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1671A -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 집중도 판단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 집중도 판단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1671A
KR20130041671A KR20110106078A KR20110106078A KR20130041671A KR 20130041671 A KR20130041671 A KR 20130041671A KR 20110106078 A KR20110106078 A KR 20110106078A KR 20110106078 A KR20110106078 A KR 20110106078A KR 20130041671 A KR20130041671 A KR 20130041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entration
value
driving
roa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06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7007B1 (ko
Inventor
김재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10106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007B1/ko
Priority to US13/368,481 priority patent/US9082285B2/en
Priority to CN201210045174.0A priority patent/CN103042922B/zh
Priority to ES12167462.6T priority patent/ES2642113T3/es
Priority to EP12167462.6A priority patent/EP2584548B1/en
Priority to JP2012206737A priority patent/JP6134112B2/ja
Publication of KR20130041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60K28/06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6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indicating a condition of sleep, e.g. anti-dozing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8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9Attention level, e.g. attentive to driving, reading or sl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05Type of road, e.g. motorways, local streets, paved or unpaved roa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각의 변화와 전방 카메라 센서를 통해 취득된 차량 운행상태 정보를 근거로 운전자의 운전 집중도를 분석해내는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 집중도 판단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 집중도 판단 기술은 차량에 장착된 조향각 센서(SAS;Steering Angle Sensor) 및 전방 카메라 센서의 출력 데이터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차량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정량적 인덱스를 산출하며, 산출된 값을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운전집중도를 판정할 지표가 되는 상태정보를 산정한 후, 산정된 상태정보를 약정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운전집중도를 판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의 신체적 상태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추가적 영상기반 또는 생체신호기반 센서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차량에 기 장착된 조향 휠(운전대;핸들) 조향각 센서와 전방 카메라 센서만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집중도를 산출해낼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 집중도 판단 방법 및 그 시스템{A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ON OF CONCENTRATION GRADE WHEREIN CAR DRIVING}
본 발명은 차량 주행중 운전자의 운전 집중도를 판단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향각의 변화와 전방 카메라 센서를 통해 취득된 차량 운행상태 정보를 근거로 운전자의 운전 집중도를 분석해내는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 집중도 판단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의 필수품이 되어버린 자동차의 이용이 증가하면서 교통사고의 발생 횟수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교통사고의 원인은 운전자의 부주의나 도로 환경에 의한 돌발적인 위험 상황의 발생 등 여러 가지 요인이 관련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 가운데 과속 또는 졸음 운전에 의한 사고의 비중은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에 있으며, 대부분 인명사고로 이어지는 대형사고를 야기하게 되므로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미국 교통안전부(NHTSA)가 1년 동안 발생한 2백 50만건의 교통사고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교통사고 전체 발생건수의 25~56%는 운전자의 부주의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운전자의 부주의는 시각 주시 소홀, 심적 집중 소홀, 졸음의 세가지 요소가 주요 원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으로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차량의 안전 운행을 보조할 다양한 신규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차량에 적용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졸음 운전 판정기술은 주로 카메라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동공 상태를 감지하거나 센서 등을 통해 운전자의 맥박 수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졸음 운전 여부를 판정하도록 된 것이 대부분이다.
즉, 전자의 경우, 차량 내부에 설치된 실내 카메라를 통해 운전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운전자의 눈꺼풀 개폐정도, 깜빡임, 눈동자의 움직임 등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졸음 운전 여부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후자의 경우, 졸음 상태에서는 운전자의 맥박 수가 줄어들게 되는 현상을 근거로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 기술의 경우, 운전자의 맥박 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와 분석 알고리즘, 또는 눈동자 움직임을 촬영할 카메라와 영상을 처리할 H/W 및 분석할 S/W 등, 복잡한 추가적인 구성이 반드시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구성을 모두 갖추고도 단지 졸음 운전에 의한 비정상 운행만을 감지해낼 수 있는 것이어서,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에 비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적은 경제적 비효율의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차량 주행중 조향각의 변화와 전방 카메라 센서를 통해 취득된 차량 운행상태 정보를 근거로 운전자의 운전 집중도를 판정할 수 있는 인덱스를 산출하고, 그 산출결과를 통계적인 정보로 변환하여 운전자의 집중도를 판단해내는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 집중도 판단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 집중도 판단 시스템은 차량 운전자의 운전집중도를 판정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조향 휠(wheel)의 변위를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SAS;Steering Angle Sensor)와, 차량 전방의 도로 및 소정 영역내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전방 카메라 센서,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향각 센서와 전방 카메라 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소정 시간간격으로 저장함과 더불어 상기 인덱스 연산부에 의해 산출된 값을 누적시켜 표준값으로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부,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차량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정량적 인덱스를 산출하는 인덱스 연산부, 상기 인덱스 연산부에 의해 산출된 값을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운전집중도를 판정할 지표가 되는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통계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인덱스 연산부와 통계처리부를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상태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태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기록된 표준값과 비교하여 운전자의 운전집중도를 판정하는 운전집중도 판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집중도 판정시스템은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운전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경고 표시부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운전집중도 판정부는 상기 통계처리부의 산출결과가 약정된 기준값 이하로 확인되게 되면 상기 경고 표시부를 통해 경고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전집중도 판정시스템에서 상기 운전집중도 판정부, 인덱스 연산부, 통계처리부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으로 구성된 제어부 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 집중도 판단 방법은 차량에 장착된 조향각 센서(SAS;Steering Angle Sensor) 및 전방 카메라 센서의 출력 데이터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단계와,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차량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정량적 인덱스를 산출하는 인덱스 연산단계, 상기 인덱스 연산단계에서 산출된 값을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운전집중도를 판정할 지표가 되는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통계처리단계, 및 상기 통계처리단계에서 산출된 정보를 약정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운전집중도를 판정하는 집중도 판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준데이터는 상기 인덱스 연산단계 또는 상기 통계처리단계에 의해 산출된 결과를 소정 횟수 누적시켜 통계화의 과정에 의해 취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계처리단계에서 산출된 상태정보는 차량 상태를 세분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로 구성되고, 상기 기준데이터는 상기 파라미터와 일대일로 비교 가능한 개수로 세분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계처리단계에서 산출된 정보를 근거로 도로의 난이도를 판정하는 도로 난이도 판정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집중도 판정단계는 상기 도로 난이도 판정단계에서의 판정결과에 따라 단계적으로 기준값을 달리 적용함으로써 세분화된 운전집중도를 산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조향각 부호변화 횟수(ZERO)와 도로 곡률반경 부호 변화 횟수(dSignR)의 차(差) 및 조향각 표준편차(SDST) 최대값의 표준값인 SDSTmax_s에 대한 측정된 SDSTmax의 증감율(SDST%)로 구해지는 값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집중도 판정단계는 ZERO-dSignR = 0 이고, SDST%의 값이 사전에 설정된 값(V1) 보다 작은 경우, 운전집중도를 최고 레벨로 판정하는 제1 집중도 판단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중도 판단단계에서 해당 파라미터의 값이 최고 레벨의 조건에 부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집중도 판정단계는 차선 침범횟수(LANEX)의 값이 약정된 값(V2) 보다 크면 운전집중도를 최저 레벨로 판정하는 제2 집중도 판단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조향각 표준편차(SDST)의 표준값인 SDSTmax_s에 대한 측정된 SDSTmax의 증감율(SDST%)로 구해지는 값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로 난이도 판정단계는 SDST% 값이 약정된 값(V3) 보다 크면 낮은 난이도, 이하이면 높은 난이도의 도로로 판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차량 측면이 인접한 차선까지 도달 예상시간(TLC)의 최소값(TLCmin)과, 상기 최소값의 표준값인 TLCmin_s에 대한 측정된 TLCmin의 증감율(TLC%)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집중도 판정단계는 상기 도로 난이도 판정단계에서 난이도가 낮은 도로로 판정된 상황에서는 상기 TLC%의 값이 소정 기준값(V4) 보다 작을 때, 난이도가 높은 도로로 판정된 상황에서는 상기 TLC%의 값이 소정 기준값(V5) 보다 작을 때, 운전집중도를 레벨2로 판정하는 제3 집중도 판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차로내 차량 횡변위(LP)의 표준편차(SDLP)와, 상기 SDLP의 최대값(SDLPmax), 및 상기 SDLP 최대값의 표준값인 SDLPmax_s에 대한 측정된 SDLPmax의 증감율(SDLP%)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집중도 판정단계는 상기 도로 난이도 판정단계에서 난이도가 낮은 도로로 판정된 상황에서는 상기 SDLP%의 값이 소정 기준값(V6) 보다 클 때, 난이도가 높은 도로로 판정된 상황에서는 상기 SDLP%의 값이 소정 기준값(V7) 보다 클 때, 운전집중도를 레벨3로 판정하는 제4 집중도 판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집중도 판정단계는 상기 제4 집중도 판정단계에서, 상기 SDLP%의 값이 운전집중도 레벨3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이때의 운전집중도를 레벨4로 판정하는 제5 집중도 판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집중도 판정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운전집중도가 레벨4에 도달하는 횟수를 계수하는 레벨4 계수단계와, 이 레벨4 계수단계에 의해 계수된 값이 소정 값에 이르게 되면 이때의 파라미터를 상기 기준데이터로 재설정하는 기준데이터 재설정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의 신체적 상태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추가적 영상기반 또는 생체신호기반 센서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차량에 기 장착된 조향 휠(운전대;핸들) 조향각 센서와 전방 카메라 센서만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집중도를 산출해낼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운전 집중도를 상황과 증상에 따라 여러 단계로 세분화할 수 있고, 운전자의 운전능력에 따라 개인적 편차를 나타낼 수 있는 주행 도로 난이도를 제공한다.
한편, 집중도를 판단하는 기준값은 일반적으로 차량 출고시에 설정된 값으로 사용되게 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지속적인 집중도 판정을 통해 개별 운전자의 일상 상태 판정값을 도출하고, 이를 상기 기준값으로 재설정함으로써, 운전자별 편차에 따른 집중도 차이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집중도 판단 시스템의 기능 블럭도.
도 2는 도 1의 구성으로 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경보 메시지 출력 동작을 예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집중도 판단 시스템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1은 차량 내부 통신(CAN;Control Area Network)을 통해 전송되는 조향각 센서(SAS;Steering Angle Sensor)의 감지신호와 전방 카메라 센서의 출력신호를 근거로 운전집중도를 판단하고, 운전집중도가 소정 기준치 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경보가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운전집중도 판정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12는 상기 조향각 센서 감지신호와 전방 카메라 센서의 출력신호를 근거로 차량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정량적 인덱스를 산출하는 인덱스 연산부이고, 13은 상기 조향각 센서와 전방 카메라 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소정 시간간격으로 저장함과 더불어 상기 인덱스 연산부(12)에 의해 산출된 값을 누적시켜 표준값으로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부이며, 참조번호 14는 상기 인덱스 연산부(12)에 의해 산출된 값을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운전집중도를 판정할 지표가 되는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통계처리부이다.
한편, 참조번호 20은 상기 운전집중도 판정부(11)의 제어에 따라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경고 표시부이다.
상기 운전집중도 판정부(11)와 인덱스 연산부(12), 통계처리부(14)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 구성되는 제어부 내에 통합시켜 구현될 수도 있으나, 각각의 구성이 개별적으로 독립된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어, 도 2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차량 내에 장착된 각종 센서는 차량의 운행상태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측정 정보를 감지하여 CAN을 통해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운전집중도 판정부(11)는 조향각 센서(SAS)와 전방 카메라 센서를 통해 검출된 데이터를 예컨대, 매 10분 또는 30분 등의 간격으로 상기 데이터 저장부(13)에 주기적으로 저장하고(ST10~ST11), 상기 인덱스 연산부(12)를 제어하여 약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소정 시간간격으로 인덱스 값을 산출해내게 된다.(ST12)
인덱스 연산부(12)에 의해 산출되는 인덱스 값에는 평균 횡변위(MLP;Mean Lateral Position), 횡변위 표준편차(SDLP;Standard Deviation of Lateral Position), 차선침범 횟수(LANEX;Number of Lane Exceedances), 최소 차선도달 시간(TLC;Time to Line Crossing), 등이 포함된다.
상술한 과정에 의해 산출된 인덱스는 상기 통계처리부(14)에 의해 운전집중도를 판정할 지표가 되는 상태정보로서 가공되어 운전집중도 판정부(11)에 인가되게 되는 바(ST13), 통계처리된 결과 산출된 정보에는 조향휠의 조향각 표준편차(SDST), SDST의 최대값(SDSTmax), 표준값인 SDSTmax_s에 대한 측정된 SDSTmax의 증감율(SDST%), 차로내 차량 횡변위(LP)의 표준편차(SDLP), SDLP의 최대값(SDLPmax), 표준값인 SDLPmax_s에 대한 측정된 SDLPmax의 증감율(SDLP%), 차량 측면이 인접한 차선까지 도달 예상시간(TLC)의 최소값(TLCmin), 표준값인 TLCmin_s에 대한 측정된 TLCmin의 증감율(TLC%), 조향각 부호변화 횟수(ZERO) - 도로 곡률반경 부호 변화 횟수(dSign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운전집중도 판정부(11)는 통계처리부(14)에서 출력된 상태정보를 약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운전집중도를 판정하게 되는 바,
먼저, 상기 조향각 부호변화 횟수(ZERO)와 도로 곡률반경 부호 변화 횟수(dSignR)의 차, 즉 ZERO-dSignR = 0 이고, SDST%의 값이 사전에 설정된 값(V1) 보다 작으면(ST14), 이는 도로 영향을 제외한 운전자의 수정 빈도가 적고, 차량의 횡변위 안정성이 뛰어난 상황이므로 현재 차량을 운전하고 있는 운전자의 집중도를 매우 높은 수준인 레벨 5로 판정하게 되고(ST15), ST15단계에서의 조건에 부합되지 않으면 상기 차선 침범횟수(LANEX)의 값이 사전에 설정된 값(V2) 보다 큰지 확인하게 된다(ST16).
참고로, 상기 V1, V2를 포함하여 이후 등장하게 될 비교 기준값 V1~V7은 여러 차례의 실제 시행을 통해 경험적으로 얻어진 산출값이다.
상기 ST16에서 LANEX의 값이 약정된 값(V2)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게 되면, 이는 졸음 또는 부주의로 인해 차량의 측면이 차선을 침범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운전집중도 판정부(11)는 이 경우를 매우 낮은 운전집중도로서 레벨1로 판정하게 되고(ST17), 그 결과 상기 경고 표시부(20)를 제어하여 운전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게 된다.(ST25)
참고로, 침범시간이 0.5초 이하일 경우, 곧바로 복귀 가능했거나 옆차선 차량과의 측면 충돌 발생 확률이 높지 않은 상태로 볼 수 있으므로, 산출 주기를 10mS로 설정할 경우, V2는 50 정도가 적정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매우 높은 집중도와 매우 낮은 집중도가 분류된 후, 그 중간 레벨의 집중도를 분류해내기 위한 절차가 수행된다.
한편, 도로의 곡률변화가 큰 도로를 주행하거나 속도를 급격히 낮춰야 하는 경우 등의 상황에서는 동일한 도로 조건에 있어서도 운전자의 개인별 운전능력에 따라 대처하는 양상이 다를 수 있으므로 도로의 난이도가 감안되지 않을 경우, 세부적인 집중도 분석 과정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점을 고려하여, 상기 ST16에서 LANEX의 값이 V2 이하로 확인되게 되면, 상기 운전집중도 판정부(11)는 SDST%의 값이 약정된 값(V3) 보다 큰 값을 갖는지 확인하게 된다.(ST18)
참고로, 차량의 횡변위 표준편차는 직선도로 대비 곡선도로에서 확연하게 증가하며, 또한 동일 곡률반경 도로에서 운전자가 도로에 익숙치 않거나 운전능력에 따라 적응이 어려울 경우에도 확연하게 증가한다.
따라서, 도로 난이도가 분류되고 이를 감안하여 계산하게 되면 중간 레벨의 집중도를 보다 세분화할 수 있게 된다.
ST18에서의 확인결과, SDST% > V3 이면, 운전집중도 판정부(11)는 도로의 난이도를 높음으로 판단하고(ST19), 이때의 TLC%의 값을 기준값(V5)과 비교하여(ST20), TLC% < V5 이면, 운전집중도를 레벨2로 판정하게 된다.(ST21)
한편, 상기 ST20에서 TLC%의 값이 기준값(V5) 이상이면, 운전집중도 판정부(11)는 SDLP% 값을 기준치(V7)와 비교하게 되는 바(ST22), 비교결과 SDLP% > V7 이면, 이때의 운전집중도를 레벨3으로 판정하고(ST23), SDLP%가V7 이하이면, 운전집중도를 레벨4로 판정하게 된다.(ST24)
반면, 상기 ST18에서, SDST% 값과 V3을 비교한 결과, SDST%가 V3 이하인 경우, 운전집중도 판정부(11)는 해당 도로의 난이도를 낮은 등급으로 판단하고(ST29), 이때의 TLC%의 값을 기준값(V4)과 비교하여(ST30), TLC% < V4 이면, 운전집중도를 레벨2로 판정하게 된다.(ST21)
또한, 상기 ST30에서 TLC%의 값이 기준값(V4) 이상이면, 운전집중도 판정부(11)는 SDLP% 값을 기준치(V6)와 비교하게 되는 바(ST32), 비교결과 SDLP% > V6 이면, 이때의 운전집중도를 레벨3으로 판정하고(ST23), SDLP%가 V6 이하이면, 운전집중도를 레벨4로 판정하게 된다.(ST24)
한편, 운전집중도 판정부(11)는 상기 ST24에서 집중도가 레벨4에 도달한 횟수(C)를 계수하고(ST33), 그 횟수가 약정된 기준값(V8) 이상 되었는지를 확인하게 되는 바(ST34), C >= V8 이면 SDSTmax, SDLPmax, TLCmin의 평균값으로서 비교기준인 표준값을 업데이트 시키고, C 값을 초기화함으로써 운전집중도 판정을 위한 1사이클(cycle)의 프로세스를 종료하게 된다.(ST35)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에 기 장착된 조향 휠(운전대;핸들) 조향각 센서와 전방 카메라 센서만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집중도를 산출해낼 수 있으며, 운전자의 운전 집중도를 상황과 증상에 따라 여러 단계로 세분화할 수 있고, 운전자의 운전능력에 따라 개인적 편차를 나타낼 수 있는 주행 도로의 난이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집중도를 판단하는 기준값은 일반적으로 차량 출고시에 설정된 값으로 사용되게 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지속적인 집중도 판정을 통해 개별 운전자의 일상 상태 판정값을 도출하고, 이를 상기 기준값으로 재설정함으로써, 운전자별 편차에 따른 집중도 차이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제어부 11 : 운전집중도 판정부
12 : 인덱스 연산부 13 : 데이터 저장부
14 : 통계 처리부 20 : 경고 표시부

Claims (14)

  1. 차량 운전자의 운전집중도를 판정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조향 휠(wheel)의 변위를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SAS;Steering Angle Sensor)와,
    차량 전방의 도로 및 소정 영역내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전방 카메라 센서,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향각 센서와 전방 카메라 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소정 시간간격으로 저장함과 더불어 상기 인덱스 연산부에 의해 산출된 값을 누적시켜 표준값으로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부,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차량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정량적 인덱스를 산출하는 인덱스 연산부,
    상기 인덱스 연산부에 의해 산출된 값을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운전집중도를 판정할 지표가 되는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통계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인덱스 연산부와 통계처리부를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상태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태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기록된 표준값과 비교하여 운전자의 운전집중도를 판정하는 운전집중도 판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 집중도 판단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운전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경고 표시부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운전집중도 판정부는 상기 통계처리부의 산출결과가 약정된 기준값 이하로 확인되게 되면 상기 경고 표시부를 통해 경고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 집중도 판단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전집중도 판정부, 인덱스 연산부, 통계처리부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으로 구성된 제어부 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 집중도 판단 시스템.
  4. 차량 운전자의 운전집중도를 판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에 장착된 조향각 센서(SAS;Steering Angle Sensor) 및 전방 카메라 센서의 출력 데이터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단계와,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차량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정량적 인덱스를 산출하는 인덱스 연산단계,
    상기 인덱스 연산단계에서 산출된 값을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운전집중도를 판정할 지표가 되는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통계처리단계, 및
    상기 통계처리단계에서 산출된 정보를 약정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운전집중도를 판정하는 집중도 판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 집중도 판단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준데이터는 상기 인덱스 연산단계 또는 상기 통계처리단계에 의해 산출된 결과를 소정 횟수 누적시켜 통계화의 과정에 의해 취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 집중도 판단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통계처리단계에서 산출된 상태정보는 차량 상태를 세분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로 구성되고,
    상기 기준데이터는 상기 파라미터와 일대일로 비교 가능한 개수로 세분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 집중도 판단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통계처리단계에서 산출된 정보를 근거로 도로의 난이도를 판정하는 도로 난이도 판정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집중도 판정단계는 상기 도로 난이도 판정단계에서의 판정결과에 따라 단계적으로 기준값을 달리 적용함으로써 세분화된 운전집중도를 산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 집중도 판단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조향각 부호변화 횟수(ZERO)와 도로 곡률반경 부호 변화 횟수(dSignR)의 차(差) 및
    조향각 표준편차(SDST)의 표준값인 SDSTmax_s에 대한 측정된 SDSTmax의 증감율(SDST%)로 구해지는 값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집중도 판정단계는 ZERO-dSignR = 0 이고, SDST%의 값이 사전에 설정된 값(V1) 보다 작은 경우, 운전집중도를 최고 레벨로 판정하는 제1 집중도 판단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 집중도 판단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중도 판단단계에서 해당 파라미터의 값이 최고 레벨의 조건에 부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집중도 판정단계는 차선 침범횟수(LANEX)의 값이 약정된 값(V2) 보다 크면 운전집중도를 최저 레벨로 판정하는 제2 집중도 판단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 집중도 판단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조향각 표준편차(SDST)의 표준값인 SDSTmax_s에 대한 측정된 SDSTmax의 증감율(SDST%)로 구해지는 값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로 난이도 판정단계는 SDST% 값이 약정된 값(V3) 보다 크면 낮은 난이도, 이하이면 높은 난이도의 도로로 판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 집중도 판단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차량 측면이 인접한 차선까지 도달 예상시간(TLC)의 최소값(TLCmin)과,
    상기 최소값의 표준값인 TLCmin_s에 대한 측정된 TLCmin의 증감율(TLC%)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집중도 판정단계는 상기 도로 난이도 판정단계에서
    난이도가 낮은 도로로 판정된 상황에서는 상기 TLC%의 값이 소정 기준값(V4) 보다 작을 때,
    난이도가 높은 도로로 판정된 상황에서는 상기 TLC%의 값이 소정 기준값(V5) 보다 작을 때, 운전집중도를 레벨2로 판정하는 제3 집중도 판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 집중도 판단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차로내 차량 횡변위(LP)의 표준편차(SDLP)와,
    상기 SDLP의 최대값(SDLPmax), 및
    상기 SDLP 최대값의 표준값인 SDLPmax_s에 대한 측정된 SDLPmax의 증감율(SDLP%)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집중도 판정단계는 상기 도로 난이도 판정단계에서
    난이도가 낮은 도로로 판정된 상황에서는 상기 SDLP%의 값이 소정 기준값(V6) 보다 클 때,
    난이도가 높은 도로로 판정된 상황에서는 상기 SDLP%의 값이 소정 기준값(V7) 보다 클 때, 운전집중도를 레벨3로 판정하는 제4 집중도 판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 집중도 판단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집중도 판정단계는 상기 제4 집중도 판정단계에서, 상기 SDLP%의 값이 운전집중도 레벨3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이때의 운전집중도를 레벨4로 판정하는 제5 집중도 판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 집중도 판단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집중도 판정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운전집중도가 레벨4에 도달하는 횟수를 계수하는 레벨4 계수단계와,
    이 레벨4 계수단계에 의해 계수된 값이 소정 값에 이르게 되면 이때의 파라미터를 상기 기준데이터로 재설정하는 기준데이터 재설정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 집중도 판단 방법.
KR20110106078A 2011-10-17 2011-10-17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 집중도 판단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27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06078A KR101327007B1 (ko) 2011-10-17 2011-10-17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 집중도 판단 방법 및 그 시스템
US13/368,481 US9082285B2 (en) 2011-10-17 2012-02-08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vehicle driving status information-based driving concentration
CN201210045174.0A CN103042922B (zh) 2011-10-17 2012-02-24 确定基于车辆驾驶状态信息的驾驶集中度的系统和方法
ES12167462.6T ES2642113T3 (es) 2011-10-17 2012-05-10 Sistema y procedimiento para determinar la concentración de un conductor basándose en información de estado de la conducción de un vehículo
EP12167462.6A EP2584548B1 (en) 2011-10-17 2012-05-10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vehicle driving status information-based driver concentration
JP2012206737A JP6134112B2 (ja) 2011-10-17 2012-09-20 車両運行状態情報基盤の運転集中度判断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06078A KR101327007B1 (ko) 2011-10-17 2011-10-17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 집중도 판단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671A true KR20130041671A (ko) 2013-04-25
KR101327007B1 KR101327007B1 (ko) 2013-11-13

Family

ID=46396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106078A KR101327007B1 (ko) 2011-10-17 2011-10-17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 집중도 판단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82285B2 (ko)
EP (1) EP2584548B1 (ko)
JP (1) JP6134112B2 (ko)
KR (1) KR101327007B1 (ko)
CN (1) CN103042922B (ko)
ES (1) ES264211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40227B2 (en) * 2012-08-14 2016-05-17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lane keep assist system
DE102013223989A1 (de) * 2013-11-25 2015-05-2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Detektieren des Aufmerksamkeitszustands des Fahrers eines Fahrzeugs
US9487235B2 (en) 2014-04-10 2016-11-08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control system with adaptive wheel angle correction
JP6496982B2 (ja) * 2014-04-11 2019-04-10 株式会社デンソー 認知支援システム
KR102228559B1 (ko) 2014-10-13 2021-03-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자 피로 감지 방법 및 시스템
US10713506B2 (en) 2014-12-18 2020-07-14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vision system with 3D registration for distance estimation
US9946940B2 (en) 2014-12-18 2018-04-17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vision system with adaptive lane marker detection
DE112016001839B4 (de) * 2015-04-23 2022-03-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räsentationsplan-erzeugungsvorrichtung, informations-präsentationsvorrichtung und präsentationsplan-erzeugungsverfahren
US10449899B2 (en) 2015-05-08 2019-10-22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vision system with road line sensing algorithm and lane departure warning
DE102015219465A1 (de) * 2015-10-08 2017-04-1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mittlung der adaptiven Reaktionszeit des Fahrers eines Kraftfahrzeugs
DE102015221651B4 (de) 2015-11-04 2018-03-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und System zum Vermeiden von Konzentrationsfehlern beim Führen eines Kraftfahrzeugs
DE102015224555A1 (de) * 2015-12-08 2017-06-0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Fahrzeugs
US10227039B1 (en) * 2018-02-19 2019-03-12 Delphi Technologies, Llc Warning system
KR102479049B1 (ko) * 2018-05-10 2022-1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행상황 판단 정보 기반 운전자 상태 인식 장치 및 방법
US10552986B1 (en) * 2018-07-20 2020-02-04 Banuba Limited Computer systems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s configured to track multiple eye-gaze and heartrate related parameters during users' interaction with electronic computing devices
CN110766912B (zh) * 2018-07-27 2022-03-18 长沙智能驾驶研究院有限公司 驾驶预警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769273A (zh) * 2018-08-24 2018-11-06 北斗航天汽车(北京)有限公司 基于角度传感器的驾驶行为推送方法及推送系统
FR3090171B1 (fr) * 2018-12-13 2021-01-29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Procédé de détermination d’un niveau de somnolence d’un conducteur de véhicule
KR20220051735A (ko) 2020-10-19 2022-04-26 곽건호 스마트 운전자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CN113781773B (zh) * 2021-08-17 2023-01-03 深圳市诺龙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交通运行评估方法、装置、系统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1459B2 (ja) * 1991-09-30 2000-07-10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ドライバーの異常操舵判定装置
JP3039327B2 (ja) * 1995-06-30 2000-05-08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車両走行状態検出装置及び居眠り運転警報装置
JPH09270098A (ja) 1996-04-02 1997-10-14 Mitsubishi Motors Corp 車線逸脱警報装置
JP3843513B2 (ja) * 1996-12-24 2006-11-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警報装置
JP2000211543A (ja) 1999-01-26 2000-08-02 Mazda Motor Corp 車両の運転支援装置
JP3492963B2 (ja) * 1999-04-05 2004-02-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運転状況監視装置
JP3482166B2 (ja) * 1999-12-08 2003-12-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運転状況監視装置
JP2001213189A (ja) * 2000-02-02 2001-08-07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運転操作監視装置
JP2002183900A (ja) 2000-12-14 2002-06-28 Nissan Motor Co Ltd 居眠り運転警報装置
CN2509015Y (zh) * 2001-11-16 2002-09-04 陈禄萍 驾驶员疲劳检测报警装置
DE10241624A1 (de) 2002-09-04 2004-04-01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kennung des Aufmerksamkeitgrades eines Fahrzeugführers
US7639148B2 (en) 2003-06-06 2009-12-29 Volvo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vehicular subsystems based on interpreted driver activity
EP1914106A3 (en) 2003-06-06 2008-09-24 Volvo Technology Corporation An atten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4366145B2 (ja) * 2003-08-26 2009-11-1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運転者の覚醒度推定装置及び覚醒度推定方法
DE10343683A1 (de) 2003-09-20 2005-04-21 Daimler Chrysler Ag Informationssystem für Kraftfahrzeuge
JP4225229B2 (ja) * 2004-03-30 2009-02-18 三菱ふそうトラック・バス株式会社 覚醒度判定装置
EP1674375B1 (en) * 2004-12-20 2009-03-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determining a measure for evaluating the behaviour of a driver of a vehicle
JP4716371B2 (ja) * 2006-05-19 2011-07-06 富士通株式会社 移動体用運転支援装置
JP4882766B2 (ja) 2007-01-30 2012-02-22 株式会社デンソー 覚醒度算出装置
KR100899660B1 (ko) 2007-11-26 2009-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운전 집중도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100028253A (ko) 2008-09-04 2010-03-1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운전 보조 장치 및 운전 보조 방법
WO2011045936A1 (ja) * 2009-10-15 2011-04-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運転注意量判別装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1704367A (zh) * 2009-11-03 2010-05-12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道偏离预警装置及预警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89233A (ja) 2013-05-13
US20130093888A1 (en) 2013-04-18
KR101327007B1 (ko) 2013-11-13
EP2584548A1 (en) 2013-04-24
US9082285B2 (en) 2015-07-14
JP6134112B2 (ja) 2017-05-24
ES2642113T3 (es) 2017-11-15
CN103042922B (zh) 2016-12-28
EP2584548B1 (en) 2017-07-12
CN103042922A (zh) 201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007B1 (ko)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 집중도 판단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05679B1 (ko) 차량 위치 정보 기반 비정상 운전 판정 및 경보 시스템
TWI447039B (zh) 駕駛行為分析警示系統與方法
CN108372785B (zh) 一种基于图像识别的汽车非安全驾驶检测装置及检测方法
EP2380766B1 (en) Impaired Operation Detection Method and Impaired Operation Detection System
KR100957283B1 (ko) 졸음운전 위험판정장치
US20080021608A1 (en) Method And Device For Driver Assistance
US80310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er assistance
KR102048186B1 (ko) 차량의 주행 패턴을 이용한 졸음 운전 판단 장치 및 방법
KR101338582B1 (ko) 운전 집중도 기반의 차선유지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10901385B (zh) 一种基于驾驶员疲劳状态的主动限速方法
CN112373478A (zh) 一种疲劳驾驶预警方法及装置
CN114194197B (zh) 一种危险驾驶预警方法、装置、设备和相关系统
CN114801993B (zh) 一种汽车盲区监控系统
US116080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driver
CN114987502A (zh) 一种驾驶状态监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以及存储介质
CN106682295A (zh) 一种用于驾驶员实时安全特性评估的分析方法
CN111703428B (zh) 一种基于车路协同的疲劳驾驶监测方法
CN105575116B (zh) 汽车导航远程监控系统
CN104636723B (zh) 基于视频图像中特定物体影像分析的行车预警方法
KR20220082500A (ko) 운전자 및 차량 외, 내부의 직, 간접적인 영향 분석을 통한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CN110065468A (zh) 一种出租车违规自动提醒系统及方法
KR20100080136A (ko) 졸음운전에 의한 충돌 회피장치
Durgaa Chandrakala et al. Proactive integrated detection of eye blinking & yawning to identify sleepy driver and alert based auto-braking system for speed control
KR20170004242A (ko) 차선 파라미터 정보를 이용한 운전 패턴 분석 및 운전자 위험 판단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