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8453A - 차량용 제설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제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8453A
KR20130018453A KR1020110089153A KR20110089153A KR20130018453A KR 20130018453 A KR20130018453 A KR 20130018453A KR 1020110089153 A KR1020110089153 A KR 1020110089153A KR 20110089153 A KR20110089153 A KR 20110089153A KR 20130018453 A KR20130018453 A KR 20130018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injection
unit
frame
snow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9592B1 (ko
Inventor
김성중
Original Assignee
광주광역시 남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광역시 남구 filed Critical 광주광역시 남구
Priority to PCT/KR2012/00643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025029A2/ko
Priority to JP2014524948A priority patent/JP5805319B2/ja
Priority to CN201280039441.1A priority patent/CN103732828A/zh
Priority to RU2014109382/13A priority patent/RU2014109382A/ru
Priority to US14/236,683 priority patent/US20140182637A1/en
Publication of KR20130018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1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by application of heat for melting snow or ice, whether cleared or not, combined or not with clearing or removing mud or water, e.g. burners for melting in situ, heated clearing instruments; Cleaning snow by blowing or suction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제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에 설치된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제설제를 분사하는 제1분사부와, 프레임의 양측면 중 적어도 일측면에 설치되어 프레임의 측방으로 제설제를 분사하는 제2분사부와, 제1 및 제2분사부에 제설제를 공급하는 제설제공급부와, 제1 및 제2분사부의 제설제 분사상태를 조절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설장치는 제설용 차량의 측방으로 제설제를 분사할 수 있는 측방분사노즐을 구비하여 제설제의 분사범위가 확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설용 차량에 다른 차량 또는 사람이 접근할 경우, 상기 차량 또는 사람을 감지하여 측방분사노즐의 분사를 중단하므로 제설제에 의해 다른 차량의 외관이나 사람이 착용한 의복을 부식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제설장치 {Snow removing apparatus for car}
본 발명은 차량용 제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절기에 결빙되거나 눈이 쌓인 도로에 제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제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절기 적설이나 물기에 의한 노면의 결빙은 차량 미끄러짐을 야기하여 겨울철 교통사고의 주된 요인이 되고 있다.
종래 도로 결빙 대책으로서는 인력으로 도로에 모래를 뿌리거나 제설차량과 같은 제설장비를 이용해 결빙 우려가 있는 도로상에 염화칼슘 등을 뿌리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도로의 제설을 위해 사용되는 제설장치를 구비한 차량은 차체 전면에 눈을 치울 수 있는 눈바켓과, 차체의 후측에 설치된 염화칼슘분사기와, 염화칼슘을 저장할 수 있도록 차체의 상측에 형성되는 염화칼슘탱크를 구비한다.
그러나 종래의 제설장치를 구비한 차량은 견고하게 노면에 얼어붙은 얼음을 눈바켓으로 제거하기 어렵기 때문에 눈이 결빙된 도로 노면의 제설작업에서는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9249호에서는 차량 탑재용 제설수 살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차량 탑재용 제설수 살포장치는 염화칼슘이나 소금이 용해되어 저장되는 제설수 저장조와, 제설수 저장조의 제설수를 배출하는 제설수 토출관과, 공기를 압축하여 공기공급관을 통해 상기 제설수 저장조로 공급하거나 공기가압관을 통해 상기 제설수 토출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급기기구를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 차량 탑재용 제설수 살포장치는 제설수 저장조에 수용된 제설수를 가열할 수 있는 가열수단이 없어 저온의 제설수를 결빙된 도로의 노면에 분사해야하므로 제설효율이 감소하며, 고정된 제설수 토출관을 통해 제설수를 분사하므로 제설수의 분사범위가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제설용 차량의 측방으로 제설제를 분사할 수 있는 측방분사노즐을 구비하여 제설제의 분사범위가 확장된 차량용 제설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설장치는 차량에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제설제를 분사하는 제1분사부와,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 중 적어도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측방으로 상기 제설제를 분사하는 제2분사부와, 상기 제1 및 제2분사부에 상기 제설제를 공급하는 제설제공급부와, 상기 제1 및 제2분사부의 상기 제설제 분사상태를 조절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분사부의 상기 제설제 분사범위에 접근하는 차량 또는 사람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분사부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차량 또는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제2분사부를 통한 상기 제설제의 분사를 중단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도센서를 통해 상기 차량의 정지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제1 및 제2분사부를 통한 상기 제설제의 분사를 중단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분사부가 설치된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제설제가 분사되는 분사대상 도로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도로폭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로에 균일하게 상기 제설제가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도로폭감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거리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2분사부의 상기 제설제 분사압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분사부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제설수공급부로부터 상기 제설수를 공급받아 상기 프레임의 측방으로 상기 제설수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분사노즐과, 상기 회동부재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부재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제설장치는 상기 제설제공급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분사부로 유동하는 상기 제설제를 가열하는 제설제가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설장치는 제설용 차량의 측방으로 제설제를 분사할 수 있는 측방분사노즐을 구비하여 제설제의 분사범위가 확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설용 차량에 다른 차량 또는 사람이 접근할 경우, 상기 차량 또는 사람을 감지하여 측방분사노즐의 분사를 중단하므로 제설제에 의해 다른 차량의 외관이나 사람이 착용한 의복을 부식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제설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제설장치의 제2분사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제설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차량용 제설장치의 제설제가열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제설장치의 제2분사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설장치의 작동상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제설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제설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제설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용 제설장치(10)는 차량에 설치된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제설제를 분사하는 제1분사부(30)와, 프레임(2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프레임(20)의 측방으로 제설제를 분사하는 제2분사부와, 제1 및 제2분사부에 제설제를 공급하는 제설제공급부(50)와, 제1 및 제2분사부(30,40)의 제설제 분사상태를 조절하는 제어유닛(60)을 구비한다.
프레임(20)은 소정의 두께를 갖고,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차량의 폭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프레임(20)은 차량의 진행방향에 대해 전방측 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부재(21)에 의해 차량의 후방에 고정된다. 플랜지부재(21)는 일단은 프레임(20)에 고정되며, 타단은 프레임(20)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고정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차량의 후방 하면에 고정설치된다.
또한, 프레임(20)은 제1 및 제2분사부(30,40)에 의해 분사되는 제설제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소정의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분사부(30)는 프레임(20)의 하면에 설치된 제1분사관(31)과, 상기 제1분사관(31)에 설치된 다수의 하방분사노즐(32)을 구비한다.
제1분사관(31)은 내부에 제설제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마련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프레임(20)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된다. 제1분사관(31)의 단부는 프레임(20)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절곡되게 연장형성되어 제설제공급부(50)에 연결된다. 또한, 제1분사관(31)은 제어유닛(60)에 의해 용이하게 내부의 유로가 개폐될 수 있도록 제1개폐밸브(33)가 설치되어 있다.
하방분사노즐(32)은 제1분사관(31)의 하측 외주면에, 프레임(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하방분사노즐(32)은 제설제가 분사되는 분사공(미도시)이 프레임(20)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제설제공급부(50)를 통해 제1분사관(31)으로 공급된 제설제를 프레임(20) 하측의 도로로 분사한다.
이때, 상기 언급된 제설제는 염화칼슘 또는 염화나트륨이 용해된 액상의 제설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분사부(40)는 프레임(2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제2분사관(41)과, 제2분사관(41)에 설치된 다수의 측방분사노즐(42)을 구비한다.
제2분사관(41)은 내부에 제설제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마련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차량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제2분사관(41)은 고정브라켓에 의해 프레임(20)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며, 전단부는 제설제공급부(50)에 용이하게 연통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분사관(41)은 제어유닛(60)에 의해 용이하게 내부의 유로가 개폐될 수 있도록 제2개폐밸브(43)가 설치되어 있다.
측방분사노즐(42)은 제2분사관(41)의 측방 외주면에,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측방분사노즐(42)은 제설제가 분사되는 분사공(미도시)이 프레임(20)의 측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제설제공급부(50)로부터 제2분사관(41)으로 공급된 제설제를 프레임(20) 양측방의 도로로 분사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제1 및 제2분사부(30,40)에 의해 프레임(20)의 하측 뿐만아니라 프레임(20)의 측방으로 제설제가 분사되어 보다 넓은 범위에 제설제를 분사할 수 있다.
제설제공급부(50)는 내부에 다량의 제설제가 수용된 수용탱크(51)와, 수용탱크(51)에 수용된 제설제가 제1 및 제2분사부(30,40)에 공급되기 위한 관로가 마련된 공급관로부와, 상기 공급관로부에 설치되어 배출관(52)에 설치되어 수용탱크(51)에 수용된 제설제를 펌핑하여 제1 및 제2분사부(30,40)에 공급하는 공급펌프(55)를 구비한다.
수용탱크(51)는 내부에 제설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내부에 수용된 제설제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소정의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수용탱크(51)는 프레임(20)이 제설용 차량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관로부는 수용탱크(51)의 배출구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배출관(52)과, 배출관(52)의 단부에 분기되어 제1분사관(31)에 연통되는 제1연통관(53)과, 배출관(52)의 단부에 분기되어 제2분사관(41)들에 연통되는 제2연통관(54)를 구비한다.
배출관(52)은 제1 및 제2연통관(53,54)과의 연결부분에 제어유닛(60)에 의해 용이하게 제설제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3웨이 밸브(56)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유닛(60)은 제2분사부(40)의 제설제 분사범위에 접근하는 차량 또는 사람을 감지하는 감지센서(61)와,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62)와, 측방분사노즐(42)로부터 도로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도로폭감지센서(63)와, 각 센서들에 연결되어 센서들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제1 및 제2분사부(30,40)의 분사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64)를 구비한다.
감지센서(61)는 복수 개가 측방분사노즐(42)에 인접된 위치의 프레임(20)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측방분사노즐(42)이 제설제를 분사하는 프레임(20)의 측방에 근접하는 물체를 감지한다.
속도센서(62)는 제설용 차량의 속도계와 같은 속도를 표시하는 속도표시수단에 연결되어 제설용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제설용 차량이 운행 중인지 정지상태인지를 측정한다.
도로폭감지센서(63)는 복수 개가 측방분사노즐(42)에 인접된 위치의 프레임(20)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다. 도로폭감지센서(63)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프레임(20) 양측면과 도로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프레임(20)의 양측면에서 측방으로 초음파를 발생시켜 인도 가장자리나 경계석 또는 중앙분리대에 의해 반사되는 시간을 토대로 거리를 산출한다.
제어부(64)는 공급펌프(55), 제1 및 제2개폐밸브(33,43)와 3웨이 밸브(56)에 연결되어 감지센서(61), 속도센서(62) 및 도로폭감지센서(63)를 통해 측정된 정보를 토대로 공급펌프(55) 및 각 밸브들을 제어한다.
제어부(64)는 감지센서(61)를 통해 측방분사노즐(42)의 제설제 분사범위 내에 접근하는 사람 또는 차량이 감지되면 측방분사노즐(42)에 제설제가 분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제2개폐밸브(43)를 작동시켜 제2분사관(41)을 폐쇄시킨다. 제어부(64)는 제설용 차량에 다른 차량 또는 사람이 접근할 경우, 상기 차량 또는 사람을 감지하여 측방분사노즐(42)의 분사를 중단하므로 제설제에 의해 다른 차량의 외관이나 사람이 착용한 의복을 부식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어부(64)는 속도센서(62)에 의해 차량의 정지가 감지되면, 제1 및 제2분사부(30,40)를 통해 제설제의 분사를 중단할 수 있도록 공급펌프(55)의 작동을 멈추고, 제1 및 제2개폐밸브(33,43)를 작동시켜 제1 및 제2분사관(31,41)을 폐쇄한다. 제어부(64)는 제설용 차량이 멈추면 제설제의 분사를 중단하므로 제설용 차량의 이동 중에만 제설제를 분사하여 제설제를 절약한다.
그리고 제어부(64)는 도로폭측정센서를 통해 프레임(20)의 측면으로부터 도로 가장자리까지의 거리정보를 토대로 공급펌프(55)를 제어하여 측방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제설제의 분사압을 조절한다. 프레임(20)의 측면에서 도로 가장자리까지의 거리가 초기 거리보다 넓어질 경우, 제설제가 넓은 범위에 분사되기 위해 측방분사노즐(42)의 분사압을 증가시키도록 공급펌프(55)의 펌핑량을 증가시킨다. 한편, 프레임(20)의 측면에서 도로 가장자리까지의 거리가 좁아질 경우, 제설제가 인도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측방분사노즐(42)의 분사압을 감소시키도록 공급펌프(55)의 펌핑량을 감소시킨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측방분사노즐(42)의 분사압을 조절하기 위해 공급펌프(55)의 펌핑량을 조절하는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제어유닛(60)은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측방분사노즐(42)의 분사압을 조절하기 위해 측방분사노즐(42)의 분사공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분사부(14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분사부(140)는 측방분사노즐(42)을 상하방향으로 회동하기 위한 회동유닛(141)을 더 구비한다.
회동유닛(141)은 프레임(20)의 양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측방분사노즐(42)이 설치된 회동부재(142)와, 상기 회동부재(142)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부재(143)를 구비한다.
이때, 제2분사관(41)은 프레임(20)의 상면 양측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제2분사관(41)과 측방분사노즐(42) 사이에는 플렉시블한 소재의 연결관(148)이 설치된다.
회동부재(14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일단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프레임(20)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면은 측방분사노즐(4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144)이 마련된다.
구동부재(143)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 실린더이며, 피스톤로드의 일단은 회동부재(142)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피스톤의 타단은 프레임(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구동부재(143)는 본 실시 예와는 다르게 유압 실린더가 아니라 웜과 웜휠로 구성될 수도 있다.
구동부재(143)는 제어부(64)에 연결되어 제어부(64)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64)는 프레임(20)의 측방 도로에 균일하게 제설제가 분사되도록 주기적으로 회동부재(142)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또한, 제어부(64)는 도로폭감지센서(63)에 의해 측정된 프레임(20) 측면에서 도로 가장자리까지의 거리가 초기 거리보다 넓을 경우, 회동부재(142)를 상방으로 회동시키고, 프레임(20) 측면에서 도로 가장자리까지의 거리가 초기 거리보다 좁을 경우, 회동부재(142)를 하방으로 회동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제설장치(11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용 제설장치(110)는 제설제공급부(50)에서 제1 및 제2분사부(30,40)로 유동하는 제설제를 가열하는 제설제가열부(111)를 더 구비한다.
제설제가열부(111)는 배출관(52)에 설치되어 제설수를 가열시키는 것으로서, 연통(112)과, 연통(112) 내부에 설치된 가열유닛(113)과, 연통(112)의 외주면에 설치된 열교환관(114)을 구비한다.
연통(112)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연통(112)은 가열유닛(113)으로부터 용이하게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틸 또는 구리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발람직하다. 연통(112)은 후술되는 가열유닛(113)의 버너(115)를 통해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가열유닛(113)은 연통(112)을 가열할 수 있도록 연통(112) 내부의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버너(115)와, 버너(115)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버너(115)는 화염구가 연통(112)의 설치공간 내에 설치되어 연료공급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시켜 연통(112)의 내주면을 가열시킨다.
연료공급부재는 버너(115)에 엘피지(LPG)와 같은 가연성 기체 연료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차량에 설치되며, 다량의 기체 연료가 저장된 가스탱크와, 가스탱크의 배출구와 버너(115)의 연료주입구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가스탱크에 수용된 기체연료를 버너(115)에 공급하는 가스공급관과, 가스공급관에 설치되어 가스공급관을 개폐하는 가스밸브를 구비한다.
열교환관(114)은 수용탱크(51)로부터 배출된 제설제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배출관(52)에 연통되며, 내부에 제설제가 유동하는 유로가 마련된다. 열교환관(114)은 내부에 유동하는 제술제가 연통(112)과 열교환할 수 있도록 연통(112)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회 감기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관(114)은 연통(112)의 외주면에 복수회 감기도록 형성되어 있어 연통(112) 외주면과의 접촉면적을 확장시키므로 연통(112)과의 열교환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설장치(110)는 제설제가열부(111)의해 고온으로 가열된 제설제가 도로에 분사되므로 제설제에 의한 제설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분사부(24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분사부(240)는 일단은 수용탱크(51)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은 프레임(20)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된 다수의 제3분사관(241)과, 제3분사관(241)들의 타단에 각각 설치되어 제설제를 프레임(20)의 측방으로 분사하는 측방분사노즐(242)과, 제3분사관(241)들에 각각 설치되어 수용탱크(51)의 제설제를 펌핑하여 공급하는 다수의 보조펌프(243)를 구비한다.
제3분사관(241)은 프레임(20)의 양측면에 각각 3개씩 설치되나, 제3분사관(241)의 설치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도로의 폭에 따라 2개 또는 다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제3분사관(241)은 제설제가 유동하는 내부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3개폐밸브(24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방분사노즐(242)은 제3분사관(241)들의 타단에 각각 설치되며, 제설제가 분사되는 분사공이 프레임(20)의 측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조펌프(243)는 제3분사관(241)들에 각각 설치되며, 제어부(64)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64)는 각 측방분사노즐(242)의 분사압이 상호 상이하도록 각 보조펌프(243)들의 펌핑량을 제어한다.
프레임(20)의 양측면에 설치된 측방분사노즐(242)들은 상호 상이한 분사압으로 제설제가 분사되므로 제설제 분사범위가 상호 상이하여 제2분사부(240)의 제설제 분사범위가 확장되어 도로에 균일하게 제설제를 분사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차량용 제설장치(240)의 작동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용 제설장치(240)는 제어부(64)를 통해 제1개폐밸브(33) 및 제3개폐밸브(244)를 개방하여 하방분사노즐(32) 및 측방분사노즐(242)를 통해 프레임(20)의 하방 및 측방으로 제설제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4)를 통해 프레임(20)의 양측면 중 일측에 위치한 제3개폐밸브(244)를 작동하여 상기 일측에 위치한 제3분사관(241)을 폐쇄하여 프레임(20)을 기준으로 양측면 중 타측으로만 제설제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제어부(64)를 통해 제3개폐밸브(244)를 작동하여 제3분사관(241)들은 개방하고, 제1분사관(31)이 폐쇄되도록 제1개폐밸브를 제어하여 측방분사밸브(242)들을 통해 프레임(20)의 측방으로만 제설제를 분사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설제공급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설제공급부(150)는 수용탱크(51)와 제1 및 제2연통관(53,54)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관로가 마련된 회귀관로부(151)와, 회귀관로부(151)의 관로를 개폐하는 회귀밸브부(152)를 구비한다.
회귀관로부(151)는 수용탱크(51)와 제1연통관(53) 사이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1바이패스관(153)과, 수용탱크(51)와 제2연통관(54) 사이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2바이패스관(154)을 구비한다.
제2바이패스관(154)는 단부는 2방향을 분기되어 각각 프레임(20)의 양측에 설치된 제2분사부(40)의 제2분사관들(41)가 각각 연통되게 연결된다.
회귀밸브부(152)는 상기 제1바이패스관(153)에 설치되어 상기 제1바이패스관(153)을 개폐하는 제1바이패스밸브(155)와, 상기 제2바이패스관(154)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바이패스관(154)을 개폐하는 제2바이패스 밸브(156)를 구비한다.
이때, 제어부(64)는 제1 및 제2분사부(30)를 통해 제설제가 분사될 경우, 제1 및 제2바이패스관(153,154)이 폐쇄되도록 제1 및 제2바이패스밸브(155,156)를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64)는 상기 제1분사부(30)를 통한 상기 제설제의 분사가 중단되도록 제1개폐밸브(33)에 의해 제1분사관(30)이 폐쇄될 경우, 상기 공급펌프(55)에 의해 펌핑되어 상기 제1연통관(53)으로 유입된 상기 제설제가 상기 수용탱크(51)로 회귀되기 위해 상기 제1연통관(53)과 상기 제1바이패스관(153)이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제1바이패스밸브(155)를 제어한다.
제1분사부(30)의 작동이 중단될 경우, 제1연통관(53)으로 유입되는 제설제가 수용탱크(51)로 회귀되므로 공급펌프(55)의 펌핑압을 조절하지 않더라도 제2분사부(40)를 통해 분사되는 제설제의 분사압이 급격히 증가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어부(64)는 제2분사부(40)를 통한 상기 제설제의 분사가 중단시, 상기 공급펌프(55)에 의해 펌핑되어 상기 제2연통관(54)으로 유입된 상기 제설제가 상기 수용탱크(51)로 회귀되기 위해 상기 제2연통관(54)과 상기 제2바이패스관(154)이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제2바이패스밸브(156)를 제어한다.
제2분사부(40)의 작동이 중단될 경우, 제2연통관(54)으로 유입되는 제설제가 수용탱크(51)로 회귀되므로 공급펌프(55)의 펌핑압을 조절하지 않더라도 제1분사부(30)를 통해 분사되는 제설제의 분사압이 급격히 증가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제설제공급부(150)는 배출관(52)에 설치된 보조탱크(157) 및 보일러(158)를 구비한다.
보조탱크(157)는 내부에 제설제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나, 상기 내부공간은 수용탱크(51)의 수용공간보다 적은 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일러(157)는 제설제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보조탱크(157)의 후방측 배출관(52)에 설치되어 보조탱크(157)에 수용된 제설제를 가열시킨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보조탱크(157)가 수용탱크(51)보다 작은 제설제 수용공간이 마련되므로 보다 적은 양의 제설제를 보일러(157)에 의해 급속히 가열하여 제1 및 제2분사부(30,40)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차량용 제설장치
20: 프레임
30: 제1분사부
40: 제2분사부
50: 제설제공급부
60: 제어유닛
61: 감지센서
62: 속도센서
63: 도로폭감지센서
64: 제어부

Claims (7)

  1. 차량에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제설제를 분사하는 제1분사부와;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 중 적어도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측방으로 상기 제설제를 분사하는 제2분사부와;
    상기 제1 및 제2분사부에 상기 제설제를 공급하는 제설제공급부와;
    상기 제1 및 제2분사부의 상기 제설제 분사상태를 조절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분사부의 상기 제설제 분사범위에 접근하는 차량 또는 사람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분사부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차량 또는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제2분사부를 통한 상기 제설제의 분사를 중단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설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도센서를 통해 상기 차량의 정지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제1 및 제2분사부를 통한 상기 제설제의 분사를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설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분사부가 설치된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제설제가 분사되는 분사대상 도로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도로폭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로에 균일하게 상기 제설제가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도로폭감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거리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2분사부의 상기 제설제 분사압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설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사부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제설수공급부로부터 상기 제설수를 공급받아 상기 프레임의 측방으로 상기 제설수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분사노즐과;
    상기 회동부재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설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설제공급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분사부로 유동하는 상기 제설제를 가열하는 제설제가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설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설수공급부는
    내부에 제설제가 수용된 수용탱크와;
    상기 수용탱크에 수용된 상기 제설제를 상기 제1분사부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수용탱크와 상기 제1분사부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1연통관과, 상기 수용탱크에 수용된 상기 제설제를 상기 제2분사부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수용탱크와 상기 제2분사부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2연통관이 마련된 공급관로부와;
    상기 공급관로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탱크에 수용된 상기 제설제를 펌핑하여 상기 제1 및 제2분사부에 공급하는 공급펌프와;
    상기 수용탱크 및 상기 제1연통관 사이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1바이패스관과, 상기 수용탱크 및 상기 제2연통관 사이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2바이패스관이 마련된 회귀관로부와;
    상기 제1바이패스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1바이패스관을 개폐하는 제1바이패스밸브와, 상기 제2바이패스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바이패스관을 개폐하는 제2바이패스 밸브가 마련된 회귀밸브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분사부를 통한 상기 제설제의 분사가 중단시, 상기 공급펌프에 의해 펌핑되어 상기 제1연통관으로 유입된 상기 제설제가 상기 수용탱크로 회귀되기 위해 상기 제1연통관과 상기 제1바이패스관이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제1바이패스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제2분사부를 통한 상기 제설제의 분사가 중단시, 상기 공급펌프에 의해 펌핑되어 상기 제2연통관으로 유입된 상기 제설제가 상기 수용탱크로 회귀되기 위해 상기 제2연통관과 상기 제2바이패스관이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제2바이패스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설장치.

KR1020110089153A 2011-08-12 2011-09-02 차량용 제설장치 KR101259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6432 WO2013025029A2 (ko) 2011-08-12 2012-08-13 차량용 제설장치
JP2014524948A JP5805319B2 (ja) 2011-08-12 2012-08-13 車両用除雪装置
CN201280039441.1A CN103732828A (zh) 2011-08-12 2012-08-13 车辆用除雪装置
RU2014109382/13A RU2014109382A (ru) 2011-08-12 2012-08-13 Устройство удаления снег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14/236,683 US20140182637A1 (en) 2011-08-12 2012-08-13 Snow removing apparatus for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791 2011-08-12
KR20110080791 2011-08-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453A true KR20130018453A (ko) 2013-02-25
KR101259592B1 KR101259592B1 (ko) 2013-04-30

Family

ID=47897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153A KR101259592B1 (ko) 2011-08-12 2011-09-02 차량용 제설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182637A1 (ko)
JP (1) JP5805319B2 (ko)
KR (1) KR101259592B1 (ko)
CN (1) CN103732828A (ko)
RU (1) RU20141093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589B1 (ko) * 2013-07-03 2014-02-10 천안논산고속도로주식회사 살수 차량용 살수장치
CN112681209A (zh) * 2021-01-19 2021-04-20 蒋晓东 一种高速公路路面养护装置及其养护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15933A1 (en) * 2012-10-29 2014-05-01 William Andrew Faragher Air and Steam Snow Rake
CN104097597A (zh) * 2014-06-29 2014-10-15 李宝 车载除雪抛洒器安全预警装置
CN104088248A (zh) * 2014-06-30 2014-10-08 李宝 道路融雪抛洒装置停断感应器
CN105239525A (zh) * 2015-11-02 2016-01-13 宋沛文 一种高温高压除冰除雪车
CN107571846B (zh) * 2017-10-13 2023-10-17 华东交通大学 一种用于动车组检修前清除底部积雪的除雪车
JP6342055B1 (ja) * 2017-10-27 2018-06-13 茂男 木賊 車両用付着物除去装置
US20230304242A1 (en) * 2022-03-25 2023-09-28 Douglas Dynamics, L.L.C. Spreader or sprayer and control system therefor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6019U (ko) * 1989-08-18 1991-04-09
JP3143637B2 (ja) * 1992-12-28 2001-03-07 株式会社新潟鉄工所 除雪機
JPH10325122A (ja) * 1997-05-27 1998-12-08 Mitsuo Fujisawa 埋設型融雪装置
JPH1161767A (ja) * 1997-08-12 1999-03-05 Maeda Seisakusho:Kk 凍結防止剤散布装置
JP3870386B2 (ja) * 1997-10-21 2007-01-17 株式会社ササキコーポレーション 除雪機の氷状雪面破砕装置
US5964410A (en) * 1998-01-05 1999-10-12 E.D. Etnyre & Co. Method and apparatus of uniform nozzle liquid application by way of vehicle
JP3120093B2 (ja) * 1998-07-09 2000-12-25 建設省北陸地方建設局長 凍結防止剤の散布方法
EP1552066A4 (en) * 2002-05-29 2007-08-01 Gary A Rogers SNOW REMOVAL SYSTEM
JP3903915B2 (ja) * 2002-12-26 2007-04-11 三菱ふそうトラック・バス株式会社 除雪用車両
US7137214B2 (en) * 2003-04-02 2006-11-21 Cargill, Inc. Snow removal machine with system for applying a surface treatment material
JP2006161547A (ja) * 2004-11-12 2006-06-22 Hokkaido Nippon Yushi Kk 液状凍結防止剤供給装置
JP4490838B2 (ja) * 2005-01-26 2010-06-30 株式会社石黒鋳物製作所 路面の凍結防止方法および装置
JP2008081966A (ja) * 2006-09-26 2008-04-10 Yoka Ind Co Ltd 除雪機
US7934680B2 (en) * 2007-05-21 2011-05-03 Global Ground Support,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blending fluids
JP4939314B2 (ja) * 2007-06-12 2012-05-23 株式会社高速道路総合技術研究所 道路の雪氷の除去方法と雪氷除去装置
US8392065B2 (en) * 2008-09-11 2013-03-05 Deere & Company Leader-follower semi-autonomous vehicle with operator on side
KR100908741B1 (ko) * 2009-02-05 2009-07-22 김성중 차량용 제설장치
CN102094401B (zh) * 2011-01-18 2012-10-24 鞍山森远路桥股份有限公司 车载式多功能除雪车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589B1 (ko) * 2013-07-03 2014-02-10 천안논산고속도로주식회사 살수 차량용 살수장치
CN112681209A (zh) * 2021-01-19 2021-04-20 蒋晓东 一种高速公路路面养护装置及其养护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4109382A (ru) 2015-09-20
JP2014521854A (ja) 2014-08-28
JP5805319B2 (ja) 2015-11-04
KR101259592B1 (ko) 2013-04-30
CN103732828A (zh) 2014-04-16
US20140182637A1 (en) 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592B1 (ko) 차량용 제설장치
KR100980361B1 (ko) 미세 각도로 정역회전이 가능한 융설액 분사장치
JP4939314B2 (ja) 道路の雪氷の除去方法と雪氷除去装置
KR100844582B1 (ko) 도로노면 세척 및 결빙방지시스템
KR101244928B1 (ko) 광역화 다차선 도로의 액체 살포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0960989B1 (ko) 관내 용사 코팅 로봇
KR101044526B1 (ko) 도로 표지병
KR101565568B1 (ko) 초산칼륨 및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액상 동결방지제 분사장치
KR100676407B1 (ko) 차량용 액상 제설제 살포장치
CN206928240U (zh) 一种具有车辆感应功能的主动式道路除冰防冰系统
KR101310727B1 (ko) 투설관 결빙방지기능을 구비하는 제설차
KR101589095B1 (ko) 이동식 결빙방지제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결빙 방지 시스템
KR100684621B1 (ko) 제설제살포시스템
KR100563436B1 (ko) 제설용 살포장치
KR20140060193A (ko) 차량용 제설장치
KR101666607B1 (ko) 차량용 제설장치
KR101407940B1 (ko) 철도차량용 방빙장치
KR101295250B1 (ko) 차량용 제설장치
KR101031330B1 (ko) 액체 살포장치
JP4490838B2 (ja) 路面の凍結防止方法および装置
JP2011217700A (ja) 薬剤散布用管理作業車両
KR100965788B1 (ko) 램프구간용 염수 살포시스템
CN210946657U (zh) 一种道路扬尘固化材料自动喷洒设备
KR200385722Y1 (ko) 무인 자동 살포장치
WO2013025029A2 (ko) 차량용 제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