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5670A - 필터권지 및 그에 의해 감싸지는 담배 필터, 그리고 그 필터권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필터권지 및 그에 의해 감싸지는 담배 필터, 그리고 그 필터권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5670A
KR20130035670A KR1020110100114A KR20110100114A KR20130035670A KR 20130035670 A KR20130035670 A KR 20130035670A KR 1020110100114 A KR1020110100114 A KR 1020110100114A KR 20110100114 A KR20110100114 A KR 20110100114A KR 20130035670 A KR20130035670 A KR 20130035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bleached pulp
ratio
wra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5953B1 (ko
Inventor
정봉수
장행현
김수호
차성제
김종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110100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953B1/ko
Publication of KR20130035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67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function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24D1/025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the covers having material applied to defined areas, e.g. bands for reducing the ignition propensity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204Preliminary operations before the filter rod forming process, e.g. crimping, blooming
    • A24D3/0212Applying additives to filter materials
    • A24D3/022Applying additives to filter materials with liquid additives, e.g. application of plasticis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2Bleac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8Filter pap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배 필터의 필터권지는, 표백펄프(BKP, Bleached Kraft Pulp)로 제조되되, 강직도를 결정하는 하나의 인자인 영률(Young's modulus) 향상을 위해 표백펄프를 이루는 활엽수 표백펄프(LBKP) 및 침엽수 표백펄프(NBKP)의 비율에 있어서 활엽수 표백펄프의 비율이 0.25 내지 0.75가 되고 나머지 비율이 침엽수 표백펄프의 비율이 되도록 혼합되며, 내수성 부여를 위해 내수제가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권지의 강직도 및 내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필터의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흡연 전후의 필터의 일그러짐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필터권지 및 그에 의해 감싸지는 담배 필터, 그리고 그 필터권지의 제조 방법{Filter plug wrap, Cigarette filter with the filter plug wrap and method to manufacture the filter plug wrap}
필터권지 및 그에 의해 감싸지는 담배 필터, 그리고 그 필터권지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담배 필터를 감싸는 필터권지의 강직도 및 내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흡연 전후의 필터의 일그러짐 현상을 줄일 수 있어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필터권지 및 그에 의해 감싸지는 담배 필터, 그리고 그 필터권지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처럼, 흡연 과정에서 발생되는 담배연기 중에는 타르나 니코틴을 포함하여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주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연기 중에 함유된 유해 물질을 여과하거나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담배에 필터가 부착되어 있다.
필터는 보통 아세테이트 토우나 종이 등의 필터부재로 제작된 필터 플러그에 필터권지를 말아서 제조된다. 여기서 필터는 필터부재만으로 구성된 단일필터 구조를 갖거나, 활성탄 등의 흡착재를 필터부재와 함께 사용한 이중 필터 또는 삼중 필터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필터권지에는 담배의 물리성 중 공기희석율을 부여할 수 있도록 미세한 기공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한편, 담배의 필터에 소정의 경도를 부여하고 아울러 각초와의 연결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필터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아세테이트 토우에 트리아세틴(tri-acetin), 트리에틸렌 글로콜 디아세테이트 등의 가소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필터에 이러한 가소제를 첨가하게 되면, 가소제에 의한 산취(acid-taste)를 높일 수 있어 소비자의 흡연 만족감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한편, 필터의 경우, 예를 들면 리세스(recess) 필터의 경우, 흡연 전후에 필터의 일그러짐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흡연자의 타액이 흡연 시 필터에 묻음으로써 필터의 일그러짐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흡연자의 흡연 만족감을 저하시키고 있다.
이에, 흡연자의 흡연 만족감 향상을 위해, 필터의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필터권지를 갖는 담배 필터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담배 필터를 감싸는 필터권지의 강직도 및 내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필터의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흡연 전후의 필터의 일그러짐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필터권지 및 그에 의해 감싸지는 담배 필터, 그리고 그 필터권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목재의 표백펄프의 적용으로 필터의 경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가소제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가소제에 의한 산취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소비자의 흡연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필터권지 및 그에 의해 감싸지는 담배 필터, 그리고 그 필터권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배 필터는, 필터권지로 감싸지며, 상기 필터권지는 표백펄프(BKP, Bleached Kraft Pulp)로 제조되되, 강직도를 결정하는 하나의 인자인 영률(Young's modulus) 향상을 위해 표백펄프를 이루는 활엽수 표백펄프(LBKP) 및 침엽수 표백펄프(NBKP)의 비율에 있어서 상기 활엽수 표백펄프의 비율이 0.25 내지 0.75가 되고 나머지 비율이 상기 침엽수 표백펄프의 비율이 되도록 제조되고, 상기 필터권지는 상기 활엽수 표백펄프 및 상기 침엽수 표백펄프를 상기 비율로 각각 해리한 후 여수도 25 내지 40°SR로 고해함으로써, 필터권지의 강직도를 향상시킴으로써 필터의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권지의 강직도를 결정하는 다른 하나의 인자인 두께 향상을 위해 상기 필터권지의 평량은 50 내지 150(g/m2)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필터권지는 상기 활엽수 표백펄프 및 상기 침엽수 표백펄프를 상기 비율로 각각 해리한 후 여수도 25 내지 40°SR로 고해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에 대한 상기 필터권지의 접착성 향상을 위해, 상기 필터권지의 표면에 액상 코팅을 하여 인위적인 말림(curl)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필터권지에 내수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필터권지에 내수제를 첨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필터권지의 내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흡연 전후의 필터의 일그러짐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권지에 내수제를 첨가함으로써 상기 필터권지의 사이즈(size)도는 20 내지 200sec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내수제는 aluminium sulphate, rosin 또는 sodium hydroxide를 구비하는 혼합물; styrene monomer, acrylic acid 또는 maleic anhydride를 구비하는 혼합물; 전분 또는 스틸렌 말레인산 공중합체를 구비하는 혼합물; 또는 alkyl ketene dimmer 또는 alkenyl succinic anhydride를 구비하는 혼합물; 중 어느 하나가 단독으로 적용되거나 적어도 2개가 혼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내수제는 내첨 및 외첨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첨가되거나 상기 내첨 방식 및 상기 외첨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내수제를 상기 내첨 방식으로 첨가하는 경우, 상기 내수제의 첨가 백분율은 0.3 내지 0.9%일 수 있다.
상기 내수제를 상기 내첨 방식 및 상기 외첨 방식을 병행하여 첨가하는 경우, 상기 내수제의 첨가 백분율은 1.0 내지 5.0%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권지는, 표백펄프(BKP, Bleached Kraft Pulp)로 제조되되, 강직도를 결정하는 하나의 인자인 영률(Young's modulus) 향상을 위해 표백펄프를 이루는 활엽수 표백펄프(LBKP) 및 침엽수 표백펄프(NBKP)의 비율에 있어서 상기 활엽수 표백펄프의 비율이 0.25 내지 0.75가 되고 나머지 비율이 상기 침엽수 표백펄프의 비율이 되도록 혼합되며, 내수성 부여를 위해 내수제가 첨가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필터권지의 강직도 및 내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필터의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흡연 전후의 필터의 일그러짐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배 필터의 필터권지 제조 방법은, 활엽수 표백펄프(LBKP) 및 침엽수 표백펄프(NBKP)를 혼합한 표백펄프로 필터권지를 제조하는, 필터권지 제조 단계; 및 상기 필터권지에 내수제를 첨가하는, 내수제 첨가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필터권지의 강직도 및 내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필터의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흡연 전후의 필터의 일그러짐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권지 제조 단계에서, 상기 활엽수 표백펄프의 비율이 0.25 내지 0.75가 되고 나머지 비율이 상기 침엽수 표백펄프의 비율이 되도록 상기 활엽수 표백펄프 및 상기 침엽수 표백펄프는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내수제 첨가 단계에서 첨가되는 상기 내수제는, aluminium sulphate, rosin 또는 sodium hydroxide를 구비하는 혼합물; styrene monomer, acrylic acid 또는 maleic anhydride를 구비하는 혼합물; 전분 또는 스틸렌 말레인산 공중합체를 구비하는 혼합물; 또는 alkyl ketene dimmer 또는 alkenyl succinic anhydride를 구비하는 혼합물; 중 어느 하나가 단독으로 적용되거나 적어도 2개가 혼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내수제 첨가 단계에서 상기 내수제는 내첨 및 외첨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첨가되거나 상기 내첨 방식 및 상기 외첨 방식이 병행되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내수제 첨가 단계 단계에서, 상기 내수제를 내첨 방식으로 첨가하는 경우 상기 내수제의 첨가 백분율은 0.3 내지 0.9%이며, 상기 내수제를 내첨 방식 및 상기 외첨 방식을 병행하여 첨가하는 경우, 상기 내수제의 첨가 백분율은 1.0 내지 5.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담배 필터를 감싸는 필터권지의 강직도 및 내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필터의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흡연 전후의 필터의 일그러짐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목재의 표백펄프의 적용으로 필터의 경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가소제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가소제에 의한 산취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소비자의 흡연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를 부분적으로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담배 필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담배 필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를 부분적으로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담배 필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담배 필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100)는, 각초부(120)와, 각초부(120)의 후미에 결합되어 흡연 시 발생되는 연기의 유해 물질을 여과하거나 제거하는 필터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초부(120)의 각초(121)는 종이권지(122)로 감싸여지고, 필터부(110)는 필터권지(114)에 감싸여진 후 팁 페이퍼(115)에 의해 각초부(120) 및 필터부(110)는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들 중 필터부(11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필터부재(111) 및 제2 필터부재(113)와, 그 사이에 배치되고 흡착제로 이루어진 탄소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필터부재(111), 탄소부재(112) 및 제2 필터부재(113)는 필터권지(114)에 의해 둘러싸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이중필터 타입의 필터부(210)는, 하나의 필터부재(211)와, 흡착제가 필터부재에 첨가된 탄소부재(2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터부재(211) 및 탄소부재(212)는 필터권지(214)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삼중필터 타입의 필터부(310)는, 제1 필터부재(311) 및 제2 필터부재(313)와, 그 사이에 개재되며 흡착제가 필터부재에 첨가된 탄소부재(3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역시 필터권지(314)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권지(114, 도 1참조)는 필터부(110)를 구성하는 부재들을 상호 연결하면서도 보호하는 것이기 때문에 경도가 특히 중요하며, 또한 소비자의 흡연 만족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흡연 후 일그러짐 현상 방지를 위한 내수성 향상이 중요하다.
한편, 이하에서는 향상된 경도 및 내수성을 구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권지(114)의 구성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필터(110, 전술한 필터부)의 경도 향상을 위해서는 필터권지(114)의 강직도(stiffness)를 높여야만 한다. 여기서, 필터(110)의 강직도 향상을 위한 중요 인자로는 영률(Young's modulus) 및 두께가 있다. 영률 향상을 위해서는 섬유 결합이 중요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권지(114)는 목재의 표백필터(BKP, Bleached Kraft Pulp)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의 필터권지(114)를 이루는 표백필터는, 활엽수 표백필터(LBKP) 및 침엽수 표백필터(NBKP)가 일정 비율로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이들의 비율을 조절하여 영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써 필터권지(114)의 강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활엽수 표백필터 및 침엽수 표백필터는 예를 들면, 1 대 1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비율로 혼합 시 우수한 강직도를 얻을 수 있다. 다만, 활엽수 표백필터 및 침엽수 표백필터의 혼합 비율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활엽수 표백필터의 비율이 0.25 내지 0.75가 되게 하고 침엽수 표백필터의 비율이 나머지 비율이 되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강직도, 예를 들면 50 내지 400cm3를 얻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 때, 영률 향상을 위해 활엽수 표백필터 및 침엽수 표백필터를 각각 해리한 후 여수도 25 내지 40°SR로 고해할 수 있다. 여기서, 여수도(freeness)라 함은 망상에서 펄프의 물이 빠지는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고해도를 알아보는 하나의 지표가 될 수 있다.
한편, 필터권지(114)의 강직도 향상을 위한 다른 하나의 인자인 두께를 향상시키기 위해 밀도 및 평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필터권지(114)는 50 내지 150(g/m2) 범위 내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것처럼, 필터권지(114)의 강직도 향상을 위해 영률 및 두께를 향상시키는 것 이외에도 필터권지(114)에 전분을 첨가하여 필터권지(114)의 강직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필터(110)의 경도 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권지(114)는 전술한 것처럼 필터권지(114)의 강직도 향상을 통해 필터(110)의 경도를 향상시킨 다음 필터(110)의 일그러짐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 필터권지(114)에 내수성을 부여한다. 여기서, 필터권지(114)에 내수성을 부여하기 위해 내수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내수제는, aluminium sulphate, rosin 또는 sodium hydroxide를 구비하는 혼합물 또는 styrene monomer, acrylic acid 또는 maleic anhydride를 구비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을 필터권지에 첨가함으로써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성분을 갖는 내수제 외에도 전분, 스틸렌 말레인산 공중합체를 구비하는 혼합물, alkyl ketene dimmer, alkenyl succinic anhydride를 구비하는 혼합물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전술한 내수제의 여러 성분들이 혼합된 내수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내수제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내수제는 내첨 및 외첨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두 가지 방식을 같이 사용하여 내수제를 필터권지(114)에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방식 중 내첨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 내수제의 첨가 백분율은 0.3 내지 0.9%일 수 있고, 내수제를 내첨 방식 및 외첨 방식을 병행하여 첨가하는 경우 내수제의 첨가 백분율은 1.0 내지 5.0%일 수 있다.
이처럼, 강직도가 향상된 필터(110)의 필터권지(114)에 내수제를 첨가함으로써 필터권지(114)의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흡연 전후 발생 가능한 필터(110)의 일그러짐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권지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필터권지의 제조 방법은, 필터권지(114)의 강직도 향상을 위해 활엽수 표백펄프 및 침엽수 표백펄프를 혼합한 표백펄프로 필터권지(114)를 제조하는 필터권지 제조 단계와, 필터권지(114)에 내수제를 첨가하여 필터권지(114)의 내수성을 향상시키는 내수제 첨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실시예의 필터권지 제조 단계는, 필터권지(114)의 강직도를 향상시켜 필터(110)의 경도를 향상시키는 단계로서 필터권지(114)를 이루는 표백필터의 구성들인 활엽수 표백필터 및 침엽수 표백필터를 전술한 비율로 혼합하여 강직도의 주요 인자인 영률을 향상시키는 단계이다. 이 때, 전술한 것처럼, 활엽수 표백필터 및 침엽수 표백필터의 비율은 1:1이 될 수 있으며, 또한 활엽수 표백펄프의 비율이 0.25 내지 0.75가 되고 나머지 비율이 침엽수 표백펄프의 비율이 되도록 활엽수 표백필터 및 침엽수 표백필터를 혼합할 수도 있다.
이어서, 내수제 첨가 단계는, 필터권지(114)에 내수제를 내첨 방식 또는 외첨 방식으로 첨가하거나 또는 이들 방식을 모두 병행하여 내수제를 첨가함으로써 필터권지(114)에 내수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내수제 첨가 단계를 통해 필터권지(114)의 내수성이 향상되어 흡연 전후에도 필터(110)의 일그러짐 현상이 줄어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담배 필 필터권지(114)의 경도 및 내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흡연 전후의 필터(110)의 일그러짐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아울러 목재의 표백펄프의 적용으로 필터(110)의 경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가소제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가소제에 의한 산취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소비자의 흡연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다수의 표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경도 및 내수성이 향상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표1]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 기재된 것처럼, 필터권지의 강직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평량을 증대시킨다. 비교예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필터권지이고, 실시예 1에서 실시예 4로 갈수록 큰 평량을 적용한다 표 1을 통해, 평량의 높아질수록 필터권지의 강직도(stiffness)의 주요 인자인 두께가 증가됨을 알 수 있고, 이에 비례하여 강직도가 실시예 4로 갈수록 커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필터권지의 평량을 실시예 4의 평량인 120(g/m2)으로 결정하고, 다음의 표 2에 기재된 것처럼, 활엽수 표백필터 및 침엽수 표백필터의 비율을 변화함으로써 필터권지를 제조하여 강직도를 측정한다. 즉, 강직도의 주요 인자인 영률 향상을 위해 표백필터의 구성 성분의 비율을 변화시켜가면서 강직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 때, 활엽수 표백필터 및 침엽수 표백필터를 각각 해리한 후 여수도 25°SR로 고해할 수 있다.
[표 2]
Figure pat00002
표 2에 기재된 것처럼, 활엽수 표백펄프(LBKP)의 함량이 증가하면 이에 따라 종이의 유연성이 좋아져 영률 향상을 야기시키고 이로 인해 필터권지의 강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활엽수 표백펄프는 침엽수 표백펄프(NBKP)의 가도관에 비해 목섬유가 훨씬 짧고 세포내강이 높아 강직성을 높이는 특성을 갖는다.
[표 3]
Figure pat00003
한편, 상기의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술한 표 2의 비교예 2 및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7을 비교해본 결과 비교예2 및 실시예 5는 풀접착성 및 제조 작업성이 양호하나, 실시예 6 및 7의 풀접착성 및 제조 작업성은 양호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시예 6 및 7의 경우 강직도가 매우 높아 필터 제조 시 필터권지의 복원력이 높아져 풀접착성 및 제조 작업성이 저하되는데, 이의 개선을 위해 필터권지의 표면에 액상 코팅 처리를 하여 인위적인 말림(curl)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하기의 표 4에 기재된 것처럼 실시예 6에 따른 필터권지의 경우 우수한 풀접착성 및 제조 작업성을 구비할 수 있다.
[표 4]
Figure pat00004
한편, 강직도 향상 후 내수도 향상을 위해 필터권지에 내수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이 때, 강직도 향상 시험에 의해 최적값을 도출한 실시예 6을 적용하여 내수도 향상 시험을 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은 내수제를 내첨 방식으로 적용한 필터권지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표 5]
Figure pat00005
표 5를 통해, 내수제가 내첨 방식을 이용하여 투입될 때 첨가 백분율이 증가할수록 내수도를 나타내는 사이즈(size)도가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9 및 10의 경우를 비교할 경우, 내수제의 첨가 백분율 및 사이즈도를 고려할 경우 최적 투입량은 0.6%로 볼 수 있다.
한편, 내수제를 내첨 방식 및 외첨 방식으로 모두 사용하여 필터권지에 첨가하는 경우는 다음의 표 6과 같다.
[표 6]
Figure pat00006
먼저, 표 6에서 표백펄프의 배합은 표 2 내지 표 4에서의 결과에 의해 침엽수 표백펄프 및 활엽수 표백펄프를 1:1로 해리하였고, 이 때 여수도를 30°SR로 증가하여 고해한다. 여수도가 높아지면, 섬유의 비표면적이 증대되어 내수제의 보류율이 높아져 내수제의 투입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 때, 여수도 증가에 따른 탈수 등의 문제를 고려하여 평량은 70(g/m2)으로 적용하여 시험한다.
그러면 표 6에서 내수제의 첨가 백분율은 4.0%에서, 내수도를 나타내는 Size도 그리고 강직도(Stiffness)가 최적값을 가짐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전술한 표 2 내지 표 6에서의 결과를 토대로, 강직도가 높고 제조 작업성이 양호하며, 내수도를 갖는 실시예 6 및 실시예 13을 비교예 1과 비교하여 필터 제조 후 흡연 전후의 필터 일그러짐을 분석한 표는 다음과 같다.
[표 7]
Figure pat00007
부연 설명하면, 흡연 전 필터의 일그러짐 평가는 파쇄강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필터부의 끝단 2mm에 대한 강도를 측정하고, 흡연 후 일그러짐 평가는 직경 0.8mm 용기에 물 0.1ml를 넣은 후 끝단을 10초간 담지한 후 파쇄강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그 결과, 비교예 1의 일반적인 필터권지에 비해 실시예 9의 필터권지는 흡연 전후 강도가 약 60% 이상 증가하였고, 실시예 13의 필터권지의 경우 흡연 전/후 강도가 대략 100% 정도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시험 중 강직도 향상 시험을 통해, 평량이 크고 침엽수 표백펄프 및 활엽수 표백펄프가 배합된 표백펄프로 제조되는 필터권지의 경우 강직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으며, 또한 필터권지에 내첨 또는 외첨 방식을 이용하여 내수제를 첨가하는 경우 필터권지의 내수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강도를 증가시켜 일그러짐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담배 110 : 필터(필터부)
111 : 제1 필터부재 112 : 탄소부재
113 : 제2 필터부재 114 : 필터권지
115 : 팁 페이퍼 120 : 각초부

Claims (15)

  1. 필터권지로 감싸지는 담배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권지는 표백펄프(BKP, Bleached Kraft Pulp)로 제조되되, 강직도를 결정하는 하나의 인자인 영률(Young's modulus) 향상을 위해 표백펄프를 이루는 활엽수 표백펄프(LBKP) 및 침엽수 표백펄프(NBKP)의 비율에 있어서 상기 활엽수 표백펄프의 비율이 0.25 내지 0.75가 되고 나머지 비율이 상기 침엽수 표백펄프의 비율이 되도록 제조되며,
    상기 필터권지의 강직도를 결정하는 다른 하나의 인자인 두께 향상을 위해 상기 필터권지의 평량은 50 내지 150(g/m2)의 값을 갖는 담배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권지는 상기 활엽수 표백펄프 및 상기 침엽수 표백펄프를 상기 비율로 각각 해리한 후 여수도 25 내지 40°SR로 고해되는 담배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 대한 상기 필터권지의 접착성 향상을 위해, 상기 필터권지의 표면에 액상 코팅을 하여 인위적인 말림(curl)을 부여하는 담배 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권지에 내수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필터권지에 내수제를 첨가하는 담배 필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권지에 내수제를 첨가함으로써 상기 필터권지의 사이즈(size)도는 20 내지 200sec를 갖는 담배 필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수제는, aluminium sulphate, rosin 또는 sodium hydroxide를 구비하는 혼합물; styrene monomer, acrylic acid 또는 maleic anhydride를 구비하는 혼합물; 전분 또는 스틸렌 말레인산 공중합체를 구비하는 혼합물; 또는 alkyl ketene dimmer 또는 alkenyl succinic anhydride를 구비하는 혼합물; 중 어느 하나가 단독으로 적용되거나 적어도 2개가 혼합되어 적용되는 담배 필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수제는 내첨 및 외첨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첨가되거나 상기 내첨 방식 및 상기 외첨 방식이 병행되어 첨가되는 담배 필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수제를 상기 내첨 방식으로 첨가하는 경우, 상기 내수제의 첨가 백분율은 0.3 내지 0.9%인 담배 필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수제를 상기 내첨 방식 및 상기 외첨 방식을 병행하여 첨가하는 경우, 상기 내수제의 첨가 백분율은 1.0 내지 5.0%인 담배 필터.
  10. 담배의 필터를 감싸는 필터권지에 있어서,
    표백펄프(BKP, Bleached Kraft Pulp)로 제조되되, 강직도를 결정하는 하나의 인자인 영률(Young's modulus) 향상을 위해 표백펄프를 이루는 활엽수 표백펄프(LBKP) 및 침엽수 표백펄프(NBKP)의 비율에 있어서 상기 활엽수 표백펄프의 비율이 0.25 내지 0.75가 되고 나머지 비율이 상기 침엽수 표백펄프의 비율이 되도록 혼합되며, 내수성 부여를 위해 내수제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권지.
  11. 담배 필터의 필터권지 제조 방법에 있어서,
    활엽수 표백펄프(LBKP) 및 침엽수 표백펄프(NBKP)를 혼합한 표백펄프로 필터권지를 제조하는, 필터권지 제조 단계; 및
    상기 필터권지에 내수제를 첨가하는, 내수제 첨가 단계;
    를 포함하는 담배 필터의 필터권지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권지 제조 단계에서, 상기 활엽수 표백펄프의 비율이 0.25 내지 0.75가 되고 나머지 비율이 상기 침엽수 표백펄프의 비율이 되도록 상기 활엽수 표백펄프 및 상기 침엽수 표백펄프는 혼합되는 담배 필터의 필터권지 제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수제 첨가 단계에서 첨가되는 상기 내수제는, aluminium sulphate, rosin 또는 sodium hydroxide를 구비하는 혼합물; styrene monomer, acrylic acid 또는 maleic anhydride를 구비하는 혼합물; 전분 또는 스틸렌 말레인산 공중합체를 구비하는 혼합물; 또는 alkyl ketene dimmer 또는 alkenyl succinic anhydride를 구비하는 혼합물; 중 어느 하나가 단독으로 적용되거나 적어도 2개가 혼합되어 적용되는 담배 필터의 필터권지 제조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수제 첨가 단계에서 상기 내수제는 내첨 및 외첨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첨가되거나 상기 내첨 방식 및 상기 외첨 방식이 병행되어 첨가되는 담배 필터의 필터권지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수제 첨가 단계 단계에서, 상기 내수제를 내첨 방식으로 첨가하는 경우 상기 내수제의 첨가 백분율은 0.3 내지 0.9%이며, 상기 내수제를 내첨 방식 및 상기 외첨 방식을 병행하여 첨가하는 경우, 상기 내수제의 첨가 백분율은 1.0 내지 5.0%인 담배 필터의 필터 제조 방법.
KR1020110100114A 2011-09-30 2011-09-30 필터권지 및 그에 의해 감싸지는 담배 필터, 그리고 그 필터권지의 제조 방법 KR101395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114A KR101395953B1 (ko) 2011-09-30 2011-09-30 필터권지 및 그에 의해 감싸지는 담배 필터, 그리고 그 필터권지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114A KR101395953B1 (ko) 2011-09-30 2011-09-30 필터권지 및 그에 의해 감싸지는 담배 필터, 그리고 그 필터권지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670A true KR20130035670A (ko) 2013-04-09
KR101395953B1 KR101395953B1 (ko) 2014-06-11

Family

ID=48437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114A KR101395953B1 (ko) 2011-09-30 2011-09-30 필터권지 및 그에 의해 감싸지는 담배 필터, 그리고 그 필터권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95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7400A1 (en) 2013-07-16 2015-01-22 Philip Morris Products S.A. Radially firm smoking article filter
CN105338839A (zh) * 2013-07-16 2016-02-17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用于容易熄灭的吸烟制品过滤嘴
EP3072404B1 (en) 2013-11-21 2018-08-15 Japan Tobacco, Inc. Cigarette
KR20190093440A (ko) * 2018-02-01 2019-08-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흡연물품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세그먼트들을 결합하는 포장재
US11478590B2 (en) 2017-07-21 2022-10-25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spiral movement for heating
KR20230128089A (ko) 2021-01-20 2023-09-01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반송 대차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79654A (zh) * 2018-01-04 2018-06-19 浙江凯恩特种纸业有限公司 一种疏油性防渗普通滤棒成形纸
CN110140992B (zh) * 2019-07-02 2021-08-20 前海国健华烟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低温不燃烧的草本卷烟替代品的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3298B2 (ja) * 1995-08-09 1999-04-19 三島製紙株式会社 たばこ用水分散性シート並びにこれを用いたたばこ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7400A1 (en) 2013-07-16 2015-01-22 Philip Morris Products S.A. Radially firm smoking article filter
CN105338839A (zh) * 2013-07-16 2016-02-17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用于容易熄灭的吸烟制品过滤嘴
KR20160032016A (ko) 2013-07-16 2016-03-23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반경방향으로 단단한 흡연 물품 필터
EP3021698B1 (en) * 2013-07-16 2020-11-11 Philip Morris Products S.a.s. Radially firm smoking article filter
US10834961B2 (en) 2013-07-16 2020-11-17 Philip Morris Products S.A. Radially firm smoking article filter
KR20210029844A (ko) 2013-07-16 2021-03-16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반경방향으로 단단한 흡연 물품 필터
EP3794966A1 (en) * 2013-07-16 2021-03-24 Philip Morris Products S.a.s. Radially firm smoking article filter
US11071320B2 (en) 2013-07-16 2021-07-27 Philip Morris Products S.A. Smoking article filter for easy extinguishing
EP3072404B1 (en) 2013-11-21 2018-08-15 Japan Tobacco, Inc. Cigarette
US11478590B2 (en) 2017-07-21 2022-10-25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spiral movement for heating
KR20190093440A (ko) * 2018-02-01 2019-08-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흡연물품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세그먼트들을 결합하는 포장재
KR20230128089A (ko) 2021-01-20 2023-09-01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반송 대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5953B1 (ko)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5953B1 (ko) 필터권지 및 그에 의해 감싸지는 담배 필터, 그리고 그 필터권지의 제조 방법
US10405573B2 (en) Cigarette paper with high short-fiber fraction
US4420002A (en) Wrapper for smoking articles and method
EP1084629B1 (en) Cigarette paper containing carbon fibers for improved ash charactaristics
US6676806B1 (en) Process for increasing the wet strength of porous plug wraps for use in smoking articles
JP4237282B2 (ja) 喫煙品の灰特性および喫煙品用巻紙の灰特性を改善する方法
NO173482B (no) Hylster for roekeartikkel
US20140326262A1 (en) Paper Filled with Tobacco Particles
WO2021103732A1 (zh) 透气度与紧度可调控的干法再造烟叶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WO2011114529A1 (ja) 低坪量チップペーパーおよびフィルター付きシガレット
RU2666667C1 (ru) Сигаретная оберточная бумага и обернутая бумагой сигарет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указанной сигаретной оберточной бумаги
US5172708A (en) Smoking articles
JPH0365172A (ja) 喫煙製品の改良
WO2014087529A1 (ja) 2重巻紙シガレット
US20210386112A1 (en) Tobacco-Containing Wrapper Having A White Brilliant Appearance
JPH11124798A (ja) 燃焼性に優れたシガレット用巻紙およびシガレット
JP2019041766A (ja) タバコシート、棒状の喫煙物品及びタバコシート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WO2014087530A1 (ja) 2重巻紙シガレット
JPH1081A (ja) 喫煙物品用巻紙
JP2003129399A (ja) たばこ用巻紙
JP2758992B2 (ja) 喫煙物品用巻紙
Ozden Plug wrap papers
JP2016518141A (ja) 喫煙物品
EP0092996A1 (en) Tipping assembly for an elongate smoking articl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TW201132826A (en) Tip paper of low basis weight and cigaratee with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