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3988A - 프론트 엔드 모듈 - Google Patents

프론트 엔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3988A
KR20130023988A KR1020110087127A KR20110087127A KR20130023988A KR 20130023988 A KR20130023988 A KR 20130023988A KR 1020110087127 A KR1020110087127 A KR 1020110087127A KR 20110087127 A KR20110087127 A KR 20110087127A KR 20130023988 A KR20130023988 A KR 20130023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direction
control unit
support
module
cool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9649B1 (ko
Inventor
박성욱
공태윤
김재용
소원섭
권용성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7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649B1/ko
Publication of KR20130023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론트 엔드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쿨링모듈을 고정하는 지지프레임이 캐리어에 고정되며, 회전방향 조절부에 의해 지지프레임이 캐리어에 고정되는 각도 및 높이방향 조절부에 의해 쿨링모듈이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쿨링모듈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도 쿨링모듈의 고정 위치를 안정적으로 조절 가능한 프론트 엔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
본 발명은 프론트 엔드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쿨링모듈을 고정하는 지지프레임이 캐리어에 고정되며, 회전방향 조절부에 의해 지지프레임이 캐리어에 고정되는 각도 및 높이방향 조절부에 의해 쿨링모듈이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쿨링모듈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도 쿨링모듈의 고정 위치를 안정적으로 조절 가능한 프론트 엔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 개발은 부품과 공정의 수를 감소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특히, 그 대표적인 예로서, 차량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을 들 수 있는데 일체로 성형되는 캐리어는 헤드램프, 쿨링모듈, 범퍼, 범퍼빔 스테이 등의 구성품과 하나로 조립되어 모듈화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캐리어(1)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캐리어(1)는 상부 및 하부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상부 패널(10) 및 하부 패널(20), 상기 상부 패널(10)과 하부 패널(20)을 연결하는 사이드 패널(3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상부 패널(10) 하부 패널(20) 및 사이드 패널(30)에 의해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은 쿨링모듈(40)이 장착되는 쿨링모듈 장착부(2)를 형성한다.
상기 쿨링모듈(40)은 라디에이터, 응축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라디에이터는 엔진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엔진 내부를 순환하면서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을 흡수한 고온의 냉각수가 워터펌프에 의해 순환되어 상기 라디에이터를 통과하면서 외부에 열을 방출하여 엔진의 과열을 방지하며 최적의 운전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열교환기이다.
상기 응축기는 고온ㆍ고압의 기체 상태인 열교환매체가 유입되어 열교환에 의해 액화열을 방출하면서 액체 상태로 응축된 후 배출되도록 하며, 과냉각이 발생함에 의해 열교환매체의 엔탈피를 더욱 낮출 수 있어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열교환기이다.
아울러, 팬 및 쉬라우드 조립체는 상기 라디에이터에 일체화되어 조립된다.
상기 쿨링모듈(40)의 예로서, 상기 라디에이터의 구성과 그 체결구조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라디에이터는 상ㆍ하 양측으로 체결핀(42)이 돌출된 한 쌍의 헤더탱크(41)와, 상기 헤더탱크(41) 사이에 배치되는 코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캐리어의 상부 패널(10) 및 하부 패널(20)에는 상기 체결핀(42)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며, 이 때, 별도의 체결수단(50)이 이용된다.
도면에서 라디에이터의 코어부는 팬 및 쉬라우드 조립체에 의해 가려진 형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쿨링모듈(40)의 고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부 패널(20)의 마운트(21)에 쿨링모듈(40)의 하측 체결핀(42)을 가조립시킨 상태에서, 상기 쿨링모듈의 상측 체결핀(42)이 체결수단(50)의 완충부재(미도시)에 삽입되도록 상기 체결수단을 케리어(1)의 상부 패널(10)에 고정한다.
즉, 쿨링모듈은 엔진 냉각 성능 및 냉방 성능을 담당하는 구성이며, 엔진 냉각 및 냉방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차량 전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 쿨링모듈은 차량 전방의 상기 캐리어의 쿨링모듈 장착부에 구비되므로 차량의 충돌 시, 가벼운 접촉 사고라 할 지라도 쉽게 파손될 수 있어 수리 비용이 급격히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세계차량수리기술연구위원회(RCAR; Research Council for Automobile Repairs)는 차량 각 요소들의 내구성 및 안정도의 기준 산정하고 연구하는 기관으로서, 각각의 차량은 상기 세계차량수리기술연구위원회에서 제시하는 기준의 해당도를 평가받게 되며, 이 평가 결과는 보험회사의 보험료를 산정함에 있어 기준이 된다.
즉, 차량의 수리 비용이 증가되는 것은 보험료를 증가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한편, 자동차의 후드(hood)와 캐리어 상부 사이는 적절한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워, 보행자가 자동차에 충돌되는 경우에 상기 후드가 적절히 변형되지 못하고 후드와 캐리어가 충돌되어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더욱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
특히, 상기 후드와 캐리어 사이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은 쿨링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을 고정하고, 엔진룸 내부의 공간을 적절하게 마련하기 위해서 매우 어려운 일이므로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낮추기 위한 적절한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1-0043916호(발명의 명칭 : 보행자 보호용 회동 구조용 프론트 엔드 모듈)이 제안된 바 있으며, 이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한 프론트 엔드 모듈은 헤드램프 안착부의 중심에 위치되는 전면패널(70)과, 보행자와의 충돌 시, 그 충격을 감지하는 충돌 감지센서와, 상기 충돌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전면패널(70)이 힌지축(61)을 중심으로 그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작동하는 액추에이터(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 2에 도시한 프론트 엔드 모듈은 보행자의 충돌에 의해 전면패널 자체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쿨링모듈의 성능과 보행자의 상해 저감의 효과를 일부 가지고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한 프론트 엔드 모듈은 헤드램프 안착부 중심에 위치되는 전면패널 전체가 회동됨에 따라 쿨링모듈이 안착되는 부분 뿐만 아니라 차량 전방을 지지하는 케리어 자체가 이동됨으로써, 차량 엔진룸 내부에 그만큼의 공간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소형화를 방해하게 된다.
또한, 보행자의 상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차량 상측에 완충 구간을 충분히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전면패널이 회동된다 할지라도 상기 완충 구간이 충분히 확보되기 어려워 보행자의 상해 저감 효과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1-0043916호(공개일자 2011.04.28)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쿨링모듈을 고정하는 지지프레임이 캐리어에 고정되며, 회전방향 조절부에 의해 지지프레임이 캐리어에 고정되는 각도 및 높이방향 조절부에 의해 쿨링모듈이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쿨링모듈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도 쿨링모듈의 고정 위치를 안정적으로 조절 가능한 프론트 엔드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 냉각 성능 판단부, 차량 냉방 성능 판단부 및 충돌 판단부를 포함하는 제어부에 의해 높이방향 조절부 및 회전방향 조절부의 작동이 제어됨으로써, 엔진 냉각 및 차량 냉방 성능을 적절하게 만족할 수 있으며, 보행자 충돌 또는 저속 충돌을 감지하여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줄일 수 있고, 쿨링모듈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프론트 엔드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쿨링모듈의 성능(엔진 냉각 및 차량 냉방 성능)을 높여야할 경우에, 쿨링모듈이 차량 전방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개구부에 대응되도록 위치됨으로써 적절하게 엔진 냉각 성능 또는 차량 냉방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프론트 엔드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보행자 충돌이 감지되는 경우에 쿨링모듈이 차량 하측으로 이동되어 차량 상측에 완충 구간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함으로써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줄일 수 있는 프론트 엔드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저속 충돌 시에 차량이 엔진룸 측으로 이동되어 쿨링모듈의 손상을 저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차량 파손 정도를 줄여 수리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보험료 등을 줄일 수 있어 경제성을 높인 프론트 엔드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은 상부 및 하부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상부 패널(211)과 하부 패널(212), 상기 상부 패널(211)과 하부 패널(212)을 연결하여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213), 및 상기 사이드 패널(213)로부터 연장되어 헤드램프가 안착되는 헤드램프 안착부(214)를 포함하는 캐리어(200); 및 응축기(310)와, 라디에이터(320)와, 팬 및 쉬라우드 조립체(330)를 포함하여 상기 공간부에 위치되는 쿨링모듈(300);을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1000)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은 상기 쿨링모듈(300)은 양 사이드 패널(213) 측으로 연장되는 고정부(321)가 형성되며, 제1지지부(410), 상기 제1지지부(410)의 하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위치되며 상기 하부 패널(212)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지지부(420), 상기 제1지지부(410) 및 제2지지부(420)를 연결하며 상기 고정부(321)를 통해 쿨링모듈(300)이 고정되는 제3지지부(430) 및 제4지지부(440)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400); 상기 쿨링모듈(300)의 고정부(321)가 상기 지지프레임(400)의 높이방향으로 고정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높이방향 조절부(500); 상기 제2지지부(420)를 회전축으로 상기 지지프레임(400)이 상기 캐리어(200)에 고정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방향 조절부(600); 및 엔진 냉각 성능 판단부(710), 차량 냉방 성능 판단부(720) 및 충돌 판단부(730)를 포함하여 상기 높이방향 조절부(500) 및 회전방향 조절부(6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방향 조절부(500)는 상기 제3지지부(430) 및 제4지지부(440)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렉(511)(Reck)과, 상기 고정부(321)와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렉(51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피니언 기어(512)와, 상기 피니언 기어(512)를 회전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높이방향 조절부(500)는 상기 제3지지부(430) 및 제4지지부(440)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321)와 연결되어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1피스톤부(521)를 포함하는 제1액추에이터(5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방향 조절부(600)는 캐리어(200)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프레임(400)에 연결된 제2피스톤부(611)를 포함하는 제2액추에이터(6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모듈은 쿨링모듈을 고정하는 지지프레임이 캐리어에 고정되며, 회전방향 조절부에 의해 지지프레임이 캐리어에 고정되는 각도 및 높이방향 조절부에 의해 쿨링모듈이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쿨링모듈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도 쿨링모듈의 고정 위치를 안정적으로 조절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모듈은 엔진 냉각 성능 판단부, 차량 냉방 성능 판단부 및 충돌 판단부를 포함하는 제어부에 의해 높이방향 조절부 및 회전방향 조절부의 작동이 제어됨으로써, 엔진 냉각 및 차량 냉방 성능을 적절하게 만족할 수 있으며, 보행자 충돌 또는 저속 충돌을 감지하여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줄일 수 있고, 쿨링모듈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모듈은 쿨링모듈의 성능(엔진 냉각 및 차량 냉방 성능)을 높여야할 경우에, 쿨링모듈이 차량 전방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개구부에 대응되도록 위치됨으로써 적절하게 엔진 냉각 성능 또는 차량 냉방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모듈은 보행자 충돌이 감지되는 경우에 쿨링모듈이 차량 하측으로 이동되어 차량 상측에 완충 구간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함으로써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모듈은 저속 충돌 시에 차량이 엔진룸 측으로 이동되어 쿨링모듈의 손상을 저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차량 파손 정도를 줄여 수리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보험료 등을 줄일 수 있어 경제성을 높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론트 엔드 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프론트 엔드 모듈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의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의 제어부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의 높이방향 조절부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의 높이방향 조절부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의 높이방향 조절부 실시예를 나타낸 다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의 회전방향 조절부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은 캐리어(200), 쿨링모듈(300), 지지프레임(400), 높이방향 조절부(500), 회전방향 조절부(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캐리어(200)는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을 형성하는 기본 몸체로서, 차량 전방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캐리어(200)는 상부 및 하부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상부 패널(211)과 하부 패널(212), 상기 상부 패널(211)과 하부 패널(212)을 연결하여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사이드 패널(213)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캐리어(200)는 상기 상부 패널(211), 하부 패널(212), 한 쌍의 사이드 패널(213)을 통해 내부에 대략 "ㅁ"자 형상의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공간부에 쿨링모듈(300)이 구비된다.
상기 사이드 패널(213)은 양측 단부로 연장되어 헤드램프가 안착되는 헤드램프 안착부(214)를 형성한다.
상기 쿨링모듈(300)은 응축기(310)와, 라디에이터(320)와, 핀 및 쉬라우드 조립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각 구성은 서로 조립된 상태이다.
상기 지지프레임(400)은 상기 사이드 패널(213)의 공간부에 구비되며, 그 내부에 쿨링모듈(300)을 고정하는 구성이다.
상기 지지프레임(400)은 제1지지부(410), 상기 제1지지부(410)의 하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위치되며 상기 하부 패널(212)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지지부(420), 상기 제1지지부(410) 및 제2지지부(420)를 연결하는 제3지지부(430) 및 제4지지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지지프레임(400)은 상기 캐리어(200)에 고정되되, 내부에 상기 쿨링모듈(300)을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쿨링모듈(300)은 양측에서 상기 사이드 패널(213) 측으로 연장되는 고정부(321)가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부(321)가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400)의 제3지지부(430) 및 제4지지부(440)에 고정된다.
상기 높이방향 조절부(500)는 상기 쿨링모듈(300)의 고정부(321)가 상기 지지프레임(400)의 높이방향으로 고정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지지프레임(400)에 고정되어 상기 쿨링모듈(300)의 고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프레임(400)의 높이방향이란, 상기 제3지지부(430) 및 제4지지부(440)의 길이방향을 의미한다.(도 7에서 상기 쿨링모듈(300)이 이동되는 방향을 표시한 화살표 참조)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은 상기 높이방향 조절부(500)를 통해 상기 쿨링모듈(300)이 상기 지지프레임(400)의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그 상태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 (a)는 상기 쿨링모듈(300)이 상기 지지프레임(400) 내부에서 하측에 위치되었을 때를, 도 7 (b)는 상기 쿨링모듈(300)이 상기 지지프레임(400) 내부에서 상측에 위치되었을 때를 나타내었다.
한편, 상기 쿨링모듈(300)이 상기 도 7 (a)와 같이 위치했을 때, 차량 전측 상부에 완충 구간이 충분히 확보되어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은 상기 제어부(700)에 의해 상기 높이방향 조절부(500)가 제어됨으로써 쿨링모듈(300)의 고정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행자 충돌이 감지되는 경우에 쿨링모듈(300)이 차량 하측으로 이동되어 차량 상측에 완충 구간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함으로써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높이방향 조절부(500)의 일 예를 도 8 내지 도 9b에 각각 도시하였다.
도 8에 도시한 상기 높이방향 조절부(500)는 상기 지지프레임(400)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321)와 연결되어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1피스톤부(521)를 포함하는 제1액추에이터(520)가 이용되는 형태를 나타내었다.
이 때, 도 8에 도시한 형태는 상기 제1액추에이터(520)가 상기 지지프레임(400)의 외측에 고정되는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3지지부(430) 및 제4지지부(440)의 일정 영역은 상기 고정부(321)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400)의 높이방향으로 중공된 예를 나타내엇다.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은 상기 높이방향 조절부(500)의 구성, 장착되는 위치 및 고정부(321)의 형태를 고려하여 상기 지지프레임(400)의 형태가 더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향 조절부(600)는 상기 제2지지부(420)를 회전축으로 상기 지지프레임(400)이 상기 캐리어(200)에 고정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수단이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형태는 상기 제3지지부(430) 및 제4지지부(440)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렉(511)(Reck)과, 상기 고정부(321)와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렉(51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피니언 기어(51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400)은 상기 제3지지부(430) 및 제4지지부(440)의 높이방향으로 일정 영역에 렉(511)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피니언 기어(512)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부(321)가 이동가능하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형태는 서로 연동되는 한 쌍의 피니언 기어(512) 사이에 상기 고정부(321)의 단부가 연결된 형태로서, 상기 고정부(321)의 단부는 상기 한 쌍의 피니언 기어(512)를 연결하는 축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의 회전방향 조절부(600)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회전방향 조절부(600)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400)이 상기 제2지지부(420)를 기준으로 회동된다.
도 10에 도시한 회전방향 조절부(600)는 캐리어(200)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프레임(400)에 연결된 제2피스톤부(611)를 포함하는 제2액추에이터(610)가 이용된 예를 나타내었다.
즉, 상기 제2액추에이터(610)는 캐리어(200)에 고정되며, 제2피스톤부(611)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지지프레임(400)의 고정 각도를 조절한다.
차량 전방에는 개구부(101)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01)를 통해 공기가 쿨링모듈(300)을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쿨링모듈(300)이 차량 최전방의 상기 개구부(101)에 인접하게 위치될수록 엔진 냉각 성능과 관련된 라디에이터(320)의 열교환 효율 및 차량 냉방 성능과 관련된 응축기(310)의 열교환 효율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은 엔진 냉각 성능 및 차량 냉방 성능이 높게 요구되는 경우에 상기 회전방향 조절부(600), 및 상기 높이방향 조절부(5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쿨링모듈(300)이 공기가 유입되는 개구부(101)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또,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은 저속 충돌 시에 차량 파손 정도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회전방향 조절부(600), 및 상기 높이방향 조절부(5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쿨링모듈(300)이 차량 전측과 멀리 떨어지게 위치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회전방향 조절부(600) 및 높이방향 조절부(5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엔진 냉각 성능 판단부(710), 차량 냉방 성능 판단부(720) 및 충돌 판단부(7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쿨링모듈(300)의 위치에 따라 성능이 달라지는 요소인 엔진 냉각 성능을 판단하는 엔진 냉각 성능 판단부(710), 차량 냉방 성능을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며, 보행자의 상해 저감 및 쿨링모듈(300)의 보호를 위한 요소를 판단하는 충돌 판단부(730)를 포함한다.
상기 엔진 냉각 성능 판단부(710)는 엔진 냉각수 온도, 엔진 온도, 라디에이터(320)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 또는 상기 엔진 상태를 제어하는 수단 등과 연결되어 엔진 냉각 성능을 향상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차량 냉방 성능 판단부(720)는 냉방 사이클을 순환하는 열교환매체의 온도, 응축기(310) 또는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와 연결되거나, 차량 냉방과 관련한, 압축기, 증발기, 팽창수단, 및 응축기(310)의 작동 유무, 냉방 조절 스위치 등으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차량 냉방 성능을 향상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충돌 판단부(730)는 충돌을 감지사는 센서를 이용하여 충돌을 판단하며, 이 때, 보행자와의 충돌인지 저속 충돌인지를 판단하여 쿨링모듈(300)의 이동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은 엔진 냉각 성능 향상 , 차량 냉방 성능 향상, 보행자의 상해 저감 및 쿨링모듈(300)의 보호를 위한 쿨링모듈(300)의 고정 위치가 서로 다르므로, 상기 제어부(700)의 판단에 의해 쿨링모듈(300)의 고정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높이방향 조절부(500) 및 회전방향 조절부(600)의 작동을 지시함으로써 용이하게 쿨링모듈(3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은 엔진 냉각 성능 판단부(710), 차량 냉방 성능 판단부(720) 및 충돌 판단부(730)를 포함하는 제어부(700)에 의해 높이방향 조절부(500) 및 회전방향 조절부(600)의 작동이 제어됨으로써, 엔진 냉각 및 차량 냉방 성능을 적절하게 만족할 수 있으며, 보행자 충돌 또는 저속 충돌을 감지하여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줄일 수 있고, 쿨링모듈(300)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프론트 엔드 모듈
101 : 개구부
200 : 캐리어 211 : 상부 패널
212 : 하부 패널 213 : 사이드 패널
214 : 헤드램프 안착부
300 : 쿨링모듈 310 : 응축기
320 : 라디에이터 321 : 고정부
330 : 팬 및 쉬라우드 조립체
400 : 지지프레임 410 : 제1지지부
420 : 제2지지부 430 : 제3지지부
440 : 제4지지부
500 : 높이방향 조절부 511 : 렉
512 : 피니언 기어
520 : 제1액추에이터 521 : 제1피스톤부
600 : 회전방향 조절부 610 : 제2액추에이터
611 : 제2피스톤부
700 : 제어부 710 : 엔진 냉각 성능 판단부
720 : 차량 냉방 성능 판단부 730 : 충돌 판단부

Claims (4)

  1. 상부 및 하부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상부 패널(211)과 하부 패널(212), 상기 상부 패널(211)과 하부 패널(212)을 연결하여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213), 및 상기 사이드 패널(213)로부터 연장되어 헤드램프가 안착되는 헤드램프 안착부(214)를 포함하는 캐리어(200); 및 응축기(310)와, 라디에이터(320)와, 팬 및 쉬라우드 조립체(330)를 포함하여 상기 공간부에 위치되는 쿨링모듈(300);을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1000)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1000)은
    상기 쿨링모듈(300)은 양 사이드 패널(213) 측으로 연장되는 고정부(321)가 형성되며,
    제1지지부(410), 상기 제1지지부(410)의 하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위치되며 상기 하부 패널(212)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지지부(420), 상기 제1지지부(410) 및 제2지지부(420)를 연결하며 상기 고정부(321)를 통해 쿨링모듈(300)이 고정되는 제3지지부(430) 및 제4지지부(440)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400);
    상기 쿨링모듈(300)의 고정부(321)가 상기 지지프레임(400)의 높이방향으로 고정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높이방향 조절부(500);
    상기 제2지지부(420)를 회전축으로 상기 지지프레임(400)이 상기 캐리어(200)에 고정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방향 조절부(600);
    엔진 냉각 성능 판단부(710), 차량 냉방 성능 판단부(720) 및 충돌 판단부(730)를 포함하여 상기 높이방향 조절부(500) 및 회전방향 조절부(6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방향 조절부(500)는
    상기 제3지지부(430) 및 제4지지부(440)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렉(511)(Reck)과, 상기 고정부(321)와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렉(51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피니언 기어(512)와, 상기 피니언 기어(512)를 회전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방향 조절부(500)는 상기 제3지지부(430) 및 제4지지부(440)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321)와 연결되어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1피스톤부(521)를 포함하는 제1액추에이터(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향 조절부(600)는 캐리어(200)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프레임(400)에 연결된 제2피스톤부(611)를 포함하는 제2액추에이터(6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KR1020110087127A 2011-08-30 2011-08-30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719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127A KR101719649B1 (ko) 2011-08-30 2011-08-30 프론트 엔드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127A KR101719649B1 (ko) 2011-08-30 2011-08-30 프론트 엔드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988A true KR20130023988A (ko) 2013-03-08
KR101719649B1 KR101719649B1 (ko) 2017-03-24

Family

ID=48176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127A KR101719649B1 (ko) 2011-08-30 2011-08-30 프론트 엔드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6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186A (ko) * 2014-04-28 2015-1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쿨링모듈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01344A (ko) * 2017-06-27 2019-01-04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콘덴서에 설치되는 열 전달 핀들의 메커니즘
DE102018210789A1 (de) 2018-06-29 2020-01-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Umrahmungsvorrichtung eines Kühlmittelkühlers eines Kraftfahrzeug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6461A (ja) * 2005-03-16 2006-09-28 Toyota Motor Corp 車両用冷却系支持構造
JP2009262876A (ja) * 2008-04-28 2009-11-12 Toyoda Iron Works Co Ltd 車両用冷却部品支持装置
JP2009262693A (ja) * 2008-04-23 2009-11-12 Toyoda Iron Works Co Ltd 車両用冷却部品支持装置
KR20110043916A (ko) 2009-10-22 2011-04-28 자동차부품연구원 보행자 보호용 회동 구조형 프론트 엔드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6461A (ja) * 2005-03-16 2006-09-28 Toyota Motor Corp 車両用冷却系支持構造
JP2009262693A (ja) * 2008-04-23 2009-11-12 Toyoda Iron Works Co Ltd 車両用冷却部品支持装置
JP2009262876A (ja) * 2008-04-28 2009-11-12 Toyoda Iron Works Co Ltd 車両用冷却部品支持装置
KR20110043916A (ko) 2009-10-22 2011-04-28 자동차부품연구원 보행자 보호용 회동 구조형 프론트 엔드 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186A (ko) * 2014-04-28 2015-1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쿨링모듈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01344A (ko) * 2017-06-27 2019-01-04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콘덴서에 설치되는 열 전달 핀들의 메커니즘
DE102018210789A1 (de) 2018-06-29 2020-01-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Umrahmungsvorrichtung eines Kühlmittelkühlers eines Kraftfahrze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649B1 (ko) 2017-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7866B2 (ja) 開口調整装置の取付構造
US20120241128A1 (en) Heat Exchange Block For A Motor Vehicle
US20060254838A1 (en) Cooling device for use on a vehicle
JP4957768B2 (ja) 冷却風導入構造
ES2451004T3 (es) Unidad interior de acondicionador de aire con tamaño variable de carcasa
JP2005219531A (ja) 車両用熱交換器冷却装置
US20150315955A1 (en) System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into vehicle engine compartment
KR101527881B1 (ko) 에어 플랩
CN102729803A (zh) 车辆的冷却风导入装置
KR20130023988A (ko)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693348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20120058952A (ko)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518514B1 (ko) 쿨링모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론트 엔드 모듈
ES2382502T3 (es) Viga transversal delantera de vehículo automóvil, que comprende un elemento de carenado trasero
KR101141212B1 (ko) 캐리어
JP6507569B2 (ja) 車両
JP2007191001A (ja) 車両用冷却装置
JP2013203315A (ja) 可変ダクト取付構造
JP2013203316A (ja) 可変ダクト支持構造
JP5966540B2 (ja) 車両用熱交換器
KR101362332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JP2018039340A (ja) 車両の冷却装置
JP4581625B2 (ja) 車両用熱交換器の配置構造
JP2007137195A (ja) エンジンルーム内における冷却系の配設構造
KR20110036373A (ko) 쿨링 모듈의 파손 방지를 위한 프론트 엔드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