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0350A - 플럭스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 Google Patents
플럭스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30350A KR20130030350A KR1020110093754A KR20110093754A KR20130030350A KR 20130030350 A KR20130030350 A KR 20130030350A KR 1020110093754 A KR1020110093754 A KR 1020110093754A KR 20110093754 A KR20110093754 A KR 20110093754A KR 20130030350 A KR20130030350 A KR 201300303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ux
- crucible
- supply
- gas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8—Feeding additives, powder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6—Refining the metal
- B22D11/117—Refining the metal by treating with ga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8—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 B22D11/181—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 B22D11/182—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by measuring tempera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05—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 B22D41/01—Hea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16—Closures stopper-rod type, i.e. a stopper-rod being positioned downwardly through the vessel and the metal therein, for selective registry with the pouring ope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10—Cruci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공급을 통한 압력 제어 방식을 통해 플럭스를 공급하는 플럭스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럭스 공급장치는, 용강을 수용하는 주형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형으로 플럭스를 공급하는 플럭스 공급장치로서, 일측에 플럭스 공급관이 설치되며, 공급된 플럭스를 저장하는 도가니; 및, 상기 도가니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켜 상기 압력 증가를 통해 상기 플럭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럭스 공급장치는, 용강을 수용하는 주형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형으로 플럭스를 공급하는 플럭스 공급장치로서, 일측에 플럭스 공급관이 설치되며, 공급된 플럭스를 저장하는 도가니; 및, 상기 도가니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켜 상기 압력 증가를 통해 상기 플럭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럭스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 공급을 통한 압력 제어 방식을 통해 플럭스를 공급하는 플럭스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강의 연속 주조 조업 중 용강이 주형 내에 공급될 때 용강뿐만 아니라 부자재인 몰드 플럭스도 투입된다. 몰드 플럭스는 일반적으로 분말 혹은 과립과 같은 고체 상태로 투입되어 주형 내에 공급된 용강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용융되어 용강과 주형 사이의 열전달을 제어하고 윤활능을 향상시킨다.
도 1은 종래의 플럭스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플럭스 공급장치(10)는 몰드 플럭스 공급원(20)과, 몰드 플럭스 공급원(20)으로부터 가용해된 몰드 플럭스를 수용하는 흑연계 재질로 이루어진 도가니(30)와, 상기 도가니(30)에 장입된 몰드 플럭스를 용융시키기 위해 도가니(30) 둘레에 구비되는 열선과 같은 가열 수단(40)과, 도가니(30)에서 용융된 몰드 몰럭스를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배출 노즐(50)과 상기 배출 노즐(50)을 개폐하여 토출되는 액상의 몰드 플럭스(3)의 유량을 제어하는 스토퍼(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미설명 도면부호 70은 주형이며, 80은 주형(70)에 턴디쉬(미도시) 내의 용강을 안내하여 토출하는 침지 노즐이고, 90은 탕면 커버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몰드 플럭스의 배출을 제어하는 스토퍼(60)가 도가니(30) 내부에서 고온 상태의 몰드 플럭스와 접촉하므로,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스토퍼(60)는 몰드 플럭스의 고온을 전달받아 열팽창되어 형상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장시간의 플럭스 공급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스토퍼(60)가 점차적으로 열변형되어 몰드 플럭스 배출구를 정확하게 폐쇄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몰드 플럭스의 공급량 제어를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과제는 가스 공급을 통한 압력 제어 방식을 통해 플럭스를 주형 측으로 공급하는 플럭스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기술적 과제는 보다 단순한 구조이면서도 효율적으로 플럭스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플럭스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럭스 공급장치는,
용강을 수용하는 주형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형으로 플럭스를 공급하는 플럭스 공급장치로서, 일측에 플럭스 공급관이 설치되며, 공급된 플럭스를 저장하는 도가니; 및, 상기 도가니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켜 상기 압력 증가를 통해 상기 플럭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 공급부는, 불활성 가스가 저장되는 가스 저장탱크; 상기 가스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불활성 가스가 유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스 공급관; 및, 상기 가스 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불활성 가스의 공급 압력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가니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단열벽; 및, 상기 단열벽을 감싸면서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스는, 상기 도가니의 내부 공간, 상기 도가니와 상기 단열벽의 사이 공간 및 상기 단열벽과 상기 케이싱의 사이 공간 중 적어도 한군데 이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단열벽에는 상기 도가니 내부에 저장된 플럭스 및 상기 도가니 외부로 배출되는 플럭스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히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가니 내부에 저장된 플럭스가 압력에 의해 상승 이동하는 상승 이동관과, 상단부가 상기 상승 이동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하단부가 상기 케이싱 외부로 노출되는 하강 이동관을 포함하는 플럭스 이동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럭스 이동관에 연통되며, 상단부가 상기 케이싱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플럭스 이동관에 외기를 공급하는 에어 벤트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가니와 상기 플럭스 이동관은 내산화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산화성 금속은 스테인레스 계열의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가니 내부에 저장된 플럭스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럭스의 배출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플럭스 배출 유량계가 더 구비되며, 상기 온도센서를 통한 플럭스의 측정 온도를 전달받아 설정 기준치와 비교한 후 상기 가열히터의 발열량을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플럭스 배출 유량계의 측정 유량값을 전달받아 상기 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럭스 공급방법은,
도가니 내부에 저장된 플럭스를 도가니 외부로 공급하는 플럭스 공급방법으로서, 상기 도가니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과정; 증가된 압력에 의해 상기 도가니 내부에 저장된 플럭스를 상승 및 하강 이동시켜서 도가니 외부로 플럭스를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도가니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과정은, 상기 도가니 내부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여 도가니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증가된 압력에 의해 상기 도가니 내부에 저장된 플럭스를 상승 및 하강 이동시켜서 도가니 외부를 플럭스를 공급하는 과정은, 상기 도가니에 설치된 상승 이동관을 통해 상기 플럭스를 상승시키고 상기 상승 이동관과 연통하여 설치된 하강 이동관을 통해 상기 상승된 플럭스를 하강시킨다.
상기 상승 이동관에 외기를 공급하여 상기 플럭스가 상승되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플럭스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가스 공급을 통한 압력 제어 방식을 통해 플럭스를 주형 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장시간 작업 후에도 효율적이면서 정확하게 플럭스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종래 플럭스 공급을 제어하는 스토퍼 등의 장치를 생략하여 보다 단순한 구조이면서도 효율적으로 플럭스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 등의 장치를 생략하여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스토퍼의 변형 문제에 따른 생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럭스 공급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럭스 공급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럭스 공급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럭스 공급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럭스 공급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럭스 공급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럭스 공급장치는, 용강을 수용하는 주형(70)의 상측에 설치되어 주형(70)으로 플럭스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일측에 플럭스 공급관(100)이 설치되며 공급된 플럭스를 저장하는 도가니(310)와, 도가니(310)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켜 압력 증가를 통해 플럭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500: 510, 520, 530)를 포함한다. 한편, 종래에는 플럭스의 공급 및 차단을 위해 스토퍼 장치 및 슬라이딩 게이트 등의 별도 장치가 구비되는데 반해, 본 발명은 가스 공급에 의해 도가니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이러한 압력 증가를 통해 플럭스를 배출하여 주형(70)으로 공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플럭스 공급의 on/off를 위한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순하고 컴팩트한 구조의 설계가 가능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플럭스는 분말형일 수도 있고, 액상형일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플럭스는 용융 몰드 플럭스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럭스 공급장치는, 도가니(310)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단열벽(320)과, 단열벽(320)을 감싸면서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330)을 포함하는 3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가니(310)와 단열벽(320) 사이, 단열벽(320)과 케이싱(330) 사이에는 후술하는 불활성 가스 공급을 위해 일정 이상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도가니(310)는 일정량 이상의 플럭스가 공급되어 저장되는 곳으로서, 일측에는 플럭스 저장탱크(미도시)로부터 플럭스를 공급받기 위한 플럭스 공급관(100)이 설치된다. 한편, 종래에는 도가니(310) 자체를 구성하거나 도가니(310)의 내벽을 구성하는 재질로서 그라파이트(graphite), 내화물 등과 같은 소결(sintered) 재질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소결 재질은 플럭스와 반응하여 화학적으로 침식되거나 플럭스의 조성을 변화시키는 문제점을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플럭스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을 내산화성 금속의 재질로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도가니(310) 및 플럭스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후술하는 플럭스 이동관(400: 410, 420)의 재질을 내산화성 금속으로 적용하며, 구체적으로 내산화성 금속은 플럭스에 쉽게 침식이나 부식되지 않는 스테인레스 계열의 소재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벽(320)은 도가니(310) 내부에 저장된 플럭스의 온도 하락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외부에 대해 상기 플럭스를 단열하는 것으로서, 일 예로 세라믹 계열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단열벽은, 도가니(310)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도가니(310) 내부에 저장된 플럭스의 온도 하락을 최대한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열벽(320)에는 도가니(310) 내부에 저장된 플럭스 및 도가니(310) 외부로 배출되는 플럭스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히터(340: 341, 342)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가열히터(340)는 주형(70)으로 플럭스가 공급되기 전까지 플럭스의 온도 하락을 최대한 방지하는 것으로서, 도가니(310)의 측부에 설치되어 도가니(310)에 저장된 플럭스를 가열하는 제1 가열히터(341)와, 도가니(310)의 상측에 설치되어 도가니(310)로부터 배출된 플럭스를 가열하는 제2 가열히터(3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가열히터(341, 342)는 후술하는 제어부(700)에 의해 발열 온도의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케이싱(330)은 단열벽(320)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불활성 가스의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내압의 철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가니(310) 및 단열벽(320)에는, 도가니(310) 내부의 플럭스가 상승 이동하여 도가니(310)로부터 배출된 후 다시 하강하여 케이싱(330) 외부로 배출되도록 플럭스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플럭스 이동관(400: 410, 420)이 설치된다. 여기서, 플럭스 이동관(400)은 실질적으로 n자형으로 형성되며, 하단부가 도가니(310) 내부에 저장된 플럭스에 침지되도록 설치되는 상승 이동관(410)과, 상단부가 상승 이동관(410)과 연통되도록 벤딩되며 하단부가 케이싱(330) 외부로 노출되는 하강 이동관(4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의 공급에 의해 플럭스가 배출되는 구조로서, 가스는, 도가니(310)의 내부 공간, 도가니(310)와 단열벽(320)의 사이 공간 및 단열벽(320)과 케이싱(330)의 사이 공간 중 적어도 한군데 이상으로 공급된다. 즉, 상기 3군데 중 어느 공간으로 가스가 공급되어도 도가니(310) 내부의 압력 증가를 발생시킴으로써, 이러한 압력 증가에 의해 플럭스가 배출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가스 공급에 의한 보다 효율적인 압력 증가를 발생시켜 플럭스가 신속하게 도가니(310)로부터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서, 가스는 도가니(310) 내부로 직접 공급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플럭스의 배출을 위해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500: 510, 520, 530)는, 불활성 가스가 저장되는 가스 저장탱크(510)와, 가스 저장탱크(510)와 연결되어 불활성 가스가 유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스 공급관(520)과, 가스 공급관(520)에 설치되어 불활성 가스의 공급 압력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530)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가스 공급관(520)의 단부가 도가니(310)와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스 공급관(520)은 케이싱(330)과 단열벽(320)의 사이 공간 및 단열벽(320)과 도가니(310)의 사이 공간 중 어느 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일 예로 불활성 가스가 가스 공급관(520)을 경유하여 도가니(310) 내부로 공급되면, 도가니(310) 내부의 압력 증가가 발생하게 되고 압력 증가에 의해 도가니(310) 내부의 플럭스는 상승 이동관(410)과 하강 이동관(420)을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케이싱(33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플럭스 이동관(400)에 연통되며, 상단부가 케이싱(330) 외부로 노출되는 에어 벤트관(43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 벤트관(430)은 외기가 플럭스 이동관(4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플럭스의 보다 정확한 공급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외기가 에어 벤트관(430) 내부로 유입되면 상승 이동관(410) 내에서 플럭스와 압력 평형을 이루며, 이 압력 평형에 의해 플럭스는 상승 이동관(410) 내에서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플럭스는 하강 이동관(420)을 경유하지 못하게 되어 외부로의 플럭스의 배출 저지를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어부(700)를 통해 솔래노이드 밸브(530)가 작동하여 불활성 가스의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에어 벤트관(430)을 통한 외기의 공급이 중단되면 가스 공급관(520)을 통해 공급되는 불활성 가스에 의해 다시 압력이 증가하여 플럭스가 상승 이동관(410) 및 하강 이동관(420)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가니(310) 내부의 용강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6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600)는 케이싱(330), 단열벽(320), 및 도가니(310)를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그 하단부가 도가니(310)의 바닥 부근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00)는 상기 온도센서(600)를 통해 플럭스의 측정 온도를 전달받고, 이를 미리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한 후, 가열히터(340: 341, 342)의 발열량을 적절하게 제어하여 도가니(310) 내부의 플럭스의 온도를 조절한다.
한편, 상기 플럭스 이동관(400)에는 플럭스의 배출 유량을 측정하는 플럭스 배출 유량계(800)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700)는 플럭스 배출 유량계(800)로부터 측정 유량값을 전달받아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530)의 개폐를 제어하여 불활성 가스의 공급량을 제어하고, 이에 따라 플럭스의 배출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스 공급을 통한 압력 제어 방식을 통해 플럭스를 주형 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장시간 작업 후에도 효율적이면서 정확하게 플럭스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종래 플럭스 공급을 제어하는 스토퍼 등의 장치를 생략하여 보다 단순한 구조이면서도 효율적으로 플럭스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 등의 장치를 생략하여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스토퍼의 변형 문제에 따른 생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럭스 공급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럭스 공급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플럭스는 예를 들어 용융 몰드 플럭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가니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킨다.(S10) 즉, 도가니(310)의 내부 공간, 도가니(310)와 단열벽(320)의 사이 공간 및 단열벽(320)과 케이싱(330)의 사이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공간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여 도가니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특히, 불활성 가스 공급에 의한 압력 증가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해 불활성 가스는 도가니(310) 내부로 직접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도가니 내부의 증가된 압력에 의해 플럭스를 상승시킨다.(S20) 즉, 도가니에 설치된 상승 이동관(410)을 통해 플럭스를 상승시키고 상승 이동관과 연통하여 설치된 하강 이동관(420)을 통해 상승된 플럭스를 하강시켜서 도가니 외부(예를 들어 주형(70))로 플럭스를 공급한다.
이때, 플럭스를 계속해서 공급할 지 여부를 결정한다.(S30) 즉, 연속 주조 공정을 계속해서 진행하는 경우에는 플럭스를 공급하고, 연속 주조 공정을 중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플럭스의 공급을 중단한다.
플럭스를 계속해서 공급하는 경우에는 에어 벤트관(430)을 통해 상승 이동관(410)으로 외기가 공급되는 것을 막기 위해 에어 벤트관(430)을 오프(off)한다.(S40) 즉, 상승 이동관(410)으로 외기가 공급되지 않도록 에어 벤트관을 막는다.
플럭스 공급을 중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에어 벤트관(430)을 통해 상승 이동관(410)으로 외기가 공급되도록 에어 벤트관(430)을 온(on)한다.(S50) 즉, 상승 이동관(410)으로 외기가 공급되도록 에어 벤트관을 오픈한다. 외기가 에어 벤트관(430) 내부로 유입되면 상승 이동관(410) 내에서 플럭스와 압력 평형을 이루며, 이 압력 평형에 의해 플럭스는 상승 이동관(410) 내에서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플럭스는 하강 이동관(420)을 경유하지 못하게 되어 외부로의 플럭스 배출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에어 벤트관(430)이 오프 상태를 유지하면 상승 이동관(410)을 통해 상승된 플럭스는 상승 이동관과 연통하여 설치된 하강 이동관(420)에 의해 하강되어 도가니 외부로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럭스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플럭스 공급관 310 : 도가니
320 : 단열벽 330 : 케이싱
340 : 가열히터 400 : 플럭스 이동관
410 : 상승 이동관 420 : 하강 이동관
430 : 에어 벤트관 500 : 가스 공급부
600 : 온도센서 700 : 제어부
320 : 단열벽 330 : 케이싱
340 : 가열히터 400 : 플럭스 이동관
410 : 상승 이동관 420 : 하강 이동관
430 : 에어 벤트관 500 : 가스 공급부
600 : 온도센서 700 : 제어부
Claims (13)
- 용강을 수용하는 주형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형으로 플럭스를 공급하는 플럭스 공급장치로서,
일측에 플럭스 공급관이 설치되며, 공급된 플럭스를 저장하는 도가니; 및,
상기 도가니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켜 상기 압력 증가를 통해 상기 플럭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를 포함하는 플럭스 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부는,
불활성 가스가 저장되는 가스 저장탱크;
상기 가스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불활성 가스가 유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스 공급관; 및
상기 가스 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불활성 가스의 공급 압력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플럭스 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단열벽; 및
상기 단열벽을 감싸면서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스는, 상기 도가니의 내부 공간, 상기 도가니와 상기 단열벽의 사이 공간 및 상기 단열벽과 상기 케이싱의 사이 공간 중 적어도 한군데 이상으로 공급되는 플럭스 공급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벽에는 상기 도가니 내부에 저장된 플럭스 및 상기 도가니 외부로 배출되는 플럭스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히터가 더 설치되는 플럭스 공급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 내부에 저장된 플럭스가 압력에 의해 상승 이동하는 상승 이동관과, 상단부가 상기 상승 이동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하단부가 상기 케이싱 외부로 노출되는 하강 이동관으로 이루어진 플럭스 이동관을 포함하는 플럭스 공급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럭스 이동관에 연통되며, 상단부가 상기 케이싱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플럭스 이동관에 외기를 공급하는 에어 벤트관을 포함하는 플럭스 공급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와 상기 플럭스 이동관은 내산화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플럭스 공급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산화성 금속은 스테인레스 계열의 소재인 플럭스 공급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 내부에 저장된 플럭스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플럭스 공급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럭스의 배출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플럭스 배출 유량계가 더 구비되며,
상기 온도센서를 통한 플럭스의 측정 온도를 전달받아 설정 기준치와 비교한 후 상기 가열히터의 발열량을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플럭스 배출 유량계의 측정 유량값을 전달받아 상기 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는 플럭스 공급장치.
- 도가니 내부에 저장된 플럭스를 도가니 외부로 공급하는 플럭스 공급방법으로서,
상기 도가니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과정;
증가된 압력에 의해 상기 도가니 내부에 저장된 플럭스를 상승 및 하강 이동시켜서 도가니 외부로 플럭스를 공급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플럭스 공급방법.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과정은, 상기 도가니 내부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여 도가니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증가된 압력에 의해 상기 도가니 내부에 저장된 플럭스를 상승 및 하강 이동시켜서 도가니 외부를 플럭스를 공급하는 과정은, 상기 도가니에 설치된 상승 이동관을 통해 상기 플럭스를 상승시키고 상기 상승 이동관과 연통하여 설치된 하강 이동관을 통해 상기 상승된 플럭스를 하강시키는 플럭스 공급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상승 이동관에 외기를 공급하여 상기 플럭스가 상승되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플럭스의 공급을 조절하는 플럭스 공급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3754A KR101367301B1 (ko) | 2011-09-17 | 2011-09-17 | 플럭스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3754A KR101367301B1 (ko) | 2011-09-17 | 2011-09-17 | 플럭스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0350A true KR20130030350A (ko) | 2013-03-27 |
KR101367301B1 KR101367301B1 (ko) | 2014-02-28 |
Family
ID=48179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3754A KR101367301B1 (ko) | 2011-09-17 | 2011-09-17 | 플럭스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730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683271B2 (en) | 2012-10-10 | 2017-06-20 | Posco | Impeller and method of melt-pool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
CN110438430A (zh) * | 2019-08-19 | 2019-11-12 | 四川航天燎原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自动搪锡机的助焊剂液面稳定控制系统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0934B1 (ko) | 2016-12-12 | 2019-07-17 | 주식회사 포스코 | 탈린 플럭스 및 그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136555A (en) * | 1979-04-11 | 1980-10-24 | Hitachi Ltd | Low-pressure casting method |
FR2766209B1 (fr) * | 1997-07-16 | 1999-08-27 | Pechiney Aluminium | Cuve de traitement de metal liquide inertee |
JP2005088070A (ja) * | 2003-09-19 | 2005-04-07 | Asahi Tec Corp | 溶湯移送ポンプ、溶湯移送装置、及び溶湯移送方法 |
KR100749026B1 (ko) * | 2006-06-23 | 2007-08-13 | 주식회사 포스코 | 용융 몰드플럭스를 이용한 연속 주조 장치 |
-
2011
- 2011-09-17 KR KR1020110093754A patent/KR101367301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683271B2 (en) | 2012-10-10 | 2017-06-20 | Posco | Impeller and method of melt-pool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
CN110438430A (zh) * | 2019-08-19 | 2019-11-12 | 四川航天燎原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自动搪锡机的助焊剂液面稳定控制系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67301B1 (ko) | 2014-0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55643B1 (ko) | 용해로 | |
KR101367301B1 (ko) | 플럭스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 |
KR101114422B1 (ko) |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 및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방법 | |
RU2005136813A (ru) |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отока, а также донное выпуск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ой емкости | |
EP0366310B1 (en) | Dispensing apparatus for molten metal and method thereto | |
KR101199951B1 (ko) | 파우더 이송관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파우더 공급 장치 | |
CZ47899A3 (cs) | Zařízení pro vakuové odplyňování roztaveného skla a způsob zvýšení teploty u tohoto zařízení | |
EP1820585B1 (en) | Holding furnace for supplying fixed amount of molten metal | |
JP4821549B2 (ja) | 溶解保持装置 | |
JP2005076972A (ja) | 溶解保持炉制御装置 | |
KR101499753B1 (ko) | 용탕 정량 공급시스템 | |
JPH037468B2 (ko) | ||
KR101795471B1 (ko) | 합금강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금강 제조방법 | |
CN107999721B (zh) | 射出成形机 | |
KR101499319B1 (ko) |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 및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모니터링 설비 | |
DK2772561T3 (en) | Device for covering the product | |
JP6217324B2 (ja) | 低圧鋳造用溶湯保持炉の注湯槽の湯面高さ制御方法 | |
KR101315354B1 (ko) | 출구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플럭스 용융공급장치 | |
JP2018069293A (ja) | 金属材料の溶解供給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減圧鋳造装置 | |
JP2010089135A (ja) | 鋳造溶湯保持炉 | |
KR102239241B1 (ko) | 노즐 막힘 방지장치 및 노즐 막힘 방지방법 | |
JP2008209040A (ja) | プラズマ式溶融炉の運転制御方法及び装置 | |
JPH0539818Y2 (ko) | ||
JP4431078B2 (ja) | 溶湯定量供給用保持炉 | |
KR100661631B1 (ko) | 수직 반연속주조용 보온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