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5770A - 온도에 따라 변색하는 인몰드용 전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온도에 따라 변색하는 인몰드용 전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5770A
KR20130035770A KR1020110100298A KR20110100298A KR20130035770A KR 20130035770 A KR20130035770 A KR 20130035770A KR 1020110100298 A KR1020110100298 A KR 1020110100298A KR 20110100298 A KR20110100298 A KR 20110100298A KR 20130035770 A KR20130035770 A KR 20130035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rinting
discoloration
transfer film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봉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10100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5770A/ko
Publication of KR20130035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271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using microcaps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63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41M5/5281Polyurethanes or 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0Sympathetic, colour changing or similar 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 또는 광에 의해 변하는 온도에 따라 인쇄 패턴이 변색하는 인몰드용 전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인몰드용 전사 필름은 기재층의 일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 이형층, 하드층, 인쇄 프라이머층, 변색 인쇄층, 접착 프라이머층 및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변색 인쇄층은 온도에 따라 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몰드용 전사 필름의 제조 방법은 다수의 변색 캡슐을 함유한 변색 인쇄층을 구비한 인몰드용 전사 필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도에 따라 변색하는 인몰드용 전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TRANSCRIPTION FILM FOR IN-MOLD WITH THERMOCHROMIC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몰드용 전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 또는 광에 의해 변하는 온도에 따라 인쇄 패턴이 변색하는 인몰드용 전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 발전에 힘입어 다양한 전기 및 전자 제품이 계속적으로 출현하고 있고, 대표적으로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사용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생활 필수품 중 하나가 되었다. 이 외에도, 노트북, 전자수첩, MP3, PDA, 네비게이션 등은 소형화되면서 휴대가 가능해짐에 따라 그 사용자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전기 및 전자제품은 주된 소비층인 젊은 세대의 취향을 충족하기 위하여 그 기능성뿐만 아니라 외부로 보이는 미감, 즉 색상이나 디자인에 대해서도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도 중 하나로 최근에는 인몰드용 전사필름을 이용하여 동시 사출을 통하여 최종 완제품인 사출 성형물을 제조하고 있다.
이러한 인몰드용 전사 필름은 국내공개특허공보 제 2009-0078883호(2009.07.2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사 필름에 인쇄된 각종 문양을 기기에 압착하여 전사하지만, 전사된 인쇄 문양이 온도에 따라 변색하는 시각적인 효과를 이룰 수 없고, 이에 따라 인쇄 문양이 전사된 기기의 열적 상태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 또는 광에 의해 변하는 온도에 따라 인쇄 문양이 변색하는 인몰드용 전사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인몰드용 전사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몰드용 전사 필름은 기재층의 일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 이형층, 하드층, 인쇄 프라이머층, 변색 인쇄층, 접착 프라이머층 및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변색 인쇄층은 온도에 따라 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몰드용 전사 필름에서 변색 인쇄층은 우레탄 수지, 변성 아크릴 수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고, 일면에 인쇄 잉크가 매립된 인쇄문양패턴을 구비하며, 다수의 변색 캡슐을 층 전체 또는 인쇄문양패턴에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몰드용 전사 필름에서 상기 변색 캡슐은 코팅용 수지로 이루어진 캡슐 내부에 감열 변색 잉크(thermochromic ink), 감광성 변색 잉크(Photochromic ink) 및 첨가제를 함유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몰드용 전사 필름에서 상기 변색 캡슐은 상기 변색 인쇄층 전체에 대해 30 ~ 5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몰드용 전사 필름의 제조 방법은 기재층의 일면에 이형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형층의 상부면에 하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드층의 상부면에 인쇄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쇄 프라이머층의 상부면에 변색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변색 인쇄층의 상부면에 접착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 프라이머층의 상부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색 인쇄층은 온도에 따라 변색하는 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몰드용 전사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변색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우레탄 수지, 변성 아크릴 수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변색 캡슐을 함유한 슬러리를 상기 인쇄 프라이머층의 상부면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도포된 슬러리 층을 열, UV 및 IR 중 하나에 의해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경화된 슬러리 층의 상부면에 인쇄 패턴을 위한 에칭(etching)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패턴에 인쇄 잉크 또는 상기 변색 캡슐을 매립하여 인쇄문양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몰드용 전사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슬러리를 스퀴즈를 이용한 스크린 프린팅 방법으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용 전사 필름은 사출 성형물에 장착되어 성형물이 온도에 따라 변색하는 시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출 성형물의 열적 상태를 파악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용 전사 필름의 제조 방법은 다수의 변색 캡슐을 함유한 변색 인쇄층을 구비한 인몰드용 전사 필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용 전사 필름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용 전사 필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용 전사 필름을 기기에 적용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용 전사 필름(100)은 기재층(110), 이형층(120), 하드층(130), 인쇄 프라이머층(140), 변색 인쇄층(150), 접착 프라이머층(160) 및 접착층(170)을 포함한다.
기재층(110)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P(polypropylene) 및 아크릴(acrylic)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형층(120)은 기재층(110)의 일면에 형성되며, 사출 금형 내에 인몰드용 전사필름(100)을 삽입한 상태에서 용융된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되는 사출 성형물(미도시)을 제작한 후, 사출 성형물로부터 기재층(110)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되는 층이다.
여기서, 이형층(120)은 에폭시계, 에폭시-멜라민계, 아미노알키드계, 아크릴계, 멜라민계, 실리콘계, 불소계, 셀룰로오스계, 요소 수지계, 폴리올레핀계, 파라핀계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질을 스퀴즈(squeeze)를 이용한 스크린 프린팅 방법(screen printing process)을 통하여 기재층(11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형층(120)의 두께는 2 ~ 7㎛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이형층(120)의 두께가 2㎛ 미만일 경우에는 이형층(120)의 아래 방향에 형성될 변색인쇄층(150)에 입체적인 질감을 구현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고, 반대로 이형층(120)의 두께가 7㎛를 초과할 경우에는 이형제의 미경화에 따른 경시변화로 사출 시 미박리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하드층(130)은 이형층(120)의 일면에 형성되며, 사출 성형 시 후술할 변색 인쇄층(150)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층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하드층(130)은 아크릴계 폴리머, 우레탄계 폴리머, 에폭시계 폴리머 및 실록산계 폴리머 중 어느 하나 또는 합성물을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올리고머(oligomer)와 같은 자외선 경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드층(130)은 강도 향상을 위하여 실리카(silica)계의 필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인쇄 프라이머층(140)은 하드층(130)과 후술할 변색 인쇄층(150) 사이에 개재되어 변색 인쇄층(150)의 접착력을 보강하는 층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인쇄 프라이머층(140)은 우레탄 수지, 변성 아크릴 수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여, 산화금속 미립자 또는 경화 촉매를 첨가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색 인쇄층(150)은 인쇄 프라이머층(140)과 마찬가지로 우레탄 수지, 변성 아크릴 수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다수의 변색 캡슐(151)을 함유하고 일면에 인쇄 잉크가 매립된 인쇄문양패턴(152)을 형성한다.
변색 캡슐(151)은 감열 변색 잉크(thermochromic ink) 또는 감광성 변색 잉크(Photochromic ink)를 내부에 함유하여 1 ~ 5㎛의 직경을 갖는 캡슐 형태로서, 감열 변색 잉크와 감광성 변색 잉크는 외부 환경에 매우 민감하므로 일종의 보호막으로 코팅용 수지로 이루어진 캡슐에 함유될 수 있다.
여기서, 감열 변색 잉크는 예를 들어, 시온 잉크(Zion ink) 또는 C21H16N2 이고, 감광성 변색 잉크는 할로겐화은, 스피로피란(Spiropyran), 스피로옥사진(Spirooxazine), 아조 화합물(Azo compound), 디아릴에텐 등의 유기화합물 또는 텅스텐 화합물과 같은 무기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변색 캡슐(151)은 감열 변색 잉크 또는 감광성 변색 잉크 이외에 침강 방지제와 소포제와 같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침강 방지제는 변색 잉크 조성물을 구성하는 입자들이 침강되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실리카(Silica), 알루미나, 카올리나이트, 벤토나이트, 돌로마이트, 바이어라이트(BaSO4), 칼슘카보네이트(CaCO3), 탈크, 티타니아, 규조토 등의 무기물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감광성 변색 잉크는 빛에 대한 반응성이 요구되므로 실리카(Silica)와 같은 투명한 실리콘(Silicon)계 침강 방지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침강 방지제는 감광성 변색 잉크의 총량에 대하여 0.1 ~ 3 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포제는 변색 인쇄층(150)의 형성시 또는 전사시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기포로 인해 전사시 핀홀이 생기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폴리실록산(Polysiloxane)계 소포제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소포제는 감광성 변색 잉크의 총량에 대하여 0.01 ~ 3 중량%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다수의 변색 캡슐(151)은 30 ~ 50 중량%로 변색 인쇄층(150) 전체에 함유되거나, 또는 인쇄문양패턴(152)에만 함유될 수 있다. 다수의 변색 캡슐(151)이 인쇄문양패턴(152)에만 함유되는 경우, 인쇄 잉크가 필요없이 다수의 변색 캡슐(151)이 인쇄문양패턴(152)을 채우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다수의 변색 캡슐(151)이 30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에는 색 재현성이 저조하고 분포도 저하되지만, 30 ~ 50 중량%의 범위에서는 색 재현성과 분포 전도가 모두 양호하다.
접착 프라이머층(160)은 변색 인쇄층(150)과 후술할 접착층(170) 사이에 개재되어 접착력을 보강하는 층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접착 프라이머층(160)은 우레탄 수지, 변성 아크릴 수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여, 산화금속 미립자 또는 경화 촉매를 첨가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170)은 접착 프라이머층(160)의 하면에 형성되어 사출 성형물에 전사 필름(100)을 접착하기 위한 층으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아크릴, EVA(ethylene co-vinyl acetate), PVA(polyvinyl acetate) 등의 접착제를 예컨대, 스퀴즈(squeeze)를 이용한 스크린 프린팅 방법(screen printing process), 그라비아(Gravure) 인쇄, 플렉소(Flexo) 인쇄,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콤마 코팅, 롤 코팅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적정 두께로 도포한 후, 일정 온도로 경화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인몰드용 전사 필름(100)은 변색 인쇄층(150)에 함유된 다수의 변색 캡슐(151)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물에 전사된 인쇄 문양이 온도에 따라 변색하는 시각적인 효과를 이룰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쇄 문양이 전사된 사출 성형물의 열적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용 전사 필름의 제조 방법은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용 전사 필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용 전사 필름(100)의 제조 방법은 먼저 기재층(110)의 일면에 이형제 조성물을 포함한 슬러리를 적하하고 스퀴즈(squeeze)를 이용한 스크린 프린팅 방법(screen printing process)으로 이형층(120)을 형성한다(S210).
구체적으로, 스퀴즈를 이용한 스크린 프린팅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도시하지 않음)의 상부에 안착되는 기재층(110)과 이격된 상부에 이형제 조성물을 포함한 슬러리(121)를 공급하는 노즐(300)을 이용하여 기재층(110)의 표면에 일정량의 슬러리(121)를 적하한다. 여기서, 이형제 조성물은 에폭시계, 에폭시-멜라민계, 아미노알키드계, 아크릴계, 멜라민계, 실리콘계, 불소계, 셀룰로오스계, 요소 수지계, 폴리올레핀계 및 파라핀계 중 어느 하나 또는 합성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적하된 슬러리(121)는 스퀴즈(200)에 의해 기재층(110)의 일면에 일정 두께의 층으로 형성되고, 이어서 열, UV 및 IR 중 하나에 의해 층을 경화하여 이형층(120)을 형성한다.
이형층(120)을 형성한 후, 이형층(120)의 상부면에 하드층(130)을 형성한다(S220).
구체적으로, 하드층(130)을 형성하는 단계(S220)는 이형층(120)의 상부면에 하드층(130) 물질을 포함한 슬러리를 스퀴즈(200)를 이용한 스크린 프린팅 방법으로 도포하여 하드 코팅층을 형성한 후, 하드 코팅층을 건조로에서 140 ~ 170℃의 온도로 경화시켜 하드층(130)을 형성한다.
이러한 하드층(130)은 아크릴계, 우레탄계 폴리머, 에폭시계 폴리머 및 실록산계 폴리머 재질 중 어느 하나 또는 합성물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올리고머(oligomer)와 같은 자외선 경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드층(130)은 강도 향상을 위하여 실리카(silica)계의 필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하드층(130)을 형성한 후, 하드층(130)의 상부면에 인쇄 프라이머층(140)을 형성한다(S230).
인쇄 프라이머층(140)을 형성하는 단계(S230)는 증착 또는 프라이머층(140) 물질을 포함한 슬러리를 스퀴즈를 이용한 스크린 프린팅 방법으로 하드층(130)의 상부면에 형성하고 경화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쇄 프라이머층(140) 물질을 포함한 슬러리는 우레탄 수지, 변성 아크릴 수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여, 산화금속 미립자 또는 경화 촉매를 첨가할 수 있다.
인쇄 프라이머층(140)을 형성한 후, 인쇄 프라이머층(140)의 상부면에 변색 인쇄층(150)을 형성한다(S240).
구체적으로, 변색 인쇄층(150)을 형성하는 단계(S240)는 우레탄 수지, 변성 아크릴 수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다수의 변색 캡슐(151)을 함유한 슬러리를 스퀴즈를 이용한 스크린 프린팅 방법으로 인쇄 프라이머층(140)의 상부면에 도포하고, 열, UV 및 IR 중 하나에 의해 도포된 층을 경화시킨다.
이후, 경화된 층의 상부면에 인쇄문양패턴(152)을 위한 에칭(etching)을 수행하여 인쇄 패턴을 형성하고, 인쇄 잉크를 인쇄 패턴에 매립하여 인쇄문양패턴(152)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변색 인쇄층(150)을 형성하는 단계(S240)는 상기 방법 이외에 그라비아(Gravure) 인쇄 또는 플렉소(Flexo) 인쇄의 방법으로 인쇄문양패턴(152)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변색 인쇄층(150)을 형성하는 단계(S240)에서, 다수의 변색 캡슐(151)이 슬러리에 함유되지 않고, 경화된 층의 상부면에 형성된 인쇄 패턴에만 매립되어 인쇄문양패턴(15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다수의 변색 캡슐(151)은 1 ~ 5㎛의 직경을 갖는 캡슐 형태로서, 30 ~ 50 중량%로 변색 인쇄층(150) 전체에 함유되거나, 또는 인쇄문양패턴(152)에만 함유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변색 캡슐(151)이 변색 인쇄층(150) 전체에 30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에는 색 재현성이 저조하고 분포도 저하되지만, 30 ~ 50 중량%의 범위로 함유되는 경우에는 색 재현성과 분포 정도가 모두 양호해지는 효과가 있다.
변색 인쇄층(150)을 형성한 후, 변색 인쇄층(150)의 상부면에 접착 프라이머층(160)을 형성한다(S250).
구체적으로, 접착 프라이머층(160)을 형성하는 단계(S250)는 증착 또는 접착 프라이머층(160) 물질을 포함한 슬러리를 스퀴즈를 이용한 스크린 프린팅 방법으로 변색 인쇄층(150)의 상부면에 형성하고 경화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접착 프라이머층(160) 물질을 포함한 슬러리는 우레탄 수지, 변성 아크릴 수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여, 산화금속 미립자 또는 경화 촉매를 첨가할 수 있다.
접착 프라이머층(160)을 형성한 후, 접착 프라이머층(160)의 상부면에 접착층(170)을 형성한다(S260).
접착층(170)을 형성하는 단계(S260)는 도 3에 관련된 스퀴즈를 이용한 스크린 프린팅 방법으로 형성되되,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아크릴, EVA(ethylene co-vinyl acetate), PVA(polyvinyl acetate) 등의 접착제 물질을 포함한 슬러리를 적정 두께로 도포한 후, 일정 온도로 경화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접착층(170)을 형성하는 단계(S260)는 상기 방법 이외에 그라비아 인쇄, 플렉소 인쇄,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콤마 코팅, 롤 코팅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용 전사 필름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인몰드용 전사 필름(100)은 사출 금형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용융된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과 같은 사출 성형물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인몰드용 전사 필름(100)에 의해 컵과 같은 사출 성형물은 자체 온도 또는 광에 의해 변하는 온도에 따라 인쇄 문양이 변하거나 변색하되, 온도가 상온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인쇄 문양과 특정 색상을 나타내지만, 온도가 상온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도 4b에 도시된 인쇄 문양 또는 다른 색상으로 변환되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용 전사 필름은 사출 성형물에 장착되어 성형물이 온도에 따라 변색하는 시각적인 효과를 이룰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출 성형물의 열적 상태를 파악하기 용이한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인몰드용 전사 필름 110: 기재층
120: 이형층 130: 하드층
140: 인쇄 프라이머층 150: 변색 인쇄층
151: 변색 캡슐 152: 인쇄문양패턴
160: 접착 프라이머층 170: 접착층

Claims (12)

  1. 기재층의 일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 이형층, 하드층, 인쇄 프라이머층, 변색 인쇄층, 접착 프라이머층 및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변색 인쇄층은 온도에 따라 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용 전사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 인쇄층은 우레탄 수지, 변성 아크릴 수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고, 다수의 변색 캡슐을 함유하며, 일면에 인쇄 잉크가 매립된 인쇄문양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용 전사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 인쇄층은 우레탄 수지, 변성 아크릴 수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고, 일면에 다수의 변색 캡슐이 매립된 인쇄문양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용 전사 필름.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 캡슐은 코팅용 수지로 이루어진 캡슐 내부에 감열 변색 잉크(thermochromic ink), 감광성 변색 잉크(Photochromic ink) 및 첨가제를 함유하고, 1 ~ 5㎛의 직경을 갖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용 전사 필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열 변색 잉크는 시온 잉크(Zion ink) 또는 C21H16N2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용 전사 필름.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변색 잉크는 할로겐화은, 스피로피란(Spiropyran), 스피로옥사진(Spirooxazine), 아조 화합물(Azo compound), 디아릴에텐, 텅스텐 화합물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가지의 합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용 전사 필름.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침강 방지제와 소포제를 포함하고,
    상기 침강 방지제는 실리카(Silica), 알루미나, 카올리나이트, 벤토나이트, 돌로마이트, 바이어라이트(BaSO4), 칼슘카보네이트(CaCO3), 탈크, 티타니아, 규조토 주 어느 하나를 상기 감광성 변색 잉크의 총량에 대하여 0.1 ~ 3 중량% 첨가하며,
    상기 소포제는 폴리실록산(Polysiloxane)계 소포제로서 상기 감광성 변색 잉크의 총량에 대하여 0.01 ~ 3 중량%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용 전사 필름.
  8.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 캡슐은 상기 변색 인쇄층 전체에 대해 30 ~ 5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용 전사 필름.
  9. 기재층의 일면에 이형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형층의 상부면에 하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드층의 상부면에 인쇄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쇄 프라이머층의 상부면에 변색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변색 인쇄층의 상부면에 접착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 프라이머층의 상부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변색 인쇄층은 온도에 따라 변색하는 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용 전사 필름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우레탄 수지, 변성 아크릴 수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변색 캡슐을 함유한 슬러리를 상기 인쇄 프라이머층의 상부면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도포된 슬러리 층을 열, UV 및 IR 중 하나에 의해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경화된 슬러리 층의 상부면에 인쇄 패턴을 위한 에칭(etching)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패턴에 인쇄 잉크 또는 상기 변색 캡슐을 매립하여 인쇄문양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용 전사 필름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슬러리를 스퀴즈를 이용한 스크린 프린팅 방법으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용 전사 필름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 캡슐은 코팅용 수지로 이루어진 캡슐 내부에 감열 변색 잉크, 감광성 변색 잉크 및 첨가제를 함유한 형태이고,
    상기 감열 변색 잉크는 시온 잉크 또는 C21H16N2 를 포함하며,
    상기 감광성 변색 잉크는 할로겐화은, 스피로피란, 스피로옥사진, 아조 화합물, 디아릴에텐, 텅스텐 화합물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가지의 합성물이며,
    상기 첨가제는 상기 감광성 변색 잉크의 총량에 대하여 0.01 ~ 3 중량%로 첨가되는 침강 방지제와 소포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용 전사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10100298A 2011-09-30 2011-09-30 온도에 따라 변색하는 인몰드용 전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357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298A KR20130035770A (ko) 2011-09-30 2011-09-30 온도에 따라 변색하는 인몰드용 전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298A KR20130035770A (ko) 2011-09-30 2011-09-30 온도에 따라 변색하는 인몰드용 전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770A true KR20130035770A (ko) 2013-04-09

Family

ID=48437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298A KR20130035770A (ko) 2011-09-30 2011-09-30 온도에 따라 변색하는 인몰드용 전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5770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7672A (zh) * 2013-12-27 2014-04-09 天津孚信达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光致变色pet膜及其在转印中的应用
KR101457667B1 (ko) * 2014-06-05 2014-11-07 주식회사 비에프 내마모성이 우수한 변온 변색 전사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31096A (ko) * 2014-09-11 2016-03-22 (주)엘지하우시스 인테리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32765B1 (ko) * 2019-05-29 2020-07-10 최윤범 변온을 이용한 승화전사 컷팅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과 이 컷팅스티커의 전사방법
KR20220011361A (ko) * 2020-07-21 2022-01-28 이근조 발열 측정용 스티커 타입 체온계
KR20220095775A (ko) 2020-12-30 2022-07-07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감지 창 및 이를 이용한 건물 화재 발생 지점 및 확산 방향 예측 시스템
KR20220101536A (ko) 2021-01-11 2022-07-19 유하준 온도 반응형 인쇄물용 혼합 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
KR102503097B1 (ko) * 2022-05-24 2023-02-24 이준호 알긴산을 구비한 단면복구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공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7672A (zh) * 2013-12-27 2014-04-09 天津孚信达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光致变色pet膜及其在转印中的应用
KR101457667B1 (ko) * 2014-06-05 2014-11-07 주식회사 비에프 내마모성이 우수한 변온 변색 전사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31096A (ko) * 2014-09-11 2016-03-22 (주)엘지하우시스 인테리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32765B1 (ko) * 2019-05-29 2020-07-10 최윤범 변온을 이용한 승화전사 컷팅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과 이 컷팅스티커의 전사방법
KR20220011361A (ko) * 2020-07-21 2022-01-28 이근조 발열 측정용 스티커 타입 체온계
KR20220095775A (ko) 2020-12-30 2022-07-07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감지 창 및 이를 이용한 건물 화재 발생 지점 및 확산 방향 예측 시스템
KR20220101536A (ko) 2021-01-11 2022-07-19 유하준 온도 반응형 인쇄물용 혼합 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
KR102503097B1 (ko) * 2022-05-24 2023-02-24 이준호 알긴산을 구비한 단면복구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5770A (ko) 온도에 따라 변색하는 인몰드용 전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337137B1 (ko) 입체패턴을 나타내는 인몰드 사출용 전사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80290485A1 (en) Apparatus Having a Decorative Pattern
US9733132B2 (en) In-mold transfer film which changes its color according to a temperature and which has a scent-emitting fun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240027B1 (ko) 금속 질감의 입체 패턴의 포함하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28718B1 (ko) 합지 공정을 이용한 멀티 색상 구현 장식필름 제조방법
KR102163362B1 (ko)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10041052A (ja) ハウジング及びその製作方法
KR101276497B1 (ko) 내오염성이 우수한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9751297B1 (en) Surface treatment method for composite surfaces
KR20130035769A (ko) 발향 기능을 갖는 인몰드용 전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172814B1 (ko) 인몰드용 홀로그램 전사필름
KR101283863B1 (ko) 전사시트 및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
KR101666799B1 (ko) 입체감을 갖는 필름 제조방법 및 상기 필름을 이용한 인몰드 사출방법
KR101268679B1 (ko) 실크 스크린 공법을 통하여 다양한 패턴의 입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인몰드용 전사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N104002579B (zh) 转印膜、转印设备及其转印方法
CN104203572B (zh) 模内转移膜和制造所述膜的方法
JP2012035483A (ja) 加飾成型用転写材
KR20110072788A (ko)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514217B1 (ko) 인써트 사출용 3차원 장식무늬 전사필름
KR200429248Y1 (ko)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
KR20110133287A (ko) 입체 인쇄 시트
KR20050004730A (ko) 휴대폰용 금속키패드 제조방법
KR101635259B1 (ko) 기능성 박막필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박막필름
JP2010099999A (ja) 射出樹脂転写用基材及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