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7854A - 휴대용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7854A
KR20090117854A KR1020080043687A KR20080043687A KR20090117854A KR 20090117854 A KR20090117854 A KR 20090117854A KR 1020080043687 A KR1020080043687 A KR 1020080043687A KR 20080043687 A KR20080043687 A KR 20080043687A KR 20090117854 A KR20090117854 A KR 20090117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ortable cooking
heating element
hole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명
유웅상
Original Assignee
박종명
유웅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명, 유웅상 filed Critical 박종명
Priority to KR1020080043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7854A/ko
Publication of KR20090117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8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3/00Camp cooking devices without integral he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체를 구비한 휴대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가열하거나 조리하고자 하는 내용물이 수납되는 수납체와, 상기 수납체가 수용되고 바닥면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용기와, 상기 관통구에 끼워지고 상기 발열체가 수용되는 하부용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휴대용 조리용기는 용도에 맞게 사용할 때에 비해 휴대할 때에 상대적으로 높이를 낮게 유지하여 휴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보관 저장되거나 또는 콘테이너 운반되므로 동일 저장공간에 상대적으로 많은 갯수를 저장할 수 있어서 물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상부용기, 하부용기, 수납체, 발열체, 음식물

Description

휴대용 조리용기{PORTABLE COOKING CONTAINER}
본 발명은 발열체를 갖는 휴대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 보관 또는 휴대할 때의 높이와 음식물 등을 가열하거나 조리하기 위하여 사용할 때의 높이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휴대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의 발전에 따라 생활패턴이 복잡해지고 사람들의 사회활동 영역이 다양해지면서 모든 활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대한 단축 또는 절약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시간을 절약하고자 하는 경향은 음식문화에도 커다란 영향을 끼쳐 많은 시간을 소요하지 않고도 손쉽게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인스턴트 식품이 이미 상품화되어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인스턴트 식품 또는 1차 조리가 완료된 음식물은 컵용기에 포장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컵용기에 포장되어 있는 음식물은 전자레인지를 이용하거나 또는 뜨거운 물을 이용하여 데워 먹어야 한다. 컵라면의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뜨거운 물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컵라면을 야외에서 조리하기 위해서 는 최소한 가스버너와 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예로써, 코펠 등)가 필요하므로, 그 이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열체의 수화반응시 발생되는 반응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거나 또는 조리할 수 있는 조리용기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조리용기에는 발열체와 음식물 등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별도로 제공되어 있으므로, 조리용기의 전체적인 부피, 특히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조리용기는 음식물을 가열하거나 또는 조리하기 위하여 사용될 때의 높이와 휴대 또는 보관할 때의 높이가 동일하였으므로, 한정된 공간에 조리용기를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는 수량이 한정되었다. 이는 조리용기의 물류비용을 상대적으로 증가시켜서 가격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특히 조리용기를 해외 수출하고자 콘테이너에 수용하는 경우에, 한정된 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수량이 한정되었고 이는 물류비용의 급상승을 야기시키는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음식물을 가열하거나 또는 조리하기 위하여 사용될 때의 높이와 휴대 또는 보관할 때의 높이가 상이하도록 조리용기를 구성함으로써 물류비용을 저하시켜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할 때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축소시켜서 휴대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발열체를 구비한 휴대용 조리용기는 가열하거나 조리하고자 하는 내용물이 수납되는 수납체와, 상기 수납체가 수용되고 바닥면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용기와, 상기 관통구에 끼워지고 상기 발열체가 수용되는 하부용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관통구를 한정하는 내향 테두리가 제공되고, 상기 하부용기에는 상기 내향 테두리에 대면 접촉하는 외향 테두리가 제공된다.
상기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열의 영향에 의해서 대면 접촉하고 있는 내향 테두리와 외향 테두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내향 테두리와 외향 테두리 각각에는 상호 대응하는 맞물림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하부용기는 상기 상부용기의 관통구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하는 동안 발열체가 수용되는 하부용기를 상부용기에 수용된 수납체에 수납하는 반면에 음식물 등의 내용물을 가열하거나 또는 조리하기 는 경우에는 하부용기를 상부용기에 형성된 관통구에 설치함으로써 휴대용 조리용기는 용도에 맞게 사용할 때에 비해 휴대할 때에 상대적으로 높이를 낮게 유지하여 휴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는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보관 저장되거나 또는 콘테이너 운반되므로 동일 저장공간에 상대적으로 많은 갯수를 저장할 수 있어서 물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서 음식물 등을 가열하거나 또는 조리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휴대용 조리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서 휴대 또는 보관하기 위한 휴대용 조리용기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20)는 가열하거나 조리하고자 하는 내용물(미도시)이 수납되는 제1수납공간(A)으로 작용하는 공간을 갖는 수납체(24)와; 수납체(24)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고 바닥면에 관통구(TH)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용기(22)와, 관통구(TH)에 끼워지는 하부용기(26)로 이루어진다. 하부용기(26)는 발열체(미도시)가 수납되는 제2수납공간(B)으로 작용하는 공간을 갖는다. 수납체(24)와, 상부용기(22)와, 하부용기(26)는 분해조립이 가능한 상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도면번호 28은 뚜껑을 나타낸다.
상기 내용물은 라면과 같은 면종류, 밥, 어묵류, 만두류, 죽, 짜장 소스, 스 파게티 소스 등와 같은 음식물이며, 이러한 음식물은 합성수지와 같은 포장지에 의해서 포장되어 소정의 부피를 갖는 상태로 제공된다.
상기 발열체는 화학반응의 반응열을 발생시키는 재료이며, 상기 화학반응은 예를 들어 수화반응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수화반응의 경우, 상기 발열체가 물과 같은 수용액과 접촉하여 화학반응하게 되면서 열이 발생하게 된다. 발열체는 예를 들어 Mg-Al-Ni계, Mg-Al-Fe계 또는 Mg-Al-Cu계 등와 같은 금속합금 또는 생석회(CaO), 수산화칼륨(KOH), 염화칼슘(CaCl2), 염화마그네슘(MgCl2), 오산화인(P2O5) 등과 같은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발열체는 합성수지와 같은 포장지에 의해 포장되거나 또는 수용액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에 의해 포장되어 소정의 부피를 갖는 상태로 제공된다.
하부용기(26)는 상기 발열체의 화학반응시 발생되는 반응열을 견딜 수 있는 내열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육면체, 원통형 등의 입체형 박스구조로 이루어진다. 하부용기(26)는 외측으로 연장하는 외향 테두리(26a)를 상부에 구비할 수 있다. 외향 테두리(26a)는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부용기(26)가 상부용기(22)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TH)를 완전히 관통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특히, 하부용기(26)의 재질은 내열성 뿐만 아니라 성형성과 내구성이 양호하여야 하므로, PP 수지(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와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용기(22)도 상기 발열체의 화학반응시 발생되는 반응열을 견딜 수 있는 내열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육면체, 원통형 등의 입체형 박스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부용기(22)의 재질도 내열성 뿐만 아니라 성형성과 내구성이 양호하여야 하므로, PP 수지(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와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하여, 상부용기(22)의 하부 또는 바닥면에는 소정 크기의 관통구(TH)가 형성된다. 관통구(TH)는 하부용기(26)의 몸체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이때, 상부용기(22)의 바닥면에는 관통구(TH)를 한정하도록 내측으로 연장하는 내향 테두리(22a)가 제공되고, 내향 테두리(22a)는 하부용기(26)의 몸체, 특히 상부에 제공되어 있는 외향 테두리(26a)와 결합하여서 하부용기(26)의 몸체가 관통구(TH)를 통해 완전히 관통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기능을 담당한다.
수납체(24)는 하부용기(26)의 공간에 수납된 발열체의 화학반응에 의한 반응열이 상기 내용물이 수납되는 제1수납공간(A)으로 작용하는 수납체(24)의 공간으로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양호한 전열특성을 갖는 전열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육면체, 원통형 등의 입체형 박스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수납체(24)의 재질은 상술된 전열특성 뿐만 아니라 성형성과 내구성이 양호한 것이 바람직하므로, 예를 들어 알루미늄 박막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의 휴대 또는 보관 및 사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20)를 휴 대 또는 보관하는 상태에 있어서, 상부용기(22)의 수용공간에는 수납체(24)가 수용되고, 수납체(24)의 공간에는 하부용기(26)가 수납되며, 그 위에 뚜껑(28)이 씌워진다. 이때, 하부용기(26)의 공간은 상기 내용물과 발열체가 함께 수용되는 공동수납공간(A+B)로 작용한다. 상술된 바와 같은 휴대 또는 보관하는 상태에서, 휴대용 조리용기(20)는 제1높이(h1)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20)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부품들의 위치는 상기 내용물을 가열 또는 조리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부품들의 위치로 변경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조리용기(20)의 구성부품들을 먼저 분해한다. 그리고, 상부용기(22)의 관통구(TH)에 하부용기(26)를 끼운 후 상부용기(22)의 수용공간에 수납체(24)를 수용시키고 그 위에 뚜껑(28)을 씌운다. 이때, 하부용기(26)의 공간은 상기 발열체를 수용하는 제2수납공간(B)으로 작용하고, 수납체(24)의 공간은 상기 내용물을 수납하는 제1수납공간(A)으로 작용한다.
그 결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부품들이 조립된 구조의 휴대용 조리용기(20)는 제2높이(h2)를 갖는다. 제1높이(h1)는 제2높이(h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다. 즉, 휴대용 조리용기(20)는 휴대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20)에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내용물을 가열 또는 조리하기 위하여 먼저 뚜껑(28)과 수납체(24)를 상부용기(22)의 수용공간에서 분리시킨다. 하부용기(26)의 제2수납공간(B)에 수용 액(물)을 공급한 후 수납체(24)를 상부용기(22)의 수용공간에 수용시키면서 뚜껑(28)을 덮는다. 이 후, 하부용기(26)의 제2수납공간(B)에 수납되어 있는 발열체가 공급되는 수용액(물)과 수화반응하면서 열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열은 수납체(24)의 제1수납공간(A)에 수납되어 있는 내용물을 가열하거나 또는 조리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발열체의 수화반응시, 수납체(24)의 하부는 수증기와 고온 분위기가 형성되며, 이러한 분위기에 의해서 서로 대면 접촉하고 있는 내향 테두리(22a)와 외향 테두리(26a)는 분리될 수 있고, 이는 상부용기(22)가 하부용기(26)의 외부면을 따라서 흘러내리는 현상을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내향 테두리(22a)와 외향 테두리(26a) 사이의 대면 접촉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부용기(22)와 하부용기(26)에는 상호 대응하는 맞물림 구조(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맞물림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요철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용기(22)에 요부가 제공되면 하부용기(26)에는 상기 요부에 대응하는 철부가 제공된다. 특히, 상기 맞물림 구조는 상부용기(22)의 내향 테두리(22a)와 하부용기(26)의 외향 테두리(26a)에 상호 대응하도록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부가하여, 상기 발열체의 수화반응시 발생되는 수증기가 서로 대면접촉하고 있는 내향 테두리(22a)와 외향 테두리(26a) 사이를 통해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향 테두리(26a)의 단부는 상부용기(22)의 내측면을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외향 테두리(26)의 단부는 하부 용기(26)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상술된 내용의 휴대용 조리용기는 음식물 등의 내용물을 가열하거나 또는 조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기재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의 휴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조리용기
22 : 상부용기
24 : 수납체
26 : 하부용기
28 : 뚜껑

Claims (4)

  1. 발열체를 구비한 휴대용 조리용기에 있어서,
    가열하거나 조리하고자 하는 내용물이 수납되는 수납체와;
    상기 수납체가 수용되고 바닥면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용기와;
    상기 관통구에 끼워지고 상기 발열체가 수용되는 하부용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관통구를 한정하는 내향 테두리가 제공되고, 상기 하부용기에는 상기 내향 테두리에 대면 접촉하는 외향 테두리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열의 영향에 의해서 대면 접촉하고 있는 내향 테두리와 외향 테두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내향 테두리와 외향 테두리 각각에는 상호 대응하는 맞물림 구조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는 상기 상부용기의 관통구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용기.
KR1020080043687A 2008-05-10 2008-05-10 휴대용 조리용기 KR200901178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687A KR20090117854A (ko) 2008-05-10 2008-05-10 휴대용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687A KR20090117854A (ko) 2008-05-10 2008-05-10 휴대용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854A true KR20090117854A (ko) 2009-11-13

Family

ID=41602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687A KR20090117854A (ko) 2008-05-10 2008-05-10 휴대용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78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0756A1 (ko) * 2017-06-15 2018-12-20 (주)착한음식 수증기 밀폐용기 및 음식물조리용 발열용기
KR20180136762A (ko) * 2017-06-15 2018-12-26 (주)착한음식 음식물 조리용 발열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0756A1 (ko) * 2017-06-15 2018-12-20 (주)착한음식 수증기 밀폐용기 및 음식물조리용 발열용기
KR20180136762A (ko) * 2017-06-15 2018-12-26 (주)착한음식 음식물 조리용 발열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2469U (ja) 電子レンジ加熱用食品包装容器
KR20090117854A (ko) 휴대용 조리용기
KR20090074517A (ko) 넘침방지구가 구비된 조리용기
KR101188229B1 (ko) 즉석 발열 용기
CN202843301U (zh) 蒸锅组件和食物加工机
KR101173421B1 (ko) 식품용기
KR102297809B1 (ko) 조리용기를 갖는 음식물 포장용기
CN207898114U (zh) 一种便携式手提饭盒
KR200457963Y1 (ko) 발열가방
CN204654656U (zh) 多功能暖奶器
KR101687766B1 (ko) 아이스박스 겸용 항아리
JP3194548U (ja) おかゆ製造用容器
KR200424999Y1 (ko) 일회용 라면용기
CN203497423U (zh) 便携式内部燃料加热型套餐罐
JP6626700B2 (ja) 容器及び食品包装体
KR102068104B1 (ko) 일회용 용기
CN206612562U (zh) 烹饪组件
KR20180039511A (ko) 즉석 식품의 보관 용기
CN209789505U (zh) 蒸桶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0285347U (zh) 带加热功能的炒饭罐头
CN208957733U (zh) 电水壶
CN206634529U (zh) 一种方便食品容器
US20150140162A1 (en) Microwave rice cooking bowl
KR20090081074A (ko) 자가 발열 용기
JP3140989U (ja) 食品収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