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1788A -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1788A
KR20130041788A KR1020127027197A KR20127027197A KR20130041788A KR 20130041788 A KR20130041788 A KR 20130041788A KR 1020127027197 A KR1020127027197 A KR 1020127027197A KR 20127027197 A KR20127027197 A KR 20127027197A KR 20130041788 A KR20130041788 A KR 20130041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e
oil
water
ether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7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5632B1 (ko
Inventor
유코 나가레
카즈히로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30041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66Triazin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Abstract

용해도가 낮은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또한 안정성도 우수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a)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의 수분산체, (b)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지방산 비누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 (c) 수팽윤성 점토 광물, 및 (d) 고급 지방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분(a)은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와 유기 폴리머의 복합체 입자의 수분산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OIL-IN-WATER EMULSION COMPOSITION}
본 발명은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를 외상(수상)에 배합한 안정되며 높은 자외선 방어능을 갖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 차단 화장료는 태양광선 중의 자외선을 커팅하여 자외선에 의한 악영향으로부터 피부를 지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기제로서는 유화 타입, 로션 타입, 오일 타입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수중유형 유화 타입은 촉촉한 사용 감촉을 가져 저 SPF에서 고 SPF제품까지의 제제화가 가능한 점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한편 자외선 차단 화장료에 배합되는 자외선 흡수제에는 유용성인 것과 수용성인 것이 있고, UVA영역(파장 320~400nm) 및 UVB영역(파장 290~320nm)에 있어서의 자외선을 흡수하여 높은 방어능을 얻기 위해서는 UVB흡수제와 UVA흡수제를 밸런스 좋게 배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에는 난용성인 것이 많고, 그것을 용해시키려면 다량의 고극성 유분의 배합이 필요하게 되어 수중유형 유화물에 특유의 촉촉한 사용 감촉이 없어지거나 유상 중에서 저온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가 석출되어 버린다는 안정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특허문헌 1에는 난용성의 자외선 흡수제를 스티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상 폴리머 입자에 내포시켜서 구상 분말로 함으로써 유용성을 향상시켜 유상 중에의 고배합을 가능하게 한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상기 자외선 흡수제가 배합되어 있는 것은 유중 수형 유화장료 또는 고형 화장료이며 수중유형 유화물의 수상(외상)에는 배합되어 있지 않다.
일본 특허 공개 2009-91307호 공보
「신화장품학 제 2 판」미츠이 타케오편, 남산당, 2001년, 제497-504 페이지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과제는 용해도가 낮은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또한 안정성도 우수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a)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의 수분산체, (b)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지방산 비누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 (c) 수팽윤성 점토 광물, 및 (d) 고급 지방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성분(a)은 유용성 자외선 흡수체와 유기 폴리머의 복합체 입자의 수분산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유분에 난용성의 자외선 흡수제를 수상(외상)에 배합함으로써 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동일한 자외선 흡수제를 유상(내상)에 배합한 경우와 비교해서 자외선 방어능이 향상된다는 유리한 효과도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촉촉한 사용 감촉을 갖고, 또한 우수한 자외선 방어능을 갖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로서 사용하는데에 특히 적합한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의 수분산체(성분a)를 수상(외상)에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물에 불용성이고 기름에 난용성인 자외선 흡수제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테트라메틸부틸페놀 등의 실질적으로 유불용성인 것은 포함되지 않는다. 유불용성의 자외선 흡수제의 수분산물을 이용해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조제하여 그것을 피부에 적용한 경우에는 도포한 피부가 부자연스럽게 하얘지는 경우가 있다.
난용성의 자외선 흡수제에는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포함되고, 구체적으로는 벤조페논 유도체, 트리아진 유도체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트리아진 유도체 중에서도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히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이라 함)이 바람직하다. 이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은 BASF사로부터 티노솔브 S라 하는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어 해당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의 수분산체는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와 유기 폴리머의 복합체 입자의 수분산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복합체 입자로 함으로써 수분산체를 포함하는 수상과 기름이 공존하는 경우에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가 수상으로부터 유상으로 용출되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유용성 자외선 흡수체와 유기 폴리머의 복합체 입자의 수분산체는 예를 들면 WO2009/007264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서 조제할 수 있다. 간결하게 말하면 자외선 흡수제와 유기 모노머의 혼합물을 수중에 분산시킨 상태로 유화 중합시킴으로써 자외선 흡수제와 유기 폴리머의 복합체 입자가 분산된 수성 분산체로서 얻을 수 있다.
유기 모노머로서는 에틸렌성 불포화결합을 갖는 모노머,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알킬, 메타크릴산 알킬, 스티렌 모노머, 나일론 모노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복합 입자의 수분산체로서는 BASF사로부터 티노솔브 S 아쿠아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티노솔브 S 아쿠아(Tinosorb S aqua)는 물에 분산된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티노솔브 S)과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MMA)의 복합 입자를 포함하고,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과 PMMA의 함유량은 각각 20질량%와 19질량%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량은 건조 질량으로서 5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3질량%로 한다. 배합량이 0.01질량% 미만이면 충분한 자외선 흡수능이 얻어지지 않고, 5질량%를 초과해서 배합하면 끈적거린다는 사용성에 문제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20질량%의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분산체(성분a)의 배합량으로서 환산하면 상기 분산체는 25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15질량%로 배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지방산 비누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성분b)을 함유하고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HLB가 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POE(7) 세틸에테르, POE(10) 세틸에테르, POE(12) 세틸에테르, POE(15) 세틸에테르, POE(17) 세틸에테르, POE(20) 세틸에테르, POE(25) 세틸에테르, POE(30) 세틸에테르, POE(6) 올레일에테르, POE(8) 올레일에테르, POE(10) 올레일에테르, POE(12) 올레일에테르, POE(15) 올레일에테르, POE(20) 올레일에테르, POE(23) 올레일에테르, POE(50) 올레일에테르, POE(8) 스테아릴에테르, POE(11) 스테아릴에테르, POE(15) 스테아릴에테르, POE(20) 스테아릴에테르, POE(25) 스테아릴에테르, POE(30) 스테아릴에테르, POE(40) 스테아릴에테르, POE(5) 노닐페닐에테르, POE(10) 노닐페닐에테르, POE(11) 노닐페닐에테르, POE(12) 노닐페닐에테르, POE(13) 노닐페닐에테르, POE(15) 노닐페닐에테르, POE(20) 노닐페닐에테르, POE(25) 노닐페닐에테르, POE(30) 노닐페닐에테르, POE(5) 옥틸페닐에테르, POE(8)옥틸페닐에테르, POE(10) 옥틸페닐에테르, POE(15) 옥틸페닐에테르, POE(20) 옥틸페닐에테르, POE(25) 옥틸페닐에테르, POE(30) 옥틸페닐에테르, POE(40) 옥틸페닐에테르, POE(50) 옥틸페닐에테르, POE(5) 라우릴에테르, POE(7) 라우릴에테르, POE(9) 라우릴에테르, POE(10) 라우릴에테르, POE(12) 라우릴에테르, POE(15) 라우릴에테르, POE(20) 라우릴에테르, POE(25) 라우릴에테르, POE(30) 라우릴에테르, POE(50) 라우릴에테르, POE(10) 헥실데실에테르, POE(15) 헥실데실에테르, POE(20)헥실데실에테르, POE(25) 헥실데실에테르, POE(10) 이소스테아릴에테르, POE(15) 이소스테아릴에테르, POE(20) 이소스테아릴에테르, POE(25) 이소스테아릴에테르, POE(10) 옥틸도데실에테르, POE(16) 옥틸도데실에테르, POE(20) 옥틸도데실에테르, POE(25) 옥틸도데실에테르, POE(10) 데실펜타데실에테르, POE(20) 데실펜타데실에테르, POE(30) 데실펜타데실에테르, POE(10) 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15) 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20) 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25) 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10) 콜레스테릴에테르, POE(15) 콜레스테릴에테르, POE(20) 콜레스테릴에테르, POE(24) 콜레스테릴에테르, POE(30) 콜레스테릴에테르, POE(10) 라우릴에테르스테아레이트, POE(12) 디라우레이트, POE(16) 디라우레이트, POE(20) 디라우레이트, POE(10) 모노스테아레이트, POE(20) 모노스테아레이트, POE(30) 모노스테아레이트, POE(40) 모노스테아레이트, POE(150) 모노스테아레이트, POE(150) 디스테아레이트, POE(6)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12)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20)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6) 모노올리에이트, POE(10) 모노올리에이트, POE(6) 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8) 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10) 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15) 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20) 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25) 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30) 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40) 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50) 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60) 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30) 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40) 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50) 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60) 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20)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POE(20) 소르비탄모노올리에이트, POE(40) 소르비탄모노올리에이트, POE(30) 글리세릴트리올리에이트, POE(40) 글리세릴트리올리에이트, POE(50) 글리세릴트리올리에이트, POE(60) 글리세릴트리올리에이트, POE(5)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POE(1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POE(15)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POE(2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POE(3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POE(4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POE(6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POE(20) 트리메티롤프로파안트리미리스테이트, POE(25) 트리메티롤프로파안트리미리스테이트, POE(30) 트리메티롤프로파안트리미리스테이트, POE(25) 트리메티롤프로파안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30) 트리메티롤프로파안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40) 트리메티롤프로파안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50) 트리메티롤프로파안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20) 경화 피마자유, POE(30) 경화 피마자유, POE(40) 경화 피마자유, POE(50) 경화 피마자유, POE(60) 경화 피마자유, POE(80) 경화 피마자유, POE(100) 경화 피마자유, POE(20) 피마자유, POE(30) 피마자유, POE(40) 피마자유, POE(50) 피마자유, POE(20) 경화 피마자유 모노라우레이트, POE(30) 경화 피마자유 모노라우레이트, POE(40) 경화 피마자유 모노라우레이트, POE(50) 경화 피마자유 모노라우레이트, POE(60) 경화 피마자유 모노라우레이트, POE(30) 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40) 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50) 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60) 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40) 경화 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50) 경화 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60) 경화 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모노스테아르산 소르비탄, 모노올레산 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르산 소르비탄,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 모노 스테아르산 디글리세릴, 경화 피마자유 피로글루탐산 이소스테아르산 디에스테르, 글리세릴피로글루탐산 이소스테아르산 디에스테르, 이소 스테아르산 PEG 글리세릴, 스테아르산 PEG 글리세릴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산 비누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르산 칼륨, 미리스트산 칼륨, 팔미트산 칼륨, 스테아르산 칼륨, 아라기드산 칼륨, 베헨산 칼륨, 라우르산 나트륨, 미리스트산 나트륨, 팔미트산 나트륨, 스테아르산 나트륨, 아라기드산 나트륨, 베헨산 나트륨, 라우르산 트리에탄올아민, 미리스트산 트리에탄올아민, 팔미트산 트리에탄올아민, 스테아르산 트리에탄올아민, 아라기드산 트리에탄올아민, 베헨산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르산 아미노메틸프로판올, 미리스트산 아미노메틸프로판올, 팔미트산 아미노메틸프로판올, 스테아르산 아미노메틸프로판올, 아라기드산 아미노메틸프로판올, 베헨산 아미노메틸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지방산 비누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성분b)의 배합량은 1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3질량%로 한다. 배합량이 0.01질량% 미만이면 안정된 유화물이 얻어지기 어렵고, 10질량%를 초과해서 배합하면 끈적거린다는 사용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팽윤성 점토 광물(성분c)을 더 함유하고 있다. 수팽윤성 점토 광물(성분d)은 3층 구조를 갖는 콜로이드 함유 규산 알루미늄의 일종이며 일반적으로 하기 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이다.
(X, Y)2-3(Si, Al)4 O10(OH)2Z1 /3·nH2O (1)
상기 식(1)에 있어서 X는 Al, Fe(III), Mn(III), 또는 Cr(III)이고, Y는 Mg, Fe(II), Ni, Zn, 또는 Li이고, Z는 K, Na, 또는 Ca이다.
이러한 수팽윤성 점토 광물의 구체예로서는 스멕타이트계의 헥토라이트, 벤토나이트나 몬모릴로나이트, 바이델라이트, 논트로나이트, 사포나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천연 및 합성품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시판품으로는 쿠니피아(쿠니미네 코교사 제작), 스멕톤(쿠니미네 코교사 제작), 비검(밴더빌트사 제작), 라포나이트(라포르테사 제작), 불소 4규소 운모(토피 코교사 제작) 등을 들 수 있다.
수팽윤성 점토 광물(성분c)의 배합량은 4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1질량%로 한다. 배합량이 0.01질량% 미만이면 안정성이 열화되고, 4질량%을 초과해서 배합하면 길게 퍼짐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급 지방산(성분d)을 더 함유하고 있다.
고급 지방산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산, 운데실렌산, 톨산, 이소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지방산(성분d)의 배합량은 1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1~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2질량%로 한다. 배합량이 0.1질량% 미만이면 안정성이 열화되고, 10질량%를 초과해서 배합하면 길게 퍼짐이 무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용성 고분자를 배합함으로써 보다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식물계 고분자, 미생물계 고분자, 합성/반합성 고분자 등이 있고, 식물계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잔탄검, 아라비아검, 트라가간트검, 갈락탄, 구아검, 캐롭검, 카라야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퀸스씨드(마르멜로), 알게콜로이드(갈조엑기스),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글리시리진산 등, 미생물계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블루란 등을 들 수 있다.
반합성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전분계 고분자(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 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전분 등);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황산 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결정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분말 등); 알긴산계 고분자(예를 들면 알긴산 나트륨, 알긴산 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계 고분자(예를 들면 카르복시비닐폴리머(카보머),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00, 40,000, 60,000의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 아크릴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용성 고분자의 배합량은 3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0.3질량%로 한다. 배합량이 0.01질량% 미만이면 안정성이 열화되고, 3질량%를 초과하여 배합하면 끈적거린다고 하는 사용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구성할 수 있는 고급 지방산 이외의 유 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액체 유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보카도유, 카멜리아유, 터틀유, 마카다미아넛유,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유채씨유, 난황유, 참깨유, 퍼식유, 밀배아유, 사잔카유, 피마자유, 아마씨유, 새플라워유, 면실유, 들깨유, 대두유, 땅콩유, 다실유, 카야유, 미강유, 오동유, 일본 오동유, 호호바유, 배아유, 트리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고체 유지로서는 예를 들면 카카오지, 야자유, 마지, 경화 야자유, 팜유, 우지, 양지, 경화 우지, 팜핵유, 돈지, 우골지, 목랍핵유, 경화유, 우각지, 목랍, 경화 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왁스류로서는 예를 들면 밀랍, 칸데릴라 왁스, 면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베이베리 왁스, 이보타 왁스, 고래 왁스, 몬탄 왁스, 쌀겨 왁스, 라놀린, 케이폭 왁스, 아세트산 라놀린, 액상 라놀린, 사탕수수 왁스,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우르산 헥실, 환원 라놀린, 호호바 왁스, 경질 라놀린, 셸락 왁스, POE 라놀린 알콜에테르, POE 라놀린 알콜아세테이트, POE 콜레스테롤 에테르,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POE 수소 첨가 라놀린알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유로서는 예를 들면 유동 파라핀, 오조케라이트, 스쿠알란, 프리스탄, 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렌, 바셀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콜로서는 예를 들면 직쇄 알콜(예를 들면 라우릴 알콜, 세틸 알콜, 스테아릴 알콜, 베헤닐 알콜, 미리스틸 알콜, 올레일 알콜, 세토스테아릴 알콜 등); 분기쇄 알콜(예를 들면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틸 알콜), 2-데실테트라데시놀, 라놀린 알콜,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헥실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알콜, 옥틸도데칸올 등)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에스테르유로서는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옥탄산 세틸, 미리스트산 옥틸도데실,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 부틸, 라우르산 헥실, 미리스트산 미리스틸, 올레산 데실, 디메틸옥탄산 헥실데실, 락트산 세틸, 락트산 미리스틸, 아세트산 라놀린, 스테아르산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 이소세틸,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산산 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르산 N-알킬글리콜, 디카프르산 네오펜틸글리콜,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 글리세린, 트리-2-에틸 헥산산 트리메티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티롤프로판, 테트라-2-에틸 헥산산 펜타에리스리톨,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린, 트리옥탄산 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트산 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티롤프로판,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트리미리스트산 글리세린, 트리-2-헵틸 운데칸산 글리세라이드, 피마자유 지방산메틸에스테르, 올레산 올레일, 아세토글리세라이드, 팔미트산 2-헵틸운데실, 아디프산 디이소부틸, N-라우로일-L-글루탐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프산 디-2-헵틸운데실, 에틸라우레이트, 세바스산 디-2-에틸헥실, 미리스트산 2-헥실데실, 팔미트산 2-헥실데실, 아디프산 2-헥실데실, 세바스산 디이소프로필, 숙신산 2-에틸헥실, 구연산 트리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유로서는 예를 들면 쇄상 폴리실록산(예를 들면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디페닐폴리실록산 등); 환상 폴리실록산(예를 들면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 3차원 망목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각종 변성 폴리실록산(아미노 변성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실록산, 알킬 변성 폴리실록산, 불소 변성 폴리실록산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는 IOB가 0.05 이상인 극성유를 배합해도 좋지만 그들 극성유의 배합량을 5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0질량%를 초과하여 배합하면 끈적거린다는 사용성의 문제를 보이는 경우가 있다.
IOB가 0.05 이상인 극성유에는 예를 들면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산 2-에틸헥실, 디피발산 트리프로필렌글리콜, 옥탄산 세틸, 트리 2-에틸헥산산 트리메티롤프로판, 테트라 2-에틸헥산산 펜탄에리스릿트, 트리 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나프탈린디카르복실산 디에틸헥실, 벤조산(탄소수12~15개) 알킬, 트리(카프릴·카프르산) 글리세린, 디(카프릴·카프르산) 프로필렌 글리콜, 숙신산 디2-에틸헥실 등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상에 배합되는 상기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의 수분산체(성분a)에 첨가하고, 다른 자외선 흡수제를 더 함유해도 좋다.
다른 자외선 흡수제는 유용성으로서 유상(내상)에 용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상에 존재하는 상기 자외선 흡수제(성분A)와 상승적으로 자외선을 흡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메톡시신남산 유도체, 디페닐아크릴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파라아미노벤조산 유도체, 트리아진 유도체, 벤조페논 유도체, 벤잘말로네이트 유도체, 안트라닐 유도체, 이미다졸린 유도체, 4,4-디아릴부타디엔 유도체 및 페닐벤즈이미다졸 유도체계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 호모살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옥시벤존,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틸트리아존, 비스에틸헥실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디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 헥실,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산-2'-에틸헥실에스테르, 폴리실리콘-15, 드로메트리졸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상술한 성분 이외에 통상 화장료 등의 외용 조성물에 이용되고 있는 다른 성분을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를 실질적으로 방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 있어서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면 유상을 구성하는 성분과 수상을 구성하는 성분을 따로따로 혼합하고, 수상에 유상을 첨가해서 유화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중유형 유화물이 원래 갖는 촉촉한 사용 감촉을 갖고, 저온 및 고온에서의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우수한 자외선 방어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수중유형 유화 타입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로서의 용도에 특히 적합한 것이다.
(실시예)
이하에 구체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등에 있어서의 배합량은 특별히 명기되지 않는 한 질량%을 나타낸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에 게재된 조성을 갖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조제했다. 구체적으로는 수상 성분 및 유상 성분을 각각 70℃로 가열해서 완전히 용해시키고, 이어서 수상에 유상을 첨가하여 유화기로 유화함으로써 각 예의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각 조성물의 샘플 18.87㎕를 PMMA제의 막(5cm×5cm)의 표면에 0.75mg/㎠의 비율로 균일하게 도포했다. 15분 방치한 후 분광 광도계(U-4100: 히타치 세이사쿠쇼 제작)를 이용해서 각 샘플의 흡광도를 측정했다. 그들의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상기와는 달리 실시예 1의 액상유분(올레핀 올리고머, 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옥토클리렌)을 표 1에 기재한 비율로 혼합한 실시예 1에 대응하는 유성 혼합물과 그것에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을 더 첨가하고, 70℃에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비교예 1에 대응하는 유성 혼합물을 제작하여 각각을 50mL 스크류 관에 봉입했다. 이들을 25℃에서 냉각하고, 소량의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을 고체 상태로 첨가하여 0℃에서 1주일 보존한 후의 각 혼합물을 현미경 관찰함으로써 유상의 안정성을 평가했다. 그들의 결과를 첨가한 이상의 양의 결정이 관찰된 경우를 ×, 첨가한 이상의 양의 결정이 보여지지 않은 경우를 ○로 해서 표 1에 아울러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을 유상 중에 배합한 비교예 1에서는 안정성이 열화되어 저온(0℃)에서 결정이 형성되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을 수분산체의 형태로 수상 중에 배합한 조성물(실시예 1)에서는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을 유상 중에 배합한 비교예 1보다 우수한 자외선 흡수능을 나타낸 것이 밝혀졌다.
하기 표 2에 게재된 조성을 갖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조제했다. 구체적으로는 수상 성분 및 유상 성분을 각각 70℃로 가열해서 완전히 용해시키고, 이어서 수상에 유상을 첨가하여 유화기로 유화함으로써 각 예의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성물을 50ml 스크류 관에 봉입하고, 60℃에서 1주일 보존한 후의 외관에 의해 유화 안정성을 평가했다. 그들의 결과를 일상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를 ○, 분리한 경우를 ×로 해서 표 2에 아울러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표 2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수용성 고분자인 잔탄검, 카보머만을 배합한 비교예 2에서는 분리가 생긴 것에 대하여, 수팽윤성 점토 광물(벤토나이트)을 첨가한 실시예 2~4에서는 양호한 안정성을 갖는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하에 나타낸 처방으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화장료를 조제했다.
처방예 1 썬스크린 에멀젼
디프로필렌글리콜 5
잔탄검 0.1
벤토나이트 1
스테아르산 0.5
팔미트산 0.5
이소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1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 1
모노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1
폴리비닐피롤리돈/에이코센 코폴리머 1
디네오펜탄산 트리프로필렌글리콜 5
스쿠알란 3
데카메틸시클로헥사펜타실록산 4
디메틸폴리실록산 2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 7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1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수분산체 15
헥사메타 인산 나트륨 0.1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여
향료 적량
처방예 2 썬스크린 에멀젼
글리세린 5
카보머 0.3
사포나이트(쿠니미네 코교사 제작) 0.5
스테아르산 0.5
이소스테아르산 0.5
스테아릴알콜 2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1
모노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1
트리메틸실록시규산 1
카프릴릴 메티콘 3
에틸헥산산 세틸 10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 5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산-2'-에틸헥실에스테르 5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수분산체 10
옥틸트리아존 2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 헥실 2
페닐벤즈이미다졸술폰산 1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 2
EDTA-3Na 0.1
수산화칼륨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여
향료 적량
처방예 3 썬스크린 에멀젼
알콜 5
디프로필렌글리콜 5
잔탄검 0.1
벤토나이트 0.5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이소스테아레이트 1
베헨산 1
베헤닐알콜 2
트리메틸실록시규산 1
시클로메티콘 3
디메티콘 2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5
팔미트산 옥틸 5
숙신산 디에틸헥실 1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1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산-2'-에틸헥실에스테르 5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수분산체 10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 헥실 2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2
EDTA-3Na 0.1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여
향료 적량

Claims (8)

  1. (a)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의 수분산체,
    (b)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지방산 비누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
    (c) 수팽윤성 점토 광물, 및
    (d) 고급 지방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를 3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은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와 유기 폴리머의 복합체 입자의 수분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는 트리아진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는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량은 5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 수팽윤성 점토 광물의 배합량은 0.01~4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 화장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KR1020127027197A 2010-04-13 2011-04-11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KR1013956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92260 2010-04-13
JP2010092260 2010-04-13
JPJP-P-2011-086011 2011-04-08
JP2011086011A JP5058351B2 (ja) 2010-04-13 2011-04-08 水中油型乳化組成物
PCT/JP2011/058977 WO2011129289A2 (ja) 2010-04-13 2011-04-11 水中油型乳化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788A true KR20130041788A (ko) 2013-04-25
KR101395632B1 KR101395632B1 (ko) 2014-05-16

Family

ID=44799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7197A KR101395632B1 (ko) 2010-04-13 2011-04-11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30028852A1 (ko)
EP (1) EP2559423B1 (ko)
JP (1) JP5058351B2 (ko)
KR (1) KR101395632B1 (ko)
CN (1) CN102858309B (ko)
ES (1) ES2629047T3 (ko)
TW (1) TWI498126B (ko)
WO (1) WO201112928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0723A (ja) * 2013-08-07 2015-02-16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乳化剤形の日焼け止め化粧料
JP6210032B2 (ja) * 2013-08-26 2017-10-11 日信化学工業株式会社 エマルジョン及び該エマルジョンを含有する化粧料
JP6265371B2 (ja) * 2013-08-26 2018-01-24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化粧料
JP2015182989A (ja) * 2014-03-26 2015-10-22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日焼け止め化粧料
DE102014225432A1 (de) * 2014-12-10 2016-06-16 Henkel Ag & Co. Kgaa Mittel und Verfahren zur temporären Verformung keratinhaltiger Fasern
CN104887547A (zh) * 2015-05-29 2015-09-09 苏州市贝克生物科技有限公司 Uv防晒剂及其制备方法
JP6763598B2 (ja) * 2016-05-13 2020-09-30 株式会社希松 紫外線防止効果を有する皮膚化粧料
EP3266442A1 (en) * 2016-07-04 2018-01-10 Clariant International Ltd Emulsion stabilized by clay
JP6902658B2 (ja) * 2016-07-28 2021-07-14 アサヌマ 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水中油型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2018016587A (ja) * 2016-07-28 2018-02-01 アサヌマ 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水中油型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7057066B2 (ja) * 2017-03-02 2022-04-19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WO2020128556A1 (en) * 2018-12-19 2020-06-25 L V M H Recherche Oil-in-water emulsified cosmetic with ultraviolet ray-protecting effect
CN114867449A (zh) * 2019-12-17 2022-08-05 株式会社资生堂 水包油型乳化化妆料
CN115697292A (zh) * 2020-05-25 2023-02-03 日本乐敦制药株式会社 水包油型化妆材料
FR3117789A1 (fr) * 2020-12-22 2022-06-24 L'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au moins une argile, au moins un corps gras cristallisable et au moins un filtre UV liposolubl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9847A (en) * 1989-06-12 1993-06-15 Shiseido Company, Ltd. Antipruritic composition
JPH0318726A (ja) * 1989-06-16 1991-01-28 Fuji Electric Co Ltd 電磁開閉器のうなり音判定装置
JP2607401B2 (ja) * 1991-03-22 1997-05-07 株式会社資生堂 日焼け防止化粧料の日焼け防止力改善方法
DE69613647T2 (de) * 1995-09-29 2002-05-08 Shiseido Co Ltd Wasser-in-Öl-Emulsion enthaltendes kosmetisches Präparat
JP3539008B2 (ja) * 1995-10-25 2004-06-14 綜研化学株式会社 樹脂粒子の製造方法
CN1322086C (zh) * 1997-05-30 2007-06-20 株式会社资生堂 凝胶剂和凝胶组合物
JP2002510319A (ja) * 1997-07-01 2002-04-02 アイシス・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オリゴヌクレオチドの消化管を介したデリバリーの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NO20002309L (no) * 1999-05-12 2000-11-13 Hoffmann La Roche Fotostabile kosmetiske lysavskjermende sammensetninger
DE10046927A1 (de) * 2000-09-21 2002-04-25 Basf Ag Farbmittelhaltige wässrige Polymerdispersion
DE10113046A1 (de) * 2001-03-15 2002-09-26 Beiersdorf Ag Selbstschäumende schaumförmige Zubereitungen mit organischen Hydrokolliden und partikulären hydrophobisierten und/oder ölabsorbierenden Festkörpersubstanzen
DE10162697A1 (de) * 2001-12-19 2003-07-03 Cognis Deutschland Gmbh Kosmetische und/oder pharmazeutische Sonnenschutzmittel
JP3984892B2 (ja) * 2002-08-30 2007-10-03 株式会社資生堂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4219856B2 (ja) * 2004-06-08 2009-02-04 株式会社資生堂 油中水型皮膚外用組成物
US7368105B2 (en) * 2004-07-02 2008-05-06 L'oreal Photostabilization of dibenzoylmethane UV-screening agents with arylalkyl benzoate/bis-resorcinyl triazine compounds and photoprotective compositions comprised thereof
JP5238924B2 (ja) * 2006-11-09 2013-07-17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単結晶基板及び窒化物半導体単結晶の製造方法
GB2445832A (en) * 2007-01-04 2008-07-23 Ciba Sc Holding Ag Composition comprising organic UV absorbing agent with enhanced oil/film solubility
MX2010000042A (en) * 2007-07-09 2010-02-28 Basf Se Water based concentrated product forms of oil-soluble organic UV absorbers
JP2009091307A (ja) 2007-10-10 2009-04-30 Shiseido Co Ltd 紫外線吸収粉体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DE102008025576A1 (de) * 2008-05-28 2009-12-03 Henkel Ag & Co. Kgaa Sonnenschutzzusammensetzungen
JP5469319B2 (ja) * 2008-08-22 2014-04-16 株式会社 資生堂 日焼け止め化粧料
DE102009045998A1 (de) * 2009-10-26 2011-04-28 Henkel Ag & Co. Kgaa Sonnenschutzzusammensetzungen
JP5697198B2 (ja) * 2009-09-29 2015-04-08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29047T3 (es) 2017-08-07
CN102858309A (zh) 2013-01-02
WO2011129289A2 (ja) 2011-10-20
TW201204407A (en) 2012-02-01
CN102858309B (zh) 2014-08-27
JP5058351B2 (ja) 2012-10-24
KR101395632B1 (ko) 2014-05-16
EP2559423A2 (en) 2013-02-20
US20130028852A1 (en) 2013-01-31
EP2559423A4 (en) 2014-03-12
TWI498126B (zh) 2015-09-01
JP2011236200A (ja) 2011-11-24
EP2559423B1 (en) 2017-06-07
WO2011129289A3 (ja)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5632B1 (ko)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KR101395635B1 (ko)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
JP6535329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101667764B1 (ko)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KR101419372B1 (ko) 유중수형 유화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EP2915524B1 (en) Sunscreen cosmetic
TW200944242A (en) Water-in-oil emulsion type sunscreen cosmetic
KR101801410B1 (ko) W/o 유화 화장료
US20040137025A1 (en) Water-in-oil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JP2011126832A (ja)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JP2011236199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ES2686673T3 (es) Composición cosmética de emulsión agua en aceite
WO2020067420A1 (ja) 油中水型乳化固形化粧料
US11696886B2 (en) Cosmetic
JP7219044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TWI496587B (zh) Water-based emulsified composition
JP6227543B2 (ja) Uv吸収剤組成物におけるオレオゲルの使用
CN117956974A (zh) 化妆料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