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391A - 다기능 제어소자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다기능 제어소자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391A
KR20130029391A KR1020127029473A KR20127029473A KR20130029391A KR 20130029391 A KR20130029391 A KR 20130029391A KR 1020127029473 A KR1020127029473 A KR 1020127029473A KR 20127029473 A KR20127029473 A KR 20127029473A KR 20130029391 A KR20130029391 A KR 20130029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primary actuator
pressure sensor
movement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9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5411B1 (ko
Inventor
빌렘 델레우스
로버트 자스트람
제임스 틸
Original Assignee
해리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리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해리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29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8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05Electromechanical pulse gene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8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 H01H2221/01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also rota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36Return force
    • H01H2221/038Fl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52Actuators interlock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78Different operating parts on a bigger o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8Turn kno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2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24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pneumatic or hydraulic actu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다수의 스위치 위치 사이에서 조절가능한 스위치 바디(312), 스위치 바디로부터 뻗어 있고 측면부(302b) 및 말단면부(302a)를 갖고 스위치 위치 사이에서 스위치 바디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일차적 액추에이터(302), 및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측면에서 기동력을 통해 동작가능한 압력 센서(314)를 포함하는 단일 제어소자(102)를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의 다기능을 제어한다. 제1 기능은 압력 센서의 기동 동안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운동에 응답해서 제어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2 기능은 압력 센서의 기동을 제외하고 제어소자의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운동에 응답해서 제어될 수 있다. 나아가, 제3 기능은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운동을 제외하고 적어도 제1 시간 동안 압력 센서의 기동에 응답해서 제어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제어소자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ELECTRONIC DEVICE WITH A MULTI-FUNCTIONAL CONTROL}
본원의 진보적 구성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다기능 제어소자를 사용하여 라디오 트랜시버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통신 네트워크는 다양한 유형이 있다. 그러한 통신 네트워크는 LMR 네트워크, WCDMA 기반 네트워크, CDMA 기반 네트워크, WLAN, EDGE 기반 네트워크 및 LTE 기반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이들 통신 네트워크의 각각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 및 그들 통신 디바이스간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장비를 포함한다. 각각의 통신 네트워크는 서비스 사용자에게 그룹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그룹 통화 서비스는 서비스 사용자(예컨대, 제1 응답기)가 특정 토크 그룹 또는 소셜 미디어 프로파일과 연관된 다른 서비스 사용자들(예컨대, 다른 제1 응답기들)에게 동시에 말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이다. 그룹 통화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PTT 그룹 통화 서비스에 의해 구현된다. 그러므로, PTT 그룹 통화 서비스는 PTT 서비스 사용자가 통신 디바이스의 PTT 버튼을 누름으로써 특정 토크 그룹 또는 소셜 미디어 프로파일의 다른 PTT 서비스 사용자들에게 즉시 말할 수 있게 하는 인스턴트 서비스이다.
어떤 유형의 이들 통신 디바이스는 LMR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그 디바이스의 각각은 그 라디오 트랜시버를 제어하기 위해 PTT 버튼 및 복수의 회전식 노브를 포함한다. 많은 구성에 있어서, 이들 회전식 노브는 라디오의 상부 패널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회전식 노브 중 제1 노브는 PTT 통화가 이루어질 토크 그룹 또는 개개인을 선택하기 위해 제공되고, 회전식 노브 중 제2 노브는 라디오의 오디오 볼륨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들 노브에 더하여, PTT 버튼은 라디오의 측면 패널 상에 배치되는 것이 전형적이다. 결과적으로, 라디오의 사용자는 라디오의 라디오 수신기를 제어하기 위해 하나의 손가락만을 사용할 수는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나아가, 라디오를 잡고 복수의 회전식 노브를 통해 라디오의 기능 설정을 바꾸기 위해 양손이 필요함이 전형적이다.
본원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본원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스위치 위치 사이에서 조절가능한 스위치 바디, 스위치 바디로부터 뻗어 있고 측면부 및 말단면부를 갖고 복수의 스위치 위치 사이에서 스위치 바디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일차적 액추에이터, 및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측면 중 하나 이상의 부분에서 기동력을 통해 동작가능한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단일 제어소자를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의 다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그 방법은 압력 센서의 기동 동안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운동에 응답해서 전자 디바이스의 제1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그 방법은 압력 센서의 기동을 제외하고 제어소자의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운동에 응답해서 전자 디바이스의 제2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그 방법은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운동을 제외하고 적어도 제1 시간 동안 압력 센서의 기동에 응답해서 전자 디바이스의 제3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는 제어소자 및 그 제어소자에 통신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제어소자는, 복수의 스위치 위치 사이에서 조절가능한 스위치 바디, 스위치 바디로부터 뻗어 있고 측면부 및 말단면부를 갖고 복수의 스위치 위치 사이에서 스위치 바디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일차적 액추에이터, 및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측면 중 하나 이상의 부분에서 기동력을 통해 동작가능한 압력 센서를 포함한다. 그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a)압력 센서의 기동 동안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운동에 응답해서 전자 디바이스의 제1 기능을 제어하고, (b)압력 센서의 기동을 제외하고 제어소자의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운동에 응답해서 전자 디바이스의 제2 기능을 제어하고, (c)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운동을 제외하고 적어도 제1 시간 동안 압력 센서의 기동에 응답해서 전자 디바이스의 제3 기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원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라디오 트랜시버가 제공된다. 라디오 트랜시버는 하나 이상의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회전식 제어소자를 포함한다. 회전식 제어소자는 복수의 스위치 위치 사이에서 운동가능한 회전식 스위치 바디, 스위치 바디로부터 뻗어 있고 측면부 및 말단면부를 갖고 복수의 스위치 위치 사이에서 스위치 바디를 운동시키도록 구성된 일차적 액추에이터, 및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측면에서 액세스가능한 압력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라디오 트랜시버는 제어소자 및 RF 회로에 통신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컨트롤러는, (a)압력 센서의 기동 동안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운동에 응답해서 라디오 트랜시버의 제1 기능을 제어하고, (b)압력 센서의 기동을 제외하고 제어소자의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운동에 응답해서 라디오 트랜시버의 제2 기능을 제어하고, (c)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운동을 제외하고 적어도 제1 시간 동안 압력 센서의 기동에 응답해서 라디오 트랜시버의 PTT(Push-To-Talk) 기능을 기동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고, 유사한 부호는 도면 내내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통신 디바이스의 더 상세한 블록선도,
도 3은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어소자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를 포함하는 도 1의 통신 디바이스의 일부의 상면도,
도 4는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어소자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를 포함하는 도 1의 통신 디바이스의 일부의 정면도,
도 5는 단면선(5―5)을 따라 도 1의 통신 디바이스의 일부의 단면도,
도 6은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어소자의 예시적인 제2 실시예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100)의 일부의 측단면도, 및
도 7은 본원발명의 이해에 유용한 통신 디바이스의 라디오 트랜시버를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선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이 설명된다. 도면은 축척대로 그려진 것은 아니고 단지 당해 발명을 예시하기 위해 제공된다. 예시를 위한 응용례를 참조하여 본원발명의 다양한 태양이 이하에 설명된다. 많은 특정 상세, 관계 및 방법은 본원발명의 온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되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그렇지만, 본원발명은 특정 상세 중 하나 이상 없이 또는 다른 방법과 함께 실시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쉽게 알아볼 것이다.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주지의 구조 또는 동작은 본원발명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상세하게 나타내지는 않는다. 본원발명은 조치 또는 이벤트의 예시된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어떤 조치는 다른 순서로 및/또는 다른 조치 또는 이벤트와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날 수도 있다. 나아가, 본원발명에 따른 방법론을 구현하기 위해 모든 예시된 조치 또는 이벤트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도 1을 이제 참조하면,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통신 디바이스(100)가 예시적으로 제공되어 있다. 도 1에서는 통신 디바이스(100)가 휴대용 LMR(Land Mobile Radio) 디바이스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대안으로, 통신 디바이스(100)는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모바일 폰, 셀룰러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PS(global positioning device), 퍼스널 컴퓨터, 텔레비전, 차량용 통신 디바이스 또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의 각각에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100)는 일반적으로 하우징(104), 안테나(106) 및 내부 회로(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또한 통신 디바이스(100)는 제어소자(102) 및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108)를 포함한다.
본원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통신 디바이스(100)는 일반적으로 서비스 사용자에게 데이터 통신 서비스, 개별 통화 서비스 또는 그룹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통신 서비스는 서비스 사용자가 데이터 메시지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이다. 일반적으로 개별 통화 서비스는 서비스 사용자가 하나의 다른 서비스 사용자와 말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이다. 그룹 통화 서비스는 서비스 사용자가 특정 토크 그룹 또는 소셜 미디어 프로파일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사용자에게 말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이다. 그룹 통화 서비스는 PTT 그룹 통화 서비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PTT 그룹 통화 서비스는 PTT 서비스 사용자가 통신 디바이스(100)의 제어소자(102)를 작동시킴으로써 특정 토크 그룹 또는 소셜 미디어 프로파일의 다른 PTT 서비스 사용자들에게 즉시 말할 수 있게 하는 인스턴트 서비스이다.
통신 디바이스(100)는 LMR 기반 통신 시스템, GPS, 셀룰러 기반 통신 시스템 또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셀룰러 기반 시스템은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2세대(2G) 호환 무선 전화 시스템, 3세대(3G) 호환 무선 전화 시스템, 4세대(4G) 호환 무선 전화 시스템 및/또는 어떠한 미래의 무선 전화 시스템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100)는 2G, 3G, 4G 또는 다른 무선 전화 시스템을 통해 이용가능한 현재 및/또는 미래의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 디바이스(100)는 단일 통신 프로토콜 또는 다수의 통신 프로토콜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디바이스(100)가 LMR 디바이스이면, TETRA(Terrestrial Trunked Radio)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P25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OPENSKY® 프로토콜, 및 EDACS(Enhanced Digital Access Communication System) 프로토콜 중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을 채용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00)가 셀룰러 폰이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 프로토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 프로토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기반 프로토콜,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네트워크 기반 프로토콜, 및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기반 프로토콜 중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을 채용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통신 디바이스(100)의 더 상세한 블록선도는 도 2에 제공된다. 주목할만한 것은, 통신 디바이스(100)는 도 2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도시된 컴포넌트는 본원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개시하기에 충분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00)는 RF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106)를 포함한다. 수신/송신(Rx/Tx) 스위치(204)는 송신기 회로(206) 및 수신기 회로(208)에 안테나(106)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킨다. 수신기 회로(208)는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그로부터 정보를 도출해낸다. 수신기 회로(208)는 전기적 커넥션(234)을 통해 컨트롤러(210)에 결합된다. 수신기 회로(208)는 디코딩된 RF 신호 정보를 컨트롤러(210)에 제공한다. 컨트롤러(210)는 통신 디바이스(100)의 기능에 따라 그 디코딩된 RF 신호 정보를 사용한다.
또한, 컨트롤러(210)는 정보를 RF 신호로 인코딩 및 변조하기 위해 송신기 회로(206)에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컨트롤러(210)는 전기적 커넥션(238)을 통해 송신기 회로(206)에 결합된다. 송신기 회로(206)는 외부 디바이스(예컨대,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은 네트워크 장비)로의 송신을 위해 RF 신호를 안테나(106)에 통신한다.
안테나(240)는 GPS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GPS 수신기 회로(214)에 결합되어 있다. GPS 수신기 회로(214)는 GPS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그로부터 GPS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GPS 위치 정보는 통신 디바이스(100)의 위치를 나타낸다. GPS 수신기 회로(214)는 디코딩된 GPS 위치 정보를 컨트롤러(210)에 제공한다. 그와 같이, GPS 수신기 회로(214)는 전기적 커넥션(236)을 통해 컨트롤러(210)에 결합되어 있다. 컨트롤러(210)는 통신 디바이스(100)의 기능에 따라 그 디코딩된 GPS 위치 정보를 사용한다.
컨트롤러(210)는 통신 디바이스(100)의 메모리(212)에 그 디코딩된 RF 신호 정보 및 디코딩된 GPS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따라서, 메모리(212)는 전기적 커넥션(232)을 통해 컨트롤러(210)에 연결되어 있고 그에 의해 액세스 가능하다. 메모리(212)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212)를 위한 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및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소자와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2)를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과 같은 ROM(Read Only Memory) 소자 및 플래시 메모리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212)에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250) 세트가 저장된다. 또한, 명령어(250)는 통신 디바이스(100)에 의한 그 실행 동안 컨트롤러(210)내에 전적으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거주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메모리(212) 및 컨트롤러(210)는 머신-판독가능한 매체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듯이, "머신-판독가능한 매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250) 세트를 저장하는 단일 매체 또는 다수 매체를 일컫는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되듯이, "머신-판독가능한 매체"라는 용어는, 통신 디바이스(100)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어(250) 세트를 저장하거나 인코딩하거나 싣고 있을 수 있고 통신 디바이스(100)로 하여금 본원 개시의 방법론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하는 어떠한 논트랜지티브 매체(non-transitive medium)라도 일컫는 것이다.
또한, 컨트롤러(2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30)에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30)는 입력 디바이스(216), 출력 디바이스(224) 및 소프트웨어 루틴(도 2에는 도시하지 않음)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컴퓨팅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도 2에는 도시하지 않음)과 대화하고 그 제어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한 입력 및 출력 디바이스는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디스플레이(228), 스피커(226), 키패드(220), 방향 패드(도 2에는 도시하지 않음), 방향 노브(도 2에는 도시하지 않음), 마이크로폰(222) 및 제어소자(102; 예컨대, PTT 버튼 또는 스위치)를 각자 포함한다. 디스플레이(228)는 터치 스크린 입력을 받아들이도록 설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30)는 그룹 통화 애플리케이션(도 2에는 도시하지 않음), PTT 통화 애플리케이션(도 2에는 도시하지 않음),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다른 유형의 애플리케이션을 띄우기 위한 사용자-소프트웨어 대화를 용이하게 하도록 동작하게 되어 있다. 그룹 통화 및 PTT 통화 애플리케이션(도 2에는 도시하지 않음)은 통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게 그룹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하게 되어 있다.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어소자(102)는 PTT 그룹 선택 스위치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와 같이, 제어소자(102)는 다른 그룹 및/또는 개개인과 연관된 다양한 위치 사이에서 조절가능한 스위치 소자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므로, 특정 그룹 또는 개개인으로의 PTT 통화는 제어소자(102)의 위치를 적절한 위치로 우선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이후에, 통화 애플리케이션이 개시될 수 있다. 통화 애플리케이션은 통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게 통화 서비스의 제공을 용이하게 한다. 그와 같이, 통화 애플리케이션은 통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동작하게 되어 있다. 통신 동작은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메시지 생성 동작, 메시지 통신 동작, 음성 패킷 녹음 동작, 음성 패킷 큐잉 동작 및 음성 패킷 통신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소자(102)는 또한 PTT 그룹 선택 기능 이외에 통신 디바이스(100)의 다른 기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와 같이, 제어소자(102)는 제어소자(102)에 대해 다른 기능을 선택 및/또는 제어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부가적인 선택 수단을 갖는다.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소자(102)를 위한 부가적 선택 수단은 제어소자(102)의 표면 상에 압력 감지 수단으로 구현된다. 그러므로, 통신 디바이스(100)의 서로 다른 기능은 (예컨대, 2초보다 더 크거나 더 작은) 미리 정한 시간 동안 (예컨대, 제어소자(102)의 표면 상의 하나 이상의 부차적 스위치 또는 버튼 누름을 통하여) 압력 감지 수단의 기동에 응답해서 제어소자(102)를 통해 선택된다. 기능은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오디오 볼륨 기능, 채널 선택 기능, 무음 기능, 밝기 선택 기능, "온/오프" 기능, 재생 기능, 되감기 기능, 빨리감기 기능, 일시정지 기능, 채널 리콜 기능, 카메라 기능, 토크 그룹 선택 기능, 미디어 프로파일 선택 기능, 비상 통화 기능, 맵 선택 기능, 우선순위 선택 기능 및 사용자 선택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원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어떠한 다른 기능도 선택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소자(102)는 통신 디바이스(100)의 특정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위치를 갖는 스위치 소자로 구성된다.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위치 소자는 선형 운동(수직 또는 수평), 회전 운동, 피벗팅 운동 또는 그 어떤 조합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기계적 액추에이터를 통해 복수의 위치가 선택되는 스위칭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디바이스(100)의 특정 기능은 운동 축 또는 경로를 따라 또는 중심 축 둘레로 제어소자(102)의 일부를 회전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소자(102)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된 기능은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오디오 볼륨 기능, 채널 선택 기능, 무음 기능, 밝기 선택 기능, "온/오프" 기능, 재생 기능, 되감기 기능, 빨리감기 기능, 일시정지 기능, 채널 리콜 기능, 카메라 기능, 토크 그룹 선택 기능, 비상 통화 기능, 맵 선택 기능, 우선순위 선택 기능,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 기능 및 미디어 프로파일 선택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기계적 스위치 소자에 관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소자(102)는 전자 스위치 소자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 기술은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운동 및 압력 감지 수단을 갖는 가상 제어소자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어소자(102)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100)의 일부의 다양한 예시도가 제공되고 있다. 도 3은 제어소자(102)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100)의 상면도이다. 도 4는 제어소자(102)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100)의 일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단면선(5―5)을 따라 제어소자(102)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100)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예시된 제어소자(102)는 회전 운동에 기초하고 있다(즉, 제어소자(102)는 축(360) 둘레로 회전 운동(355)을 제공한다). 그렇지만, 도 3 내지 도 5의 제어소자(102)를 구현하는 방법은 수없이 많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와 같이, 본원발명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특정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소자(102)는 일차적 액추에이터(302), 작동 부재(304; 예컨대, 샤프트 또는 레버), 부차적 액추에이터(306), 스위치(308), 및 복수의 스위치 위치를 갖는 스위치 바디(312)를 포함한다. 스위치 바디(312)는 컨트롤러(210)를 위한 신호(313)를 발생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소자(102)는 스위치(308)를 스위치 바디(312)를 통해 또는 따로 컨트롤러(210)에 연결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배선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소자(102)는 통신 디바이스(100)의 하우징(104)에 배치되어 그로부터 밖으로 일차적 액추에이터(302)가 적어도 일부 돌출해 말단면부(302a) 및 측면부(302b)를 정하고 있다. 그렇지만,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대안으로, 일차적 액추에이터(302)는 하우징(104)의 인접하는 최외곽면(301)에 대해 우묵하게 있을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일차적 액추에이터(302)는 일반적으로 원통 형태를 갖고 중심 축(360)을 따라 뻗어있다.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일차적 액추에이터(302)는 종래의 원통 형상으로부터 다소 벗어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예컨대, 일차적 액추에이터(302)는 볼록면 또는 오목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표면은 매끄럽거나 깔끄러울 수 있다.
일차적 액추에이터(302)는 작동 부재(304)의 제1 엔드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반면, 작동 부재(304)의 제2 엔드는 스위치 바디(312)와 맞물리거나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서, 작동 부재(304)는 하우징(104)의 표면(301)에 형성된 (도 3 내지 도 5에는 도시하지 않은) 채널 내에서 가이딩될 수 있다. 일차적 액추에이터(302)는 그에 가해진 회전력을 작동 부재(304)에 전달하도록 더 구성된다. 전달된 회전력은 작동 부재(304)로 하여금 복수의 스위치 위치 사이에서 스위치 바디(312)를 운동(즉, 축(360) 둘레로 회전) 및 이행시키도록 야기시킨다. 스위치 위치 사이에서 이행시킴으로써, 스위치 바디(312)는 통신 디바이스(100)의 선택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위치 바디(312)의 스위치 위치 변화의 검출을 위해 적합한 감지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감지 수단은 센서 정보를 컨트롤러(210)에 통신함으로써 운동량 및/또는 운동 레이트를 검출할 수 있다. 감지 수단은 기계적 감지 수단(도시하지 않음), 전기적 감지 수단(도시하지 않음), 전자-기계적 감지 수단(도시하지 않음), 또는 전자-광학 감지 수단(도 3에 도시함)일 수 있다. 예컨대, 일실시예에 있어서, 부재(304) 및 스위치 바디(312)는 기계적 회전식 스위치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작동 부재(304)는 그 하나 이상의 엔드 상에 형성된 복수의 스캔 라인(334)을 갖는다. 그때 스위치 바디(312)는 (도 3에 도시된) 휴지 위치로부터의 회전 발생을 판정하기 위해 스캔 라인을 스캐닝하도록 구성된 광학 위치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량 및/또는 회전 레이트를 평가하기 위해 컨트롤러(210)에 정보가 제공된다. 이후에, 통신 디바이스(100)는 버튼 회전량 및/또는 회전 레이트에 기초하여 통신 디바이스(100)의 동작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스위치에서 소자의 운동을 측정 및/또는 검출하기 위한 기술은 많이 알려져 있고 그러한 어떤 기술도 제한없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소자(102)는 또한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측면부(302b)의 부분들에 가해진 기동력(FACT)을 통해 동작될 수 있는 압력 센서(314)를 포함한다. 특히, 도 3 내지 도 5에 예시된 실시예는 측면부(302b) 상에 배치된 부차적 액추에이터(306) 및 일차적 액추에이터(302)내에 배치된 스위치(308)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부차적 액추에이터(306)는 통신 디바이스의 특정 기능을 제어하도록 도 5에 도시된 휴지 위치로부터 (도 5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작동 위치로 이행될 수 있다. 위치 이행은 단시간(예컨대 2초 미만) 또는 장시간(예컨대 2초 초과) 동안 부차적 액추에이터(306)의 노출된 부분을 누름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부차적 액추에이터(306)를 누른 결과로서, 스위치(308)는 부차적 액추에이터(306)가 작동 위치에 있음을 나타내도록 닫힌 또는 열린 위치에 놓인다. 그후 스위치(308)의 상태는 통신 디바이스(200)의 컨트롤러(210)에 통신 결합될 수 있는 배선 소자를 통해 모니터링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210)는, (a)스위치(308)가 기동되는 시간량(즉, 부차적 액추에이터(306)가 눌려지는 시간량)을 트래킹하고, (b)누름 지속시간에 기초하여 통신 디바이스(100)의 동작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부차적 액추에이터(306)는 또한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운동 동안 또는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운동 이전 하나 이상의 시간 동안 도 3에 도시된 휴지 위치로부터 (스위치(308)를 기동하는) 작동 위치로 이행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신 디바이스(100)의 다기능이 제어소자(102)의 위치 및/또는 운동과 압력 센서(314)의 상태의 검출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디바이스(100)의 제1 기능은 압력 센서(314)의 기동의 부존재시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운동에 응답하여 제어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00)의 제2 기능은 압력 센서(314)의 기동과 조합하여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운동에 응답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운동 동안 압력 센서(314)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에 더하여,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운동 이전 압력 센서(314)의 상태 또한 제어될 기능을 결정하도록 모니터링 및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디바이스(100)의 서로 다른 기능은 서로 다른 시간 동안 압력 센서(314)의 기동에 뒤따르는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운동에 응답하여 제어될 수 있다. 대안으로, 통신 디바이스(100)의 서로 다른 기능은 소정 시간 동안 압력 센서(314)의 서로 다른 수의 기동에 뒤따르는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운동에 응답하여 제어될 수 있다. 나아가, 통신 디바이스(100)의 기능은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운동 없이 압력 센서(314)의 기동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압력 센서(314)는 1쌍의 스위치(308)를 기동하는 2개의 부차적 액추에이터(306)를 통해 구현된다. 나아가, 도 3 내지 도 5에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압력 센서(314)가 기동되고 있는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양 스위치(308)가 동시에 기동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는, 압력 센서(314)를 위해 단일 부차적 액추에이터 및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대안으로, 스위치(308) 중 단 하나의 기동이 압력 센서의 기동을 나타내도록 사용될 수 있다. 그렇지만, 전형적으로는, 듀얼 액추에이터/스위치 구성의 사용이 기능의 비의도적 선택을 방지하는데 유용하다. 오히려, 도 3 내지 도 5에서의 구성은, 스위치(308)들의 조화된 기동을 필요로 하므로, 부가적 기능을 우연히 기동할 가능성이 상당히 줄어든다.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통신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기능은 사용자의 3개의 기본 행위에 응답하여 제어된다. 이들 3개의 기본 행위는 일차적 액추에이터(302)를 돌리는 행위, 부차적 액추에이터(306)를 압착 또는 누르는 행위, 및 일차적 액추에이터(302)를 돌리면서 동시다발적으로 부차적 액추에이터(306)를 압착 또는 누르는 행위를 포함한다. 본원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압력 센서(314)의 기동의 다양한 조합은 통신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도록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운동과 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본원발명의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100)는 LMR 디바이스 또는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LMR 디바이스에 있어서는, 전형적으로, 사용자는 하나의 기능에 액세스하도록 양손을 사용하여 및/또는 LMR 디바이스의 2개 이상의 제어소자를 조작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여러 환경에 있어서, 그러한 구성은 소망되지 않거나 비실용적일 수 있다. 예컨대,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손 중 하나를 다른 일이 차지하고 있을 수도 있다. 또다른 예에 있어서, 다수의 제어소자의 조작은 사용자로서는 부가적 시간 및/또는 집중을 필요로 할 수도 있어서, 사용자가 당면한 일로부터 주의를 전환할 필요가 있어 그 사용자가 돌보고 있는 사용자 또는 사람을 위험에 처하게 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운동 및 압력 센서(314)의 기동의 조합은 통신 디바이스(100)를 제어하기 위한 더 많은 직관적 조합 세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다기능을 제어하도록 단순 세트의 사용자 행위가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LMR 디바이스는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채널/그룹 선택 기능, 볼륨 조절 기능 및 PTT 기능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소자(102)는 아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LMR 디바이스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채널/그룹 선택 기능은 압력 센서(314)의 기동 없이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운동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볼륨 조절 기능은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운동과 압력 센서(314)의 동시다발적 기동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선택된 그룹으로의 PTT 통화는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운동 없이 압력 센서(314)의 기동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어떤 구성에 있어서는, PTT 통화 동안 볼륨 조절이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후속의 동시다발적 운동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그룹/채널 조절이 항상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운동하고만 연관되고, 볼륨 조절이 항상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운동 및 압력 센서(314)의 기동과 연관되고, PTT 통화가 항상 압력 센서(314)의 기동만에 의해 개시되는 직관적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그렇지만,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기 사용자 행위 및 기능의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는, 부가적 기능의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다른 기본적 사용자 행위의 검출을 포함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예컨대, 부가적 기능은 소정 시간 내에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후속적 운동 없이 압력 센서(314)의 기동 2개(이상)에 의해 제어되거나 개시될 수 있다. 또다른 예에 있어서, 부가적 기능은 소정 시간 내에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후속적 운동이 뒤따르는 압력 센서(314)의 기동 2개(이상)에 의해 제어되거나 개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오로지 LMR 및 다른 양방향 통신 디바이스 제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소자(102)는 텔레비전(도 1 내지 도 5에서는 도시하지 않음) 또는 텔레비전 리모트 컨트롤러(도 1 내지 도 5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와 같은 다른 유형의 디바이스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 있어서는, 오디오 볼륨 기능, 채널 선택 기능, 전원 토글 기능이 압력 센서(314)의 기동과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운동의 조합에 응답하여 제어소자(10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채널 선택 기능은 압력 센서(314)의 기동 없이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운동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볼륨 조절 기능은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운동과 압력 센서(314)의 동시다발적 기동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텔레비전 전원은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운동 없이 압력 센서(314)의 기동에 의해 토글링될 수 있다. 그러므로, 채널 선택이 항상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운동하고만 연관되고, 볼륨 조절이 항상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운동 및 압력 센서(314)의 기동과 연관되고, 전원 토글링이 항상 압력 센서(314)의 기동만에 의해 개시되는 직관적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그렇지만,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기 사용자 행위 및 기능의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부가적 기능의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다른 기본적 사용자 행위의 검출을 포함하도록 상기 구성은 확장될 수 있다. 예컨대, 부가적 기능은 소정 시간 내에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후속적 운동 없이 압력 센서(314)의 기동 2개(이상)에 의해 제어되거나 개시될 수 있다. 또다른 예에 있어서, 부가적 기능은 소정 시간 내에 일차적 액추에이터(302)의 후속적 운동이 뒤따르는 압력 센서(314)의 기동 2개(이상)에 의해 제어되거나 개시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소자(102)의 다양한 컴포넌트는 기계적 작동에 기초하고 있다. 즉, 사용자는 기동력(FACT)으로 부차적 액추에이터(306)를 직접 작동시켜 그 운동을 야기시키고 스위치(308)를 기동한다. 그렇지만,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원발명의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소자(102)의 컴포넌트 중 적어도 일부는 유압식 작동에 기초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제어소자(602)의 예시적인 제2 실시예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100)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단면선(5―5)과 마찬가지로 통신 디바이스(100)의 단면선을 따라 취해져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소자(602)는 또한 회전 운동에 기초하고 있다(즉, 제어소자(602)는 회전식 스위치이다). 그렇지만, 도 6의 제어소자(602)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방식은 수없이 많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와 같이, 본원발명은 도 6에 도시된 특정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소자(602)는, 도 3 내지 도 5의 제어소자(102)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일차적 액추에이터(602), 작동 부재(604; 예컨대, 샤프트 또는 레버), 부차적 액추에이터(606), 스위치(608), 및 복수의 스위치 위치를 갖는 스위치 바디(612)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소자(602)는 스위치 바디(612)를 통해 또는 따로 컨트롤러(210)에 스위치(608)를 연결하기 위한 배선 소자(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3 내지 도 5에서의 컴포넌트(302-312)에 대한 상기 설명은 도 6에서의 컴포넌트(602-612)의 일반적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에 충분하다. 그렇지만, 도 3 내지 도 5의 구성과 도 6의 구성간 상당한 차이점은 도 6에서의 일차적 액추에이터(602)의 상부는, 유체(618)로 채워지고 일차적 액추에이터(602)에 부착되고 부차적 액추에이터(306) 위에 배치된 유압식 액추에이터(616)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동작에 있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식 액추에이터(616)와 연관된 측면부(602b)에 기동력(FACT)이 가해질 때, 유압식 액추에이터(616) 상의 압력은 그것을 안쪽으로 변형시킨다. 유압식 액추에이터(616)의 변형은 유체(618)로 하여금 부차적 액추에이터(606)에 대해 유압력(FHYD)을 가하게 한다. 부차적 액추에이터(606) 상의 결과적인 힘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운동을 야기시켜서 스위치(608)를 기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6에서의 압력 센서(614)는 부차적 액추에이터(606) 및 스위치(608)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유압식 액추에이터(616) 및 유체(618)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어떤 유형의 변형가능한 컴포넌트는 오랜 시간에 걸친 다수의 변형으로부터의 피로에 기인하여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환경 조건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유압식 액추에이터(616)의 변형량은 여러가지의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유압식 액추에이터(616)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재료 및 치수는 거기에 가해지는 소정 범위의 외력에 대해 그 변형량이 제한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실질적 강성 프레임(620)은 가해진 소정 범위의 외력에 대해 변형량을 제한하도록 유압식 액추에이터(616)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렇지만,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변형을 제한하기 위한 다른 방법이 동등하게 적용가능하다.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 6에서의 제어소자(602)의 구성은 또한 사용자의 행위가 일차적 액추에이터(602)의 운동과 압력 센서(614)의 동시다발적 기동을 필요로 하는 동안 제어소자(602)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6의 구성에 있어서, 전형적으로, 사용자는 유압식 액추에이터(616)를 변형시키기 위한 외압 및 일차적 액추에이터(602)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힘 둘다를 제어소자(602)의 유압식 액추에이터(618) 부분에 가할 것이다. 따라서, 도 6에서와 같이 제어소자(602)의 회전식 스위치 구성의 경우에 있어서, 유압식 액추에이터(616)를 위한 재료 및 구성은 유압식 액추에이터가 거기에 가해진 전부는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회전력을 일차적 액추에이터(602)에 전달하기에 충분히 강성이도록 선택된다. 예컨대,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유압식 액추에이터(616) 및 내부의 그 구성을 포함하는 재료는 그 결과적인 액추에이터가 바람직하게는 방사상 방향으로만 변형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실질적 강성 프레임(620)은 일차적 액추에이터(602)에 힘을 전달하도록 유압식 액추에이터(616)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렇지만,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일차적 액추에이터(602)의 조절 동안 유압식 액추에이터(616)의 변형을 제한하기 위한 다른 방법이 동등하게 적용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선형, 피벗팅 또는 다른 유형의 운동에 기초하는 제어소자의 경우에 있어서, 그 내부의 유압식 액추에이터의 재료 및 구성은 유압식 액추에이터가 전부는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힘을 그러한 제어소자의 일차적 액추에이터에 전달하기에 충분히 강성이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 디바이스(예컨대, 도 1의 통신 디바이스(100))의 라디오 트랜시버를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 방법(700)의 흐름선도가 제공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방법(700)은 단계(702)로 시작하고, 통신 디바이스(예컨대, 도 1의 통신 디바이스(100))가 턴온되는 단계(704)로 이어진다.
다음 단계(706)에서는, 위에(예컨대, 도 3 내지 도 5에서 제어소자(102)의 일차적 액추에이터(302) 상에) 배치된 압력 센서를 기동함이 없이 제어소자(예컨대, 도 1의 제어소자(102))를 작동시킴으로써 토크 그룹이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일차적 액추에이터(예컨대, 도 3 내지 도 5에서 제어소자(102)의 일차적 액추에이터(302))를 통해 제어소자를 그 현재 위치로부터 소망의 토크 그룹과 연관된 다른 위치로 이행시키는 것에 의해 토크 그룹이 선택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그 토크 그룹 선택을 알리도록 청각적 및/또는 시각적 표시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토크 그룹이 단계(706)에서 선택되고 나면, 그 방법(700)은 그 선택된 토크 그룹의 개개인 또는 멤버로의 통화가 개시되는 단계(707)로 이어진다.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통화 개시는 스위치 위치간 제어소자의 어떠한 이행도 없이 소정 시간(예컨대, 2초 이상) 동안 제어소자 상의 압력 센서를 기동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통화 개시 후에는, 통신 디바이스(예컨대, 도 1의 통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말과 같은 소리를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 내로 향하게 하는 단계(708)가 수행된다. 그후, 통신 디바이스(예컨대, 도 1의 통신 디바이스(100))는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소리를 프로세싱한다. 그후, 오디오 신호는 네트워크를 거쳐 통신 디바이스(예컨대, 도 1의 통신 디바이스(100))로부터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 디바이스로 통신된다. 통신 디바이스는 선택된 토크 그룹의 멤버일 수 있다.
다음 단계(710)에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예컨대, 도 1의 통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제어소자 상의 압력 센서를 놓아준다.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통화는 즉시 종료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화 멤버 중 하나 또는 통화 개시자에 의해 통화가 닫혀질 때 또는 하나 이상의 통화 타이머의 만료에 의해 통화가 종료될 때까지 통화는 열려진 채로 남아있을 수 있다. 단계(710)에서 압력 센서를 놓은 후에, 통신 디바이스(예컨대, 도 1의 통신 디바이스(100))는 단계(712)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말과 같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에, 이전 단계(712)에서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통신 디바이스(예컨대, 도 1의 통신 디바이스(100))로부터 오디오가 출력되는 단계(714)가 수행된다.
오디오 볼륨 조절이 필요하다면, 오디오 볼륨은 제어소자 상의 압력 센서를 기동하고 동시다발적으로 제어소자를 현재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이행시키는 것에 의해 단계(716)에서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나아가, 또다른 기능의 선택 또는 조절도 필요하다면, 그러한 선택 또는 조절은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운동과 함께 또는 없이 제어소자의 압력 센서의 기동의 또다른 조합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단계(718)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단계(718)의 완료에 이어서, 통신 디바이스(예컨대, 도 1의 통신 디바이스(100))에 의해 다른 프로세싱이 수행되거나 그 방법(700)이 단계(702)로 되돌아가는 단계(720)가 수행된다.
상기 논의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은 종래의 통신 디바이스에 비해 소정의 이점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예컨대, 통신 디바이스의 복수의 기능 또는 작용은 본원발명의 단일 제어소자를 사용하여 선택 또는 제어될 수 있다. 실제로, 사용자는 본원발명의 단일 제어소자를 통해 그 기능 설정을 바꾸는데에는 하나의 손이 필요할 뿐이다. 본원발명의 제어소자는 이롭게도 통신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사이즈 감소를 용이하게 한다. 본원발명의 비교적 소형의 통신 디바이스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회전식 노브 및 버튼을 포함하는 종래의 통신 디바이스에 비해 제조 비용이 덜 든다.

Claims (10)

  1. 복수의 스위치 위치를 갖는 스위치 바디, 상기 스위치 바디로부터 뻗어 있고 측면부 및 말단면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 위치 사이에서 상기 스위치 바디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일차적 액추에이터, 및 상기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상기 측면부 중 하나 이상의 부분에서 기동력을 통해 동작가능한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단일 제어소자를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의 다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압력 센서의 기동과 결합한 상기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운동에 응답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제1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압력 센서의 기동을 제외한 상기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운동에 응답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제2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운동을 제외한 상기 압력 센서의 기동에 응답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제3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의 기동에 뒤따른 상기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운동에 응답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제4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제2 시간보다 더 긴 제3 시간 동안 상기 압력 센서의 기동에 뒤따른 상기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운동에 응답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제5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제2 시간 동안 적어도 상기 압력 센서의 기동 2개에 뒤따른 상기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운동에 응답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제4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운동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파라미터는 토크 그룹 파라미터 및 오디오 볼륨 파라미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오디오 볼륨 기능, 채널 선택 기능, 무음 기능, 밝기 선택 기능, "온/오프" 기능, 재생 기능, 되감기 기능, 빨리감기 기능, 일시정지 기능, 채널 리콜 기능, 카메라 기능, 토크 그룹 선택 기능, 미디어 프로파일 선택 기능, 개별 통화 기능, 그룹 통화 기능, 비상 통화 기능, 맵 선택 기능, 우선순위 선택 기능,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 기능 및 PTT 기능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상기 제1 기능, 상기 제2 기능 및 상기 제3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전자 디바이스로서,
    복수의 스위치 위치 사이에서 조절가능한 스위치 바디, 상기 스위치 바디로부터 뻗어 있고 측면부 및 말단면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 위치 사이에서 상기 스위치 바디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일차적 액추에이터, 및 상기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상기 측면부 중 하나 이상의 부분에서 기동력을 통해 동작가능한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제어소자; 및
    (a)상기 압력 센서의 기동 동안 상기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운동에 응답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제1 기능을 제어하고,
    (b)상기 압력 센서의 기동을 제외한 상기 제어소자의 상기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운동에 응답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제2 기능을 제어하고,
    (c)상기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운동을 제외하고 적어도 제1 시간 동안 상기 압력 센서의 기동에 응답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제3 기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소자에 통신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제2 시간 동안 상기 압력 센서의 기동에 뒤따른 상기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운동에 응답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제4 기능을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제2 시간 동안 적어도 상기 압력 센서의 기동 2개에 뒤따른 상기 일차적 액추에이터의 운동에 응답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제4 기능을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KR1020127029473A 2010-05-11 2011-05-04 다기능 제어소자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KR1014954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77,568 US8532585B2 (en) 2010-05-11 2010-05-11 Electronic device with rotary knob multi-functional control
US12/777,568 2010-05-11
PCT/US2011/035098 WO2011143017A1 (en) 2010-05-11 2011-05-04 Electronic device with a multi-functional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391A true KR20130029391A (ko) 2013-03-22
KR101495411B1 KR101495411B1 (ko) 2015-02-24

Family

ID=4430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9473A KR101495411B1 (ko) 2010-05-11 2011-05-04 다기능 제어소자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532585B2 (ko)
EP (1) EP2569792B1 (ko)
JP (1) JP5657781B2 (ko)
KR (1) KR101495411B1 (ko)
CN (1) CN102884493B (ko)
AU (1) AU2011253295B2 (ko)
CA (1) CA2798095C (ko)
MX (1) MX2012013008A (ko)
RU (1) RU2536180C2 (ko)
WO (1) WO20111430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63316B2 (en) * 2010-02-17 2013-06-11 Harris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with a multi-functional control
US8532585B2 (en) 2010-05-11 2013-09-10 Harris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rotary knob multi-functional control
US8415577B2 (en) * 2010-06-18 2013-04-09 Motorola Solutions, Inc. Assembly for increasing torque tactility of a rotary control for a handheld radio
US8503934B2 (en) * 2010-07-22 2013-08-06 Harris Corporation Multi-mode communications system
US9105419B2 (en) 2011-11-18 2015-08-11 Motorola Solutions, Inc. Plunger mechanism for switch applications
US9148190B1 (en) * 2012-01-17 2015-09-29 Amazon Technologies, Inc. Multipurpose coils
JP2014049934A (ja) * 2012-08-31 2014-03-17 Sony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D752536S1 (en) * 2014-06-16 2016-03-29 Motorola Solutions, Inc. Portable radio
USD761224S1 (en) * 2014-06-25 2016-07-12 Motorola Solutions, Inc. Hand-held control head
US9479213B2 (en) * 2014-06-30 2016-10-25 Motorola Solutions, Inc. Control interface for a communication device
USD754089S1 (en) * 2014-10-02 2016-04-19 Motorola Solutions, Inc. Communication device
KR101943989B1 (ko) 2015-06-05 2019-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서버 및 단말기
USD784942S1 (en) * 2015-07-22 2017-04-25 Harris Corporation Ruggedized multichannel handheld radio with battery pack and accessory module
US20180302948A1 (en) * 2015-09-17 2018-10-18 Motorola Solutions, Inc. Rotatable push-to-talk (ptt) button for talkgroup selection and ptt communication initiation
US10317926B2 (en) * 2016-02-25 2019-06-11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rotary control
JP1575525S (ko) * 2016-07-05 2017-05-08
CN107528941A (zh) * 2017-08-30 2017-12-2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卡连接组件、移动终端及操作响应方法
TWI661337B (zh) * 2017-10-18 2019-06-0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行動裝置之多向控制器
CN109683731A (zh) * 2017-10-18 2019-04-26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多向控制器
KR101947012B1 (ko) * 2017-12-01 2019-02-12 박상래 종업원 관리를 위한 그룹 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10356497B1 (en) * 2018-10-31 2019-07-16 Ian Brown Removable environmental microphone and radio cover assembly
US10424177B1 (en) * 2018-12-20 2019-09-24 Motorola Solutions, Inc. Radio channel-change warning
USD950509S1 (en) * 2020-07-07 2022-05-03 Sportsman's Market, Inc. Radio
USD971868S1 (en) * 2020-07-28 2022-12-06 Yongqing Hong Walkie talkie
USD984399S1 (en) * 2021-04-19 2023-04-25 Jvckenwood Corporation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D1019584S1 (en) 2022-07-14 2024-03-26 Sportsman's Market, Inc. Radio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03A (en) * 1852-06-08 Improvement in wheel-cultivators
US4131033A (en) 1977-02-18 1978-12-26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Push-pull and rotating knob
DE3836555A1 (de) 1988-10-27 1990-05-1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Multifunktions-bedieneinrichtung
WO1994023084A1 (en) * 1993-04-06 1994-10-13 Nippon Steel Corporation Bainite rod wire or steel wire for wire drawing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3128680B2 (ja) * 1994-07-20 2001-01-29 富士通株式会社 多地点テレビ会議システム
US5663747A (en) * 1995-10-23 1997-09-02 Norandor Systems, Inc. Pointing device
JP3048043B2 (ja) * 1997-01-31 2000-06-05 日本電気株式会社 ペンシル型携帯電話端末装置
JP3247630B2 (ja) * 1997-03-07 2002-01-21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携帯用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操作方法
US6097964A (en) 1997-09-04 2000-08-01 Nokia Mobile Phones Limited Navigation key for a handset
JPH11312049A (ja) * 1998-04-28 1999-11-09 Nec Corp 入力装置
DE19906386A1 (de) 1999-02-16 2000-08-31 Siemens Ag Wipptasten-Eingabevorrichtung
CN2386521Y (zh) * 1999-07-07 2000-07-05 广州矽金塔电子有限公司 一种多向式旋转按钮
JP2001273081A (ja) * 2000-03-27 2001-10-05 Nec Corp ジョグダイアル装置
JP2001283686A (ja) 2000-03-31 2001-10-12 Alps Electric Co Ltd 回転操作型電子部品
RU2183356C1 (ru) * 2000-12-27 2002-06-10 Титов Андрей Анатольевич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оперативный орган управления
US6912399B2 (en) 2001-01-22 2005-06-28 Royal Thoughts, Llc Cellular telephone with programmable authorized telephone number
JP3536089B2 (ja) * 2001-03-02 2004-06-07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遠隔操作装置
JP2003084902A (ja) * 2001-09-11 2003-03-2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3122490A (ja) * 2001-10-11 2003-04-2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194283C (zh) * 2002-09-19 2005-03-23 张海舡 一种信息输入的设置方法和装置
JP4363053B2 (ja) * 2003-02-13 2009-11-11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および調整方法
JP3853310B2 (ja) * 2003-07-25 2006-12-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入力型電気部品
EP1536315A1 (en) * 2003-11-27 2005-06-01 Sony NetServices GmbH Information retrieval device
US7633485B2 (en) 2004-01-29 2009-12-15 Chrysler Group Llc Single knob multifunction controller and display unit
KR101690164B1 (ko) * 2005-03-04 2016-12-27 애플 인크. 다기능 휴대용 장치
US20070155415A1 (en) 2005-12-30 2007-07-05 Rosemary Sheehy Push-to-talk (PTT) voice log method
KR100776992B1 (ko) 2006-05-16 2007-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 할당형 다-버튼 사이드 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기능 수행 방법
JP2008090618A (ja) 2006-10-02 2008-04-1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携帯型情報機器
US7965231B2 (en) * 2007-08-04 2011-06-21 Infinity Gear, Llc Radio communication and GPS navigation device
JP5086005B2 (ja) * 2007-08-31 2012-11-2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機
CN201167362Y (zh) * 2008-02-04 2008-12-17 深圳市好易通科技有限公司 使用组合式按键及旋钮的对讲机
JP5356713B2 (ja) * 2008-03-28 2013-12-0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
KR20100016698A (ko) * 2008-08-05 2010-02-16 송민규 스틱 마우스
WO2010020986A2 (en) 2008-08-19 2010-02-25 Igal Bor An ergonomic control unit for providing a pointing function
US20100291883A1 (en) 2009-05-14 2010-11-1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n emergency button in a portable radio
US8463316B2 (en) 2010-02-17 2013-06-11 Harris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with a multi-functional control
US8532585B2 (en) 2010-05-11 2013-09-10 Harris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rotary knob multi-functional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1253295B2 (en) 2014-09-18
CA2798095C (en) 2015-11-24
CN102884493B (zh) 2016-01-27
RU2012149857A (ru) 2014-06-20
EP2569792A1 (en) 2013-03-20
CA2798095A1 (en) 2011-11-17
RU2536180C2 (ru) 2014-12-20
US8532585B2 (en) 2013-09-10
EP2569792B1 (en) 2016-07-27
MX2012013008A (es) 2012-12-05
CN102884493A (zh) 2013-01-16
AU2011253295A1 (en) 2012-11-08
KR101495411B1 (ko) 2015-02-24
WO2011143017A1 (en) 2011-11-17
JP2013531919A (ja) 2013-08-08
US20110281533A1 (en) 2011-11-17
JP5657781B2 (ja)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411B1 (ko) 다기능 제어소자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EP2537325B1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a multi-functional control
JP4330649B2 (ja) ハンズフリー・プレス・トーク方式の機能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0135547B1 (ko)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통신 장치
WO2007139580A1 (en) Device and method for silent push-to-talk call pacing
JP2008244603A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H05183618A (ja) 電話機
CN1866844B (zh) 使dmb观看和电话呼叫能同时进行的dmb终端及方法
WO2001037526A9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ush-to-talk fea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04107787A2 (en) Communication handset
JP2596215B2 (ja) 携帯無線電話装置
JP6372078B2 (ja) 無線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3815133B2 (ja) 携帯電話装置および応答方法の変更方法
KR102152655B1 (ko) Ptt무전 단말의 소모전력 절감 방법
KR10071923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신저 기능 사용 방법
JPH0522994Y2 (ko)
JP3196210B6 (ja) スピーカとマイクロフォンとを有する通信装置
JP2014127787A (ja) 無線機
KR20020023563A (ko) 휴대폰수신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