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0064A - 전기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0064A
KR20130040064A KR1020110104819A KR20110104819A KR20130040064A KR 20130040064 A KR20130040064 A KR 20130040064A KR 1020110104819 A KR1020110104819 A KR 1020110104819A KR 20110104819 A KR20110104819 A KR 20110104819A KR 20130040064 A KR20130040064 A KR 20130040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ical switch
ferroelectric substrate
present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4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8348B1 (ko
Inventor
이병준
김현철
이명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4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348B1/ko
Publication of KR20130040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20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 H10N70/253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e.g. transistor-lik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3개의 전극을 통해 전기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전기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스위치는, 강유전체 기판과; 상기 강유전체 기판의 일면의 동일 평면에 형성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상기 강유전체 기판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과 대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3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ELECTRIC SWIT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전기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스위치는 과전류에 의해 변화되는 전기 도전성을 이용한다. 예를 들면, 전기 스위치에 사용되는 강유전체의 자발 분극의 변화를 이용하여 스위칭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전기 스위치에 대한 설명은 한국 특허 출원 번호 출원번호 10-2005-7021117에도 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는 3개의 전극을 통해 전기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전기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스위치는, 강유전체 기판과; 상기 강유전체 기판의 일면의 동일 평면에 형성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상기 강유전체 기판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과 대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3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전기 스위치는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전로(electric path)가 가능한 전위로 설정하고, 상기 제3 전극에 특정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상기 전로를 형성하거나 상기 전로를 차단하며, 상기 제2 전극은 접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거리는 전로가 가능한 거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거리는 상기 강유전체 기판의 두께 및/또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전기 스위치는 상기 제3 전극에 0V가 인가되면 턴-오프(Turn-Off)되고, 상기 제1 전극에 걸려있는 전압과 동일한 전압이 상기 제3 전극에 인가되면 턴-온(Turn-On)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상기 강유전체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유리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스위치 제조 방법은, 강유전체 기판의 일면의 동일 평면상에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강유전체 기판의 타면에 제 3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전극은 상기 제1 전극과 대향하는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은, 강유전체 기판의 일면의 동일 평면에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강유전체 기판의 타면에 상기 제1 전극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제3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턴-온/턴-오프(스위칭)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은, 강유전체 기판의 일면의 동일 평면에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강유전체 기판의 타면에 상기 제1 전극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제3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박막 스위치(Thin Film Switch)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은, 강유전체 기판의 일면의 동일 평면에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강유전체 기판의 타면에 상기 제1 전극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제3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반도체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해 전기 스위치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은, 강유전체 기판의 일면의 동일 평면에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강유전체 기판의 타면에 상기 제1 전극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제3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반도체 공정없이 단순한 공정을 통해 전기 스위치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위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위치(100)에 0V를 인가했을 때의 포텐셜 에너지(potential energy) 분포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위치(100)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포텐셜 에너지(potential energy) 분포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위치(100)에 0V를 인가했을 때의 전기장(e-field) 시뮬레이션(simulation)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위치(100)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전기장(e-field) 시뮬레이션(simulation)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위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TFT(Thin film transistor)와 같은 박막 스위치를 필요로 하는 모든 소자에 적용할 수 있는 전기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은 종래의 캐패시터(Capacitor)와 다르게 트리플(triple) 전극으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위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위치(100)는,
강유전체(ferroelectrics) 기판(10)과;
상기 강유전체 기판(10)의 일면(예를 들면, 하부면)의 동일 평면에 형성된 제1 전극(Voltage inject 전극) 및 제2 전극(접지 전극)(20, 40)과;
상기 강유전체 기판(10)의 타면(예를 들면,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과 대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3 전극(스위치 제어 전극)(30)을 포함한다.
상기 강유전체 기판(10) 대신에 자발 분극(spontaneous polarization)을 갖는 다양한 유전체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상기 강유전체 물질로서 로셸염(Rochelle salt)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강유전체는 자발 분극을 가져 분극 방향의 제어가 가능하다. 강유전체의 자발 분극의 가변성을 이용하여 강유전체 메모리를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강유전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자발 분극의 방향을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이동하는 전하를 이용하여 전기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위치(100)는, 상기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40)을 전로(electric path)가 가능한 전위로 설정하고, 상기 제3 전극(스위치 제어 전극)(30)에 특정 전압(예를 들면, 5 Volt(V) 또는 0V)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40) 사이에 전로(electric path)를 형성하거나 그 전로를 차단하는(전로의 발생을 제어함) 전기 스위치로서, 상기 제3 전극(스위치 제어 전극)(30)에 0V가 인가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위치(100)는 턴-오프(Turn-Off)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전극(40)은 접지된다.
상기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40) 사이의 거리(d)는 전로(electric path)가 가능한 거리로서, 상기 강유전체 기판(10)의 두께(D)에 따라 상기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40) 사이의 거리(d)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40) 사이의 거리(d)는 상기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40)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40) 사이의 거리(d)는 상기 강유전체 기판(10)의 두께(D) 및 상기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40)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결정(변경)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위치(100)에 0V를 인가했을 때의 포텐셜 에너지(potential energy) 분포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기 스위치(100)의 제3 전극(30)에 0V가 인가되면 상기 전기 스위치(100)는 턴-오프(Turn-Off) 상태가 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기 스위치(100)의 제3 전극(30)에 0V가 인가되면, 포텐셜 에너지(potential energy)가 대부분 상/하에 분포하며, 좌/우에는 포텐셜 에너지가 매우 미비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40) 사이에 전로(electrical path)가 형성되지 못한다. 즉, 상기 전기 스위치(100)의 제3 전극(30)에 0V가 인가되면 상기 전기 스위치(100)는 턴-오프(Turn-Off) 상태가 됨을 알 수 있다.
반면, 제1 전극(20)에 걸려있는 전압과 동일한 전압 또는 유사한 전압을 상기 제3 전극(30)에 인가하면 상기 전기 스위치(100)는 턴-온(Turn-On)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위치(100)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포텐셜 에너지(potential energy) 분포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극(20)에 걸려있는 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상기 제3 전극(30)에 인가하면, 상기 전기 스위치(100)는 턴-온(Turn-On) 상태가 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전극(20)에 걸려있는 전압과 동일한 전압이 상기 제3 전극(30)에 인가되면, 포텐셜 에너지(potential energy)가 대부분 좌/우에 분포하며, 상/하에는 포텐셜 에너지가 매우 미비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40) 사이에 전로(electrical path)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전극(20)에 걸려있는 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상기 제3 전극(30)에 인가하면 상기 전기 스위치(100)는 턴-온(Turn-On) 상태가 됨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위치(100)에 0V를 인가했을 때의 전기장(e-field) 시뮬레이션(simulation)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기 스위치(100)의 제3 전극(30)에 0V가 인가되면 전기장(e-field)이 일부에만 분포됨으로 인해 상기 전기 스위치(100)가 턴-오프(Turn-Off) 상태가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위치(100)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전기장(e-field) 시뮬레이션(simulation)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극(20)에 걸려있는 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상기 제3 전극(30)에 인가하면, 전기장(e-field)이 전체적으로 분포됨으로 인해 상기 전기 스위치(100)가 턴-온(Turn-On)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위치(100)는, 상기 전기 스위치(100)의 제3 전극(30)에 0V를 인가하거나, 상기 제1 전극(20)에 걸려있는 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상기 제3 전극(30)에 인가함으로써 턴-온/턴-오프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위치(100)는, 강유전체 기판(10)의 일면의 동일 평면에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40)을 형성하고, 상기 강유전체 기판(10)의 타면에 상기 제1 전극(20)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제3 전극(30)을 형성함으로써 박막 스위치(Thin Film Switch)로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위치(100)는, 강유전체 기판(10)의 일면의 동일 평면에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40)을 형성하고, 상기 강유전체 기판(10)의 타면에 상기 제1 전극(20)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제3 전극(30)을 형성함으로써, 반도체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해 전기 스위치(100)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위치(100)는, 강유전체 기판(10)의 일면의 동일 평면에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40)을 형성하고, 상기 강유전체 기판(10)의 타면에 상기 제1 전극(20)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제3 전극(30)을 형성함으로써, 반도체 공정없이 단순한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위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위치(100)는, 기판(예를 들면, 유리 기판)(50)과; 상기 기판(50)의 일면(예를 들면, 하부면)의 동일 평면에 형성된 제1 전극(Voltage inject 전극) 및 제2 전극(접지 전극)(20, 40)과; 상기 기판(50)의 타면(예를 들면, 상부면)에 형성된 강유전체(ferroelectrics) 기판(10)과; 상기 강유전체 기판(10)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20)과 대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3 전극(스위치 제어 전극)(30)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50)은 유리 기판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수정 등과 같은 투명한 기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위치(100)는, 상기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40)을 전로(electric path)가 가능한 전위로 설정하고, 상기 제3 전극(스위치 제어 전극)(30)에 특정 전압(예를 들면, 5 Volt(V) 또는 0V)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40) 사이에 전로(electric path)를 형성하거나 그 전로를 차단하는(전로의 발생을 제어함) 전기 스위치로서, 상기 제3 전극(스위치 제어 전극)(30)에 0V가 인가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위치(100)는 턴-오프(Turn-Off)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40) 사이의 거리(d)는 전로(electric path)가 가능한 거리로서, 상기 강유전체 기판(10)의 두께(D)에 따라 상기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40) 사이의 거리(d)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40) 사이의 거리(d)는 상기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40)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40) 사이의 거리(d)는 상기 강유전체 기판(10)의 두께(D) 및 상기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40)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반면, 상기 전기 스위치(100)는 상기 제1 전극(20)에 걸려있는 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상기 제3 전극(30)에 인가함으로써 턴-온(Turn-On)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스위치 및 그 방법은, 상기 전기 스위치(100)의 제3 전극(30)에 0V를 인가하거나, 상기 제1 전극(20)에 걸려있는 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상기 제3 전극(30)에 인가함으로써 턴-온/턴-오프(스위칭)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스위치 및 그 방법은, 강유전체 기판(10)의 일면의 동일 평면에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40)을 형성하고, 상기 강유전체 기판(10)의 타면에 상기 제1 전극(20)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제3 전극(30)을 형성함으로써, 박막 스위치(Thin Film Switch)로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스위치 및 그 방법은, 강유전체 기판(10)의 일면의 동일 평면에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40)을 형성하고, 상기 강유전체 기판(10)의 타면에 상기 제1 전극(20)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제3 전극(30)을 형성함으로써, 반도체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해 전기 스위치(100)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스위치 및 그 방법은, 강유전체 기판(10)의 일면의 동일 평면에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40)을 형성하고, 상기 강유전체 기판(10)의 타면에 상기 제1 전극(20)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제3 전극(30)을 형성함으로써, 반도체 공정없이 단순한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강유전체 기판 20: 제1 전극
30: 제 3 전극 40: 제2 전극

Claims (12)

  1. 강유전체 기판과;
    상기 강유전체 기판의 일면의 동일 평면에 형성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상기 강유전체 기판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과 대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3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스위치는,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전로(electric path)가 가능한 전위로 설정하고, 상기 제3 전극에 특정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상기 전로를 형성하거나 상기 전로를 차단하며, 상기 제2 전극은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거리는 전로가 가능한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거리는 상기 강유전체 기판의 두께 및/또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스위치는,
    상기 제3 전극에 0V가 인가되면 턴-오프(Turn-Off)되고, 상기 제1 전극에 걸려있는 전압과 동일한 전압이 상기 제3 전극에 인가되면 턴-온(Turn-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상기 강유전체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유리 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치.
  7. 강유전체 기판의 일면의 동일 평면상에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강유전체 기판의 타면에 제 3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전극은 상기 제1 전극과 대향하는 방향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전로(electric path)가 가능한 전위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3 전극에 특정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상기 전로를 형성하거나 상기 전로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은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치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거리는 전로가 가능한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치 제조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거리는 상기 강유전체 기판의 두께 및/또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치 제조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극에 0V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전기 스위치를 턴-오프(Turn-Off)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전극에 걸려있는 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상기 제3 전극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전기 스위치를 턴-온(Turn-On)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치 제조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상기 강유전체 기판 사이에 유리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치 제조 방법.
KR1020110104819A 2011-10-13 2011-10-13 전기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868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819A KR101868348B1 (ko) 2011-10-13 2011-10-13 전기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819A KR101868348B1 (ko) 2011-10-13 2011-10-13 전기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064A true KR20130040064A (ko) 2013-04-23
KR101868348B1 KR101868348B1 (ko) 2018-06-19

Family

ID=48440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819A KR101868348B1 (ko) 2011-10-13 2011-10-13 전기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3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5854A1 (ko) * 2020-04-22 2021-10-28 브이메모리 주식회사 전자 소자 및 전자 소자 제어 방법
KR20220012450A (ko) * 2020-07-22 2022-02-04 브이메모리 주식회사 전자 소자 및 전자 소자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8388A (ja) * 1992-10-02 1994-04-28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H08129161A (ja) * 1994-10-31 1996-05-21 Sony Corp 液晶スイッチング素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2093A (ja) * 2002-10-29 2004-06-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ング装置およびその電界印加方法およびスイッチングシステム
KR20060010785A (ko) * 2003-05-08 2006-02-02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스위치 및 그것을 사용한 기억 소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8388A (ja) * 1992-10-02 1994-04-28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H08129161A (ja) * 1994-10-31 1996-05-21 Sony Corp 液晶スイッチング素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5854A1 (ko) * 2020-04-22 2021-10-28 브이메모리 주식회사 전자 소자 및 전자 소자 제어 방법
KR20210130900A (ko) * 2020-04-22 2021-11-02 브이메모리 주식회사 전자 소자 및 전자 소자 제어 방법
KR20220012450A (ko) * 2020-07-22 2022-02-04 브이메모리 주식회사 전자 소자 및 전자 소자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348B1 (ko) 201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7391B1 (ko) 변동 저저항 라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의 동작 방법
TWI639362B (zh) 電漿處理系統內之離子能量分布控制
CN104241298B (zh) Tft背板结构及其制作方法
TWI264826B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integrated flash memory and peripheral circuit and its manufacture method
GB2521727A8 (en) Array substrate
WO2014004012A3 (en) High voltage three-dimensional devices having dielectric liners
KR20150047930A (ko) 3단자 시냅스 소자 및 그 동작방법
ATE316290T1 (de) Flüssigkeitshaltiges photovoltaisches element
US9620537B2 (en) Display substrat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mask plate, and mask plate group
WO2016186501A3 (en) Electrode arrangement for a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treatment
IN2014CN04972A (ko)
WO2011016794A3 (en) Memristors with asymmetric electrodes
CN109904199A (zh) 触控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MY183237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130040064A (ko) 전기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17273B1 (ko) 대기압 플라즈마 소스
KR20160039533A (ko) 액정 렌즈 구조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80015659A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JP2015524298A5 (ko)
EP3583463A1 (en) Electrochromic devices
FI20175123L (fi) Puolijohderakenteita ja niiden valmistus
US8982308B2 (en) Active liquid crystal array device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20180259854A1 (en) Bearing tabl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process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25172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current path range by using electric field, and electronic circuit
CN105137673B (zh) 一种亚像素结构及其制造方法、阵列基板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