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1536A - 온도 반응형 인쇄물용 혼합 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 - Google Patents

온도 반응형 인쇄물용 혼합 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1536A
KR20220101536A KR1020210029557A KR20210029557A KR20220101536A KR 20220101536 A KR20220101536 A KR 20220101536A KR 1020210029557 A KR1020210029557 A KR 1020210029557A KR 20210029557 A KR20210029557 A KR 20210029557A KR 20220101536 A KR20220101536 A KR 20220101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temperature
pigment
changing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근
유하준
Original Assignee
유하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하준 filed Critical 유하준
Publication of KR20220101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5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78Special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0Sympathetic, colour changing or similar 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온도에 반응하여 변색되는 인쇄물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인쇄물을 착장한 사용자 또는 대상체의 온도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인쇄물은 피인쇄체와, 피인쇄체의 외면에 인쇄되어 피인쇄체에 일체로 마련되고, 피인쇄체를 통해 전달되는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변색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도 반응형 인쇄물용 혼합 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Mixed pigments for temperature-responsive prints and temperature-responsive prints containing the same}
본 개시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용 혼합 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코로나 19(Corona 19), 중동 호흡기 증후군(Mers,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조류 인플루엔자(AI) 등과 같이 인체 또는 가축 등을 통해 전염되는 감염성 질환이 다양하게 나타남에 따라, 감염성 질환의 전파를 예방하기 위한 방역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감염성 질환은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발현되나, 가장 흔한 감염증상으로 고열을 유발하기 때문에, 공항, 각종 건물, 관공서, 병원 등의 장소의 출입구에 열화상 카메라를 설치한 후, 열화상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열화상을 통해 진입하는 사람들 중 발열 증상을 가진 사람을 별도로 검출하는 방식의 도입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열화상 카메라는 고가이기 때문에 대기업, 대형건물, 관공서 등이 아닌 중소기업, 소규모의 어린이 집, 교회 등의 장소에 설치되기에는 구입 및 운영비용이 부담되어 실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인원이 간단한 발열 여부만을 알고자 하는 경우에도 별다른 방법 없이, 병원/임시 진료소에 방문하여 체온계를 통해 일일이 측정해야 하므로 비효율적인 면이 존재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색상의 변색 안료들을 적층하거나 혼합하여 온도에 따른 다양한 색상을 다단계로 표현하였으나, 온도가 임계 온도를 초과하면 변색물이 투명해지거나, 색 농도가 낮아짐에 따라,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원하는 색상을 원할하게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또한, 변색 안료들의 가격이 일반 안료보다 상대적으로 비싸기 때문에, 비용 적인 측면에서 경쟁력이 낮았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7700호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0373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5770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6816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95007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93387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33554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38665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09149호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개시의 목적은 특정 비율로 변색 안료와 일반 안료를 조합하여 온도에 반응하여 변색되는 인쇄물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인쇄물을 착장한 사용자 또는 대상체의 온도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용 혼합 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온도 반응형 인쇄물의 색상의 채도 및 포화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안료와 변색 안료들을 조합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인쇄물은 피인쇄체; 및 상기 피인쇄체의 외면에 인쇄되어 상기 피인쇄체에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피인쇄체를 통해 전달되는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변색물을 포함한다.
상기 변색물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될 경우 상기 제1 색상을 띄고, 상기 임계 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상기 제1 색상과 다른 제2 색상을 띌 수 있다.
상기 임계 온도는 35℃ 내지 39℃일 수 있다.
상기 변색물은, 상기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될 경우 상기 제1 색상과 다른 제3 색상을 띄고, 상기 임계 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소색되어 투명해지는 변색 안료; 및 상기 피인쇄체로부터 전달되는 온도에 관계없이 상기 제2 색상을 유지하는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색상은, 상기 제2 색상과 상기 제3 색상이 혼합된 색상일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상기 변색 안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밝고, 상대적으로 더 옅은 색을 띌 수 있다.
상기 변색물은 변색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변색 안료는, 하나의 색상 및 하나의 임계 온도를 가지는 단일 변색 안료이거나, 동일한 색상 및 서로 다른 임계 온도를 가지는 복수의 변색 안료가 혼합된 혼합 변색 안료이거나, 서로 다른 색상 및 서로 다른 임계 온도를 가지는 복수의 변색 안료가 혼합된 혼합 변색 안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료와 상기 변색 안료는 혼합된 상태로 상기 피인쇄체의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안료 대비 상기 변색 안료의 혼합비는 0:10 내지 3:7일 수 있다.
상기 변색물은 상기 피인쇄체의 외면 전체에 인쇄되거나, 상기 피인쇄체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인쇄될 수 있다.
상기 변색물은 상기 임계 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색상이 변경되면서 상기 피인쇄체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인쇄물은 피인쇄체; 및 상기 피인쇄체의 외면에 인쇄되고,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되거나, 상기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상기 피인쇄체와 다른 색상을 띄도록 구성되는 변색물을 포함한다.
상기 변색물은 상기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되거나, 상기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서로 다른 색상을 띄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색물은 상기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되거나, 상기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명도 및 채도의 차이를 갖는 서로 동일한 색상을 띄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색물은 상기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되거나, 상기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서로 다른 형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인쇄물은 피인쇄체; 및 상기 피인쇄체의 외면에 인쇄되고,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지는 복수의 안료를 포함하는 변색물을 포함하고, 상기 변색물은, 온도와 관계없이 색상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안료; 및 상기 온도에 반응하여 색상이 변경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료에 비하여 더 큰 비중을 가지는 변색 안료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인쇄물용 혼합 안료는 온도에 반응하는 변색 안료와, 온도에 미반응하는 안료가, 특정 비율로 혼합된다.
상기 변색 안료는,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될 경우 색상을 띄고, 상기 임계 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소색되어 투명해질 수 있다.
상기 변색 안료는 상기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될 경우, 상기 안료와 동일한 색상을 띄고, 상기 변색 안료의 색상과, 상기 안료의 색상은 명도 및 채도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변색 안료는 상기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될 경우, 상기 안료와 상이한 색상을 띌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온도와 관계없이 색상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변색 안료는 상기 온도에 반응하여 색상이 변경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안료에 비하여 더 큰 비중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온도에 반응하여 변색되는 인쇄물을 육안으로 확인가능 하므로, 별도의 장비나 인력 없이 인쇄물을 착장한 특정 온도의 대상을 신속히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피인쇄체의 제조 시 피인쇄체에 변색 안료와 안료가 특정 비율로 혼합된 혼합 안료를 인쇄하여 변색물을 피인쇄체에 일체로 형성하므로, 제조공정이 간소화되어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피인쇄체에 변색물이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피인쇄체로 전달된 열이 다른 매개물을 거치지 않고, 변색물로 바로 전달되어 착장대상의 정확한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변색 안료가 투명해지는 임계 온도를 설정 가능하므로, 변색된 인쇄물을 착장한 대상의 온도를 정확히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변색물이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되더라도, 온도에 관계없이 특정한 색상을 유지하고, 피인쇄체와 다른 색상을 가지는 안료에 의해서 변색물이 투명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피인쇄체에 안료와 변색 안료가 혼합된 변색물이 직접 인쇄되고, 변색물이 온도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색상 및/또는 형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유색 종이, 또는 별도의 로고가 인쇄된 종이가 없더라도,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원하는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안료와 변색 안료를 혼합하기 때문에, 변색 안료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비용을 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온도 반응형 인쇄물은 종래의 CMYK color space를 활용하여 인쇄될 수 있으며, 동시에 온도 반응형 인쇄물의 CIE color space의 색좌표 틀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변색 안료와 안료를 잉크젯 방식, 롤투롤(roll to roll) 방식, 그라비아(gravure) 방식, 패드 인쇄 방식, 플렉소 인쇄 방식, 수지판 인쇄 방식 또는 스크린 프린팅 방식 등을 이용하여 피인쇄물에 인쇄 가능하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피인쇄물의 외면에 다양한 형상 또는 로고를 임계 온도 이하 및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모두 표현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인쇄물이 대상에 착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인쇄물이 대상의 열로 인해 색상이 변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인쇄물의 변색물이 피인쇄체의 일부분에 도포되어 색상이 변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인쇄물의 변색물이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인쇄물의 변색물이 임계 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인쇄물의 안료와 변색 안료가 혼합되어 피인쇄체에 도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물 생성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물 생성 시스템의 인쇄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인쇄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인쇄물이 대상에 착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인쇄물이 대상의 열로 인해 색상이 변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인쇄물의 변색물이 피인쇄체의 일부분에 도포되어 색상이 변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인쇄물(100)(이하 ‘온도 반응형 인쇄물(100)’이라 함)은 열을 발산하는 대상에 착장되어, 대상으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열을 전달받아 그 색상이 변화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대상이라 함은 열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는 사물 또는 체온을 가지는 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대상을 사람, 즉, 사용자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온도 반응형 인쇄물(100)은 피인쇄체(110)와, 변색물(120)을 포함한다.
피인쇄체(110)는 사용자가 착장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피인쇄체(110)는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 가능한 마스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피인쇄체(11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인쇄체(110)는 바라클라바, 목도리, 장갑, 모자, 헤어밴드, 팔찌 등, 육안으로 변색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변색물(120)은 피인쇄체(110)의 외면에 인쇄되어 피인쇄체(110)에 일체로 마련되고, 피인쇄체(110)를 통해 전달되는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변색물(120)은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되거나,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피인쇄체와 다른 색상을 띄도록 구성된다.
변색물(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인쇄체(110)의 외면 전체에 인쇄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인쇄체(110)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인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온도 반응형 인쇄물(100)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전체의 색상이 변경되거나, 일부분의 색상이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개시된 임계 온도는 최소 온도와 최대 온도를 가지는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이거나, 미리 설정된 어느 하나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개시된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라 함은, 임계 온도를 기준으로 임계 온도와 그 이하의 온도를 모두 포함하는 온도를 의미하고,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라 함은 임계 온도를 포함하지 않고 임계 온도 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변색물(120)은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되거나,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서로 다른 형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피인쇄체(110)의 일부분에 인쇄된 변색물(120)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색상이 변경되면서 피인쇄체(110)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또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피인쇄체(110)의 일부분에 인쇄된 변색물(120)은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될 경우에도, 색상이 변경되면서 피인쇄체(110)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또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및 패턴은 로고, 문자, 숫자, 도형, 기호, 그림, 무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스크 형태의 피인쇄체(110)를 착용한 다수의 사용자 속에서 발열 증상이 있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변색물(120)은 피인쇄체(110)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부위에서 발열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변색물(120)은 동일한 임계 온도를 가지거나, 서로 다른 임계 온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변색물(120)은 동일한 색상을 가지거나,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적어도 하나의 변색물(120)은 동일한 임계 온도를 가지면서 상이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적어도 하나의 변색물(120)은 상이한 임계 온도를 가지면서 동일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적어도 하나의 변색물(120)은 상이한 임계 온도를 가지면서 상이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피인쇄체(110)의 외면에 인쇄된 변색물(120)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될 경우 제1 색상을 띄고, 임계 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제1 색상과 다른 제2 색상을 띌 수 있다. 또한, 피인쇄체(110)의 외면에 인쇄된 변색물(120)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 보다 낮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에도 제1 색상을 띌 수 있다. 여기서, 제2 색상은 제1 색상과 다른 색상이거나, 제1 색상과 동일한 색상이지만, 제1 색상보다 옅은 농도를 가지는 색상일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인쇄물의 변색물이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인쇄물의 변색물이 임계 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변색물(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계 온도 보다 낮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파란색(제1 색상)을 띄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계 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빨간색(제2 색상)을 띌 수 있다.
여기서, 임계 온도는 사람의 정상 체온 범위를 고려하여 35℃ 내지 39℃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즉, 임계 온도는 35℃ 이상 39℃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변색물(120)의 임계 온도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변색물(120)을 이루는 변색 안료들(121)의 조합에 따라서 적어도 1개 이상일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인쇄물의 안료와 변색 안료가 혼합되어 피인쇄체에 도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변색물(120)은 적어도 하나의 변색 안료(121) 및 적어도 하나의 안료(122)를 포함한다.
즉, 변색물(120)은 온도의 변화 시 색상 차이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변색 안료(121)와,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 안료(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변색 안료(121)는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될 때 투명해지는 감온 변색 안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색 안료(121)는 10μm 이내의 마이크로 캡슐들을 포함하는 감온 변색 안료일 수 있다. 그러나, 변색 안료(121)는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적용될 수 있다.
변색 안료(121)는 사람의 정상 체온 범위에서 소색되어 투명해지도록 35℃ 내지 39℃의 범위 내에서 임계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즉, 변색 안료(121)의 임계 온도는 35℃ 이상 39℃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변색 안료(121)의 임계 온도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5℃ 이상 70℃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변색 안료(121)는 투명해진 상태에서 임계 온도에 노출될 경우 본래의 색상으로 돌아가는 가역성 안료일 수 있다. 그러나, 변색 안료(121)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투명해진 상태에서 본래의 색상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비가역성 안료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변색 안료(121)는 CYMK(Cyan Magenta Yellow and Black) 색상표를 따르는 모든 색상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변색 안료(121)는 하나의 색상 및 하나의 임계 온도를 가지는 단일 변색 안료이거나, 동일한 색상 및 서로 다른 임계 온도를 가지는 복수의 변색 안료가 혼합된 혼합 변색 안료이거나, 서로 다른 색상 및 서로 다른 임계 온도를 가지는 복수의 변색 안료가 혼합된 혼합 변색 안료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색상 및 하나의 임계 온도를 가지는 하나의 변색 안료(121)가 안료(122)에 혼합되어 피인쇄체(110)에 인쇄될 경우, 단일 색변화를 통해 사용자의 발열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다른 색상 및 서로 다른 임계 온도를 가지는 복수의 변색 안료(121)가 안료(122)에 혼합되어 피인쇄체(110)에 인쇄될 경우, 다중 색변화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체온 상태를 보다 더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변색 안료(121)는 임계 온도 이하, 즉, 임계 온도부터 임계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안료(122)와 동일한 색상을 가지거나, 안료(122)와 상이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안료(122)와 변색 안료(121)의 색상이 동일할 경우,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되는 변색물(120)과, 임계 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되는 변색물(120)은, 명도 및 채도의 차이를 갖는 동일한 색상으로 발색될 수 있다.
즉, 안료(122)와 변색 안료(121)의 색상이 동일할 경우,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변색물(120)의 색 농도가 저감될 수 있다. 색 농도는 안료(122)와 변색 안료(121)의 혼합 비율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만약, 안료(122)의 비율이 변색 안료(121) 대비 상대적으로 증가될수록,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색 농도 저감 정도는 저감될 수 있다. 만약, 안료(122)의 비율이 변색 안료(121) 대비 상대적으로 저감될수록,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색 농도 저감 정도는 증가될 수 있다.
안료(122)와 변색 안료(121)의 색상이 상이할 경우,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되는 변색물(120)은 안료(122)와 변색 안료(121)가 혼합된 색상으로 발색되고,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되는 변색물(120)은 안료(122)의 색상으로 발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료(122)가 제2 색상을 띄고, 변색 안료(121)가 제2 색상과 상이한 제3 색상을 띄도록 설정된 경우,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되는 변색물(120)은 제2 색상과 제3 색상이 혼합된 제1 색상을 띄고,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되는 변색물(120)은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소색되어 투명해지는 변색 안료(121)에 의해 안료(122)의 색상인 제2 색상을 띌 수 있다.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발현되는 변색물(120)의 색상은 안료(122)와 변색 안료(121)의 혼합 비율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료(122)가 빨간색이고, 변색 안료(121)가 청색일 경우, 변색물(120)은 보라색일 수 있다. 이때, 변색 안료(121)의 비율이 안료(122)의 비율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으면, 변색물(120)의 색상은 청색에 인접한 보라색일 수 있다. 즉,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 및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변색물(120)의 색상은, 안료(122)와 변색 안료(121)의 조합 비율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도 변색물(120)이 투명해지지 않으며, 안료(122)와 변색 안료(121)의 혼합 비율에 따라, 변색물(120)이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원하는 색상 및 색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변색물(120)의 색상은 CIE color space를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안료(122)는 피인쇄체(110)로부터 전달되는 온도에 관계없이 항상 특정한 색상을 유지할 수 있다.
안료(122)는 변색 안료(121)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밝고, 상대적으로 옅은 색을 띌 수 있다.
즉, 변색 안료(121)의 색상은 안료(122)의 색상에 비해 더 어둡고, 진한 색을 띌 수 있다.
따라서, 안료(122)와 변색 안료(121)의 혼합 비율에 따라서 변색 안료(121)가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되더라도, 안료(122)가 변색 안료(121)에 의해 실질적으로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색 안료(121)가 시안(Cyan), 마젠타(Magenta), 검정(Black) 중 하나의 색상으로 구현될 경우, 안료(122)는 빨강(Red) 색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변색 안료(121)만으로 CMKY 색 공간의 컬러 인쇄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안료(122)를 더 포함하더라도 특정 조건에서 CMKY 색 공간의 컬러 인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안료(122)와 변색 안료(12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된 상태로 피인쇄체(110)의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
임계 온도 이하일 때 피인쇄체(110) 상에 표시되는 변색물(120)의 색상은 변색 안료(121)와 안료(122)가 특정 비율로 혼합됨에 따라 표현되는 색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색물(120)이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되고, 변색 안료(121)의 색상이 파란색이고, 안료(122)의 색상이 빨간색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변색 안료(121)의 비중이 안료(122)의 비중보다 클 경우, 피인쇄체(110) 상에 표시되는 변색물(120)의 색상은 실질적으로 변색 안료(121)의 색상과 유사한 색상을 띌 수 있다. 따라서, 피인쇄체(110) 상에 표시되는 변색물(120)의 색상은 실질적으로 파란색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변색 안료(121)의 비중이 안료(122)의 비중과 동일할 경우, 피인쇄체(110)의 색상은 두 개의 색이 혼합된 보라색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안료(122)의 비중이 변색 안료(121)의 비중보다 클 경우, 피인쇄체(110) 상에 표시되는 변색물(120)의 색상은 실질적으로 안료(122)의 색상과 유사한 색상을 띌 수 있다. 이의 경우, 변색물(120)이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되어 변색 안료(121)가 투명해지더라도, 변색물(120)의 색농도를 높게 표현할 수 있다. 즉, 안료(122)와 변색 안료(121)를 혼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원하는 색상으로 변색 전과 변색 후를 표현할 수 있는 인쇄가 가능하고, 온도 반응형 인쇄물(100)의 제조 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
특히,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종래의 CMYK 색 공간(color space)을 활용하는 어떠한 인쇄물도 온도 반응형 인쇄물(100)로 용이하게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잉크젯 프린터는 총 천연색을 표시하기 위해서 CMYK 4색 안료를 포함하는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총 천연색을 표시하기 위한 각각의 4색 잉크 중 적어도 하나의 잉크는 안료(122) 및 변색 안료(121)가 혼합된 잉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정색(K) 잉크는 검정색의 안료(122)와 빨간색의 변색 안료(121)가 혼합된 잉크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검정색이 빨간색보다 상대적으로 더 어둡기 때문에, 빨간색이 표현되지 않으며, 실질적으로 검정색으로 표현된다. 즉 잉크는 감산 혼합(subtractive mixing)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검정색에 다른 색상을 더하더라도 검정색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상술한 적색 변색 안료가 포함된 검정색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를 하면, 종래의 인쇄기를 사용하더라도, 임계 온도 이하에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색상으로 인쇄를 할 수 있다. 하지만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일 경우에는, 검정색인 변색 안료(121)가 투명해짐에 따라 안료(122)의 색상인 빨간색으로 변색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인 인쇄 시스템에 적어도 하나의 잉크에 변색 안료를 추가하더라도, 임계 온도 이하에서 실질적으로 색 왜곡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인쇄 시스템을 활용하여 다양한 색상 및 형상의 변색물(120)을 피인쇄체(110) 상에 용이하게 인쇄할 수 있다.
안료(122)와 변색 안료(121)는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진다.
안료(122)와 변색 안료(121)는 색상에 따라 설정된 혼합비를 가질 수 있다.
안료(122) 대비 변색 안료(121)의 혼합비는 0:10 내지 3:7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료(122)가 빨간색이고, 변색 안료(121)가 검정색, 마젠타색, 시안색 및 노란색일 경우, 안료(122) 대비 변색 안료(121)의 혼합비는 각각 3 : 7(빨강:검정), 1 : 9(빨강:마젠타), 0.5 : 9.5(빨강:시안) 및 0 : 10(빨강:노랑)일 수 있다.
안료(122)와 변색 안료(121)는 상대적인 색상을 각각 고려하여 변색 안료(121)의 색 왜곡이 최소화되는 혼합비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변색물(120)은 변색 안료(121)가 안료(122)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비중을 차지하는 혼합비를 가진다.
상술하였듯이, 검정색 잉크의 변색 안료(121)가 검정색일 경우, 안료(122)의 색상이 어떠한 색이라도, 혼합된 색상은 실질적으로 검정색이 된다.
마젠타 잉크의 변색 안료(121)가 마젠타색일 경우, 안료(122)의 색상에 따라서 혼합된 잉크의 색상이 상이해질 수 있으며, 임계 온도 이하에서 잉크의 색상이 왜곡되어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변색 안료(121)의 비중이 안료(122)의 비중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구성되어서 마젠타 잉크의 색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젠타는 빨간색과 근접한 색상이기 때문에 1 : 9의 비율로 혼합되더라도, 마젠타 잉크의 색 왜곡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검정색 잉크에만 빨간색 안료가 포함된 경우와 검정색 잉크와 마젠타색 잉크 모두 빨간색 안료를 포함한 경우를 비교하면, 검정색 잉크와 마젠타색 잉크 모두 빨간색 안료를 포함한 경우에 빨간색 안료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변색 안료(121)의 색 농도를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시안 잉크의 변색 안료(121)가 시안색일 경우, 안료(122)의 색상에 따라서 혼합된 잉크의 색상이 상이해질 수 있으며, 임계 온도 이하에서 잉크의 색상이 왜곡되어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변색 안료(121)의 비중이 안료(122)의 비중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구성되어서 색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시안색의 경우 빨간색과 색상이 상당히 상이하기 때문에, 빨간색 안료(122)가 추가되면 색 왜곡이 심각해질 수 있다. 따라서 소량의 안료를 추가하여 색 왜곡을 최소화하면서 변색 안료(121)의 색 농도를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노란색 잉크의 변색 안료(121)가 노란색이고, 안료(122)의 색상이 빨간색일 경우, 색상 차이가 상당하기 때문에, 색 왜곡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노란색 잉크는 노란색 변색 안료(121)만 포함하거나 노란색 안료(121)만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색 왜곡을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잉크에 적어도 하나의 변색 안료(121) 및 적어도 하나의 안료(122)를 혼합하고, 종래의 인쇄 시스템을 활용하여 온도 반응형 인쇄물(100)을 인쇄할 때 실질적으로 색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색 왜곡을 고려하여 적어도 2 종의 잉크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변색 안료(121) 및 적어도 하나의 안료(122)를 혼합하면,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일 때 변색물(120)의 색 농도를 상대적으로 더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안료(122) 대비 변색 안료(121)의 혼합비와, 안료(122) 및 변색 안료(121)의 색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료(122) 및 변색 안료(121) 간에 변색이 최소화될 수 있는 혼합비를 가지는 다양한 색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인쇄물용 혼합 안료(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인쇄물용 혼합 안료(120)를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온도 반응형 인쇄물(100)을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동일하거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온도 반응형 인쇄물용 혼합 안료(120)는 피인쇄체(110)의 외면에 인쇄되어 피인쇄체(110)에 일체로 마련되고, 피인쇄체(110)를 통해 전달되는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온도 반응형 인쇄물용 혼합 안료(120)는, 온도에 반응하여 색상이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변색 안료(121)와, 온도에 미반응하여 온도와 관계없이 색삭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안료(122)를 포함한다.
변색 안료(121)는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될 경우 색상을 띄고, 임계 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소색되어 투명해질 수 있다.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된 변색 안료(121)는 안료(122)와 동일한 색상을 띄거나, 안료(122)와 상이한 색상을 띌 수 있다.
이‹š, 동일한 색상을 띄는 변색 안료(121)의 색상과 안료(122)의 색상은 명도 및 채도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변색 안료(121)와 안료(122)는 특정 비율로 혼합되어 온도 반응형 인쇄물용 혼합 안료(120)를 형성한다.
안료(122)와 변색 안료(121)는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질 수 있다.
변색 안료(121)는 안료(122)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비중을 가질 수 있다.
안료(122)와 변색 안료(121)는 색상에 따라 설정된 혼합비를 가질 수 있다.
안료(122) 대비 변색 안료(121)의 혼합비는 0:10 내지 3:7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료(122)가 빨간색이고, 변색 안료(121)가 검정색, 마젠타색, 시안색 및 노란색일 경우, 안료(122) 대비 변색 안료(121)의 혼합비는 각각 3: 7(빨강:검정), 1 : 9(빨강:마젠타), 0.5 : 9.5(빨강:시안) 및 0 : 10(빨강:노랑)일 수 있다.
안료(122)와 변색 안료(121)는 상대적인 색상을 각각 고려하여 변색 안료(121)의 색 왜곡이 최소화되는 혼합비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물 생성 시스템(10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물 생성 시스템(1000)을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온도 반응형 인쇄물(100)을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동일하거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물 생성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물 생성 시스템의 인쇄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물 생성 시스템(1000)(이하 ‘인쇄물 생성 시스템(1000)’이라 함)은 인쇄 제어 장치(1100) 및 인쇄 제어 장치(1100)에 의해 제어되는 프린터(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 제어 장치(1100)는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안료(122)와 변색 안료(121)의 색상 조합을 결정하고, 안료들(121, 122)을 피인쇄체(110)에 어떠한 형상, 패턴, 비율로 도포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인쇄 제어 장치(1100)는 피인쇄체(110)의 형상 또는 재질 등에 따라, 안료들(121, 122)의 도포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제어 장치(1100)는 피인쇄체(110)의 외면에 안료(122)를 인쇄한 후, 안료(122)가 인쇄된 피인쇄체(110) 상에 변색 안료(121)를 인쇄하도록 프린터(1200)를 제어하거나, 안료(122)와 변색 안료(121)를 혼합한 후에 피인쇄체(110) 상에 혼합 안료를 인쇄하도록 프린터(2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인쇄 제어 장치(1100)는 통신부(1110), 입력부(1120), 출력부(1130), 저장부(1140), 인터페이스부(1150), 제어부(1160) 및 전원 공급부(117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10)는 프린터(1200), 사용자 단말 및 서버와 무선 또는 유선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프린터(1200), 사용자 단말 및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120)는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명령을 외부에서 입력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1130)는 시각 및 청각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1130)는 디스플레이부(1131) 및 음향 출력부(113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1)는 인쇄 제어 장치(1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31)는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13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132)는 통신부(1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14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인쇄 제어 장치(1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1140)는 제어부(116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알고리즘과,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SD, XD 메모리 등), 램, SRAM, 롬, EEPROM, PROM, 네트워크 저장 스토리지, 클라우드,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50)는 인쇄 제어 장치(1100)와 프린터(1200), 그리고 인쇄 제어 장치(1100)와 외부장치(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여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외부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15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160)는 통상적으로 인쇄 제어 장치(1100)의 각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60)는 변색 안료(121)와 안료(122)의 혼합 비율을 결정하고, 피인쇄체(110) 상의 인쇄 영역 및 인쇄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60)는 피인쇄체(110)의 종류 및 재질에 따라 인쇄 과정을 결정하고, 그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이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116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부(1140)에 저장되고, 제어부(116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린터(1200)는 인쇄 제어 장치(1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피인쇄체(110) 상에 안료들(121, 122)을 도포할 수 있다.
프린터(1200)는 잉크젯 방식을 이용하여 피인쇄체(110) 상에 안료들(121, 122)을 도포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프린터(1200)는 그라비아(gravure) 방식, 패드 인쇄 방식, 플렉소 인쇄 방식, 수지판 인쇄 방식 또는 스크린 프린팅 방식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인쇄물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인쇄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온도 반응형 인쇄물(100) 및 인쇄물 생성 시스템(1000)을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동일하거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인쇄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인쇄물의 제조 방법은 한 번의 인쇄과정으로 본 온도 반응형 인쇄물(100)을 제조할 수 있다.
인쇄 제어 장치(1100)가 기설정된 피인쇄체(110)의 종류 및 재질에 따라 변색 안료(121)와 안료(122)의 색상 및 혼합 비율을 결정한다(S110).
예를 들어, 인쇄 제어 장치(1100)는 안료(122)를 빨간색으로 설정하고, 변색 안료(121)를 검정, 마젠타, 시안 및 노랑 중 어느 하나의 색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색상에 따라 안료들의 혼합 비율을 결정한다.
변색 안료(121)와 안료(122)의 색상 및 혼합 비율이 결정되면, 인쇄 제어 장치(1100)가 피인쇄체(110) 상의 인쇄 영역 및 인쇄 패턴을 결정한다(S120).
인쇄 영역 및 인쇄 패턴이 결정되면, 인쇄 제어 장치(1100)가 프린터(1200)에 설정된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제어명령을 전송받은 프린터(1200)는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피인쇄체(110)의 표면에 변색 안료(121)와 안료(122)가 혼합된 혼합 안료를 도포한다(S130).
본 개시는 피인쇄체(110)의 제조 시 피인쇄체(110)에 변색 안료(121)와 안료(122)를 혼합하고 피인쇄체(110)에 인쇄하여 변색물(120)을 피인쇄체(110)에 일체로 형성하므로, 제조공정이 간소화되어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피인쇄체(110)에 변색물(120)이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피인쇄체(110)로 전달된 열이 다른 매개물을 거치지 않고, 변색물(120)로 바로 전달되어 착장대상의 정확한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변색 안료(121)가 투명해지는 임계 온도를 설정 가능하므로, 변색된 인쇄물(100)을 착장한 대상의 온도를 정확히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 안료(122)를 포함하기 때문에,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도 변색된 인쇄물(100)이 특정한 색상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변색 안료(121)와 안료(122)를 그라비아(gravure) 방식, 패드 인쇄 방식, 플렉소 인쇄 방식, 수지판 인쇄 방식 또는 스크린 프린팅 방식 등을 이용하여 피인쇄물(110)에 인쇄 가능하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피인쇄물(110)의 외면에 다양한 형상을 표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인쇄물
110. 피인쇄체
120. 변색물, 온도 반응형 인쇄물용 혼합 안료
121. 변색 안료
122. 안료
1000. 인쇄물 생성 시스템
1100. 인쇄 제어 장치
1110. 통신부
1120. 입력부
1130. 출력부
1131. 디스플레이부
1132. 음향 출력부
1140. 저장부
1150. 인터페이스부
1160. 제어부
1170. 전원 공급부
1200. 프린터

Claims (21)

  1. 피인쇄체; 및
    상기 피인쇄체의 외면에 인쇄되어 상기 피인쇄체에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피인쇄체를 통해 전달되는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변색물을 포함하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물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될 경우 상기 제1 색상을 띄고,
    상기 임계 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상기 제1 색상과 다른 제2 색상을 띄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온도는 35℃ 내지 39℃인, 온도 반응형 인쇄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물은,
    상기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될 경우 상기 제1 색상과 다른 제3 색상을 띄고, 상기 임계 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소색되어 투명해지는 변색 안료; 및
    상기 피인쇄체로부터 전달되는 온도에 관계없이 상기 제2 색상을 유지하는 안료를 포함하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상은, 상기 제2 색상과 상기 제3 색상이 혼합된 색상인, 온도 반응형 인쇄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상기 변색 안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밝고, 상대적으로 더 옅은 색을 띄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물은 변색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변색 안료는,
    하나의 색상 및 하나의 임계 온도를 가지는 단일 변색 안료이거나,
    동일한 색상 및 서로 다른 임계 온도를 가지는 복수의 변색 안료가 혼합된 혼합 변색 안료이거나, 또는
    서로 다른 색상 및 서로 다른 임계 온도를 가지는 복수의 변색 안료가 혼합된 혼합 변색 안료로 구성되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와 상기 변색 안료는 혼합된 상태로 상기 피인쇄체의 표면에 도포되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 대비 상기 변색 안료의 혼합비는 0:10 내지 3:7인, 온도 반응형 인쇄물.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물은 상기 피인쇄체의 외면 전체에 인쇄되거나, 상기 피인쇄체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인쇄되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물은 상기 임계 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색상이 변경되면서 상기 피인쇄체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
  12. 피인쇄체; 및
    상기 피인쇄체의 외면에 인쇄되고,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되거나, 상기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상기 피인쇄체와 다른 색상을 띄도록 구성되는 변색물을 포함하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물은 상기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되거나, 상기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서로 다른 색상을 띄도록 구성되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물은 상기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되거나, 상기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명도 및 채도의 차이를 갖는 서로 동일한 색상을 띄도록 구성되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물은 상기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되거나, 상기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서로 다른 형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
  16. 피인쇄체; 및
    상기 피인쇄체의 외면에 인쇄되고,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지는 복수의 안료를 포함하는 변색물을 포함하고,
    상기 변색물은,
    온도와 관계없이 색상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안료; 및
    상기 온도에 반응하여 색상이 변경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료에 비하여 더 큰 비중을 가지는 변색 안료를 포함하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
  17. 온도에 반응하는 변색 안료와, 온도에 미반응하는 안료가, 특정 비율로 혼합된, 온도 반응형 인쇄물용 혼합 안료.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 안료는,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될 경우 색상을 띄고,
    상기 임계 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소색되어 투명해지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용 혼합 안료.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 안료는 상기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될 경우, 상기 안료와 동일한 색상을 띄고,
    상기 변색 안료의 색상과, 상기 안료의 색상은 명도 및 채도의 차이를 가지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용 혼합 안료.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 안료는 상기 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에 노출될 경우, 상기 안료와 상이한 색상을 띄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용 혼합 안료.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온도와 관계없이 색상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변색 안료는 상기 온도에 반응하여 색상이 변경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안료에 비하여 더 큰 비중을 가지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용 혼합 안료.
KR1020210029557A 2021-01-11 2021-03-05 온도 반응형 인쇄물용 혼합 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 KR202201015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03627 2021-01-11
KR1020210003627 2021-0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536A true KR20220101536A (ko) 2022-07-19

Family

ID=82607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557A KR20220101536A (ko) 2021-01-11 2021-03-05 온도 반응형 인쇄물용 혼합 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1536A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700U (ko) 2008-01-25 2009-07-29 김영길 감온 가역성 변색 조화 꽃잎
KR20090010373U (ko) 2008-04-08 2009-10-13 김영길 감온 변색벽지 제조방법
KR101033554B1 (ko) 2010-08-31 2011-05-11 두산동아 주식회사 온도표시기능을 갖는 감온라벨
KR20110086816A (ko) 2008-11-25 2011-08-01 아지엔드 키미쉐 리유나이트 안젤리니 프란체스코 에이.씨.알.에이.에프. 에스.피.에이 소정 온도에서 부분적으로 변색하여 마킹을 나타내는 착색된 요소를 가진 포장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09149B1 (ko) 2010-09-07 2012-12-06 이장희 시온안료를 이용한 체온 체크기
KR20130035770A (ko) 2011-09-30 2013-04-09 (주)엘지하우시스 온도에 따라 변색하는 인몰드용 전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038665B1 (ko) 2018-06-28 2019-10-30 (주)에프엠에스코리아 감온 라벨 및 이를 부착한 보냉팩
KR102093387B1 (ko) 2018-12-14 2020-03-25 대한민국 온도 민감형 변색 센서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변색 센서
KR20200095007A (ko) 2019-01-31 2020-08-10 황태준 감광 변색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700U (ko) 2008-01-25 2009-07-29 김영길 감온 가역성 변색 조화 꽃잎
KR20090010373U (ko) 2008-04-08 2009-10-13 김영길 감온 변색벽지 제조방법
KR20110086816A (ko) 2008-11-25 2011-08-01 아지엔드 키미쉐 리유나이트 안젤리니 프란체스코 에이.씨.알.에이.에프. 에스.피.에이 소정 온도에서 부분적으로 변색하여 마킹을 나타내는 착색된 요소를 가진 포장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33554B1 (ko) 2010-08-31 2011-05-11 두산동아 주식회사 온도표시기능을 갖는 감온라벨
KR101209149B1 (ko) 2010-09-07 2012-12-06 이장희 시온안료를 이용한 체온 체크기
KR20130035770A (ko) 2011-09-30 2013-04-09 (주)엘지하우시스 온도에 따라 변색하는 인몰드용 전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038665B1 (ko) 2018-06-28 2019-10-30 (주)에프엠에스코리아 감온 라벨 및 이를 부착한 보냉팩
KR102093387B1 (ko) 2018-12-14 2020-03-25 대한민국 온도 민감형 변색 센서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변색 센서
KR20200095007A (ko) 2019-01-31 2020-08-10 황태준 감광 변색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6854B1 (en) Two-dimensional code generation device, two-dimensional code generation method, and program
CN206194280U (zh) 标签和电子设备
US20180306648A1 (en) Printed Material for Temperature Sensing Display Package and Packaging Material Using the Same
CN110324997A (zh) 利用金属氧化物的激光成形像素标记的电子设备
WO2019077603A1 (en) METHODS FOR ENHANCING IMAGE ADHESION TO A SUBSTRATE USING INK JET PRINTING
KR101391037B1 (ko) 바코드, 문자, 이미지용 라벨 및 바코드, 문자, 이미지 형성방법
KR20220101536A (ko) 온도 반응형 인쇄물용 혼합 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온도 반응형 인쇄물
CN104408884B (zh) 具有使用安全告警功能的终端及其告警方法
CN208602116U (zh) 一种色带
CN111295069B (zh) 通过覆盖件对电子设备进行激光标记
JP2013120363A (ja) 応力発光表示媒体
TW201227073A (en) Color display
US20210192091A1 (en) Secure input mode of keyboards
CN108674040A (zh) 一种色带及打印方法
US10212290B2 (en) Profile generating apparatus and profile generating method
CN101905579A (zh) 墨带、打印装置及墨带盒
JP2016019169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373032B2 (en) Cryptographic printhead
JP2507298Y2 (ja) 感温性印刷体
CN101480891A (zh) 一种印刷字符隐形方法
KR20130005101U (ko) 온도나 빛에 따라 광고문자가 인쇄된 휴대폰화면보호필름.
CN205247789U (zh) 一种防伪防转移易碎湿敏标签
CN106971892A (zh) 一种制作透光按键标识的工艺方法
WO2023015432A1 (zh) 反光型热转印标签制程方法、单色型反光标签和多色型反光标签
CN207676566U (zh) 一种蒙片解析防伪标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