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1590A -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 콜라겐, 블루베리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 Google Patents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 콜라겐, 블루베리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1590A
KR20130031590A KR1020110095267A KR20110095267A KR20130031590A KR 20130031590 A KR20130031590 A KR 20130031590A KR 1020110095267 A KR1020110095267 A KR 1020110095267A KR 20110095267 A KR20110095267 A KR 20110095267A KR 20130031590 A KR20130031590 A KR 20130031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gen
honey
hyaluronic acid
blueberry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학
황대연
이희섭
이충렬
장민주
최은영
추석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95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1590A/ko
Publication of KR20130031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2Additives other than enzymes or microorganisms in meat products or meat meals
    • A23L13/428Addition of flavours, spices, colours, amino acids or their salts, peptides, vitamins, yeast extract or autolysate, nucleic acid or derivatives, organic acidifying agents or their salts or acidogens, sweeteners, e.g. sugars or sugar alcohols; Addition of alcohol-containing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52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containing additives
    • A23C9/158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containing additives containing vitamins or 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 콜라겐, 블루베리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이를 포함하여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을 사용하는 경우, 피부 주름 감소, 수분 손실량 감소, 수분 보유량 증가 및 SOD 활성의 증가를 나타내는바, 효과적인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이 가능하며 부작용이 없는바, 약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 콜라겐, 블루베리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Functional health foods for improving skin aging or wrinkle comprising vitamin tree truit, collagen, blueberry, hyaluronic acid and honey}
본 발명은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 콜라겐, 블루베리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이를 포함하여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내적으로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세포 및 피부세포의 기능과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단백질 및 생체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어 생기는 내인성노화 (intrinsic aging)가 일어난다.
또한, 외적으로 각종 오염물질과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로 인해 주름증가, 탄력감소, 피부건조의 증가로 기미, 주금께 및 건버선 등의 생성으로 인해 노화가 일어나게 된다.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진피는 섬유성과 기질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진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콜라겐 (collagen)은 피부에 강도와 장력을 주고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결합조직의 기질 내에서 섬유성분을 합성 분비하는 섬유아세포 (fibroblast)의 작용과 세포수의 감소로 인해 섬유성분(콜라겐)의 합성량이 줄어들고 피부세포 내 수분이 손실되며 각질층의 구조가 변화하게 된다.
또한, 피부의 주요 구조적 성분인 콜라겐을 분해하는 콜라게네이즈 (collagenase)의 작용이 증가하여 콜라겐의 가교된 형태가 증가함으로써 매끄러움, 보습, 팽팸함이 감소하게 된다.
최근, 소비자의 안티-에이징 (anti-aging)에 대한 미적 욕구가 상승함에 따라, 소비자의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 성분이 함유된 제품에 대한 구매 욕구가 커져 가고 있다. 아울러, 이런 기능성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그 수요량도 급증하고 있다.
이에 기능성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는 효능이 향상된 주름 개선 및 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노화를 완화할 수 있는 천연 소재의 개발에 많은 관심과 투자를 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을 이용하여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 효능이 보다 향상된 건강기능식품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 콜라겐, 블루베리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꿀의 조합이 피부 노화 및 주름 방지 효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 콜라겐, 블루베리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강기능 식품은 음료, 주류, 발효식품, 우유가공식품, 육류가공식품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 콜라겐, 블루베리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꿀을 교반하는 단계; 및
(2) 상기 1단계의 혼합물을 여과하여 침전물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단계는
용매 100ml에 대하여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을 12.5g~31.25g, 콜라겐을 8.25~12.5g, 블루베리 추출물을 25~37.5g, 히알루론산을 0.1~0.15g, 꿀을 5.75~8.75g을 가온 교반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 콜라겐, 블루베리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을 사용하는 경우, 피부 주름 감소, 수분 손실량 감소, 수분 보유량 증가 및 SOD 활성의 증가를 나타내는바, 효과적인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이 가능하며 부작용이 없는바, 약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UV에 의해 유도된 피부노화의 정도를 주름형성 상태를 관찰하면서 측정한 결과이다. A는 각 실험체에 대한 Disk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B는 winkle score system에 따른 각 실험체의 주름 단계 평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피부조직의 두께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염색한 표피 및 진피의 사진이며, B는 각 실험군의 표피 두께를 비교한 결과이다. C는 각 실험군의 진피 두께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3은 실험군 별 수분손실량, 수분보유량 및 홍반량을 비교한 결과이다. A는 수분손실량을 비교한 결과이며, B는 수분보유량을 비교한 결과이다. C는 홍반량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4는 실험군 별 SOD 활성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골라겐 혼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 음료 제조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본 발명은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 콜라겐, 블루베리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타민 나무”란 Hippophae rhamnoides L.는 중국, 몽골 등이 원산지인 보리수나무과 Elaeagnaceae의 관목성 목본으로 유럽과 중앙아시아에서 폭넓게 자생하고 있으며, 척박한 토양에서 생육이 가능하고 질소고정 능력이 뛰어나서 토양 유실방지와 토양 개간 목적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비타민나무는 열매에는 비타민과 아미노산의 함량이 매우 높고, 면역, 항염, 항산화 등의 생리활성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globulins, albumins과 같은 단백질과 linoleic acids, linolenic acids와 같은 지방산의 함량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폴리페놀류, 토코페롤, 카로테노이드, 플라보노이드 등의 항산화성 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콜라겐”이란 프롤린, 옥시 프롤린, 글리신, 글루타민 등으로 구성된 섬유상 단백질의 일종으로 약 1000개의 아미노산이 모여 가늘고 긴 띠의 형상을 지닌 단백질이다. 사람의 몸에서 특히 장기를 감싸는 막, 관절 연골, 눈의 각막, 뼈와 피부 등에 주로 존재하고, 특히 피부 속의 진피층의 구성 성분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콜라겐”은 종류에 특별한 한정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피쉬 콜라겐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블루베리”란 블루베리는 진달래과 Ericaceae 산앵두나무속 Vaccinium에 속하는 관목성 식물로서 400여종이 있으며, 주로 동남아시아에 분포하고 있다. 블루베리는 항산화 작용과 시력증진 작용 등의 강력한 기능성을 보유한 원예작물의 하나로 여러 가지 뛰어난 생체조절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고 치료한다고 알려져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히알루론산”은 동물의 유리체, 관절액, 연골, 피부 등에 많이 존재하는 성분으로, 많은 양의 물과 결합하여 겔 상태가 되어 관절의 윤활작용이나 피부의 유연성 등에 관여하며 점성이 크므로 세균의 침입이나 동물의 피부 침투를 막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피부조직에서 히알루론산은 콜라겐과 엘라스틴, 섬유조직 사이에 들어있는 젤리 상태의 물질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 식품류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음료, 주류, 발효식품, 우유가공식품, 육류가공식품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음료일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50부피%,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부피%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및 폴라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솔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에 더하여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0.001 내지 약 20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1)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 콜라겐, 블루베리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꿀을 교반하는 단계; 및
(2) 상기 1단계의 혼합물을 여과하여 침전물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단계는
용매 100ml에 대하여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을 12.5g~31.25g, 콜라겐을 8.25~12.5g, 블루베리 추출물을 25~37.5g, 히알루론산을 0.1~0.15g, 꿀을 5.75~8.75g을 가온 교반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 콜라겐, 블루베리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유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진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성인을 기준으로 10 내지 500㎎의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조성물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마우스,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 콜라겐, 블루베리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라바노마레인 화합물을 화장료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화합물 이외에 통상적인 화장료 베이스 성분들을 포함하여,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함유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장료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화장수, 에센스, 로션, 페이스트,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크림, 팩, 젤, 연고, 파우더, 패취 또는 분무제(스프레이)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및 산화아연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이용될 수 있고, 제형이 화장수, 에센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며,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오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및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및 에톡실화글리세롤지방산 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화장료 중의 상기 화합물은 전체 중량의 0.0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0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1 > 조성물의 제조
물 80ml에 대하여 비타민나무 열매 추출액 10 내지 25g, 블루베리농축액 20 내지 30g, 피쉬콜라겐 6.6 내지 10g, 천연블루베리향 0.03 내지 0.045g, 히알루론산 0.08 내지 0.12g, 꿀 4.6 내지 7g을 90 내지 100℃로 5 내지 10분 동안 가온 교반하고 혼합물을 여과하여 침전물을 제거하며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이를 이하에서 콜라겐 혼합 조성물이라고 칭하였다.
< 실시예2 > 동물모델에 대한 조성물의 효과 확인
2-1: 동물 실험 방법
생후 6주령된 체중 25-40 g 정도의 SPF (specific pathogen free) 암컷 Hairless mice 40마리를 중앙실험동물(주) (Central Lab. Animal Inc.)에서 구입하고 사육하였으며, 온도 23
Figure pat00001
2℃, 습도 50
Figure pat00002
10%, 12시간의 조명주기 (06:00-20:00)로 SPF 상태에서 방사선 조사된 사료 (Purina Mills Inc)를 자유급식 하도록 사육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부산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 (PNU-IACUC)로부터 과학성과 윤리성에 대한 심사를 거쳐 승인 (승인번호: PUN-2011-00198)을 받아 수행되었다.
실험을 위해 먼저 실험동물을 5개 그룹으로 분류하고 그룹당 8마리의 마우스를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첫 번째그룹 (No)은 대조군으로서 어떠한 처치도 하지않은 상태로 사육하였고, 나머지 그룹들은 모두 실험기간인 7주 동안 1MED의 UV를 주당 3회 처치하면서 동시에 3종류의 화합물을 각각 자유급식으로 투여 처리하여 효능을 관찰하였다. 두번째 실험그룹 (UV+Vehicle)은 UV를 조사하면서 동시에 증류수를 투여하였다.
세 번째 그룹 (UV+Vit)은 UV를 조사하면서 동시에 비타민나무 열매의 원액 (0.07v/v)을 투여하였다. 네 번째 그룹 (UV+30%CM)은 UV를 조사하면서 동시에 30%의 콜라겐 혼합 조성물 (0.3v/v)을 투여하였고, 다섯 번째 그룹은 (UV+50%CM)은 UV를 조사하면서 동시에 50% 콜레겐 혼합 조성물 (0.5v/v)을 7주 동안 투여하였다. 7주 후, hairless mice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안락사한 뒤, 피부주름을 측정하고 조직들을 적출하였다.
UV 조사장치는 (주)대종기기(서울, 한국)의 제작품으로서 가로 90 cm, 세로 30 cm, 높이 50 cm의 직사각형의 상자에 자외선 조사장치의 광원으로 280-400 nm파장의 UVA, UVB, UVC를 발광하는 램프를 장착하여 사용하였다. 주름과 노화를 유발하기 위해서는 UVA와 UVB만이 조사되도록 Kodacel Sheeting 6805 Product (Kodak, USA)를 광원 앞에 부착하여 UVC를 차단시켰다. UV 램프와 마우스의 거리는 30 cm가 되도록 유지하였으며, 마우스는 아크릴로 제작된 tray에 넣어 보정한 후 UV를 조사하였다.
MED는 홍반을 일으킬 수 있는 최소한의 UV 조사량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자외선에 노출정도를 알려주는 유용한 임상적인 지표로 사용된다. 이러한 MED는 자외선이 생물에 미치는 가장 중요한 효과는 아니지만, 자외선 조사의 효과를 임상적으로 판단하는 실제적이고 가장 유용한 근거로 사용되고 있다. 1 MED를 설정하기 위하여 hairless 마우스를 마취한 후 지름 1 cm의 구멍이 있는 천으로 마우스 등 표면을 덮고 60, 80, 100, 120, 140, 160mJ까지 6개 부분을 조사하였으며, 24시간 경과 후 조사부위에 홍반의 발생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조사량 중에서 홍반을 처음으로 나타나게 하는 조사량을 1 MED로 설정하였다. 또한 실제 조사된 UV량은 UVx Radiometer (UVP,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2: 피부 주름 측정
UV에 의해서 유도된 피부노화의 정도는 주름형성상태를 관찰함으로서 측정하였다. 피부주름은 UV를 조사한 후 DETAX System II (MIXPAC)과 Double-Stick Disc (3M, Germany)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후 마우스 피부에 Double-Stick Disc를 붙이고, DETAX System II를 이용하여 혼합용액을 분사하여 2-3분정도 후에 완전히 굳어진 Disc를 떼어내어 주름의 정도를 관찰하였다. Disc에 생긴 주름은 Bissett 등(1990)에 의해서 제시된 scoring system에 따라 평가하였다. 이러한 평가에서 grade 0은 주름이 없는 경우, grade 1는 몇 개의 얕은 주름이 있는 경우, grade 2는 일부 주름이 있는 경우, grade 3는 몇 개의 깊은 주름이 생긴 경우로 정의하여 수행하였다 (Tsukahara et al., 2001).
그 결과, UV 조사한 모든 마우스는 대조군에 비하여 주름이 증가되었으나 비타민, 30%CM, 50%CM을 처리한 마우스에서는 거의 유사한 수준으로 주름이 감소되었다. 그 중에서도 50%CM을 처리한 마우스가 가장 많은 주름감소를 나타내었다(도1).
2-3: 피부 조직 관찰
각 실험군에서 적출한 피부조직은 10% formalin용액에 48시간 정도 고정한 뒤, 카세트에 들어갈 만한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카세트에 넣고 labeling을 했다. 그리고 이들 조직은 조직처리기 (Thermo Shandon Ltd./Thermo Fisher Scientific, England)를 이용하여 alcohol 70, 80, 90, 95, 100%에 각각 1~2시간정도 처리한 후 xylene으로 4시간 처리하고, paraffin에서 4시간 처리하였다. 고정된 조직은 Paraffin Embedding Station (LEICA MICROSYSTEMS NUSSLOCH GMBH, Germany)을 사용하여 embedding한 후 냉동실에서 하루정도 보관하고 Rotary Microtome (LEICA MICROSYSTEMS NUSSLOCH GMBH, Germany) 을 사용하여 block을 박절하였다. 박절된 조직은 H&E staining을 실시하기 위하여 xylene에 3분씩 3번, alcohol 100%에 각각 2분, 1분, alcohol 95, 80, 70%에 각 1분 30초 담근 후에 물로 1분 세척하고, hematoxylin에 1분, 10% scott’s tap water에 1분, eosin에 3분 동안 처리과 정을 거쳐 염색을 실시하였다 (도2 A). 염색된 조직은 다시 alcohol 70, 80, 95, 100, 100%에 순서대로 처리하여 dehydration 한 후 xylene에 3분씩 3번 처리하였다. 슬라이드를 건조 후 kanadabalsam과 xylene를 이용하여 permounting을 실시한 후 현미경을 이용하여 표피/내피의 두께, lipid pore 등을 관찰하였다. 피부의 두께는 H&E staining된 슬라이드 3개를 선정하여 각 슬라이드에 피부조직의 5부분을 임의로 선택한 후 각 군에서 동일한 위치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계산하여 제시하였다.
그 결과, 표피(EP)의 두께는 No군에 비교했을 때 UV 조사한 UV+Vehicle군에서 약 57.2% 증가되었고, UV+Vit군과 UV+30%CM군은 각각 약 24.19%와 11.69%만큼 증가되었다. UV+50%CM군은 표피 두께가 UV 조사에 의해 11.66% 증가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도2 B).
진피(DR) 두께는 No군에 대하여 UV 조사한 UV+Vehicle군에서 118.01% 증가가 관찰되었다. UV+Vit군과 UV+30%CM군에서는 진피 두께가 각각 22.1%과 22.5% 증가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UV+50%CM군에서는 진피 두께가 3.71% 소량 증가하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도 2 C).
따라서, 콜라겐 혼합 조성물은 UV 조사로 증가된 표피와 진피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2-4: 수분 손실량, 수분 보유량 및 홍반량 측정
경피 수분 손실량과 보유량은 Corneometer CM825와 Tewameter TM300(Courage and Khazaka Electronics, Cologne, Germany)로 측정하였다. 홍반량은 Mexameter MX18(Courage and Khazaka Electronics, Cologne, Germany)로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에서 Probe는 쥐의 피부 표면에 직접 접촉시켰다.
그 결과, 경피 수분 손실량 (transepidermal water loss)은 UV+Vehicle군에서 No군에 비해 약 277% 증가하였고, UV+Vit (72%)과 UV+30%CM (44%)군은 UV 조사에 의한 수분 손실이 완화되었으며, UV+50%CM에서는 오히려 수분 손실량이 20% 감소됨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콜라겐 혼합 조성물은 UV 조사한 경피에서 수분이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경피 수분 보유량 (water content)은 No군에 대해 UV+Vehicle군에서 53% 감소되었고, UV+Vit군에서는 26% 감소가, UV+30%CM군에서는 16% 감소가 나타났으나, UV+50%CM군에서는 오히려 28% 증가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UV 조사에 의해 경피의 수분 손실이 비타민 희석액과 콜라겐 혼합 조성물의 섭취를 통해 완화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홍반량 (erythema dose)는 오차 범위 내에서 결과값이 존재함에 따라 각 군에 따른 변화가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2-5: SOD 활성 확인
피부조직에서 SOD활성은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Colorimetric Assay KIt(#ab65354, Abcam, Cambridge, UK)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SOD activity assay kit는 과산물음이온이 환원되면서 수용성의 formazan dye를 생산하는 WST-1을 이용한다. 과산물음이온의 환원 속도는 xanthine oxidase activity에 선형 관계를 보이며, SOD에 의해 환원 속도는 저해된다. SOD의 inhibition rate는 microplate reader로 450nm 흡광도 측정 후 공식을 통해 결정된다. SOD Activity는 inhibition rate가 50%일 때를 sigmaplot (systat software, Inc.)에 의해 결정되었다.
실험결과, UV+vehicle 그룹에서는 약간의 SOD활성의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UV+Vit군과 UV+30%CM군은 유의미하게 SOD 활성도가 증가하였다. 특히, UV+50%CM군은 SOD 활성도가 No군의 3배 이상 증가하였다.
< 실시예3 > 관능평가
3-1: 조성물에 대한 관능평가
관능평가는 시료에 대해 15명의 패널을 통해 3회 반복 실시하였다. 측정항목은 색, 맛, 향 및 전체 기호도로 하였고 평가는 5점 평가법 (5:아주좋음, 4:좋음, 3:보통, 2:나쁨, 1:아주나쁨)을 사용하여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콜라겐 혼합 조성물의 관능 평가 결과는 아래 표1과 같다.
구분 전체적 기호도
시료 4.00 4.00 4.2 4.07
3-2: 조성물에 대한 관능 평가 비교 결과
조성물에서의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관능 평가를 비교하였다.
비교예 1은 물 80ml에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를 동일하게 첨가하고 비타민나무 열매 추출액 10g을 넣은 것이며 비교예 2는 물 80ml에 비타민나무 열매 추출액 15g을 첨가한 것이다. 비교예 3은 물 80ml에 비타민나무 열매 추출액 25g을 첨가한 것이다.
관능평가는 본 발명의 시료와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해 15명의 패널을 통해 각각 3회 반복 실시하였다. 측정항목은 색, 맛, 향 및 전체 기호도로 하였고 평가는 5점 평가법 (5:아주좋음, 4:좋음, 3:보통, 2:나쁨, 1:아주나쁨)을 사용하여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구분 전체적 기호도
시료 4.00 4.00 4.2 4.07
비교예 1 2.67 2.67 2.13 2.49
비교예 2 3.00 2.87 2.73 2.87
비교예 3 3.67 3.27 3.53 3.49

Claims (6)

  1.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 콜라겐, 블루베리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음료, 주류, 발효식품, 우유가공식품, 육류가공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 식품.
  3. (1)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 콜라겐, 블루베리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꿀을 교반하는 단계; 및
    (2) 상기 1단계의 혼합물을 여과하여 침전물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제 (1) 단계는
    용매 100ml에 대하여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을 12.5g~31.25g, 콜라겐을 8.25~12.5g, 블루베리 추출물을 25~37.5g, 히알루론산을 0.1~0.15g, 꿀을 5.75~8.75g을 가온 교반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5.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 콜라겐, 블루베리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6.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 콜라겐, 블루베리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095267A 2011-09-21 2011-09-21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 콜라겐, 블루베리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20130031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267A KR20130031590A (ko) 2011-09-21 2011-09-21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 콜라겐, 블루베리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267A KR20130031590A (ko) 2011-09-21 2011-09-21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 콜라겐, 블루베리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590A true KR20130031590A (ko) 2013-03-29

Family

ID=48180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267A KR20130031590A (ko) 2011-09-21 2011-09-21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 콜라겐, 블루베리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1590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852A (ko) 2015-02-04 2016-08-12 진원 꿀 함유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CN107996901A (zh) * 2016-11-02 2018-05-08 浙江泛亚生物医药股份有限公司 一种蝉花沙棘运动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90030002A (ko) 2017-09-13 2019-03-21 농업회사법인 베리베리코리아 주식회사 블루베리 생과 타르트 및 그 제조방법
CN109511835A (zh) * 2018-11-09 2019-03-26 江苏惠生堂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蜂蜜的保健功能饮料配方
KR20190113278A (ko)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피에이치파이브 초정 광천수와 비타민나무 열매오일 혼합물을 함유하는 비누조성물
KR20210010177A (ko) * 2019-07-19 2021-01-27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 및 천연추출복합물을 포함하는 구강점막부착형 필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점막부착형 필름
KR20210132794A (ko) 2020-04-28 2021-11-05 (주)팜스빌 Atage-905 콜라겐 엘라스틴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식품 조성물
KR102456854B1 (ko) * 2021-05-26 2022-10-24 이용화 기능성 식품 제조용 원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제조 방법
KR20240011268A (ko) 2022-07-18 2024-01-26 정성동 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852A (ko) 2015-02-04 2016-08-12 진원 꿀 함유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CN107996901A (zh) * 2016-11-02 2018-05-08 浙江泛亚生物医药股份有限公司 一种蝉花沙棘运动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90030002A (ko) 2017-09-13 2019-03-21 농업회사법인 베리베리코리아 주식회사 블루베리 생과 타르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13278A (ko)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피에이치파이브 초정 광천수와 비타민나무 열매오일 혼합물을 함유하는 비누조성물
CN109511835A (zh) * 2018-11-09 2019-03-26 江苏惠生堂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蜂蜜的保健功能饮料配方
KR20210010177A (ko) * 2019-07-19 2021-01-27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 및 천연추출복합물을 포함하는 구강점막부착형 필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점막부착형 필름
KR20210132794A (ko) 2020-04-28 2021-11-05 (주)팜스빌 Atage-905 콜라겐 엘라스틴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식품 조성물
KR102456854B1 (ko) * 2021-05-26 2022-10-24 이용화 기능성 식품 제조용 원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제조 방법
KR20240011268A (ko) 2022-07-18 2024-01-26 정성동 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1590A (ko)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 콜라겐, 블루베리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1769416B1 (ko)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TWI495488B (zh) 用於刺激magp-1以改善皮膚外觀之組合物及方法
KR20150095793A (ko) 시계꽃 종자들의 추출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미용적, 약제학적, 피부과학적 및 영양제학적 조성물들
KR101769419B1 (ko) 다중기능성 영양크림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JP2003095913A (ja) 化粧料組成物又は飲食品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101825803B1 (ko) 마가목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43588B1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101759650B1 (ko) 오시멘(Ocimene)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1989654B1 (ko) 레몬머틀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KR101787319B1 (ko) 신코닌(Cinchonine)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1489935B1 (ko)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KR101761125B1 (ko) 허니부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721022B1 (ko) 아디프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 및 피부탄력증진용 조성물
KR20100057942A (ko) 항산화 효과와 항주름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83773B1 (ko) 유자 또는 지실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093901B1 (ko)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577528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210134589A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5689552B1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カモミール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101958105B1 (ko) 구아일 아세테이트(Guaiyl acetate)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CN113631227A (zh) 抗老化剂、抗氧化剂、抗炎剂、及美白剂、以及化妆品
KR20150010530A (ko) 배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