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9293A - 리드 프레임, 접점 군을 제조하는 방법 및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드 프레임, 접점 군을 제조하는 방법 및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9293A
KR20130039293A KR1020120082638A KR20120082638A KR20130039293A KR 20130039293 A KR20130039293 A KR 20130039293A KR 1020120082638 A KR1020120082638 A KR 1020120082638A KR 20120082638 A KR20120082638 A KR 20120082638A KR 20130039293 A KR20130039293 A KR 20130039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connector
contact
leads
lea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6944B1 (ko
Inventor
마사유키 시라토리
슈이치 아이하라
마사유키 가타야나기
오사무 하시구치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9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10T29/4920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 Y10T29/49222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forming array of contact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접점 군의 피치가 감소될 수 있고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중간 부재로서 리드 프레임 (30) 을 사용함으로써, 커넥터의 접점 군이 제조된다. 리드 프레임은, 평면에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제 1 리드 (31), 평면에서 제 1 리드 사이에 각 쌍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 2 리드 쌍 (32), 및 일단부측에서 제 1 리드와 제 2 리드를 연결하는 연결부 (33) 를 포함한다. 제 2 리드는 일단부측에서의 피치보다 타단부측에서 더 큰 피치를 가져 제 2 리드를 타단부측에서 제 1 리드에 각각 근접하게 한다. 리드 프레임은, 제 1 리드와 제 2 리드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는 부분에서 제 1 및 제 2 리드 중 근접 리드를 서로 연결하는 브리지부 (38) 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리드 프레임, 접점 군을 제조하는 방법 및 커넥터{LEAD FRAM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ACT GROUP, AND CONNECTOR}
본 출원은 2011 년 10 월 11 일 자로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2011-224033 에 기초하며 이를 우선권 주장하고, 이의 내용 전체는 본원에서 참조한다.
본 발명은, 커넥터, 및 특히, 커넥터의 접점 군을 형성하기 위한 중간 부재로서의 리드 프레임, 및 이 리드 프레임을 사용한 접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쌍을 형성하는 2 개의 신호 라인에서, 역위상 (opposite phase) 을 갖는 신호를 포함하여 차동 신호 쌍을 전송하도록 되어 있는 차동 전송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차동 전송 시스템에서 높은 데이터 전송율이 얻어질 수 있다는 특징을 갖기 때문에, 최근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와 액정 디스플레이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차동 전송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이 디바이스와 액정 디스플레이에는, 디스플레이 포트 표준에 따라 설계되는 디스플레이 포트 커넥터가 각각 제공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포트 표준으로서, VESA 디스플레이 포트 표준 버전 1.0 또는 그의 버전 1.1 이 공지되어 있다.
이 디스플레이 포트 커넥터는, 차동 신호 커넥터의 일종이며, 연결 파트너로의 연결을 위한 제 1 연결측과 디바이스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기판으로의 연결을 위한 제 2 연결측을 갖는다. 제 1 연결측의 구조는, 연결 파트너와의 관계의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포트 표준에 의해 엄격하게 규정되지만, 제 2 연결측의 구조는 비교적 자유롭다. 이러한 유형의 차동 신호 커넥터가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4439540 (JP-A-2008-41656)) 에 개시되어 있으며, 하우징과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접점 군을 갖는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 군은 서로 이격된 3 개의 접지 접점 (1) 과, 신호 접점 (2) 의 2 쌍을 포함한다. 각 쌍의 신호 접점 (2) 은 접지 접점 (1) 중 인접한 2 개의 접점 사이에 배치된다. 접지 접점 (1) 각각은, 일단부 (1a) 와 타단부 (1b) 를 가지며, 신호 접점 (2) 각각은 일단부 (2a) 와 타단부 (2b) 를 갖는다. 커넥터의 제 1 연결측에서, 접지 접점 (1) 의 일단부 (1a) 와 신호 접점 (2) 의 일단부 (2a) 는 단일 직선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된다. 접지 접점 (1) 과 신호 접점 (2) 은 제 1 연결측으로부터 제 2 연결측을 향해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며, 이후 서로 오프셋된 위치에서 동일 방향으로 수직하게 구부러진다. 그럼으로써, 커넥터의 제 2 연결측에서, 접지 접점 (1) 의 타단부 (1b) 는 사다리꼴의 길이가 긴측의 양단부에 위치되는 한편, 신호 접점 (2) 의 타단부 (2b) 는 사다리꼴의 길이가 짧은측의 양단부에 위치된다. 접지 접점 (1) 의 타단부 (1b) 와 신호 접점 (2) 의 타단부 (2b) 는 연결 대상 (예컨대, 기판) 의 스루 홀 내로 삽입되어 솔더링에 의해 연결 대상에 연결된다.
전술한 접점 군에서, 접지 접점 (1) 의 타단부 (1b) 와 신호 접점 (2) 의 타단부 (2b) 는 제 2 연결측에서 상이한 열 (row) 에 배치된다. 따라서, 접지 접점 (1) 의 타단부 (1b) 와 신호 접점 (2) 의 타단부 (2b) 사이의 거리 또는 간격을 한정된 공간 또는 거리 내에서 용이하게 확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접점 군의 피치가 감소될 때, 각 쌍의 신호 접점의 타단부가 커넥터의 제 2 연결측에서 서로 근접한다. 이 경우, 연결 대상과 접점 군의 연결이 용이하지 않은 것으로 가정된다. 예컨대, 연결 대상에 스루 홀을 형성하거나 신호 접점의 타단부를 연결 대상에 솔더링하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특허 문헌 1 에 개시된 기술은 접점 군의 피치의 감소에 대한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한다.
전술한 접점 군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접점을 하나씩 제조하는 것보다 군 전체를 집합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생산성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군 전체를 집합적으로 제조하기 위해서, 금속 플레이트가 프레싱되어 연결부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개의 리드를 갖는 중간 부재가 펀치가공된다. 여기서, 이러한 유형의 중간 부재를 리드 프레임이라 부른다. 그러나, 리드 프레임의 제조시,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프레싱 가공을 위한 펀칭 폭이 충분히 크지 않거나 최소인 경우, 다이 설계가 부담스럽다. 따라서, 별개의 접점을 하나씩 제조하고 이후 접점을 접점 군으로 조립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제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 목표는 접점 군의 피치가 감소될 수 있고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명이 이루어짐에 따라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양태에 따르면, 커넥터의 접점 군을 제조하기 위해 중간 부재로서 사용하는 리드 프레임에 있어서, 평면에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제 1 리드, 상기 평면에서 제 1 리드 사이에 각 쌍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 2 리드 쌍, 및 일단부측에서 제 1 리드와 제 2 리드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리드는 일단부측에서의 피치보다 타단부측에서 더 큰 피치를 가져 제 2 리드를 타단부측에서 제 1 리드에 각각 근접하게 하며, 상기 리드 프레임은, 제 1 리드와 제 2 리드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는 부분에서 제 1 리드 및 제 2 리드 중 근접된 리드를 서로 연결하는 브리지부를 더 포함하는, 리드 프레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2 양태에 따르면, 제 1 예시적 양태에 따른 리드 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 전단가공에 의해 리드 프레임의 브리지부를 절단하는 단계 및 평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 1 리드 및 제 2 리드를 구부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점 군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3 양태에 따르면, 중간 부재로서 예시적인 제 1 양태에 따른 리드 프레임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접점 군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예시적 양태에 따르면, 중간 부재로서 예시적인 제 1 양태에 따른 리드 프레임을 사용하는 접점 군을 포함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제 1 리드 및 제 2 리드는, 브리지부가 전단가공에 의해 절단됨과 동시에 또는 그 이후에 평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상이한 위치에서 구부러지며, 연결부가 제 1 리드 및 제 2 리드로부터 잘리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도 1 은 특허 문헌 1(JP-A-2008-41656) 에 개시된 접점 군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a 는 커넥터가 기판에 장착될 때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2b 는 도 2a 에 도시된 커넥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2c 는 도 2a 에 도시된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2d 는 도 2a 의 선 ld - ld 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a 는 도 2a 내지 도 2d 에 도시된 커넥터에 포함된 하부 접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b 는 도 3a 에 도시된 하부 접점 조립체의 우측면도이다.
도 3c 는 도 3a 에 도시된 하부 접점 조립체의 배면도이다.
도 3d 는 도 3a 에 도시된 하부 접점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4 는 도 2a 내지 도 2d 에 도시된 커넥터에 포함된 접점 군을 제조하기 위한 중간 부재로서의 리드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 는 도 4 에 도시된 리드 프레임으로부터 접점 군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6 은 도 2a 내지 도 2d 에 도시된 커넥터에 포함된 접점 군을 제조하기 위한 중간 부재로서의 리드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가 기술된다.
도 2a 내지 도 2d 에 도시된 커넥터 (10) 는 상하 2 열에 복수의 접점을 갖는 20-핀 차동 신호 커넥터이며, 사용시 인쇄 기판 (11) 상에 장착된다. 차동 신호 커넥터 (10) 는 전방측에서 연결 파트너로서 정합 (mating) 커넥터 (도시 생략) 에 연결되고, 저부측에서 인쇄 기판 (11) 에 연결된다. 본원에서, 정합 커넥터로의 연결을 위한 전방측은 제 1 연결측이라 하는 한편, 인쇄 기판 (11) 으로의 연결을 위한 저부측은 제 2 연결측이라 한다. 제 1 연결측에서, 차동 신호 커넥터 (10) 는, 정합 커넥터에 끼움장착되며 커넥터 끼움장착 평면에 평행하게 측방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갖는 끼움장착 돌기 (12) 를 포함한다. 제 2 연결측은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인쇄 기판 (11) 은 다중층 기판이다. 인쇄 기판 (11) 에는, 인쇄 기판 (11) 의 하부면 (11a) 을 나타내는 도 2c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스루 홀 (13) 이 제공된다. 인쇄 기판 (11) 은, 각각이 도우넛 형상 도전체 패턴의 형태이며 스루 홀 (13) 각각의 개구 둘레에 각각 형성된 복수 개의 랜드 (14) 를 갖는다. 랜드 (14) 중 일부로부터, 배선 패턴 (15) 이 기판 (11) 을 따라 평행하게 인출 (draw out) 된다. 스루 홀 (13) 의 위치와 역할은 하기에서 명확해질 것이다.
차동 신호 커넥터 (10) 는 상부 접점 조립체 (16), 하부 접점 조립체 (17), 및 전체로서 상부 및 하부 접점 조립체 (16, 17) 를 둘러싸는 도전성 커넥터 쉘 (18) 을 포함한다. 상부 접점 조립체 (16) 는 본원에서 추가의 접점으로 부르는 수개의 도전성 상부 접점 (19), 및 상부 접점 (19) 을 유지하는 절연성 상부 하우징 (21) 을 포함한다. 상부 접점 (19) 은 끼워맞춤 돌기 (12) 의 상부 부분에 배치되는 전방 단부를 가지며, 이후 후방으로 연장하며, 이후 수직하게 하방으로 구부러져 상부 접점 (19) 의 하단부가 SMT 구조에서 인쇄 기판 (11) 의 상부면 (도시 생략) 상의 배선 패턴에 솔더링된다. 커넥터 쉘 (18) 은 인쇄 기판 (11) 에 고정되게 되는 복수 개의 고정 레그 (18a, 18b) 를 갖는다. 고정 레그 (18a, 18b) 와 인쇄 기판 (11) 과의 맞물림에 의해, 차동 신호 커넥터 (10) 가 인쇄 기판 (11) 에 확실히 고정된다. 하부 접점 조립체 (17) 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도 2a 내지 도 2d 에 추가하여 도 3a 내지 도 3d 를 참조하여, 하부 접점 조립체 (17) 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부 접점 조립체 (17) 는 3 쌍의 도전성 신호 점접 (22), 4 개의 도전성 접지 접점 (23), 및 신호 접점 (22) 과 접지 접점 (23) 을 유지하는 절연성 하부 하우징 (24) 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 (24) 의 제 1 연결측에서, 고정된 피치 (바람직하게는, 0.7 mm 이하) 의 접점 어레이가 제 1 방향 (A1) 으로 연장한다. 접점 어레이에서, 접지 접점 (23) 은 각 신호 접점 (22) 쌍의 양측에 배치된다.
신호 접점 (22) 과 접지 접점 (23) 모두는 제 1 방향 (A1) 에 수직한 제 2 방향 (A2) 으로 후방으로 연장하여 하부 하우징 (24) 을 통과하며, 이후 제 2 연결측을 향해 수직하게 구부러져 제 1 및 제 2 방향 (A1, A2) 에 수직한 제 3 방향 (A3) 으로 하방으로 연장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신호 접점 (22) 과 접지 접점 (23) 은 집합적으로 하부 접점 (25) 이라 부를 수도 있다.
도 2a 내지 도 2d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동 신호 커넥터 (10) 의 제 1 연결측에서, 하부 접점 (25) 은 이로부터 상부 접점 (19) 에 거리를 두고 마주하기 위해 끼워 맞춤 돌기 (12) 의 하부 부분에 배치된다. 그 결과, 정합 커넥터가 끼워 맞춤 돌기 (12) 에 끼워맞춤될 때, 정합 커넥터가 상부 점점 (19) 및 하부 점점 (25) 과 접촉되므로, 정합 커넥터는 차동 신호 커넥터 (10) 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원에서, 정합 커넥터와 접촉하게 되는, 각각의 하부 접점 (25) 의 부분을 커넥터 접촉부라 부른다.
다른 한편으로, 차동 신호 커넥터 (10) 의 제 2 연결측에서, 하부 접점 (25) 은 인쇄 기판 (11) 의 스루 홀 (13) 에 각각 삽입되어 인쇄 기판 (11) 의 하부면 (11a) 상에 솔더링함으로써 랜드 (14) 에 각각 연결된다. 하부 접점 (25) 이 인쇄 기판 (11) 의 하부면 (11a) 상에 솔더링되기 때문에, 차동 신호 커넥터 (10) 가 인쇄 기판 (11) 상에 장착될 때 솔더링 상태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체크될 수 있다. 본원에서, 스루 홀 (13) 에 삽입되는, 각각의 하부 접점 (25) 의 부분을 기판 연결부라 부른다.
하부 접점 (25) 의 단면 형상이 정사각형이면, 인쇄 기판 (11) 의 스루 홀 (13) 의 직경은, 하부 접점 (25) 상의 단면 상에서의 정사각형의 대각선 길이보다 적어도 약간 크게 설계된다. 또한, 랜드 (14) 가 스루 홀 (13) 둘레에 형성되어 인접한 스루 홀 (13) 사이의 절연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스루 홀 (13) 중 인접한 스루 홀들의 중심 사이에 약 0.8 mm 의 간격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내지 도 3d 에서, 하부 접점 (25) 의 기판 연결부는, 제 1 방향 (A1) 에 평행하고, 제 2 방향 (A2) 으로 서로 이격되는 3 개의 평행한 열로 배치된다. 자세하게는, 접지 접점 (23) 의 기판 연결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제 1 열 (R1) 에 배치된다. 신호 접점 (22) 의 기판 연결부는 제 1 열 (R1) 의 대향측에 위치되는 제 2 열 (R2) 과 제 3 열 (R3) 에 배치된다. 자세하게는, 각각의 접지 접점 (23) 의 대향측에 배치되는 커넥터 접촉부를 갖는 신호 접점 (22) 의 인접한 매 2 쌍에 대해서, 한 쌍의 신호 접점 (22) 의 기판 연결부와 다른 쌍의 기판 연결부가 제 2 열 (R2) 및 제 3 열 (R3) 에 번갈아 배치된다. 그 결과, 도 3d 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접점 (22) 쌍의 기판 연결부는 제 1 열 (R1) 의 대향측에 지그재그식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 2 열 (R2) 에 배치되는 기판 연결부를 갖는 신호 접점 (22) 은 길이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계되며, 게다가 제 3 열 (R3) 에 배치된 기판 연결부를 갖는 신호 접점 (22) 도 길이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계된다. 즉, 동일한 열에 배치되는 기판 연결부를 갖는 신호 접점 (22) 은 길이가 서로 동일하다. 이후, 신호 접점 (22) 쌍은 제 1 연결측과 제 2 연결측 사이에서, 서로에 대한 구부러짐의 차이, 자세하게는 서로에 대한 굽힘 위치 차이에 의해 제 2 열 (R2) 과 제 3 열 (R3) 에 할당된다. 접지 접점 (23) 은 제 1 연결측과 제 2 연결측 사이에서 신호 접점 (22) 으로부터의 굽힘 위치 차이에 의해 제 1 열 (R1) 에 배치된다. 굽힘 위치 차이를 제공하는 것 대신에, 신호 접점 (22) 과 접지 접점 (23) 은 동일 위치에서 구부러질 수도 있고, 이후 굽힘 횟수의 차이에 의해 (예컨대, 단차식 굽힘에 의해) 제 2 연결측에서 3 개의 열에 배치된다. 대안으로, 굽힘 위치의 차이와 굽힘 횟수의 차이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게다가, 제 2 연결측에서, 신호 접점 (22) 의 각 쌍은, 접지 접점 (23) 중 인접한 점점 사이의 위치에 대응하게 배치되고, 각 쌍의 신호 접점 (22) 의 피치는 접점 어레이의 피치보다 약간 크게 설계된다. 그 결과, 제 2 연결측에서, 각 쌍의 신호 접점 (22)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어 충분한 전기 절연이 보장된다.
제 2 연결측에서, 각각의 접지 접점 (23) 은 신호 접점 (22) 의 매 인접한 쌍 사이의 위치에 대응하게 배치된다. 제 2 연결측에서, 각각의 접지 점점 (23) 과, 접점 연결부가 제 1 연결측에서 각각의 접지 접점 (23) 의 대향측에 인접 배치되는 2 개의 신호 접점 (22) 은 제 1, 제 2 및 제 3 열 (R1, R2, R3) 을 경사지게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 결과, 제 2 연결측에서, 신호 접점 (22) 각각과 접지 접점 (23)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어 충분한 전기 절연이 보장된다.
인쇄 기판 (11) 의 스루 홀 (13) 은 제 2 연결측에서 신호 접점 (22) 과 접지 접점 (23) 의 상기 언급된 배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됨이 용이하게 이해된다.
3 쌍의 도전성 신호 접점 (22) 과 4 개의 도전성 접지 접점 (23) 의 조합을 포함하는 전술한 접점 군은 중간 부재로서 도 4 에 도시된 리드 프레임 (30) 을 사용함으로써 쉽게 제조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리드 프레임 (30) 은 금속 플레이트를 펀칭함으로써 형성된 도전성 플레이트이다. 리드 프레임 (30) 은, 평면 (도면에서 지면을 따라) 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 1 리드 (31), 제 1 리드 (31) 중 인접한 리드 사이에서 각 쌍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제 2 리드 (32) 및 일단부측에서 제 1 리드 (31) 와 제 2 리드 (32) 를 연결하는 연결부 (33) 를 포함한다. 각 쌍에서 제 2 리드 (32) 는 일단부측에 피치 (P1) 를 가지며, 타단부측, 즉 자유 단부측에 피치 (P2) 를 갖는다. 금속 플레이트를 펀칭할 때, 제 2 리드 (32) 는 피치 (P2) 가 피치 (P1) 보다 크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 2 리드 (32) 는 자유 단부측에서 제 1 리드 (31) 에 근접한다. 게다가, 리드 프레임 (30) 은, 그 사이의 간격이 비교적 감소되거나 가장 작은 위치에서 제 1 및 제 2 리드 (31, 32) 중 매 인접한 리드를 연결하는 브리지부 (34) 를 갖는다.
제 1 리드 (31) 각각은 전술한 평면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연결부 (33) 와 브리지부 (34) 사이에 위치되는 의도된 굽힘부 (35) 를 갖는다. 제 2 리드 (32) 는 연결부 (33) 로부터 제 1 리드 (31) 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각각 갖는 짧은 리드와 연결부 (33) 로부터 제 1 리드 (31) 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각각 갖는 긴 리드를 포함한다. 짧은 리드와 긴 리드는 전술한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연결부 (33) 와 브리지부 (34) 사이에 각각 위치된 의도된 굽힘부 (36, 37) 를 갖는다. 제 1 리드 (31) 의 의도된 굽힘부 (35) 와 비교하면, 짧은 리드의 의도된 굽힘부 (36) 는 연결부 (33) 로부터 짧은 거리에 위치되고, 긴 리드의 의도된 굽힘부 (37) 는 연결부 (33) 로부터 긴 거리에 위치된다.
전술한 형상의 리드 프레임 (30) 은 리드 사이의 간격이 비교적 작을지라도 단일 도전체 플레이트로부터 프레싱함으로써 쉽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리드 프레임 (30) 이 단일 금속 플레이트로부터 형성될지라도, 접점 군의 피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a 내지 도 5d 를 참조하여, 도 4 에 도시된 리드 프레임 (30) 으로부터 커넥터 군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a 는 도 4 에 도시된 리드 프레임 (30) 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리드 (31, 32) 중 매 인접한 리드들은 브리지부 (34) 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먼저, 리드 프레임 (30) 의 브리지부 (34) 가 전단가공에 의해 절단되어 제 1 리드 (31) 와 제 2 리드 (32) 가 서로 분리된다.
전단가공 절단시에는 어떠한 절단 여유도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제 1 리드와 제 2 리드 (31, 32) 사이의 좁은 영역에 형성된 브리지부 (34) 가 절단될 수 있고, 제 1 리드와 제 2 리드 (31, 32) 가 분리된 후에, 그 사이에 어떠한 갭도 형성되지 않는다. 이후, 분리와 동시에 또는 분리 이후에, 각각의 짧은 리드의 의도된 굽힘부 (36) 는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싱에 의해 구부러진다.
다음으로, 도 5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드 (31) 의 의도된 굽힘부 (35) 가 프레싱에 의해 구부러진다.
이후, 도 5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리드의 의도된 굽힘부 (37) 가 프레싱에 의해 구부러진다.
구부러짐 이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 5b 내지 도 5d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단가공에 의해 절단된 브리지부 (34) 의 일부는 작은 돌기 (38) 로서 각각의 리드 상에 남겨진다. 그러나, 돌기 (38) 는 제 2 방향 (A2) 으로 서로 이격되어, 전기 절연을 방해하지 않는다.
리드 프레임 (30) 이 전단가공 절단 및 프레싱에 의해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형성된 후에, 하부 하우징 (24)(도 3a 내지 도 3d) 은, 예컨대, 인서트 몰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이후, 리드 프레임 (30) 의 연결부 (33) 가 제 1 및 제 2 리드 (31, 32) 로부터 분리된다. 이에 의해, 3 쌍의 신호 접점 (22) 과 4 개의 접지 접점 (23) 을 포함하며 하부 하우징 (24) 에 의해 유지되는 접점 군을 갖는 하부 접점 조립체 (17) 가 얻어진다.
각각의 리드 상에 형성된 작은 돌기 (38) 는 신호 접점 (22) 과 접지 접점 (23) 각각에 남겨진다. 설명의 편의상, 이러한 작은 돌기 (38) 는 생략되고, 신호 접점 (22) 과 접지 접점 (23) 각각의 형상은 도 3a 내지 도 3d 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접점 군을 제조하기 위한 중간 부재로서, 도 6 에 도시된 리드 프레임 (30') 이 사용될 수도 있다. 유사한 부품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의 리드 프레임 (30') 에서, 제 1 리드 (31) 에는, 브리지부 (34) 보다 자유 단부측에 더 가까운 영역에서 그리고 브리지부 (34) 에 인접한 부분에서 제 2 리드 (32) 에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어 제 2 리드 (32) 로부터 떨어져 있는 탈출부 (escape portion)(39) 가 제공된다. 그 결과, 탈출부 (39) 가 제공되는 부분에서 제 1 리드와 제 2 리드 (31, 32)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기 때문에, 프레싱에 의한 리드 프레임 (30') 의 형성이 용이하다.
도 6 의 리드 프레임 (30') 으로부터 커넥터 군을 제조하는 방법은, 도 5a 내지 도 5d 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과 유사하다. 커넥터 군을 포함하는 커넥터는 도 2a 내지 도 2d 에 도시된 커넥터와 구조가 실질적으로 유사함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이, 특히, 그의 예시적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0)

  1. 커넥터의 접점 군을 제조하기 위해 중간 부재로서 사용하는 리드 프레임에 있어서,
    평면에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제 1 리드,
    상기 평면에서 상기 제 1 리드 사이에 각 쌍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 2 리드 쌍, 및
    일단부측에서 제 1 리드와 제 2 리드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리드는 일단부측에서의 피치보다 타단부측에서 더 큰 피치를 가져 제 2 리드를 타단부측에서 제 1 리드에 각각 근접하게 하며,
    상기 리드 프레임은, 제 1 리드와 제 2 리드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는 부분에서 제 1 리드 및 제 2 리드 중 근접 리드를 서로 연결하는 브리지부를 더 포함하는, 리드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드 각각과 제 2 리드 각각은 평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연결부와 브리지부 사이에 위치된 의도된 굽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리드 및 제 2 리드의 의도된 굽힘부는 서로로부터 연결부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위치되는, 리드 프레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드 쌍은 짧은 리드 쌍과 긴 리드 쌍을 포함하며, 연결부로부터 의도된 굽힘부까지의 거리는 짧은 리드에서는 제 1 리드보다 더 짧고, 긴 리드에서는 제 1 리드보다 더 긴, 리드 프레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리드는 연결부로부터의 길이가 제 1 리드의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되고 상기 긴 리드는 연결부로부터의 길이가 제 1 리드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리드 프레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드 각각은, 브리지부보다 타단부측에 더 인접한 영역에서 그리고 브리지부에 인접한 부분에서 제 2 리드에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며 제 2 리드로부터 떨어져 있는 탈출부를 포함하는, 리드 프레임.
  6. 제 1 항에 따른 리드 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
    전단가공에 의해 리드 프레임의 브리지부를 절단하는 단계, 및
    평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 1 리드 및 제 2 리드를 구부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점 군의 제조 방법.
  7. 중간 부재로서 제 1 항에 따른 리드 프레임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접점 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부가 전단가공에 의해 절단됨과 동시에 또는 그 이후에, 제 1 리드 및 제 2 리드가 평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상이한 위치에서 구부러지는, 접점 군.
  9. 중간 부재로서 제 1 항에 따른 리드 프레임을 사용하는 접점 군을 포함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드 및 제 2 리드는, 브리지부가 전단가공에 의해 절단됨과 동시에 또는 그 이후에 평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상이한 위치에서 구부러지며, 연결부가 제 1 리드 및 제 2 리드로부터 잘리는,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드 각각은 접지 접점으로서 사용되고, 상기 제 2 리드 각각은 신호 접점으로서 사용되는, 커넥터.
KR1020120082638A 2011-10-11 2012-07-27 리드 프레임, 접점 군을 제조하는 방법 및 커넥터 KR1013669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24033 2011-10-11
JP2011224033A JP5871552B2 (ja) 2011-10-11 2011-10-11 リードフレーム、コンタクト群の製造方法、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293A true KR20130039293A (ko) 2013-04-19
KR101366944B1 KR101366944B1 (ko) 2014-02-24

Family

ID=47909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638A KR101366944B1 (ko) 2011-10-11 2012-07-27 리드 프레임, 접점 군을 제조하는 방법 및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91272B2 (ko)
JP (1) JP5871552B2 (ko)
KR (1) KR101366944B1 (ko)
CN (2) CN203071264U (ko)
CA (1) CA2782705C (ko)
DE (1) DE102012213069B4 (ko)
TW (1) TWI4963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4215A (ja) * 2010-09-03 2012-03-15 Yazaki Corp コネクタ
JP5871552B2 (ja) * 2011-10-11 2016-03-0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リードフレーム、コンタクト群の製造方法、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CN202712528U (zh) * 2012-06-05 2013-01-30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JP5986012B2 (ja) * 2013-02-18 2016-09-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信号伝送方法
EP3501586B1 (en) * 2014-03-17 2021-02-17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Medical tubes for respiratory systems
SG11201906237VA (en) 2017-01-24 2019-08-2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Blank assembly for housing, housing, manufacturing method for housing and terminal
CN109193204B (zh) * 2018-08-24 2023-09-26 四川华丰科技股份有限公司 非等宽交错式走线电连接器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2736A (en) * 1978-09-08 1981-10-06 Amp Incorporated Method for making jack type receptacles
US4327958A (en) * 1980-05-05 1982-05-04 Amp Incorporated Connector jack
JP2624742B2 (ja) * 1988-02-17 1997-06-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混成集積回路装置およびリードフレーム
JP2000030787A (ja) * 1998-07-09 2000-01-28 Honda Tsushin Kogyo Co Ltd 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とその製造方法
JP2000067961A (ja) * 1998-08-13 2000-03-03 Molex Inc 電気コネクタ
JP2005149770A (ja) * 2003-11-11 2005-06-0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4551868B2 (ja) * 2005-12-28 2010-09-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439540B2 (ja) * 2006-07-14 2010-03-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0930846B1 (ko) 2006-07-14 2009-12-10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일반적 사다리꼴 형상으로 배열된 접점 단자부를 갖는전기적 구성요소
US7727028B1 (en) * 2009-07-14 2010-06-0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 terminals designed to improve impedance
JP2011119123A (ja) * 2009-12-03 2011-06-16 Nec Corp コネクタ
US8246387B2 (en) * 2010-01-08 2012-08-21 Interconnect Portfolio Llc Connector constructions for electronic applications
CN201623295U (zh) * 2010-01-27 2010-11-03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JP5554619B2 (ja) * 2010-04-13 2014-07-2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1224033A (ja) 2010-04-15 2011-11-10 Hokuto Seigyo Kk 可動式汎用塵取り
CN201829796U (zh) * 2010-08-13 2011-05-11 康联精密机电(深圳)有限公司 连接器端子用量单元、连续料带及io连接器
CN102097688B (zh) * 2010-12-24 2014-08-27 东莞市泰康电子科技有限公司 Hdmi连接器及其制作方法
JP5871552B2 (ja) * 2011-10-11 2016-03-0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リードフレーム、コンタクト群の製造方法、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91272B2 (en) 2013-11-26
CN103050801A (zh) 2013-04-17
TWI496359B (zh) 2015-08-11
CA2782705C (en) 2014-09-02
CN203071264U (zh) 2013-07-17
CN103050801B (zh) 2016-02-10
CA2782705A1 (en) 2013-04-11
DE102012213069A1 (de) 2013-04-11
DE102012213069B4 (de) 2019-12-05
TW201316617A (zh) 2013-04-16
KR101366944B1 (ko) 2014-02-24
JP2013084462A (ja) 2013-05-09
JP5871552B2 (ja) 2016-03-01
US20130090022A1 (en) 201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4451B2 (en) Differential signal connector capable of reducing skew between a differential signal pair
KR101366944B1 (ko) 리드 프레임, 접점 군을 제조하는 방법 및 커넥터
US8308513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40108545A (ko) 유동형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US7988462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high density contacts for miniaturization
TWI515983B (zh) 製造具有窄間距接觸件群組的連接器之方法及連接器
JP5813449B2 (ja) リードフレーム及びコネクタ
JP5473638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7087799A (ja) グランド板付電気コネクタ
JP2017111931A (ja)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JP5683521B2 (ja) 導体板及び差動信号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