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704B1 -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704B1
KR102448704B1 KR1020190171701A KR20190171701A KR102448704B1 KR 102448704 B1 KR102448704 B1 KR 102448704B1 KR 1020190171701 A KR1020190171701 A KR 1020190171701A KR 20190171701 A KR20190171701 A KR 20190171701A KR 102448704 B1 KR102448704 B1 KR 102448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mobile
providing
shuttle bus
mobile ti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9674A (ko
Inventor
정소영
오보명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페이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페이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페이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1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704B1/ko
Publication of KR20210079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45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tickets
    • G06Q20/0457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tickets the tickets being sent electronic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06Q20/3267In-app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은, 구매자 단말의 프로세서에서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구매자에 대한 구매조건 인증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구매조건 인증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인증 허가된 상기 소속기관에서 운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셔틀버스 승차권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구매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모바일 승차권을 발급받는 단계; 상기 발급된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사용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METHOD THAT PROVIDING MOBILE TICKET SERVICE}
본 발명은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셔틀버스 승차권 기반의 모바일 승차권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다수의 셔틀버스 이용을 위하여 사용되는 승차권의 운영 방식은, 종이 승차권에 기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셔틀버스는, 특정한 소속기관(예를 들면, 학교 또는 회사 등) 내의 구성원만이 이용할 수 있는 교통수단을 의미한다. 즉, 셔틀버스 승차권은, 기존의 고속버스 승차권 등과 같은 대중교통 승차권과는 차별화되는 특화된 승차권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회사 통근버스 또는 학교 통학버스 등의 셔틀버스 운용 시에 종이 승차권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승차권을 효과적으로 관리 및 사용하기 위한 기술이 미흡한 실정이다.
자세히, 종이 승차권은, 바쁜 일정 속에서도 일일이 발급기 또는 발급소를 찾아가서 셔틀버스 이용 시마다 구매를 해야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이 승차권은, 오프라인 상에서 불법적으로 현금을 통한 거래가 가능하여 부당 이득을 취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그에 따라, 최근 교육부에서는 종이 승차권의 사용을 금지하는 지침을 내려온 상황이다.
또한, 종이 승차권의 현금 판매 시, 현금영수증 처리가 제대로 수행되고 있는지 파악하기가 어려우므로, 투명한 운영 및 관리에 대한 문제가 부상하고 있다.
더하여, 종이 승차권 기반의 승차권 운영 방식에서는, 운영자 측에서 셔틀버스 이용량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종이 승차권을 일일이 회수하여 확인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종이 승차권 운영 방식에서는, 발급된 종이 승차권을 소흘히 하거나 부주의하게 취급함으로써 분실 또는 훼손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분실/훼손 등의 이슈는 결국 자원낭비와 제도 이용의 불편함이라는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한편, 셔틀버스 승차권의 이용요금과 관련하여, 장애인 또는 국가유공자 등과 같은 특정인에 대해서는 소정의 할인된 가격으로 우대권 방식의 승차권을 제공하거나 이용 요금을 면제하는 정책이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나, 종이 승차권 기반의 운영 방식의 경우, 할인 대상자를 일일이 확인하기 번거로워 할인 서비스 제공에 불편함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10-1275008 B1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셔틀버스 이용을 위한 종이 승차권을 대체할 수 있는 모바일 승차권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세히, 본 발명은, 셔틀버스 승차권을 구매 기능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모바일 승차권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셔틀버스 이용을 위한 모바일 승차권 구매 시,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하여 인증된 사용자만이 모바일 승차권을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승차권 구매자가 할인 대상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맞춤형 셔틀버스 승차권을 제공하는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구매자로부터 타 사용자에게 모바일 승차권을 선물로 지급할 수 있는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승차권을 관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은, 구매자 단말의 프로세서에서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구매자에 대한 구매조건 인증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구매조건 인증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인증 허가된 상기 소속기관에서 운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셔틀버스 승차권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구매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모바일 승차권을 발급받는 단계; 상기 발급된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사용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매조건 인증 프로세스는, 상기 구매자의 소속기관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소속기관의 구성원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스이다.
또한, 상기 구매조건 인증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자를 일반그룹 및 할인그룹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셔틀버스 승차권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자가 상기 할인그룹으로 분류되면, 소정의 할인이 적용된 상기 셔틀버스 승차권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구매자가 상기 일반그룹으로 분류되면, 표준 가격으로 상기 셔틀버스 승차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매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모바일 승차권을 제공하는 단계는, 셔틀버스 승차권 결제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셔틀버스 승차권 선물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셔틀버스 승차권 결제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및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셔틀버스 승차권을 정기적으로 자동 결제하는 기능인 자동결제 옵션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셔틀버스 승차권 선물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승차권 선물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구매되는 상기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수신자를 결정하는 정보인 지정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승차권을 상기 수신자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셔틀버스 승차권 선물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자에 대한 상기 구매조건 인증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셔틀버스 승차권 선물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지정정보의 형식에 따라서 이종의 메시지 관리 어플리케이션 방식으로 상기 모바일 승차권을 상기 수신자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는, 구매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모바일 승차권을 리스트(list)로 표시하여 제공하는 모바일 승차권 표시 기능; 및 구매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환불을 수행하는 모바일 승차권 환불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사용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승차권에 매칭된 식별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모바일 승차권을 사용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사용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 처리된 모바일 승차권의 결제에 대한 현금영수증 발급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상기 셔틀버스 승차권은, 상기 셔틀버스 승차권을 기반으로 탑승 가능한 노선의 셔틀버스를, 상기 셔틀버스 승차권의 유효기간 내에 특정 시간, 날짜, 출발지 및 도착지에 관계없이 탑승 가능한 승차권이며, 상기 셔틀버스를 운영하는 상기 소속기관 내 구성원이 사용 가능한 승차권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은, 기존의 종이 승차권을 대체할 수 있는 모바일 승차권에 기반하여 셔틀버스 승차권을 제공함으로써, 셔틀버스 승차권 서비스의 사용성, 편리성 및 관리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은, 승차권을 구매 기능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모바일 승차권을 제공함으로써, 종이 승차권 기반의 셔틀버스 승차권 서비스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현금 거래로 인한 부당 이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현금영수증 자동 처리를 통해 결제의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모바일 승차권을 제공함으로써, 운영자 측에 셔틀버스 승차권 판매 및 사용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유연하게 셔틀버스가 운영되도록 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은,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셔틀버스 이용을 위한 모바일 승차권 구매 시,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하여 인증된 사용자만이 모바일 승차권을 이용하게 함으로써, 특정 소속기관의 구성원만이 이용할 수 있는 셔틀버스의 부당한 이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은, 모바일 승차권 구매자가 할인 대상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맞춤형 셔틀버스 승차권을 제공함으로써, 소정의 할인된 가격으로 셔틀버스 승차권을 제공하는 우대 서비스를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은, 구매자로부터 타 사용자에게 모바일 승차권을 선물로 지급할 수 있는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의 이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높은 이윤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승차권을 관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구매된 모바일 승차권을 손쉽게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틀버스 승차권 구매 기능을 제공하는 기프트 샵(gift shop)을 포함하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분정보를 기반으로 구매조건 인증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셔틀버스 승차권을 표시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틀버스 승차권 결제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틀버스 승차권 선물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틀버스 승차권 선물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모바일 승차권을 획득한 모습의 일례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차권 관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차권 사용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말(100), 승차권 관리 서버(200), 소속기관 서버(300) 및 승차권 리더(reader)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100), 승차권 관리 서버(200), 소속기관 서버(300) 및 승차권 리더 단말(400)은, 상호 연동하여 셔틀버스 승차권 기반의 모바일 승차권을 제공할 수 있고, 제공된 모바일 승차권을 관리 및 사용하는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의 각 구성요소는,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100), 승차권 관리 서버(200), 소속기관 서버(300) 및 승차권 리더 단말(400) 등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 단말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100)은, 의료상담 콘텐츠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인 스마트 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tablet PC),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및 스마트 글라스(smart glas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은, 고정형 단말인 데스크 탑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울트라북(ultrabook)과 같은 퍼스널 컴퓨터 등과 같이 유/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의료상담 콘텐츠 관리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주체에 따라 그 역할이 구분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단말(100)은, 구매자에 의해 사용되는 구매자 단말(100-1) 및 구매자로부터 송신되는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수신자에 의해 사용되는 수신자 단말(100-2)로 구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먼저 구매자 단말(100-1)은, 셔틀버스 승차권 구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구매자 단말(100-1)은, 셔틀버스 승차권 구매 기능을 제공하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플랫폼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 단말(100-1)은, 제공된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셔틀버스 승차권을 구매하는 결제 프로세스 및/또는 선물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 단말(100-1)은,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구매된 셔틀버스 승차권을 모바일 승차권 형식으로 발급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 단말(100-1)은, 셔틀버스 승차권 구매 시, 구매하려는 셔틀버스 승차권의 사용자(즉, 구매자 또는 수신자)가, 구매하려는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응되는 특정 소속기관(예컨대, 특정 회사 또는 학교 등)에 속하는 구성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신분 인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더하여, 구매자 단말(100-1)은, 제공된 모바일 승차권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관리 및 사용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수신자 단말(100-2)은, 구매자 단말(100-1)로부터 셔틀버스 승차권 선물 프로세스를 통해 구매된 모바일 승차권을, 해당 구매자 단말(100-1)로부터 수신 및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위와 같은 구매자 단말(100-1)과 수신자 단말(100-2)은, 사용 주체에 따라 그 역할이 구분된 것이며, 단말(100)이 수행하는 기능적 특징은 동일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말(100)을 이루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의 내부 블록도이다.
자세히,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100)은, 입력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카메라(130), 통신부(140), 메모리(150) 및 프로세서(1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입력부(110)는,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로, 입력부(110)는, 셔틀버스 승차권을 구매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 소속기관 신분 인증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 구매된 모바일 승차권 관리와 관련된 사용자의 입력 및/또는 모바일 승차권 사용과 관련된 사용자의 입력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부(120)는,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로, 디스플레이부(120)는, 셔틀버스 승차권 리스트(list) 및/또는 구매된 모바일 승차권에 매칭되는 식별코드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1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120)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125)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에서 카메라(130)는, 식별코드(예컨대, 바코드 및/또는 QR코드 등)를 촬영하여 해당 식별코드에 매칭되어 있는 정보를 획득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카메라(130)를 통해 영상을 획득한 단말(100)은, 획득된 영상을 기반으로 해당 영상의 식별코드에 매칭되어 있는 소정의 정보(예컨대, 신분정보 등)를 획득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카메라(130)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카메라(130)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30)는, 영상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해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프로세서(16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부(140)는,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 및/또는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통신부(140)는, 타 단말(100), 승차권 관리 서버(200), 소속기관 서버(300) 및/또는 승차권 리더 단말(400)과 통신하여,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4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임의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메모리(150)는,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 명령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로 메모리(150)는,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구매된 모바일 승차권 정보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50)는,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상기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160)는,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술된 요소들을 제어해 일련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6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이하에서 후술되는 승차권 관리 서버(200) 수행하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체를 수행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 승차권 관리 서버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동작할 수 있다.
자세히, 먼저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구매자 단말(100-1)과 연동하여 구매되는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모바일 승차권을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모바일 승차권 생성 시 해당 모바일 승차권을 특정하는 식별코드를 함께 생성하여 매칭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구매자 단말(100-1)로부터 수신되는 신분정보 또는 지정정보에 기반하여, 셔틀버스 승차권의 사용자(즉, 구매자 또는 수신자)에 대한 신분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 사용자가 셔틀버스 승차권에 매칭되는 소속기관의 구성원인지를 판단하는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신분정보란, 특정 소속기관의 구성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정보로서, 예컨대 소속기관용 신분증 식별번호, 소속기관용 계정 또는 소속기관 구성원별 식별코드 등일 수 있다.
또한, 지정정보란, 구매자 단말(100-1)로부터 셔틀버스 승차권 선물 프로세스를 통해 구매된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수신자를 결정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정정보는, 수신자의 신분정보, 단말 식별번호(전화번호), 이메일(e-mail) 계정 또는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관련 어플리케이션 계정 정보 등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승차권 리더 단말(400)에 의해 감지된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해당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사용 처리 및 폐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승차권 리더 단말(400)은, 모바일 승차권에 매칭되어 있는 식별코드(예컨대, 바코드 또는 QR코드 등)를 스캐너 등을 통해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식별코드를 외부의 서버 및/또는 단말(100)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승차권 리더 단말(400)은, 감지되는 모바일 승차권의 식별코드에 기초하여 해당 모바일 승차권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고, 유효하지 않은 모바일 승차권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모바일 승차권을 이용한 셔틀버스 탑승을 제한하여 부당한 셔틀버스 이용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승차권 리더 단말(400)은, PoS 단말 장치(Point-of-Sale termina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모바일 승차권이 사용 처리되면, 해당 모바일 승차권 결제에 대한 현금영수증을 발급하는 현금영수증 발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을 더 참조하면, 위와 같은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데이터 수신부(210), 데이터 송신부(220), 데이터베이스(230) 및 데이터 처리부(240)를 구성 요소로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데이터 수신부(210) 및 데이터 송신부(220)는, 단말(100), 소속기관 서버(300) 및/또는 승차권 리더 단말(400) 등과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데이터 수신부(210)는, 단말(100)로부터 신분정보 및/또는 지정정보 등을 네트워크를 통해 획득할 수 있고, 데이터 송신부(220)는, 신분 인증정보 및/또는 모바일 승차권 사용 및 폐기 처리 정보 등을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230)는,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로, 데이터베이스(230)는, 셔틀버스 승차권 관련 정보, 소속기관별 구성원 관련 정보 및/또는 현금영수증 처리 정보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230)는,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23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처리부(240)는,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전술한 각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처리부(24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승차권 관리 서버(200)에서 셔틀버스 승차권의 사용자(즉, 구매자 또는 수신자)에 대한 신분을 인증하고,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사용 처리 및 폐기 처리를 수행하며, 현금영수증 발급 기능을 제공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단말(100)이 상술된 승차권 관리 서버(200)의 일부 또는 전체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
- 소속기관 서버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소속기관 서버(300)는, 해당 소속기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셔틀버스 승차권 사용자에 대한 신분 인증 기능이 구현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자세히, 소속기관 서버(300)는, 해당 소속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원 각각에 대한 식별정보(예컨대, 구성원별 신분정보 등)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고, 단말(100) 및/또는 승차권 관리 서버(200) 등의 요청 시, 저장되어 있는 해당 정보를 저장부로부터 독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속기관 서버(300)는, 해당 소속기관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셔틀버스 승차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셔틀버스 승차권 정보는, 해당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노선 정보, 운행시간 정보 및/또는 잔여좌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속기관 서버(300)는, 승차권 관리 서버(200)와 연동하여, 해당 소속기관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셔틀버스 승차권 각각에 대한 구매 및 사용 현황 관련 정보를 획득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1을 더 참조하면, 이러한 소속기관 서버(300)는, 데이터 송수신부(310), 저장부(320) 및 제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데이터 송수신부(310)는, 단말(100) 및/또는 승차권 관리 서버(200) 등과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저장부(320)는,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저장부(320)는, 해당 소속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원에 대한 식별정보(예컨대, 구성원별 신분정보 등)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320)는,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330)는,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33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매자 단말(100-1)은, 먼저 셔틀버스 승차권 구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 및 실행할 수 있다. (S101)
일반적으로, 셔틀버스(Shuttle Bus)란, 일정 구간을 왕복하는 버스로서, 특정한 소속기관(예컨대, 학교 또는 회사 등) 내의 구성원만이 이용할 수 있는 교통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셔틀버스는, 대학교 통학버스 및/또는 회사 통근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구매자 단말(100-1)은, 위와 같은 셔틀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티켓인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구매 기능을 제공하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또는/및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제공 및 실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틀버스 승차권 구매 기능을 제공하는 기프트 샵(gift shop)을 포함하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례이다.
실시예로, 도 5를 참조하면 구매자 단말(100-1)은, 셔틀버스 승차권 구매 기능을 제공하는 기프트 샵을 포함하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기프트 샵이란, 식별코드(예컨대, 바코드 또는 QR코드 등) 기반으로 특정 상품이나 특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자세히, 기프트 샵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제공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품 및/또는 서비스의 구매 시, 해당 상품 및/또는 서비스를 특정하는 소정의 식별코드가 포함된 교환권을 제공하는 형태로 해당 상품 및/또는 서비스를 구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기프트 샵을 통해 구매된 상품 및/또는 서비스는, 제공된 교환권에 포함된 식별코드를 기반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기프트 샵에서 구매된 상품 및/또는 서비스는, 제공된 교환권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코드가 PoS 단말 장치의 스캐너에 의해 스캔되는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에서 별도로 승차권 구매를 위한 프로세스를 만들지 않고, 기존 기프트 샵 메뉴를 이용하여, 모바일 승차권을 구매하고 관리 및 사용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매자 단말(100-1)은, 기프트 샵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셔틀버스 승차권을 식별코드가 포함된 교환권(모바일 승차권)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셔틀버스 승차권 구매, 관리 및 사용에 대한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기프트 샵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셔틀버스 승차권 구매 관련 어플리케이션이라 지칭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셔틀버스 승차권 구매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셔틀버스 승차권 구매 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면, 구매자 단말(100-1)은 해당하는 구매자모바일 승차권 구매조건 인증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S103)
실시예에서, 모바일 승차권 구매조건 인증 프로세스는 셔틀버스를 탑승하기 위한 모바일 승차권을 구매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스로서, 셔틀버스를 운영하는 소속기관들 중 하나의 소속기관을 결정하는 프로세스와, 확인된 소속기관의 구성원을 인증하는 신분 인증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구매조건 인증 프로세스란, 해당 구매자의 소속기관을 결정하고, 결정된 소속기관의 구성원에 해당 구매자가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프로세스일 수 있다.
자세히, 구매자 단말(100-1)은, 구매자에 대한 구매조건 인증 프로세스를 구매자의 신분정보를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신분정보란, 특정 소속기관의 구성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정보로서, 예를 들면, 소속기관용 신분증 식별번호, 소속기관용 계정 및/또는 소속기관 구성원별 식별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구매자 단말(100-1)은, 먼저 셔틀버스 승차권 구매 관련 어플리케이션(이하,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해당하는 구매자에 대한 신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분정보를 기반으로 구매조건 인증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실시예에서, 구매자 단말(100-1)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구매자의 소속기관용 신분증 식별번호를 스캔(scan)하거나, 소속기관용 계정으로 로그인을 수행하거나 또는 소속기관 구성원 식별코드를 카메라(130)를 이용해 도 6과 같이 스캔하는 등의 방식으로 해당 구매자의 신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 단말(100-1)은, 캠퍼스(즉, 학교) 및 해당 캠퍼스에 대한 구매자의 소속 여부를 인증하는 소속기관 및 신분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구매자 단말(100-1)은, 캠퍼스 및 신분 인증용 QR코드를 도 6과 같이 카메라(130)를 이용하여 스캔하거나, 구매자의 해당 캠퍼스용 계정에 기반하여 로그인을 수행하는 등의 방식으로 소속기관 및 신분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의 신분정보를 획득한 구매자 단말(100-1)은, 획득된 신분정보를 승차권 관리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신분정보를 수신한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해당 소속기관 및 구매자에 대한 신분 인증 여부를 나타내는 신분 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분 인증정보는, 신분정보에 대하여 신분 인증 허가 또는 신분 인증 불허 판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구매자 단말(100-1)로부터 획득된 신분정보에 기반하여 연동될 소속기관 서버(300)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소속기관 서버(300)와 통신하여 해당 소속기관 및 구매자에 대한 신분 인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제 1 소속기관 및 제 1 구매자에 대한 신분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제 1 소속기관의 소속기관 서버(300)와 연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 1 소속기관의 구성원에 제 1 구매자가 포함되는지 확인하여 신분 인증 여부를 판단해 신분 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소속기관 서버(300)로부터 신분 인증 프로세스를 진행하기 위한 구성원의 신분 확인 정보(예컨대, 계정, 단말 식별번호 또는 이름 등)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230)로 구성한 후 데이터베이스(230)를 검색하여 소속기관 구성원에 상기 구매자가 속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생성된 신분 인증정보를 구매자 단말(100-1)로 송신할 수 있고, 신분 인증정보를 수신한 구매자 단말(100-1)은,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구매조건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구매자 단말(100-1)은, 소속기관 및 신분 인증의 결과로, 신분정보에 대한 신분 인증이 불허된 경우(신분 인증정보가 신분 인증 불허인 경우), 신분정보 재입력을 요청하거나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에서 다음 단계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등의 조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구매자 단말(100-1)은, 소속기관 및 신분 인증의 결과로, 해당 소속기관이 존재하고, 해당 소속기관의 구성원에 해당하는 구매자가 포함된다고 판단되면(신분 인증정보가 신분 인증 허가인 경우), 인증된 해당 소속기관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셔틀버스 승차권을 제공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매자 단말(100-1)은, 구매조건 인증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특정 소속기관과 구매자에 대한 인증이 허가되었을 시 셔틀버스 승차권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여, 셔틀버스 탑승이 허가된 사용자만이 해당 셔틀버스 승차권을 구매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 단말(100-1)은, 신분 인증 허가가 판단된 경우, 해당 구매자를 일반그룹 또는 할인그룹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할인그룹이란, 셔틀버스 승차권 구매 시 할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할인 대상자에 속하는 구매자 그룹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할인그룹은, 소속기관이 대학교인 경우 기숙사 이용학생, 저소득층, 장애인, 학비 감면 대상학생 및/또는 국가유공자 관련 학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그룹이란, 할인그룹에서 제외되는 나머지 구매자를 포함하는 그룹일 수 있다.
자세히, 구매자 단말(100-1)은, 신분이 인증된 구매자에 대하여, 해당 구매자의 신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구매자를 일반그룹 또는 할인그룹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매자 단말(100-1)은, 추후 특정 소속기관 내 복수의 셔틀버스 승차권을 제공할 시, 할인그룹에 분류된 구매자에게는 할인이 적용된 셔틀버스 승차권이 자동으로 제공되게 할 수 있다.
즉, 구매자 단말(100-1)은, 별도의 할인을 위한 정보 등록 없이도, 일회의 신분 인증 프로세스를 통하여 구매조건 인증과 더불어 할인 대상인지 여부도 판단하여 자동으로 등록시킬 수 있다.
자세히,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30)에 소속기관 구성원을 할인그룹과 일반그룹으로 나누어 저장하여, 신분 인증시 구매자가 할인그룹인지 일반그룹인지 판단한 후, 결정된 그룹에 맞는 모바일 승차권 구매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소속기관 및 구매자에 대한 신분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이 허가된 경우, 구매자 단말(100-1)은, 인증된 소속기관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셔틀버스 승차권을 제공할 수 있다. (S105)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셔틀버스 승차권을 표시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자세히, 도 7을 참조하면 구매자 단말(100-1)은, 인증된 소속기관(예컨대, 제 1 소속기관)에서 운영하는 셔틀버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행 노선별 셔틀버스 승차권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셔틀버스 승차권이란, 1) 해당하는 노선의 셔틀버스를, 2) 유효기간 내에 특정 시간, 날짜, 출발지 및/또는 도착지에 관계없이 탑승할 수 있는 승차권으로서, 3) 해당하는 소속기관 내 구성원만이 이용 가능한 승차권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셔틀버스 승차권은, 시간 및/또는 날짜에 의한 제약이 없을 수 있고, 특정 출발지나 도착지가 아닌 노선 기반일 수 있으며, 특정 소속기관(예컨대, 회사, 학교 등) 내의 구성원만이 사용할 수 있는 승차권일 수 있다.
그러므로 셔틀버스 승차권은, 시간, 날짜, 출발지 및/또는 도착지를 지정하는 기존의 고속버스 승차권과 같은 대중교통 승차권과는 차별화되는 개념으로, 특정 소속기관 내의 구성원만이 이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대중교통 정기권과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고속버스 승차권의 경우에는, 특정 시간대의 출발지에서부터 도착지가 정해진 고속버스를 승차하기 위한 승차권으로서, 상기 고속버스를 승차하지 못한 경우 자동으로 환불 및 폐기되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없을 것이다.
또한, 대중교통 정기권의 경우에는, 특정기간 동안 무제한 탑승하거나, 하나의 식별코드에 대해 복수의 탑승횟수 제한을 두고 차감하는 형식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1회 노선에 대해 1회 탑승권한을 부여하는 셔틀버스 승차권과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승차권들과는 차별화되는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구매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셔틀버스 승차권이라는 특화된 승차권에 대한 사용 용이성 및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돌아와서,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셔틀버스 승차권을 표시할 시 구매자 단말(100-1)은, 해당하는 구매자가 일반그룹 또는 할인그룹 중 어느 그룹에 속하는 지에 따라서, 그에 따른 맞춤형 셔틀버스 승차권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로, 구매자 단말(100-1)은, 해당하는 구매자가 일반그룹에 포함되는 경우, 할인이 적용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반 셔틀버스 승차권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 구매자 단말(100-1)은, 해당하는 구매자가 할인그룹에 포함되는 경우, 소정의 할인이 적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인 셔틀버스 승차권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구매자 단말(100-1)은, 해당하는 구매자가 구매 가능한 셔틀버스 승차권을 표시할 때, 해당 구매자가 할인그룹에 속하는 할인 대상자인 경우 자동으로 할인이 적용된 맞춤형 셔틀버스 승차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증된 특정 소속기관에서 운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셔틀버스 승차권을 제공한 구매자 단말(100-1)은, 셔틀버스 승차권 구매 프로세스를 제공하여 모바일 승차권을 발급할 수 있다. (S107)
자세히, 구매자 단말(100-1)은, 먼저 제공된 셔틀버스 승차권 중에서, 해당하는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선택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구매자 단말(100-1)은, 구매하고자 하는 셔틀버스 승차권의 매수에 대한 입력 또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매자 단말(100-1)은, 제 1 노선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구매 선택 입력을 획득할 수 있고, 제 1 노선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구매 매수 입력(예컨대, 1회 또는 다회(2회 이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틀버스 승차권은, 일회용 즉, 한 번 사용되면 바로 폐기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구매자 단말(100-1)은,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구매 매수 입력이 1매인 경우, 해당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모바일 승차권을 1매 발급할 수 있고, 해당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구매 매수 입력이 다매(2매 이상)인 경우, 해당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모바일 승차권을 입력된 매수만큼 복수개로 발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매자 단말(100-1)은, 제 1 노선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구매 매수가 5매인 경우, 제 1 노선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모바일 승차권을 5매 발급하여 총 5회에 걸쳐 각각의 승차권을 사용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회용 모바일 승차권을 발행하는 이유는, 기존 기프트 샵 서비스의 프로세스를 변경하지 않고 이용하기 위함이다.
다만, 구매자가 구매한 복수의 승차권을 관리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구매자 단말(100-1)은 구매자에 대한 통합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상기 통합 식별코드에 상기 구매자가 구매한 복수의 모바일 승차권들을 매칭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구매자 단말(100-1)에서 특정 모바일 승차권을 선택하지 않고 통합 식별코드를 통해 승차권 리더 단말(400)에 스캔할 경우, 승차권 관리서버(200)에서 자동으로 통합 식별코드에 매칭된 모바일 승차권 중 승차권 리더 단말(400)의 셔틀버스를 탑승할 수 있는 모바일 승차권을 검출한 후 사용 처리하는 방식으로, 모바일 승차권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시 구매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 구매자 단말(100-1)은, 구매하고자 하는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선택 및 매수 입력을 획득하면, 해당 셔틀버스 승차권을 구매할 수 있는 셔틀버스 승차권 결제 프로세스 및/또는 타 사용자에게 선물할 수 있는 셔틀버스 승차권 선물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틀버스 승차권 결제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구매자 단말(100-1)은, 셔틀버스 승차권 결제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이때, 구매자 단말(100-1)은, 선택된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셔틀버스 승차권 정보(해당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노선 정보, 전체 운행시간 정보 및/또는 잔여좌석 정보) 및 구매정보(해당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구매자 정보, 구매 매수 및/또는 가격 정보 등)를 표시할 수 있고, 해당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결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구매자 단말(100-1)은, 결제가 승인되면 승차권 관리 서버(200)와 연동하여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모바일 승차권을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구매자 단말(100-1)은, 셔틀버스 승차권 정보 및 구매정보를 승차권 관리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고, 이를 수신한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수신된 셔틀버스 승차권 정보 및 구매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모바일 승차권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모바일 승차권 생성 시 해당 모바일 승차권을 특정하는 식별코드를 함께 생성하여 매칭할 수 있다. 그리고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생성된 모바일 승차권을 구매자 단말(100-1)로 송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승차권 관리 서버(200)로부터 모바일 승차권을 수신한 구매자 단말(100-1)은, 수신된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관리 및 사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구매자 단말(100-1)은, 셔틀버스 승차권 결제 프로세스 제공 시, 자동결제 옵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결제 옵션 기능이란, 구매자가 원하는 시간 및/또는 기간에 대해 특정 셔틀버스 승차권이 자동으로 결제되게 설정하여, 셔틀버스 승차권을 정기적으로 자동 구매할 수 있는 기능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매자 단말(100-1)은, 자동결제 옵션 기능에 기초하여, 평일 오전 7시 마다 제 1 노선 셔틀버스 승차권이 자동으로 결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구매자 단말(100-1)은, 모바일 승차권이 모두 차감되면 자동결제 옵션 기능이 실행되어, 해당 노선에 대한 모바일 승차권을 설정된 개수만큼 자동 구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매자 단말(100-1)은, 자동결제 옵션 기능에 기초한 구매자의 설정을 기반으로 반복되는 결제 프로세스를 자동화함으로써,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서비스 이용의 편리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틀버스 승차권 선물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구매자 단말(100-1)은, 셔틀버스 승차권 선물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즉, 구매자 단말(100-1)은, 기프트 샵 프로세스의 선물하기 기능을 이용하여 셔틀버스 승차권을 선물하거나, 모바일 승차권을 선물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먼저 구매자 단말(100-1)은, 선택된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셔틀버스 승차권 정보(해당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노선 정보, 운행시간 정보 및/또는 잔여좌석 정보) 및 구매정보(해당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구매자 정보, 구매 매수 및/또는 가격 정보 등)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 단말(100-1)은, 구매자가 셔틀버스 승차권을 선물하고자 하는 대상인 수신자에 대한 지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지정정보는, 구매자 단말(100-1)로부터 셔틀버스 승차권 선물 프로세스를 통해 구매된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수신자를 결정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정정보는, 수신자의 신분정보, 단말 식별번호(전화번호), 이메일(e-mail) 계정 또는 어플리케이션 계정 정보 등일 수 있다.
이때, 구매자 단말(100-1)은, 획득된 지정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지정정보에 매칭되는 대상(수신자)에 대한 구매조건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자세히, 구매자 단말(100-1)은, 획득된 지정정보를 승차권 관리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지정정보를 수신한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수신된 지정정보를 기반으로 수신자에 대한 신분 인증 여부를 나타내는 신분 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구매자 단말(100-1)로부터 획득된 지정정보에 기반하여 연동될 소속기관 서버(300)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소속기관 서버(300)와 통신하여 해당 수신자에 대한 신분 인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생성된 신분 인증정보를 구매자 단말(100-1)로 송신할 수 있고, 신분 인증정보를 수신한 구매자 단말(100-1)은,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지정정보에 매칭되는 수신자에 대한 구매조건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 단말(100-1)은, 수신자에 대한 소속기관 및 신분 인증의 결과로 신분 인증이 허가된 경우,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선물하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신분 인증이 불허된 경우,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선물하기 기능을 미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매자 단말(100-1)은, 구매조건 인증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셔틀버스 승차권을 선물하고자 하는 대상인 수신자에 대한 인증이 허가되었을 시 선물하기 기능이 동작하도록 하여, 셔틀버스 탑승이 허가된 사용자만이 해당 셔틀버스 승차권을 이용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지정정보를 획득하여 수신자에 대한 소속기관 및 신분 인증을 수행한 구매자 단말(100-1)은, 해당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결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구매자 단말(100-1)은, 결제가 승인되면 승차권 관리 서버(200)와 연동하여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모바일 승차권을, 지정정보에 매칭된 수신자의 수신자 단말(100-2)로 송신할 수 있다.
자세히, 구매자 단말(100-1)은, 먼저 셔틀버스 승차권 정보, 구매정보 및 지정정보를 승차권 관리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고, 이를 수신한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수신된 셔틀버스 승차권 정보 및 구매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모바일 승차권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모바일 승차권 생성 시 해당 모바일 승차권을 특정하는 식별코드를 함께 생성하여 매칭할 수 있다. 그리고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수신된 지정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모바일 승차권을 해당하는 수신자 단말(100-2)로 송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수신된 지정정보에 따른 맞춤형 방식으로 모바일 승차권을 수신자 단말(100-2)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지정정보의 단말 식별번호(전화번호)를 기반으로 모바일 승차권을 송신하는 경우, 도 10과 같이 SMS 형식으로 모바일 승차권을 수신자 단말(100-2)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지정정보의 이메일(e-mail) 계정을 기반으로 모바일 승차권을 송신하는 경우 이메일 형식으로 모바일 승차권을 송신할 수 있고, 지정정보의 어플리케이션 계정 정보를 기반으로 모바일 승차권을 송신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 승차권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식별코드를 기반으로 모바일 승차권을 관리하기 때문에 이종의 메시지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모바일 승차권을 선물하여도, 사용자가 이종의 메시지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 승차권을 사용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매자 단말(100-1)은, 셔틀버스 승차권 선물 프로세스를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의 이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높은 이윤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 단말(100-1)의 셔틀버스 승차권 선물 프로세스를 통해, 승차권 구매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은 수신자 단말(100-2)에서도 승차권을 획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구매자 단말(100-1)은, 획득된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관리 및 사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S109)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차권 관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구매자 단말(100-1)은, 셔틀버스 승차권 구매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승차권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구매자 단말(100-1)은, 셔틀버스 승차권 구매 기능을 제공하는 기프트 샵을 포함하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승차권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구매자 단말(100-1)은, 구매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승차권을 리스트(list)로 표시하여 관리할 수 있게 하는 모바일 승차권 표시 기능을 도 11-(1)과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자 단말(100-1)은, 모바일 승차권 표시 기능을 통하여 예컨대 리스트 편집, 표시된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정보 조회 및/또는 사용여부 조회 등과 같은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 단말(100-1)은, 모바일 승차권 표시 기능을 통해 리스트로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승차권 중,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모바일 승차권에 대하여 환불을 진행할 수 있는 모바일 승차권 환불 기능을 도 11-(2)와 같이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매자 단말(100-1)은,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셔틀버스 승차권을 관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종이 승차권을 사용할 때 보다 안전하고 체계적으로 셔틀버스 승차권을 관리하게 할 수 있고, 셔틀버스 승차권의 운영자 측에서 전체적인 셔틀버스 승차권 발급 및 사용 상황을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차권 사용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구매자 단말(100-1)은, 획득된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승차권 사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구매자 단말(100-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승차권을, 각 모바일 승차권에 매칭되는 식별코드와 함께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 단말(100-1)은, 구매자가 셔틀버스에 승차하여 해당하는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모바일 승차권을 사용할 시, 식별코드와 함께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승차권 중, 사용하려는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선택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 단말(100-1)은, 사용하려는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선택 입력을 획득한 경우, 선택된 모바일 승차권에 매칭되어 있는 식별코드를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 단말(100-1)은, 해당 구매자가 승차한 셔틀버스에 배치되어 있는 승차권 리더 단말(400)과 연동하여,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된 모바일 승차권의 식별코드를 기초로, 해당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정보가 승차권 관리 서버(200)로 송신되게 할 수 있다.
자세히, 여기서 승차권 리더 단말(400)은, 구매자 단말(100-1)의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된 식별코드를 스캐너 등을 이용하여 스캔할 수 있다. 그리고 승차권 리더 단말(400)은, 스캔된 식별코드를 승차권 관리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계속해서, 승차권 리더 단말(400)로부터 스캔된 식별코드를 수신한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수신된 식별코드를 기반으로 해당 식별코드에 매칭되는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승차권 정보는, 매칭되는 셔틀버스 승차권 정보 및/또는 구매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획득된 모바일 승차권 정보를 기초로 해당 모바일 승차권을 사용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사용 처리된 모바일 승차권은 다시 사용되지 못하도록 폐기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사용 및 폐기 처리의 결과 정보를 구매자 단말(100-1)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승차권 리더 단말(400)에 의해 스캔된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사용 및 폐기 처리가 수행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구매자 단말(100-1)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승차권 관리 서버(200)로부터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사용 및 폐기 처리의 결과 정보를 수신한 구매자 단말(100-1)은,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되어 승차권 리더 단말(400)에 의해 스캔된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사용 및 폐기 처리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결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매자 단말(100-1)은, 승차권 리더 단말(400) 및 승차권 관리 서버(200)와 연동하여, 선택된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사용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종이 승차권에 비하여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셔틀버스 승차권을 이용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매자 단말(100-1)에서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식별코드를 출력하고, 출력된 식별코드를 승차권 리더 단말(400)이 스캔하여 승차권 관리 서버(200)로 송신하며, 승차권 관리 서버(200)에서 수신된 식별코드를 기반으로 해당하는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사용 처리를 수행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단말(100)에서 승차권 관리 서버(200)에서 수행하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체를 수행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 또한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 단말(100-1)은, 사용 처리된 모바일 승차권에 대하여 현금영수증 발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구매자 단말(100-1)은, 승차권 관리 서버(200)와 연동하여, 사용 처리된 모바일 승차권의 결제에 대한 현금영수증을 발급하여 주는 현금영수증 발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예를 들어 구매자 단말(100-1)은, 모바일 승차권의 사용 및 폐기 처리에 대한 결과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사용 기능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회신 정보를 생성하여 승차권 관리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구매자 단말(100-1)로부터 회신 정보를 수신한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해당 모바일 승차권의 구매정보에 기초하여 현금영수증 발급이 필요한 경우, 해당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현금영수증 발급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승차권 관리 서버(200)는, 현금영수증 발급에 대한 처리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구매자 단말(100-1)로 송신할 수 있고, 현금영수증 처리 결과정보를 수신한 구매자 단말(100-1)은, 현금영수증 발급 처리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처리 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매자 단말(100-1)은, 사용 처리된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현금영수증 발급이 필요한 경우, 해당 모바일 승차권의 구매정보에 기초하여 현금영수증을 발급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현금으로 모바일 승차권을 결제한 경우의 부당 이득이 방지되도록 보조할 수 있고, 투명한 결제 관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은, 기존의 종이 승차권을 대체할 수 있는 모바일 승차권에 기반하여 셔틀버스 승차권을 제공함으로써, 셔틀버스 승차권 서비스의 사용성, 편리성 및 관리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은, 승차권을 구매 기능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모바일 승차권을 제공함으로써, 종이 승차권 기반의 셔틀버스 승차권 서비스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현금 거래로 인한 부당 이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현금영수증 자동 처리를 통해 결제의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모바일 승차권을 제공함으로써, 운영자 측에 셔틀버스 승차권 판매 및 사용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유연하게 셔틀버스가 운영되도록 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은,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셔틀버스 이용을 위한 모바일 승차권 구매 시,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하여 인증된 사용자만이 모바일 승차권을 이용하게 함으로써, 특정 소속기관의 구성원만이 이용할 수 있는 셔틀버스의 부당한 이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은, 모바일 승차권 구매자가 할인 대상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맞춤형 셔틀버스 승차권을 제공함으로써, 소정의 할인된 가격으로 셔틀버스 승차권을 제공하는 우대 서비스를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은, 구매자로부터 타 사용자에게 모바일 승차권을 선물로 지급할 수 있는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의 이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높은 이윤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승차권을 관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구매된 모바일 승차권을 손쉽게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150)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3)

  1. 구매자 단말의 프로세서에서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구매자에 대한 구매조건 인증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구매조건 인증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인증 허가된 소속기관에서 운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셔틀버스 승차권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셔틀버스 승차권에 대한 구매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모바일 승차권을 발급받는 단계;
    상기 발급된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사용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승차권을 발급받는 단계는, 셔틀버스 승차권 결제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셔틀버스 승차권 결제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및 기간을 기초로 상기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셔틀버스 승차권을 정기적으로 자동 결제하는 기능인 자동결제 옵션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구매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모바일 승차권을 발급받는 단계는,
    셔틀버스 승차권 선물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셔틀버스 승차권 선물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승차권 선물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구매되는 상기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수신자를 결정하는 정보인 지정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지정정보를 기초로 결정되는 상기 수신자에 대한 상기 구매조건 인증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자에 대한 상기 구매조건 인증 프로세스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승차권이 상기 수신자에 대하여 인증 허가된 소속기관에서 운영하는 모바일 승차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승차권이 상기 수신자에 대하여 인증 허가된 소속기관에서 운영하는 모바일 승차권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바일 승차권을 상기 수신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매조건 인증 프로세스는,
    복수의 소속기관 중 상기 구매자 또는 상기 수신자의 소속기관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소속기관의 구성원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스인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조건 인증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자를 일반그룹 및 할인그룹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셔틀버스 승차권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자가 상기 할인그룹으로 분류되면, 소정의 할인이 적용된 상기 셔틀버스 승차권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구매자가 상기 일반그룹으로 분류되면, 표준 가격으로 상기 셔틀버스 승차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모바일 승차권을 발급받는 단계는,
    셔틀버스 승차권 선물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버스 승차권 선물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지정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승차권을 상기 수신자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버스 승차권 선물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지정정보의 형식에 따라서 이종의 메시지 관리 어플리케이션 방식으로 상기 모바일 승차권을 상기 수신자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는,
    구매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모바일 승차권을 리스트(list)로 표시하여 제공하는 모바일 승차권 표시 기능; 및 구매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환불을 수행하는 모바일 승차권 환불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사용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승차권에 매칭된 식별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모바일 승차권을 사용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승차권에 대한 사용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 처리된 모바일 승차권의 결제에 대한 현금영수증 발급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버스 승차권은,
    상기 셔틀버스 승차권을 기반으로 탑승 가능한 노선의 셔틀버스를, 상기 셔틀버스 승차권의 유효기간 내에 특정 시간, 날짜, 출발지 및 도착지에 관계없이 탑승 가능한 승차권이며, 상기 셔틀버스를 운영하는 상기 소속기관 내 구성원이 사용 가능한 승차권인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190171701A 2019-12-20 2019-12-20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 KR102448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701A KR102448704B1 (ko) 2019-12-20 2019-12-20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701A KR102448704B1 (ko) 2019-12-20 2019-12-20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674A KR20210079674A (ko) 2021-06-30
KR102448704B1 true KR102448704B1 (ko) 2022-09-28

Family

ID=76602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701A KR102448704B1 (ko) 2019-12-20 2019-12-20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7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958B1 (ko) * 2022-07-05 2023-04-25 포티투닷 주식회사 서비스 사용자용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3012A (ja) * 2007-08-08 2009-02-2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決済システム、店舗装置、決済機関装置および決済方法
KR101538121B1 (ko) * 2015-01-09 2015-07-21 주식회사 썬더디에스 사설 버스의 통합 운행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864792B1 (ko) * 2016-11-30 2018-06-05 주식회사 씨엘 셔틀버스 탑승객 확인을 위한 셔틀버스 탑승객 확인 단말, 셔틀버스 관리 시스템, 및 셔틀버스 탑승객 확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2003A (ko) * 2003-12-19 2005-06-2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KR101275008B1 (ko) 2011-09-26 2013-06-17 주식회사 에이텍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3012A (ja) * 2007-08-08 2009-02-2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決済システム、店舗装置、決済機関装置および決済方法
KR101538121B1 (ko) * 2015-01-09 2015-07-21 주식회사 썬더디에스 사설 버스의 통합 운행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864792B1 (ko) * 2016-11-30 2018-06-05 주식회사 씨엘 셔틀버스 탑승객 확인을 위한 셔틀버스 탑승객 확인 단말, 셔틀버스 관리 시스템, 및 셔틀버스 탑승객 확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674A (ko)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87887A1 (en) Selected place on maps associated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or selected place associated merchant account based payment transactions, connections, offers, order, deals, reservation and call-to-actions
US1011508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lecting accounts and offers in payment transactions
AU2011237387B2 (en) Mobile phone payment processing methods and systems
US20130097078A1 (en) Mobile remote payment system
CN108292412A (zh) 在交易中提供补充信息的系统和方法
US2017004669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gifting goods or services
US2013028253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electronic ticket passes
US20200104944A1 (en) Conducting various actions indicated by a financial card
KR101195547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거래 중개 시스템
KR102469607B1 (ko) 안전한 거래를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KR102448704B1 (ko) 모바일 승차권 서비스 제공방법
JP2020140409A (ja) 施設における料金の決済システム及び決済方法
KR102282345B1 (ko) 간소화되고 주도적인 구조를 가진 결제 트랜잭션 처리
KR101593275B1 (ko) 가맹점정보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2044397B1 (ko) Qr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와 세금환급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192477A1 (en) App-less restaurant processing system using mobile devices and offering check splitting
JP6616587B2 (ja) 施設利用者管理装置および施設利用者管理システム
KR102053384B1 (ko) 세금 환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법
KR20190140698A (ko) Qr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와 세금환급 시스템 및 그 방법
JP7269188B2 (ja) 出力制御プログラム、出力制御装置及び出力制御方法
AU2013334480A1 (en) Mobile payments
WO2014142260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