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8307A - 전자기 릴레이 - Google Patents

전자기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8307A
KR20130018307A KR1020127030592A KR20127030592A KR20130018307A KR 20130018307 A KR20130018307 A KR 20130018307A KR 1020127030592 A KR1020127030592 A KR 1020127030592A KR 20127030592 A KR20127030592 A KR 20127030592A KR 20130018307 A KR20130018307 A KR 20130018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core
movable
movable iron
contact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0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6609B1 (ko
Inventor
요스케 소라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18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e.g. by balancing of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01F7/1607Armatures entering the wi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2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supplying energising current for relay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 H01H51/065Relays having a pair of normally open contacts rigidly fixed to a magnetic core movable along the axis of a solenoid, e.g. relays for starting automobi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 H01H47/0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for holding armature in attracted position, e.g. when initial energising circuit is interrupted; for maintaining armature in attracted position, e.g. with reduced energising current
    • H01H47/043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for holding armature in attracted position, e.g. when initial energising circuit is interrupted; for maintaining armature in attracted position, e.g. with reduced energising current making use of an energy accum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 H01H47/1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for biasing the electro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 H01H47/1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for differential operation of the rel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전자기 릴레이는 고정 철 코어와, 고정 철 코어에 대향하는 가동 철 코어와, 가동 철 코어가 고정 철 코어에 의해 끌어당겨지도록 여자될 때 자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자화 코일과, 가동 철 코어와 결합된 가동 접점과, 가동 접점과 접촉하도록 대향되는 고정 접점과, 가동 철 코어를 재설정하기 위한 재설정 스프링과, 척력 발생 코일을 포함한다. 척력 발생 코일은 가동 접점이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 사이의 아크 방전이 발생되는 아크장을 통해 통과되는 위치로부터 가동 철 코어가 바로 막 재설정 스프링을 완전히 팽창시키려고 하는 위치로 가동 철 코어가 이동하는 동안 가동 철 코어의 잔류 자기장에 대향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Description

전자기 릴레이 {ELECTROMAGNETIC RELAY}
본 발명은 전기 차량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회로와 같은 다양한 전기 디바이스의 제어 회로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전자기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기 기기가 이하에 열거된 특허 문헌 1(PTL 1)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전자기 기기는 작동 중에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고 철 코어를 갖는 영구 자석을 제공함으로써 가동 철 코어의 재설정 이동을 향상시키도록 의도된 편광된 전자기 릴레이이다.
PTL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10058호
전자기 릴레이에서, 철 코어는 릴레이가 비여자(de-energized)될 때 재설정 스프링에 의해 재설정되어, 바람직하지 않은 노이즈 및 진동이 철 코어와 요크의 단부 플레이트의 접촉에 기인하여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경향은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철 코어를 신속하게 재설정할 때 더 현저하게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 작동 성능이 그 비여자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비여자될 때 노이즈 및 진동을 제한할 수 있는 전자기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는 고정 철 코어와, 축방향을 따라 고정 철 코어와 접촉되거나 그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고정 철 코어에 대향하는 가동 철 코어와, 고정 철 코어 및 가동 철 코어를 포함하고 가동 철 코어가 고정 철 코어에 의해 끌어당겨지도록 여자(energization)될 때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화 코일과, 가동 철 코어와 결합된 가동 접점과, 가동 철 코어의 이동과 함께 고정 접점과 접촉하거나 그로부터 분리되도록 가동 접점에 대향하는 고정 접점과, 고정 철 코어와 가동 철 코어 사이에 개재되고, 자화 코일이 비여자될 때 고정 철 코어로부터 가동 철 코어를 분리하는 재설정 스프링과, 가동 철 코어의 재설정 위치에서 자화 코일에 인접하여 배치된 척력 발생 코일을 포함하고, 척력 발생 코일은 적어도 가동 접점이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 사이에 최소 간극인 아크장을 통해 통과되어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 사이에 아크 방전을 유발하는 위치로부터 가동 철 코어가 바로 막 재설정 스프링을 완전히 팽창시키려고 하는 위치로 가동 철 코어가 이동하는 동안, 가동 철 코어의 잔류 자기장에 대향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전자기 릴레이를 제공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의 단면 구조 및 드라이버 회로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개략도로서, (a)는 그 비여자 상태를 도시하고, (b) 내지 (d)는 캐패시터가 그 여자 중에 충전되는 동안의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의 단면 구조 및 드라이버 회로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개략도로서, (a) 내지 (c)는 캐패시터가 방전되는 동안의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d)는 그 후의 그 비여자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의 단면 구조 및 드라이버 회로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개략도로서, (a)는 그 비여자된 상태를 도시하고, (b)는 그 여자 중의 상태를 도시하고, (c)는 그 비여자 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1)는 자화 코일(2), 고정 철 코어(3), 가동 철 코어(4), 가동 접점(5), 고정 접점(6) 및 재설정 스프링(7)을 포함한다. 고정 철 코어(3) 및 가동 철 코어(4)는 자화 코일(2)의 여자에 의해 자화되게 된다. 가동 접점(5)은 가동 철 코어(4)와 결합된다. 가동 접점(5) 및 고정 접점(6)은 서로 대면한다. 재설정 스프링(7)은 고정 철 코어(3)와 가동 철 코어(4) 사이에 배치된다.
자화 코일(2)은 요크(8) 내에 삽입된 보빈(bobbin)(9) 주위에 권취된다. 철 코어 케이스(10)가 보빈(9) 내에 삽입된다.
철 코어 케이스(10)는 바닥이 있는 실린더로서 형성되고, 그 개방 단부는 요크(8)의 상부 단부 플레이트에 고정된다. 고정 철 코어(3)는 철 코어 케이스(10) 내의 상부 단부에 고정 배치된다.
가동 철 코어(4)는 철 코어 케이스(10) 내에서 고정 철 코어(3) 아래에 배치되고, 철 코어 케이스(10) 내에서 수직으로 활주할 수 있다. 가동 철 코어(4)는 축방향을 따라 고정 철 코어에 대면하고, 고정 철 코어(3)와 접촉되고/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카운터보어가 고정 철 코어(3) 및 가동 철 코어(4)의 각각의 대면하는 평면의 중심에 형성된다. 재설정 스프링(7)은 카운터보어들 사이에 개재되고, 그 양 단부는 각각 카운터 보어에 고정된다.
로드(11)가 가동 철 코어(4)의 중심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로드(11)는 고정 철 코어(3)의 중심 및 요크(8)의 상부 단부 플레이트를 통해 관통하고, 상부 단부 플레이트 상에 고정된 차폐 케이스(12)의 내부 내로 돌출한다.
고정 접점(6)은 차폐 케이스(12)의 상부벽을 수직으로 관통하기 위해 배치된다. 다른 한편으로, 가동 접점(5)은 압력 인가 스프링(13)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로드(11)의 상부에서 차폐 케이스(12) 내에 배치된다. 압력 인가 스프링(13)은 가동 접점(5)에 접촉 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가동 접점(5)은 로드의 상단부에 고정된 스토퍼(14)와 압력 인가 스프링(13)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압력 인가 스프링(13)은 로드(11)에 고정된 스프링 시트(15)와 가동 접점(5)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자기 릴레이(1)에서, 고정 철 코어(3) 및 가동 철 코어(4)는 자력이 여자에 기인하여 자화 코일(2)에 의해 발생될 때 자화된다[도 1의 (b)]. 다음에, 고정 철 코어(3) 및 가동 철 코어(4)는 서로 끌어당겨져셔, 가동 철 코어(4) 및 가동 접점(5)이 축방향으로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도 1의 (c)]. 그 결과, 가동 접점(5)은 고정 접점(6)과 접촉하여 원하는 회로를 접속한다[도 1의 (d) 및 도 2의 (a)].
고정 철 코어(3) 및 가동 철 코어(4)의 자화는 자화 코일(2)이 비여자에 의해 소자(demagnetized)될 때 상쇄된다[도 2의 (b)]. 다음에, 고정 철 코어(3) 및 가동 철 코어(4)는 재설정 스프링의 팽창력에 기인하여 서로 이격하여 분리되어, 가동 철 코어(4) 및 가동 접점(5)이 축방향으로 일체로 후방 이동하게 된다[도 2의 (c)]. 그 결과, 가동 접점(5)은 고정 접점(6)으로부터 이격하여 분리되어 전술된 회로를 단로시킨다[도 2의 (d)].
최소 간극(S)[예시적인 도시를 위해 도 1(c)에 도시되어 있음]이 전자기 릴레이(1)의 여자 중에 외력에 기인하여 순간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최소 간극(S)이 발생하면, 아크 전류가 가동 접점(5)과 고정 접점(6) 사이에 발생될 수 있다. 다음에, 접점(5, 6)은 서로 재접촉될 때 함께 용접될 수 있다. 이하, 최소 간극(S)은 아크장(S)이라 칭한다.
게다가, 가동 접점(5) 및 고정 접점(6)이 전술된 회로의 단로시에 서로 신속하게 분리되지 않으면, 아크 전류는 가동 접점(5)과 고정 접점(6) 사이의 아크장(S)[도 2의 (c)에 도시되어 있음]에서 발생될 수 있다. 그 결과, 회로는 원활하고 신속하게 단로될 수 없다.
즉, 접점(5, 6)이 서로 접촉되고 있는 동안, 고정 철 코어(3) 및 가동 철 코어(4)가 서로 확고하게 끌어당겨져서 이들의 접촉을 유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접점(5, 6)이 이들의 접촉 상태로부터 서로로부터 분리되려고 할 때, 접점(5, 6)은 서로로부터 원활하고 신속하게 분리되는 것이 요구된다.
다른 한편으로, 접점(5, 6)이 서로로부터 분리될 때, 로드(11) 상의 스프링 시트(15)는 요크(8)의 상부 단부 플레이트와 접촉하고, 이에 의해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전자기 릴레이(1)가 전기 차량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회로에 적용되는 경우에, 진동이 차체에 전달되어 승객에 바람직하지 않은 감각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고무 댐퍼(완충 부재)(16)가 요크(8)의 상부 단부 플레이트 상의 스프링 시트(15)와 접촉된 위치에 제공되지만, 고무 댐퍼(16)는 스프링 시트(15)에 의한 충격을 완전히 흡수할 수 없다. 게다가, 고무 댐퍼(16)의 탄성 계수는 그 열화 및 그 열적 환경에 기인하여 광범위하게 변경될 수 있어, 그 안정한 완충 성능이 예측될 수 없게 된다.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동 철 코어(4)의 자화부를 소형화하거나 재설정 스프링(7)의 스프링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가동 철 코어(4)의 자화부가 소형화되면, 자화된 가동 철 코어(4)의 자력이 약해지게 되고, 이에 의해 접촉 압력이 접점(5, 6)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데 불충분하게 된다. 게다가, 재설정 스프링(7)의 스프링력이 감소되면, 비여자시에 가동 철 코어(4)를 고정 철 코어(3)로부터 이격하여 분리하기 위한 힘이 약해지게 되고, 이에 의해 가동 철 코어(4)는 원활하고 신속하게 분리될 수 없다.
따라서, 가동 철 코어(4)가 비여자시에 재설정 스프링(7)에 의해 재설정되는 재설정 위치에 척력 발생 코일(17)이 제공된다. 척력 발생 코일(17)은 가동 철 코어(4)의 재설정 이동을 완화하는 자기 척력을 발생시킨다.
자화 코일(6)이 전자기 릴레이(1)의 비여자시에 소자될 때, 잔류 자성이 일시적으로 고정 철 코어(4) 및 가동 철 코어(4) 내에 존재한다.
따라서, 가동 철 코어(4)가 이격하여 분리될 때 가동 철 코어(4)의 잔류 자기장에 대향하는 자기장이 척력 발생 코일(17)에 의해 발생되어, 자기 척력이 가동 철 코어(4)의 자성에 대항하여 발생되게 되어 가동 철 코어(4)의 재설정 이동을 완화시킨다.
이 척력은 가동 철 코어(4)가 고정 철 코어(3)로부터 분리의 시작 위치로부터 가동 철 코어(4)가 바로 막 재설정 스프링(7)을 완전히 팽창시키려고 하는 단부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가동 철 코어(4)가 재설정되는 재설정 위치에서 발생된다. 따라서, 척력은 가동 철 코어(4)의 재설정 이동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전술된 이유에 기인하여, 가동 접점(5)은 가동 접점(5)이 아크장(S)을 통해 통과할 때까지 고정 접점(6)으로부터 신속하게 이격하여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주목하라.
따라서, 가동 철 코어(4)가 고정 철 코어(3)로부터 이격하여 분리될 때, 가동 접점(5)이 아크장(S)을 통해 통과하는 위치로부터(전술된 시작 위치로부터가 아니라) 가동 철 코어(4)가 바로 막 재설정 스프링(7)을 완전히 팽창시키려고 하는 단부 위치로 가동 철 코어(4)가 이동하는 동안 척력 발생 코일(17)이 가동 철 코어(4)의 잔류 자기장에 대향하는 자기장을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된 바와 같이, 척력 발생 코일(17)은 본 실시예에서 가동 철 코어(4)의 재설정 위치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척력 발생 코일(17)은 자화 코일(2)의 권취 방향에 대한 반대 권취 방향으로 보빈(9)의 하부 단부 주위에 권취된다.
본 실시예에서, 척력 발생 코일(1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화 코일(2) 상에 적층되기 위해 자화 코일(2) 위에 권취된다. 그러나, 척력 발생 코일(17) 및 자화 코일(2)은 축방향과 순차적으로 정렬되어 배열될 수 있다.
척력 발생 코일(17)은 지정된 캐패시티를 갖는 캐패시터(18)와 병렬로 접속되고, 이 병렬 회로는 자화 코일(2)과 직렬로 접속되어 릴레이 드라이버 회로(1A)를 구성한다.
상기에 구성된 바와 같은 전자기 릴레이(1)에 따르면, 가동 철 코어(4)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여자될 때 초기 위치에 체류한다. 초기 위치에서 가동 철 코어(4)는 재설정 스프링(7)에 의해 하향으로 압박되고, 이에 의해 스프링 시트(15)와 요크(8)의 상부 단부 플레이트의 접촉[고무 댐퍼(16)가 개재된 상태로]에 기인하여 그 수직 이동이 제한된다.
릴레이 드라이버 회로(1A)가 상기 비여자된 상태에서 여자될 때, 자화 코일(2)이 여자되어(excited) 자기장(a)을 발생시킨다[도 1의 (b)에 화살표(a)에 의해 도시되어 있음]. 그 결과, 고정 철 코어(3) 및 가동 철 코어(4)는 자기장(a)에 의해 자화된다.
고정 철 코어(3) 및 가동 철 코어(4)는 이들 자신의 자화에 의해 서로 끌어당겨지고, 이에 의해 가동 철 코어(4)는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설정 스프링(7)을 압축하면서 축방향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한다.
가동 철 코어(4)는 지정된 활주량을 갖고 고정 철 코어(3)를 향해 축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있어, 가동 접점(5)이 고정 접점(6)과 접촉하게 된다. 순차적으로, 가동 철 코어(4)는 고정 철 코어(3)에 더 끌어당겨지고, 마지막으로 도 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철 코어(3)와 접촉한다. 고정 철 코어(3) 및 가동 철 코어(4)가 서로 접촉하는 동안, 압력 인가 스프링(13)이 가동 접점(5)과 고정 접점(6)에 지정된 접촉 압력을 인가하도록 압축된다.
릴레이 드라이버 회로(1A)가 도 1의 (b) 내지 도 1의 (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여자되는 동안, 전류는 척력 발생 코일(17)을 통해 흐르고, 캐패시터(18)는 병렬 회로에서 충전된다.
척력 발생 코일(17)이 여자에 기인하여 자화 코일(2)의 권취 방향에 대한 반대 권취 방향으로 권취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장(b)[도 1의 (b) 내지 도 1의 (d)에 화살표(b)에 의해 도시되어 있음]이 척력 발생 코일(17)에 의해 발생되어 자화 코일(2)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상쇄한다. 따라서, 코일(2, 17)의 권선의 수 및 권취 직경은 코일(2, 17)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a, b)이 고정 철 코어(3)를 향해 가동 철 코어(4)를 이동시킬 수 있고 이어서 가동 접점(5)을 고정 접점(6)과 단단히 접촉 유지하도록 결정된다.
도 2의 (a) 내지 도 2의 (d)는 그 여자된 상태로부터 그 비여자된 상태로 전자기 릴레이(1)의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다.
전자기 릴레이(1)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자될 때, 릴레이 드라이버 회로(1A) 내의 캐패시터(18)는 완전히 충전된다.
릴레이 드라이버 회로(1A)가 여자된 상태로부터 비여자될 때, 자화 코일(2)은 소자되지만 캐패시터(18)로부터 방전된 전류가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력 발생 코일(17)을 통해 흐른다. 따라서, 도 2의 (b)의 자기장(b)은 척력 발생 코일(17)에 의해 발생된다. 척력 발생 코일(17)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b)은 가동 철 코어(4)의 잔류 자기장에 대향된다.
전자기 릴레이(1)의 비여자의 초기 상태에서, 자기장(b)은 가동 철 코어(4)로부터 이격된 하부 영역에서 발생되어, 가동 철 코어(4)가 자기장(b)에 의해 발생된 자기 척력에 의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로 재설정 스프링(7)에 의해 고정 철 코어(3)로부터 신속하게 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가동 접점(5)은 가동 접점(5)이 아크장(S)을 통해 통과할 때까지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접점(6)으로부터 신속하게 이격하여 분리된다.
가동 접점(5)이 아크장(S)을 통해 통과하는 위치로부터 재설정 스프링이 바로 막 완전히 팽창되려고 하는 위치로 이동된 후에 가동 철 코어(4)가 자기장(b)이 발생되는 장에 접근할 때, 가동 철 코어(4)는 가동 철 코어(4)의 잔류 자성에 대해 반발하는 자기장(b)에 의해 발생된 자기 척력을 수용하기 시작한다.
자기 척력에 기인하여, 재설정 스프링(7)에 의한 가동 철 코어(4)의 재설정 이동이 완화되고, 이어서 스프링 시트(15)는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댐퍼(16)와 접촉하게 되어, 재설정시의 충격이 감소된다.
제1 실시예에서 전자기 릴레이(1)에 따르면, 비여자시에, 가동 철 코어(4)는 재설정 스프링(7)에 의해 고정 철 코어(3)로부터 신속하게 이격하여 분리되어 접점(5, 6)을 분리할 수 있다. 가동 철 코어(4)의 분리 이동 중에, 자기 척력이 가동 철 코어(4)의 잔류 자성에 대항하여 척력 발생 코일(17)의 자기장(b)에 의해 발생된다. 그 결과, 가동 철 코어(4)의 재설정 이동이 완화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스프링 시트(15)와 요크(8)의 상부 단부 플레이트의 접촉에 기인하는 노이즈 및 진동이 감소된다.
따라서, 가동 철 코어(4)를 소형화하거나 재설정 스프링(7)의 스프링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요구되지 않아, 노이즈 및 진동이 그 비여자시에 전자기 릴레이(1)의 작동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제한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전기 제어는 캐패시터(18) 및 자화 코일(2)의 권취 방향에 대한 반대 권취 방향을 갖는 척력 발생 코일(17)을 포함하는 병렬 회로만을 추가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전자기 릴레이(1)는 비용면에서 장점을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1)는 자화 코일(2)의 권취 방향과 동일한 권취 방향을 갖는 척력 발생 코일(17A)이 자화 코일(2)의 하부 부분의 분할에 의해 형성되는 점에서 상이한 구성을 갖는다. 제1 실시예의 것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다른 요소들 또는 자기장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지시되고, 이들의 중복 설명은 생략된다.
릴레이 드라이버 회로(1A)에서, 자화 코일(2) 및 척력 발생 코일(17A)은 직렬로 접속되고, 스위칭 회로는 이들 사이에 제공된다. 스위칭 회로에 의해, 전류가 단지 전자기 릴레이(1)의 비여자시에 척력 발생 코일(17A)을 통해서만 흐른다. 다른 한편으로, 전류는 전자기 릴레이(1)의 여자시에 또는 여자 중에 척력 발생 코일(17A) 및 자화 코일(2)의 양자 모두를 통해 순차적으로 흐른다. 여기서, 비여자시에 척력 발생 코일(17A)을 통해 흐르는 전류 방향은 여자시에 또는 여자 중의 방향에 반대가 된다. 따라서, 비여자시에 자기장의 방향은 여자시에 또는 여자 중의 방향에 대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1)에서, 가동 철 코어(4)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여자될 때 초기 위치에 체류한다. 가동 철 코어(4)는 초기 위치에서 재설정 스프링(7)에 의해 하향으로 압박되고, 이에 의해 스프링 시트(15) 및 요크(8)의 상부 단부 플레이트의 접촉[고무 댐퍼(16)를 개재한 상태로]에 기인하여 그 수직 이동이 제한된다.
릴레이 드라이버 회로(1A)가 상기 비여자된 상태에서 여자될 때, 자화 코일(2) 및 척력 발생 코일(17A)은 자기장[도 3의 (b)에 화살표(a)에 의해 도시되어 있음]을 발생하도록 여자된다. 자기장(a)은 동일 방향에서 발생된다.
그 결과, 고정 철 코어(3) 및 가동 철 코어(4)는 자기장(a)에 의해 자화되어 서로 끌어당겨진다. 가동 접점(5)이 고정 접점(6)과 접촉할 때, 압력 인가 스프링(13)은 가동 접점(5) 및 고정 접점(6)에 지정된 접촉 압력을 인가하도록 압축된다.
릴레이 드라이버 회로(1A)가 여자된 상태로부터 비여자될 때, 자화 코일(2) 및 척력 발생 코일(17A)은 소자되고, 이에 의해 고정 철 코어(3) 및 가동 철 코어(4)가 소자된다. 가동 철 코어(4)는 재설정 스프링(7)에 의해 고정 철 코어(3)로부터 신속하게 분리되어 가동 접점(5) 및 고정 접점(6)을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다.
가동 철 코어(4)의 이 분리 프로세스 중에, 여자시에 전류에 역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는 단지 척력 발생 코일(17A)을 통해서만 흘러 전술된 스위칭 회로에 의해 자기장(b)[도 3의 (c)에 화살표(b)에 의해 도시되어 있음]을 발생시킨다. 척력 발생 코일(17)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b)은 가동 철 코어(4)의 잔류 자기장에 대향한다.
스위칭 회로에 의한 척력 발생 코일(17A)의 여자는 예를 들어 가동 접점(5)이 아크장(S)을 통해 통과할 때의 시간으로부터 가동 철 코어(4)가 바로 막 재설정 스프링(7)을 완전히 팽창시키려고할 때의 시간까지의 시간 간격 이내에 시작될 수 있다.
그 결과, 가동 철 코어(4)는 재설정 스프링(7)이 바로 막 완전히 팽창되려고 할 때 가동 철 코어(4)에 잔류 자성에 대해 반발하는 자기장(b)에 의해 발생된 자기 척력을 수용한다. 자기 척력에 기인하여, 재설정 스프링(7)에 의한 가동 철 코어(4)의 분리/재설정 이동이 완화되고, 이어서 스프링 시트(15)가 고무 댐퍼(16)와 접촉하여, 재설정시에 충격이 감소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노이즈 및 진동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그 비여자시에 전자기 릴레이(1)의 작동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제한될 수 있다.
특히, 척력 발생 코일(17A)은 본 실시예에서 자화 코일(2)의 부분을 분할함으로써 형성되어, 여자 코일의 구성이 부가의 코일의 필요 없이 단순화될 수 있다.
게다가, 스위칭 회로에 의해 반발력 발생 코일(17A)을 통해 흐른 전류의 전류값, 시작 시간, 지속 시간 등이 임의적으로 조정될 수 있어, 가동 철 코어(4)를 위한 적절한 완화 효과가 성취될 수 있게 된다.
일본 특허 출원 제2010-138121호(2010년 6월 17일 출원)의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써 인용된다.
본 발명이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전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된 실시예의 변경 및 변형이 상기 교시의 견지에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발생할 것이다.

Claims (3)

  1. 전자기 릴레이이며,
    고정 철 코어와,
    축방향을 따라 고정 철 코어와 접촉되거나 고정 철 코어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고정 철 코어에 대향하는 가동 철 코어와,
    고정 철 코어 및 가동 철 코어를 포함하고, 가동 철 코어가 고정 철 코어에 의해 끌어당겨지도록 여자될 때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화 코일과,
    가동 철 코어와 결합된 가동 접점과,
    가동 철 코어의 이동과 함께 고정 접점과 접촉하거나 고정 접점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가동 접점에 대향하는 고정 접점과,
    고정 철 코어와 가동 철 코어 사이에 개재되고, 자화 코일이 비여자될 때 고정 철 코어로부터 가동 철 코어를 분리하는 재설정 스프링과,
    가동 철 코어의 재설정 위치에서 자화 코일에 인접하여 배치된 척력 발생 코일을 포함하고,
    척력 발생 코일은 적어도 가동 접점이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 사이의 최소 간극인 아크장을 통해 통과하여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 사이에 아크 방전을 유발하는 위치로부터, 가동 철 코어가 바로 막 재설정 스프링을 완전히 팽창시키려고 하는 위치로 가동 철 코어가 이동하는 동안, 가동 철 코어의 잔류 자기장에 대향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자기 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캐패시터가 척력 발생 코일과 병렬로 접속되어 병렬 회로를 구성하고,
    병렬 회로는 자화 코일과 접속하여 릴레이 드라이버 회로를 구성하고,
    캐패시터는 릴레이 드라이버 회로가 여자될 때 충전되고,
    가동 철 코어의 잔류 자기장에 대향하는 자기장은 릴레이 드라이버 회로가 비여자되는 동안 캐패시터로부터 방전된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 릴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척력 발생 코일은 자화 코일의 부분을 분할함으로써 형성되고, 가동 철 코어가 고정 철 코어로부터 분리되는 동안 가동 철 코어의 잔류 자기장에 대향하는 자기장을 발생하도록 여자되는 전자기 릴레이.
KR1020127030592A 2010-06-17 2011-05-31 전자기 릴레이 KR101396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38121A JP5488238B2 (ja) 2010-06-17 2010-06-17 電磁リレー
JPJP-P-2010-138121 2010-06-17
PCT/JP2011/003049 WO2011158447A1 (en) 2010-06-17 2011-05-31 Electromagnetic re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307A true KR20130018307A (ko) 2013-02-20
KR101396609B1 KR101396609B1 (ko) 2014-05-16

Family

ID=45347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0592A KR101396609B1 (ko) 2010-06-17 2011-05-31 전자기 릴레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60537B2 (ko)
EP (1) EP2583296B1 (ko)
JP (1) JP5488238B2 (ko)
KR (1) KR101396609B1 (ko)
CN (1) CN102918620B (ko)
WO (1) WO20111584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22439A1 (de) * 2011-12-24 2013-06-27 Daimler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chalten elektrischer Lastkreise
JP5884777B2 (ja) * 2013-06-24 2016-03-15 株式会社デンソー リニアソレノイド
JP6300157B2 (ja) * 2013-08-02 2018-03-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KR101519784B1 (ko) * 2014-04-18 2015-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배터리 릴레이
FR3028349B1 (fr) * 2014-11-12 2016-12-30 Schneider Electric Ind Sas Actionneur electromagnetique et disjoncteur comprenant un tel actionneur
CN105207524B (zh) * 2015-11-02 2017-11-28 张文明 半主动调频振动能量俘获器
WO2017163411A1 (ja) * 2016-03-25 2017-09-28 三菱電機株式会社 操作装置
KR101876059B1 (ko) * 2016-09-21 2018-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플렉스 고체전해질막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듀플렉스 고체전해질막 및 이를 이용한 전고체전지의 제조방법
CN106847620A (zh) * 2017-03-09 2017-06-13 中汇瑞德电子(芜湖)有限公司 直流继电器
US20210027964A1 (en) * 2018-03-23 2021-01-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omagnetic relay
CN108565180A (zh) * 2018-05-24 2018-09-21 深圳巴斯巴汽车电子有限公司 高压直流继电器
EP3594972B1 (en) * 2018-07-13 2023-10-04 ABB Schweiz AG Drive for a low-, medium-, or high-voltage switchgea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1935712B2 (en) * 2018-07-31 2024-03-1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trol system and interrupter system
JP6676200B1 (ja) * 2019-01-30 2020-04-08 マレリ株式会社 リレー装置及びリレー装置の制御方法
CN112670127B (zh) * 2020-12-31 2022-10-04 华中科技大学 一种适用于磁场环境的直线式电磁继电器
CN114050016B (zh) * 2021-09-15 2024-03-29 上海欧一安保器材有限公司 螺线管致动器
CN115692126B (zh) * 2022-11-22 2024-03-19 深圳市威可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电路断开可复位熔断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1668A (en) * 1969-11-13 1971-03-23 Frank E Gray Three-position solenoid actuated switch
US3743898A (en) * 1970-03-31 1973-07-03 Oded Eddie Sturman Latching actuators
JP3137432B2 (ja) 1992-05-20 2001-02-19 愛知電機株式会社 自己保持型ソレノイド
US5291170A (en) * 1992-10-05 1994-03-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omagnetic actuator with response time calibration
DE29703585U1 (de) * 1997-02-28 1998-06-25 Fev Motorentech Gmbh & Co Kg Elektromagnetischer Aktuator mit magnetischer Auftreffdämpfung
US6741441B2 (en) * 2002-02-14 2004-05-25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Electromagnetic actuator system and method for engine valves
JP2006310251A (ja) * 2005-03-28 2006-11-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リレー用導電バー及びこの製造方法
CA2569064C (en) 2005-03-28 2011-08-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ontact device
JP4569547B2 (ja) 2006-02-23 2010-10-27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スイッチ
JP5163318B2 (ja) 2008-06-30 2013-03-13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石装置
EP2239453B8 (en) * 2008-08-07 2017-08-02 Denso Corporation A starting device for eng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18620B (zh) 2015-01-21
EP2583296A1 (en) 2013-04-24
EP2583296A4 (en) 2014-10-08
WO2011158447A1 (en) 2011-12-22
US8860537B2 (en) 2014-10-14
EP2583296B1 (en) 2015-10-07
JP5488238B2 (ja) 2014-05-14
KR101396609B1 (ko) 2014-05-16
CN102918620A (zh) 2013-02-06
US20130093542A1 (en) 2013-04-18
JP2012003954A (ja)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609B1 (ko) 전자기 릴레이
KR101372006B1 (ko) 전자기 릴레이
US9595411B2 (en) Electromagnetic relay
CN107615436B (zh) 电磁继电器
US8289111B2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JP5303022B2 (ja) 自動車リチウムイオン電池システムにおける直線状高電圧接触器用の2重双極性磁界
JP4770640B2 (ja) 電磁操作器
JP5649738B2 (ja) 電磁操作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開閉装置
WO2012029219A1 (ja) 電磁開閉器
JP6238620B2 (ja) 電磁石装置
JP2002289430A (ja) 電磁石およびそれを用いた開閉装置の操作機構
JP6214675B2 (ja) 開閉装置
JP2001237118A (ja) 電磁石及びそれを用いた開閉器の操作機構
RU2322724C2 (ru)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й привод
JP2002217026A (ja) 電磁石およびそれを用いた開閉装置の操作機構
JP2003016888A (ja) 電力用開閉装置の操作装置
JP2003016887A (ja) 電力用開閉装置の操作装置
CN100364027C (zh) 开关的电磁驱动装置
CN105280445A (zh) 电子机械式继电器
JP2016025169A (ja) 操作器または電力用開閉機器
JP2012174676A (ja) 電磁開閉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