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0744A - 유체 밀봉 방식으로 서로 분리된 2개의 윤활 챔버를 포함하는 내연기관 - Google Patents

유체 밀봉 방식으로 서로 분리된 2개의 윤활 챔버를 포함하는 내연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0744A
KR20130030744A KR1020127026058A KR20127026058A KR20130030744A KR 20130030744 A KR20130030744 A KR 20130030744A KR 1020127026058 A KR1020127026058 A KR 1020127026058A KR 20127026058 A KR20127026058 A KR 20127026058A KR 20130030744 A KR20130030744 A KR 20130030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camshaft
crank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6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볼코 슈자일
라요스 파르카스
클라우스 한
Original Assignee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30030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7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22Chain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24Belt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9/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ctuated non-mechanically
    • F01L9/1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ctuated non-mechanically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F01L9/11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ctuated non-mechanically by fluid means, e.g. hydraulic in which the action of a cam is being transmitted to a valve by a liquid column
    • F01L9/12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ctuated non-mechanically by fluid means, e.g. hydraulic in which the action of a cam is being transmitted to a valve by a liquid column with a liquid chamber between a piston actuated by a cam and a piston acting on a valve stem
    • F01L9/1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ctuated non-mechanically by fluid means, e.g. hydraulic in which the action of a cam is being transmitted to a valve by a liquid column with a liquid chamber between a piston actuated by a cam and a piston acting on a valve stem the volume of the chamber being variable, e.g. for varying the lift or the timing of a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2Arrangements of lubrican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9/00Lubrication mean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7/00
    • F01M9/10Lubrication of valve gear or auxilia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02B75/18Multi-cylinder engines
    • F02B75/20Multi-cylinder engines with cylinders all in one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01L1/3442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using hydraulic chambers with variable volume to transmit the rotating force
    • F01L2001/34423Details relating to the hydraulic feeding circuit
    • F01L2001/34446Fluid accumulators for the feeding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810/00Arrangements solving specific problems in relation with valve gears
    • F01L2810/02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랭크축(2)과, 가스 교환 밸브들(15, 104)을 작동하기 위한 캠축(12)과, 크랭크축(2)의 회전을 캠축(12)로 전달하는 동기 구동 장치(9)를 포함하는 내연기관(1)에 관한 것이며, 상기 크랭크축(2)은 대부분 제1 챔버(6) 내에 배치되고, 이 제1 챔버는 내부에 동기 구동 장치(9)가 배치되어 있는 제2 챔버(8)로부터 유체 밀봉 방식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제2 챔버(8) 내에는 또한 캠축(12)도 배치된다.

Description

유체 밀봉 방식으로 서로 분리된 2개의 윤활 챔버를 포함하는 내연기관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TWO LUBRICATING CHAMBERS SEPARATED FROM ONE ANOTHER IN A FLUID-TIGHT MANNER}
본 발명은 크랭크축과, 가스 교환 밸브들을 작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캠축과, 크랭크축의 회전을 캠축로 전달하는 동기 구동 장치(synchronous drive)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에 관한 것이며, 크랭크축은 대부분 제1 챔버 내에 배치되고, 이 제1 챔버는 내부에 동기 구동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제2 챔버로부터 유체 밀봉 방식으로 분리되어 있다.
내연기관은 승용차, 화물차 또는 기타 지상용 운송수단과 같은 자동차에서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된다. 그러나 상기 내연기관은 수상용 또는 지상용 운송수단에서도 이용된다.
내연기관은 종종 하나 이상의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내에서는 피스톤이 예컨대 경유나 휘발유 연료와 같은 연료의 폭발 연소를 바탕으로 왕복 운동한다.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커넥팅 로드의 운동은 하나 이상의 크랭크축로 전달된다.
실린더의 내부로 연료를 공급할 수 있고 연소 잔여물을 실린더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린더 내에서 공급 개구부들 또는 배출 개구부들을 밸브 타이밍에 따라 폐쇄할 수 있는 가스 교환 밸브들이 제공된다. 상기 가스 교환 밸브들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구동된다. 주로, 자체 캠들이 각각의 밸브에 작용하는 캠축이 이용된다. 그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가능한 한 최적의 밸브 타이밍 시점을 조정하기 위해 압전 결정 소자(piezo-crystal)와 같은 전자 컴포넌트의 이용은 자유 재량에 맡겨진다. 기본적으로 캠축은, 크랭크축의 운동이 캠축에 의한 가스 교환 밸브들의 개방 또는 폐쇄 작용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크랭크축과 연결된다.
이를 위해 EP 0 931 912 A1에 소개된 시스템은, 밸브들의 변위를 제어하는 기계 부재들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흡기 및 배기 밸브들의 개방의 가변 제어를 제공한다. 종래의 시점 조정 시스템에서 각각의 흡기 또는 배기 밸브의 운동은 분명히 밸브를 구동하는 기계 부재들의 기하구조에 의해 결정되는 반면에, 실제로 앞서 설명한 공지된 시스템에서는, 가압 상태에서 지정된 밸브와 연계된 챔버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가압 상태의 오일을 포함하는 상술한 챔버를 상기 방식으로 비우기 위해 어느 소정의 시점에 개방되도록 구동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관련 리턴 스프링 수단의 작용 하에, 심지어 관련 캠이 밸브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는 위상 동안에도, 흡기 또는 배기 밸브의 신속한 폐쇄가 달성된다.
크랭크축과 캠축 사이의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특히 수직 구동축 또는 무한 구동 수단(endless driving means)이 이용된다. 특히 자동차에서 이용되는 근래의 내연기관의 경우에는 견인식 구동 장치의 범주에서 이용되는 무한 구동 수단이 채용되었다. 이 경우 이용되는 견인 수단은 통상적으로 체인 또는 톱니 벨트 타입의 무한 구동 수단이다.
또한, 견인식 구동 장치가 추가의 유닛을 구동할 수 있는 점도 공지되었다. 이때 상기 유닛은 분사 펌프 및/또는 밸런스 샤프트일 수 있다.
종래 기술로부터는 내연기관의 제어 시에 적용되는 견인식 구동 장치가 공지되었다.
더욱 오래된 내연기관의 경우 지금까지 크랭크축, 커넥팅 로드 및 실린더들 내 피스톤들을 윤활하기 위해 견인식 구동 장치 및 캠축의 윤활을 에 사용되는 단일의 유체가 이용되고 있다.
매우 중요한 사실은, 캠축이 크랭크축과 동기 상태로 유지되어 동기화 오류가 발생하지 않게 하는 점이다. 이는 예컨대 견인 수단이 신장될 경우에 대두되며, 견인 수단의 신장은 증가된 마모에 기인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극단적인 경우 견인 수단은 심지어 완전하게 고장나게 된다. 이런 문제는 견인 수단이 타이밍 체인으로서 형성될 때에도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미 오래전부터 타이밍 체인과 같은 견인 수단의 수명 연장을 달성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었다.
이를 위해 범용 종래 기술로서 간주되는 DE 4244052 C2는 내연기관 내에서 동력 전달 체인을 윤활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 명세서에서 개시된 점에 따르면, 크랭크축의 회전 운동이 체인에 의해 캠축에 전달되고, 각각의 샤프트의 일부분은 각각 윤활유를 포함하는 크랭크축 챔버 또는 캠축 챔버를 통해 연장되며, 체인은 윤활유를 포함하는 체인 케이스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캠축 챔버뿐 아니라 크랭크축 챔버로부터 체인 케이스의 내부로 윤활유가 직접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축봉(shaft seal)이 제공되며, 그럼으로써 체인 케이스 내에 오염도가 더욱 낮은 윤활유가 공급된다.
그러나 최신 엔진의 이용을 통해, 상기 연소 방법은 더욱 짧은 시간에 훨씬 더 많은 오일 오염을 발생시키고, 이런 점은 타이밍 체인과 같은 견인 수단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캠축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디젤 엔진에서 연료의 연소 시에 특히 피스톤 및 크랭크축 주위의 엔진 오일 내에 용해되거나 휩쓸려가는 매연 입자의 배출에 의해 종래의 내연기관의 작동 시에 상당한 문제가 발생한다. 디젤 내연기관의 윤활을 위한 방법에 대해 DE 3029964 C2에서 제시된 해결책 역시 상기 문제를 완전하게 해결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과제는 기존의 문제점을 제거하고 수명이 더욱 연장된 동기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제2 챔버 내에 캠축도 배치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처럼 제1 챔버 내에 포함되는 윤활 유체로부터 분리된 제2 챔버가 제공되며, 그럼으로써 제2 챔버 내에서 이 제2 챔버에 존재하는 유체에 의해 실시되는 윤활은 제1 챔버 내 압력과는 무관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제1 챔버 내의 압력과는 무관하면서 기계식 또는 유압식 기능을 보유하는 텐셔닝 및 댐핑 부재들이 이용될 수 있다. 견인 수단 크기는 감소될 수 있으며, 이런 점은 전체 시스템의 질량 및 관성 모멘트를 감소시킨다. 또한, 이 경우 견인 수단 내 인장력 감소가 달성되며, 이런 점은 전체 시스템의 마찰 및 소음 거동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또한 이 경우, 견인 수단 및 캠축은 이 두 운동 수단에 적합한 유체 내로 이동되며, 그럼으로써 예컨대 제2 챔버에서의 유사한 한계 조건을 고려하기 위해 제2 챔버 내에서 특수한 첨가제를 함유한 제어 구동 수단 오일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와 반대로 제1 챔버 내에는 제1 챔버에서의 또 다른 한계 조건을 위해 또 다른 첨가제를 함유한 엔진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서 청구되며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동기 구동 장치가 견인 수단으로서 체인 및/또는 벨트를 포함하는 견인식 구동 장치로서 형성된다. 견인 수단이 체인으로서 형성되면, 대체되는 견인 수단에서보다 유지보수 주기가 더욱 길어진다. 그에 반해 견인 수단이 톱니 벨트로서 형성되면, 더욱 경제적인 해결 방법이 실현된다. 톱니 벨트를 오일 내로 안내함으로써 소음 방사 및 비용과 관련하여 수많은 장점이 설정되며, 이들 장점은 병행 특허 출원들에서도 별도로 제시된다. 그러나 톱니 벨트를 위해 사용되는 재료는 본 적용을 위해 내유성이어야 한다.
추가의 본 발명에 따른 형성에 따라서는, 동기 구동 장치를 스퍼 기어 구동 장치로서 형성하는데, 그 이유는 그러한 경우 견인식 구동 장치 내 견인 수단들을 안내 및 인장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추가의 구조 부재들이 생략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구체화에서 제안되는 점에 따라서는, 하나 이상의 캠축이 자체 단부들 중 적어도 일측 단부에 캠축 조정 장치를 포함하며, 이 캠축 조정 장치는 밸브 트레인에서 밸브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런 경우 캠축 조정 장치는 흡기 캠축뿐 아니라 배기 캠축 상에도 배치될 수 있다.
캠축이 하나 이상의 실린더에서 연소실의 하나 이상의 흡기 및/또는 배기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가스 교환 밸브들과 상호 작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때 가스 교환 밸브들은 유체 밀봉 방식으로 안내되는 스템들을 포함한다. 이처럼 제2 챔버는 실린더 헤드 영역에서도 제1 챔버로부터 유체 밀봉 방식으로 분리되어 유지된다. 이러한 점도 역시, 특히 타이밍 체인의 이용 시에 마모 신장이 방지되게 하고, 근래의 연소 방법에서 실린더 및 크랭크축 챔버 내에서 더욱 짧은 시간에 발생하는 더욱 많은 오일 오염이 캠축 및 견인식 구동 장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는 데 기여한다.
선택에 따라서 캠축은 전기 유압식 가변 밸브 타이밍 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스 교환 밸브들 중 하나 이상의 가스 교환 밸브를 작동시킬 수 있다. 유압식 가스 교환 밸브 구동 장치의 공지된 작동 원리는, 마스터 유닛과 슬레이브 유닛 사이의 고압 챔버가 유압 링키지로서 작용하며, (누유를 무시한 경우) 캠의 양정에 비례하여 펌프 태핏에 의해 배출되는 유압 용적이 유압 밸브의 개방 시점 및 개방 기간에 따라 슬레이브 피스톤을 가압하는 제1 부분 용적과 축압기를 포함한 중압 챔버 내로 방출되는 제2 부분 용적으로 분할된다는 정도로 요약된다. 그럼으로써 슬레이브 피스톤으로의 펌프 태핏의 양정 전달과 그에 따른 밸브 타이밍뿐 아니라 가스 교환 밸브의 양정 높이가 완전 가변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물론 크랭크축의 운동은 캠축로 전달되어야 하며, 이는 견인식 구동 장치나 스퍼 기어 구동 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크랭크축은 제2 챔버 안쪽으로 돌출된 단부 섹션을 포함하며, 이 단부 섹션은 윤활제로서 작용하는 제1 챔버의 제1 유체가 윤활제로서 작용하는 제2 챔버의 제2 유체로부터 분리되도록 축봉에 의해 밀봉된다.
또한, 추가의 변형예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제1 유체는, 예컨대 첨가제의 첨가를 바탕으로, 특히 점도 및/또는 내열성과 관련하여, 제2 유체와는 다른 특성을 갖는다. 상기 첨가제의 적절한 첨가를 통해 2가지 유체 각각은 제1 또는 제2 챔버 내 특정한 한계 조건들에 부합하게 조절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내연기관과 이 내연기관 내에 포함된 견인식 구동 장치의 수명이 대폭 증가하며 유지보수 주기도 대폭 연장된다.
수리 친화성을 높이기 위해, 교체 가능하게 형성된 슬라이딩 씰(sliding seal)에 의해 2가지 유체를 제1 챔버와 제2 챔버 내로 유체 분리하는 것이 실현된다. 씰들 중 하나에서 누유가 허용될 경우, 해당 씰의 단독 교체가 가능하며, 그럼으로써 완벽한 작동으로의 복귀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 유체 및 제2 유체가 오일 타입의 액체로서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예컨대 광물유와 같은 액체는 각각의 요건에 맞게 매우 미세하게 조정될 수 있으며, 상이한 유지보수 주기들에 따라 개별적으로 교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조 및 조립 기술 측면에서, 제1 챔버 및 제2 챔버가 공통의 하우징 또는 블록 내에 배치될 때, 내연기관은 최적화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견인 수단은 캠축 및 크랭크축의 축선들에 수직을 이루는 평면 내에 연장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이처럼 상대적으로 작은 장착 공간만을 요구하는 내연기관이 구현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견인 수단은 분사 펌프나 밸런스 샤프트와 같은 추가 유닛과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상호 접촉한다.
특히 타이밍 체인을 이용할 경우, 내구성, 내열성 및 유지보수 주기 감소와 관련하여 장점이 제공된다. 또한, 내연기관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무소음 톱니 체인의 이용도 가능하며, 이런 점은 음향 방사를 감소시킨다. 이처럼 음향 방사 및 CO2 배출량에 대한 까다로운 요건이 충족된다. 또한, 그에 따라 높은 내열성이 제공됨과 동시에 내연기관의 콤팩트한 구조도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2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일측에는 크랭크축, 커넥팅 로드 및 피스톤이 이동 가능하게 포함되고 타측에는 캠축 및 견인 수단을 구비한 제어 구동 장치가 이동 가능하게 포함되어 있는 2개의 분리된 윤활 챔버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개략적인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전기 유압식 가변 가스 교환 밸브 구동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내연기관의 도해는 개략적인 상태만을 나타내며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서만 이용된다.
내연기관(1)은 본원에서 예시로서 2개의 피스톤(3)에 의해 구동되는 크랭크축(2)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2개의 피스톤(3)은 2개의 실린더(4) 내에 선형 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실린더들(4)이 실린더 라이너들도 포함한다는 점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피스톤들(3)의 운동은 커넥팅 로드들(5)을 통해 크랭크축(2)으로 전달된다. 충분히 공지된 커넥팅 로드 베어링은 암시만 되어 있다.
또한, 크랭크축(2)의 베어링들도 암시만 되어 있다.
크랭크축(2)은 대부분 제1 챔버(6) 내에 배치된다. 크랭크축(2)의 작은 단부 섹션만이 제1 챔버(6)로부터 제2 챔버(8)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챔버(8) 내에는 동기 구동 장치(9)도 제공된다. 동기 구동 장치(9)는 기어 휠(11)과 상호 접촉하는 견인 수단(10)을 포함한다. 기어 휠(11)은 크랭크축(2)의 단부 섹션(7)에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개별 강철 부재들을 포함하는 체인 타입의 타이밍 체인인 견인 수단(10)은, 캠축(12)에 장착된 추가의 기어 휠(13)과도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상호 접촉한다. 캠축(12)은 가스 교환 밸브들(15)에 작용하는 개별 캠들(14)을 포함한다. 가스 교환 밸브들(15)은 캠축의 방향으로 향해 있는 자체의 측면에 스템들(16)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개별 캠들(14)은 스템들(16)의 운동을 야기하고 그에 따라 가스 교환 밸브들(15)의 운동을 야기함으로써 흡기 또는 배기 개구부들이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기어 휠들(11 및 13)은 스프로킷 또는 톱니 벨트 풀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운동은 축선(17)을 중심으로 하는 크랭크축(2)의 회전에 의해 야기되며, 크랭크축(2)의 운동이 기어 휠(11), 견인 수단(10), 기어 휠(13) 및 캠축(12)을 통해 개별 캠들(14)로 전달됨으로써 캠들의 운동이 스템들(16)의 편향을 야기한다. 이때 캠축(12)은 축선(18)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단부 섹션(7)의 영역에는 예컨대 축봉(23) 타입의 슬라이딩 씰과 같은 유체 밀봉 장치가 배치되는데, 도 1에는 분명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다. 단부 섹션(7)의 맞은편 측면에도 관련 축봉(23)이 제공되며, 그럼으로써 제1 챔버(6) 내에 포함된 유체는 제1 챔버로부터 누출될 수 없게 된다. 이를 위해 스템들(16)도 밀봉된다. 상기 씰들도 도시되어 있지 않다. 개별 씰들과, 챔버(6)를 둘러싸는 제1 하우징(19)으로 인해, 제1 챔버(6)와 제2 챔버(8) 내 유체들은 서로 분리된 상태로 유지된다. 연소실 내에서 연소되는 연료, 공급 공기 또는 그 결과로 발생하는 배기가스의 공급 및 배출 라인들은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가스 교환 밸브들(15)의 영역에 제공된다. 또한, 캠축(12)은 제2 챔버(8)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자체의 단부에 캠축 조정 장치(22)를 포함하며, 이 캠축 조정 장치는 밸브 트레인 내 밸브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제2 챔버(8) 내에 포함되는 유체는 분리 벽부로서 기능하는 제1 하우징(19)의 섹션(21)과 제2 하우징(20) 사이에서 보관되는 상태로 유지된다.
제1 챔버(6)와 제2 챔버(8) 내 서로 다른 유체들은 서로 다른 기호에 의해 시각화되어 있다. 제1 챔버(6)에는 액체, 특히 광물유로서 기능하는 광물유 액체가 포함되어 있다.
제2 챔버(8)에는 마찬가지로 광물유를 기반으로 합성되지만, 광물유와는 다른 첨가제를 함유하고, 다른 점도 및/또는 다른 내열성을 보유하는 제어 구동유(control driving oil)와 유사한 액체가 포함되어 있다.
제어 구동유는 엔진 오일과는 다른 회로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타이밍 체인과 같은 견인 수단(10)은 단일의 캠축(12)을 구동할 뿐 아니라, 2개의 또는 예컨대 V자형 실린더 배치 구조의 경우에는 더 많은 캠축(12)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대체되거나 추가되는 실시예에 따라 견인 수단(10)은 예컨대 발전기나 다이나모(dynamo)와 같은 추가의 유닛과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상호 접촉할 수 있다.
도 2에는 유압식 가변 가스 교환 밸브 구동 장치(101)의 기본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캠축의 캠(103) 및 폐쇄 방향으로 스프링 하중을 받는 가스 교환 밸브(104)와 함께 내연기관의 실린더 헤드(102)의 구성도 도시되어 있다. 가스 교환 밸브 구동 장치(101)의 가변성은 캠(103)과 가스 교환 밸브(104) 사이에 배치되는 유압 유닛(105)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유압 유닛은 하기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 본원에서는 캠(103)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 태핏(107)의 형태인 구동측 마스터 유닛(106),
- 본원에서는 가스 교환 밸브(104)를 직접 작동시키는 슬레이브 피스톤(109)의 형태인 피동측 슬레이브 유닛(108),
- 본원에서는 평상시 열려 있는 전자기 2-2 웨이 파일럿 밸브의 형태인 구동 가능한 유압 밸브(110),
- 가스 교환 밸브(104)로의 캠 양정(103) 전달 방향으로 마스터 유닛(106)과 슬레이브 유닛(108) 사이에서 연장되는 고압 챔버(111)로서, 유압 밸브(110)의 개방 시 유압 매체가 상기 고압 챔버로부터 중압 챔버(112) 내로 방출될 수 있는, 고압 챔버(111),
- 중압 챔버(112)에 연결되어 스프링 하중을 받는 밸런스 피스톤(114)을 구비한 축압기(113),
- 중압 챔버(112)의 방향으로 개방되는 체크 밸브(115)로서, 유압 유닛(105)이 상기 체크 밸브를 통해 내연기관의 유압 매체 회로에 연결되는, 체크 밸브(115), 및
- 유압 매체 저장부로 이용되는 저압 챔버(116)로서, (중력가속도 g의 화살표 방향에 따라) 측지적으로 중압 챔버(112) 및 고압 챔버(111)의 위쪽에 위치하며, 중압 챔버(112)로부터 저압 챔버(116)를 분리하는 분리 벽부(118) 내 교축 지점(117)을 통해 중압 챔버(112)와 연결되는 저압 챔버(116).
저압 챔버(116)는 실린더 헤드(102) 내로 통해 있는 오버플로우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오버플로우부는 저압 챔버(116)의 추기(bleeding)를 위해 이용될 뿐 아니라, 가열된 유압 매체가 저압 챔버(116)를 통해 실린더 헤드(102) 내로 방출됨에 따라 내연기관의 냉각된 유압 매체 회로 내로 회수될 수 있게 함으로써 유압 유닛(115)의 냉각을 위해서도 이용된다.
1: 내연기관
2: 크랭크축
3: 피스톤
4: 실린더
5: 커넥팅 로드
6: 제1 챔버
7: 단부 섹션
8: 제2 챔버
9: 동기 구동 장치
10: 견인 수단
11: 기어 휠
12: 캠축
13: 기어 휠
14, 103: 캠
15, 104: 가스 교환 밸브
16: 스템
17: (크랭크축의) 축선
18: (캠축의) 축선
19: 제1 하우징
20: 제2 하우징
21: 섹션
22: 캠축 조정 장치
101: 가스 교환 밸브 구동 장치
23: 축봉
102: 실린더 헤드
105: 유압 유닛
106: 마스터 유닛
107: 펌프 태핏
108: 슬레이브 유닛
109: 슬레이브 피스톤
110: 유압 밸브
111: 고압 챔버
112: 중압 챔버
113: 축압기
114: 밸런스 피스톤
115: 체크 밸브
116: 저압 챔버
117: 교축 지점
118: 분리 벽부
120: 오버플로우부

Claims (10)

  1. 크랭크축(2)과, 가스 교환 밸브들(15, 104)을 작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캠축(12)과, 상기 크랭크축(2)의 회전을 캠축(12)으로 전달하는 동기 구동 장치(9)를 포함하는 내연기관(1)이며, 상기 크랭크축(2)은 대부분 제1 챔버(6) 내에 배치되고, 이 제1 챔버는 내부에 상기 동기 구동 장치(9)가 배치되어 있는 제2 챔버(8)로부터 유체 밀봉 방식으로 분리되는, 내연기관(1)에 있어서,
    제2 챔버(8) 내에는 캠축(12)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1).
  2. 제1항에 있어서, 동기 구동 장치(9)는 견인 수단(10)으로서 체인 및/또는 벨트를 포함하는 견인식 구동 장치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1).
  3. 제1항에 있어서, 동기 구동 장치(9)는 스퍼 기어 구동 장치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1).
  4.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캠축(12)은 그들의 하나 이상의 단부에 캠축 조정 장치(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1).
  5. 제1항에 있어서, 캠축(12)은 전기 유압식 가변 밸브 타이밍 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스 교환 밸브들(15, 104) 중 하나 이상의 가스 교환 밸브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1).
  6. 제1항에 있어서, 크랭크축(2)은 제2 챔버 안쪽으로 돌출된 단부 섹션(7)을 포함하고, 이 단부 섹션은, 윤활제로서 작용하는 제1 챔버(6)의 제1 유체가 윤활제로서 작용하는 제2 챔버(8)의 제2 유체로부터 분리되도록 축봉(23)으로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는 특히 첨가제, 점도 및/또는 내열성과 관련하여 상기 제2 유체와 다른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1).
  8. 제6항에 있어서, 교체 가능한 슬라이딩 씰로서 형성된 축봉들(23)에 의해 2가지 유체의 유체 분리가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1).
  9. 제1항에 있어서, 제1 챔버(6) 및 제2 챔버(8)는 공통 하우징 또는 블록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1).
  10. 제2항에 있어서, 견인 수단(10)은, 캠축(12) 및 크랭크축(2)의 축선들(17, 18)에 수직을 이루는 평면 내에 연장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1).
KR1020127026058A 2010-04-06 2011-03-29 유체 밀봉 방식으로 서로 분리된 2개의 윤활 챔버를 포함하는 내연기관 KR201300307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13927.0A DE102010013927B4 (de) 2010-04-06 2010-04-06 Verbrennungskraftmaschine mit zwei fluiddicht voneinander getrennten Schmierräumen
DE102010013927.0 2010-04-06
PCT/EP2011/054788 WO2011124500A1 (de) 2010-04-06 2011-03-29 Verbrennungskraftmaschine mit zwei fluiddicht voneinander getrennten schmierräum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744A true KR20130030744A (ko) 2013-03-27

Family

ID=44510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6058A KR20130030744A (ko) 2010-04-06 2011-03-29 유체 밀봉 방식으로 서로 분리된 2개의 윤활 챔버를 포함하는 내연기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63715B2 (ko)
JP (1) JP2013524084A (ko)
KR (1) KR20130030744A (ko)
CN (1) CN102844530B (ko)
DE (1) DE102010013927B4 (ko)
WO (1) WO20111245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19075B4 (de) * 2013-09-23 2020-11-2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Multiverriegelung eines Nockenwellenverstellers
DE102017112858A1 (de) * 2017-06-12 2018-12-13 Man Truck & Bus Ag Vorrichtung zur Luftführung mit Kühlraumentlüftung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07793A (en) * 1965-07-16 1968-03-27 Ford Motor Co Reciprocatory internal combustion engine
GB1296830A (ko) 1969-02-21 1972-11-22
JPS5627015A (en) 1979-08-10 1981-03-16 Nissan Motor Co Ltd Diesel engine of light-oil lubrication type
US4756280A (en) * 1984-12-21 1988-07-12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Cooling system for vertical shaft V-type engine
JP2526324B2 (ja) * 1991-08-27 1996-08-2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仕上圧延速度の制御方法
JP2502550Y2 (ja) * 1991-12-27 1996-06-2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タイミングチェ―ンの潤滑構造
DE4304743C2 (de) 1993-02-17 2000-05-11 Audi Ag Antriebsaggregat für ein Kraftfahrzeug
JP3149313B2 (ja) * 1994-05-25 2001-03-2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クランク室過給式エンジンの潤滑装置
US6158404A (en) * 1997-02-26 2000-12-12 Aft Atlas Fahrzeugtechnik Gmbh Apparatus for regulating the operation of an adjusting device
ITTO980060A1 (it) 1998-01-23 1999-07-23 Fiat Ricerche Perfezionamenti ai motori a combustione intenra con valvole ad azionam ento variabile.
DE19853634A1 (de) * 1998-11-20 2000-05-25 Volkswagen Ag Stirnrad-Nockenwellenantrieb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JP4394815B2 (ja) * 2000-09-18 2010-01-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におけるタイミングチェーン潤滑構造
JP2002138898A (ja) * 2000-11-01 2002-05-17 Honda Motor Co Ltd エンジンの動弁機構
WO2003078801A1 (fr) * 2002-02-20 2003-09-25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e deplacement de soupape de moteur
DE102007054376A1 (de) * 2007-11-14 2009-05-20 Schaeffler Kg Hydraulikeinheit für einen Zylinderkopf einer Brennkraftmaschine mit hydraulisch variablem Ventiltrie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44530A (zh) 2012-12-26
US20130000579A1 (en) 2013-01-03
US8863715B2 (en) 2014-10-21
JP2013524084A (ja) 2013-06-17
DE102010013927B4 (de) 2019-03-21
WO2011124500A1 (de) 2011-10-13
DE102010013927A1 (de) 2011-10-06
CN102844530B (zh) 201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4989B2 (en) Energy efficient clean burning two-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230830B2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hydraulic system for variable actuation of the valve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fast filling of the high pressure side of the system
CN103282622A (zh) 包括内燃发动机和发电机的机器组合件
US20130074790A1 (en) Electrohydraulic valve actuator with reciprocating cam
US200502793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tuating an engine valve
CN103452619B (zh) 空气动力发动机的油路系统
CN102374279A (zh) 电动机用齿轮装置
EP1505265A2 (en) Engine for a vehicle
EP0722043A1 (en) Compressed-air supply system for vehicles
KR20130030744A (ko) 유체 밀봉 방식으로 서로 분리된 2개의 윤활 챔버를 포함하는 내연기관
JP5825802B2 (ja) バーチカル型エンジン
CN105756737B (zh) 发动机的气门机构
JP3231192B2 (ja) エンジンにおけるブリーザ装置
JP5629603B2 (ja) 複リンク式可変ストロークエンジン
JP5634297B2 (ja) バーチカル型の複リンク式可変ストロークエンジン
CN202560341U (zh) 空气动力发动机的油路系统
KR101230884B1 (ko) 자동차용 밸브 트레인 구조
CN204609968U (zh) 一种汽油发动机
RU149487U1 (ru)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Mavi et al. A review study on working of electrohydraulic camless engine
KR20130047011A (ko) 자동차용 내연기관의 밸브 트레인 오일공급장치
RU31418U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тяжения цепи или ремня механизма газораспределения двигателя
CN100540875C (zh) 内燃机及密封组件
CN110199097A (zh) 具有带缸套的缸-活塞单元的长度可调的连杆棒
CN110005500A (zh) 一种可任意翻转的四冲程发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