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3051A -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3051A
KR20130033051A KR1020110096874A KR20110096874A KR20130033051A KR 20130033051 A KR20130033051 A KR 20130033051A KR 1020110096874 A KR1020110096874 A KR 1020110096874A KR 20110096874 A KR20110096874 A KR 20110096874A KR 20130033051 A KR20130033051 A KR 20130033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information
user
electronic
electronic ti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5008B1 (ko
Inventor
김성렬
이수영
공선용
이제희
신종찬
Original Assignee
서울메트로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메트로, 주식회사 에이텍 filed Critical 서울메트로
Priority to KR1020110096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008B1/ko
Publication of KR20130033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47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electronic receip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시스템은, 사용자가 입력한 탑승정보에 따라 전자 승차권 정보를 생성하는 승차권 생성부, 상기 전자 승차권 정보를 2차원 바코드로 코딩하여 표시하는 이미지 생성부 및 상기 전자 승차권이 유효성을 상실한 경우 생성된 전자 승차권을 폐기하는 유효성 관리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및 상기 2차원 바코드로부터 상기 탑승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승차권을 집표 및 개표하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대중교통 이용을 위한 승차권을 사용자의 휴대 단말에서 생성하고 생성된 승차권을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2차원 바코드 형태로 표시하여 탑승 게이트에서 제시하도록 함으로써, 후불 교통카드 기능을 갖는 신용카드나, 충전식 교통카드나 일회용 승차권 등의 충전매체 없이도 전자 승차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교통카드나 RF금융 칩 등을 구매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SYSTEM AND METHOD FOR ISSUING ELECTRONIC TICKET USING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중교통 이용을 위한 승차권을 사용자의 휴대 단말에서 생성하고 생성된 승차권을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2차원 바코드 형태로 표시하여 탑승 게이트에서 제시하도록 함으로써, 후불 교통카드 기능을 갖는 신용카드나, 충전식 교통카드나 일회용 승차권 등의 충전매체 없이도 전자 승차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교통카드나 RF금융 칩 등을 구매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지하철의 승차권으로는, RF방식의 충전형 선불카드 및 후불형 신용카드로 나누어지는 카드 승차권과, 일회용으로 발급되는 RF 승차권이 있다.
후불형 신용카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RF카드의 IC칩에 신용카드번호가 저장되어 있어서, 교통수단의 출입구에 설치된 RF카드단말기가 RF카드에 저장된 신용카드번호를 독출한 후 신용카드사로부터 승인 및 정산을 실시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충전형 선불카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RF카드의 IC칩에 구비된 충전형 메모리에 화폐가치를 저장하고 지하철이나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할 때, 교통수단의 출입구에 설치된 RF카드단말기를 이용하여 충전된 화폐가치를 차감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그런데, 후불형 신용카드는 미성년자 등 신용카드를 발급받을 수 없는 사용자는 발급이 불가능하고, 신용카드를 신청하여 수령하는 데에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충전형 선불카드는 필요한 금액을 미리 충전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때에 충전액이 모두 소진된다면 곤란한 상황을 겪을 수 있다. 또한, 충전형 선불카드를 구입하는 데는 충전금액 이외에 카드 구매 비용도 지불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카드 승차권을 소지 않은 사용자에 대해서는 일회용으로 RF 승차권을 발급하고 있다. 일회용 RF 승차권은 충전을 통해 반복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RF 카드 매체에서 사용자가 1회 사용할 수 있는 전자 승차권을 발급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일회용 승차권의 경우, 승차권 발매 시 운임 이외에 카드 보증금을 지불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또한, 승차권을 사용한 후에는 카드를 반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7-0054911호 제목: 전자승차권 발급시스템 운영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대중교통 이용을 위한 승차권을 사용자의 휴대 단말에서 생성하고 생성된 승차권을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2차원 바코드 형태로 표시하여 탑승 게이트에서 제시하도록 함으로써, 후불 교통카드 기능을 갖는 신용카드나, 충전식 교통카드나 일회용 승차권 등의 충전매체 없이도 전자 승차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교통카드나 RF금융 칩 등을 구매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입력한 탑승정보에 따라 전자 승차권 정보를 생성하는 승차권 생성부, 상기 전자 승차권 정보를 2차원 바코드로 코딩하여 표시하는 이미지 생성부 및 상기 전자 승차권이 유효성을 상실한 경우 생성된 전자 승차권을 폐기하는 유효성 관리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및 상기 2차원 바코드로부터 상기 탑승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승차권을 집표 및 개표하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는, 상기 2차원 바코드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출발역과 도착역 정보를 추출하여 요금을 산출하고, 상기 2차원 바코드에 포함된 결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자 승차권의 사용 여부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전자 승차권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식별정보가 저장된 사용자정보 저장부;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 입력된 사용자의 탑승정보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승차권 데이터를 생성하는 승차권 생성부; 상기 생성된 전자 승차권의 사용 여부 및 유효 시간 경과 여부에 기초하여 유효성을 상실한 전자 승차권을 폐기 처리하는 유효성 관리부; 및 상기 전자 승차권 데이터를 2차원 바코드로 코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사용자의 회원가입정보, 개인정보, 금융정보, 휴대단말의 기기번호,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차권 생성부는, 상기 전자 승차권의 요금결제 방식에 따라, 결제 서버를 이용한 선결제 방식, 후결제 방식, 및 통신요금 합산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제방식에 대응되는 결제정보를 상기 전자 승차권 데이터에 첨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생성부는, 탑승 확인을 위한 개표 승차권과 하차 확인을 위한 집표 승차권을 각각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출발역 승차권 개집표 장치에서 2차원 바코드로 표시된 개표 승차권을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도착역 승차권 개집표 장치에서 2차원 바코드로 표시된 집표 승차권을 입력받아 사용자 정보 및 결제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개표 승차권 및 집표 승차권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구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구간에 기초하여 산출된 운임을 상기 결제정보에 따라 과금 처리하는 전자 승차권 발권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사용자의 휴대 단말에서,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승차권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전자 승차권 정보를 상기 개표 승차권 및 집표 승차권으로 코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가 저장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탑승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탑승정보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승차권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 승차권 데이터를 2차원 바코드로 코딩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전자 승차권의 사용 여부 및 유효 시간 경과 여부에 기초하여 유효성을 상실한 전자 승차권을 폐기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사용자의 회원가입정보, 개인정보, 금융정보, 휴대단말의 기기번호,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승차권의 요금결제 방식을, 결제 서버를 이용한 선결제 방식, 후결제 방식, 및 통신요금 합산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입력받아 상기 전자 승차권 데이터에 첨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승차권 데이터를 2차원 바코드로 코딩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탑승 확인을 위한 개표 승차권을 상기 2차원 바코드로 코딩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하차 확인을 위한 집표 승차권을 상기 2차원 바코드로 코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가 저장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탑승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탑승정보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승차권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 승차권 데이터를 2차원 바코드로 코딩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전자 승차권의 사용 여부 및 유효 시간 경과 여부에 기초하여 유효성을 상실한 전자 승차권을 폐기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대중교통 이용을 위한 승차권을 사용자의 휴대 단말에서 생성하고 생성된 승차권을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2차원 바코드 형태로 표시하여 탑승 게이트에서 제시하도록 함으로써, 후불 교통카드 기능을 갖는 신용카드나, 충전식 교통카드나 일회용 승차권 등의 충전매체 없이도 전자 승차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교통카드나 RF금융 칩 등을 구매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제어블럭도,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에 탑재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사용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방법의 제어 흐름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의 발권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100)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시스템은 승객이 대중교통 수단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권이 필요한 교통수단에 대해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하철 탑승을 위해 전자 승차권을 발권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2차원 바코드 형태의 전자 승차권을 생성하는 휴대 단말(100)과, 전자 승차권을 입력받아 개표/집표하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와, 휴대 단말(100)에서 생성된 전자 승차권의 요금을 결제하는 승차요금 결제서버(300)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100)에는 발권 애플리케이션(400)이 탑재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지하철 구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승차권을 생성하고 생성된 승차권을 디스플레이부(140)에 2차원 바코드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
휴대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출발역과 도착역을 입력받아 해당 구간의 운임을 안내하고 해당 운임이 지불된 경우에 전자 승차권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운임은 휴대 단말(100)의 통신요금에 합산되거나, 혹은, 휴대 단말(100)에 탑재된 결제수단에 의해 결제될 수 있다.
또 다른 전자 승차권 생성방법에 따르면, 휴대 단말(10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승차 시 제시하는 개표 승차권과 하차 시 제시하는 집표 승차권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개표 승차권과 집표 승차권에는 모두 사용자 정보가 포함되어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로 전달된다. 이에,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로 입력된 전자 승차권들은 해당 사용자 별로 집계되어 요금을 부가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100)에 표시되는 승차권인 2차원 바코드는 x방향 및 y방향 평면상에 점이나 선 패턴을 배열하여 데이터를 코드화한 것으로서, 문자, 숫자, 사진 등 대량의 정보를 작은 사각형 안에 2차원의 심벌로 표현할 수 있다. 2차원 바코드에는 고밀도 정보를 담을 수 있고 정보가 훼손되어도 상당 부분 복구가 가능하며, 어느 방향으로 스캐너(210)를 들이대도 인식이 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의 행선지 정보, 운임 정보 등의 승차권 정보를 2차원 바코드로 코딩하여 승객에게 발급한다.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는 미지불 구역(Free Area)에서 지불구역(Paid Area)으로 또는 지불구역에서 미지불구역으로의 승객 통과를 제어한다.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는 스캐너와, 유효성 판단부(220)를 포함한다.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는 휴대 단말(100)에 표시된 2차원 바코드를 스캐닝 함으로써 승차권 정보를 추출하고, 유효성 판단부(220)를 통해 스캐닝된 승차권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는 승차권 정보가 유효한 경우에 한해 플랩도어를 개방하여 승객이 출입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다.
승차요금 결제서버(300)는 사용자가 사용한 전자 승차권의 요금을 결제한다. 사용자의 승차요금은 시스템 구성 방식에 따라, 통신사 요금에 합산되거나, 사용자의 신용카드, 체크카드 등의 신용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으며, 혹은, 전자 승차권 발권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별도의 결제수단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승차요금 결제서버(300)는 전자 승차권의 요금을 결제를 위한 구성이면 어떤 것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100)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시스템은, 휴대 단말(100)에 탑재된 발권 애플리케이션(400)을 이용하여 지하철 구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승차권을 생성하고 생성된 승차권을 디스플레이부(140)에 2차원 바코드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사용자는 별도의 발권 수단이나 결제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필요에 따라 발권 애플리케이션(400)을 이용하여 직접 승차권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시스템의 휴대 단말(100)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00)은 통신부(110), 저장부(120), 디스플레이부(140), 사용자 입력부(150), 결제모듈(16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에, 통신부(110)를 통해 발권 애플리케이션(400)을 다운로드 할 수 있으며, 승차권에 대한 결제가 필요할 시, 승차요금 결제서버(300)에 결제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120)에는 휴대 단말(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가 저장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 단말(100)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자 승차권을 생성하고 그에 대한 요금 결제 처리와 사용된 승차권에 대한 폐기 과정을 제어하는 발권 애플리케이션(400)이 저장된다. 이러한 발권 애플리케이션(400)은 신분이 보장된 사용자, 예컨대, 정당한 회원이거나 실명으로 인증되고 결제수단의 유효성이 입증된 사용자에 한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자 승차권의 보안 및 유효성을 관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발권 애플리케이션(400)이 제공하는 발권 화면, 처리 화면 등이 표시되며, 생성된 전자 승차권을 2차원 바코드의 형태로 표시한다.
사용자 입력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승차권 발급을 위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예컨대, 운행 구간, 탑승 인원, 학생/노인/유아 등의 할인 정보, 구매 매수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50)는 터치패널, 키패드, 키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100)이 동작감지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가속도 센서 등도 사용자 입력부(150)에 포함될 수 있다.
결제모듈(160)은 휴대 단말(100)에 탑재되어 대금결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금융관련 IC, 혹은,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경우 요금결제 기능은 금융기관의 카드를 이용하는 것 이외에도, 휴대폰 사용요금에 부가하는 방법으로도 처리가 가능함으로, 결제모듈(160)의 구성은 선택적으로 탑재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휴대 단말(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발권 애플리케이션(400)을 실행함으로써, 전자 승차권을 생성하여 사용하고 폐기하는 일련의 과정을 실행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100)에 탑재되는 애플리케이션(400)의 구조도로서,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발권 애플리케이션(400)의 구조를 기능 블록을 이용하여 도시한 것이다.
발권 애플리케이션(400)은 요금 테이블(410), 사용자정보 저장부(420), 승차권 생성부(430), 이미지 생성부(440), 타이머부(450), 유효성 관리부(460)를 포함한다.
요금 테이블(410)에는 출발역에서 도착역으로의 이동 구간에 따른 운임정보가 저장된다.
사용자정보 저장부(420)에는 발권 애플리케이션(40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고유정보가 저장된다. 사용자 고유정보는 발권된 전자 승차권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회원가입 정보나, 개인정보, 개인금융 정보, 혹은, 휴대 단말(100)의 기기번호나 가입자 번호 등, 각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승차권 생성부(430)는 사용자가 선택한 이동 구간 정보와 사용자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승차권 정보를 생성한다.
이미지 생성부(440)는 승차권 생성부(430)에서 생성된 전자 승차권 정보를 2차원 바코드 형태로 코딩한다. 2차원 바코드는, 맥시코드(Maxi Code), 데이터 매트릭스(Data Matrix), QR코드, 소정 형태로 디자인된 패턴 코드 등 다양한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타이머부(450)는 생성이 완료된 전자 승차권의 폐기 시한을 카운트한다. 예컨대, 개표 승차권은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후 2분까지 유효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집표 승차권은 사용자가 직접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 후 2분, 혹은, 개표 승차권 표시 후 자동으로 표시된 후 5시간 등으로 유효한 기간이 한정될 수 있다. 이에, 타이머부(450)는 전자 승차권이 표시된 후 경과된 시간을 카운트하여 유효성 관리부(460) 측에 폐기 시한을 통보할 수 있다.
유효성 관리부(460)는 전자 승차권의 폐기 시한이 경과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폐기 명령을 입력한 경우 해당 전자 승차권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도록 폐기 처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발권 애플리케이션(40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자 승차권을 생성하고 그에 대한 요금 결제 처리와 사용된 승차권에 대한 폐기 과정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전자 승차권의 생성 및 사용을 위한 발권 애플리케이션(400)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
전자 승차권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휴대 단말(100)에서 발권 애플리케이션(400)을 실행한다(S110).
발권 애플리케이션(400)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탑승하고자 하는 출발역과 하차하고자 하는 도착역을 입력한다(S112). 여기서, 출발역과 도착역은 각 역에 게시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 형태의 역 정보를 촬영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출발역과 도착역을 입력하면, 그에 따른 운임정보가 검색되어 표시되며(S114), 이에, 사용자는 요금지불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보유한 카드를 이용한 선불, 혹은 후불 지급, 통신요금에 합산 등의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발권 애플리케이션(400)의 승차권 생성부(430)는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의 이동 구간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승차권 데이터를 생성한다(S116).
발권 애플리케이션(400)의 이미지 생성부(440)는 생성된 전자 승차권 데이터를 2차원 바코드 형태로 코딩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S118).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휴대 단말(100)에 설치된 발권 애플리케이션(400)을 이용하여 원하는 구간의 승차권을 직접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사용 방법의 흐름도이다.
전자 승차권 사용을 위해 사용자가 휴대 단말(100)에 설치된 발권 애플리케이션(400)을 실행시키면, 발권 애플리케이션(400)은 사용자가 승차권 제시를 선택하였는지를 감지한다(S212).
사용자가 승차권 제시 기능을 선택한 경우, 이미지 생성부(440)는 2차원 바코드로 코딩된 전자 승차권을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S214).
여기서, 유효성 관리부(460)는 전자 승차권이 제시된 시간을 저장한다(S216). 여기서, 유효성 관리부(460)는 타이머부(450)를 통해 기 설정된 유효 기한을 카운팅 하여 표시된 전자 승차권의 폐기 기한이 도래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이 후, 사용자가 하차에 따른 승차권 제시를 선택하였는지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 전자 승차권을 표시한다(S218).
여기서, 사용자가 직접 하차 승차권 제시를 선택한 경우 유효성 관리부(460)는 해당 전자 승차권을 폐기처리 한다(S222).
반면, 사용자가 별도로 하차 승차권 제시를 선택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승차권의 유효 기한이 만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S220), 유효 기간이 만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전자 승차권을 자동으로 폐기처리 한다(S222).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방법의 제어 흐름도로써, 승차 요금을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에서 취합하여 후불 결제 처리하는 경우 그 제어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전자 승차권 사용을 위해 사용자는 휴대 단말(100)에 설치된 발권 애플리케이션(400)을 실행시키고(S310), 승차를 위한 개표 승차권 발권을 요청한다.
휴대 단말(100)은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와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개표 승차권 데이터를 생성한다(S312). 여기서, 개표 승차권은 어느 사용자가 어느 역에서 탑승하였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와 요금 결제를 위한 결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개표 승차권 데이터를 2차원 바코드로 코딩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S314). 도 7은 휴대 단말(100)의 개표 승차권 표시 상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표 승차권은 디스플레이부(140)에 2차원 바코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개표 승차권은 맥시코드(Maxi Code), 데이터 매트릭스(Data Matrix), QR코드, 소정 형태로 디자인된 패턴 코드 등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승하차 개집표 장치(200)는 스캐너(21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제시한 개표 승차권을 입력 받는다(S410). 여기서, 승하차 개집표 장치(200)는 유효성 판단부(220)를 이용하여 해당 승차권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유효하지 않은 승차권을 제시한 사용자의 경우 승객의 통과를 제한할 수 있다.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를 통과한 사용자는 하차 시 휴대 단말(100)을 이용하여 집표 승차권 발권을 요청한다. 이에, 휴대 단말(100)은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와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집표 승차권 데이터를 생성한다(S316). 집표 승차권은 사용자가 탑승한 구간의 정보와 해당 사용자에게 요금을 청구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와 요금 결제를 이한 결제정보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100)은 집표 승차권 데이터를 2차원 바코드로 코딩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하고(S318), 생성되었던 전자 승차권을 폐기한 후 애플리케이션(400)을 종료한다(S320). 도 8은 집표 승차권의 표시 상태도로서, 디스플레이부(140)에 2차원 바코드 형태로 표시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40)에는 이용요금, 출발/도착역 등의 부가적인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승하차 개집표 장치(200)는 스캐너(21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제시한 집표 승차권을 입력 받는다(S412). 이후, 사용자가 애용한 구간의 운임을 산출하고(S414), 사용자의 결제정보에 기초하여 승차운임에 대한 결제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S416).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대중교통 이용을 위한 승차권을 사용자의 휴대 단말에서 생성하고 생성된 승차권을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2차원 바코드 형태로 표시하여 탑승 게이트에서 제시하도록 함으로써, 후불 교통카드 기능을 갖는 신용카드나, 충전식 교통카드나 일회용 승차권 등의 충전매체 없이도 전자 승차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교통카드나 RF금융 칩 등을 구매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0 : 휴대 단말 110 : 통신부
120 : 저장부 130 : 제어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사용자 입력부
160 : 결제모듈 200 : 승차권 개집표 장치
210 : 스캐너 220 : 유효성 판단부
300 : 승차요금 결제서버 400 : 발권 애플리케이션
410 : 요금 테이블 420 : 사용자정보 저장부
430 : 승차권 생성부 440 : 이미지 생성부
450 : 타이머부 460 : 유효성 관리부

Claims (13)

  1. 사용자가 입력한 탑승정보에 따라 전자 승차권 정보를 생성하는 승차권 생성부, 상기 전자 승차권 정보를 2차원 바코드로 코딩하여 표시하는 이미지 생성부 및 상기 전자 승차권이 유효성을 상실한 경우 생성된 전자 승차권을 폐기하는 유효성 관리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및
    상기 2차원 바코드로부터 상기 탑승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승차권을 집표 및 개표하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는,
    상기 2차원 바코드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출발역과 도착역 정보를 추출하여 요금을 산출하고, 상기 2차원 바코드에 포함된 결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금을 청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승차권 발권 시스템.
  3. 전자 승차권의 사용 여부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전자 승차권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식별정보가 저장된 사용자정보 저장부;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 입력된 사용자의 탑승정보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승차권 데이터를 생성하는 승차권 생성부;
    상기 생성된 전자 승차권의 사용 여부 및 유효 시간 경과 여부에 기초하여 유효성을 상실한 전자 승차권을 폐기 처리하는 유효성 관리부; 및
    상기 전자 승차권 데이터를 2차원 바코드로 코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사용자의 회원가입정보, 개인정보, 금융정보, 휴대단말의 기기번호,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권 생성부는,
    상기 전자 승차권의 요금결제 방식에 따라, 결제 서버를 이용한 선결제 방식, 후결제 방식, 및 통신요금 합산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제방식에 대응되는 결제정보를 상기 전자 승차권 데이터에 첨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생성부는,
    탑승 확인을 위한 개표 승차권과 하차 확인을 위한 집표 승차권을 각각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7. 출발역 승차권 개집표 장치에서 2차원 바코드로 표시된 개표 승차권을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도착역 승차권 개집표 장치에서 2차원 바코드로 표시된 집표 승차권을 입력받아 사용자 정보 및 결제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개표 승차권 및 집표 승차권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구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구간에 기초하여 산출된 운임을 상기 결제정보에 따라 과금 처리하는 전자 승차권 발권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휴대 단말에서,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승차권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전자 승차권 정보를 상기 개표 승차권 및 집표 승차권으로 코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승차권 발권 방법.
  9. 사용자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가 저장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탑승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탑승정보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승차권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 승차권 데이터를 2차원 바코드로 코딩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전자 승차권의 사용 여부 및 유효 시간 경과 여부에 기초하여 유효성을 상실한 전자 승차권을 폐기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사용자의 회원가입정보, 개인정보, 금융정보, 휴대단말의 기기번호,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승차권의 요금결제 방식을, 결제 서버를 이용한 선결제 방식, 후결제 방식, 및 통신요금 합산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입력받아 상기 전자 승차권 데이터에 첨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승차권 데이터를 2차원 바코드로 코딩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탑승 확인을 위한 개표 승차권을 상기 2차원 바코드로 코딩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하차 확인을 위한 집표 승차권을 상기 2차원 바코드로 코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방법.
  13. 사용자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가 저장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탑승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탑승정보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승차권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 승차권 데이터를 2차원 바코드로 코딩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전자 승차권의 사용 여부 및 유효 시간 경과 여부에 기초하여 유효성을 상실한 전자 승차권을 폐기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10096874A 2011-09-26 2011-09-26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75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874A KR101275008B1 (ko) 2011-09-26 2011-09-26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874A KR101275008B1 (ko) 2011-09-26 2011-09-26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051A true KR20130033051A (ko) 2013-04-03
KR101275008B1 KR101275008B1 (ko) 2013-06-17

Family

ID=48435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874A KR101275008B1 (ko) 2011-09-26 2011-09-26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50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96425A (zh) * 2019-03-12 2020-09-22 安阳工学院 一种棉花信息标记装置
KR20200113649A (ko) * 2019-03-26 2020-10-07 (주)자이로스 Qr 승차권을 이용한 대중교통요금 처리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329B1 (ko) * 2019-10-24 2021-07-09 (주)에이텍티앤 비콘을 이용한 지하철 안내시스템
KR102448704B1 (ko) 2019-12-20 2022-09-28 엔에이치엔페이코 주식회사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944A (ko) * 2001-09-14 2003-03-26 건 서 핸드폰을 활용한 구매확인 및 결재시스템
KR20030014743A (ko) * 2003-01-20 2003-02-19 김인호 매트릭스 코드를 이용한 에스엠에스 티켓팅 시스템 및 그방법
JP4343567B2 (ja) * 2003-03-27 2009-10-14 みずほ情報総研株式会社 チケット管理方法及び電子チケットシステム
KR20070077944A (ko) * 2006-01-25 2007-07-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통한 전자 티켓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96425A (zh) * 2019-03-12 2020-09-22 安阳工学院 一种棉花信息标记装置
KR20200113649A (ko) * 2019-03-26 2020-10-07 (주)자이로스 Qr 승차권을 이용한 대중교통요금 처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5008B1 (ko) 201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78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ss transit merchant payment
AU4475401A (en) Optical payment transceiver and system using the same
CN101482982A (zh) 一种在etc车道应用的无线手持机及系统与实现方法
CN110869963A (zh) 生物认证结算系统、结算系统和收银系统
KR101275008B1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75005B1 (ko)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akubauskas Improvement of urban passenger transport ticketing systems by deploying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JP4381110B2 (ja) 料金収受システム、料金収受方法
CN101201942A (zh) 一种电子自助代缴费门禁控制系统
JP2003150993A (ja) 非接触自動改札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06079172A (ja) 駐車場システム、駐車料金精算システム、および可搬型記憶装置
JP6184257B2 (ja) 交通費精算システム、交通費精算プログラム及び交通費精算方法
GB2572816A (en) A method of collecting travel fares in a transport system
CN108109214A (zh) 一种自动通闸方法、结算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KR101900260B1 (ko) 민자 tcs 매출마감 자동전표 생성 방법 및 시스템
JPH09305804A (ja) 通行料金支払システム
JP4484156B2 (ja) 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
TW201101213A (en) A new payment system for the transaction with a variable fare rate (or non-flat fare rate)
KR20060091968A (ko) 지피에스, 스마트카드 및 휴대폰을 이용한 도로교통요금징수시스템
JP3499423B2 (ja) 駐車料金割引機能を備えた駐車場管理装置
EP4202870A1 (en) Parking payment system
JP7401705B2 (ja) 駐車料金精算機
Siddiqui et al. Smart ATVM Application
JPH1063889A (ja) カード処理システム
JP5978157B2 (ja) マルチメディアシステム、マルチメディア端末、電子マネー決済機能付キャッシュレジスタ及び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