팅 근부(52)와 상기 제 1 부착 구역(12)의 측벽(42) 사이에서 커넥팅 근부(52)로부터 제 1 부착 구역(12)으로 경사진다.
도 10은 도 9에 따르는 부트(10)의 측면도이고, 전이 영역(24)의 특히 경사진 전이 부분(50)이 유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결과적으로 부트와 시스템을 제공하고, 시스템은, 부트의 제 1 부착 구역 근처의 전이 영역의 제공을 통하여, 특히 샤프트 상의 부착을 위하여, 큰 조인트 각도 γ로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된 상태에 있는 등속 조인트 상에 장착된 부트의 내부 영역 상에 특히 제공되는 공간의 최소화를 허용한다.
본 발명의 부트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와 관련되어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개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참착하여 첨부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발명의 정신 범위 내의 모든 대안, 변경 및 균등물을 포함한다.

Claims (17)

  1. 조인트용, 특히 등속 조인트용 부트(10)로서,
    제 1 부착 구역(12), 첨단부들(20)과 근부들(22)을 가진 복수 개의 주름들(18)을 가진 주름 구역(16) 및 상기 제 1 부착 구역(12)에 가장 근접하게 배열된 마지막 주름(18.1)에 인접한 전이 영역(24)을 가지고, 상기 전이 영역(24)은 상기 마지막 주름(18.1)과 전이 부분(50) 사이의 커넥팅 근부(52)를 구비하고,
    상기 전이 부분(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부착 구역(12)을 향하여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용 부트(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부분(50)은 상기 부트(10)의 주축(26) 방향의 단면에서 볼록한 형상 또는 대체로 평평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용 부트(1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근부(52)의 내측면(53)과 상기 전이 영역(24)에 인접한 상기 제 1 부착 구역(12)의 내측 단부(46)를 향하는 라인(58)과, 상기 제 1 부착 구역(12)의 내측면(44)에 의해 형성된 라인(56) 사이에 정의된 각도 φ는 약 0도 내지 약 +60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용 부트(10).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커넥팅 근부(52)는 각도 α로 비틀려 있고, 상기 각도 α는 커넥팅 근부(52)를 통과하는 라인(62)과 부트(10)의 상기 주축(26)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용 부트(1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근부(52) 뿐만 아니라 상기 근부(22)에 관한 각도 α는 제 1 부착 구역(12)으로부터 부트(10)의 제 2 부착 구역(14)을 향하여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용 부트(10).
  6. 조인트용, 특히 등속 조인트용 부트(10)로서,
    복수 개의 주름들(18)을 가진 주름 구역(16)을 가지고.
    35도를 초과하는 조인트 각도 γ로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내부 영역(80)에는 주름들(18)이 접혀져서 모든 주름들(18)이 스택(82)으로 모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용 부트(10).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82)에서 모든 주름(18)의 측면부들(28, 29)은 대체로 서로 인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용 부트(10).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트는 제 1 부착 구역(12)에 가장 근접하게 배열된 마지막 주름(18.1)에 인접한 전이 영역(24)을 구비하고, 상기 전이 영역(24)은 전이 부분(50)을 구비하고,
    상기 전이 부분(50)의 외측면(5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마지막 주름(18.1)의 제 1 측면부(28.1)의 적어도 일부의 외측면(60)과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용 부트(10).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부분(50)은 상기 마지막 주름(18.1)의 상기 제 1 측면부(28.1)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체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용 부트(10).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영역(24)은 상기 스택(82)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용 부트(10).
  11.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지막 주름(18.1)의 상기 제 1 측면부(28.1)와 상기 전이 영역(24)의 상기 전이 부분(50)은 적어도 상기 부트(10)가 배치가능한 샤프트(92)의 주축(94)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용 부트(10).
  12. 제 6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지막 주름(18.1)의 마지막 근부(22.1)의 내측면(61) 및/또는 커넥팅 근부(52)의 내측면(53)은 상기 부트(10)가 배치가능한 조인트 케이싱(90)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용 부트(10).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트(10), 샤프트(92) 및 조인트 케이싱(90)을 구비하고, 상기 부트(10)는 상기 샤프트(92)와 상기 조인트 케이싱(90) 상에 업세팅가공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100).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100)의 관절이 형성되게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92)의 상기 주축(94)과, 상기 제 1 부착 구역(12)에 가장 근접한 상기 마지막 주름(18.1)의 첨단부(20)에 의해 정의된 첨단 라인(64) 사이에 정의된 각도 β는 약 10도 내지 약 60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100).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구역(16)의 추가적인 주름들(18)의 각도 β는 상기 마지막 주름(18.1)의 각도 β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100).
  16.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트의 등속 조인트에서의 용도.
  17.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스템의 등속 조인트에서의 용도.
KR1020137006160A 2010-08-24 2010-08-24 전이 영역을 가진 조인트용, 특히 등속 조인트용 부트 KR1014518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0/005170 WO2012025129A1 (en) 2010-08-24 2010-08-24 Boot for joints, especially for constant velocity joints, with a transition are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011A true KR20130042011A (ko) 2013-04-25
KR101451840B1 KR101451840B1 (ko) 2014-10-16

Family

ID=43919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6160A KR101451840B1 (ko) 2010-08-24 2010-08-24 전이 영역을 가진 조인트용, 특히 등속 조인트용 부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747239B2 (ko)
EP (2) EP2743530B1 (ko)
KR (1) KR101451840B1 (ko)
CN (1) CN103080582B (ko)
MX (1) MX2013001761A (ko)
WO (1) WO20120251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91160B1 (en) 2011-12-16 2022-03-02 ModernaTX, Inc. Modified mrna compositions
US10524495B2 (en) * 2014-07-22 2020-01-07 Nuc Electronics Co., Ltd. Juice extraction module for juice
WO2018213789A1 (en) 2017-05-18 2018-11-22 Modernatx, Inc. Modified messenger rna comprising functional rna elements
US20200208152A1 (en) 2017-09-08 2020-07-02 Mina Therapeutics Limited Stabilized sarna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MA50802A (fr) 2017-11-22 2020-09-30 Modernatx Inc Polynucléotides codant pour des sous-unités alpha et bêta de propionyl-coa carboxylase pour le traitement de l'acidémie propionique
WO2019136241A1 (en) 2018-01-05 2019-07-11 Modernatx, Inc. Polynucleotides encoding anti-chikungunya virus antibodies
WO2019197845A1 (en) 2018-04-12 2019-10-17 Mina Therapeutics Limited Sirt1-sarna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20220184185A1 (en) 2018-07-25 2022-06-16 Modernatx, Inc. Mrna based enzyme replacement therapy combined with a pharmacological chaperone for the treatment of lysosomal storage disorders
JP2021534101A (ja) 2018-08-09 2021-12-09 ヴェルソー セラピュー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Ccr2及びcsf1rを標的とするためのオリゴヌクレオチド組成物ならびにその使用
US20220243182A1 (en) 2018-09-13 2022-08-04 Modernatx, Inc. Polynucleotides encoding branched-chain alpha-ketoacid dehydrogenase complex e1-alpha, e1-beta, and e2 subunits for the treatment of maple syrup urine disease
CA3112398A1 (en) 2018-09-14 2020-03-19 Modernatx, Inc. Polynucleotides encoding uridine diphosphate glycosyltransferase 1 family, polypeptide a1 for the treatment of crigler-najjar syndrome
WO2020069169A1 (en) 2018-09-27 2020-04-02 Modernatx, Inc. Polynucleotides encoding arginase 1 for the treatment of arginase deficiency
US20220211740A1 (en) 2019-04-12 2022-07-07 Mina Therapeutics Limited Sirt1-sarna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EP3965797A1 (en) 2019-05-08 2022-03-16 AstraZeneca AB Compositions for skin and woun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A3199784A1 (en) 2020-11-13 2022-05-19 Modernatx, Inc. Polynucleotides encoding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for the treatment of cystic fibrosis
WO2022204371A1 (en) 2021-03-24 2022-09-29 Modernatx, Inc. Lipid nanoparticles containing polynucleotides encoding glucose-6-phosphatase and uses thereof
WO2022204390A1 (en) 2021-03-24 2022-09-29 Modernatx, Inc. Lipid nanoparticles containing polynucleotides encoding phenylalanine hydroxylase and uses thereof
US20240175033A1 (en) 2021-03-26 2024-05-30 Mina Therapeutics Limited TMEM173 saRNA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EP4355882A2 (en) 2021-06-15 2024-04-24 Modernatx, Inc. Engineered polynucleotides for cell-type or microenvironment-specific expression
WO2022271776A1 (en) 2021-06-22 2022-12-29 Modernatx, Inc. Polynucleotides encoding uridine diphosphate glycosyltransferase 1 family, polypeptide a1 for the treatment of crigler-najjar syndrome
WO2023056044A1 (en) 2021-10-01 2023-04-06 Modernatx, Inc. Polynucleotides encoding relaxin for the treatment of fibrosis and/or cardiovascular disease
WO2023170435A1 (en) 2022-03-07 2023-09-14 Mina Therapeutics Limited Il10 sarna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289B2 (ja) * 1978-08-25 1984-04-20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自在継手用ブ−ツの構造
GB2232729B (en) * 1989-06-14 1993-01-20 Philip Fields Hayward Protective gaiters for joints
GB2245665A (en) * 1990-06-30 1992-01-08 Draftex Ind Ltd Flexible protective bellows.
JP3309227B2 (ja) * 1991-12-27 2002-07-29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ブーツ
EP0990810B1 (en) * 1998-10-02 2003-05-02 Hans Oetiker AG Maschinen- und Apparatefabrik Bellows-type cover member
JP2002295509A (ja) * 2001-03-29 2002-10-09 Toyoda Gosei Co Ltd 等速ジョイント用ブーツ
DE10322902B4 (de) 2003-05-21 2010-09-09 Gkn Driveline International Gmbh Faltenbalganordnung
JP2005180526A (ja) * 2003-12-18 2005-07-07 Fukoku Co Ltd 等速ジョイント用ブーツ
JP4339144B2 (ja) * 2004-02-12 2009-10-07 Ntn株式会社 固定型等速自在継手
US20050236779A1 (en) * 2004-04-22 2005-10-27 Bao Jie You Dust-proof cover of transmission shaft
JP2007064422A (ja) * 2005-09-01 2007-03-15 Honda Motor Co Ltd 継手構造
JP4716117B2 (ja) * 2006-03-27 2011-07-06 豊田合成株式会社 等速ジョイント用ブーツ
EP1906040B1 (en) * 2006-09-29 2011-06-22 Jtekt Corporation Cross groove type constant velocity joint
EP2068026B1 (en) * 2006-10-12 2013-10-09 JTEKT Corporation Boot for constant velocity joint and cross group-type constant velocity joint
WO2008058559A1 (de) * 2006-11-16 2008-05-22 Gkn Driveline International Gmbh Faltenbalg zur abdichtung eines ringspaltes
JP4993285B2 (ja) * 2007-03-29 2012-08-08 豊田合成株式会社 等速ジョイント用ブーツ
JP2008261446A (ja) * 2007-04-13 2008-10-30 Ntn Corp 等速自在継手用ブーツ及び等速自在継手
ATE548577T1 (de) * 2007-12-12 2012-03-15 Gkn Driveline Int Gmbh Dichtbalg
JP5188897B2 (ja) * 2008-07-08 2013-04-24 Ntn株式会社 等速自在継手用ブーツおよび等速自在継手
JP5623010B2 (ja) * 2008-07-30 2014-11-12 Ntn株式会社 等速自在継手
CN102209862B (zh) * 2008-09-12 2014-12-03 Gkn动力传动系统国际有限责任公司 包括具有至少两个周向外侧肋的附接区域的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09344B1 (en) 2014-05-07
US20130172089A1 (en) 2013-07-04
KR101451840B1 (ko) 2014-10-16
EP2743530A1 (en) 2014-06-18
CN103080582A (zh) 2013-05-01
US20140243105A1 (en) 2014-08-28
EP2609344A1 (en) 2013-07-03
US9353799B2 (en) 2016-05-31
MX2013001761A (es) 2013-04-11
US8747239B2 (en) 2014-06-10
EP2743530B1 (en) 2019-11-27
WO2012025129A1 (en) 2012-03-01
CN103080582B (zh)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2011A (ko) 전이 영역을 가진 조인트용, 특히 등속 조인트용 부트
KR100789458B1 (ko)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커플링
US20110132677A1 (en) Air guide plate for automobile and sealing structure
JP4674205B2 (ja) 接合されたptfeラジアルシャフトシール
EP1975475B1 (en) Boot for constant-velocity universal joint
KR101204698B1 (ko) 부트 장치
US8096889B2 (en) Boot comprising an attachment region with at least three circumferential outside ribs
JP4857184B2 (ja) 可撓性セラミックスホース
CN105299076B (zh) 用于万向节特别是用于等速万向节的具有过渡区域的罩
US8740713B2 (en) Folding bellows arrangement for a tripod joint unit
WO2010028670A1 (en) Boot comprising an attachment region with circumferential ribs of a different inner diameter
US20020182356A1 (en) Tube for transporting a coolant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2039450A (ja) 蛇腹付ホース
WO2010028669A1 (en) Boot with rib elements
CN113167384B (zh) 波纹管
JP6938243B2 (ja) 配管接続構造
KR102328153B1 (ko) 가열 및 에어컨 시스템용 유체 도관
RU2281423C2 (ru) Защитный чехол из термоэластопласта для шарнира
JP6910587B2 (ja) 管継手
KR101579602B1 (ko) 차량용 조향시스템의 벨로우즈 구조
JP6293185B2 (ja) 電気掃除機用ホースの接続方法
KR950009041A (ko) 주름식 부트
JPH11193867A (ja) ポリエステル系樹脂製の広角度対応ジョイントブーツ
JP2000145961A (ja) ポリエステル系樹脂製の広角度対応ジョイントブ―ツ
JP2002228016A (ja) ポリエステル系樹脂製の広角度対応ジョイントブー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