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4395A - 브라질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브라질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4395A
KR20130024395A KR1020110087824A KR20110087824A KR20130024395A KR 20130024395 A KR20130024395 A KR 20130024395A KR 1020110087824 A KR1020110087824 A KR 1020110087824A KR 20110087824 A KR20110087824 A KR 20110087824A KR 20130024395 A KR20130024395 A KR 20130024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brazilin
skin
pharmaceutically acceptable
l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복득
황귀서
윤태원
이진균
유동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110087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4395A/ko
Publication of KR20130024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브라질린(Brazilin)은 UV로 자극된 HaCaT의 상해로 인한 생존능을 증가시키고, apoptosis를 억제하는 Bcl-2, Bax 등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켰다. 이와 함께, UV에 의해서 증가된 COX-2, iNOS, TNF-α, c-fos, c-jun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노화 억제 및 UV 유발 피부손상 억제를 확인함으로써 피부 노화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브라질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Topic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brazilin or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skin aging}
본 발명은 브라질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이윤경, 자외선 노출이 피부노화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대원격대학원, 9-12, 2007.
[문헌 2] Yamamoto, Y., Role of active oxygen species and antioxidants in photoaging. J. Dermatol. Sci. 27, S1-S4, 2001.
[문헌 3] 이화정, 마사지 병행 산소투입 및 항산화제 경구투여가 피부상태와 혈액성상 및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대대학원, 1-2, 2010.
[문헌 4] 김선희 외 15명, 本草學, p439, 1998.
[문헌 5] 권현정, 소목(Caesalpinia sappan L.)의 항균물질 Brazilin의 구조와 생리활성. 순천향대대학원, 2009.
[문헌 6] Yohei Sasaki, Tomokazu Hosokawa, Masahiro Nagai, and Seiji Nagumo, In Vitro Study for Inhibition of NO Production about Constituents of Sappan Lignum, Biol. Pharm. Bull. 30(1): 193, 2007
[문헌 7] Baek NI, Jeon SG, Ahn EM, Hahn JT, Bahn JH, Jang JS, Cho SW, Park JK, Choi SY. Anticonvulsant compounds from the wood of Caesalpinia sappan L. Arch Pharm Res, 23(4), 344-8, 2000.
[문헌 8] Oh SR, Kim DS, Lee IS, Jung KY, Lee JJ, Lee HK. Anticomplementary actiity of constituents from the heartwood of Caesalpinia sappan. Planta Med, 64(5), 456-8, 1998.
[문헌 9] Rogers GS, Gilchrest BA: The senile epidermis: Environmental influences on skin aging and cutaneous carcinogenesis. Br J Dermatol 122: 55-60, 1990
[문헌 10] Ibbotson SH, Moran MN, Nash JF, Kochevar IE: The effects of radicals compared with UVB as initiating species for the induction of chronic cutaneous photodamage. J Invest Dermatol 112: 933-8, 1999
[문헌 11] Kollias N, Gillies R, Moran M, Kochevar IE, Anderson RR: Endogenous skin fluorescence includes bands that may serve as quantitative markers of aging and photoaging. J Invest Dermatol 111: 776-80, 1998.
[문헌 12] Brenneisen, P., Wenk, J., Klotz. L.O., Wlaschek, M., Briviba, K., Krieg, T., Sies, H., Scharffetter-Kochanek, K., Central role of ferrous/ferric iron in the ultraviolet B irradiation-mediated signaling pathway leading to increased interstitial collagenase (matrix-degrading metalloproteinase (MMP)-1) and stromelysin-1 (MMP-3) mRNA levels in cultured human dermal fibroblasts. J. Biol. Chem. 273, 5279-5287, 1998.
[문헌 13] Lee K S, Lee W S, Suh SI, Kim S P, Lee S R, Ryoo Y W, Kim B C. Melatonin reduces ultraviolet-B induced cell damages and polyamine levels in human skin fibroblasts in culture. Exp Mol Med. Aug 31;35(4):263-8, 2003.
[문헌 14] Millis, A.J.T., Hoyle, M.,McCue, H.M., Martini, H., ,Differential expression of metalloproteinase and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genes in aged human fibroblasts. Exp. Cell. Res. 201, 373-379, 1992.
[문헌 15] Cha, H.J., Bae, S.K., Lee, H.Y., Lee, O.H., sato, H., Seiki, M., Park, B.C, kim, K.W., , Anti-invasive activity of ursolic acid correlates with the reduced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9(MMP-9) in HT1080 human fibrosarcoma cells. Cancer Res. 56, 2281-2284, 1996.
[문헌 16] Moon CK, Chung JH, Lee YM, Lee SH, Hwang GS, Park KS, Mock MS, Kim SG, Kim SG, Ahn YS, Ann JH. Effects of Brazilin on erythrocyte deformability and its regulated biochemical factor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Arch. Pharm. Res. 11(2), 149, 1988.
[문헌 17] Kim DS, Baek NI, Oh SR, Jung KY, Lee IS, Lee HK. NMR assignment of brazilein. Phytochemistry, 46, 177-8, 1997.
[문헌 18] Safiri R, Tarigan P, Freisleben HJ, Rumampuk RJ, Murakami A. Antioxidant activity in vitro of two aromatic compounds from caesalpinia sappan L. Biofacors. 19, 71-7, 2003.
[문헌 19] Baek NI, Jeon SG, Ahn EM, Hahn JT, Jang JS, Cho SW, Park JK, Choi SY. Anticonvulsant compounds from the wood of Caesalpinia sappan L. Arch. Pharmacol. Res. 23, 344-8, 2000.
[문헌 20] Xie YW, Ming DS, Xu HX, Dong H, But PP. Vasorelaxing effects of Caesalpinia sappan Involvement of endogenous nitric oxide. Life Sci. 67, 1913-8, 2000.
[문헌 21] Oh SR, Kim DS, Lee IS, Jung KY, Lee JJ, Lee HK. Anticomplementary activity of constituents from the heartwood of Caesalpinia sappan. Planta Med, 64, 456-8, 1998.
[문헌 22] Choi SY, Yang KM, Jeon SD, Kim JH, Khil LY, Chang TS, Moon CK. Brazilin modulates immune function mainly by augmenting T cell activity in halothane administered mice. Planta Med, 63, 405-8, 1997.
[문헌 23] Mok MS, Jeon SD, Yang KM, So DS, Moon CK. Effects of brazilin on induction of immunological tolerance by sheep red blood cells in C57BL/6 female mice. Arch. Pharmacol. Res, 21, 769-73, 1998.
[문헌 24] Lim MY, Jeon JH, Jeong EY, Lee CH, Lee HS. Antimicrobial activity of 5-hydroxy-1,4-naphthoquione isolated from Caesalpinia sappan toward intestinal bacteria. Food Chem, 100, 1254-8, 2007.
[문헌 25] Park KJ, Yang S, Eun YA, Kim SY, Lee HH, Kang H. Cytotoxic effects of Korean medicinal herbs determined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 lines. Pharm Biol, 40, 189-9, 2002.
[문헌 26] Chiang LC, Chiang W, Liu MC, Lin CC. In vitro antiviral activities of Caesalpinia pulcherrima and its related flavoniods. J. Antimicrob Chemother, 52, 194-8, 2003.
[문헌 27] Parameshwar S, Srinvasan KK, Rao CM. Oral antidiabetic activities of different extracts of Caesalpinia bonducella seed kemels. Pharm. biol, 40, 590-5, 2002.
[문헌 28] Nguyen MT, Awale S, Tezuka Y, Ueda JY, Tran Q, Kadota S. Xanthine oxidase inhibitors from the flowers of Chrysanthemum sinense. Planta. Med, 72, 46-51, 2006.
[문헌 29] Sasaki Y, Hosokawa T, Nagai M, Nagumo S. In vitro study for inhibition of NO production about constituents of Sappan Lignum. Biol Pharm Bull, 30(1), 193-6, 2007.
[문헌 30] Song Xiu-zu, BI Zhi-gang and XU Ai-e, Green tea polyphenol epigallocatechin-3-gallate inhibits the expression of nitric oxide synthase and generation of nitric oxide induced by ultraviolet B in HaCaT cells. Chin Med J. 119. 282-287 , 2006.
[문헌 31] Weller R. , Nitric oxide: a key mediator in cutaneous physiology. Clin Exp Dermatol . 28. 511-514, 2003.
[문헌 32] Jae-We Cho, Kun Park, Gi Ryang Kweon, Byeong-Churl Jang, Won-Ki Baek, Min-Ho Suh, , Curcumin inhibits the expression of COX-2 in UVB-irradiated human keratinocytes(HaCaT) by inhibiting activation of AP-1: p38 MAP kinase and JNK as potential upstream targets.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 Vol.37 , No.3, 186-192, 2005.
[문헌 33] N.D. Marcheko, A. Zaika and U.M. Moll, Death signal-induced localization of p53 protein to mitochondria. A potential role in apoptotic signaling. J. Biol. Chem, 275, 16202-12, 2000.
[문헌 34] J.E. Chipuk, T. Kuwana, L. Bouchier-Hayes, N.M. Droin, Direct activation of Bax by p53 mediates mitochondrial membrane permeabilization and apoptosis. Science, 303, 1010-4, 2004.
[문헌 35] V. Chaturvedi, J.Z.Qin, L. Stennett, D. Choubey and B.J. Nickoloff, Resistance to UV-induced apoptosis in human keratinocytes during accelerated senescence is associated with functional inactivation of p53, J. Cell Physiol. ,198, 100-109, 2004.
[문헌 36] Yong Cui, dong-seok kim, Seo-Hyiung Park, Jin-A Yoon, Involvement of ErK and p38 MAP kinase in AAPH-induced COX-2 expression in HaCaT cells. Chem. and Phys. of Lipids, 129, 43-52, 2004.
[문헌 37] Choi, A.M.K., Pignolo, R.J., Rhys, C.M.J., Cristofalo, V.j., Holbrook, N.J., Alternations in the molecular response to DNA damage during cellular aging of cultured fibroblasts: reduced AP-1 activation and collagenase gene expression. J. Cell Physiol. 164, 65-73, 1995.
[문헌 38] West, M.D., Pereira-Smith, O.M., Smith, J.R., Replicative senescence of human skin fibroblasts correlates with a loss of regulation and overexpression of collagenase activity. Exp. Cell. Res. 184, 138-147, 1989.
[문헌 39] Barber, L.A., Spandau, D.F., Rathman, S.C., Murphy, R.C., Johnson, C.A., Kelly, S.W., Hurwitz, S.A., Travers, J.B., , Expression of the platelet-activating receptor results in enhanced ultraviolet B radiation-induced apoptosis in a human epidermal cell line. J. Biol. chem. 273, 18891-18897, 1998.
[문헌 40] Angel, P., Karin, M., The role of Jun, Fos and the AP-1 complex in cell-proliferation and transformation. Biochim. Biophys. Acta 1072, 129-157, 1991.
[문헌 41] Fisher, G.J., Datta, S.,Wang, Z.Q., Li, X,-Y., Quan,T., Chung, J.-H., Kang, S.,Voorhees, J.J., c-Jun-dependent inhibition of cutaneous procollagen transcription following ultraviolet irradiation is reversed by all-trans retinoic acid. J. Cret. Itvest. 106, 663-670, 2000.
오존층의 파괴와 같은 지구환경 변화로 인해 피부는 자외선에 더 많이 노출되고 있다. 자외선(UV)은 그 파장에 따라 UVA, UVB, UVC로 나눌 수 있으며 이 중 UVB는 주로 표피에 영향을 주어 피부손상을 일으킨다. 피부표면의 각질세포 (keratinocyte)는 UVB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가장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활성산소(ROS, Reaction Oxygen Species)가 생성되며, 과도하게 생성된 활성 산소는 피부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초래하게 된다. 활성산소(ROS, reaction oxygen species)는 궁극적으로 피부 노화와 홍반, 부종 등의 피부 염증을 유발하고, 심하면 피부암을 유발한다. ROS는 superoxide anion, hydrogen peroxide, hydroxyl radical 등이 있는데, 이들은 세포내 산소호흡과정에서 NADPH cytochrome P450 reductase, NADPH oxidase, lipoxygenase 등에 의해 생성되며, 대부분 생체방어 기전에 의해 제거된다.
그러나, 자외선에 의해 증가된 활성산소류는 세포조직에 손상을 주어 염증을 유발하며 피부 노화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와는 함께 UV는 세포내 신호전달계인 MAPK(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PKC(protein kinase C)의 활성화와 AP-1, NF-κB등의 전사인자 (transcription factors) 활성화를 통해 세포의 단백질 발현에 영향을 준다.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에서 유리되는 TGFβ, PGE2, α-MSH는 UV에 의해 증가하며, 이들은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를 활성화시켜 멜라닌(melanin) 생합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UV에 의해 피부 각질세포로 부터 유리가 증가되는 TNF-α, IL-1등은 피부 진피세포인 진피 섬유아세포 (dermal fibroblast)에 작용하여 MMP-1(martrix metalloproteinase-1), TIMP-1(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1), 프로콜라겐 (procollagen) 등의 생합성을 변화시킨다. 즉, MMP-1과 같은 단백질 분해효소 유리를 증가시켜 콜라겐(collagen)을 분해시키고, 콜라겐 합성은 억제하여 피부노화를 유발한다.
플라보노이드 구조의 브라질린은 공기 중에 산화되어 브라질레인이 된다. 소목의 주성분인 브라질린이 고혈압에 효과가 있다(Moon, C. K. et al., Drug Chem. Toxicol. 15(1), pp81, 1992)는 보고가 있고, 브라질린이 혈소판에서 칼슘농도를 조절한다(Hwang, G. S. et al., Arch. Pharm. Res. 21(6), pp774-778, 1998)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으며, 혈액에서 브라질린의 혈당 저하 작용(Kim, S. G. et al., Arch. Pharm. Res. 21(2), pp140-146, 1998)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브라질린이 UV에 의한 각질세포의 염증성반응을 억제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UV로 손상된 HaCaT의 생존능을 측정하였으며, COX-2, Bcl-2, Bax, iNOS, COX-2, TNF-a, c-fos, c-jun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바, 브라질린이 피부 각질세포 손상 등의 피부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구조식 1의 브라질린(Brazilin)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의 예방 및 치료용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1
또한, 본 발명은 브라질린(Brazilin)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피부노화는 바람직하게는, 피부 각질세포 손상, 피부 광노화에 의한 손상 등의 피부노화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질린(Brazilin)은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스킨,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팩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브라질린(Brazilin) 화합물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로 제조될 수 있다.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 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동 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예,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이 때,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레인산(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만데르산,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바닐릭산, 히드로 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 때, 금속염으로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며,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을 적당한 은염 (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상기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상기 구조를 갖는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기의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 염이 포함되며, 아미노기의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메실레이트) 및 p-톨루엔설포네이트(토실레이트) 염이 있으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방법이나 제조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브라질린(Brazilin) 화합물은 소목으로부터 추출분리하거나 시중 구입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브라질린(brazilin)은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으며, 피부 첩포 시험에서 무자극 시료임이 입증되었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브라질린(brazilin)을 함유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형태의 약학조성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브라질린(brazilin)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소목추출물의 브라질린(Brazilin)은 1일 0.0001 내지 100㎎/㎏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브라질린(brazilin)은 UV에 의한 iNOS, c-jun 및 c-fos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켜 세포 손상 억제를 확인하여 피부 노화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브라질린(brazilin)은 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화장수, 스킨,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팩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 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 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3 중량%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Brazilin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브라질린(Brazilin)은 UV로 자극된 피부각질세포주인 HaCaT의 생존능, Bcl-2, Bcl-xL 단백질 유전자 발현 증가, COX-2, TNF-a의 발현 감소 및 iNOS, c-jun, c-fos 발현 증가를 억제시켜 UV로 자극된 피부 각질세포를 보호하고 피부 광노화에 관여하는 인자들의 억제를 확인함으로써 피부 노화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브라질린(Brazilin)의 UVB 조사에 의한 세포 생존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며; A : UVB(30 mJ/㎠) + brazilin(50 ㎍/㎖); B : UVB(30 mJ/㎠) + brazilin(10 ㎍/㎖); C : UVB(30 mJ/㎠) + brazilin(2 ㎍/㎖); ## p<0.01 vs Normal; **: P<0.01 vs Control,
도 2는 브라질린(Brazilin)의 UVB 조사에 의한 iNOS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며; A : UVB(30 mJ/㎠) + brazilin(50 ㎍/㎖); B : UVB(30 mJ/㎠) + brazilin(10 ㎍/㎖); C : UVB(30 mJ/㎠) + brazilin(2 ㎍/㎖); ## p<0.01 vs Normal; **: P<0.01 vs Control,
도 3은 브라질린(Brazilin)의 UVB 조사에 의한 c-jun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며; A : UVB(30 mJ/㎠) + brazilin(50 ㎍/㎖); B : UVB(30 mJ/㎠) + brazilin(10 ㎍/㎖); C : UVB(30 mJ/㎠) + brazilin(2 ㎍/㎖); ## p<0.01 vs Normal; **: P<0.01 vs Control,
도 4는 브라질린(Brazilin)의 UVB 조사에 의한 c-fos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며; A : UVB(30mJ/㎠) + brazilin(50㎍/㎖); B : UVB(30mJ/㎠) + brazilin(10㎍/㎖); C : UVB(30mJ/㎠) + brazilin(2㎍/㎖); ## p<0.01 vs Normal; **: P<0.01 vs Control,
도 5는 브라질린(Brazilin)의 UVB 조사에 의한 COX-2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며; A : UVB(30 mJ/㎠) + brazilin(50 ㎍/㎖); B : UVB(30 mJ/㎠) + brazilin(10 ㎍/㎖); C : UVB(30 mJ/㎠) + brazilin(2 ㎍/㎖); ## p<0.01 vs Normal; **: P<0.01 vs Control,
도 6은 Brazilin 추출물의 UVB 조사에 의한 Bcl-2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며; A : UVB(30 mJ/㎠) + brazilin(50 ㎍/㎖); B : UVB(30 mJ/㎠) + brazilin(10 ㎍/㎖); C : UVB(30 mJ/㎠) + brazilin(2 ㎍/㎖); ## p<0.01 vs Normal; **: P<0.01 vs Control,
도 7은 브라질린(Brazilin)의 UVB 조사에 의한 Bax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며; A : UVB(30 mJ/㎠) + brazilin(50 ㎍/㎖); B : UVB(30 mJ/㎠) + brazilin(10 ㎍/㎖); C : UVB(30 mJ/㎠) + brazilin(2 ㎍/㎖); ## p<0.01 vs Normal; **: P<0.01 vs Control,
도 8은 브라질린(Brazilin)의 UVB 조사에 의한 TNF-a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며; A : UVB(30 mJ/㎠) + brazilin(50 ㎍/㎖); B : UVB(30 mJ/㎠) + brazilin(10 ㎍/㎖); C : UVB(30 mJ/㎠) + brazilin(2 ㎍/㎖); ## p<0.01 vs Normal; **: P<0.01 vs Control,
도 9는 브라질린(Brazilin)의 UVB 조사에 의한 Bcl-xL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며; A : UVB(30 mJ/㎠) + brazilin(50 ㎍/㎖); B : UVB(30 mJ/㎠) + brazilin(10 ㎍/㎖); C : UVB(30 mJ/㎠) + brazilin(2 ㎍/㎖); ## p<0.01 vs Normal; **: P<0.01 vs Control.
도 10은 브라질린(Brazilin)의 1H-NMR spectra (DMSO-d6,δ 0 ~ 12 ppm)을 나타낸 도이며;
도 11은 브라질린(Brazilin)의 1H-NMR spectra (DMSO-d6,δ 6.1 ~ 7.2 ppm)을 나타낸 도이며;
도 12는 브라질린(Brazilin)의 1H-NMR spectra (DMSO-d6,δ 2.4 ~ 4.0 ppm)을 나타낸 도이며;
도 13은 브라질린(Brazilin)의 13C-NMR spectra (DMSO-d6,δ 0 ~ 220 ppm)을 나타낸 도이며;
도 14는 브라질린(Brazilin)의 Low-resolution FAB-MS spectra 를 나타낸 도이며;
도 15는 high-resolution FAB-MS로 측정한 브라질린(Brazilin)의 분자량을 나타낸 도이며;
도 16은 브라질린(Brazilin)의 화학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브라질린 준비
하기 실험예에 개시된 물성치를 나타내는 브라질린(brazilin)을 DMSO를 이용하여 배지에 녹인 후, pore size 0.45 ㎛의 여과지를 통과시킨 후에 하기 실험예에 사용하였다.
참고예 1. 재료 및 방법
1. 재료
(1) 세포주
본 실험에 사용된 실험에 사용된 인간 피부 각질세포주인 HaCaT 세포는 Dr. Fusenig(German Cancer Research Center, DKFZ, Heidelberg, Germany)로 부터 분양받아 DMEM에 10% FBS, 10% penicillin-streptomycin(100 unit/ml, 100 ug/ml)이 첨가된 배지로 CO2 incubator로(37℃, 5% CO2, 95% air) 배양하였다. 세포 분주를 위해서는 0.25% trypsin-EDTA를 사용하였으며, 96 well, 24 well에서는 1x105/well, 6 well에서는 1x106/ml의 세포를 가하여 하룻밤 배양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2) 시약 및 기기
1) 시약
본 실험에 사용된 시약으로 NaNO2(Sigma, S2252), Griess reagent solution(Sigma, G4410), TRIzol reagent(Invitrogen. Cat. No. 15596018),클로로포름(Sigma Co., U.S.A), LDH kit(Sigma S500), isoamylalcohol(Sigma, USA), 에탄올(Sigma, USA), SybrGreen Mix(Sigma, USA), RNAase free water(Sigma, USA), Oligo dT(Promega, USA), RNAase 제거수(Promega, USA), dNTP(Promega, USA), RNAase inhibitor(Promega, USA), Taq polymerase(Promega, USA), primer((주)바이오니아, KOREA), DTT(Promega, USA)를 사용하였다.
2) 기기
본 실험에 사용된 기기는 자외선 조사기 UVATEC(Sherman Oaks, CA, USA), 광량 기기(IL 1700 radiometer, International Light Inc., MA, USA), ELISA Reader(Molecular Device, Emax), Microplate spectrophotometer (Molecular Devices,U.S.A), ABI PRISM 7000 Sequence Detection System(Bioystems, USA), CO2 배양기(incubator; Forma scientific Co.,U.S.A), waterbath(Vision scientific Co.,Korea), PCR(Perkin Elmer, USA), centrifuge(Sigma, U.S.A)등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UV 에 의한 상해에 미치는 영향 실험
상기 실시예의 Brazilin이 UV에 의한 상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1-1. 세포 생존능 측정
brazilin을 실험전에 1시간 동안 약물을 농도별로 가하여 미리 배양하였다.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하여 DMEM 배지를 제거한 다음, PBS로 2번 씻어낸 후 UV-B 파장의 자외선을 30 mJ/cm2 이 되도록 조사하였다. 자외선을 조사한 다음 PBS로 한번 씻어낸 후, brazilin이 50 ug/ml, 10 ug/ml, 2 ug/ml가 함유된 새로운 DMEM 배지를 넣고 일정 시간동안 배양한 후 자외선 조사기 UV-ATEC(Sherman Oaks, CA, USA), UV-B lamp를 사용하여 290-320nm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IL1700 radiometer(International Light Inc., MA, USA)을 사용하여 광량을 측정하였다. UV 조사를 한 후 20시간 후에 실험군에서 배지 상층액을 취하였다. PBS로 희석한 MTT 용액을 첨가하고 다시 4시간 배양하였다. 상층액을 제거하고 50 ul DMSO를 첨거한 다음 650 nm에서 흡광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UV 조사시에 세포 생존능이 감소하였으며, brazilin을 처리한 경우, 50 ug/ml, 10 ug/ml, 2 ug/ml 농도에서 모두 세포 생존능을 증가시켜 세포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확인 되었다.
실험예 2. 유전자 발현에 대한 영향 실험
상기 실시예의 Brazilin이 유전자 발현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2-1. 총 RNA 분리
배양하고 있는 HaCaT 세포에 1 ml TRIzol reagent (Invitrogen, USA)를 처리하여 총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RNA 용액에 200 ㎕의 chloroform : isoamylalcohol (24:1)을 넣고 강하게 섞은 후 14,000 rpm으로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 500 ㎕를 분리하였다. 0.5 ml isopropyl alcohol을 여기에 가하여 영하 20℃에서 하룻밤 RNA를 침전시킨 후 1,400 rpm으로 20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상등액을 버린 후 70% 에탄올로 세척하고 자연 건조시킨다. RNase free water에서 RNA를 녹인 후 RNase-free DNase를 첨가하고 -70℃에서 저장하였다.
2-2. cDNA 제조
대조군 및 시험군에서 각각 분리한 total RNA 액 1 ㎕에(1μg RNA 함유)에 oligo dT(농도 100 pmol) 1 ㎕, RNase free water 3 ㎕을 넣은 후 조심스럽게 혼합한 다음, 65℃에서 10분간 incubation하였다. primer가 annealing 하도록 4℃ 에서 약 5분간 방치한 다음, Reverse transcriptase buffer, dNTP(각 2.5 mM), RNase inhibitor, DTT(100 nM), Reverse transcriptase(M-MLV 200 U/㎕)을 첨가한 후, 아주 조심스럽게 혼합하였다. 이 후, 42℃ 에서 90분간 incubation 한 후, 95℃에서 5분간 처리한 후 사용하였다.
2-3. RT - PCR
oligo(dT) primer(Promega, Cat.No. C1101), reaction buffer(50 mM Tris-HCl, 75 mM KCl, 3 mM MgCl2, 10 mM DTT, pH 8.3) (Promega, Cat.No. M1705), 1 mM dNTP(Promega, Cat.No. U1515)과 200 unit M-MLV-RT(Moloney murine leukemia virus reverse transcriptase) (Promega, Cat.No. M1705)를 분리한 RNA에 처리하여 역전사를 수행함으로써 cDNA를 합성하였다. PCR은 total volume 25 ㎕에 10 X PCR buffer, 0.2 mM dNTPs, 2 pmole의 sense 및 antisense primer를 넣은 혼합액에 cDNA와 1.25 unit의 Taq polymerase (Promega, Cat.No. M8295)을 넣어 PCR을 시행하였다. PCR 조건은 94℃ 4분, 30 cycles의 [94℃(20초), 54℃(20초), 72℃(30초)], 72℃ 10분이었다(Perkin Elmer, USA). 증폭된 PCR 산물을 2% agarose gel에 전기영동하였다. 전기영동 결과 나온 band를 density 분석 프로그램인 Gel-Pro analyzer 3.1(Media Cybernetics. USA)을 이용하여 구했다(표 1 참조).
Primer Sense Antisense
c-jun GGA TCA AGG CGG AGA GGA AG GCG TTA GCA TGA GTT GGC AC
c-fos GGA GAA TCC GAA GGA AAG G GCT TGG GCT CAG GGT CAT TG
Bcl-2 ACT CTG CTC AGT TTC GCC CT TTG TGG CTC AGA TAG GCA C
Bcl-xL ATG TCT CAG AGC AAC CGG TCT TTC CGA CTG AAG AGT G
Bax ATG GAC GGG TCC GGG GAG CA TGT TAC TGT CCA GTT CGT CC
COX-2 TTC AAA TGA GAT TGT GGG AAA AT AGA TCA TCT CTG CCT GAG TAT CTT
iNOS CGG TGC TGT ATT TCC TTA CGA GGC GAA GAA GG GGT GCT GTC TGT TAG GAG GTC CAA GTA AAG GGC
TNF-α TGC ACC ACA GTT TAA ACC CA GAC TCC TTC AGG TGC TCA GG
GAPDH CAG CCT CGT CCC GTA G AC AAA CAC GAC ATA CTC AGC ACC GGC
2-4. Real time RT - PCR
각각의 optical tube(MicroAmpOptical 96-Well Reaction Plate with Barcode and Optical Adhesive Films, Applied Biosystems, Cat.No. 4314320)에 3배의 SybrGreen Mix 2.5 ㎕(Sigma-Aldrich, Cat.No. S9430), 위에서 합성한 cDNA 1 ㎕, 10 pmol/㎕ primer pair mix 1㎕, 각각 2.5 mM의 dNTP 2 ㎕, 10 x Tag polymerase buffer 2.5 ㎕, Tag Polymerase 0.3 ㎕ 와 14.7 ㎕ H2O를 넣고, 95℃ 5min 1cycle, 95℃ 30sec, 45℃ 30sec, 72℃ 60sec 40 cycles, 95℃ 20min 1cycle로 증폭시켰다. Primer는 RT-PCR에 사용한 것을 이용하였다. PCR을 마친 후 tube를 꺼낸 다음, 반응액 5 ㎕를 사용하여 3% agarose gel에서 PCR specificity를 측정하고, ABI PRISM7000 Sequence Detection System(Applied Biosystems, Cat.No. 4349157)를 사용하여 real time PCR 결과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도 2 내지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브라질린은 직접적으로 UV로 자극된 피부 각질세포를 보호하는 작용이 있으며, UV 조사시에 피부 광노화에 관여하는 인자들을 억제하여 피부노화를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3. 핵자기공명분광법 ( NMR ) 및 질량분광법(MS)에 의한 브라질린 구조의 분석 실험
상기 실시예의 Brazilin을 핵자기공명분광법(nuclear magnetic resonance, 이하 NMR) 및 질량분광법(MS)으로 물질의 구조를 하기와 같이 실험을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핵자기공명분광법(nuclear magnetic resonance, 이하 NMR)에 따라 분리된 물질을 1H- 및 13C-NMR (500 MHz)을 측정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H-NMR스펙트럼으로부터 6.19, 6.39, 6.53, 6.62 및 7.12 ppm 근처에서 방향성수소원자에 의한 신호(aromatic signal)가 나타났으며, 스핀결합상수 (coupling constant, J)의 계산으로부터 6.39 ppm에 해당하는 doublet-doublet signal (J=8.3Hz)은 7.11 ppm과 ortho-coupling하는 수소이며, 6.19 ppm (J=2.35 Hz)의 doublet signal은 6.4 ppm의 수소와 meta-coupling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6.53 ppm 및 6.62 ppm의 singlet signal은 주변에 인접한 수소가 없음을 시사하였다. 3.82 ppm (dd, J=11.3Hz)와 3.55 ppm에 나타난 신호는 cycle ring의 sp2의 혼성오비탈을 갖는 CH2로 하나의 탄소에 붙어 있는 수소임을 확인하였으며, 2.85 ppm(d, J=15.65Hz)과 2.67 ppm의 신호 역시 germinal proton에 기인함을 알 수 있었다(도 10, 11, 12, 표 2 참조)
한편, 13C-NMR측정 결과, 4개의 산화된 olefinic quaternary carbons(δ 154.0, δ 156.4, δ 144.2, δ 143.9)이 있어 aromatic ring에 산화된 탄소들이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3개의 olefinic quaternary(δ 114.3, δ 130.8, δ 135.5)와 하나의 산화된 quaternary(δ 76.3) 탄소공명(carbon resonance)을 나타내었다(도 13 및 표 2 참조). 아울러 분리된 물질의 질량분석을 통하여 분자량이 286 m/z임을 확인하였으므로(도 14 및 15 참조), 이상의 데이터를 종합한 결과 물질의 구조는 brazilin으로 확인되었다(도 16 참조).
position δH (ppm) δC (ppm)
1 7.11, 1H, d, J=8.3 130.8
1a - 114.3
2 6.39, 1H, dd, J=8.3, 2.35 108.6
3 - 154.0
4 6.19, 1H, d, J=2.35 102.7
4a - 156.4
6
3.55, 1H, d, J=11.3 69.6
3.82, 1H, d, J=11.3
6a - 76.3
7
2.67, 1H, d, J=15.65 41.9
2.85, 1H, d, J=15.65
7a - 129.7
8 6.52, 1H, s 112.0
9 - 144.2
10 - 143.9
11 6.62, 1H, s 111.6
11a - 135.5
12 3.83, 1H, s 49.5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형예로서 크림, 맛사지크림, 로션, 스킨로션, 에센스, 팩, 클렌징폼의 제형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크림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로 가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1.0 %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0 %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5 %
마이크로 스탈린 납 2.0 %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
밀납 2.0 %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2.0 %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 1.0 %
트리 (카프릴, 카프린산) 글리세린 5.0 %
액상 리놀린 5.0 %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8.0 %
스쿠알란 8.0 %
농글리세린 5.0 %
1,3-부틸렌글리콜 5.0 %
알란토인 0.1 %
브라질린(brazilin) 10.0 %
향료 미량
황색4호 미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맛사지크림 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로 가열 용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2.0 %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5 %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5 %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
바셀린 3.5 %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3.5 %
세스퀴올레인산 소르비탄 1.8 %
유동 파라핀 35.0 %
트리 (카프릴, 카프린산) 글리세린 3.0 %
옥틸도데칸올 5.0 %
스쿠알렌 2.0 %
농글리세린 5.0 %
브라질린(brazilin) 5.0 %
히아루로닉애씨드추출물 1.0 %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로션 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로 가열 혼합 유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2.0 %
스테아린산 1.0 %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0 %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0 %
바셀린 1.0 %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1.5 %
세스퀴올레인산 소르비탄 1.0 %
유동 파라핀 5.0 %
스쿠알렌 5.0 %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2 %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
농글리세린 5.0 %
브라질린(brazilin) 15.0 %
트리에탄올아민 0.5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스킨로션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글리세린 2.0 %
1,3-부틸렌글리콜 2.0 %
구연산 0.01 %
에탄올 15.0 %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
브라질린(brazilin) 25.0 %
향료 미량
위치하젤추출물 1.0 %
정제수 잔량
제형예 5. 에센스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글리세린 15.0 %
1,3-부틸렌글리콜 5.0 %
알란토인 0.1 %
에탄올 7.0 %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5 %
트리에탄올아민 0.15 %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
초산토코페롤 0.5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5 %
브라질린(brazilin) 30.0 %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6. 팩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폴리비닐알코올 15.0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이스나트륨 0.3 %
농글리세린 3.0 %
알란토인 0.1 %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0.01 %
폴리에틸렌글리콜 1.0 %
에탄올 6.0 %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5 %
타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05 %
디엘판테놀 0.1 %
폴리옥시에틸렌(12)노닐페닐에테르 0.5 %
브라질린(brazilin) 45.0 %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7. 클렌징폼 조성물
수상과 오일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 검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스테아린산 6.5 %
미리스틴산 28.0 %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3.0 %
프로필렌 글리콜 5.0 %
농글리세린 10.0 %
수산화나트륨 7.0 %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1 %
태반 추출물 0.5 %
브라질린(brazilin) 15.0 %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Claims (5)

  1. 브라질린(Brazilin)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의 예방 및 치료용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인 약학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노화는 피부 각질세포 손상, 피부 광노화에 의한 손상등의 피부노화인 약학 조성물.
  4. 브라질린(Brazilin)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스킨,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또는 팩의 제형인 조성물.

KR1020110087824A 2011-08-31 2011-08-31 브라질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43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824A KR20130024395A (ko) 2011-08-31 2011-08-31 브라질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824A KR20130024395A (ko) 2011-08-31 2011-08-31 브라질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395A true KR20130024395A (ko) 2013-03-08

Family

ID=48176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824A KR20130024395A (ko) 2011-08-31 2011-08-31 브라질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43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7428A1 (pt) * 2018-10-19 2020-04-23 União Brasileira De Educação E Assistência - Mantenedora Da Pucrs Compostos, uso de compostos na preparação de uma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composição farmacêutica compreendendo 7,11b-dihydro-6h-indeno[2,1-c]chromene-3,6a,9,10-tetrol, seus derivados ou análogos, neutros ou ionizados, para prevenção e/ou terapia senolítica
WO2023092465A1 (zh) * 2021-11-26 2023-06-01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巴西苏木素在制备抗凋亡蛋白Mcl-1抑制剂中的应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7428A1 (pt) * 2018-10-19 2020-04-23 União Brasileira De Educação E Assistência - Mantenedora Da Pucrs Compostos, uso de compostos na preparação de uma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composição farmacêutica compreendendo 7,11b-dihydro-6h-indeno[2,1-c]chromene-3,6a,9,10-tetrol, seus derivados ou análogos, neutros ou ionizados, para prevenção e/ou terapia senolítica
WO2023092465A1 (zh) * 2021-11-26 2023-06-01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巴西苏木素在制备抗凋亡蛋白Mcl-1抑制剂中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8193B1 (ko)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조성물
US20110086060A1 (en) Novel compositions and their use
KR100771397B1 (ko)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민들레 추출물 또는이로부터 분리된 루테올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8673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143820B1 (ko)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까실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RU2571690C2 (ru)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павловнин и/или экстракты павловнии, и их использование
KR20190025376A (ko) 애엽 및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20170189326A1 (en) Topical Antiaging Polyphenol Compositions
KR20070041925A (ko) 항산화, 항암 및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nh 생약 조성물
CN107072902B (zh) 包含10-羟基硬脂酸的美容组合物的用途
EP2623094A1 (en) Use of an edelweiss extract
KR100780893B1 (ko) 뜰보리수 과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항염 및 미백용 조성물
WO2015005642A1 (ko) 알부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094306B1 (ko) 타이모퀴논류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50044817A (ko) 파울로우니아 토멘토사 목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10131783A (ko) 가공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104760A (ko)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o-메틸호노키올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865071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30024395A (ko) 브라질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20070041927A (ko) 항산화, 항암,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도화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KR20090093363A (ko) 적하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8811A (ko) 부평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손상 개선 또는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73406B1 (ko) 항산화, 항암 및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ch 조성물
KR100931528B1 (ko) 꽈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조성물
KR101499453B1 (ko) 부평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피부노화 치료 및 예방용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