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7293A -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 자세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 자세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7293A
KR20130027293A KR1020110090788A KR20110090788A KR20130027293A KR 20130027293 A KR20130027293 A KR 20130027293A KR 1020110090788 A KR1020110090788 A KR 1020110090788A KR 20110090788 A KR20110090788 A KR 20110090788A KR 20130027293 A KR20130027293 A KR 20130027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scoping cage
telescoping
cage
tower crane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석
이정호
조지원
이상호
유현석
한승우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90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7293A/ko
Publication of KR20130027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2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4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separate from ji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 B66C23/34Self-erecting cranes, i.e. with hoisting gear adapted for crane erection purposes
    • B66C23/342Self-erecting cranes, i.e. with hoisting gear adapted for crane erection purposes with telescop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에 장착되며,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를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구동부와,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의 외곽에 구비되어,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의 기울기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경사계와, 상기 경사계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분석하고, 전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 및 작동시켜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를 상승시키는 제어부 및 각각의 상기 구동부에 부착되어 상승된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라이너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는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 자세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텔레스코핑 케이지 상승 시 발생되는 불균형 상태를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불균형 발생 시 계측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동부를 작동시켜 케이지의 균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붕괴 등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 자세제어장치{Tower crane of telescoping cage attitud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 자세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 상승 시 발생되는 불균형 상태를 실시간을 계측하여 균형 상태를 유지시키는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 자세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워크레인은 건설현장 등에 설치되어 무거운 자재나 장비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며, 건설현장의 전체 자재인양 중 약 50%의 물량을 인양하는 양중 장비로 그 수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 현장에서의 소홀한 안전관리로 타워크레인 관련 안전 사고는 매년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텔레스코핑 작업은 타워크레인의 설치단계에서 텔레스코핑 케이지를 유압으로 상승시킨 후 생긴 빈 공간에 새로운 마스트를 삽입하여 요구 높이까지 상승시키는 작업으로 타 작업에 비해 재해사례 비중이 가장 높다.
타워크레인은 상부의 자중이 크고 단면에 비해 설치 높이가 높아 텔레스코핑 케이지 상승 작업 시 케이지의 불균형 상태를 초래할 위험성이 있으며, 이러한 텔레스코핑 케이지의 불균형 상태는 작업속도의 저하 및 타워크레인의 붕괴를 유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텔레스코핑 케이지의 외곽에 경사계와 라이너 트랜스듀서를 구비하여 텔레스코핑 케이지의 기울기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동부를 작동시켜 텔레스코핑 케이지의 균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 자세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에 장착되며,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를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구동부와,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의 외곽에 구비되어,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의 기울기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경사계와, 상기 경사계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분석하고, 전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 및 작동시켜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를 상승시키는 제어부 및 각각의 상기 구동부에 부착되어 상승된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라이너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는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 자세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 자세제어장치의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의 하부에는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발판과,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용 난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에는 마스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마스트 볼록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을 자동으로 체결시키는 자동볼팅장치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의 상부에 위치하는 조정실의 하판 외곽에는 상기 조정실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CCD 카메라와 GPS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마스트의 상부로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를 상승시키는 복수개의 유압실린더와, 각각의 상기 유압실린더에 구비되어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의 균형을 위해 미세하게 이동시키는 서브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너 트랜스듀서는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 자세제어장치는 텔레스코핑 케이지 상승 시 발생되는 불균형 상태를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불균형 발생 시 계측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동부를 작동시켜 케이지의 균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붕괴 등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 자세제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볼팅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 자세제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볼팅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 자세제어장치(100)는, 텔레스코핑 케이지(110)와, 구동부(120)와, 경사계(130)와, 제어부(140)와, 라이너 트랜스듀서(150)를 포함한다.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110)의 상부에는 조정실(111)이 위치하며,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110)에는 발판(112)과, 추락방지용 난간(114)이 형성된다. 상기 발판(112)과 상기 추락방지용 난간(114)은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제공하고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110)에는 마스트(10)에 새로운 마스트 블록(20)을 고정시키기 위해 체결수단(미도시)를 체결시키는 자동볼팅수단(116)이 설치된다.
상기 자동볼팅수단(116)은 마스트(10)의 볼트 구멍 주위에 위치하여 상기 상마스트(10)의 볼트 구멍에 볼트(미도시)를 체결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자동볼팅수단(116)은 체결수단(116a)와 구동박스(116b)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수단(116a)은 상기 구동박스(116b)의 동작에 의해 마스트(10)의 볼트 구멍으로 이동하여 볼트를 상기 볼트 구멍에 체결하며, 상기 구동박스(116b)는 상기 체결수단(116a)를 상기 볼트 구멍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원을 공급한다.
상기 자동볼팅수단(116)은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조정실(111)의 외곽에 설치된 CCD 카메라(미도시)와 GPS(미도시)에서 마스트(10)와 마스트 블록(20)에 형성된 볼트삽입구멍(미도시)를 감지하면, 후술되는 제어부(140)가 상기 자동볼팅수단(116)을 볼트삽입구멍(미도시)으로 이동시켜 자동으로 볼트를 체결한다.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110)에는 복수개의 구동부(120)가 장착된다. 상기 구동부(120)는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11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구동부(120)는 복수개의 유압실린더(122)와 복수개의 서브 밸브(1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압실린더(122)는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110)에 복수개가 장착되어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110)을 상승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서브 밸브(124)는 복수개의 상기 유압실린더(122)에 구비되어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110)를 미세하게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압실린더(122)는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110)를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110)의 외곽에는 경사계(130)가 구비된다. 상기 경사계(130)는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110)의 기울기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경사계(120)는 실시간으로 측정한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110)의 기울기를 제어부(14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경사계(130)로부터 전송된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110)의 기울기를 분석하고, 전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부(120)를 제어 및 작동시켜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110)의 균형을 바로 잡아준다.
상기 구동부(120)에는 라이너 트랜스듀서(150)가 부착된다. 상기 라이너 트랜스듀서(150)는 상기 구동부(120)에 동작에 의해 상승된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110)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역할을 하며, 측정한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110)의 기울기를 상기 제어부(14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140)는 전송된 데인터를 분석하여 상기 구동부(120)를 동작시켜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110)의 기울기를 수평 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라이너 트랜스듀서(150) 역시 상기 구동부(120)의 유압실린더(122)와 동일하게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110)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텔레스코핑 케이지 상승 시 발생되는 불균형 상태를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불균형 발생 시 계측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동부를 작동시켜 케이지의 균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붕괴 등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 자세제어장치
110 : 텔레스코핑 케이지 112 : 발판
114 : 추락방지용 난간 116 : 자동볼팅수단
120 : 구동부 122 : 유압실린더
124 : 서브 밸브 130 : 경사계
140 : 제어부 150 : 라이너 트랜스듀서

Claims (6)

  1.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에 장착되며,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를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구동부;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의 외곽에 구비되어,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의 기울기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경사계;
    상기 경사계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분석하고, 전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 및 작동시켜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를 상승시키는 제어부; 및
    각각의 상기 구동부에 부착되어 상승된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라이너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는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 자세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의 하부에는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발판과,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용 난간이 형성되는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 자세제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에는 마스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마스트 볼록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을 자동으로 체결시키는 자동볼팅수단이 설치되는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 자세제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마스트의 상부로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를 상승시키는 복수개의 유압실린더와, 각각의 상기 유압실린더에 구비되어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의 균형을 위해 미세하게 이동시키는 서브밸브로 이루어지는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 자세제어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 자세제어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 트랜스듀서는 상기 텔레스코핑 케이지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 자세제어장치.
KR1020110090788A 2011-09-07 2011-09-07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 자세제어장치 KR201300272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788A KR20130027293A (ko) 2011-09-07 2011-09-07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 자세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788A KR20130027293A (ko) 2011-09-07 2011-09-07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 자세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293A true KR20130027293A (ko) 2013-03-15

Family

ID=48178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788A KR20130027293A (ko) 2011-09-07 2011-09-07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 자세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72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85227A (ja) * 2017-11-07 2019-06-06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建設機械
KR20220088973A (ko) 2020-12-21 2022-06-2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심층 학습 모델을 기초로 타워크레인에 대한 이상 징후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85227A (ja) * 2017-11-07 2019-06-06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建設機械
KR20220088973A (ko) 2020-12-21 2022-06-2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심층 학습 모델을 기초로 타워크레인에 대한 이상 징후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4801B2 (en) Self-climbing hoist, deck and scaffold platform system
US10781081B2 (en) Tower crane for erecting a wind turbine, and method for erecting said tower crane
CN105384035A (zh) 导轨安装装置和用于安装导轨的方法
CN1056471A (zh) 电梯升降滑道工作平台
US20160010622A1 (en) Method and device for blade replacement in wind turbines
JP5059357B2 (ja) ボイラケージ部フロアの構築方法
JP2006111435A (ja) 移動式発電装置の自揚降動制御方法及び自揚降型架台制御装置
CN105692470A (zh) 内爬式塔吊及其操作方法
CN104929353A (zh) 可拆卸楼梯式电梯井自动爬升操作平台
CN107575018A (zh) 一种异形烟囱液压提模装置
CN203143872U (zh) 电梯安装施工移动平台
KR20130027293A (ko)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케이지 자세제어장치
CN110748347B (zh) 一种超深立井井筒装备快速安装方法
CN211143073U (zh) 高精度立柱桩定位调垂装置
KR101308244B1 (ko) 타워크레인의 자동볼팅 장치
CN106522287B (zh) 一种边桩竖向承载力检测方法
KR20190119273A (ko) 타워크레인 마스트 상하 자동볼팅 장치
KR102371638B1 (ko) 교량 상부구조물의 회전식 인상시스템
JP2011068458A (ja) エレベータのレール吊り装置
JP5570612B2 (ja) エレベータ
JPS603190Y2 (ja) 立坑掘削用作業足場
CN108487451B (zh) 支撑牛腿、钢平台、钢平台控制系统及操作方法
CN2651217Y (zh) 电梯升降滑道工作平台
JP4913776B2 (ja) 移動式発電装置の自動揚降制御方法及び自動揚降型架台制御装置
CN112125244A (zh) 一种可沿弧面穹顶升降的作业平台及其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