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7583A -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 및 좌표 정보 생성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 및 좌표 정보 생성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7583A
KR20130027583A KR1020137004806A KR20137004806A KR20130027583A KR 20130027583 A KR20130027583 A KR 20130027583A KR 1020137004806 A KR1020137004806 A KR 1020137004806A KR 20137004806 A KR20137004806 A KR 20137004806A KR 20130027583 A KR20130027583 A KR 20130027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nsional
operation information
coordinate
trajectory
predetermined r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4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5757B1 (ko
Inventor
에이지 오키
나오아키 야마나카
유타카 아라카와
Original Assignee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filed Critical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30027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Abstract

오브젝트가 오브젝트의 3차원 좌표계에서의 xyz 좌표 값들에 기초하여 2차원 좌표계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오브젝트에 대한 2차원 좌표계의 조작 정보는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고, 조작 정보가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르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조작 정보가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르지 않는다면, 오브젝트의 xy 좌표 값들이 조작 정보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조작 정보가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른다면, 오브젝트의 z 좌표 값이 조작 정보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Description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 및 좌표 정보 생성 디바이스{COORDINATE INFORMATION UPDATING DEVICE AND COORDINATE INFORMATION GENERATING DEVICE}
최근에, 컴퓨터 그래픽스 기법들의 발전으로 인해, 3차원 오브젝트들을 보여주는 이미지들이 생성된다. 개인용 컴퓨터들, 모바일 폰들, 및 TV들과 같은 갖가지 전자 디바이스들의 스크린들은 2차원 좌표계를 사용하며; 그러므로, 3차원 좌표계의 오브젝트들의 좌표 값들은 2차원 좌표계의 좌표 값들로 변환된 후에 스크린들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2차원적으로 보여지는 3차원 오브젝트들에 대한 3차원 좌표계의 조작들을 이런 방식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이 기술분야에서 설명되는 특수한 마우스가 3차원 좌표계의 조작들을 다룰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입력 디바이스는, 2차원 좌표계의 조작 정보를 출력하는 일반적인 마우스, 터치패드 등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전자 디바이스에서, 2차원 좌표계의 조작을 수행할 때 3차원 좌표계의 조작으로 바꾸기 위하여, 2차원 좌표계의 조작 외에도, 번거러운 스위칭 조작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스크린 상에 2차원적으로 보여진 3차원 오브젝트가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되는 상태에서, 다르게 말하면, 오브젝트가 마우스에 의해 클릭되거나 또는 터치패드에 의해 탭핑 (tap) 되는 상태에서, 입력 디바이스가 2차원적으로 움직일 때, 오브젝트의 x 좌표 값 및 y 좌표 값은 이 움직임에 따라 변경된다. 이때 오브젝트의 z 좌표 값이 변경될 것이 요구된다면, 먼저, 오브젝트의 선택된 상태는 일단 해제되고, 그 다음 z 좌표의 조작을 수행하는 순서를 부여하는 조작이 수행된다. 그 다음, 오브젝트는 다시 선택되고; 입력 디바이스가 2차원적으로 이동될 때, 오브젝트의 z 좌표 값은 변경될 수 있다.
그러므로, 2차원 좌표계의 조작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입력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3차원 좌표계에서의 오브젝트의 좌표 값들에 대한 처리를 쉽게 수행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개시물의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는, 오브젝트의 3차원 좌표계 (x, y, z) 에서의 좌표 값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좌표 저장 유닛; xyz 좌표 값들을 2차원 좌표계 (X, Y) 의 좌표 값들로 변환하고 변환된 좌표 값들을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2차원 변환 유닛; 오브젝트에 대한 2차원 좌표계의 조작 정보를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조작 정보 수신 유닛; 조작 정보가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르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조작 정보 판정 유닛; 및 조작 정보 판정 유닛의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조작 정보가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르지 않는다면, 조작 정보에 따라 오브젝트의 xy 좌표 값들을 업데이트하고, 조작 정보가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른다면, 조작 정보에 따라 오브젝트의 z 좌표 값을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 좌표 업데이트 유닛을 구비한다.
본 개시물의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에서, 미리 정해진 규칙은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이 미리 정해진 궤적을 포함한다는 규칙일 수도 있다.
본 개시물의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에서, 미리 정해진 규칙은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이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미리 정해진 궤적을 포함한다는 규칙일 수도 있다.
본 개시물의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에서, 미리 정해진 규칙은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이 미리 정해진 궤적을 복수 회 계속해서 포함한다는 규칙일 수도 있다.
본 개시물의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에서, 미리 정해진 궤적은 시작점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 떨어져 있는 점을 경유하여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의 종료점에 도달하는 궤적일 수도 있으며, 시작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의 종료점의 거리는 상기 미리 정해진 거리보다 짧다.
본 개시물의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에서, 미리 정해진 궤적은 대략 원형의 궤적일 수도 있다.
본 개시물의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에서, 미리 정해진 규칙은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복수의 궤적들이 미리 정해진 궤적을 포함한다는 규칙일 수도 있다.
본 개시물의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에서, 미리 정해진 규칙은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복수의 궤적들이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미리 정해진 궤적을 포함한다는 규칙일 수도 있다.
본 개시물의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에서, 조작 정보가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른다고 판정될 때, 좌표 업데이트 유닛은 판정 후에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의 거리 및 방향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의 z 좌표 값을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본 개시물의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에서, 좌표 업데이트 유닛은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의 거리, 방향, 및 속력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의 z 좌표 값을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본 개시물의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에서, 좌표 업데이트 유닛은 XY 좌표 값들의 궤적이 미리 정해진 궤적을 포함한다는 판정 후의 조작 정보에 따라 오브젝트의 z 좌표 값을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본 개시물의 좌표 정보 생성 디바이스는,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2차원 좌표계 (X, Y) 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에 대한 2차원 좌표계의 조작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조작 정보 수신 유닛;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의 3차원 좌표계 (x, y, z) 에서의 z 좌표 값을 생성하고 z 좌표 값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의 xy 좌표 값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좌표 생성 유닛; 및 좌표 생성 유닛에 의해 생성된 오브젝트의 xyz 좌표 값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좌표 저장 유닛을 구비한다.
본 개시물의 좌표 정보 생성 디바이스에서, 조작 정보는 오브젝트의 XY 좌표 값들을 특정하는 XY 좌표 정보 및 오브젝트의 z 좌표 값을 생성하기 위한 z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고; 좌표 생성 유닛은 z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의 z 좌표 값을 생성하고 z 좌표 값 및 XY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XY 좌표 값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본 개시물의 좌표 정보 생성 디바이스에서, 좌표 생성 유닛은 z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의 거리 및 방향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의 z 좌표 값을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좌표 정보 생성 디바이스에서, z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은 대략 원형의 궤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닛"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및 그것들 둘 다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하나의 유닛은 둘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유닛들은 하나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의 기능적 구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포함한다.
도 2는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포함한다.
도 3은 3차원 좌표계에서의 점 P(x, y, z) 및 2차원 좌표계로 변환된 점 P(X, Y) 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포함한다.
도 4는 z 좌표 값을 변경하기 위한 조작 정보의 2차원 좌표계의 좌표 값들의 궤적의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을 포함한다.
도 5는 조작 정보의 2차원 좌표계의 좌표 값들의 궤적이 대략 원형의 궤적이라고 판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포함한다.
도 6은 좌표 정보 업데이트 프로세스의 일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를 포함한다.
도 7은 좌표 정보 생성 디바이스의 기능적 구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포함한다.
도 8은 좌표 정보 생성 프로세스의 일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를 포함한다.
도 9는 대략 원형의 형상과는 상이한 2차원 좌표계의 좌표 값들의 궤적에 의한 z 좌표 값의 업데이트 프로세스로의 스위칭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포함한다.
도 10은 2차원 좌표계의 좌표 값들의 복수의 궤적들에 의한 z 좌표 값의 업데이트 프로세스로의 스위칭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물의 실시예인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의 기능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 (10) 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에 의해 2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3차원 오브젝트의 3차원 좌표계 (x, y, z) 에서의 좌표 값들을, 입력 디바이스 (14) 로부터 출력되는 2차원 좌표계 (X, Y) 의 조작 정보에 따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이고,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 (10) 는,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 등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는 2차원 좌표계에 의해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바이스이고,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이다. 입력 디바이스 (14) 는 2차원 좌표계의 조작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디바이스이고, 마우스, 터치 패널, 터치패드 등이다.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 (10) 는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 TV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및 입력 디바이스 (14) 등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 (10) 는 좌표 저장 유닛 (20), 2차원 변환 유닛 (22), 조작 정보 수신 유닛 (24), 조작 정보 판정 유닛 (26), 및 좌표 업데이트 유닛 (28) 으로 구성된다. 도 2는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 (10) 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 (10) 는 CPU (40), 메모리 (42),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44),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46), 및 입력 인터페이스 (48) 로 구성될 수 있다. 좌표 저장 유닛 (20) 은 메모리 (42)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44) 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2차원 변환 유닛 (22), 조작 정보 수신 유닛 (24), 조작 정보 판정 유닛 (26), 및 좌표 업데이트 유닛 (28) 은 CPU (40) 가 메모리 (42) 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때 실현될 수 있다.
좌표 저장 유닛 (20) 은 오브젝트의 3차원 좌표계에서의 좌표 값들을 저장한다. 다르게 말하면, 오브젝트의 포지션을 특정하는 점들의 x축, y축, 및 z축 좌표 값들이 좌표 저장 유닛 (20) 에 저장된다. 여기서, 오브젝트의 포지션을 특정하는 점들은, 오브젝트의 예를 들어, 중심점, 정점들 등이다. 3차원 좌표계 (x, y, z) 는 임의로 설정될 수 있고, 이 좌표계는 직교 좌표계로 제한되지 않고, 극 좌표계일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한다.
2차원 변환 유닛 (22) 은 3차원 좌표계의 좌표 값들을 2차원 좌표계의 좌표 값들로 변환하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46) 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에 의해 3차원 오브젝트를 2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다르게 말하면, 2차원 변환 유닛 (22) 은 도 3(A) 에 보인 바와 같은 의사 (pseudo) 방식으로 2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점 P의 3차원 좌표계에서의 좌표 값들 (x, y, z) 을 도 3(B) 에 보인 바와 같은 2차원 좌표계에서의 좌표 값들 (X, Y) 로 변환한다. 여기서, 도 3(A) 에 보인 바와 같이, 3차원 좌표계가 의사 방식으로 2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될 때에 x-축 및 z-축에 의해 형성된 각도가 θ일 때, 점 P의 2차원 좌표계에서의 좌표 값들 (X, Y) 은 X=x-z·cosθ, Y=y-z·sinθ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조작 정보 수신 유닛 (24) 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에 대한 2차원 좌표계의 조작 정보를 입력 디바이스 (14) 로부터 입력 인터페이스 (48) 를 통해 수신한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 (14) 는 오브젝트에 대한 2차원 좌표계, 다르게 말하면, X-축/Y-축 조작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디바이스이고, 마우스, 터치패드, 터치 패널 등이다.
조작 정보 수신 유닛 (24) 에 의해 수신된 조작 정보가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르는지의 여부에 의존하여, 조작 정보 판정 유닛 (26) 은 조작 정보가 XY 좌표 값들, 다르게 말하면, XY 좌표 값들에 대한 조작을 나타내는지 또는 z 좌표 값에 대한 조작을 나타내는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정보 판정 유닛 (26) 은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이 미리 정해진 궤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이 도 4(A) 에 예시된 바와 같은 시계방향의 대략 원형의 형상을 가질 때, 조작 정보 판정 유닛 (26) 은 조작이 오브젝트의 z 좌표 값을 양의 방향으로 변경하기를 의도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이 도 4(B) 에 예시된 바와 같은 반시계방향의 대략 원형의 형상을 가질 때, 조작 정보 판정 유닛 (26) 은 조작이 오브젝트의 z 좌표 값을 음의 방향으로 변경하기를 의도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그 이유는 조작 시작 포지션 및 조작 종료 포지션이 2차원 좌표계 (X, Y) 에서 서로 상이한 조작은 오브젝트를 이동하기 위한 조작으로서 자연스럽지 않고, xy 좌표 값들이 업데이트되는 것일 때 이러한 조작을 수행할 가능성은 낮을 것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조작 정보 판정 유닛 (26) 은,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2차원 좌표 값들의 궤적이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대략 원형의 궤적을 복수 회 계속해서 형성하는 경우, 조작 정보가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른다고 판정할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한다. 이에 의하여, 조작 정보 판정 유닛 (26) 의 판정 정확도는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2차원 좌표 값들의 궤적이 대략 원형인지의 여부는, 예를 들어,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2차원 좌표 값들의 궤적이 도 5에서 파선들로 보인 바와 같은 공통 중심 점 및 서로 상이한 반경들을 갖는 2개의 원들 사이에 포함되는지에 의존하여 판정될 수 있다. 조작 정보 판정 유닛 (26) 에 의한 대략 원형의 궤적의 판정은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음에 주의한다.
좌표 업데이트 유닛 (28) 은 조작 정보 판정 유닛 (26) 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2차원 좌표계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에 대한 xy 좌표 값들 또는 z 좌표 값을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z 좌표 값이 도 4에 보인 바와 같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대략 원형의 조작에 의해 업데이트된 것일 경우에, 좌표 업데이트 유닛 (28) 은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의 거리, 방향, 및 속력에 기초하여 z 좌표 값을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이 원형이면, z 좌표 값의 변경량은 원들의 회전 수에 비례하게 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예를 들어,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의 회전 수가 동일한 경우에도, 1회전 당 z 좌표 값의 변경량은 궤적의 움직이는 속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예를 들어, 원들이 동일한 궤적을 가진다고 해도, 1회전 당 z 좌표 값의 변경량은 속력이 느릴 때 작게 될 수 있고, 1회전 당 z 좌표 값의 변경량은 속력이 빠를 때 크게 될 수 있다. 속력은 각속력 (angular speed) 또는 선속력 (linear speed) 일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한다. 다르게는, 예를 들어,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의 회전 수가 동일한 경우에도, 1회전 당 z 좌표 값의 변경량은 원의 사이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서 좌표 정보의 업데이트 프로세스의 일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3차원 오브젝트들의 3차원 좌표계에서의 좌표 값들이 좌표 저장 유닛 (20) 에 저장되는 경우가 전제된다. 이 경우, 2차원 변환 유닛 (22) 은 3차원 좌표계의 좌표 값들을 2차원 좌표계의 좌표 값들로 변환하며, 이에 의해 복수의 3차원 오브젝트들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상에 2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어떤 오브젝트를 조작 타깃으로서 선택하고 입력 디바이스 (14) 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을 수행한다. 그 결과,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2차원 좌표계의 조작 정보는 입력 디바이스 (14) 로부터 출력된다. 여기서, 오브젝트를 조작 타깃으로서 선택하는 액션은,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 (14) 가 마우스이면 오브젝트를 클릭하는 것에 의해 또는 입력 디바이스 (14) 가 터치패드 또는 터치 패널이면 오브젝트를 태핑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 이 방식으로 조작 정보 수신 유닛 (24) 은 입력 디바이스 (14) 로부터 출력된 조작 정보를 수신한다 (S601). 조작 정보 판정 유닛 (26) 은 수신된 조작 정보가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르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602). 다르게 말하면, 조작 정보 판정 유닛 (26) 은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이 대략 원형의 궤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조작 정보가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르지 않음을 조작 정보 판정 유닛 (26) 의 판정 결과가 나타내면 (S602: 아니오), 좌표 업데이트 유닛 (28) 은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좌표 값들의 궤적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의 xy 좌표 값들을 업데이트한다 (S603).
조작 정보가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름을 조작 정보 판정 유닛 (26) 의 판정 결과가 나타내면 (S602: 예), 조작 정보 수신 유닛 (24) 은 조작 정보 판정 유닛 (26) 의 판정 후에 2차원 좌표계의 조작 정보를 추가로 수신한다 (S604). 그 다음, 조작 정보 판정 유닛 (26) 의 판정 후, 좌표 업데이트 유닛 (28) 은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수신된 2차원 좌표계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의 z 좌표 값을 업데이트한다 (S605). 다르게 말하면, 좌표 업데이트 유닛 (28) 은 판정 후에 수신된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대략 원형의 궤적의 거리, 방향, 및 속력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의 z 좌표 값을 업데이트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이 시계방향의 대략 원형의 궤적이면, 조작 정보 판정 유닛 (26) 은 궤적의 거리 및 속력에 따라 양의 측으로 오브젝트의 z 좌표 값을 변경한다.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이 반시계방향의 대략 원형의 궤적이면, 조작 정보 판정 유닛 (26) 은 궤적의 거리 및 속력에 따라 음의 측으로 오브젝트의 z 좌표 값을 변경한다.
2차원 좌표계의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의 방향 및 속력은 일정할 필요는 없고, 조작 동안에 변경될 수도 있다. 다르게 말하면, 오브젝트의 z 좌표 값은 조작 동안의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의 방향 및 속력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미세하게 조정될 수 있다. 좌표 업데이트 유닛 (28) 은 조작 정보 판정 유닛 (26) 에 의한 판정에 의거하여, 수신된 2차원 좌표계의 조작 정보가 z 좌표 값의 업데이트량에 반영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이 대략 원을 2회 형성할 때에 z 좌표 값의 업데이트 프로세스로의 스위칭이 수행되는 경우, 조작 정보 판정 유닛 (26) 은 2 회전들의 궤적의 거리, 방향, 및 속력에 기초하여 z 좌표 값을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좌표 업데이트 유닛 (28) 은 좌표 저장 유닛 (20) 에 기록된 xyz 좌표 값들을, 업데이트된 xy 좌표 값들 또는 z 좌표 값에 따라 업데이트한다 (S606). 좌표 저장 유닛 (20) 에 기록된 xyz 좌표 값들이 업데이트될 때, 2차원 변환 유닛 (22) 은 업데이트된 xyz 좌표 값들을 2차원 좌표계의 XY 좌표 값들로 변환하고 (S60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의 2차원 디스플레이 포지션을 업데이트한다 (S608).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정보의 입력이 수행되는 동안에,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xy 좌표 값들 또는 z 좌표 값을 업데이트하는 프로세스 (S601 내지 S608) 가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S609: 아니오). 오브젝트의 선택된 상태가 해제될 때 (S609: 예)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정보의 입력이 완료된다. 여기서, 오브젝트의 선택된 상태의 해제는,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 (14) 가 마우스이면 클릭을 해제하거나 또는 다른 오브젝트를 클릭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입력 디바이스 (14) 가 터치패드 또는 터치 패널이면, 해제는 태핑을 해제하거나 또는 다른 오브젝트를 태핑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본 실시예의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 (10) 에 따르면, xy 좌표 값들의 업데이트가 수행될 것인지 아니면 z 좌표 값의 업데이트가 수행될 것인지는 2차원 좌표계의 조작 정보가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르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에 의해 스위칭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오브젝트의 xy 좌표 값들의 업데이트 프로세스 및 오브젝트의 z 좌표 값의 업데이트 프로세스 사이의 스위칭은, 번거로운 스위칭 조작을 수행하지 않고 2차원 좌표계 (X, Y) 의 이동 조작을 여전히 하고 있는 동안 스위칭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물의 실시예인 좌표 정보 생성 디바이스의 기능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좌표 정보 생성 디바이스 (100) 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에 의해 2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3차원 오브젝트의 3차원 좌표계 (x, y, z) 에서의 좌표 값들을, 입력 디바이스 (14) 로부터 출력되는 2차원 좌표계의 조작 정보 (X, Y) 에 따라 생성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이다.
도 7에 보인 바와 같이, 좌표 정보 생성 디바이스 (100) 는 좌표 저장 유닛 (110), 조작 정보 수신 유닛 (112), 좌표 생성 유닛 (114), 및 좌표 기록 유닛 (116) 으로 구성된다. 좌표 정보 생성 디바이스 (100) 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의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 (10) 의 하드웨어 구성과 유사한 하드웨어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좌표 저장 유닛 (110) 은 메모리 (42)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44) 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조작 정보 수신 유닛 (112), 좌표 생성 유닛 (114), 및 좌표 기록 유닛 (116) 은 메모리 (42) 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CPU (40) 에 의해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좌표 저장 유닛 (110) 은 2차원 표시된 3차원 오브젝트의 3차원 좌표계에서의 xyz 좌표 값들을 저장한다. 3차원 좌표계에서의 xyz 좌표 값들은 사용자의 조작들에 따라서 생성된다.
조작 정보 수신 유닛 (112) 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2차원 좌표계의 조작 정보를 입력 디바이스 (14) 로부터 수신한다.
좌표 생성 유닛 (114) 은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2차원 좌표계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의 3차원 좌표계에서의 z 좌표 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z 좌표 값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의 3차원 좌표계에서의 xy 좌표 값들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좌표 생성 유닛 (114) 은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의 거리, 방향, 및 속력에 기초하여 z 좌표 값을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좌표 생성 유닛 (114) 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대략 원형의 조작에 의해 z 좌표 값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이 원형이면, z 좌표 값의 변경량은 원들의 회전 수에 비례하게 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예를 들어,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의 회전 수가 동일한 경우에도, 1회전 당 z 좌표 값의 변경량은 궤적의 움직이는 속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예를 들어, 원들이 동일한 궤적을 가진다고 해도, 1회전 당 z 좌표 값의 변경량은 속력이 느릴 때 작게 될 수 있고, 1회전 당 z 좌표 값의 변경량은 속력이 빠를 때 크게 될 수 있다. 속력은 각속력 또는 선속력일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한다. 다르게는, 예를 들어,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의 회전 수가 동일한 경우에도, 1회전 당 z 좌표 값의 변경량은 원의 사이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좌표 기록 유닛 (116) 은 좌표 생성 유닛 (114) 에 의해 생성된 오브젝트의 3차원 좌표계에서의 좌표 값들을 좌표 저장 유닛 (110) 에 기록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좌표 정보 생성 프로세스의 일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3차원 좌표계에서의 좌표 값들이 알려져 있지 않은 3차원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에 의해 2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상태가 전제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 정보 수신 유닛 (112) 은 3차원 좌표계에서의 좌표 값들을 생성하기 위한 타깃으로서 소용되는, 오브젝트의 특정 점의 2차원 좌표계에서의 XY 좌표 값들을 수신한다 (S801). 오브젝트의 특정 점은 입력 디바이스 (14) 에 의해 2차원 표시된 오브젝트의 특정 점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의 특정 점을 선택하는 액션은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 (14) 가 마우스이면 타깃 점을 클릭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입력 디바이스 (14) 가 터치패드 또는 터치 패널이면, 그 액션은 타깃 점을 태핑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조작 정보 수신 유닛 (112) 은 선택된 특정 점에 대한 2차원 좌표계의 조작 정보를 수신한다 (S802). 그 다음, 좌표 생성 유닛 (114) 은 수신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특정 점의 z 좌표 값을 생성한다 (S803). 본 실시예에서, 좌표 생성 유닛 (114) 은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대략 원형의 궤적의 거리, 방향, 및 속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특정 점의 z 좌표 값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이 도 4(A) 에 예시된 바와 같은 시계방향의 대략 원형의 궤적을 형성하면, 좌표 생성 유닛 (114) 은 궤적의 거리 및 속력에 따라 초기 값 (예를 들어, 제로) 에서부터 양의 방향으로 z 좌표 값을 변경한다.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이 도 4(B) 에 예시된 바와 같은 반시계방향의 대략 원형의 궤적을 형성하면, 좌표 생성 유닛 (114) 은 궤적의 거리 및 속력에 따라 초기 값 (예를 들어, 제로) 에서부터 음의 방향으로 z 좌표 값을 변경한다.
그 다음, 선택된 특정 점의 XY 좌표 값들과 생성된 z 좌표 값에 기초하여, 좌표 생성 유닛 (114) 은 그것의 3차원 좌표계에서의 xy 좌표 값들을 생성한다 (S804). 여기서, 3차원 좌표계가 의사 방법으로 2차원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될 때에 x-축 및 z-축에 의해 형성된 각도가 θ일 때, 3차원 좌표계에서의 xy 좌표 값들은 x=X+z·cosθ, y=Y+z·sinθ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좌표 생성 유닛 (114) 은 선택된 특정 점에 대한 값들의 생성 동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에 의해 3차원 좌표계의 xyz 좌표 값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한다.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정보의 입력이 수행되는 동안,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z 좌표 값 및 xy 좌표 값들을 업데이트하는 프로세스 (S802 내지 S804) 는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S805: 아니오). 오브젝트의 특정 점의 선택된 상태가 해제될 때 (S805: 예)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정보의 입력이 완료된다는 것에 주의한다. 여기서, 오브젝트의 특정 점의 선택된 상태의 해제는,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 (14) 가 마우스이면 클릭을 해제하거나 또는 다른 점을 클릭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입력 디바이스 (14) 가 터치패드 또는 터치 패널이면, 해제는 태핑을 해제하거나 또는 다른 점을 태핑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 좌표 기록 유닛 (116) 은 3차원 시스템의 생성된 xyz 좌표 값들을, 오브젝트의 특정 점을 나타내는 정보, 이를테면 2차원 좌표계에서의 그것의 XY 좌표 값들에 연관시켜 좌표 저장 유닛 (110) 에 기록한다 (S806).
이런 방식으로, 본 실시예의 좌표 정보 생성 디바이스 (100) 에 따르면, 2차원 표시된 3차원 오브젝트의 특정 점의 3차원 좌표계에서의 좌표 값들은, 2차원 조작 및 3차원 조작 간에 번거로운 스위칭 조작을 하지 않고 2차원 좌표계 (X, Y) 의 조작을 하고 있는 동안에 생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3차원 좌표계의 좌표 값들을 이용하는 3차원 공간에서의 갖가지 프로세스들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의 3차원 공간에서의 포지션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보인 방법에 의해 3차원 좌표계의 생성된 좌표 값들을 이용하여 변경될 수 있거나, 또는 2차원 디스플레이에 의거하여 3차원 오브젝트의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및 갖가지 변형예들로 제한되지 않고, 부가들과 생략이 청구항들에 의해 표현된 아이디어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예에서, 조작 정보 판정 유닛 (26) 은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2차원 좌표계의 좌표 값들의 궤적이 대략 원형일 때 z 좌표 값의 업데이트가 수행되는 것이라고 판정한다; 그러나, 조작 정보를 판정하는 미리 정해진 규칙은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조작 정보 판정 유닛 (26) 은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이 시작점 S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d1 이상 떨어져 있는 포지션을 경유하여 종료점 E에 도달할 때 z 좌표 값의 업데이트가 수행되는 것이라고 판정할 수도 있는데, 시작점 S로부터의 종료점 E의 거리는 도 9에 보인 바와 같은 미리 정해진 범위 d2 (<d1) 내에 있다. 그 이유는, 대략 원형의 형상의 경우뿐만 아니라, xy 좌표 값들이 정상적으로 업데이트되는 것일 때 이러한 조작을 수행할 가능성이 낮다고 생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르게는, 예를 들어, 조작 정보 판정 유닛 (26) 은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복수의 궤적들이 미리 정해진 궤적들일 때 z 좌표 값의 업데이트가 수행되는 것이라고 판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 (14) 가 터치패드 또는 터치 패널이면, 핀칭 액션 또는 확대 액션이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은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2개의 손가락들 (120 및 122) 에 의해 수행될 때, z 좌표 값의 업데이트가 수행되는 것이라는 판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이유는, 정상적으로는, xy 좌표 값들이 복수의 동시 생성된 궤적들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되는 가능성이 없기 때문이다. 그 다음, z 좌표 값의 업데이트가 수행되는 것이라고 판정된 후, 좌표 업데이트 유닛 (28) 은 핀칭 액션 또는 확대 액션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들의 거리, 방향, 및 속력에 기초하여 z 좌표 값을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z 좌표 값의 업데이트 프로세스로의 스위칭에 의거한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과, z 좌표 값의 업데이트에 의거한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은 둘 다가 대략 원형의 궤적들이다; 그러나, 스위칭에 의거한 및 업데이트에 의거한 조작 정보의 규칙들은 동일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z 좌표 값의 업데이트 프로세스로의 스위칭은,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 값들의 궤적이 대략 원형일 때 수행될 수도 있고; 그 다음, 예를 들어, z 좌표 값은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XY 좌표의 대략 선형의 궤적의 거리, 방향, 및 속력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동일한 것이 또한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궤적들이 미리 정해진 궤적들일 때 z 좌표 값의 업데이트가 수행되는 것이고 판정되는 경우에 적용된다.
위에서 설명된 갖가지 변형예들의 실시예들 및 기술적 특성들은 임의의 조합들로 채용될 수 있다.
10: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
1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입력 디바이스
20: 좌표 저장 유닛
22: 2차원 변환 유닛
24: 조작 정보 수신 유닛
26: 조작 정보 판정 유닛
28: 좌표 업데이트 유닛
40: CPU
42: 메모리
44: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46: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48: 입력 인터페이스
100: 좌표 정보 생성 디바이스
110: 좌표 저장 유닛
112: 조작 정보 수신 유닛
114: 좌표 생성 유닛
116: 좌표 기록 유닛

Claims (14)

  1. 2차원 스크린 상에 3차원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으로서,
    3차원(x,y,z)의 오브젝트를 2차원(x,y) 스크린 상에 2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에 관한 상기 2차원 스크린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조작 정보의 궤적이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르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정보의 궤적이 상기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르면, 상기 오브젝트의 z좌표 값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오브젝트를 상기 2차원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규칙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대략 원형의 궤적인, 3차원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의 z좌표 값을 업데이트하는 것은,
    상기 조작 정보의 궤적이 상기 시계방향의 대략 원형의 궤적의 상기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르면, 상기 오브젝트의 z좌표 값을 양의 방향으로 업데이트하는 것, 및
    상기 조작 정보의 궤적이 상기 반시계방향의 대략 원형의 궤적의 상기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르면, 상기 오브젝트의 z좌표 값을 음의 방향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포함하는, 3차원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정보의 궤적이 상기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른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오브젝트의 z좌표의 값의 변경량은 원들의 회전 수에 비례하는, 3차원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정보의 궤적이 상기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르는지 여부의 판정은, 상기 조작 정보의 궤적이 공통 중심점 및 서로 상이한 반경들을 갖는 2개의 원 사이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기초하는, 3차원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방법.
  6. 2차원 스크린 상에 3차원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3차원 오브젝트를 상기 2차원 스크린 상에 2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2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된 3차원 오브젝트의 크기(scale)를 변경하기 위한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조작 정보의 궤적이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르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정보의 궤적이 상기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르면, 상기 2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된 3차원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규칙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대략 원형의 궤적인, 3차원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된 3차원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 정보의 궤적이 상기 시계방향의 대략 원형의 궤적의 상기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르면, 상기 2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된 3차원 오브젝트를 확대하는 단계, 및
    상기 조작 정보의 궤적이 상기 반시계방향의 대략 원형의 궤적의 상기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르면, 상기 2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된 3차원 오브젝트를 축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정보의 궤적이 상기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른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2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된 3차원 오브젝트의 크기의 변경량은 원들의 회전 수에 비례하는, 3차원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정보의 궤적이 상기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르는지 여부의 판정은, 상기 궤적이 공통 중심점 및 서로 상이한 반경들을 갖는 2개의 원 사이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기초하는, 3차원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방법.
  11. 3차원(x,y,z)의 오브젝트를 2차원(x,y) 스크린 상에 2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코드;
    상기 오브젝트에 관한 상기 2차원 스크린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조작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
    상기 조작 정보의 궤적이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르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정보의 궤적이 상기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르면, 상기 오브젝트의 z좌표 값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오브젝트를 상기 2차원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
  12. 3차원의 오브젝트를 2차원 스크린 상에 2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코드;
    상기 2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된 3차원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기 위한 조작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
    상기 조작 정보의 궤적이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르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정보의 궤적이 상기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르면, 상기 2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된 3차원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
  13. 2차원 스크린 상에 3차원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서,
    3차원(x,y,z)의 오브젝트를 2차원(x,y) 스크린 상에 2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
    상기 오브젝트에 관한 상기 2차원 스크린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조작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조작 정보의 궤적이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르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정보의 궤적이 상기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르면, 상기 오브젝트의 z좌표 값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오브젝트를 상기 2차원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3차원 오브젝트 디스플레이 장치.
  14. 2차원 스크린 상에 3차원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서,
    상기 3차원의 오브젝트를 상기 2차원 스크린 상에 2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
    상기 2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된 3차원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기 위한 조작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조작 정보의 궤적이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르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정보의 궤적이 상기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르면, 상기 2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된 3차원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3차원 오브젝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7004806A 2010-05-31 2011-04-26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 및 좌표 정보 생성 디바이스 KR1015057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24275 2010-05-31
JP2010124275A JP4680319B1 (ja) 2010-05-31 2010-05-31 座標情報更新装置および座標情報生成装置
PCT/US2011/034000 WO2011152930A2 (en) 2010-05-31 2011-04-26 Coordinate information updating device and coordinate information generating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7938A Division KR101505717B1 (ko) 2010-05-31 2011-04-26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 및 좌표 정보 생성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583A true KR20130027583A (ko) 2013-03-15
KR101505757B1 KR101505757B1 (ko) 2015-03-26

Family

ID=441141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4806A KR101505757B1 (ko) 2010-05-31 2011-04-26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 및 좌표 정보 생성 디바이스
KR1020127017938A KR101505717B1 (ko) 2010-05-31 2011-04-26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 및 좌표 정보 생성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7938A KR101505717B1 (ko) 2010-05-31 2011-04-26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 및 좌표 정보 생성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9075430B2 (ko)
JP (1) JP4680319B1 (ko)
KR (2) KR101505757B1 (ko)
CN (1) CN103038736B (ko)
WO (1) WO201115293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02297B1 (en) * 2011-07-12 2015-12-01 Domo, Inc. Dynamic expansion of data visualizations
US9792017B1 (en) 2011-07-12 2017-10-17 Domo, Inc. Automatic creation of drill paths
CN102760308B (zh) * 2012-05-25 2014-12-03 任伟峰 一种点选三维虚拟现实场景中物体的方法和装置
US20150193139A1 (en) * 2013-01-03 2015-07-09 Viktor Kaptelinin Touchscreen device operation
CN109447863A (zh) * 2018-10-23 2019-03-08 广州努比互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4mat实时分析方法及系统
JP6641041B2 (ja) * 2019-02-07 2020-02-05 グリー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22589A1 (de) * 1989-10-12 1991-04-17 Maurer Instruments Ltd Positionier- und Zielverfolgungsvorrichtung
JPH08129447A (ja) * 1994-10-31 1996-05-21 Toshiba Corp 3次元座標入力方法および3次元座標入力装置
JPH08171453A (ja) * 1994-12-19 1996-07-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圧力感応型入力装置
US8479122B2 (en) 2004-07-30 2013-07-02 Apple Inc.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US20060256081A1 (en) * 2002-07-27 2006-11-1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Inc. Scheme for detecting and tracking user manipulation of a game controller body
JP4376650B2 (ja) * 2004-02-09 2009-12-02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4855654B2 (ja) * 2004-05-31 2012-01-18 ソニー株式会社 車載装置、車載装置の情報提供方法、車載装置の情報提供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車載装置の情報提供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6053707A (ja) * 2004-08-11 2006-02-23 Alps Electric Co Ltd 三次元座標入力装置
JP3833228B2 (ja) * 2004-12-01 2006-10-11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2006192246A (ja) 2004-12-13 2006-07-27 Nintendo Co Ltd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KR100811160B1 (ko) 2005-06-02 200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명령을 3차원적으로 입력가능한 전자장치
JP4457051B2 (ja) * 2005-07-19 2010-04-28 任天堂株式会社 オブジェクト移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4799237B2 (ja) * 2006-03-27 2011-10-26 三洋電機株式会社 変位検出センサ、変位検出装置及び端末装置
TWI384413B (zh) 2006-04-24 2013-02-01 Sony Corp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 image processing method, an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a program storage medium
US8219936B2 (en) * 2007-08-30 2012-07-10 Lg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using a user's gesture in the proximity of an electronic device
JP4964729B2 (ja) * 2007-10-01 2012-07-04 任天堂株式会社 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装置
TW200943140A (en) * 2008-04-02 2009-10-16 Asustek Comp Inc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477139B2 (en) * 2008-06-09 2013-07-0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three-dimensional virtual objects
US8169414B2 (en) * 2008-07-12 2012-05-01 Lim Seung E Control of electronic games via finger angle using a high dimensional touchpad (HDTP) touch user interface
US9248376B2 (en) * 2008-09-30 2016-02-02 Nintendo Co., Lt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game program therein, and game apparatus
JP5326802B2 (ja) 2009-05-19 2013-10-3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拡大縮小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52930A3 (en) 2012-02-23
KR20120094951A (ko) 2012-08-27
CN103038736A (zh) 2013-04-10
KR101505757B1 (ko) 2015-03-26
US9001033B2 (en) 2015-04-07
CN103038736B (zh) 2016-11-16
WO2011152930A2 (en) 2011-12-08
US20130187849A1 (en) 2013-07-25
KR101505717B1 (ko) 2015-03-30
US20120154269A1 (en) 2012-06-21
US9478070B2 (en) 2016-10-25
JP4680319B1 (ja) 2011-05-11
JP2011248840A (ja) 2011-12-08
US20150221137A1 (en) 2015-08-06
US9075430B2 (en) 201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1299B2 (en) Magnetic sensing for auto focus position detection
US858190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rotation of 3D objects using multitouch gestures
KR101505717B1 (ko) 좌표 정보 업데이트 디바이스 및 좌표 정보 생성 디바이스
US20190271901A1 (en) Closed loop position control for camera actuator
CA2750546C (en) Dual module portable devices
US8370772B2 (en) Touchpad controlling method and touch device using such method
EP2814000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0428499B (zh) 在二维平面地图上叠加三维实景地图的方法
US20070120846A1 (en) Three-dimensional motion graphic user interfac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motion graphic user interface
US20140002355A1 (en) Interfac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orce
JP6048898B2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US1014000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0902012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hree-dimensional location
CN112685279B (zh) 脚本录制方法、装置、终端设备
US10552022B2 (en) Display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472314B1 (ko) 단일 카메라를 이용한 3차원 입력장치 및 방법
US2023006004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rid-aligned inking
US20200364825A1 (en) Method for deforming an selected zone of image
JP5108848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KR101420727B1 (ko) 터치스크린상에서의 가상 카메라의 회전 방법
Iwanaga et al. Development of Fixed-point Trigonometric Function Library for High-level Synthesis
JP2011043796A (ja) 可動表示装置上に画像を表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20132440A (ko) 3차원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