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1784A -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1784A
KR20130021784A KR1020110084254A KR20110084254A KR20130021784A KR 20130021784 A KR20130021784 A KR 20130021784A KR 1020110084254 A KR1020110084254 A KR 1020110084254A KR 20110084254 A KR20110084254 A KR 20110084254A KR 20130021784 A KR20130021784 A KR 20130021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electrode assembly
containing structure
battery modul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7777B1 (ko
Inventor
김종환
김영석
황창묵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4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777B1/ko
Priority to PCT/KR2012/006048 priority patent/WO2013027935A1/en
Priority to US14/126,039 priority patent/US20140154554A1/en
Priority to JP2014527056A priority patent/JP2014529855A/ja
Priority to EP20120826220 priority patent/EP2748881A4/en
Priority to CN201280040609.0A priority patent/CN103748707A/zh
Publication of KR20130021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9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73Containers for storing liquids; Delivery conduits therefor
    • H01M50/682Containers for storing liquids; Delivery conduits therefor accommodated in battery or cell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70Arrangements for stirring or circulating the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은 복수개의 양극판 및 복수개의 음극판과 그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세퍼레이터가 위치하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파우치, 및 상기 전극조립체와 상기 파우치에 함께 수용되고, 전해액을 함유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전해액함유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배터리 모듈의 셀 내부에 전해액이 함유할 수 있는 기구물을 삽입하여 배터리 모듈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전지는 크게 1차 전지와 2차 전지로 구분될 수 있는데, 1차 전지란 비가역적인 반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므로 한 번 사용된 후에는 재사용이 불가능한 전지로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건전지, 수은 전지, 볼타 전지 등이 이에 속하며, 2차 전지는 이와는 달리 가역적인 반응을 이용하므로 사용 후 충전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전지로서 납 축전지, 리튬 이온 전지, 니카드(Ni-Cd) 전지 등이 이에 속한다.
도 1은 2차 전지 중 하나인 일반적인 리튬 이온 전지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리튬 이온 전지와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는 전해질의 성상(액체/고체)만 다를 뿐 그 구조는 동일하다.
또한, 전지에 따라 전해질이나 극의 재질이 도 1에 기재된 재질과는 조금씩 다를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튬 이온 전지는 일반적으로 탄소로 이루어지는 음극(1) 및 일반적으로 리튬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양극(2), 두 극(1, 2)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3), 그리고 음극(1)과 양극(2)의 접촉을 막는 세퍼레이터로 구성된다. 전해질(3) 내의 리튬 이온은 충전(charge) 시에는 음극(1) 쪽으로, 방전(discharge) 시에는 양극(2) 쪽으로 이동하며, 각 극에서 잉여의 전자를 방출하거나 또는 흡수하면서 화학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외부 단자에 연결된 상기 전선(4)에 전자가 흐르게 되며, 이에 따라 전기 에너지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에서 리튬 이온 전지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다른 2차 전지의 경우도 전극 또는 전해질로 사용되는 물질이 달라질 뿐 기본 원리 및 구조는 이와 동일하다. 즉, 일반적으로 2차 전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음극(1), 양극(2), 전해질(3) 및 세페레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때, 2차 전지는 음극(1), 양극(2), 전해질(3) 및 세페레이터가 각각 단일 개 구비되어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보다 일반적으로는 단일 개의 음극(1), 양극(2), 전해질(3) 및 세페레이터로 이루어지는 단위 셀(10)이 다수 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즉, 2차 전지 팩의 내부에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단위 셀(10)이 다수 개 들어 있게 된다. 물론 각 단위 셀(10)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2차 전지는 그 내부에 다수 개의 단위 셀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일반적으로 각 셀의 전극들과 연결된 한 쌍의 외부 단자 탭(즉 각 단위 셀의 음극들이 연결된 하나의 음극, 각 셀의 양극들이 연결된 하나의 양극으로서, 전지 하나당 한 쌍이 구비되어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탭)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2차 전지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개 사용되기보다는 다수 개가 연결되어 하나의 팩으로서의 배터리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팩 형태의 배터리에서 각각의 전지들을 (전지를 구성하는 단위 셀과 구별하여) 셀이라 칭하며, 물론 각 셀의 탭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전해질은 2차 전지 팩의 내부에 액체 상태로 투입되어, 전해액으로 상기 음극과 양극에서 전기적으로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일반적으로 도 1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개 음극판, 복수개 양극판, 및 복수개의 세퍼레이터가 개재되어 있는 전극조립체(10)와 상기 전극조립체(10)를 수용할 수 있는 파우치(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파우치(20)의 내부에 전해액을 주액하여 전기적인 반응이 일어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해액의 양을 늘려 많이 주액하는 것이 배터리의 수명과 장기 저장 특성에 유리하다, 그러나 상기 전해액의 양은 degassing 공정에 의해 한계값이 정해지고, 전해액 양이 많아지면 degassing 공정에서 전해액이 분출되어 오염문제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degassing 공정이란 상기 전해액에 녹아있는 기체를 제거하는 공정을 말한다.
또한, 과량의 상기 전해액을 주액하면 전해액이 전지 제조 공정 중에 주액부의 오염을 일으켜 파우치의 실링 신뢰성에도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Degassing 공정에 진공도를 낮추어 전해액 분출 문제를 해결할 경우 과량의 전해액이 Ca와 An의 밀착성을 떨어뜨려 출력특성 저하를 가져오고, 전지 강건성이 저하되어 전지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배터리의 측벽에 복수개의 튜브가 연결된 형상을 형성하여 전극조립체의 외측에 전해액이 잘 흘러 들어 가도록 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나, 형상이 복잡하고 단단한 케이스에만 적용이 가능하여 파우치형태의 케이스에는 적용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0-0059769호(2010.06.04)에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0-0059769호(2010.06.04)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터리 모듈의 내부에 여분의 전해액을 보관할 수 있고, Degassing 공정에서 전해액이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배터리 모듈의 충ㅇ방전이 반복되는 동안 전해액이 소모될 경우 전해액이 분해 소모되는 양을 공급해 줌으로서 배터리의 수명과 저장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은 복수개의 양극판 및 복수개의 음극판과 그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세퍼레이터가 위치하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파우치; 및 상기 전극조립체와 상기 파우치에 함께 수용되고, 전해액을 함유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전해액함유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은 상기 전극조립체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이 상기 전극조립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이 상기 전극조립체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이 상기 전극조립체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전극조립체의 음극탭과 양극탭을 간섭하지 않는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은 격자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해액 함유 구조물은 복수개의 홀이 천공되어 있는 파이프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은 전해액을 보유할 수 있는 전해액함유 구조물을 파우치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배터리 모듈의 내부에 여분의 전해액을 보관할 수 있고, Degassing 공정에서 전해액이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배터리 모듈의 충ㅇ방전이 반복되는 동안 전해액이 소모될 경우 전해액이 분해 소모되는 양을 공급해 줌으로서 배터리의 수명과 저장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배터리 모듈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의 제1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의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의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전해액함유 기구물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100)의 구조와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100)은 전극조립체(110), 파우치(120), 및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극조립체(110)는 양극판 및 음극판과 그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더가 위치하는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셀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서로 접합되는 전극 탭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 탭은 음극탭(112)과 양극탭(111)으로 구성되며, 각각 상기 양극판과 상기 음극판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연결된다.
상기 파우치(120)는 상기 전극조립체(110)가 수용되고, 상기 음극탭(112)과 상기 양극탭(111)이 노출되어 밀봉하게 된다.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은 상기 전극조립체(110)와 함께 상기 파우치(120)에 함께 수용된다.
이때,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의 내부에 전해액을 함유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해액이 외부와 소통될 수 있도록 일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은 상기 전극조립체(110)의 두께와 동일하게 제작되어, 상기 파우치(120)에 수용되어 밀봉하였을 경우 외부에서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평평하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100)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이 상기 전극조립체(110)와 함께 상기 파우치(120)에 수용될 경우 상기 전극조립체(100)의 상부, 측면, 및 하부 중 어느 한곳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은 상기 전극조립체(1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이 상기 전극조립체(110)의 하부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에 전해액이 충진되어 상기 전극조립체(110)에서 충ㅇ방전이 일어나 전해액이 소비되어 전해액이 부족할 경우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전해액이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은 상기 전극조립체(110)에 원활히 전해액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전극조립체(110)에 접하는 면이 전해액이 소통되도록 통로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은 상기 전극조립체(11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이 상기 전극조립체(110)의 측면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에 전해액이 충진되어 상기 전극조립체(110)에서 충ㅇ방전이 일어나 전해액이 소비되어 전해액이 부족할 경우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전해액이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은 상기 전극조립체(110)에 원활히 전해액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전극조립체(110)에 접하는 면이 전해액이 소통되도록 통로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은 상기 전극조립체(1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이 상기 전극조립체(110)의 상부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에 전해액이 충진되어 상기 전극조립체(110)에서 충ㅇ방전이 일어나 전해액이 소비되어 전해액이 부족할 경우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전해액이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110)의 상부에는 상기 양극탭(111)과 상기 음극탭(112)이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양극탭(111)과 상기 음극탭(112)을 간섭하기 않는 곳에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양극탭(111)의 외측, 상기 음극탭(112)의 외측, 상기 양극탭(111)과 상기 음극탭(112)의 사이 중 한 곳 이상에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은 상기 전극조립체(110)에 원활히 전해액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전극조립체(110)에 접하는 면이 전해액이 소통되도록 통로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이 상기 전극조립체(110)의 상부에 위치할 경우, 중력에 의해서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에 있는 전해액이 상기 전극조립체(110)에 공급될 수 있다.
도 7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의 형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은 격자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은 사각기둥형상으로 제작되고, 내부가 격자형태로 제작되어 전해액을 함유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도 7a 참조)
이때,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은 전해액이 소통되는 면이 상기 전극조립체(110)와 접합하는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전극조립체(110)에 전해액이 원활이 공급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은 파이프형상으로 제작되되, 외주면에 복수개의 홀이 천공되어 내부와 외부가 소통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은 파이프형상으로 제작되어 내부에 전해액을 함유할 수 있고, 외주면에 복수개의 홀이 천공되어 상기 전극조립체(110)에 전해액을 공급할 수 있다.(도 7b 참조)
이때, 상기 전해액 함유 구조물(130)은 전해액이 소통되는 면에 상기 홀이 많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전극조립체(110)에 전해액이 원활이 공급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100)은 전해액을 보유할 수 있는 전해액함유 구조물(130)을 파우치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배터리 모듈(100)의 내부에 여분의 전해액을 보관할 수 있고, Degassing 공정에서 전해액이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배터리 모듈(100)의 충ㅇ방전이 반복되는 동안 전해액이 소모될 경우 전해액이 분해 소모되는 양을 공급해 줌으로서 배터리의 수명과 저장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100 : 배터리 모듈
110 : 전극조립체
111 : 양극탭
112 : 음극탭
120 : 파우치
130 : 전해액함유 구조물

Claims (7)

  1. 복수개의 양극판 및 복수개의 음극판과 그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세퍼레이터가 위치하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파우치; 및
    상기 전극조립체와 상기 파우치에 함께 수용되고, 전해액을 함유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전해액함유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은 상기 전극조립체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이 상기 전극조립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이 상기 전극조립체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이 상기 전극조립체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전극조립체의 음극탭과 양극탭을 간섭하지 않는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함유 구조물은 격자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함유 구조물은 복수개의 홀이 천공되어 있는 파이프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KR1020110084254A 2011-08-24 2011-08-24 배터리 모듈 KR101327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254A KR101327777B1 (ko) 2011-08-24 2011-08-24 배터리 모듈
PCT/KR2012/006048 WO2013027935A1 (en) 2011-08-24 2012-07-30 Battery module
US14/126,039 US20140154554A1 (en) 2011-08-24 2012-07-30 Battery module
JP2014527056A JP2014529855A (ja) 2011-08-24 2012-07-30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EP20120826220 EP2748881A4 (en) 2011-08-24 2012-07-30 BATTERY MODULE
CN201280040609.0A CN103748707A (zh) 2011-08-24 2012-07-30 电池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254A KR101327777B1 (ko) 2011-08-24 2011-08-24 배터리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784A true KR20130021784A (ko) 2013-03-06
KR101327777B1 KR101327777B1 (ko) 2013-11-12

Family

ID=4774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254A KR101327777B1 (ko) 2011-08-24 2011-08-24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154554A1 (ko)
EP (1) EP2748881A4 (ko)
JP (1) JP2014529855A (ko)
KR (1) KR101327777B1 (ko)
CN (1) CN103748707A (ko)
WO (1) WO201302793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511A (ko) * 2014-11-20 2016-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우치셀
KR20160133135A (ko) * 2015-05-12 2016-1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해액 내장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셀
KR20170029748A (ko) * 2015-09-08 2017-03-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연장부를 가진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 저장 부재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436B1 (ko) 2014-11-17 2021-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의 배터리 셀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6686286B2 (ja) * 2015-03-30 2020-04-22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及びそれを用いた組電池
US20190067729A1 (en) * 2017-08-29 2019-02-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ithium ion electrochemical devices having excess electrolyte capacity to improve lifetime
JP7059644B2 (ja) * 2018-01-23 2022-04-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113764787B (zh) * 2020-05-18 2022-12-0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电芯组件、电池、电池包及汽车
JP7313391B2 (ja) * 2021-03-25 2023-07-24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二次電池
WO2023283808A1 (zh) * 2021-07-13 2023-01-1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单体、电池及用电装置
KR20230030788A (ko) * 2021-08-26 2023-03-07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20230090674A (ko) * 2021-12-15 2023-06-22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230090675A (ko) * 2021-12-15 2023-06-22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1422A (en) * 1969-04-03 1971-07-06 Eltra Corp Water-activable battery utilizing absorbent open-celled material
JPS4835333A (ko) * 1971-09-07 1973-05-24
JPS5240732B2 (ko) * 1973-05-21 1977-10-14
JP2002117814A (ja) * 2000-10-05 2002-04-19 Sanyo Electric Co Ltd 角形外装缶とこれを用いる電池
US20030162085A1 (en) * 2002-02-25 2003-08-28 Sauseda Cynthia Carol Separator configuration providing a reservoir and wicking system for electrolyte
JP2005149916A (ja) 2003-11-17 2005-06-09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制御弁式鉛蓄電池
JP4554621B2 (ja) 2004-01-30 2010-09-29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特殊なパッケージ構造を有する電池
KR100614394B1 (ko) * 2004-06-19 2006-08-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해액 보충 부재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100570625B1 (ko) * 2004-07-28 2006-04-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095345B1 (ko) * 2005-08-19 2011-1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에너지 밀도의 이차전지
JP4803360B2 (ja) * 2005-12-02 2011-10-2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7704637B2 (en) * 2006-04-17 2010-04-27 Jianzhong Yan Lithium ion battery
JP2008262738A (ja) * 2007-04-10 2008-10-30 Hitachi Maxell Ltd 密閉型電池
JP5096851B2 (ja) * 2007-09-19 2012-12-12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US20090197160A1 (en) * 2008-01-31 2009-08-06 Sanyo Electric Co., Ltd. Stack type battery
JP5252937B2 (ja) * 2008-01-31 2013-07-31 三洋電機株式会社 積層式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243672A (ja) * 2011-05-23 2012-12-10 Nec Corp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511A (ko) * 2014-11-20 2016-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우치셀
US9705152B2 (en) 2014-11-20 2017-07-11 Hyundai Motor Company Pouch cell
KR20160133135A (ko) * 2015-05-12 2016-1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해액 내장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셀
KR20170029748A (ko) * 2015-09-08 2017-03-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연장부를 가진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 저장 부재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27935A1 (en) 2013-02-28
JP2014529855A (ja) 2014-11-13
US20140154554A1 (en) 2014-06-05
EP2748881A4 (en) 2015-05-20
KR101327777B1 (ko) 2013-11-12
CN103748707A (zh) 2014-04-23
EP2748881A1 (en)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777B1 (ko) 배터리 모듈
KR100709834B1 (ko) 이차 전지
US11081765B2 (en) Battery cell refillable with electrolyte, battery pack, electrolyte refilling system for battery pack, and electrolyte refilling method for battery pack
KR101508400B1 (ko) 전해액 충전용 이차전지
KR101192083B1 (ko) 이차 전지
US9048028B2 (en) Hybrid electrochemical cell systems and methods
JP5346839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20060118957A (ko) 리튬 이차 전지
KR20100118394A (ko) 미실링 잉여부를 구비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80076158A (ko) 균일한 sei 형성을 위한 버퍼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전지 제조방법
JP2011108368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1113423B1 (ko)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이온 커패시터
US20220223971A1 (en) Cylindrical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07030B1 (ko) 리튬 이차 전지
CN209434340U (zh) 电池单元和用于制造电池单元的电池壳体的装置
KR20200058752A (ko)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CN116345088A (zh) 电池模块
WO2009145375A1 (en) Rechargeable cell
KR100614394B1 (ko) 전해액 보충 부재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20070006091A (ko) 이차 전지와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
KR20200077253A (ko) 배터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계
KR101206251B1 (ko) 전해질 자가 순환 기능을 갖는 축전지
KR20070006246A (ko) 이차 전지와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
KR20240047856A (ko) 셀 제조 방법
KR101777448B1 (ko) 2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