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7906A - 슬러지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7906A
KR20130017906A KR1020110080634A KR20110080634A KR20130017906A KR 20130017906 A KR20130017906 A KR 20130017906A KR 1020110080634 A KR1020110080634 A KR 1020110080634A KR 20110080634 A KR20110080634 A KR 20110080634A KR 20130017906 A KR20130017906 A KR 20130017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ludge
protrusion
rota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9872B1 (ko
Inventor
김순하
이형우
Original Assignee
(주)신우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우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신우이엔지
Priority to KR1020110080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872B1/ko
Publication of KR20130017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067Construction of the filtering drums, e.g. mounting or sea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8Retarding cake deposition on the filter during the filtration period, e.g. using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7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33/7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 cake, e.g. chu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폐수가 유입되며, 회전에 의해 폐수를 수분과 슬러지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드럼부와, 드럼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드럼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여과장치는, 드럼부로 유입되는 폐수가 드럼부의 회전에 따라 나선돌기부를 타고 이동됨으로써, 폐수에서 수분과 슬러지로 분리가 용이하며, 수분을 포함한 슬러지가 하우징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슬러지의 수분이 계속 하우징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개구부로 배출되는 슬러지에 포함되는 수분 함유량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슬러지 여과장치{SLUDGE FILTERING DEVICE}
본 발명은 슬러지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수에서 수분과 슬러지를 용이하게 분리 배출함은 물론 배출되는 슬러지에 포함되는 수분 함유량을 저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슬러지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폐수 처리장 또는 음식물 처리장 등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함유된 슬러지를 처리하기 위한 여과장치로는 크게 여과포를 이용하는 방식과 스크류를 이용하는 방식 등이 있다.
이러한 여과포를 이용한 여과장치에 관한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3191호(등록일 2006.12.22, 발명의 명칭: 여과포 소제구가 장착된 여과판 및 상기 여과판이 설치된 여과케이크 일괄배출형 필터프레스)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스크류 방식의 여과장치에 관한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10-1995-0002819호(공개일 1995.02.16, 발명의 명칭: 탈수용 여과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여과포를 이용한 여과장치의 경우, 여과포의 눈이 막혀버리는 눈 막힘 현상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다음 공정의 여과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여과포를 통해 연속적으로 슬러지를 여과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여과포나 여과판 등의 세척이 따로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 사용량에 따라 여과포나 여과판을 수리하거나, 교체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스크류 방식의 여과장치의 경우, 슬러지 여과량에 한계가 있으며, 구조가 복잡하고, 사용이나 조립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분이 배출되는 통로에 슬러지가 끼면, 폐수에서 수분과 슬러지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 슬러지에 수분 함유량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를 통해 폐수에서 수분 및 슬러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되어 배출되는 슬러지 내에 수분 함유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슬러지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수가 유입되며, 회전에 의해 폐수를 수분과 슬러지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드럼부; 상기 드럼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드럼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럼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고, 내측으로 폐수가 유입되며, 회전에 따라 폐수에서 분리되는 수분이 배출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폐수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나선돌기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공급파이프가 관통되는 유입홀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고, 상기 나선돌기부에서 가이드되면서 수분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배출부;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구비되고, 슬러지가 배출되는 개구부가 구비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부의 하방에는 상기 개구부에서 낙하되는 슬러지를 흘려보내는 슬러지슈트부가 더 포함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선돌기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서 나선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입홀부 측에서 상기 개구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회전에 따라 슬러지를 상기 개구부로 이동되게 가이드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돌출되는 돌기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방에 설치되고, 단부가 상기 하우징과 접촉되어 상기 하우징의 회전시 회전되며, 상기 돌기부를 따라 상승한 후 낙하되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을 타격하는 타격부가 더 포함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부는 상기 하우징의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격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바; 서로 이웃한 상기 회전바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에 접촉되어 상기 하우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상기 돌기부를 따라 상승한 후 낙하되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에 타격을 가하는 타격롤러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부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획되는 구획부를 중심으로 상기 구획부의 일측부에 구비되는 제1돌기부; 및 상기 구획부의 타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돌기부와 어긋나게 구비되는 제2돌기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격부는, 상기 구획부의 일측부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돌기부와 접촉되게 구비되는 제1타격부; 및 상기 제1타격부에 이웃하게 구비되고, 상기 구획부의 타측부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2돌기부와 접촉되게 구비되는 제2타격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을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롤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하방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수분을 하방으로 흘려보내는 수분슈트부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여과장치는, 드럼부로 유입되는 폐수가 드럼부의 회전에 따라 나선돌기부를 타고 이동됨으로써, 폐수에서 수분과 슬러지로 분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분을 포함한 슬러지가 하우징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배출부를 통해 슬러지의 수분이 계속 배출될 수 있어, 개구부로 배출되는 슬러지에 포함되는 수분 함유량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폐수는 나선돌기부를 따라 단계적으로 이동됨으로써, 폐수에서 연속적으로 슬러지를 걸러낼 수 있어 연속적인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의 회전에 따라 타격부가 돌기부에 의해 들어 올려진 후 낙하되면서 하우징의 외주연에 타격을 가함으로써, 배출부에 끼어 배출부를 막는 슬러지를 배출부에서 제거할 수 있어, 수분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나선돌기부를 따라 이동되는 슬러지에서 수분이 배출부로 배출될 수 있어,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의 수분 함유량은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여과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여과장치에서 드럼부의 타측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여과장치의 내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여과장치에서 하우징의 내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여과장치의 타측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여과장치의 일측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여과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여과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여과장치(1)는 드럼부(100)와, 구동부(20) 및 지지부(30)를 포함한다.
드럼부(100)는 회전에 의해 유입되는 폐수를 수분과 슬러지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구성이다.
드럼부(100)의 내측으로 폐수가 유입되며, 드럼부(100)는 후술하는 구동부(20)의 구동에 따라 지지부(30)에 지지되어 회전한다. 드럼부(100)가 회전함으로써, 드럼부(10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폐수는 수분과 슬러지로 분리된다. 수분은 드럼부(100)의 하방으로 배출되고, 슬러지는 드럼부(100)의 타측(도 1 기준 우측)으로 배출된다. 구동부(20)는 드럼부(100)의 일측(도 1 기준 좌측)에 구비되어 드럼부(100)를 회전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여과장치에서 드럼부(100)의 타측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20)는 모터부(21)와, 체인벨트(22) 및 스프라켓(23)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모터부(21)의 구동력은 체인벨트(22)를 통해 스프라켓(23)으로 전달되어 스프라켓(23)을 회전시키고, 스프라켓(23)의 회전에 따라 드럼부(100)가 회전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구동부(2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110)을 회전시킬 수 있는 형상이라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지지부(30)는 바닥면 등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드럼부(100)는 지지부(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여과장치의 내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여과장치에서 하우징의 내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드럼부(100)는 하우징(110)과 나선돌기부(12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의 일측에는 회전축부(2)가 구동부(20)와 연결되어 구동부(2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회전축부(2)는 지지부(3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회전축부(2)는 속이 비어있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된다. 회전축부(2) 상에는 폐수유입구(2a)가 형성되어, 폐수가 공급되는 폐수유입관(3)과 연결된다.
하우징(110)에는 하우징(110)의 내외측을 관통하여 수분이 배출되는 배출부(112)가 구비된다. 폐수는 하우징(110)의 회전에 따라 나선돌기부(120)를 따라 이동되면서 배출부(112)를 통해 폐수에 포함되는 수분이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나선돌기부(120)는 하우징(110)의 내측에 구비된다. 나선돌기부(120)는 하우징(110)의 내주연을 따라 중앙측으로 돌출되며, 나선돌기부(120)는 후술하는 유입홀부(111) 측에서 개구부(113) 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즉, 도 3을 기준으로 하우징(110)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연장된다. 나선돌기부(120)의 나선형상은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개구부(113) 측으로 시계방향으로 감기도록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폐수는 하우징(1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게 가이드된다.
따라서, 하우징(110)의 회전에 의해 폐수는 나선돌기부(120)를 따라 하우징(1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속적으로 이동된다. 폐수에 포함되는 수분은 하우징(110)의 좌측에서 우측방향(도 3을 기준)으로 배출부(112)를 통해 하우징(110)의 하방으로 배출되고, 수분이 제거된 슬러지가 개구부(113) 측으로 이동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여과장치의 타측면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여과장치의 일측면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10)에는 유입홀부(111)와, 배출부(112) 및 개구부(113)가 구비된다.
유입홀부(111)는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되고, 회전축부(2)에서 연장되는 폐수공급파이프(4)가 하우징(110)의 내측에 구비되도록 관통된다.
배출부(112)는 하우징(110)의 내외측을 관통하도록 하우징(110)의 표면상에 복수개가 구비된다. 배출부(112)를 통해, 나선돌기부(120)를 따라 이동되는 슬러지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개구부(113)는 하우징(110)의 타측에 개방되게 구비된다. 나선돌기부(120)를 따라 이동되는 슬러지는 개구부(113)를 통해 후술하는 슬러지슈트부(40)로 낙하된다.
슬러지슈트부(40)는 개구부(113)의 하방으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슬러지슈트부(40)는 개구부(113)에서 낙하되는 슬러지를 다른 위치로 흘려 내려보내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하우징(110)에는 돌기부(130) 및 타격부(140)가 더 설치된다.
돌기부(130)는 하우징(110)의 외주연에 축방향으로 설치되고, 돌기부(130)는 하우징(110)의 외주연 외측으로 돌출된다. 후술하는 타격부(140)는 하우징(110)의 회전에 따라 돌기부(130)를 타고 상승한 후, 돌기부(130)의 단부에서 하우징(110)으로 낙하되면서 하우징(110)에 타격을 가한다.
돌기부(130)는 하우징(110)의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타격부(140)가 하우징(110)의 회전에 따라 돌기부(130)를 타고 상승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타격부(140)는 하우징(110)의 상방에 설치되고, 타격부(140)의 단부는 회전되는 하우징(110)과 접촉되어 하우징(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타격부(140)는 하우징(110)의 회전에 따라 돌기부(130)를 타고 상승한다. 타격부(140)는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돌기부(130)를 타고 상승한 후, 돌기부(130)의 단부에서 낙하되면서 하우징(110)의 외주연에 타격을 가한다.
수분이 배출되는 배출부(112)에 슬러지가 끼는 경우, 타격부(140)의 타격에 따른 충격으로 인해, 배출부(112)에 끼어있는 슬러지가 배출된다.
타격부(140)는 고정바(141)와, 지지바(142)와, 회전바(143)와, 연결바(144) 및 타격롤러부(145)를 포함한다.
고정바(141)는 지지부(30)에서 하우징(110)의 상방으로 연장되고, 고정바(141)의 단부에는 지지바(142)가 축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지지바(142)는 하우징(110)의 상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하우징(110)의 축방향으로 구비된다.
회전바(143)는 지지바(142)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후술하는 타격롤러부(145)가 돌기부(130)를 타고 상승 및 낙하할 수 있게 형성된다.
연결바(144)는 서로 이웃한 회전바(143)의 단부에 연결된다. 연결바(144)에는 타격롤러부(145)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타격롤러부(145)는 연결바(144)에 서로 이웃하게 복수개가 형성된다. 타격롤러부(145)는 하우징(110)에 접촉되어 하우징(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고, 돌기부(130)를 타고 상승 후 낙하하면서 하우징(110)의 외주연에 타격을 가한다.
하우징(110)의 외주연에는 하우징(110)을 분리 구획하는 구획부(D)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0)의 중앙부 측으로 하나의 구획부(D)를 구비하고, 구획부(D)의 양측으로 제1돌기부(131)와 제2돌기부(132)로 분리되는 돌기부(130)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돌기부(131)와 제2돌기부(132)는 서로 어긋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타격부(140)도 제1돌기부(131)와 제2돌기부(132)에 대응되도록 제1타격부(140A)와 제2타격부(140B)로 분리 구비된다. 따라서, 제1타격부(140A)는 제1돌기부(13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하우징(110)의 일측에서 구획부(D) 사이로 하우징(110)의 상방에 위치되고, 제2타격부(140B)는 제1타격부(140A)와 이웃하며, 제2돌기부(132)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구획부(D)에서 하우징(110)의 타측 사이로 하우징(110)의 상방에 위치된다. 이로 인해, 제1타격부(140A)와 제2타격부(140B)는 하우징(110)의 회전 속도에 따라 시간 차를 두고 하우징(110)에 타격을 가하게 되고, 배출부(112)에 끼어 있는 슬러지를 제거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구획부(D)에 의해 하우징(110)이 구획되지 않으면, 돌기부(130)가 하우징(11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돌기부(130)가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타격부(140)는 이에 대응되도록 하우징(110)의 상방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외주연에 두 개의 구획부(D)가 구비되어, 하우징(110)은 구획부(D)에 의해 세부분으로 나뉘며, 이로 인해, 돌기부(130)는 구획부(D)에 의해 나눠진 하우징(110)의 표면에 서로 어긋나게 구비된다. 타격부(140)도 각 돌기부(130)에 대응되게 하우징(110)의 상방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타격부(140)는 서로 어긋나게 구비되는 돌기부(130)에 의해 시간간격 차이를 두고 하우징(110)의 외주연에 타격을 가하여, 배출부(112)에 끼는 슬러지를 배출시키거나, 슬러지가 배출부(112)에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부(112)에 끼는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돌기부(130)와 타격부(140)의 구성이나 형상 등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지지부(30)는 고정프레임(31) 및 지지롤부(32)를 포함한다.
고정프레임(31) 및 지지롤부(32)는 하우징(110)을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킨다. 고정프레임(31)은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회전축부(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고정프레임(31)은 하우징(110)을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도록 바닥면 등에 고정된다. 고정프레임(31)에 의해 하우징(110)의 하방에는 후술하는 수분슈트부(50)가 장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지지롤부(32)는 고정프레임(31)에 설치되고, 하우징(110)의 타측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여, 하우징(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하우징(110)의 하방에는 배출부(112)를 통해 배출되는 수분을 하방으로 흘려보내지도록 수분슈트부(50)가 더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여과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수유입관(3)을 통해 유입되는 폐수는 회전축부(2)의 폐수유입구(2a)로 유입되고, 폐수가 회전축부(2)의 폐수유입구(2a)를 지나 하우징(110)의 내측에 연결되는 폐수공급파이프(4)를 통해 하우징(110) 내측의 나선돌기부(120)의 일단으로 유입된다. 하우징(110)은 구동부(2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반시계방향(도 4기준)으로 회전한다.
나선돌기부(120)는 하우징(110)의 내주연에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시계방향으로 감겨 나선형상을 갖음으로써, 나선돌기부(120)의 일단으로 유입된 폐수는 나선돌기부(120)를 따라 하우징(110)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되고, 하우징(110)의 내외측을 관통하는 배출부(112)를 통해 수분이 빠져나간다.
따라서, 슬러지는 나선돌기부(120)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되면서 슬러지 내부의 수분 함량이 줄어들고, 수분 함량이 최소화된 슬러지는 개구부(113) 측으로 이동되어 슬러지슈트부(40)로 흘려 내려보내진다.
또한, 하우징(110)의 회전에 따라 타격롤러부(145)가 하우징(110)의 외주연에 접촉되어 회전된다.
하우징(110)의 회전에 따라 제1타격부(140A)는 제1돌기부(131)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승된 후 낙하한다. 제1타격부(140A)의 낙하에 따라 하우징(110)의 외주연에는 타격에 따른 충격이 가해지고, 배출부(112)에 끼어 배출부(112)를 막고 있는 슬러지가 제거된다.
또한, 제2돌기부(132)는 제1돌기부(131)와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어, 제1타격부(140A)가 하우징(110)에 타격을 가한 후 일정한 시간 간격 후, 제2타격부(140B)가 하우징(110)에 타격을 가한다.
제2타격부(140B)는 하우징(110)의 회전에 의해 제2돌기부(132)를 따라 상승한 후 제2돌기부(132)의 단부에서 낙하되어 하우징(110)의 외주연에 타격을 가한다.
이로 인해, 각 위치 상에서 배출부(112)에 끼어 배출부(112)를 막고 있는 슬러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배출부(112)를 통해 수분이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슬러지 여과장치 20 : 구동부
30 : 지지부 40 : 슬러지슈트부
50 : 수분슈트부 100 : 드럼부
110 : 하우징 111 : 유입홀부
112 :배출부 113 : 개구부
120 : 나선돌기부 130 : 돌기부
131 : 제1돌기부 132 : 제2돌기부
140 : 타격부 141 : 고정바
142 : 지지바 143 : 회전바
144 : 연결바 145 : 타격롤러부

Claims (12)

  1. 폐수가 유입되며, 회전에 의해 폐수를 수분과 슬러지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드럼부;
    상기 드럼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드럼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고, 내측으로 폐수가 유입되며, 회전에 따라 폐수에서 분리되는 수분이 외측으로 배출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폐수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나선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여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공급파이프가 관통되는 유입홀부;
    상기 하우징을 외주연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나선돌기부에서 가이드되면서 수분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배출부;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구비되고, 슬러지가 배출되는 개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여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하방에는 상기 개구부에서 낙하되는 슬러지를 흘려보내는 슬러지슈트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여과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돌기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서 나선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입홀부 측에서 상기 개구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회전에 따라 슬러지를 상기 개구부로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여과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돌출되는 돌기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방에 설치되고, 단부가 상기 하우징과 접촉되어 상기 하우징의 회전시 회전되며, 상기 돌기부를 따라 상승한 후 낙하되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을 타격하는 타격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여과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하우징의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여과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바;
    서로 이웃한 상기 회전바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에 접촉되어 상기 하우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상기 돌기부를 따라 상승 후 낙하되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에 타격을 가하는 타격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여과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획되는 구획부를 중심으로 상기 구획부의 일측부에 구비되는 제1돌기부; 및
    상기 구획부의 타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돌기부와 어긋나게 구비되는 제2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여과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는,
    상기 구획부의 일측부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돌기부와 접촉되게 구비되는 제1타격부; 및
    상기 제1타격부에 이웃하게 구비되고, 상기 구획부의 타측부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2돌기부와 접촉되게 구비되는 제2타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여과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을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여과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방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수분을 하방으로 흘려보내도록 수분슈트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여과장치.
KR1020110080634A 2011-08-12 2011-08-12 슬러지 여과장치 KR101269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634A KR101269872B1 (ko) 2011-08-12 2011-08-12 슬러지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634A KR101269872B1 (ko) 2011-08-12 2011-08-12 슬러지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906A true KR20130017906A (ko) 2013-02-20
KR101269872B1 KR101269872B1 (ko) 2013-06-07

Family

ID=47896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634A KR101269872B1 (ko) 2011-08-12 2011-08-12 슬러지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8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654B1 (ko) * 2013-05-08 2015-04-06 김소정 중수 재활용을 위한 저비중 이물질 처리장치
KR101643883B1 (ko) * 2015-06-17 2016-08-10 주식회사 부양 분진 제거장치가 구비된 폐충진재 건식 세척장치
WO2016195187A1 (ko) * 2015-05-29 2016-12-08 주식회사 부양 폐충진재 건식 세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700U (ja) * 1993-03-19 1994-10-11 東洋スクリーン工業株式会社 回転ドラムスクリーン型汚泥脱水装置
KR200342805Y1 (ko) * 2003-11-26 2004-02-18 주식회사삼공환경건설 하수여과용 협작물 처리기
KR100783024B1 (ko) 2007-07-13 2007-12-07 에이네스트(주) 원통형의 메쉬스크린과 헬리컬바를 이용한 고액분리장치
KR101173127B1 (ko) 2010-04-19 2012-08-14 주로테크 주식회사 건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654B1 (ko) * 2013-05-08 2015-04-06 김소정 중수 재활용을 위한 저비중 이물질 처리장치
WO2016195187A1 (ko) * 2015-05-29 2016-12-08 주식회사 부양 폐충진재 건식 세척 장치
KR101643883B1 (ko) * 2015-06-17 2016-08-10 주식회사 부양 분진 제거장치가 구비된 폐충진재 건식 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9872B1 (ko) 201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7966Y1 (ko) 롤링 회전구조를 갖는 협잡물 제거용 드럼스크린
KR101209709B1 (ko) 스크류 이송식 슬러지 농축 장치
KR101269872B1 (ko) 슬러지 여과장치
KR101425200B1 (ko) 고액분리기
KR100741992B1 (ko) 분뇨와 오폐수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용 디스크 스크린
KR100564250B1 (ko)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
KR100828314B1 (ko) 이물질 여과장치
KR100730319B1 (ko) 청수장치
KR100616244B1 (ko) 오폐수 처리 시설용 중력식 탈수장치
KR100826316B1 (ko) 각형 풀리식 협잡물 제거장치
KR100783024B1 (ko) 원통형의 메쉬스크린과 헬리컬바를 이용한 고액분리장치
JP2011000650A (ja) クーラント濾過方法及び濾過装置
KR102521780B1 (ko) 이중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
KR20230079590A (ko)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
KR100471638B1 (ko) 섬유 가공기용 진공탈수장치
KR100620438B1 (ko) 상향식 오폐수 처리 장치
KR100725466B1 (ko) 제지공정의 폐수 정선장치
JP6091289B2 (ja) 汚泥脱水装置
KR20070012019A (ko) 여과재 재생선별장치 및 여과재 재생선별방법
KR200384527Y1 (ko) 제지공정의 폐수 정선장치
US7101478B2 (en) Foam removal device
KR101011147B1 (ko) 웨지형 농축기
KR200400257Y1 (ko) 오폐수 정화용 슬러지 분리기
JPH07213951A (ja) 生ごみ処理装置
JP4702769B2 (ja) 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