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4261A -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 - Google Patents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4261A
KR20130024261A KR1020110087591A KR20110087591A KR20130024261A KR 20130024261 A KR20130024261 A KR 20130024261A KR 1020110087591 A KR1020110087591 A KR 1020110087591A KR 20110087591 A KR20110087591 A KR 20110087591A KR 20130024261 A KR20130024261 A KR 20130024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ump
diesel engine
stroke diesel
fue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현민
김주태
김종석
박득진
김승혁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7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4261A/ko
Publication of KR20130024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2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6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9/00Arrangements of fuel-injection apparatus with respect to engines; Pump drives adapted to such arrangements
    • F02M39/02Arrangements of fuel-injection apparatus to facilitate the driving of pumps; Arrangements of fuel-injection pumps; Pump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20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에 관한 것으로, 상기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는 선박의 메인 엔진에 구비되고, 연료의 분사를 제어한다. 이러한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는 제어부, 펑처 밸브(Puncture Valve), 흡입 밸브(Suction Valve) 및 작동유 배출구(Oil Outlet)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내부에 상기 연료의 분사 시점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펌프 상단에 결합된다. 펑처 밸브는 상기 제어부의 하부에 축방향으로 결합된다. 흡입 밸브는 상기 펑처 밸브의 하부에 축방향으로 위치한다. 작동유 배출구는 상기 제어부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된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은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제어부의 구성으로부터 상기 연료펌프 내부의 연료 분사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엔진의 앵글값을 측정하여 상기 연료의 분사량 및 분사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FUEL PUMP FOR LARGE 2-STROKE DIESEL ENGINE}
본 출원은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부하에 따라 연료 분사 시점을 조정할 수 있는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메인 엔진에 사용되는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은 일반적으로 실린더 하나당 1개의 연료 펌프와 2개 혹은 3개의 연료 분사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종래의 대형 2행정 디젤 엔진 연료 펌프는 내부 압력에 의해 밸브류들이 개폐되어 연료 분사 시점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 캠 샤프트 상에서 캠을 조정하여 디젤 엔진의 로드에 따른 분사시점 조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은 엔진부하에 따라 연료 분사 시점을 조정할 수 있는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를 제공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는 선박의 메인 엔진에 구비되고, 연료의 분사를 제어한다. 이러한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는 내부에 상기 연료의 분사 시점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펌프 상단에 결합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하부에 축방향으로 결합되는 펑처 밸브(Puncture Valve), 상기 펑처 밸브의 하부에 축방향으로 위치하는 흡입 밸브(Suction Valve) 및 상기 제어부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되는 작동유 배출구(Oil Outlet)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의 분사 시점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엔진의 앵글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엔진의 앵글값은 관리자에 의해 측정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본 출원의 개시된 기술은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제어부의 구성으로부터 연료펌프 내부의 연료 분사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개시된 기술은 엔진의 앵글값을 측정하여 연료의 분사량 및 분사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종래의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는 내부 압력에 의해 흡입 밸브(Suction Valve)(130)가 개폐되며, 엔진 정지시 펑처 밸브(Puncture Valve)(120)가 작동하여 Suction Valve(130)가 개방되고 연료 분사 밸브가 작동이 중지된다. 연료 분사 시점 조정이 필요한 경우 캠 샤프트 상에서 캠을 조정하여 디젤 엔진의 로드에 따른 분사시점 조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100)는 제어부(110), 펑처 밸브(Puncture Valve)(120), 흡입 밸브(Suction Valve)(130), 작동유 배출구(Oil Outlet)(140)을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100)의 상단에 결합하고, 내부에 상기 연료의 분사 시점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12)를 포함한다. 솔레노이드 밸브(112)는 제어부(110)로부터 연료의 분사를 원하는 시점을 신호를 통해 전달받고, 신호가 전달되면 작동하여 작동유 배출구(140)를 통해 작동유가 배출 된다. 작동유가 배출되면, 펑쳐 밸브(120)가 닫히면서 펌프 내부에 압력이 형성되어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으로 연료 분사가 시작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10)는 연료의 분사 시점을 제어하기 위하여 엔진의 앵글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엔진의 앵글값은 관리자에 의해 측정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펑처 밸브(120)는 제어부(110)의 하부에 축방향으로 결합되고,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100) 내부의 압력을 형성한다.
흡입 밸브(130)는 펑처 밸브의 하부에 축방향으로 위치하고,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100) 내부의 압력을 형성한다.
작동유 배출구(140)는 제어부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된다. 작동유 배출구(140)는 솔레노이드 밸브(112)를 통해 작동유가 빠져나가는 경로를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는 펌프 내부의 압력에 의해서만 흡입 밸브가 작동되어 연료 분사 시점 조정이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개시된 기술의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100)는 평소에 압력이 형성되지 않고, 원하는 시점에만 압력이 형성되어 디젤 엔진의 로드에 따른 연료 분사 시점 조정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
110 : 제어부 120 : 펑처 밸브(Puncture Valve)
130 : 흡입 밸브(Suction Valve) 140 : 작동유 배출구(Oil Outlet)

Claims (3)

  1. 선박의 메인 엔진에 구비되고, 연료의 분사를 제어하는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연료의 분사 시점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펌프 상단에 결합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하부에 축방향으로 결합되는 펑처 밸브(Puncture Valve);
    상기 펑처 밸브의 하부에 축방향으로 위치하는 흡입 밸브(Suction Valve); 및
    상기 제어부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되는 작동유 배출구(Oil Outlet)를 포함하는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의 분사 시점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엔진의 앵글값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앵글값은
    관리자에 의해 측정범위가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
KR1020110087591A 2011-08-31 2011-08-31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 KR201300242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591A KR20130024261A (ko) 2011-08-31 2011-08-31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591A KR20130024261A (ko) 2011-08-31 2011-08-31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261A true KR20130024261A (ko) 2013-03-08

Family

ID=48176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591A KR20130024261A (ko) 2011-08-31 2011-08-31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42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8299A (ko) 2022-06-07 2023-12-14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디젤엔진의 전자식 연료분사펌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8299A (ko) 2022-06-07 2023-12-14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디젤엔진의 전자식 연료분사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04930B2 (ja) 内燃機関の燃焼室内への水噴射を診断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WO2014147978A1 (ja) 副室式ガスエンジンの燃料供給制御装置
JP2013526669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及びガスエンジンのためのハイブリッド型ノズルを備える二重燃料噴射バルブ装置
WO2007139592A3 (en) Ultrasonic fuel injector
JP2010084548A (ja) 内燃機関の高圧燃料ポンプ制御装置
WO2012129131A3 (en) Device and method configured to control valve operation in piston engine
WO2009011145A1 (ja) 可変リフト機構によるバルブ総開角可変システム
EP2806140A1 (en) Dual fuel engin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30024261A (ko)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
US10138839B2 (en) Control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90093571A1 (en) Engine control device
US10208683B2 (en) Electrical monitoring of gaseous fuel admission valves
DK201500169A1 (en) Fuel valve for injecting fuel into a combustion chamber of a large self-igniting turbocharged two-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2009007819A3 (en) Start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30024262A (ko)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용 연료펌프
WO2009056395A3 (de) Kraftstoffeinspritzventil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PL2014908T3 (pl) Silnik spalinowy pracujący naprzemiennie na oleju napędowym lub paliwie biogenicznym
JP2010163895A (ja) 内燃機関の吸気制御装置
EP2743482B1 (en) Knock control system,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10031685A (ja) 火花点火式内燃機関
JP5589634B2 (ja) カムレスエンジン弁開閉制御装置
JP2006329016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6319235B2 (ja) 燃料噴射装置
WO2020196155A1 (ja) 内燃機関のピストン温度制御装置
WO2008139091A3 (fr) Moteur a combustion interne avec regulation de la quantite de carburant injecte et procede d'elaboration d'une valeur de consigne de carburant injec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