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166B1 - 포크 - Google Patents

포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166B1
KR102509166B1 KR1020210018768A KR20210018768A KR102509166B1 KR 102509166 B1 KR102509166 B1 KR 102509166B1 KR 1020210018768 A KR1020210018768 A KR 1020210018768A KR 20210018768 A KR20210018768 A KR 20210018768A KR 102509166 B1 KR102509166 B1 KR 102509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disposed
locking
grip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5161A (ko
Inventor
김근형
Original Assignee
김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형 filed Critical 김근형
Priority to KR1020210018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166B1/ko
Publication of KR20220115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A47G21/023Forks; Forks with ejectors
    • A47G21/026Forks; Forks with ejectors comprising means for rotating the fork, e.g. rotating spaghetti for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립바디; 상기 그립바디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그립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넥; 상기 넥에 결합되고, 상기 그립바디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 블레이드바디; 상기 블레이드바디에서 상기 그립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에 배치된 걸림바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된 걸림바디에 라면이나 스파게티 같은 누들 종류의 음식물이 용이하게 걸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포크{Fork}
본 발명은 포크에 관한 것이다.
포크는 음식물을 찍는 포크날(예컨대, 이지창, 삼지창, 사지창 등)과 손잡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크날과 손잡이는 일체 또는 결합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일체 형성되는 경우에는 통상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손잡이 상단부 일부분만이 다른 재질로 형성되며, 포크날과 손잡이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통상 포크날은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들고 손잡이는 단단한 나무·도기·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된다.
일반적인 포크 형태는 음식물을 찍어 들어올릴 때 포크날로부터 음식물이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예컨대, 라면이나 스파게티 같은 누들 종류의 음식물을 먹을 때 포크날에 감긴 면발이 쉽게 흘러내려 한번에 원하는 양만큼 섭취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2225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08006호
본 발명은 라면이나 스파게티 같은 누들 종류의 음식물이 용이하게 걸릴 수 있는 포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라면이나 스파게티 같은 누들 종류의 음식물이 용이하게 걸릴 수 있고, 음식물의 섭취과정에서 상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포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바닥에 놓았을 때 포크의 블레이드가 바닥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포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라면이나 스파게티 같은 누들 종류의 음식물이 이격공간으로 진입이 용이하되 이격공간에서 이탈이 어려운 걸림바디의 형상 및 배치가 구현된 포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그립바디; 상기 그립바디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그립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넥; 상기 넥에 결합되고, 상기 그립바디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 블레이드바디; 상기 블레이드바디에서 상기 그립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에 배치된 걸림바디;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상기 블레이드들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바디는 상기 이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바디는, 상기 이격공간측 면에 결합된 제 1 걸림부; 상기 제 1 걸림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걸림부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게 배치된 제 2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걸림부는 상기 그립바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넥 측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바디가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된 걸림바디에 라면이나 스파게티 같은 누들 종류의 음식물이 용이하게 걸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된 걸림바디의 두께가 블레이드 두께 이내로 형성되기 때문에 음식물의 섭취과정에서 상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포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그립바디에 레그를 배치하여 바닥에 놓았을 때 포크의 블레이드가 바닥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걸림바디 및 블레이드 사이의 간격이 좁고 이격공간 안의 제 2 이격공간의 간격이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이격공간으로의 진입이 용이하지만, 제 2 이격공간에서 이탈이 어렵고, 이를 통해 누들 종류의 음식물이 용이하게 걸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포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포크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포크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포크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포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일부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크는 누들 또는 파스타 등과 같이 두께가 얇은 음식물이 걸리는 걸림바디(30)가 배치되는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크는, 그립바디(10)와, 상기 그립바디(10)에 결합되는 포크바디(20)와, 상기 포크바디(20)에 배치된 걸림바디(30)를 포함한다.
상기 그립바디(1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쥘 수 있는 형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그립바디(1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그립바디(10)는 외측면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그립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12)는 일단(11) 및 타단(13)의 중간에 배치된다.
상기 그립부(12)는 상기 그립바디(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12)는 상기 그립바디(10)의 외측면에서 d 만큼 중심축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그립부(12)는 그립바디(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12)의 곡률중심은 상기 중심축(C)의 반대 방향에 배치된다.
상기 그립부(12)는 사용자의 엄지 및 검지 사이에 위치된 제1배측골간근 주변을 지지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포크바디(20)는 상기 그립바디(10)의 일단(11)에 결합된다.
상기 포크바디(20)는 상기 그립바디(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그립바디(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넥(22)과, 상기 넥(22)에 결합되고, 상기 그립바디(10)의 직경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 블레이드바디(24)와, 상기 블레이드바디(24)에서 그립바디(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블레이드(2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넥(22)이 상기 포크바디(20)의 구성이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넥(22)이 상기 그립바디(10)와 일체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포크는 금속재질로 제작되고, 이 경우 상기 넥(22) 및 블레이드바디(24)는 용접 등의 이음방법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포크가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포크 전체가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넥(22)의 폭(W1)은 상기 그립바디(10)의 폭(W0) 보다 좁게 형성된다.
상기 넥(22)이 상기 그립바디(10)의 일단(1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넥(22)이 상기 그립바디(10)의 일단(11)과 일체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넥(22)은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넥(22)은 원통형태일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바디(24)는 플레이트 형태이다.
상기 블레이드바디(24)의 폭은 상기 그립바디(10)의 폭(W0) 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블레이드바디(24)에서 복수개의 블레이드(26)가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블레이드(26)는 4개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블레이드(26)는 2개, 3개 등 다양한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블레이드(26)들이 이격되어 이격공간(28)을 형성한다. 상기 이격공간(28)은 그립바디(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격공간(28)은 블레이드바디(24) 측만 폐쇄되고 나머지 면은 모두 개방된다.
상기 블레이드(26)의 단(26a) 측을 상기 이격공간(28)의 입구(28a)라 정의한다.
상기 이격공간(28)은 상기 블레이드바디(24) 측에서 상기 단(26a) 측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배치된다.
상기 걸림바디(30)는 상기 이격공간(28)에 배치된다.
상기 걸림바디(30)는 상기 블레이드(26)에 배치되고, 상기 이격공간(28)으로 돌출된다.
상기 걸림바디(30)는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26)에서 인접한 블레이드(26)를 향해 돌출된다. 상기 걸림바디(30)는 블레이드(26)가 없는 방향으로는 돌출되지 않는다.
상기 걸림바디(30)가 인접한 블레이드(26)가 아닌 외측으로 돌출되는 경우, 음식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입안에 상처를 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바디(30)는 상기 블레이드(26)의 두께 내에 배치된다. 즉, 상기 걸림바디(30)가 상기 블레이드(26)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될 경우, 음식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입안에 상처를 낼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6)는 인접한 블레이드(26)를 향하게 배치된 면(27)과 외측을 향하게 배치된 면(29)을 포함한다.
즉, 가장 좌측 또는 가장 우측에 배치된 블레이드는 이격공간(28)을 향하는 면(27)과, 외측을 향하는 면(29)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들 사이에 배치되는 블레이드는 양쪽 면이 모두 이격공간(28)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걸림바디(30)는 상기 블레이드(26)의 이격공간측 면(27)에 결합된 제 1 걸림부(32)와, 상기 제 1 걸림부(32)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걸림부(32)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게 배치된 제 2 걸림부(34)를 포함한다.
상기 이격공간(28)에서 입구(28a)에서 걸림바디(30)까지를 제 1 이격공간이라 하고, 상기 걸림바디(30)에서 이격공간(28)의 안쪽 단(28b)까지는 제 2 이격공간이라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걸림부(32) 및 제 2 걸림부(34)는 교차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걸림부(32) 및 제 2 걸림부(34)는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걸림부(32)는 상기 인접한 블레이드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걸림부(32)는 상기 그립바디(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걸림부(32)는 상기 블레이드바디(24)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걸림부(32)는 단(26a)의 반대 측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걸림부(32)는 상기 넥(22) 측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걸림부(32)가 상기 그립바디(10)의 길이 방향이 대하여 직교하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상기 제 1 걸림부(32)는 인접한 블레이드(26)의 단(26a) 측으로는 경사지게 배치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걸림부(32)가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누들이 상기 제 2 이격공간으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고, 상기 제 2 이격공간으로 진입한 누들이 상기 제 1 이격공간으로 다시 이동되는 것은 어렵다.
포크가 세워질 경우, 상기 제 1 걸림부(32) 및 제 2 걸림부(34)는 모두 중력 반대 방향을 향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바디(30)의 배치를 통해 제 2 이격공간으로 진입된 누들이 상측을 향하는 제 1 걸림부(32) 및 제 2 걸림부(34)에 용이하게 걸릴 수 있고, 걸림을 형성한 누들이 중력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 2 걸림부(34)는 상기 그립바디(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 2 걸림부(34) 및 이격공간(28)을 향하는 면(27)은 이격된다.
상기 걸림바디(30)의 돌출길이는 상기 이격공간(28)의 폭(W3)의 1/2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격공간(28)의 폭(W3)의 단측으로 갈수록 길어진다.
상기 걸림바디(30)가 인접한 블레이드(26) 측으로 과도하게 돌출될 경우, 누들이 상기 제 2 이격공간 측으로 이동되기 어렵다.
상기 이격공간(28)의 길이를 L이라 할 때, 상기 L을 1/2로 나누는 가상의 선을 D-D라 한다. 상기 걸림바디(30)는 블레이드(26)의 단(26a) 및 D-D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이격공간의 면적이 상기 제 1 이격공간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배치를 통해 상기 제 2 이격공간을 더 넓게 확보할 수 있고, 포크에 걸리는 누들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크는 젓가락 또는 포크의 사용이 미숙한 영유아가 음식물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포크는 손에 장애가 있는 장애우들의 음식섭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포크는 상기 그립바디(10)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레그(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그(40)는 상기 그립바디(10)의 일단(11) 측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그(40)는 상기 포크의 전체 길이의 중간을 기준으로 상기 포크바디(20)에 다 가깝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그(40)들은 그립부(12) 및 일단(1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레그(40)들은 상기 그립바디(10)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그(40)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12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포크가 바닥에 놓일 때, 상기 레그(40)가 바닥에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포크바디(20)가 바닥에서 이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포크바디(20)가 오염물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포크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크는 좌측에 배치된 제 1 블레이드(261)와, 우측에 배치된 제 2 블레이드(262)와, 상기 제 1 블레이드(261)에서 제 2 블레이드(262) 측으로 돌출된 제 1 걸림바디(130)와, 상기 제 2 블레이드(262)에서 제 1 블레이드(261) 측으로 돌출된 제 2 걸림바디(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걸림바디(130) 및 제 2 걸림바디(230)는 중심축(C)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상기 중심축(C)의 좌측에 상기 제 1 걸림바디(130)가 배치되고, 우측에 제 2 걸림바디(2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걸림바디(130) 및 제 2 걸림바디(230)의 구조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걸림바디(30)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 2 걸림바디(230)의 상단(230a)은 상기 D-D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 1 걸림바디(130)의 상단(130a)은 상기 D-D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걸림바디(130) 및 제 2 걸림바디(230)의 최단거리(F)는 제 1 걸림부(32)의 두께 또는 폭 보다 넓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누들이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걸림부(32)는 중심축(C)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제 2 걸림부(34)는 중심축(C)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걸림바디(230)의 제 1 걸림부(32)의 경사방향에 상기 제 1 걸림바디(130)가 배치된다.
특히 상기 제 2 걸림바디(230)의 제 1 걸림부(32)의 경사방향에 상기 제 1 걸림바디(130)의 제 1 걸림부(32)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1 걸림바디(130) 및 제 2 걸림바디(230) 사이를 좁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를 통해 음식물이 입구(28a)를 통해 이격공간(28)으로 진입하기는 쉽지만, 이격공간(28)에서 입구(28a) 밖으로 이탈되기는 어려운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걸림바디(130) 및 제 2 걸림바디(230)는 지그재그 형태로 분산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제 2 걸림공간에 더 용이하게 걸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 1 걸림바디(130) 및 제 2 걸림바디(230)의 두께는 상기 제 1 블레이드(261) 및 제 2 블레이드(262)의 두께와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크는 제 1 블레이드(261) 및 제 2 블레이드(262)만 구비하고, 이격공간(28)을 넓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큰 부피의 음식물과도 용이하게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포크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크는 걸림바디(330)가 아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걸림바디(330)는 인접한 블레이드(26)를 향하게 배치된 면(27)에서 돌출되고,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하나의 이격공간(28)에 복수개의 걸림바디(330)가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포크는 각 블레이드(26)에서 인접한 블레이드를 향해 돌출된 각각의 걸림바디(330)를 포함한다.
구분을 위해 좌측에서 우측으로 돌출된 걸림바디(330)들을 제 1 걸림바디(331)들이라 하고, 우측에서 좌측으로 돌출된 걸림바디(330)들을 제 2 걸림바디(332)들이라 한다.
상기 제 1 걸림바디(331)들은 블레이드(26)의 단(26a)을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걸림바디(332)들은 블레이드(26)의 단(26a)을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걸림바디(331) 및 제 2 걸림바디(332)의 최단거리는 걸림바디(300)의 두께 또는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걸림바디(331)들 및 제 2 걸림바디(332)들은 상기 D-D를 기준으로 블레이드(26)의 단(26a) 측에 배치된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포크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크는 제 2 실시예와 달리 1개의 걸림바디(430)만 배치되고, 상기 걸림바디(430)가 제 1 블레이드(261)의 단(61a)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바디(430)를 구성하는 제 1 걸림부(432)가 제 1 블레이드(261)의 단(61a)에서 상기 제 2 블레이드(262)를 향해 돌출된다.
상기 제 1 걸림부(432)가 제 1 블레이드(261)의 단(61a)에서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걸림바디(130) 및 제 1 블레이드(261)를 일체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제 1 걸림부(432)가 제 1 블레이드(261)의 단(61a)에서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걸림바디(430)를 상기 제 1 블레이드(261)에서 절곡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걸림바디(430)의 제 2 걸림부(434)는 중심축(C) 및 제 2 블레이드(26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걸림부(434) 및 제 2 블레이드(262) 사이의 간격(P1) 보다 상기 제 2 걸림부(434) 및 제 1 블레이드(261) 사이의 간격(P2)이 더 넓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간격(P1)을 통해 음식물이 진입한 음식물이 제 2 이격공간에 더 많이 걸려 저장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2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그립바디 20 : 포크바디
22 : 넥 24 : 블레이드바디
26 : 블레이드 28 : 이격공간
30 : 걸림바디 32 : 제 1 걸림부
34 : 제 2 걸림부

Claims (5)

  1. 그립바디(10);
    상기 그립바디(10)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그립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넥(22);
    상기 넥(22)에 결합되고, 상기 그립바디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 블레이드바디(24);
    상기 블레이드바디(24)에서 상기 그립바디(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좌측에 배치되는 제 1 블레이드(261);
    상기 블레이드바디(24)에서 상기 그립바디(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블레이드(262);
    상기 제 1 블레이드(261) 및 제 2 블레이드(262) 사이에 배치된 이격공간(28);
    상기 제 1 블레이드(261)에서 제 2 블레이드(262) 측으로 돌출된 제 1 걸림바디(130);
    상기 제 2 블레이드(262)에서 제 1 블레이드(261) 측으로 돌출된 제 2 걸림바디(230);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공간(28)은 상기 블레이드바디(24) 측에 배치된 안쪽 단(28b)과, 상기 제 1 블레이드(261) 및 제 2 블레이드(262)의 단(26a) 측에 배치된 입구(28a)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걸림바디(130)는, 상기 제 1 블레이드(261)의 이격공간(28) 측 면에 결합된 제 1 걸림바디의 제 1 걸림부와, 상기 제 1 걸림바디의 제 1 걸림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걸림바디의 제 1 걸림부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게 배치되어 상기 안쪽 단(28b)을 향하게 배치되는 제 1 걸림바디의 제 2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걸림바디(230)는, 상기 제 2 블레이드(262)의 이격공간(28) 측 면에 결합된 제 2 걸림바디의 제 1 걸림부와, 상기 제 2 걸림바디의 제 1 걸림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걸림바디의 제 1 걸림부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게 배치되어 상기 안쪽 단(28b)을 향하게 배치되는 제 2 걸림바디의 제 2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걸림바디(230)의 제 1 걸림부(32)의 경사방향에 상기 제 1 걸림바디(130)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걸림바디(130)가 상기 제 2 걸림바디(230) 보다 상기 안쪽 단(28b)에 가깝게 배치되며,
    상기 이격공간(28)의 길이를 1/2로 나누는 가상의 선을 D-D라 할 때,
    상기 제 2 걸림바디(230)의 상단(230a)이 상기 D-D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 1 걸림바디(130)의 상단(130a)이 상기 D-D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걸림바디(130) 및 제 2 걸림바디(230)의 최단거리(F)는 상기 제 1 걸림바디의 제 1 걸림부 두께 또는 폭 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그립바디(10)의 중심을 지나고, 상기 그립바디(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중심축(C)에 대해,
    상기 제 1 걸림부가 상기 중심축(C)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걸림부가 상기 중심축(C)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포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립바디(10)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레그(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레그(40)가 상기 넥(22)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레그(40)가 상기 그립바디(10)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레그(40)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120도 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포크가 바닥에 놓일 때, 상기 레그(40)가 바닥에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블레이드바디(24), 제 1 블레이드(261) 및 제 2 블레이드(262)가 바닥에서 이격되어 상기 포크바디(20)가 오염물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포크.

KR1020210018768A 2021-02-10 2021-02-10 포크 KR102509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768A KR102509166B1 (ko) 2021-02-10 2021-02-10 포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768A KR102509166B1 (ko) 2021-02-10 2021-02-10 포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161A KR20220115161A (ko) 2022-08-17
KR102509166B1 true KR102509166B1 (ko) 2023-03-14

Family

ID=83110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768A KR102509166B1 (ko) 2021-02-10 2021-02-10 포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16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271076Y (zh) * 2008-08-18 2009-07-15 张子钰 防滑叉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259Y1 (ko) 2003-05-16 2003-08-06 임의수 기능성 포크
KR101308006B1 (ko) 2011-10-14 2013-09-12 배수원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KR20180003160U (ko) * 2017-04-27 2018-11-06 김기동 포크
KR102181150B1 (ko) * 2019-01-07 2020-11-20 (주)엠제이케미칼 파스타면 감김부가 구비된 다기능 젓가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271076Y (zh) * 2008-08-18 2009-07-15 张子钰 防滑叉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161A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99932A1 (en) Eating tool
US20130133207A1 (en) Post on Eating Utensil
KR102509166B1 (ko) 포크
US3727306A (en) Spoon construction
JP3204333U (ja) ヒンジ機構付き箸
US20100325896A1 (en) Food handling utensil
US10973350B2 (en) Eating utensil for feeding infants
JP2010187968A (ja) 起立して浮くことが出来る中空箸
US2607988A (en) Lobster fork
KR102181150B1 (ko) 파스타면 감김부가 구비된 다기능 젓가락
US20040200076A1 (en) Themed eating utensils
KR200469596Y1 (ko) 트레이닝 젓가락
KR20180003160U (ko) 포크
JP4676023B1 (ja) 麺用箸
JP3158497U (ja) フォーク
KR200374810Y1 (ko) 면류의 파지가 용이한 굴곡형포크
JP5756217B1 (ja) 点心成型具の係合構造
JP3023052U (ja) スプーン
US5390417A (en) Spaghetti fork and separator system
KR20080004573U (ko) 포크
JP3197387U (ja) 竹製にみせた樹脂製器
JP2007000565A (ja)
KR101378515B1 (ko) 트레이닝 젓가락
KR20170078181A (ko) 유아용 스푼
KR200307040Y1 (ko) 젓가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