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4663A - 펌프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펌프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4663A
KR20130024663A KR1020110088229A KR20110088229A KR20130024663A KR 20130024663 A KR20130024663 A KR 20130024663A KR 1020110088229 A KR1020110088229 A KR 1020110088229A KR 20110088229 A KR20110088229 A KR 20110088229A KR 20130024663 A KR20130024663 A KR 20130024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housing
piston
protrus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0103B1 (ko
Inventor
강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린
Priority to KR1020110088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103B1/ko
Publication of KR20130024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2Piston pumps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98Air being permanently entrapped or sucked into the liquid pump chamber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에 결합되는 캡부와, 캡부에 내장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에 걸림 고정되고 캡부에 안착되는 차플렛부와, 차플렛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는 샤프트부와, 샤프트부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헤드부와, 샤프트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스템부와, 하우징부와 스템부 사이에 위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피스톤부 및 스템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는 피스톤부가 다중으로 스템부에 밀착됨으로써,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펌프 디스펜서{PUMP DISPENSER}
본 발명은 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성과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이나 세제, 기타 액상 내용물을 담은 용기의 개구부에는 펌프 디스펜서가 결합되어 내용물을 소정량씩 토출시킨다.
이러한 펌프 디스펜서에는 노즐헤드, 노즐헤드와 연동되어 이동되는 스템, 스템을 탄성 지지하여 노즐헤드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의 토출을 제어하는 볼밸브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공보 1999-0023812호(1999.07.05 공개, 발명의 명칭: 액상용기용 펌프 디스펜서의 밸브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펌프 디스펜서는 기밀성이 낮아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누출되고, 압력차로 인해 용기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밀성을 유지하여 내용물의 누출을 막고, 조립성을 개선하는 펌프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기에 결합되는 캡부; 상기 캡부에 내장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걸림 고정되고, 상기 캡부에 안착되는 차플렛부; 상기 차플렛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는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부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헤드부; 상기 샤프트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스템부;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스템부 사이에 위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피스톤부; 및 상기 스템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캡부 내부를 관통하는 하우징몸체;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캡부에 형성되는 캡돌출턱의 저면에 걸리는 걸림돌기;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캡돌출턱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밀착돌기;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밀착돌기의 상방에 위치되는 조립돌기; 상기 하우징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몸체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경사판; 및 상기 경사판에 안착되어 상기 하우징몸체를 개폐하는 볼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몸체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플렛부는 상단부 내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차플렛몸체; 상기 차플렛몸체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장대; 상기 연장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조립돌기가 삽입되는 조립홈이 형성되는 결합대; 및 상기 차플렛몸체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하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곡대의 내측에는 절곡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샤프트부는 상기 헤드부에 상단부가 결합되는 관형상의 샤프트몸체; 상기 샤프트몸체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내부돌기; 상기 샤프트몸체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부를 가압하는 가압판; 및 상기 가압판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절곡대가 걸리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템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내장되는 스템중앙체; 상기 스템중앙체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부에 내장되고, 상기 내부돌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스템상부체; 및 상기 스템중앙체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의 상단부를 감싸는 스템하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템상부체에는 내용물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스템부와 상기 하우징몸체 사이에 위치되는 피스톤몸체; 상기 피스톤몸체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템상부체의 외측에 밀착되는 제1상부날개; 상기 피스톤몸체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압판의 외측에 밀착되는 제2상부날개; 상기 피스톤몸체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차플렛몸체와 상기 하우징몸체 사이에 삽입되는 제3상부날개; 상기 피스톤몸체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템하부체에 안착되는 제1하부날개; 및 상기 피스톤몸체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몸체에 밀착되는 제2하부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는 차플렛부에 형성되는 절곡돌기가 돌출되어 샤프트몸체에 밀착됨으로써, 샤프트부의 상하 이동시 마찰을 억제하고, 최초 헤드부가 잠긴 상태에서 이물질 유입을 제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는 피스톤부가 이중으로 스템부 및 하우징부에 밀착됨으로써,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는 하우징부에 형성되는 흡기홀을 통해 외부 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내용물이 배출되는 동안 용기의 찌그러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헤드부가 차플렛부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헤드부가 차플렛부에서 분리되어 상방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헤드부가 하방 이동되어 샤프트부가 실린더부에 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헤드부가 하방으로 추가 이동되어 실린더부가 하방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에서 하우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에서 차플렛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에서 샤프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에서 스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에서 피스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에서 탄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헤드부가 차플렛부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헤드부가 차플렛부에서 분리되어 상방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서 헤드부가 하방 이동되어 샤프트부가 실린더부에 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헤드부가 하방으로 추가 이동되어 실린더부가 하방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에서 하우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에서 차플렛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에서 샤프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에서 스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에서 피스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에서 탄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1)에는 캡부(10), 하우징부(20), 차플렛부(30), 샤프트부(40), 헤드부(50), 스템부(60), 피스톤부(70) 및 탄성부(80)가 구비된다.
캡부(10)는 용기(90)에 결합된다. 이러한 용기(90)는 상단부에 배출관이 돌출 형성되고, 캡부(10)는 배출관의 외주면과 나사 결합된다. 용기(90) 내부에는 내용물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캡부(10)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관 형상을 하는 캡몸체(11) 및 캡몸체(11)의 상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캡돌출턱(12)이 구비된다.
하우징부(20)는 관 형상을 하여 캡부(10)에 내장된다. 이러한 하우징부(20)는 상단부가 캡부(10) 보다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하단부가 용기(90) 내부에 위치된다.
하우징부(20)와 용기(90) 사이에는 가스켓(110)이 배치되어 용기(90)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우징부(20)의 하단부에는 튜브(100)가 삽입된다. 이러한 튜브(100)는 용기(90)의 하단부까지 연장 형성됨으로써, 용기(90)에 저장된 내용물이 튜브(100)를 통해 하우징부(20)로 유입된다.
차플렛부(30)는 캡부(10)에 안착되고, 하우징부(20)의 상단부에 걸림 고정된다. 이러한 차플렛부(30)는 하우징부(20)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하우징부(20)의 상하 유동을 제한한다.
샤프트부(40)는 차플렛부(30)에 삽입된다. 이러한 샤프트부(40)는 관 형상을 하며, 하단부가 차플렛부(30)에 걸림 고정된다.
헤드부(50)는 샤프트부(40)의 상단부 외측에 결합된다. 이러한 헤드부(50)는 용기(90)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고, 차플렛부(30)와 나사 결합된다.
예를 들어, 헤드부(50)에는 샤프트부(40)의 상단부 외측에 결합되는 헤드몸체(51) 및 헤드몸체(51)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내용물이 배출되는 노즐(52)이 구비된다. 헤드몸체(51)의 외측에는 차플렛부(30)의 내측과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펌프 디스펜서(1)를 사용하기 전에는 헤드몸체(51)가 차플렛부(30)에 나사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헤드부(50)를 회전시켜 헤드몸체(51)와 차플렛부(30)가 분리되면, 탄성부(80)의 복원력에 헤드부(50)는 상방 이동된다(도 1 및 도 2 참조).
한편, 헤드부(50)와 차플렛부(30)가 분리되어 헤드부(50)가 상방 이동된 상태(도 2 참조)에서, 사용자가 헤드부(50)를 가압하면, 이와 연결된 샤프트부(40)가 하방 이동된다(도 3 및 도 4 참조).
스템부(60)는 샤프트부(40)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스템부(60)는 상단부가 샤프트부(40)에 삽입되어 내용물을 샤트프부(40)로 안내한다.
피스톤부(70)는 하우징부(20)와 스템부(60) 사이에 위치된다. 이러한 피스톤부(70)는 하우징부(20)와 스템부(60) 사이의 공간에 대한 기밀을 유지한다.
탄성부(80)는 스템부(60)를 탄성 지지한다. 이러한 탄성부(80)의 복원력에 의해 헤드부(50)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면, 헤드부(50)는 자동으로 상방 이동된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20)에는 하우징몸체(21), 걸림돌기(22), 밀착돌기(23), 조립돌기(24), 경사돌기(25) 및 볼밸브(26)가 구비된다.
하우징몸체(21)는 캡부(10)의 캡몸체(11)를 관통한다. 이러한 하우징몸체(21)의 상단부는 캡부(10) 보다 높이 돌출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튜브(100)가 삽입된다.
걸림돌기(22)는 하우징몸체(21)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돌기(22)는 캡돌출턱(12)의 저면에 밀착되어, 하우징몸체(21)의 상방 이동을 제한한다.
밀착돌기(23)는 하우징몸체(21)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밀착돌기(23)는 걸림돌기(22)의 상방에 위치되고, 캡돌출턱(12)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밀착돌기(23)가 캡돌출턱(12)에 밀착되면, 하우징몸체(21)의 유동이 억제되고, 이물질의 유입이 제한된다.
조립돌기(24)는 하우징몸체(21)의 외주면에서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조립돌기(24)는 상단부에 경사가 형성된다.
경사판(25)은 하우징몸체(21)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판(25)은 하우징몸체(21)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개구홀(25a)이 형성된다. 이때, 튜브(110)는 경사판(25)의 하방에 위치된다.
볼밸브(26)는 경사판(25)에 안착되어 개구홀(25a)을 개폐한다. 이러한 볼밸브(26)는 경사판(25)의 경사각에 의해 경사판(25)의 저점에 위치되어 개구홀(25a)을 폐쇄하고,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상승하여 개구홀(25a)을 개방한다. 따라서, 볼밸브(26)가 상하 이동됨에 따라 하우징몸체(21)가 개폐된다.
한편, 하우징몸체(21)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홀(21a)이 형성된다. 이러한 흡기홀(21a)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내용물 배출로 인한 용기(90)의 찌그러짐을 방지한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플렛부(30)에는 차플렛몸체(31), 연장대(32), 결합대(33) 및 절곡대(34)가 구비된다.
차플렛몸체(31)는 관 형상을 하여 하우징몸체(21)의 내측에 삽입된다. 이러한 차플렛몸체(31)의 상단부 내측에는 헤드몸체(51)와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31a)이 형성된다.
연장대(32)는 차플렛몸체(31)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결합대(33)는 연장대(32)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차플렛몸체(31)와 결합대(33) 사이의 공간으로 하우징몸체(21)의 상단부가 삽입됨으로써, 차플렛부(30)는 하우징몸체(21)에 지지되어 하방 이동이 제한된다.
결합대(33)는 하단부가 캡돌출턱(12)에 안착된다. 이러한 결합대(33)에는 조립돌기(24)가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조립홈(33a)이 형성된다. 조립홈(33a)은 조립돌기(24)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결합대(33)의 하단부가 캡돌출턱(12)에 안착된 상태에서, 하우징부(20)와 차플렛부(30)가 걸림 고정됨으로써, 하우징부(20)의 하방 이동이 제한된다.
절곡대(34)는 차플렛몸체(31)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절곡대(34)는 하방으로 절곡된 형상을 한다.
절곡대(34)의 내측에는 곡면을 갖는 절곡돌기(35)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절곡대(34)는 탄성을 가지므로, 절곡대(34)와 샤프트부(40)가 접촉된 상태에서 샤프트부(40)가 상하 이동될 때 변형되어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절곡대(34)의 내측에는 절곡돌기(35)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절곡돌기(35)는 단면이 곡면을 형성하며, 샤프트부(40)와 접촉되어 접촉면을 최소화함으로써, 면접촉에 의한 마찰을 억제한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부(40)에는 샤프트몸체(41), 내부돌기(42), 가압판(43) 및 고정돌기(44)가 구비된다.
샤프트몸체(41)는 관 형상을 하여 내용물을 안내한다. 이러한 샤프트몸체(41)의 상단부는 헤드부(50)에 결합된다.
내부돌기(42)는 샤프트몸체(41)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내부돌기(42)는 스템부(60)에 지지된다.
가압판(43)은 샤프트몸체(41)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가압판(43)은 샤프트몸체(41)가 하방으로 이동될 때 피스톤부(70)를 가압한다.
고정돌기(44)는 가압판(43)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돌기(44)의 상방에는 절곡대(34)에 위치된다. 따라서, 고정돌기(44)가 절곡대(34)에 걸려 샤프트부(40)의 상방 이동이 제한된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템부(60)에는 스템중앙체(61), 스템상부체(62) 및 스템하부체(63)가 구비된다.
스템중앙체(61)는 하우징부(20)의 하우징몸체(21)에 내장된다. 이러한 스템중앙체(61)는 원판 형상을 한다.
스템상부체(62)는 스템중앙체(61)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스템상부체(62)는 원통 형상을 하며, 샤프트부(40) 내부에 삽입된다. 스템상부체(62)에는 내부돌기(42)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6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샤프트부(40)가 상방 이동되어 고정돌기(44)가 절곡대(34)에 걸리면, 내부돌기(42)는 안착홈(621)에 안착된다.
스템상부체(62)에는 내용물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홀(622)이 다수 형성된다. 이러한 유입홀(622)을 통해 스템상부체(62) 내부로 유입된 내용물은 샤프트부(40)를 통과한 후 헤드부(50)에 도달된다.
스템하부체(63)는 스템중앙체(61)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탄성부(80)의 상단부를 감싼다.
예를 들어, 스템하부체(63)에는 스템중앙체(61)의 중앙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돌출판(631), 스템중앙체(61)에서 측방향으로 확장 형성되는 하부확장판(632) 및 하부확장판(632)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탄성부(80)를 감싸는 하부커버판(633)이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70)에는 피스톤몸체(71), 제1상부날개(72), 제2상부날개(73), 제3상부날개(74), 제1하부날개(75) 및 제2하부날개(76)가 구비된다.
피스톤몸체(71)는 링 형상을 하여 스템부(60)와 하우징몸체(21) 사이에 위치된다.
제1상부날개(72)는 피스톤몸체(71)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제1상부날개(72)는 스템상부체(62)의 외측에 밀착된다.
제2상부날개(73)는 피스톤몸체(71)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제2상부날개(73)는 가압판(43)에 밀착된다.
제3상부날개(74)는 피스톤몸체(71)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제3상부날개(74)는 차플렛몸체(31)와 하우징몸체(21) 사이에 삽입되어 이들에 밀착된다.
제1하부날개(75)는 피스톤몸체(71)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제1하부날개(75)는 스템하부체(63)의 하부확장판(632)에 안착된다.
제2하부날개(76)는 피스톤몸체(71)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제2하부날개(76)는 하우징몸체(21)에 밀착된다.
따라서, 제1상부날개(72) 및 제1하부날개(75)가 스템부(60)에 밀착되고, 제3상부날개(74) 및 제2하부날개(76)가 하우징몸체(21)에 밀착됨으로써, 하우징몸체(21)에 내장된 내용물이 샤프트부(40)로 유입되지 않는다.
이때, 제2상부날개(73)와 제3상부날개(73)는 반대 방향으로 분기되고, 가압판(43) 및 하우징몸체(21)에 각각 밀착되어 서로 밀어냄으로써, 제3상부날개(73)에 가압력이 유지되어 제3상부날개(73)가 장기간 하우징몸체(2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헤드부(50)가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가압판(43)의 하단부와 피스톤몸체(71) 사이의 거리(a)와 고정돌기(44)와 제2상부날개(73) 상단부 사이의 거리(b)는 동일하다.
따라서, 헤드부(50)의 하방 이동에 의해 가압판(43)의 하단부가 피스톤몸체(71)에 도달되고, 고정돌기(44)가 제2상부날개(73)의 상단부에 도달되면, 제1하부날개(75)가 하부확장판(632)과 이격되어 내용물이 유입홀(622)로 유입된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80)에는 탄성몸체(81), 상부탄성체(82) 및 하부탄성체(83)가 구비된다.
탄성몸체(81)는 상단부가 하부확장판(632)을 지지하고, 하단부가 하우징몸체(21)에 지지된다.
이때, 탄성몸체(81)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하우징몸체(21)는 내부에 지지면(211)이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면(211)의 하부에는 상대적으로 내경이 줄어든 밸브관(212)이 형성되고, 밸브관(212)의 내측으로 경사판(25)이 형성된다.
상부탄성체(82)는 탄성몸체(81)의 상단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탄성몸체(81)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상부탄성체(82)는 하부돌출판(631)을 감싼다. 따라서, 하부돌출판(631)이 상부탄성체(82)에 삽입된 형상을 하여, 탄성부(80)의 좌우 유동이 제한된다.
하부탄성체(83)는 탄성몸체(81)의 하단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탄성몸체(81)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하부탄성체(83)는 밸브관(212)에 삽입되어 좌우 유동이 제한된다.
볼밸브(26)가 경사판(25)에 안착된 상태에서, 하부탄성체(83)와 볼밸브(26)와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하부탄성체(83)는 볼밸브(26)의 상방 이동을 제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 디스펨서(1)를 미사용한 경우, 헤드부(50)의 헤드몸체(51)는 차플렛부(30)에 나사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도 1 참조).
이때, 헤드부(50)에는 샤프트부(40)가 결합되고, 샤프트부(40)에는 스템부(60)가 삽입되며, 스템부(60)의 하단부와 하우징부(20) 사이에 탄성부(80)가 배치된다. 그리고, 스템부(60)의 외측과 하우징부(20) 사이에 피스톤부(70)가 배치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헤드몸체(51)를 회전시켜, 헤드몸체(51)를 차플렛부(30)에서 분리시키면, 탄성부(80)의 복원력에 의해 헤드부(50)가 상방 이동된다(도 2 참조).
사용자가 상방 이동된 헤드부(50)를 누르면, 헤드부(50)가 하방 이동되어 샤프트부(40)의 가압판(43)과 고정돌기(44)가 각각 피스톤몸체(71) 및 제2상부날개(73)에 도달된다(도 3 참조).
이때, 샤프트부(40)의 내부돌기(42)가 스템상부체(62)를 가압하고, 스템부(60)는 탄성부(80)를 가압하면서 하방으로 이동된다.
스템부(60)가 하방 이동되면, 스템부(60)와 제1하부날개(75)가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내용물이 이격된 공간을 통해 스템상부체(62)의 유입홀(622)로 유입된다.
한편, 도 3에서 사용자가 헤드부(50)를 더 누르면, 샤프트부(40)가 피스톤부(70)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도 4 참조).
그리하면, 스템부(60)와 제1하부날개(75)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내용물이 지속적으로 유입홀(622)로 유입된 후 노즐(5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피스톤부(70)의 하방이동으로 하우징몸체(21)에 형성되는 흡기홀(21a)이 개방되어 외부공기가 용기(90)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용기(90)의 찌그러짐이 방지된다.
한편, 사용자가 헤드부(5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80)의 복원력에 의해 스템부(60)가 상방 이동된다(도 2 참조).
이때, 피스톤부(70)는 스템부(60)의 스템하부체(63)에 밀려 상방 이동되고, 샤프트부(40)는 스템부(60)의 스템상부체(63)에 밀려 상방 이동된다.
스템부(60)가 상승하면, 하우징몸체(21)의 내부압력이 용기(90) 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지므로, 볼밸브(26)가 상승하고, 피스톤부(70)의 이동거리에 상응하는 내용물이 하우징몸체(21)로 유입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캡부 11 : 캡몸체
12 : 캡돌출턱 20 : 하우징부
21 : 하우징몸체 22 : 걸림돌기
23 : 밀착돌기 24 : 조립돌기
25 : 경사판 26 : 볼밸브
30 : 차플렛부 31 : 차플렛몸체
32 : 연장대 33 : 결합대
34 : 절곡대 40 : 샤프트부
41 : 샤프트몸체 42 : 내부돌기
43 : 가압판 44 : 고정돌기
50 : 헤드부 51 : 헤드몸체
52 : 노즐 60 : 스템부
61 : 스템중앙체 62 : 스템상부체
63 : 스템하부체 70 : 피스톤부
71 : 피스톤몸체 72 : 제1상부날개
73 : 제2상부날개 74 : 제3상부날개
75 : 제1하부날개 76 : 제2하부날개

Claims (9)

  1. 용기에 결합되는 캡부;
    상기 캡부에 내장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걸림 고정되고, 상기 캡부에 안착되는 차플렛부;
    상기 차플렛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는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부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헤드부;
    상기 샤프트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스템부;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스템부 사이에 위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피스톤부; 및
    상기 스템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캡부 내부를 관통하는 하우징몸체;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캡부에 형성되는 캡돌출턱의 저면에 걸리는 걸림돌기;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캡돌출턱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밀착돌기;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밀착돌기의 상방에 위치되는 조립돌기;
    상기 하우징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몸체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경사판; 및
    상기 경사판에 안착되어 상기 하우징몸체를 개폐하는 볼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몸체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플렛부는
    상단부 내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차플렛몸체;
    상기 차플렛몸체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장대;
    상기 연장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조립돌기가 삽입되는 조립홈이 형성되는 결합대; 및
    상기 차플렛몸체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하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대의 내측에는 절곡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는
    상기 헤드부에 상단부가 결합되는 관형상의 샤프트몸체;
    상기 샤프트몸체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내부돌기;
    상기 샤프트몸체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부를 가압하는 가압판; 및
    상기 가압판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절곡대가 걸리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내장되는 스템중앙체;
    상기 스템중앙체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부에 내장되고, 상기 내부돌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스템상부체; 및
    상기 스템중앙체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의 상단부를 감싸는 스템하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상부체에는 내용물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스템부와 상기 하우징몸체 사이에 위치되는 피스톤몸체;
    상기 피스톤몸체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템상부체의 외측에 밀착되는 제1상부날개;
    상기 피스톤몸체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압판의 외측에 밀착되는 제2상부날개;
    상기 피스톤몸체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차플렛몸체와 상기 하우징몸체 사이에 삽입되는 제3상부날개;
    상기 피스톤몸체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템하부체에 안착되는 제1하부날개; 및
    상기 피스톤몸체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몸체에 밀착되는 제2하부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KR1020110088229A 2011-08-31 2011-08-31 펌프 디스펜서 KR101300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229A KR101300103B1 (ko) 2011-08-31 2011-08-31 펌프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229A KR101300103B1 (ko) 2011-08-31 2011-08-31 펌프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663A true KR20130024663A (ko) 2013-03-08
KR101300103B1 KR101300103B1 (ko) 2013-08-30

Family

ID=48176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229A KR101300103B1 (ko) 2011-08-31 2011-08-31 펌프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10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004A (ko) 2017-01-31 2018-08-08 권형석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
KR20180127582A (ko) * 2017-05-18 2018-11-29 주식회사 다린 펌프 디스펜서
KR20190024012A (ko) 2017-08-30 2019-03-08 공병화 음료디스펜서
KR20220081356A (ko) * 2019-12-04 2022-06-15 (주)선앤엘 펌프 디스펜서용 코일탄성부재
KR20220164676A (ko) 2021-06-05 2022-12-13 손상연 음료디스펜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3249B2 (ja) * 1997-01-07 2001-10-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噴出ポンプ容器
JP3687816B2 (ja) * 1997-02-27 2005-08-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噴出ポンプ
KR100313024B1 (ko) * 1999-07-30 2001-11-03 조명재 유체 디스펜서
KR100593781B1 (ko) * 2003-12-29 2006-06-30 주식회사 다린 펌프디스펜서에 있어서 실액 유입 차단으로 인한 누액방지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004A (ko) 2017-01-31 2018-08-08 권형석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
KR20180127582A (ko) * 2017-05-18 2018-11-29 주식회사 다린 펌프 디스펜서
KR20190024012A (ko) 2017-08-30 2019-03-08 공병화 음료디스펜서
KR20220081356A (ko) * 2019-12-04 2022-06-15 (주)선앤엘 펌프 디스펜서용 코일탄성부재
KR20220164676A (ko) 2021-06-05 2022-12-13 손상연 음료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103B1 (ko) 201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8181B2 (ja) スプレーポンプ
KR101300103B1 (ko) 펌프 디스펜서
KR101487191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590865B1 (ko) 디스펜서 용기
JP6695848B2 (ja) 高圧ポンプ
RU2503395C2 (ru) Насо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зервуара для жидких, пастообразных или вспениваемых препаратов для очистки и ухода за кожей
KR20150110035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WO2018145511A1 (zh) 按压泵
JP2007515281A (ja) 流体ディスペンサ部材、および、こうした部材を有するディスペンサ
KR20110068196A (ko) 펌프 디스펜서
JP5469980B2 (ja) 吐出ポンプ
KR200450883Y1 (ko) 펌프 디스펜서
JP2008114862A (ja) 液体吐出器
US8210497B2 (en) Double water-seal accumulator for perfume dispenser
JP5311475B2 (ja) 液体吐出ポンプ
KR200475969Y1 (ko) 벤딩형 스템구조가 구비된 펌프
JP2015174071A (ja) スプレー装置
JP3197254U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
JP2015217953A (ja) キャップ
KR20160005393A (ko)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
JP3765293B2 (ja) ディスペンサーポンプ
JP5108748B2 (ja) 液体噴出器
US11089914B2 (en) Liquid pump mechanism for soap dispenser
JP2018184185A (ja) 吐出容器
JP7086549B2 (ja) ポンプ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