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8900A - 나선형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나선형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8900A
KR20130038900A KR1020137001088A KR20137001088A KR20130038900A KR 20130038900 A KR20130038900 A KR 20130038900A KR 1020137001088 A KR1020137001088 A KR 1020137001088A KR 20137001088 A KR20137001088 A KR 20137001088A KR 20130038900 A KR20130038900 A KR 20130038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onveying means
deflection device
spiral
spiral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1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코 드 안젤리스
Original Assignee
더블유 알 에이치 월터 라이스트 홀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 알 에이치 월터 라이스트 홀딩 아게 filed Critical 더블유 알 에이치 월터 라이스트 홀딩 아게
Publication of KR20130038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9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6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for 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arriers movable in curved paths
    • B65G21/18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for 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arriers movable in curved paths in three-dimensionally curved p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54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9/00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 B65G29/02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for inclined or vertical trans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8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guiding l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4Retaining clearance for motion between assembl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나선형 컨베이어는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나선형 영역(21)을 따라 이동되는 운반 수단(23)을 구비한다. 운반 수단(23)은 운반 수단의 반경 방향으로 하중인가되는 측에서 나선형 영역(21)을 따라 지지된다. 상기 지지는 운반 수단(23)의 반경 방향으로 하중인가되는 측을 따라 놓이는 다수의 개별 편향 장치(1)에 의해 실현된다. 각각의 상기 편향 장치(1)는 중심체(5)를 구비하고, 이러한 중심체는 중심체를 둘러싸는 롤러체(2)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체는 복수의 롤러(3)를 포함한다. 롤러(3)는 나선형 컨베이어(20)의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지지 영역의 환형 세그먼트에서 중심체(5)의 롤러 트랙(13) 상에서 롤링된다.

Description

나선형 컨베이어{SPIRAL CONVEYOR}
본 발명은 재료 취급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그것은 특히 해당 독립항의 전제부에 청구된 바와 같은 나선형 컨베이어 및 편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품 제품(piece goods) 또는 벌크 제품(bulk goods)이 벨트 또는 플러시-그리드 체인(flush-grid chain)에 의해 운반 시스템으로 운반될 수 있다. 나선형 컨베이어가 수직 거리를 극복하기 위해, 또는 운반 시스템 내에 저장 섹션, 버퍼 섹션 또는 지연 섹션을 실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나선형 컨베이어에서, 또는 일반적으로 견인식 컨베이어 벨트의 편향의 경우에, 특히 탄성 벨트 그 자체, 만곡부-진행 플러시-그리드 체인, 링크 체인, 플레이트 체인 및 플랫-톱(flat-top) 체인(이하 총괄하여 운반 수단으로 지칭됨)에서 큰 마찰 손실이 일어난다. 그 결과, 이러한 컨베이어 벨트를, 보다 정확히는 컨베이어 체인을 180°를 초과하는 편향 각도로 견인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그 결과, 나선형 컨베이어의 구동장치가 구동력이 편향 각도를 따라 몇몇 위치에 도입되도록 개발된다.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WO 99/35063으로부터 고정 장착된 롤러를 편향 영역에 배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WO 2009/036580A1은 운반 수단의 방향 변화의 경우에 편향시키기 위한 또는 지지하기 위한 독립 구조 유닛으로서 운반 시스템 내에 설치가능한 독립 구조 유닛으로서의 편향 장치를 개시한다. 이 경우에, 수개의 롤러를 갖춘 롤러체(roller body)가 편향 장치의 중심체(central body) 주위로 롤링한다. 다양하게 큰 각도로의 편향의 경우에 사용하기 위해, 중심체가 수개의 섹터 요소로부터 모듈형 구성으로 조립되고, 이어서 상응하게 보다 짧은 또는 보다 긴 롤러체가 중심체 주위에 배치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의 대안으로서, 상이한 편향 각도를 실현하기 위해, 중심체가 가요성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나선형 컨베이어에 사용될 때, 롤러체가 컨베이어 벨트의 나선형 길이를 따라 상승하고 후속하여 다시 복귀되는 것이 제공된다.
WO 2009/036581 A1이 또한 다양한 곡률 반경 또는 다양한 편향 각도를 실현하기 위해 중심체의 형태가 조절가능한 편향 장치를 기술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단점을 배제하는 전술된 유형의 운반 시스템을 위한 편향 장치 및 나선형 컨베이어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제조하기에 간단한 편향 장치를 갖춘 개선된 나선형 컨베이어를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해당 독립항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은 나선형 컨베이어 및 편향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은 나선형 컨베이어는 스크류-같은 방식으로(예를 들어 나선을 따라) 연장되는 나선형 영역을 따라 운반되는 운반 수단을 포함하며, 이때 운반 수단은 측방향으로 그 내부에서 나선형 영역을 따라 나선의 반경 방향으로 지지된다. 이 경우에, 상기 지지는 운반 수단의 반경 방향으로 하중인가되는 측을 따라 배치되는 수개의 개별 편향 장치에 의해 실현되며, 여기에서 상기 편향 장치 각각은 중심체와 상기 중심체 주위로 순환하는, 복수의 롤러를 갖춘 롤러체를 포함하고, 롤러는 나선형 컨베이어의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지지 영역의 환형 세그먼트에서 중심체의 롤러 트랙을 따라 롤링한다. 이 경우에, 중심체 주위의 롤러의 원형 트랙이 바람직하게는 폐쇄되고, 곡률의 변화(원형 트랙을 따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형태에서, 개별 편향 장치는 운반 수단의 내면을 따라 차례로 배치된다. 운반 수단의 내면은 나선형 영역의 내부 또는 중심축을 향하고 있는 면이다. 이는 운반 수단이 나선 주위로 견인될 때 반경 방향으로 하중인가되는 면이다. 편향 장치는 또한 반대로 나선형 영역의 외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운반 수단이 밀릴 때 반경 방향으로 하중인가되는 면이다.
놀랍게도,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되는 운반 수단으로 큰 편향 각도가 실현될 수 있다. 현재 견해와는 대조적으로, 완전한 회선(convolution) 주위로의, 즉 360° 이상의 편향 각도가 실현될 수 있으며, 이때 운반 수단은 구동장치에 의해 간단히 나선형 영역을 통해 견인되거나,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밀리거나, 전후로 이동된다. 따라서, 나선형 영역의 다른 영역에서 운반 수단과 협동하는 구동장치가 바람직하게는 필요하지 않다. 이는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회선 주위로의 편향 각도가 또한 실현가능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중심체는 가요성, 바람직하게는 탄성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그것은 평탄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롤러체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편향 장치를 제조할 때, 중심체 주위로의 롤러체의 트랙이 또한 하나의 평면 내에서 연장된다. 조립 중, 편향 장치는 나선의 나선형 라인을 따라 원하는 형태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특히 비틀릴 수 있다. 이어서 그것은 변형된 상태로 이러한 방식으로 나선형 컨베이어에 고정되어 유지된다. 따라서, 편향 장치의 중심체는 나선형 컨베이어에서 비틀린다. 분해 중, 탄성 편향 장치가 다시 원래의 평탄한 형태로 되튀어 복원될 것이다. 이는 편향 장치가 제조하기에 간단하고 사용하기에 간단하며; 복잡한 나선형 형태 - 각각의 나선형 컨베이어의 정확한 형태에 맞추어진 - 가 중심체를 위해 계산되고 제조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형의 가요성 중심체가 또한 나선형 컨베이어와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편향 장치가 비틀리지 않는 것이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 편향 장치는 또한 나선형 방식으로 운반 수단의 경로를 따라 차례로 배치된다.
개별 편향 장치의 형태는 실질적으로 중심체의 형태에 의해 규정되고, 자유로이 선택가능한 편향 각도에 대응한다. 편향 각도는 예를 들어 20도 내지 200도이다. 나선형 컨베이어의 모듈을 형성하기 위해, 편향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45°, 60° 또는 90°이다. 상기 편향 각도를 따라, 또는 바꾸어 말하면 롤링 영역에서, 운반 수단은 편향 장치의 롤러체에 의해 지지되며, 보다 정확히는 운반 수단은 롤러체를 따라 롤링한다. 롤러체의 복귀로는 바람직하게는 롤링 영역 외부에서, 또는 그러나 만곡된 그리고 롤링 영역과 대략 평행한 트랙에서 최단 경로를 따라 연장된다.
편향 장치의 상세 설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전체적으로 본 출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이전에 인용된 WO 2009/036580 A1 또는 WO 2009/036581 A1에서와 같이 개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롤러는 롤러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에 의해, 특히 롤러 밴드 내에서 안내되고 서로 이격된다.
롤러 밴드는 바람직하게는 가요성의 평평한 재료로부터, 특히 플라스틱 재료가 산재된 제직 벨트 또는 직물로부터 제조된다. 롤러 밴드의 다른 바람직한 가용 실시 형태가 그 내용이 전체적으로 참고로 채용되는 WO 2006/094423, 특히 도 8 내지 도 18과 명세서의 대응 섹션에 개시된다. 예를 들어, 롤러 밴드는 롤러 밴드가 또한 롤러 밴드의 평면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굽힘가능하도록 롤러의 지지부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중심에 협착부(constriction)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롤러 밴드는 그 두 외측 에지에 의해 중심체의 컨베이어 안내 홈 내에서 연장되어, 그 결과 안내되고, 탈락이 방지된다. 컨베이어 안내 홈은 바람직하게는 중심체의 일부에 형성되고, 원칙적으로, 중심체 주위로 순환하는 슬롯을 형성하지만, 롤러체는 원형 트랙의 개별 영역에서, 즉 컨베이어 안내 홈 내에서가 아니라 자유로이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롤러체는 서로 체인연결되지 않는 복수의 개별 롤러로부터 형성된다. 롤러는 중심체 주위로 롤링하도록 배치되고, 스페이서 물체에 의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 물체는 바람직하게는 롤러의 롤링 부분 옆의 롤러의 양단부에 롤러의 축을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회전하는 롤러가 서로 접촉하지 못하도록 방지한다.
본 발명은 구동장치에 의한 개선된 그리고 간단해진 나선형 컨베이어의 사용을 허용하고, 보다 정확히는 운반 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힘의 도입이 상당히 간단해지며; 하나의 단일 구동 모터가 운반 수단을 1회의 또는 수회의 회전에 걸쳐 상향 또는 하향으로 견인하거나 밀어낼 수 있거나, 그것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응용은 예를 들어 나선이 하나의 운반 평면으로부터 다른 운반 평면으로 나선형으로 상승하는(또는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임) 수직 거리를 극복하기 위한 수직 컨베이어이다. 다른 응용은 운반 시스템 내의 저장 섹션 또는 버퍼 섹션 또는 지연 섹션이다. 나선형 컨베이어의 나선의 기하학적 배열은 또한 단순 나선(스크류)과 함께, 서로 내에 배치된 상이한 직경의 스크류, 이중 나선 및 나란히 배치된 스크류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크류 또는 나선은 또한 운반 수단의 트랙을 따라 변화하는, 나선 및/또는 변화하는 피치에 대응하는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저장 섹션 또는 버퍼 섹션에서, 예를 들어, 운반 수단은 운반 제품과 함께 하나의 나선에서 우선 상향으로 그리고 다른 나선에서 하향으로 안내된다. 이는 또한 수개의 나선에 의해 반복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저장 섹션에 복귀 편향부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복귀 편향부는 저장 수단 내에서의 복귀 편향부의 위치가 조절가능하기 전에 운반 제품을 저장 수단으로부터 복귀 경로 상으로 편향시키고, 그 결과 저장 수단의 길이 및 용량과 결과적으로 또한 저장 수단 내에서의 운반 제품의 체류 시간이 변화될 수 있다. 매우 일반적인 방식으로, 저장 수단은 "선입 선출(first in - first out)"로서 또는 "선입 후출(first in - last out)"로서 실현될 수 있다.
특히 나선형 컨베이어에 사용하기에 적합하지만 또한 나선형 컨베이어와 관련없는 다른 응용에 사용될 수 있는 편향 장치가 바람직하게는 금속성의 프로파일화된 로드를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프로파일화된 로드는 그 길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그러나 예를 들어 로드의 상이한 위치에 존재할 수 있는 체결 구멍 또는 슬롯을 배제하지 않는 단면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프로파일은 단면에서 볼 때,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로드의 변형 후에도, 단면 프로파일은 변형된 로드를 따라 볼 때,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된다.
전체 중심체가 그러한 프로파일화된 로드, 또는 단지 부분 프로파일, 즉 다른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는 제2 부분 프로파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금속 및 플라스틱 재료를 비롯하여, 전제 프로파일 또는 부분 프로파일을 제조할 수 있는 다른 재료는 또한 복합 재료(예컨대,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 기반), 세라믹 재료, 목재, 대나무 등과 이들의 조합이다.
부분 프로파일은 연결 요소로서의 별개의 다른 부품 없이 예를 들어 스냅식 연결, 치합(toothing), 납접(soldering), 용접 및 수축(shrinking-on)에 의해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이의 대안으로서, 프로파일을 연결하기 위한 별개의 연결 요소, 예를 들어 핀, 스크류, 브라켓 및 접착제 등이 있을 수 있다. 부분 프로파일은 함께 접합된 다음에 함께 변형될 수 있거나, 우선 개별적으로 변형된 다음에 비로소 함께 접합될 수 있다.
치형부 형성된 편향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프로파일은 서로 압입되고 함께 변형되며, 특히 만곡되고/만곡되거나 비틀려진다. 일반적으로, 부분 프로파일이 함께 변형될 때,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중심체의 단부가 바람직하게는 소정 길이로 깨끗이 절단되고, 롤러를 전진 트랙으로부터 복귀 트랙 상으로 그리고 그 역으로 안내하는 편향 요소 또는 단부 요소를 구비한다. 프로파일 또는 부분 프로파일은 결과적으로 연속 주조 방법 또는 플라스틱 재료 압출 방법에 의해 준-무한히(quasi-endlessly) 제조될 수 있다. 특정한 사전결정된 치수(길이, 곡률)를 갖는 편향 장치의 제조 중, 이는 각각의 경우 동일한 곧은 표준 프로파일로부터 진행하여 간단한 방식으로 일어날 수 있다. 복잡한 특수한 기하학적 구조의 제조가 필요하지 않고, 상이한 길이 및 반경을 갖는 부품이 저장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편향 장치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제1 영역과 양측에서 이것에 연결되는 전이 영역을 포함한다. 각각의 경우, 편향 장치의 단부로부터 볼 때, 전이 영역에서 편향 장치, 보다 정확히는 중심체의 곡률은 0으로부터 제1 영역의 곡률까지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이제 운반 수단을 나선의 또는 일반적으로 평면 내의 편향의 곡선으로 충격 없이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롤러체 외부에서 중심체 주위로 순환하는 그리고 운반 수단이 지지되는 전방 롤러 트랙의 영역에서 운반 수단과 롤러 사이에서 연장되는 보호 수단이 있다. 보호 수단은 예를 들어 가요성 벨트 또는 링크 체인이다. 보호 수단은 또한 운반 수단의 형태에 대응하게, 예를 들어 운반 수단의 두께에 대응하는 절제부(cutout)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그것은 어댑팅 요소(adapting element)로서 작용하고, 이것에 의해 운반 장치가 편향 장치의 나머지를 맞출 필요없이 상이한 어댑팅 요소를 사용함으로써 상이한 운반 수단의 형태에 맞추어질 수 있다.
요약하면, 따라서 편향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평평한 편향 장치가 나선형 형태 또는 다른 평평하지 않은 형태에 맞추어질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탄성 변형가능하고, 중심체는 편향 장치가 표준 프로파일로부터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소성 변형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이, 나선을 따라 그리고 운반 수단과 롤러체 사이에서 연장되는 그리고 구동력을 운반 수단 상으로 전달하는 구동 수단이 있다. 구동 수단은 예를 들어 구동 벨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구동 수단은 나선형 영역에서, 즉 구동 수단이 나선의 나선형 라인을 따르는 영역에서 운반 수단의 제2 치형부 내에 맞물리는 제1 치형부를 포함하며, 그 결과 구동력을 전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구동 수단은 나선의 나선형 부분 외부에서 복귀되며, 여기에서 그것은 나선의 나선형 라인을 따라 연장되지 않는 구동 수단의 복귀 섹션에 의해 구동력을 운반 수단으로 전달한다. 복귀 섹션도 또한 바람직하게는 운반 수단의 복귀 섹션을 따라 연장되지 않는다. 상기 복귀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나선, 보다 정확히는 나선형 라인의 축의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곧은 방식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것을 따라 구동 수단이 구동력을 운반 수단으로 전달하는 나선의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270° 또는 360°를 초과하는 각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구동 수단은 힘을 도입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나선의 나선형 라인을 따라 나선형 영역의 하나의 또는 수개의 위치에서 구동된다. 예를 들어, 이 목적을 위해, 그것은 힘을 도입하기 위한 수단, 전형적으로는 휠 또는 치형부 형성된 휠 주위로 권취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구동 수단 및 운반 수단 둘 모두가 별개의 구동장치에 의해 또는 동일한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복수의 개별 편향 장치가 존재하지 않지만, 나선의 나선형 라인을 따라 안내 레일 내에서 연장되는 하나의 롤러체가 있다. 상기 롤러체는 바람직하게는 롤러를 갖춘 롤러 벨트에 의해 형성된다. 롤러체는 예를 들어 전체 나선을 따라 또는 270° 또는 360°를 초과하는 나선의 섹션을 따라 연장된다. 롤러체는 롤러를 안내 레일을 따라 안내하고 수송하며, 이때 운반 수단은 롤러 상에서 롤링한다.
결과적으로, 롤러체, 보다 정확히는 롤러 밴드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고, 편향 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지며, 즉 그것들은 예를 들어 나선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는 하나의 단일 안내 레일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편향 장치 사이의 갭과 같은 갭이 지지부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다른 태양은 전술된 실시 형태의 특징 없이 실현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이 기술될 수 있다: 나선형 컨베이어는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나선형 영역을 따라 이동되는 운반 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운반 수단은 그 반경 방향으로 하중인가되는 측에서 나선형 영역을 따라 지지되고, 여기에서 상기 지지는 운반 수단의 반경 방향으로 하중인가되는 측을 따라 배치되는 안내 요소, 예를 들어 안내 레일에 의해 실현된다. 이를 위해, 나선형 컨베이어는 안내 요소를 따라 이동되는, 복수의 롤러를 갖춘 롤러체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롤러는 한편으로는 안내 요소 상에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운반 수단 또는 운반 수단과 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그리고 나선의 영역에서 운반 수단과 동반되는 어댑팅 요소 상에서 롤링한다.
본 발명의 상기 다른 태양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롤러체는 나선의 나선형 섹션 외부에서 복귀되며, 여기에서 그것은 나선의 나선형 라인을 따라 연장되지 않는 그리고/또는 그것에 실질적으로 평행하지 않은 그리고/또는 그것에 대해 동심이지 않은 롤러체의 복귀 섹션에 의해 운반 수단을 지지한다. 상기 복귀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나선의 축의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곧은 방식으로 연장될 수 있다. 나선의 섹션으로부터 복귀 섹션으로의 전이부에서, 롤러체는 초기에 나선으로부터 떨어져 안내된 다음에, 운반 수단의 운반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안내된다.
본 발명의 상기 다른 태양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 나선형 컨베이어는 나선의 나선형 라인을 따라 복귀되지 않는 롤러체 및 구동 수단 또는 구동 벨트 둘 모두를 포함한다. 상기 복귀의 경우에, 구동 수단과 롤러체는 함께, 즉 나란히 또는 평행하게 안내될 수 있거나, 함께 안내되지 않을 수 있다. 구동 수단으로서 어댑팅 요소, 특히 구동 벨트를 갖는 상이한 실시 형태가 또한 그것과 조합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가 종속항에 개시된다. 이 경우에, 방법 청구항의 특징이 장치 청구항과 유사하게 조합될 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된 단점을 배제하는 전술된 유형의 운반 시스템을 위한 편향 장치 및 나선형 컨베이어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제조하기에 간단한 편향 장치를 갖춘 개선된 나선형 컨베이어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목적이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나선형 컨베이어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은 운반 수단을 위한 편향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6은 편향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11은 편향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변화하는 반경을 갖는 편향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어댑팅 요소로서 순환 돌출 수단을 갖춘 편향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어댑팅 요소로서 나선을 따라 연장되는 구동 벨트를 갖춘 나선형 컨베이어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나선형 컨베이어의 안내 프로파일을 통한 단면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운반 수단의 요소 및 구동 벨트의 치형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구동 벨트를 갖춘 나선형 컨베이어의 변형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나선을 따라 연장되는 롤러체를 갖춘 나선형 컨베이어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나선형 컨베이어의 안내 레일을 통한 단면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면에 사용된 도면 부호 및 그 의미가 도면 부호의 설명에 함께 열거된다. 원칙적으로, 도면에서 동일 부품에는 동일 도면 부호가 부여된다.
도 1은 나선형 컨베이어(20)를 도시한다. 그것은 나선형 영역(21)을 따라 운반하도록 배치되는 무한 순환 운반 수단(23), 예를 들어 플러시-그리드 체인, 링크 체인, 플레이트 체인 또는 플랫-톱 체인과 같은 운반 체인을 도시한다. 나선형 영역(21)은 운반 수단(23)을 기준 평면으로부터 보다 높이 위치된 평면으로 안내하며, 여기서부터 그것은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귀 영역(22)에 의해 기준 평면으로 다시 하향으로 안내되고, 최종적으로 다시 나선형 영역(21)의 출발점으로 안내된다. 이 경우에, 운반 수단(23)은 수직 편향부(24)에 의해 수개의 위치에서 편향된다. 상기 편향부 각각은 나선형 영역(21)의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그리고 각각의 수직 편향부(24)의 영역에서 운반 수단(23)의 운반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편향축을 구비한다. 운반 수단(23)은 나선형 영역(21)의 상부 영역의 구동장치(25)에 의해 나선형 영역(21)을 통해 견인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구동장치(25)는 하부 영역에 배치되거나, 또는 수개의 구동장치가 존재한다. 나선형 컨베이어(20)는 또한 도시되지 않은 지지 또는 프레임 요소를 포함한다. 운반 수단(23)은 편향 장치(1)의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이것들 자체에 의해 그리고 다른 영역에서 다른 안내 수단으로서의 슬라이드 레일(30)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지지된다. 이것들은 특히 운반 수단(23)에 대해 편향 장치(1)에 대향되게 위치되는 영역에서, 예를 들어 운반 수단(23)이 나선의 외주에서 들어 올려지지 못하도록 방지함으로써 편리하다.
운반 수단(23)을 나선형 영역(21)에서 측방향으로 또는 반경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해, 수개의 편향 장치(1)가 배치된다. 모듈형 요소 및 별개의 구조 및 조립 유닛으로서의 상기 편향 장치가 조립, 분해 및 하나의 유닛으로서 수송될 수 있다. 그것들은 나란히 연결되어 배치되어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반경 방향 지지부를 형성한다. 용어 "반경 방향"은 나선형 형태, 보다 정확히는 스크류 형태, 즉 나선의 축과 실질적으로 교차하고 나선의 축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형태와 관련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른 영역에서와 같이 나선형 영역(21)에서 운반 수단(23)의 수직 지지는 슬라이드 레일에 의해 또는 동등하게는 순환 롤러를 갖춘 지지 요소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수직 지지는 특히 예를 들어 구동장치의 견인에 의해 생성되는 상향 운동에 대항하여 운반 수단(23)을 유지시키기 위해 설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운반 수단(23)을 위한 편향 장치(1)의 도면을 도시한다. 편향 장치(1)는 중심체(5)를 포함하며, 롤러체(2)가 상기 중심체 주위로 순환되도록 배치된다. 롤러체(2)는 중심체(5)와 운반 수단(23) 사이의 롤링 영역에서 연장되고, 운반 수단(23)의 운동의 경우에, 중심체(5)의 롤러 트랙(13)을 따라 롤링한다. 이 경우에, 롤러체(2)는 그 롤러(3)에 의해 롤러 트랙(13)에 수직하게 압력을 전달한다. 결과적으로, 운반 수단(23)의 방향을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최소 마찰로 흡수된다. 개별 롤러(3)는 롤러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키기 위한 순환 수단,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WO 2009/036580A1에 기술된 바와 같은 롤러 벨트(4) 내에 장착된다. 롤러 벨트(4)는 그 상부 및 하부 표면에 의해 도 2에 단지 개략적으로만 도시된다. 롤러 벨트(4), 또는 일반적으로 롤러(3)의 안내는 중심체(5) 내의, 특히 각각의 경우 후술되는 바와 같은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 안내체(10, 10') 내의 순환 컨베이어 안내 홈(11)에 의해 실현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편향 장치(1)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대응하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에서, 편향 장치(1)는 조립되어 있으며, 이때 롤러(3) 중 하나가 내부 트랙 요소(51)를 보여주기 위해 투명하게 도시된다. 도 5에서, 중심체(5)의 상부 부분이 제거되었다. 중심체(5)는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 안내체(10, 10')에 의해('커버' 및 '기부'로서) 그리고 만곡된 내부 트랙 요소(51) 및 만곡된 외부 트랙 요소(52)와 컨베이어 안내체(10, 10')에 의해 함께 유지되는 두 단부 요소(56)에 의해 수개의 부품으로 형성된다. 중심체(5) 주위로 이동하는 롤러체(2)의 롤러(3)는 두 트랙 요소(51, 52) 상에서 그리고 트랙 요소(51, 52) 사이의 전이부에서 단부 요소(56) 상에서 롤링한다. 또한, 내부 및 외부 트랙 요소(51, 52) 사이에, 컨베이어 안내체(10, 10') 사이의 거리를 규정하는 스페이서 요소(53)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중심체(5)는 전술된 요소들 사이에 캐비티를 포함하고, 그것으로부터 중심체(5)가 조립되는 요소는 중심체(5)가 전체적으로 또한 가요성이도록, 특히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특히 또한 비틀림가능하도록 가요성이다.
나선형 컨베이어(20) 내에 조립하기 위해, 가요성 편향 장치(1)는 각각 필요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형태로 체결구에 의해 나선형 컨베이어(20)의 지지 또는 프레임 요소에 고정된다.
도 7 내지 도 11은 편향 장치(1)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중심체(5)는 2개의 상호연결된 프로파일 또는 부분 프로파일(41, 42), 즉
- 그것 상에 복귀 롤러 트랙(15) 및 복귀 컨베이어 안내부(16)와 체결 프로파일(43)이 실현되는, 예를 들어 금속, 특히 경금속 또는 경금속 합금의 제1 부분 프로파일(41)(그 자체로 도 7에 도시됨); 및
- 롤러(3)의 원형 트랙의 전방 영역을 위한 컨베이어 안내 홈(11) 및 전방 컨베이어 트랙(14)이 그것 상에 실현되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 또는 동등하게는 금속의 제2 부분 프로파일(42)로부터 형성된다. 운반 수단 안내부(46)가 운반 수단(23)을 둘러싸서 롤러(3)에 가압시키고, 그것을 활주 방식으로 지지한다.
두 부분 프로파일(41, 42)은 서로 압입되거나 스냅체결되어, 그 결과 제1 부분 프로파일(41)의 연결 프로파일(44)이 제2 부분 프로파일(42)의 상보형 연결 프로파일(45)과 후크체결되거나 상호로킹된다(도 8). 부분 프로파일은 바람직하게는 연속 주조 또는 압출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도 9는 롤러 벨트(4)가 롤러(3)와 함께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롤러(3)에 지지되는 그리고 운반 수단 안내부(46)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지지되는 운반 수단(23)의 일부와 함께 삽입된 중심체(5)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따라서, 롤러(3)는 운반 수단(23)과 전방 컨베이어 트랙(14) 사이의 롤링체로서 작동한다. 롤러(3)는 복귀 컨베이어 트랙(15) 내에서 유극을 갖고서 비교적 느슨하게 안내된다. 따라서, 복귀 컨베이어 트랙(15)의 내부 폭은 롤러(3)보다 크지만, 높이에서 특히 롤러(3)가 기울어져 움직이지 않게 될 수 있을 정도로 크지는 않다.
그 자체가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는 단부 요소(56)가 각각의 경우 중심체(5)의 단부에 배치되고, 복귀 컨베이어 트랙(15)으로의 전방 컨베이어 트랙(14)의 원형 트랙을 위한 안내부와, 또한 컨베이어 안내 홈(11)을 위한 대응하는 안내부를 형성한다. 도 10은 절단된 중심체(5)와 이것 상에 배치된 다부품 단부 요소(56)의 반쪽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만곡된 및/또는 비틀린 편향 장치(1)를 제조하기 위해, 곧은 형태로 존재하는 제1 및 제2 부분 프로파일(41, 42)이 연결 프로파일을 상호로킹함으로써 서로 압입되거나 서로 스냅체결된다. 연결 프로파일의 서로를 향한 종방향으로의 소정 변위성이 유지된다. 초기 프로파일을 형성하도록 이러한 방식으로 연결된 부분 프로파일(41, 42)은 이어서 원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즉 굽혀지고/굽혀지거나 비틀려진다. 도 11은 이러한 방식으로 굽혀진 두 부분 프로파일로부터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경우에, 굽힘 중, 부분 프로파일(41, 42)은 서로를 향해 종방향으로 제한된 정도로 변위될 수 있다. 상기 변형 중, 부분 프로파일(41, 42) 중 적어도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소성 변형된다. 예를 들어, 이 경우에, 부분 프로파일 중 하나, 또는 심지어 그것들 둘 모두가 금속으로 제조된다. 결과적으로, 변형 후, 중심체(5)도 전체적으로 그 새로운 형태를 유지한다. 상이한 반경으로 인해, 중심체(5)의 굽힘 후, 중심체(5)를 상기 중심체가 곧은 마감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길이로 절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어서 단부 요소(56)가 중심체(5)의 두 단부에 배치되고 연결된다. 이것을 행하기 전이나 이것을 행한 후에 롤러체(2)가 예를 들어 그것을 컨베이어 안내 홈(11)을 따라 끼우고 롤러 벨트(4)의 양단부를 연결함으로써 삽입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곡률을 가진 프로파일(60)을 갖는 중심체(5)를 도시한다. 따라서, 상기 프로파일은 일정한 곡률을 갖는 제1 영역(61)과, 양측에서 이것에 연결되는 그리고 운반 방향에 따라 또한 입구 영역 및 출구 영역으로 간주될 수 있는 전이 영역(62, 63)을 포함한다. 상기 전이 영역(62, 63)에서, 곡률은 외부로부터 볼 때, 제1 영역의 곡률이 달성될 때까지 0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운반 수단(23) 및 따라서 또한 운반 제품의 충격 없는(jolt-free) 편향이 가능하다. 전이 영역(62, 63)의 형태는 바람직하게는 클로소이드(clothoid)이다.
중심체(5)는 여기에서 또한 예시적인 방식으로 하나의 단일 프로파일로부터 형성된다. 또한 중심체(5)와 함께 변화하는 곡률을 갖는 이러한 프로파일은 당연히 수개의 부분 프로파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도 9의 단면도와 유사하지만, 롤러체(2) 외부에서 중심체(5) 주위로 또한 순환함과 동시에 적어도 운반 수단(23)이 지지되는 전방 컨베이어 트랙을 따라 롤러(3) 상에서 롤링하는 체인형 요소를 갖춘 어댑팅 요소(adapting element)(70)를 추가로 구비하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어댑팅 요소(70)의 체인형 요소는 축(71)을 갖는 피봇 조인트 주위로 서로를 향해 회전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어댑팅 요소(70)는 가요성 벨트이다. 어댑팅 요소(70)는 운반 수단(23)의 에지 영역에서 운반 수단(23)의 형태에 대응하게 형성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어댑팅 요소(70)는 제1 치형부(31)를 포함하며, 이러한 제1 치형부 내에 운반 수단(23)의 대응하는 제2 치형부(32)가 맞물린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도 15의 구동 벨트(28)의 치형부와 유사하다.
어댑팅 요소(70)는 또한 오염으로부터 롤러(3)를 위한 보호물로서 작용한다. 어댑팅 요소는 또한 전적으로 보호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특히 운반 수단(23)의 형태에 정합될 필요가 없다.
도 14는 어댑팅 요소로서 나선을 따라 연장되는 구동 벨트(28)를 갖춘 나선형 컨베이어를 도시한다. 구동 벨트(28)는 운반 수단(23)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고, 구동력을 운반 수단(23)에 전달한다. 이는 전적으로 구동 벨트(28)가 평평하거나 운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프로파일화되지 않음으로써 마찰 맞물림에 의해, 또는 예를 들어 다음의 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형부에 의한 확고한 로킹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나선의 영역에서, 보다 정확히는 구동 벨트(28)가 나선의 나선형 라인을 따르는 영역에서, 구동 벨트(28)는 편향 장치(1)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지지된다. 나선, 보다 정확히는 나선의 나선형 라인 외부의 영역에서, 구동 벨트(28)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나선의 축에 평행하게 안내 롤러(27)에 의해 되돌아져 안내된다.
하나의 또는 수개의 위치에서, 구동 벨트(28)는 벨트 구동장치(29)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표현하면 힘을 도입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구동 벨트(28)는 이 위치에서 나선으로부터 떨어져 안내될 수 있고, 힘을 도입하기 위한 장치의 구동 휠 주위로 안내될 수 있다. 힘은 구동 휠 주위로 권취되는 구동 벨트(28)에 의해 양호하게 도입될 수 있다. 힘을 도입하기 위한 수개의 장치가 있는 경우에, 이것들이 각각의 경우 그 자체의 모터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것, 또는 이것들 중 몇몇이 구동 샤프트 또는 구동 체인에 의해 공통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5는 도 14의 컨베이어의 안내 프로파일(41, 42)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운반 수단(23)의 개별 요소와 함께 구동 벨트의 치형부를 도시한다. 치형부가 존재하고 운반 수단(23)의 연속되는 요소가 제1 치형부(31) 내에 맞물리면, 상기 요소 사이의 거리가 결과적으로 결정된다. 나선의 영역에서, 곧은 섹션에서 서로 평행하게 놓이는 운반 수단(23)의 요소가 비스듬히 서로를 향해 회전될 수 있으며, 즉 팬의 방식으로 서로를 향해 회전될 수 있다. 요소 사이의 각도는 나선의 내주에 걸쳐 분포되는 힘의 균일한 도입이 일어나도록 제1 치형부(31)의 거리에 대응한다. 또한, 치형부는 운반 수단(23)에 작용하는 인장력, 특히 구동장치(25)의 인장력에 의해 유발되는 서로 내로 삽입된 요소의 전개를 방지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구동 벨트(28)는 운반 수단(23)의 곧은 영역에서 운반 수단(23)과 맞물리지 않는데, 왜냐하면 거기에서 요소의 서로를 향한 다른 회전으로 인해, 제1 치형부(31) 및 제2 치형부(32)가 서로 대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치형부가 존재하면, 동일한 제1 치형부(31)가 구동 휠 주위로 권취됨과 동시에 힘을 전달하기 위해 구동 휠의 대응하는 치형부 내에 맞물릴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이, 다른 치형부가 구동 휠(28) 상에 존재하며, 상기 다른 치형부는 제1 치형부(31)와 동일하지 않고, 구동 휠이 상기 다른 치형부 내에 맞물리거나, 또는 수개의 구동 휠이 상기 다른 치형부 내에 맞물린다. 예를 들어, 다른 치형부는 구동 벨트(28)의 하나의 또는 수개의 다른 측에 배치된다.
구동 휠 대신에, 힘을 구동 벨트(28)로 도입시키기 위한 상이하게 개발된 요소, 예를 들어 벨트 또는 체인 또는 캠 체인 등이 모든 실시 형태에 존재할 수 있다.
제1 치형부(31)의 측벽(도 15에서 운반 수단 위와 아래에 놓인)이 존재하고 운반 수단 안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운반 수단(23)이 제2 부분 프로파일(42)에 의해 운반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측벽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도 17은 구동 벨트(28)를 갖춘 나선형 컨베이어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14의 실시 형태와는 대조적으로, 구동 벨트(28)는 구동 벨트(29)에 의해 구동되지 않고[또는 구동 벨트(29)에 의해 구동될 뿐만 아니라], 운반 수단(23) 또는 플러시-그리드 체인에 직접 작용하는 구동장치(25)에 의해 구동된다[구동장치(25)에 의해서도 구동됨]. 운반 수단(23)의 요소의 전술된 변위로 인해, 구동 벨트(28)는 곧은 영역에서 운반 수단(23)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식으로, 그러나 운반 수단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그것과 맞물리지 않은 상태로 안내된다. 안내 프로파일이 도 15에서와 같이 실현될 수 있다.
도 18은 어떠한 개별 편향 장치 없이 나선을 따라 연장되는 롤러 벨트(4)를 갖춘 나선형 컨베이어를 도시한다. 나선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는 안내 레일(26)이 그 장소에 있다. 따라서, 롤러 벨트(4)에 의해 함께 유지되는 롤러체(2)가 나선의 내부에서 전체 나선 또는 적어도 나선의 보다 긴 섹션(예를 들어 약 360° 이상)을 따라 연장되고, 거기에서 롤링 방식으로 운반 수단(23) 또는 어댑팅 요소(70), 보다 정확히는 구동 벨트(28)를 반경 방향으로 지지한다. 나선 주위로의 순환 후 롤러체(2)의 복귀는 바람직하게는 안내 롤러(27)에 의해 예를 들어 나선의 축에 평행하게 달성된다. 그 외에는, 롤러체 그 자체는 도 2 및 도 3과 함께 기술된 바와 동일한 설계 및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도 19는 나선형 컨베이어의 안내 레일(26)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복귀가 나선을 따라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전체 나선에 걸쳐, 즉 나선의 내부 나선형 라인을 따라, 또는 나선의 보다 긴 섹션을 따라 굽혀지거나 형성될 수 있는 비교적 간단한 C-프로파일이 존재할 수 있다. C-프로파일은 수개의 부분 프로파일로부터 그 종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히 열을 이루어 조립됨으로써 다부품일 수 있다. C-프로파일은 또한 단면이 수개의 요소로부터 조립될 수 있다.
롤러체(2)가 나선을 따라 연장되는 실시 형태는 구동 벨트(28)가 나선을 따라 연장되는 실시 형태와 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안내 프로파일은 도 15에서와 같이 보이되 우측의 복귀 롤러 벨트(4)가 없거나; 또는, 바꾸어 말하면, 도 19에서와 같이 보이되 추가적으로 구동 벨트(28)가 롤러 벨트(4)와 운반 수단(23) 사이에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롤러 벨트(4) 및/또는 구동 벨트(28)는 각각 나선을 따라 단지 몇몇 섹션에서만 안내되며, 이때 나선은 수개의 그러한 섹션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그러한 섹션은 각각의 경우 360° 또는 그 배수만큼 선회하고, 각각의 경우 롤러 벨트(4), 구동 벨트(28) 및 벨트 구동장치(29)를 포함하며, 2개 이상의 그러한 섹션이 모듈형 방식으로 연이어 배치된다.
1: 편향 장치 2: 롤러체
3: 롤러 4: 롤러 벨트
5: 중심체 6: 요홈
7: 베어링 돌출부 8: 톱니형부
9: 인장체 10, 10': 컨베이어 안내체
11: 컨베이어 안내 홈 12: 지지부
13: 롤러 트랙 14: 전방 롤러 트랙
15: 복귀 롤러 트랙 16: 복귀 롤러 안내부
20: 나선형 컨베이어 21: 나선형 영역
22: 복귀 영역 23: 운반 수단, 플러시-그리드 체인
24: 수직 편향부 25: 구동장치
26: 안내 레일 27: 안내 롤러
28: 구동 벨트 29: 벨트 구동장치
30: 슬라이드 레일 31: 제1 치형부
32: 제2 치형부 41: 제1 부분 프로파일
42: 제2 부분 프로파일 43: 체결 프로파일
44: 연결 프로파일 45: 상보형 연결 프로파일
46: 운반 수단 안내부 51: 내부 트랙 요소
52: 외부 트랙 요소 53: 스페이서 요소
54: 상부체 55: 하부체
56: 단부 요소 60: 변화하는 곡률을 갖는 중심체
61: 일정한 곡률을 갖는 영역 62, 63: 전이 영역
70: 어댑팅 요소 71: 피봇 조인트 축

Claims (19)

  1.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나선형 영역(21)을 따라 이동되는 운반 수단(23)을 포함하는 나선형 컨베이어(20)로서,
    운반 수단(23)은 그 반경 방향으로 하중인가되는 측에서 나선형 영역(21)을 따라 지지되고, 상기 지지는 운반 수단(23)의 반경 방향으로 하중인가되는 측을 따라 배치되는 수개의 개별 편향 장치(1)에 의해 실현되며, 상기 편향 장치(1) 각각은 중심체(5)와 상기 중심체 주위로 순환하는 그리고 복수의 롤러(3)를 갖춘 롤러체(2)를 포함하고, 롤러(3)는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지지 영역의 환형 세그먼트에서 중심체(5)의 롤러 트랙(13)을 따라 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컨베이어.
  2.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향 장치(1)는 비틀린 중심체(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컨베이어.
  3.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선을 따라 그리고 운반 수단(23)과 롤러체(2) 사이에서 연장되는 그리고 구동력을 운반 수단(23)으로 전달하는 구동 수단(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컨베이어.
  4. 제3항에 있어서,
    구동 수단(28)은 나선형 영역(21)에서 운반 수단(23)의 제2 치형부(32) 내에 맞물려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치형부(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컨베이어.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구동 수단(28)은 나선형 영역(21)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힘을 도입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컨베이어.
  6.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심체(5) 주위로의 롤러(3)의 원형 경로가 폐쇄되고, 변화하는 곡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컨베이어.
  7.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반 수단(23)은 탄성 밴드, 플러시-그리드 체인, 링크 체인, 플레이트 체인 또는 플랫-톱 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컨베이어.
  8.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선형 방식으로 운반 수단(23)의 경로를 따라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의 비틀리지 않은 편향 장치(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컨베이어.
  9.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심체(5)는 탄성을 갖고, 평탄한 형태로 제조되며, 비틀린 형태로 나선형 컨베이어(20) 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컨베이어.
  10.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나선형 컨베이어(2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편향 장치(1)를 위한 중심체(5)를 제조하고 롤러체(2)를 중심체(5) 내로 삽입하는 단계로서, 중심체(5) 주위로의 롤러체(2)의 트랙이 평면 내에 놓이는 단계;
    편향 장치(1)를 나선형 컨베이어(20) 내에 구조 유닛으로서 조립하는 단계로서, 편향 장치(1)는 조립체의 나선형 컨베이어(20) 내에 설치되고 있을 때 변형되며, 특히 비틀리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컨베이어 제조 방법.
  11. 특히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나선형 컨베이어(20)에 사용하기 위한 편향 장치(1)로서,
    편향 장치(1)는 중심체(5)와 중심체(5) 주위로 순환하는 롤러체(2)를 포함하고, 롤러체(2)는 중심체(5)의 롤러 트랙(13) 상에서 중심체(5) 주위로 롤링하는 복수의 롤러(3)를 포함하며, 중심체(5)는 프로파일화된 로드(41)의 소성 변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중심체(5)는 금속으로 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화된 로드(41)의 소성 변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중심체(5) 또는 롤러(3)가 그것을 따라 안내되는 내부 및 외부 트랙 요소(51, 52)를 포함하는 중심체(5)의 부분은 곧은 형태로 제조되고, 소성 변형에 의해 만곡된 및/또는 비틀린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심체(5)는 적어도 2개의 부분 프로파일(41, 42)을 변형된 상태로 포함하고, 그 종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프로파일 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정한 곡률을 갖는 제1 영역(61)과 양측에서 상기 제1 영역에 연결되는 전이 영역(62, 63)을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편향 장치(1)의 단부로부터 볼 때, 전이 영역(62, 63)에서 편향 장치(1)의 곡률은 0으로부터 제1 영역(61)의 곡률까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롤러체(2) 외부에서 중심체(5) 주위로 순환하는 그리고 운반 수단(23)이 지지되는 전방 롤러 트랙(14)의 영역에서 운반 수단(23)과 롤러(3) 사이에서 연장되는 보호 수단(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보호 수단(70)은 어댑팅 요소로서 실현되고, 이 목적을 위해, 그것이 운반 수단(23)에 인접하는 영역에서, 운반 수단(23)의 형태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18.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편향 장치(1)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그 종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프로파일 단면을 포함하는 초기 프로파일을 제조하는 단계;
    초기 프로파일을 만곡된 및/또는 비틀린 형태로 소성 변형시키는 단계;
    롤러(3)를 삽입하고 롤러(3)를 안내하기 위한 단부 요소(56)를 조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초기 프로파일을 제조하는 단계는 연결 요소로서의 추가 부품으로 또는 연결 요소로서의 추가 부품 없이 적어도 2개의 부분 프로파일을 연결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제조 방법.
KR1020137001088A 2010-06-17 2011-06-10 나선형 컨베이어 KR201300389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978/10 2010-06-17
CH00978/10A CH703328A1 (de) 2010-06-17 2010-06-17 Wendelförderer.
PCT/CH2011/000141 WO2011156927A1 (de) 2010-06-17 2011-06-10 Wendelförder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900A true KR20130038900A (ko) 2013-04-18

Family

ID=44511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088A KR20130038900A (ko) 2010-06-17 2011-06-10 나선형 컨베이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39371B2 (ko)
EP (1) EP2582600B1 (ko)
KR (1) KR20130038900A (ko)
AU (1) AU2011267759A1 (ko)
CH (1) CH703328A1 (ko)
WO (1) WO20111569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121515A1 (it) * 2012-09-14 2014-03-15 Rexnord Marbett Srl Apparato per assistere lo scorrimento di una catena
CH708920B1 (de) * 2013-12-02 2017-12-29 Wrh Walter Reist Holding Ag Umlenkvorrichtung für ein Fördersystem und Führungselement für eine Umlenkvorrichtung.
CN103964120A (zh) * 2014-04-28 2014-08-06 苏州倍辰莱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带螺旋导轨的接驳台
EP3825261B1 (en) * 2016-04-08 2023-09-06 Ambaflex International B.V. A conveyor and a conveying system
EP3345813B1 (de) * 2017-01-09 2019-08-07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Fahrzeugmontageeinrichtung
DE102017004820B3 (de) 2017-05-18 2018-09-27 Interroll Holding Ag Transportaufsatz, Zugmittel, Plattenförderer und Verfahren
DE102018001569B4 (de) * 2018-02-28 2019-10-31 Interroll Holding Ag Transportaufsatz, Zugmittel, Plattenförderer und Verfahren
CN109928165B (zh) * 2019-04-25 2023-12-19 艾艾精密工业输送系统(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转弯输送机和输送带
CN110482120A (zh) * 2019-08-21 2019-11-22 深圳市华南新海传动机械有限公司 螺旋输送机
US10829309B1 (en) 2019-10-25 2020-11-10 John Bean Technologiess AB Glide strips and guide blocks for conveyor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83094A1 (fr) * 1977-03-11 1978-10-06 Barthelemy Louis Transporteur continu
DE3726059C1 (en) * 1987-08-06 1988-12-08 Kloeckner Becorit Gmbh Conveyor curve for a chain scraper conveyor
US4934517A (en) * 1988-11-14 1990-06-19 The Laitram Corporation Horizontal flexing conveyor belt
DE59207053D1 (de) * 1992-02-05 1996-10-10 Ferag Ag Kettenumlenkung
NL1003929C2 (nl) * 1996-08-30 1998-03-04 Jonge Poerink Bv Transportband en daarvan voorziene transportinrichting.
NL1008010C2 (nl) 1998-01-12 1999-07-13 Aluflex Flexible Profile Syste Transportinrichting.
US6260688B1 (en) * 1999-01-22 2001-07-17 Hartness International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articles
DE10135659A1 (de) * 2001-07-21 2003-02-06 Kolbus Gmbh & Co Kg Fördereinrichtung zur Förderung von Gegenständen, insbesondere von Druckprodukten
EP1340698A1 (en) * 2002-02-27 2003-09-03 Rexnord Marbett S.p.A. Guide for conveyor of articles
US6796418B1 (en) * 2003-06-26 2004-09-28 Kvp Corporation Addition of intermediate supports for spiral conveyors
EP1725482B1 (de) * 2004-03-18 2012-08-15 WRH Walter Reist Holding AG Rollende fördervorrichtung
AU2006222472B2 (en) 2005-03-11 2012-07-05 Wrh Walter Reist Holding Ag Transport device, rolling body and transport body
ES2414780T3 (es) 2007-09-17 2013-07-22 Wrh Walter Reist Holding Ag Dispositivo de desviación para un sistema transportador
DE102008044430A1 (de) * 2008-08-14 2010-02-18 Krones Ag Fördermittel für Artikel
CN102596765A (zh) * 2009-09-04 2012-07-18 莱特拉姆有限责任公司 螺旋型传送器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H703328A1 (de) 2011-12-30
EP2582600B1 (de) 2014-08-27
WO2011156927A1 (de) 2011-12-22
EP2582600A1 (de) 2013-04-24
US9139371B2 (en) 2015-09-22
US20130153369A1 (en) 2013-06-20
AU2011267759A1 (en) 2013-01-10
AU2011267759A2 (en) 201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8900A (ko) 나선형 컨베이어
US8459444B2 (en) Conveying equipment including at least one curved corridor
CN101878170B (zh) 用于传送系统的转向装置
CN108025874A (zh) 螺旋输送机系统
US6523677B1 (en) Low tension dual helical conveyor system
US9434546B2 (en) End drive for a conveyor, conveyor provided with an end drive, and drive gear for an end drive
EP3369681A1 (en) Direct edge drive conveyor belt
RU2533776C2 (ru) Ленточный конвейер
US9162823B2 (en) Conveying system, conveying element, and guide track
CA2768630C (en) Helical conveyor
EP1047617B1 (en) Spiral freezer conveyor belt infeed collapsing system
US9150359B2 (en) Link member having a curved bearing surface
WO2004063059A1 (en) Conveyor device
CN110023210B (zh) 链式输送机用的链条及链式输送机
JPH09169417A (ja) ネットコンベヤのカーブ構造
WO2006104380A1 (en) Belt conveyor with curved se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