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0592A -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 Google Patents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0592A
KR20130040592A KR1020110105450A KR20110105450A KR20130040592A KR 20130040592 A KR20130040592 A KR 20130040592A KR 1020110105450 A KR1020110105450 A KR 1020110105450A KR 20110105450 A KR20110105450 A KR 20110105450A KR 20130040592 A KR20130040592 A KR 20130040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cup
lid
holder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8006B1 (ko
Inventor
배수원
Original Assignee
배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수원 filed Critical 배수원
Priority to KR1020110105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006B1/ko
Priority to PCT/KR2012/005332 priority patent/WO2013005998A2/ko
Publication of KR20130040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6Combined or separable sets of table-service utensils; Oyster knives with openers; Fish servers with means for removing b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021/002Table-ware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봉 후 뜨거운 물을 부은 다음 덮개를 덮은 후 덮개가 개봉되지 않도록 협지하여 수증기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라면이 단시간 내에 충분히 익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포크를 결속하여 포크를 이용하여 라면과 반찬을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측에 복수 개의 포크 날(11)이 형성되고 타측에 결속구멍(13)이 형성된 포크(10)와, 일측 단부에 상기 결속구멍에 결속되는 결속바(21)가 돌출되고, 상기 결속판(21)의 타측 단부에 컵라면 용기(30)의 상단턱(31) 및 덮개(32)가 끼워지도록 고정공간이 마련된 용기고정부로 이루어진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HOLDER FOR CUP RAMEN COVER WITH FORK}
본 발명은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컵라면 용기를 개봉 후 뜨거운 물을 부은 다음 덮개을 덮고 열리지 않도록 협지하여 수증기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포크(fork)를 결속하여 라면이나 김치 등을 먹을 수 있도록 한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틸렌 수지 등으로 제작된 용기에 식품 내용물을 넣고 에칠렌 수지 등으로 코팅된 종이 덮개를 용기 상부에 가열 압착하여 생산되는 컵라면은 조리를 위하여 덮개의 일부를 개봉하고 스프류와 끓는 물을 부은 후 개봉했던 부분의 덮개를 다시 덮어서 요구되는 조리시간 동안 유지한 후 덮개를 재 개봉하여 먹도록 되어 있다.
이때 종래의 컵라면 용기는 개봉했던 덮개 부분을 다시 덮어 고정하는 방법이 개봉 시 손잡이로 이용되는 덮개의 돌출부를 용기의 상단턱 하부로 접어서 고정하였다.
그러나 손잡이 부분의 고정력이 약할 뿐 아니라 수증기로 인해 덮개가 쉽게 변형되어 덮개가 쉽게 열리므로 뜨거운 수증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서 라면이 잘 익지 않는 등의 폐단이 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소비자는 라면을 익히는 조리시간 동안 종이뚜껑 상부에 책 등의 물체를 올려 놓는 방법으로 덮개가 개봉되지 않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불편할 뿐 아니라 하부가 상부보다 작은 면적으로 되어 있는 용기의 형태의 특성을 비롯하여 상부쪽에 위치하게 되는 무게중심 때문에 작은 충격에도 용기가 넘어질 우려가 높은 위험한 방법이었으며, 또한 야외와 같이 평탄하고 안정된 장소가 없을 경우는 종이뚜껑 상부에 물체를 올려 놓는 것 자체가 불가능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리 중의 이동과 같이 내용물이 출렁거리게 될 경우 쉽게 그 내용물이 흘러 넘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개봉 후 뜨거운 물을 부은 다음 덮개를 덮은 후 덮개가 개봉되지 않도록 협지하여 수증기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라면이 단시간 내에 충분히 익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포크를 결속하여 포크를 이용하여 라면과 반찬을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한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복수 개의 포크 날(11)이 형성되고 타측에 결속구멍(13)이 형성된 포크(10)와, 일측 단부에 상기 결속구멍에 결속되는 결속바(21)가 돌출되고, 상기 결속판(21)의 타측 단부에 컵라면 용기(30)의 상단턱(31) 및 덮개(32)가 끼워지도록 고정공간이 마련된 용기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포크 날(11) 중 적어도 하나는 파형으로 굴곡부(1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최 외곽에 위치한 포크 날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에 칼날(120)이 형성되어 나이프 대용으로 사용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컵라면 용기의 상단척과 덮개를 동시에 끼움 고정하는 구조를 통해 덮개의 일부를 개봉 후 뜨거운 물을 부은 다음 다시 덮개를 덮고 열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협지하여 수증기의 유실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라면이 단시간에 충분히 익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홀더의 일측에 포크를 연장 설치하는 경우 포크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먹을 수 있게 되어 편리하며, 포크 날의 가장자리를 날카롭게 하는 경우 음식물을 자를 수 있는 나이프(knife)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의 조립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배면측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평면측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의 평면측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의 배면측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의 조립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의 평면측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의 배면측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의 조립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에서 포크의 변형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이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또한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기술이거나 용이하게 도출되는 정도의 기술에 대해서는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식물을 먹을 수 있도록 마련된 포크(10)와, 상기 포크(10)의 일측면에 탈부착 가능한 용기고정부(210)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크(10)는 통상적인 형태와 같이 일측에 복수 개의 포크 날(1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단부에서 내측으로 결속구멍(13)이 형성된다.
상기 용기고정부(210)는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컵라면 용기(30)의 상단턱(31) 및 덮개(32)가 끼워지도록 하는 고정공간이 마련된 것으로, 용기고정부(21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결속구멍(13)에 삽입되어 결속되는 결속바(21)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속구멍(13) 내부에는 단턱(14)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바(21)의 단부에는 결속바(21)가 결속구멍(13)에 삽입되었을 때 다시 빠지지 않도록 상기 단턱(14)에 체결되는 돌기(22)가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돌기의 돌출 형상은 직각삼각형 형태이다.
이와 같이 하면 용기고정부(210)를 이용하여 컵라면 용기(30)와 덮개(32)를 고정하여 라면을 익한 다음, 포크(10)를 결속하여 라면을 취식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포크 날(11) 중 적어도 하나는 파형으로 굴곡이 진 굴곡부(1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골국부(110)는 라면과 같이 길이가 긴 음식물을 걸어서 잘 빠지지 않도록 하므로 포크(10)에 라면을 걸었을 때 쉽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배면측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평면측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고정부(210)는, 상기 결속바(21)의 타측 단부에서 일정 길이 연장된 연결대(23)와, 상기 연결대(23)의 양 측벽에서 접이부(211)를 통해 연결된 한 쌍의 측벽(212)이 상기 접이부(211)를 통해서 굽힘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측벽(212)은 각각 호(弧) 형으로 연장된다.
상기 접이부(211)는 상기 연결대(23)와 측벽(212)을 선 형태로 연결하되 연결되는 부분의 두께를 얇게 하여 상호 굽힘이 가능하게 한 것으로,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을 이용하여 재조하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측벽(212)의 상단에는 각 측벽(212)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부플랜지(213)가 연장 돌출되며, 상기 용기고정부(210)가 컵라면용기(30)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상부플랜지(213)의 하면은 덮개(32)의 상면에 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측벽(212)의 하단에는 각 측벽(212)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하부플랜지(214)가 연장 돌출되며, 상기 용기고정부(210)가 컵라면용기(30)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하부플랜지(214)의 상면은 용기의 상단턱(32)의 하면에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고정부(210)의 고정공간(215)은 한 쌍의 각 측벽(212)과, 상부플랜지(213) 및 하부플랜지(214) 사이에 위치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상부플랜지(213)의 돌출 단부를 직선 형태로 하고, 상기 하부플랜지(214)의 돌출 단부를 호(弧) 형으로 하면 상부플랜지(213)와 덮개(32)의 접촉면을 늘리게 되므로 덮개(3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의 평면측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의 배면측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식물을 먹을 수 있도록 마련된 포크(10)와, 상기 포크(10)의 일측면에 탈부착 가능한 용기고정부(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크(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용기고정부(220)와의 결속 구조는 제1실시예와 같으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용기고정부(220)는, 상기 결속바(21)의 타측 단부에서 바 형태로 일정 길이 연장된 측벽(221)을 포함한다.
상기 측벽(221)은 길이 방향의 일 측면은 개방된 형태로 되나 세개의 측면은 폐쇄된 형태를 가진다. 즉 길이 방향의 양 측면 중 일측은 개방되어 고정공간(224)의 입구를 형성하고 타측은 폐쇄된 형태이며,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는 각각 폐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벽(211)의 상단에는 세개의 측면을 가진 측벽(211)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플랜지(222)가 형성되고, 측벽(211)의 하단에는 세개의 측면을 가진 측벽(211) 하부를 폐쇄하는 하부플랜지(223)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공간(224)은 세개 측면을 가진 측벽(211), 상부플랜지(222) 및 하부플랜지(223) 사이에 위치하고 이 공간(224)에 용기(30)의 상단턱(31)과 덮개(32)를 끼울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측벽(211) 중 길이방향의 폐쇄된 측면은 호(弧) 형으로 하고, 또한 상부플랜지(222)의 돌출 단부를 직선 형태로 하며, 상기 하부플랜지(223)의 돌출 단부를 호(弧) 형으로 하면 상부플랜지(222)와 덮개(32)의 접촉면을 늘리게 되므로 덮개(3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의 평면측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의 배면측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식물을 먹을 수 있도록 마련된 포크(10)와, 상기 포크(10)의 일측면에 탈부착 가능한 용기고정부(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크(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용기고정부(230)와의 결속 구조는 제1실시예와 같으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상기 용기고정부(230)는, 상기 결속바(21)의 타측 단부에서 일정 폭과 두께를 가지고 직선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직선연장부(231)와, 상기 직선 연장부(231)의 단부에서 호 형으로 연장된 원호연장부(232) 및 상기 원호연장부(232)의 내주면 전체 길이에서 내측으로 홈이 패여 컵라면 용기와 덮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간을 형성하는 고정홈(2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홈(233)은 도시한 것과 같이 직선연장부(231)에서 더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재품 중량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사출 성형시 두께에 의한 수축 변형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시한 것과 같이 용기고정부(230)가 포크(10)와 결속되었을 때 용기고정부(230)가 손잡이 기능을 가지는 점을 고려하여 상기 원호연장부(232)의 원호 돌출 방향은 포크(10)의 상면으로 돌출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그 돌출 방향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4]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에서 포크의 변형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기재된 포크(10)를 변형한 것으로, 최외곽에 위치한 포크 날(11)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를 날카로운 칼날(120)을 형성하여 나이프(knife)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포크(10)를 세운 상태에서 상기 칼날(120)을 이용하여 라면이나 김치 등 소정의 음식물을 절단할 수 있으므로 나이프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이상의 설명은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포크(fork) 11: 포크 날
12: 연결대 13: 결속구멍 14: 단턱
110: 굴곡부 120: 칼날
21: 결속바 22: 돌기 23: 연결대
210: 용기고정부 211: 접이부
212: 측벽 213: 상부플랜지
214: 하부플랜지 215: 고정공간
220: 용기고정부 221: 측벽
222: 상부플랜지 223: 하부플랜지 224: 고정공간
230: 용기고정부 231: 직선연장부
232: 원호연장부 233: 고정홈
30: 컵라용 용기 31: 상단턱 32: 덮개

Claims (10)

  1. 일측에 복수 개의 포크 날(11)이 형성되고 타측에 결속구멍(13)이 형성된 포크(10);
    일측 단부에 상기 결속구멍에 결속되는 결속바(21)가 돌출되고, 상기 결속판(21)의 타측 단부에 컵라면 용기(30)의 상단턱(31) 및 덮개(32)가 끼워지도록 고정공간이 마련된 용기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멍(13) 내부에 단턱(14)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바(21)의 단부에 상기 단턱(14)에 체결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2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날(11) 중 적어도 하나는 파형으로 굴곡부(1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4. 제 1항에 있어서,
    최 외곽에 위치한 포크 날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에 칼날(1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고정부는,
    상기 결속바(21)의 타측 단부에서 일정 길이 연장된 연결대(23)와,
    상기 연결대(23)의 양 측벽에서 접이부(211)를 통해 굽힘 가능하고 호(弧) 형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벽(212)과,
    상기 각 측벽(212)의 상단에서 각 측벽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덮개(32)의 상면에 접하도록 한 상부플랜지(213)와,
    상기 각 측벽(212)의 하단에서 각 측벽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상단턱(32)의 하면에 접하도록 한 하부플랜지(214)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공간이 측벽,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213)의 돌출 단부는 직선이고, 상기 하부플랜지(214)의 돌출 단부는 호(弧) 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고정부는,
    상기 결속바(21)의 타측 단부에서 바 형태로 일정 길이 연장되되, 길이 방향의 일 측면은 개방된 형태로 세개의 측면을 가진 측벽(221)과,
    상기 측벽(211)의 상단을 폐쇄한 상부플랜지(222)와,
    상기 측벽(211)의 하단을 폐쇄한 하부플랜지(223)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공간이 측벽,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211) 중 길이방향의 측면은 호(弧) 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9. 제 8항에 있어서,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222)의 돌출 단부는 직선이고, 상기 하부플랜지(223)의 돌출 단부는 호(弧) 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고정부는,
    상기 결속바(21)의 타측 단부에서 직선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직선연장부(231)와,
    상기 직선 연장부의 단부에서 호 형으로 연장된 원호연장부(232)와,
    상기 원호연장부(232)의 내주면 전체 길이에서 내측으로 홈이 패여 상기 고정공간을 형성하는 고정홈(23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KR1020110105450A 2011-07-05 2011-10-14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KR101308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450A KR101308006B1 (ko) 2011-10-14 2011-10-14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PCT/KR2012/005332 WO2013005998A2 (ko) 2011-07-05 2012-07-05 컵라면 뚜껑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450A KR101308006B1 (ko) 2011-10-14 2011-10-14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592A true KR20130040592A (ko) 2013-04-24
KR101308006B1 KR101308006B1 (ko) 2013-09-12

Family

ID=48440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450A KR101308006B1 (ko) 2011-07-05 2011-10-14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0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83640A (zh) * 2014-02-20 2014-05-14 江西华达昌食品有限公司 直条米粉搓散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166B1 (ko) 2021-02-10 2023-03-14 김근형 포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9781U (ko) * 1975-05-02 1976-11-11
JPS6195374U (ko) * 1984-11-28 1986-06-19
KR950029379U (ko) * 1994-04-01 1995-11-17 강희승 칼날구조를 갖는 포크
KR20090122785A (ko) * 2008-05-26 2009-12-01 박창진 숟가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83640A (zh) * 2014-02-20 2014-05-14 江西华达昌食品有限公司 直条米粉搓散装置
CN103783640B (zh) * 2014-02-20 2016-01-20 江西华达昌食品有限公司 直条米粉搓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8006B1 (ko) 201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0592A (ko)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JP2014196138A (ja) 食品容器
US20010033882A1 (en) Food container with a utensil receiving structure
JP2017226448A (ja) 容器
KR101636752B1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KR102297809B1 (ko)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
JP3113943U (ja) カップ形容器用ホルダー
KR20180000716U (ko) 하나의 박스함체에 양쪽으로 덮개가 형성된 포장박스
KR101907169B1 (ko) 꼬치용 포장상자
JP3204124U (ja) 食品容器
KR101574013B1 (ko)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KR101287978B1 (ko) 일회용 조리용기
KR101437520B1 (ko)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KR200398299Y1 (ko) 햄버거 포장용 박스
RU146282U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упаковка (варианты)
KR20110005645U (ko) 치킨 배달용 포장상자
RU123310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столовый прибор-трансформер
KR200474424Y1 (ko) 일회용 음식 용기
KR101239069B1 (ko) 간편식 포장용기
KR200429167Y1 (ko) 체결부가 형성된 일회용 포장용기
JP3729418B1 (ja) 食品容器パッケージ
KR20090010685U (ko) 소스 수납부가 내부에 형성된 종이 용기
KR20140002680U (ko) 음식물 포장용기
JP6316682B2 (ja) 食品調理性に優れた収納体
KR200429349Y1 (ko) 꼬치용 도시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