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319B1 -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 및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모니터링 설비 - Google Patents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 및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모니터링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319B1
KR101499319B1 KR1020130049366A KR20130049366A KR101499319B1 KR 101499319 B1 KR101499319 B1 KR 101499319B1 KR 1020130049366 A KR1020130049366 A KR 1020130049366A KR 20130049366 A KR20130049366 A KR 20130049366A KR 101499319 B1 KR101499319 B1 KR 101499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got
molten metal
plating
strip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0865A (ko
Inventor
최진혁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9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319B1/ko
Publication of KR20140130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23C2/0035Means for continuously moving substrate through, into or out of the bath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50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해되는 용탕이 저장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스트립이 함침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 내부의 용탕 레벨이 기설정되는 기준 레벨을 유지하도록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잉곳을 가열 용해하여 상기 용기부의 내부로 공급하는 잉곳 공급부를 포함하는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 및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모니터링 설비{APPARATUS FOR MANUFACTURING GALVANIZED STEEL-SHEET AND MONITORING EQUIPMENT FOR MANUFACTURING GALVANIZED STEEL-SHEET}
본 발명은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의 품질이 우수한 외판용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 및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모니터링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외판용으로 사용되는 용융아연도금강판은 용융도금 욕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표면 이물 혼입을 배제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이다.
통상, 아연도금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용융도금 욕조의 아연이 소모되어 새로운 아연을 추가로 보급해주어야 한다.
이러한 아연보급은 잉곳 장입 장치를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중량이 1~2ton 정도로 상온인 상태로 장입 시 그 주변부 온도가 욕 온도인 465도보다 하강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중량이 1톤이상인 Ingot를 한 번에 욕 중으로 침강시키면 욕면에 흔들림이 발생하고 그 여파가 도금 욕에 침적되어 있는 스나우트 내부의 욕면 출렁임을 유발시켜 스나우트 내 욕면에 부유하는 드로스, Ash 등의 이물이 스트립 표면에 혼입되어 표면불량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통상, 욕 중에는 도금을 위하여 연속 장입되는 스트립에서 용출한 Fe와 Zn이 결합하여 형성된 비중이 무거운 Bottom Dross(FeZn7)나 Fe가 욕중 첨가원소로 용해되어 있는 Al과 결합하여 형성된 부유 Dross(Fe2Al5) 등이 침강하거나 부유하는 상태로 존재해 있다.
이 드로스는 욕 중 유동에 의하여 스트립 표면에 부착하여 이후 강판을 프레스 성형할 때 눌림 자욱 결함이나 금형 손상 등의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따라서 욕 중에는 가능한 한 드로스가 발생치 않도록 해야 한다.
드로스가 생성되는 원인은 Fe나 Al이 욕 중에서 용해도이상의 농도로 존재할 때 과잉의 Fe가 욕 중으로 석출하는 현상에 기인한다.
일반적으로 용해도는 욕 온도가 낮을 때, 즉 잉곳이 장입될 때 잉곳 공급주위의 욕 온도가 크게 저하하여 드로스 발생을 피할 수 없는 환경이 조성되어 자동차 외판용 GI 또는 GA제품을 생산하는 경우 주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외판용 GI 및 GA강판을 제조할 경우 잉곳 장입 순간의 욕면 출렁임에 기인하는 표면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잉곳 장입 속도를 매우 천천히 조정하든가 몇 단계를 거쳐 아연 욕에 보충하는 잉곳 장입 상의 제어기술을 요구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 외판재 제조라인에서는 이러한 잉곳 장입 시 주변부 욕 온도 저하 현상과 욕면 출렁임을 개선하기 위하여 미리 아연 잉곳을 용해하여 용융아연 상태로 메인 욕조에 공급하는 예비 욕조(Pre-Melting Pot)를 운영하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별도의 도금욕을 운영하는데 따르는 설비공간의 확보와 투자비의 증대가 모든 도금라인에 적용하는 걸림돌이 되고 있으며, 특히 기 설치된 도금라인에서 외판재를 생산할 경우 표면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드로스 발생을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예비 욕조를 적용하려 할 때 상기의 설치공간 확보가 어려워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표면품질이 우수한 자동차 외판용 GI 및 GA 제품을 양산하기 위해서는 용탕 레벨의 변동을 최소화하면서 욕온도 저하를 야기하지 않는 잉곳 장입 기술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53849호(공개일 : 2011년 05월 24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드로스 증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연속 용융 아연 도금조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탕의 부유 이물이 스트립에 혼입되는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 및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모니터링 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잉곳이 장입됨에 따른 용탕의 온도가 급격하게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여 드로스 발생을 억제하여 제품의 표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 및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모니터링 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용해되는 용탕이 저장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스트립이 함침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 내부의 용탕 레벨이 기설정되는 기준 레벨을 유지하도록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잉곳을 가열 용해하여 상기 용기부의 내부로 공급하는 잉곳 공급부를 포함하는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용기부는, 용탕이 일정량 저장되며, 상부가 개구되는 도금조와, 상기 도금조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스트립을 유입시켜 상기 용탕의 내부로 안내하고, 일단이 상기 용탕의 내부에 위치되는 스트립 유입 부재와, 상기 도금조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스트립 유입 부재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스트립을 용탕에 함침 및 함침 후 상기 도금조의 상부로 인출시키는 다수의 롤러를 갖는 스트립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잉곳 공급부는, 상기 도금조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잉곳을 그립하고,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그립한 상기 잉곳을 상기 도금조의 내부를 향해 하강시키는 하강 경로를 형성하는 잉곳 장입기와, 상기 잉곳 장입기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강되는 상기 잉곳의 하강 경로를 에워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강 경로를 따라 하강되는 잉곳을 가열하여 용해하는 가열기와, 상기 도금조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도금조 내에 저장되는 용탕의 레벨을 측정하는 용탕 레벨 측정기와, 측정한 상기 용탕의 레벨이 기설정된 기준 레벨을 형성하도록, 상기 잉곳 장입기를 사용하여 잉곳을 하강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고, 상기 가열기를 사용하여 이동되는 상기 잉곳을 용해하여 상기 도금조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기는, 상기 잉곳의 하강 경로를 에워싸도록 상하로 개구되는 가열 공간을 형성하며, 내화재로 형성되는 가열기 몸체와, 상기 가열기 몸체에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하강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잉곳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는 다수의 히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히터는, 외부로부터 공기 및 가스를 공급받아 발회되어 상기 잉곳을 가열하는 가스 버너 방식 또는, 유도 가열 방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기는, 용탕의 공급을 안내하는 용탕 안내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용탕 안내부는, 상기 가열기 몸체의 둘레에서 상기 도금조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열기 몸체의 하방을 따라 연장되는 수직 격벽과, 상기 수직 격벽의 내부에 다층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가열 공간에서 용해되는 용탕이 상기 도금조의 내부로 서로 다른 위치의 안내홀들을 통해 공급되도록 하는 다수의 격리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홀들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격리판은 하방을 향해 구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금조의 내벽과 이격되는 상기 수직 격벽의 하단에는, 상기 도금조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수직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차폐판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잉곳 공급부는, 잉곳 장입 감지기를 구비한다.
상기 잉곳 장입 감지기는, 상기 하강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잉곳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감지 여부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잉곳이 존재하지 않음에 대한 신호를 전송 받으면, 상기 가열기의 구동을 중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용탕의 부유 이물이 스트립에 혼입되는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잉곳이 장입됨에 따른 용탕의 온도가 급격하게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여 드로스 발생을 억제하여 제품의 표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가열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용탕 안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격리판의 구배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 및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모니터링 설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의 직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의 직동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는 크게 용기부(100)와, 잉곳 공급부(200)로 구성된다.
용기부(100)
본 발명에 따르는 용기부(100)는 도금조(110)와, 스트립 유입 부재(120)와, 스트립 이동 부재(130)로 구성된다.
상기 도금조(110)는 일정량의 용탕(1)이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된다.
상기 스트립 유입 부재(120)는 상기 도금조(110)의 상부에 세워져 배치되며, 바람직하게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스트립 유입 부재(120)의 일단, 즉 하단 일부는 도금조(110)의 저장 공간에 저장되는 용탕(1)에 잠기도록 용탕(1)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스크립 유입 부재(120)를 통해, 스트립(S)은 연속적으로 도금조(110)의 용탕(1) 내부로 이동이 안내된다.
상기 스트립 이동 부재(130)는 싱크롤(131)과, 콜렉팅 롤(132)과, 에어 나이프(133)로 구성된다.
상기 싱크롤(131)은, 도금조(110)의 저장 공간에서 스트립 유입 부재(120)의 하단과 하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싱크롤(131)은 회전에 의해 스트립 유입 부재(120)로부터 안내되는 스트립(S)을 용탕(1)에 내부에 함침되는 상태를 유지하여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콜렉팅 롤(132)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싱크롤(131)로부터 안내되는 스트립(S)을 도금조(110)의 상방을 따라 이동을 안내한다.
그리고, 에어 나이프(133)는 도금조(110)의 상방에 배치되며, 함침 후 용탕(1)으로부터 인출되는 스트립(S)의 외면을 에어를 사용하여 크리닝하는 역할을 한다.
잉곳 공급부(200)
본 발명에 따르는 잉곳 공급부(200)는 용기부(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100) 내부의 용탕 레벨이 기설정되는 기준 레벨을 유지하도록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잉곳(10)을 가열 용해하여 상기 용기부(100)의 내부로 공급한다.
상기 잉곳 공급부(200)는 잉곳 장입기(210)와, 가열기(220)와, 용탕 레벨 측정기(240)와, 제어기(260)로 구성된다.
상기 잉곳 장입기(210)는 도금조(110)의 저장 공간의 일측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잉곳 장입기(210)는 잉곳(10)을 그립하고, 그립한 잉곳(10)을 하강 경로(p)를 따라 이동시킨다.
상기 잉곳 장입기(210)는 승강기와 같은 장치로서, 제어기(26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그립한 잉곳(10)을 하강시킨다.
상기 가열기(220)는 상기 하강 경로(p) 상에 위치되며, 상기 도금조(110)의 저장 공간 일측 상단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열기(220)는 도금조(110)의 일측 테두리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좋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가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가열기(220)는 가열기 몸체(221)와, 히터들(222)로 구성된다.
상기 가열기 몸체(221)는 상하가 관통되는 사각틀 형상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열기 몸체(221)는 내화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열기 몸체의 내측벽은 내화 벽돌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열기 몸체(221)의 중앙에 형성되는 홀은 실질적으로 잉곳(10)이 하강되어 이동되는 홀로서, 잉곳(10)이 가열되는 가열 공간(a)을 형성한다.
따라서, 잉곳(10)은 가열 공간(a)을 통해 하강되면서 히터들(222)에 의해 가열되어 용해될 수 있다.
상기 히터들(222)은 가스 버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 버너인 히터들(222)은 가열기 몸체(221)에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며, 가열기 몸체(221)의 상하를 따라 균등 간격을 이루어 설치된다.
상기 히터들(222)은 공기 주입 라인과 가스 주입 라인과 연결되고, 이들은 각각 개폐 밸브(v1,v2)를 갖는다.
상기 공기 주입 라인은 외부 공기를 히터들(222)로 공급하고, 가스 주입 라인은 가스를 히터들(222)로 공급한다.
또한, 각각의 개폐 밸브(v1,v2)는 제어기(260)와 연결되고, 제어기(26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통해, 개폐 정도가 조절되어 공기 및 가스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히터들(222)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스 버너 방식 이외에 유도 가열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용탕 레벨 측정기(240)는 도금조(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도금조(110)에 저장되는 용탕(1)의 레벨을 측정한다.
상기 용탕 레벨 측정기(240)는 거리 측정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또는 광센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탕 레벨은, 도금조(110)의 바닥면 까지의 거리값과, 실제 용탕면까지의 거리값의 차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260)는 기준 레벨이 기설정된다. 상기 기준 레벨은 일정의 오차 범위를 포함한다. 상기 오차 범위는 1mm 로 설정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제어기(260)는 측정한 상기 용탕의 레벨이 기설정된 기준 레벨을 형성하도록, 상기 잉곳 장입기(210)를 사용하여 잉곳(10)을 하강 경로(p)를 따라 이동시키고, 상기 가열기(220)를 사용하여 이동되는 상기 잉곳(10)을 용해하여 상기 도금조(110)의 내부로 공급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가열기(220)는 용탕 안내부(230)를 더 갖는다.
상기 용탕 안내부(230)는 상기 가열기 몸체(221)의 둘레에서 상기 도금조(11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열기 몸체(221)의 하방을 따라 연장되는 수직 격벽(231)과, 상기 수직 격벽(231)의 내부에 다층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가열 공간(a)에서 용해되는 용해물이 상기 도금조(110)의 내부로 서로 다른 위치의 안내홀들(233a,234a)을 통해 공급되도록 하는 다수의 격리판(233,23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격리판들(233,234)에 형성되는 안내홀들(233a,234a)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홀들(233a,234a)의 크기는 격리판들(233,234)에서 하방을 따라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격리판(233',234')은 하방을 향해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잉곳(10)이 용해되어 용해물이 격리판(233',234')의 구배를 통해 하방으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도금조(110)의 내벽과 이격되는 상기 수직 격벽(231)의 하단에는 상기 도금조(11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수직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차폐판(232)이 더 설치된다.
상기 차폐판(232)이 설치됨으로 인해, 잉곳(10)이 용해되는 용해물이 하방으로 유동되어 도금조(110) 내부의 스트립 이동 영역으로 급격히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잉곳 공급부(200)는, 잉곳 장입 감지기(250)를 구비하되,
상기 잉곳 장입 감지기(250)는 상기 하강 경로(p)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잉곳(10)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감지 여부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기(26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기(260)는 상기 잉곳(10)이 존재하지 않음에 대한 신호를 전송 받으면, 상기 가열기(220)의 구동을 중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모니터링 설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의 직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의 직동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는 다수로 구성되고, 각각의 용탕 레벨 측정기(240)는 제어기(260)와 연결되고, 제어기(260)는 각각의 용탕 레벨 측정기(240)에서 측정되는 레벨을 외부에 표시하는 모니터들(50)과 연결된다.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 하면, 스트립(S)은 스트립 유입 부재(120)로부터 외부에 유입되고, 도금조(110)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용탕(1)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내부로 유입된 스트립(S)은 스트립 이동 부재(130)를 통해 용탕(1)에 함침되는 상태로 이동하여 도금조(110)의 상부를 통해 인출된다.
도금조(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용탕 레벨 측정기(250)는 도금조(110)의 내부에 저장된 용탕(1)의 레벨을 측정하고, 측정한 레벨을 제어기(26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기(260)는 측정한 용탕 레벨(Lm)이 기설정된 기준 레벨(Ls)에 동일한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레벨(Ls)은 일정의 오차 범위( 1mm)를 포함한다.
여기서, 측정한 용탕 레벨(Lm)이 기준 레벨(Ls) 보다 낮은 경우, 제어기(260)는 잉곳 장입기(210)를 사용하여 잉곳(10)을 그립한 상태로 하강 경로(p)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때, 하강 경로(p) 근방에 설치되는 잉곳 장입 감지기(250)는 잉곳(10)의 하강 경로(p)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잉곳(10)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고, 감지 여부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기(26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기(260)는 상기 잉곳(10)이 존재하는 경우 잉곳 장입기(210)의 구동을 유지한다.
이어, 상기 잉곳(10)은 잉곳 장입기(210)의 하강 동작을 통해 하강 경로(p)를 따라 이동된다.
이동되는 잉곳(10)은 가열기(220)에 형성되는 가열 공간(a)에 인입된다.
여기서, 제어기(260)는 가열기(220)의 히터들(222)로 가스 및 공기를 일정량으로 주입되도록 개폐 밸브들(v1,v2)의 구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가스 버너와 같은 히터들(222)은 가열 공간(a)으로 인입되는 잉곳(10)을 가열할 수 있다. 이어, 가열되는 잉곳(10)은 용해되어 하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하방으로 유동되는 용해물은 가열기 몸체(221)의 하방에 연장 형성되는 수직 격벽(231)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되면서, 다층을 이루는 격리판(233,234)에 낙하된다.
격리판(233,234)에 낙하되는 용해물은 각각의 격리판(233,234)에 형성되는 안내홀(233a,234a)을 통해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유동된다.
따라서, 잉곳(10)이 가열되어 형성되는 용해물은 각각의 격리판(233,234)을 통해 순차적으로 낙하되어 각각의 안내홀(233a,234a)을 통해 도금조(110)의 내부 용탕에 서서히 유입되기 때문에, 용해물과 용탕(1)과의 급격한 혼합으로 인한 드로스 생성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가열기(220)에서 용해된 아연은 도금조(110)의 내부 용탕(1)의 성분 대비 알루미늄(Al)이 높고 철(Fe)이 낮기 때문에, 이 아연이 급격히 용탕과 혼입되면, 성분변동에 따른 국부적인 포화도 변화가 발생되고, 드로스 생성의 주 요인이 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격리판(233,234)을 통해 하부로 유동되는 용해물은 수직 격벽(23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차폐판(232)에 의해 용탕(1)에 혼입되더라도 스트립(S)이 유동되는 영역으로 급격히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해물이 용탕(1)으로 혼입되면서, 스트립 이동 영역으로 급격히 혼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 역시 드로스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측정되는 용탕 레벨(Lm)이 기설정된 기준 레벨(Ls)에 이를 때까지 상기의 과정을 반복한다.
한편, 잉곳 장입 감지기(240)를 통해, 하강 경로(p) 상에 잉곳(10)이 존재하지 않음에 대한 신호가 발생되면, 제어기(260)는 잉곳 장입기(210)를 사용하여 새로운 잉곳을 그립하여 하강 경로(p)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상온의 잉곳을 직접 도금조 내에 침강시켜 욕온 저하현상이 초래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용탕면에 잉곳을 안치시킨 상태에서 일정량의 아연을 용해, 보충해줌으로써 욕온 저하에 따른 드로스 생성을 방지하고 대량의 아연보급에 따른 욕면 출렁임을 레벨변동에 연동하여 잉곳을 용해하는 가열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표면 이물의 제품 혼입을 방지하여 외판재 주문수율을 개선하는 잇점을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잉곳 100 : 용기부
110 : 도금조 120 : 스트입 유입 부재
130 : 스트립 이동 부재 200 : 잉곳 공급부
210 : 잉곳 장입기 220 : 가열기
230 : 잉곳 안내부 231 : 수직 격벽
232 : 차폐판 233, 234 : 격리판
240 : 용탕 레벨 측정기 250 : 잉곳 장입 감지기
260 : 제어기

Claims (11)

  1. 용해되는 용탕이 저장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스트립이 함침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 내부의 용탕 레벨이 기설정되는 기준 레벨을 유지하도록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잉곳을 가열 용해하여 상기 용기부의 내부로 공급하는 잉곳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부는, 용탕이 일정량 저장되며, 상부가 개구되는 도금조와, 상기 도금조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스트립을 유입시켜 상기 용탕의 내부로 안내하고, 일단이 상기 용탕의 내부에 위치되는 스트립 유입 부재와, 상기 도금조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스트립 유입 부재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스트립을 용탕에 함침 및 함침 후 상기 도금조의 상부로 인출시키는 다수의 롤러를 갖는 스트립 이동 부재를 구비고,
    상기 잉곳 공급부는, 상기 도금조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잉곳을 그립하고,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그립한 상기 잉곳을 상기 도금조의 내부를 향해 하강시키는 하강 경로를 형성하는 잉곳 장입기와, 상기 잉곳 장입기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강되는 상기 잉곳의 하강 경로를 에워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강 경로를 따라 하강되는 잉곳을 가열하여 용해하는 가열기와, 상기 도금조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도금조 내에 저장되는 용탕의 레벨을 측정하는 용탕 레벨 측정기와, 측정한 상기 용탕의 레벨이 기설정된 기준 레벨을 형성하도록, 상기 잉곳 장입기를 사용하여 잉곳을 하강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고, 상기 가열기를 사용하여 이동되는 상기 잉곳을 용해하여 상기 도금조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하는 제어기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기는, 상기 잉곳의 하강 경로를 에워싸도록 상하로 개구되는 가열 공간을 형성하며, 내화재로 형성되는 가열기 몸체와, 상기 가열기 몸체에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하강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잉곳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는 다수의 히터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기는, 용탕의 공급을 안내하는 용탕 안내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용탕 안내부는, 상기 가열기 몸체의 둘레에서 상기 도금조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열기 몸체의 하방을 따라 연장되는 수직 격벽과, 상기 수직 격벽의 내부에 다층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가열 공간에서 용해되는 용탕이 상기 도금조의 내부로 서로 다른 위치의 안내홀들을 통해 공급되도록 하는 다수의 격리판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격리판은 하방을 향해 구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히터는,
    외부로부터 공기 및 가스를 공급받아 발화되어 상기 잉곳을 가열하는 가스 버너 방식 또는, 유도 가열 방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홀들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조의 내벽과 이격되는 상기 수직 격벽의 하단에는,
    상기 도금조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수직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차폐판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잉곳 공급부는, 잉곳 장입 감지기를 구비하되,
    상기 잉곳 장입 감지기는, 상기 하강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잉곳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감지 여부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잉곳이 존재하지 않음에 대한 신호를 전송 받으면, 상기 가열기의 구동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
  11. 제 1항, 제 5항, 제 7항, 제 9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의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들이 다수로 마련되고,
    상기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들에서의 용탕 레벨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모니터링 설비.

KR1020130049366A 2013-05-02 2013-05-02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 및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모니터링 설비 KR101499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366A KR101499319B1 (ko) 2013-05-02 2013-05-02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 및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모니터링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366A KR101499319B1 (ko) 2013-05-02 2013-05-02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 및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모니터링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865A KR20140130865A (ko) 2014-11-12
KR101499319B1 true KR101499319B1 (ko) 2015-03-05

Family

ID=52452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366A KR101499319B1 (ko) 2013-05-02 2013-05-02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 및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모니터링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3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54416B (zh) * 2017-08-04 2019-02-26 徐秉章 热镀锌自动生产线
KR20200045054A (ko) 2018-10-19 2020-05-04 주식회사 리배산업 도금액 레벨 측정이 용이한 스나우트의 스노클
KR102018728B1 (ko) 2018-12-06 2019-09-06 유플리드주식회사 도금액 레벨 측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4162A (ja) * 2000-03-13 2001-09-18 Kawasaki Steel Corp 連続溶融金属めっき浴への溶融金属の供給方法及び供給装置
JP2002212696A (ja) * 2001-01-10 2002-07-31 Kawasaki Steel Corp 鋼帯の溶融金属めっき装置
KR20030080859A (ko) * 2002-04-11 2003-10-17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아연 도금욕조의 레벨, 온도 및 알루미늄 농도 제어장치
JP2007039763A (ja) * 2005-08-04 2007-02-15 Jfe Steel Kk 溶融めっき装置および溶融めっき装置の操業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4162A (ja) * 2000-03-13 2001-09-18 Kawasaki Steel Corp 連続溶融金属めっき浴への溶融金属の供給方法及び供給装置
JP2002212696A (ja) * 2001-01-10 2002-07-31 Kawasaki Steel Corp 鋼帯の溶融金属めっき装置
KR20030080859A (ko) * 2002-04-11 2003-10-17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아연 도금욕조의 레벨, 온도 및 알루미늄 농도 제어장치
JP2007039763A (ja) * 2005-08-04 2007-02-15 Jfe Steel Kk 溶融めっき装置および溶融めっき装置の操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865A (ko)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4475C (en) Hot-dip galvanizing installation for steel strip
KR101499319B1 (ko)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장치 및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 모니터링 설비
CN109440038A (zh) 非接触式金属液面渣层电磁自动处理装置及其方法
CN108225601A (zh) 测量熔融金属浴的温度的方法
US10584426B2 (en) Method for producing single crystal
KR20150006127A (ko) 강판 도금욕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85175A (ko) 도금욕조용 스나우트장치
KR102255643B1 (ko) 용해로
CN104220627B (zh) 用于细长制品上涂覆涂层的装置
JP5652707B2 (ja) 溶融ガラス移送管
EP2772561B1 (en) Unit for applying coatings on elongated products
CN205774762U (zh) 锌锅液位自动稳定装置
CN103890218A (zh) 通过连续热浸法涂布平坦金属产品的设备及相关涂布工艺
KR100792747B1 (ko) 용융아연도금 액 보충장치
CN109477685B (zh) 熔化炉
EP4082689A1 (en) Molten material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JP4800292B2 (ja) 融解装置
KR101341738B1 (ko) 외판용 도금강판의 애쉬 혼입개선을 위한 잉곳장입장치 및 잉곳장입방법
KR102180806B1 (ko) 스나우트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강판 도금장치
KR101192513B1 (ko) 강판의 용융아연 도금코팅 장치 및 방법
CN107022728B (zh) 钢丝镀锌厚度的控制装置及方法
CN204779768U (zh) 一种实验用带钢连续还原退火热镀锌装置
KR101493857B1 (ko) 용융금속 공급장치
KR101534663B1 (ko) 포트롤유닛 예열장치
KR101271857B1 (ko) 용융아연 도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