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809B1 -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809B1
KR102297809B1 KR1020190114713A KR20190114713A KR102297809B1 KR 102297809 B1 KR102297809 B1 KR 102297809B1 KR 1020190114713 A KR1020190114713 A KR 1020190114713A KR 20190114713 A KR20190114713 A KR 20190114713A KR 102297809 B1 KR102297809 B1 KR 102297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oking
container
storage container
foo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3231A (ko
Inventor
성세창
Original Assignee
에코그린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그린 (주) filed Critical 에코그린 (주)
Priority to KR1020190114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809B1/ko
Publication of KR20210033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over a heat source, e.g. a hob, campfi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ckage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을 보관하는 보관용기 내부에 조리용기를 수납시켜 보관용기에 보관된 음식물을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가열 조리가 가능하므로 별도의 조리용 냄비 없이도 가열 조리가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보관용기와 조리용기에 별도로 음식물을 포장시킬 수 있어서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Food packaging container with cooking container}
본 발명은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보관하는 음식물 저장용기 내부에 조리용기를 수납시켜 음식물 저장용기에 보관된 음식물을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가열 조리가 가능하므로 별도의 조리용 냄비 없이도 가열 조리가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 저장용기와 조리용기에 별도로 음식물을 포장시킬 수 있어서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행 도중 또는 야외에서 음식물을 조리해서 먹기 위해서는 휴대용 가스레인지 또는 버너 등과 같은 조리 장치에 조리용기를 올려놓고 여기에 조리할 대상물인 음식물들을 투입하여 가열하면서 조리하게 된다.
즉,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과 같은 재질로 제작된 용기를 가스레인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음식물을 넣고 가스레인지에서 일정 시간 가열하여 조리를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집에서 휴일 등과 같을 때 음식점에서 음식을 배달시켜 먹게 되면, 배달된 음식은 플라스틱 일회용 용기에 담겨져 있는 바, 이를 끓여 먹기 위해서는 별도의 다른 조리 용기에 옮겨 담아서 조리를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여행 또는 야외에서 음식물 취사를 할 경우에, 일회용 플라스틱 용기등에 담겨진 음식물과 부피가 큰 조리용기를 별도로 휴대해야 하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하고, 조리후에는 음식물을 포장한 일외용 용기를 쓰레기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가정에서 음식물을 배달시켜 먹을 때에도 음식물을 일회용 포장용기에서 조리용기로 옮겨 담는 것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일회용 포장용기를 버릴 때 분리수거를 해야하기 때문에 매우 귀찮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20-2006-0013043호에 즉석조리가 가능한 일회용 포장용기가 게시된 바 있다.
살펴보면,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즉석조리가 가능한 일회용 포장용기는 두께가 얇은 알루미늄 시트로 제작되어 내부에 음식물이 포장되는 포장용기와, 상기한 포장용기의 상면에 결합되어 음식물을 보호하도록 형성되고 두께가 얇은 알루미늄 시트로 제작된 뚜껑과, 상기한 포장용기의 저면에 끼움 결합되어 직접적으로 가스렌지의 불꽃이 닿고 불꽃이 포장용기의 측면에 직접 닿지 않도록 수직부가 일정 높이 형성되며 열에 강한 재질인 하부 커버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즉석조리가 가능한 일회용 포장용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음식물이 포장되는 포장용기가 단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예를 들어 포장용기를 통하여 김치찌개를 끓이고자 할 경우, 상기 포장용기에 김치찌개에 대한 재료를 담아 포장한 후, 현장에서 물만 부어 끓이는 것에 의해 김치찌개를 만들 수 있으나, 김치찌개와 함께 먹을 밥은 다른 용기에 담아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20-2006-0013043호, 출원일; 2006년05월16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음식물을 보관하는 음식물 저장용기 내부에 조리용기를 수납시켜 음식물 저장용기에 보관된 음식물을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가열 조리가 가능하므로 별도의 조리용 냄비 없이도 가열 조리가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 저장용기와 조리용기에 별도로 음식물을 포장시킬 수 있어서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는, 음식물을 저장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저장공간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음식물 저장용기와,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에 형성된 저장공간부측으로 하부가 삽입되고 상부는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 상면에 걸림가능하게 형성되어 버너 또는 가스레인지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가능하도록 알루미늄 재질로 구비되는 조리용기와,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의 상부를 덮어 저장된 음식물의 유출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가능하도록 고정 및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한 음식물 저장용기는, 판상으로 형성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선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것에 의해 저장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형성된 전,후면 및 좌,우면측벽과, 상기 전,후면 및 좌,우면측벽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조리용기가 수용되는 것에 의해 상부를 수용 안착시키면서 손으로 들기가 용이하도록 형성된 수용면과, 상기 수용면의 선단부로부터 상방향 및 외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덮개부가 면접촉되면서 결착가능하도록 형성된 결착면과, 상기 결착면으로부터 하향 및 외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덮개부를 걸림시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편으로 구성되되,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의 전,후면 및 좌,우면측벽에는 상기 조리용기가 수용가능하도록 외향으로 만곡된 전,후면 및 좌,우면곡면부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조리용기는, 판상으로 형성된 조리용 바닥판과, 상기 조리용 바닥판의 선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음식물을 저장시켜 버너 또는 가스레인지를 통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조리용 측벽과, 상기 조리용 측벽의 선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음식물 저장용기측으로 용되는 것에 의해 안착면에 안착 걸림되도록 형성된 조리용 안착걸림편으로 구성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덮개부는, 상기 조리용기를 수용하고 있는 음식물 저장용기의 결착면 상면에 저면 선단부가 포개어지는 것에 의해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를 덮을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된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선단부는 하향 절곡 연장되되, 내측면에는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의 걸림편을 탄성적으로 수용하여 결착가능하도록 방사방향으로 일정 간격 결착돌기가 돌출된 결착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에 따르면,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가열 조리가 가능하므로 별도의 조리용 냄비 없이도 가열 조리가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 저장용기와 조리용기에 별도로 음식물을 포장시킬 수 있어서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의 조리용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가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100)는, 음식물을 저장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저장공간부(110a)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음식물 저장용기(110)와,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110)에 형성된 저장공간부(110a)측으로 하부가 삽입되고 상부는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110) 상면에 걸림가능하게 형성되어 버너 또는 가스레인지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가능하도록 알루미늄 재질로 구비되는 조리용기(130)와,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110)의 상부를 덮어 저장된 음식물의 유출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가능하도록 고정 및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의 음식물 저장용기(110)는 음식물을 저장하면서 조리용기를 수용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음식물 저장용기(110)는 다각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된 바닥판(111)과, 상기 바닥판(111)의 선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것에 의해 저장공간부(100a)가 형성되도록 형성된 전,후면 및 좌,우면측벽(111,112,113,114)과, 상기 전,후면 및 좌,우면측벽(111,112,113,114)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조리용기(130)가 수용되는 것에 의해 상부를 수용 안착시키면서 손으로 들기가 용이하도록 형성된 수용면(115)과, 상기 수용면(115)의 선단부로부터 상방향 및 외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덮개부(150)가 면접촉되면서 결착가능하도록 형성된 결착면(116)과, 상기 결착면(116)으로부터 하향 및 외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덮개부(150)를 걸림시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편(117)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음식물 저장용기(110)의 전,후면 및 좌,우면측벽(111,112,113,114)에는 상기 조리용기(130)가 수용가능하도록 외향으로 만곡된 전,후면 및 좌,우면곡면부(111a,112a,113a,114a)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음식물 저장용기(110)는 저장공간부(110a)에 저장된 음식물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구비된다.
상기한 조리용기(130)는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110) 내측으로 하부가 삽입되고 상부는 걸림되어, 필요시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110)로부터 인출시켜 버너 또는 가스레인지를 통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재질로 구비된다.
즉, 상기한 조리용기(130)는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된 조리용 바닥판(131)과, 상기 조리용 바닥판(131)의 선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음식물을 저장시켜 버너 또는 가스레인지를 통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조리용 측벽(132)과, 상기 조리용 측벽(132)의 선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음식물 저장용기측으로 용되는 것에 의해 안착면에 안착 걸림되도록 형성된 조리용 안착걸림편(13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조리용기(130)의 조리용 바닥판(131)에는 음식을 위해 투입되는 음식물의 하중에 의해 조리용 바닥판(131)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동심원의 보강용 리브(131a)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조리용기(130)의 조리용 측벽(132)은 상부로부터 하중이 가해지는 것에 의해 좌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단형으로 좌굴방지용 다단부(132a)가 형성되되, 상기 좌굴방지용 다단부(132a)에는 방사방향으로 보강용 주름부(132b)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덮개부(150)는 상기 조리용기(130)를 수용하고 있는 음식물 저장용기(110)의 상부를 덮어 저장된 음식물의 유출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덮개부(150)는 상기 조리용기(130)를 수용하고 있는 음식물 저장용기(110)의 결착면(116) 상면에 저면 선단부가 포개어지는 것에 의해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110)를 덮을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된 덮개판(151)과, 상기 덮개판(151)의 선단부는 하향 절곡 연장되되, 내측면에는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110)의 걸림편(117)을 탄성적으로 수용하여 결착가능하도록 방사방향으로 일정 간격 결착돌기(152a)가 돌출된 결착편(15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덮개부(150)의 덮개판(151) 상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용 돌출부(153)가 형성되되, 상기 적층용 돌출부(153)의 상면 선단부에는 적층되는 다른 음식물 저장용기의 하부를 수용하여 걸림시킬 수 있도록 방사방향으로 다수의 적층용 걸림돌기(153a)가 더 돌출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포장한 후, 야외에서 김치찌개를 조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음식물 저장용기(110)에 밥 또는 삶은 국수를 저장한다.
이후,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110)에 하부가 수용되고 상부가 걸림되는 조리용기(130)에 잘라진 김치 및 양념의 재료를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조리용기(130)에 김치찌개를 위한 김치 및 양념의 재료가 저장되면, 상기 조리용기(130)를 음식물 저장용기(110)에 수납시킨다.
이후, 덮개부(150)를 음식물 저장용기(110)에 덮어 결착돌기(152a)를 통하여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포장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조리용기(130)에 포장된 김치 및 양념의 재료를 통해 김치찌개를 끓이고자 할 경우, 김치찌개를 위한 재료가 포장된 상기 조리용기(130)를 음식물 저장용기(110)로부터 조리용기(130)를 꺼낸 후, 버너에 올려놓는다.
이후, 상기 조리용기(130)측으로 물을 투입시킨 후 버너를 통해 가열시켜 끓이면 된다.
이와 같이 밥과 김치찌개용 재료들을 음식물 저장용기와 조리용기에 개별적으로 저장하면서, 상기 저장용기를 음식물 저장용기에 수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어서, 부피를 줄이면서 음식물들이 서로 혼합되지 않아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
110 ; 음식물 저장용기
130 ; 조리용기
150 ; 덮개부

Claims (5)

  1.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는,
    음식물을 저장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저장공간부(110a)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음식물 저장용기(110)와;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110)에 형성된 저장공간부(110a)측으로 하부가 삽입되고 상부는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110) 상면에 걸림가능하게 형성되어 버너 또는 가스레인지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가능하도록 알루미늄 재질로 구비되는 조리용기(130)와;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110)의 상부를 덮어 저장된 음식물의 유출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가능하도록 고정 및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110)는, 판상으로 형성된 바닥판(111)과, 상기 바닥판(111)의 선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것에 의해 저장공간부(100a)가 형성되도록 형성된 전,후면 및 좌,우면측벽(111,112,113,114)과, 상기 전,후면 및 좌,우면측벽(111,112,113,114)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조리용기(130)가 수용되는 것에 의해 상부를 수용 안착시키면서 손으로 들기가 용이하도록 형성된 수용면(115)과, 상기 수용면(115)의 선단부로부터 상방향 및 외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덮개부(150)가 면접촉되면서 결착가능하도록 형성된 결착면(116)과, 상기 결착면(116)으로부터 하향 및 외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덮개부(150)를 걸림시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편(117)으로 구성되되,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110)의 전,후면 및 좌,우면측벽(111,112,113,114)에는 상기 조리용기(130)가 수용가능하도록 외향으로 만곡된 전,후면 및 좌,우면곡면부(111a,112a,113a,114a)가 더 형성되어 구비되고,
    상기 조리용기(130)는, 판상으로 형성된 조리용 바닥판(131)과, 상기 조리용 바닥판(131)의 선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음식물을 저장시켜 버너 또는 가스레인지를 통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조리용 측벽(132)과, 상기 조리용 측벽(132)의 선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음식물 저장용기측으로 용되는 것에 의해 안착면에 안착 걸림되도록 형성된 조리용 안착걸림편(133)으로 구성되며,
    상기 덮개부(150)는, 상기 조리용기(130)를 수용하고 있는 음식물 저장용기(110)의 결착면(116) 상면에 저면 선단부가 포개어지는 것에 의해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110)를 덮을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된 덮개판(151)과, 상기 덮개판(151)의 선단부는 하향 절곡 연장되되, 내측면에는 상기 음식물 저장용기(110)의 걸림편(117)을 탄성적으로 수용하여 결착가능하도록 방사방향으로 일정 간격 결착돌기(152a)가 돌출된 결착편(152)으로 구성되되, 상기 덮개부(150)의 덮개판(151) 상면에는, 적층용 돌출부(153)가 형성되되, 상기 적층용 돌출부(153)의 상면 선단부에는 적층되는 다른 음식물 저장용기의 하부를 수용하여 걸림시킬 수 있도록 방사방향으로 다수의 적층용 걸림돌기(153a)가 더 돌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조리용기(130)의 조리용 바닥판(131)에는, 음식을 위해 투입되는 음식물의 하중에 의해 조리용 바닥판(131)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동심원의 보강용 리브(131a)가 더 형성되고, 상기 조리용 측벽(132)은 상부로부터 하중이 가해지는 것에 의해 좌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단형으로 좌굴방지용 다단부(132a)가 형성되되, 상기 좌굴방지용 다단부(132a)에는 방사방향으로 보강용 주름부(132b)가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14713A 2019-09-18 2019-09-18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 KR102297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713A KR102297809B1 (ko) 2019-09-18 2019-09-18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713A KR102297809B1 (ko) 2019-09-18 2019-09-18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231A KR20210033231A (ko) 2021-03-26
KR102297809B1 true KR102297809B1 (ko) 2021-09-06

Family

ID=7525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713A KR102297809B1 (ko) 2019-09-18 2019-09-18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8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597B1 (ko) * 2021-08-18 2022-02-23 이기룡 절임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0300A (ja) * 2004-03-24 2005-10-06 Izumiya:Kk 容器入り即席食品及びその調理方法
JP2008155937A (ja) * 2006-12-22 2008-07-10 Toyo Aluminum Ekco Products Kk 金属箔成型容器
JP2017039516A (ja) * 2015-08-20 2017-02-23 リスパック株式会社 中容器を有する包装用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9474Y2 (ja) * 1993-07-15 1999-09-06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合成樹脂製容器
JP6074757B2 (ja) * 2012-03-15 2017-02-08 セヴィム ニッキー 調理済み食品用の加熱機能付き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0300A (ja) * 2004-03-24 2005-10-06 Izumiya:Kk 容器入り即席食品及びその調理方法
JP2008155937A (ja) * 2006-12-22 2008-07-10 Toyo Aluminum Ekco Products Kk 金属箔成型容器
JP2017039516A (ja) * 2015-08-20 2017-02-23 リスパック株式会社 中容器を有する包装用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231A (ko) 202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5201A (ko) 포개질 수 있는 조리기구 집합
US11253098B2 (en) Hot-dog steamer system
EP2852539B1 (en) Food packaging
JP7081854B2 (ja) 包装用容器
KR102297809B1 (ko)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
CN105848534A (zh) Ih烹调器用的发热片及ih烹调器用的加热烹调装置
JP3157861U (ja) 食品包装容器
US3489267A (en) Cooking kit for campers and the like
KR20140028474A (ko) 종이 냄비
US20210059468A1 (en) Chaffing dish assembly having support pan and stopper rail
KR20100030481A (ko) 조리용기
CA2277314A1 (en) Cooking vessel
WO2016032061A1 (ko)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US4974742A (en) Container with foldable handles
KR101308006B1 (ko)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KR101605253B1 (ko) 뚝배기
KR102253113B1 (ko) 캠핑용 더치오븐 세트
KR20150004092U (ko) 조리용 용기 뚜껑
JP3204124U (ja) 食品容器
CN220174644U (zh) 一种料理盒
CN211534052U (zh) 蒸笼及具有其的烹饪器具
KR102297712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2230967B1 (ko) 취사 도구
CN209202782U (zh) 可叠的滤水锅及烹饪器具
KR20090117854A (ko) 휴대용 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